KR101075256B1 - Error compensation method digital map using matching with output draft - Google Patents

Error compensation method digital map using matching with output draf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5256B1
KR101075256B1 KR1020110037524A KR20110037524A KR101075256B1 KR 101075256 B1 KR101075256 B1 KR 101075256B1 KR 1020110037524 A KR1020110037524 A KR 1020110037524A KR 20110037524 A KR20110037524 A KR 20110037524A KR 101075256 B1 KR101075256 B1 KR 1010752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screen
transparent touch
map
numerical map
existing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752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형준
김대연
Original Assignee
동아항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아항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아항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375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525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52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525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9/00Maps; Plans; Charts; Diagrams, e.g. route diagram
    • G09B29/10Map spot or coordinate position indicators; Map reading aids
    • G09B29/106Map spot or coordinate position indicators; Map reading aids using electronic means
    • G09B29/108Map spot or coordinate position indicators; Map reading aids using electronic means involving the optical projection of slides, microfilm or the like

Abstract

본 발명은 현장조사를 통해 수치지도에 잘못 묘사된 부분이 표시된 종이에 프린트된 기존 출력도면과 터치패널을 갖는 투명터치스크린에 표시된 파일화된 수치지도와의 매칭을 통한 수정으로 파일화된 수치지도의 정위치 편집 및 구조화 편집이 이루어지도록 제공하는 기존 출력도면과의 매칭을 이용한 수치지도의 오차수정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A) 수치지도 및 도화에 표시되는 인공지물과 자연지형의 속성정보 및 위치 좌표값 정보를 이동형 메모리의 저장부에 저장하여 접속하는 단계와, (B) 상기 생성된 수치지도를 종이에 프린트하여, 프린트된 도면의 해당 지역으로 현장조사를 통해 수치지도에 잘못 묘사된 부분이 표시된 기존 출력도면을 출력도면 삽입부를 통해 투명터치 스크린부로 삽입하여 투명터치 스크린부의 전면에 삽입된 기존 출력도면이 투과되어 확인되도록 하는 단계와, (C) 상기 삽입된 출력도면에 대응되는 수치지도의 선택 및 수치지도의 비율, 크기를 포함하는 초기정보를 입력받아 수치지도의 종류, 비율, 크기를 설정하고, 설정된 수치지도를 투명터치 스크린부에 표시하는 단계와, (D) 상기 투명터치 스크린부에 삽입되어 확인되는 기존 출력도면과 투명터치 스크린부에 표시되는 수치지도의 앞뒤로 서로 겹쳐진 위치를 기존 출력도면 또는 수치지도를 상하좌우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이용시켜 매칭시키는 단계와, (E) 상기 투명터치 스크린부에 투과되어 보이는 기존 출력도면을 기반으로 투명터치 스크린부에 표시되는 수치지도를 투명터치 스크린부의 터치를 통한 정위치 편집 및 구조화 편집의 수정된 수치지도를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numerical map compiled by the correction through matching with the existing output drawing printed on a paper on which the wrong description is displayed on the digital map through the field survey and the filed digital map displayed on the transparent touch screen having the touch panel. It is to provide the error correction method of the digital map using matching with the existing output drawing which provides the precise position editing and the structured editing of (A) the attribute information of the artificial feature and the natural terrain displayed on the digital map and the drawing. And storing the location coordinate value information in a storage unit of the mobile memory, and accessing the same; and (B) printing the generated numerical map on paper, and incorrectly depicted in the numerical map through field survey to the corresponding area of the printed drawing. Part of the existing output drawing with the part inserted into the transparent touch screen part through the output drawing insert part is inserted into the front of the transparent touch screen part. (C) receiving initial information including the selection of the numerical map corresponding to the inserted output drawing and the ratio and size of the numerical map corresponding to the inserted output drawing; (D) displaying the set numerical map on the transparent touch screen unit, and (D) overlapping positions of the existing output drawing inserted into the transparent touch screen unit and the numerical map displayed on the transparent touch screen unit. Using an existing output drawing or a numerical map in at least one of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to match, and (E) a numerical map displayed on the transparent touch screen based on the existing output drawing transmitted through the transparent touch screen unit. And storing the modified numerical map of the in-position editing and the structured editing by touching the transparent touch screen unit in the storage unit. It's losing.

Description

출력도면과의 매칭을 이용한 수치지도의 오차수정 방법{Error compensation method digital map using matching with output draft}Error compensation method digital map using matching with output draft}

본 발명은 수치지도를 제작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투명터치스크린을 통해 표시되는 도화와 현장 조사를 통해 수정된 출력도면과의 매칭을 이용하여 수치지도의 오차를 수정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ique for producing a digital map,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for correcting an error of a digital map by using matching between a drawing displayed through a transparent touch screen and an output drawing modified through field inspection.

일반적으로, 수치지도는 확보된 항공촬영이미지를 기초로 도화 작업을 진행한 후, 상기 도화 작업으로 완성된 종이 형태로 제작된 지도를 지형, 지물 및 지명 등에 대한 위치, 형상을 좌표 데이터로 나타내어 전산처리가 가능한 디지털 형태로 표시해서 각종 지형자료를 해석하여 수치 편집함으로써, 디지털 형태의 지도로 제작한 것을 의미한다.In general, a digital map is a computerized drawing process based on the secured aerial photographing image, and then computed a map made in the form of paper completed by the drawing work by indicating the position and shape of the terrain, features and names as coordinate data. This means that digital maps are created by displaying them in a digital format that can be processed and interpreting and editing numerically various topographical data.

그리고 예전 수치지도의 구축 과정은 먼저, 종이지도를 디지타이징(digitizing)이나 스캐닝(scanning)하여 수치지도의 형태의 도면을 생성하고, 이렇게 생성된 도면에 좌표 변환을 통해 사용자의 목적에 맞도록 실제 좌표계로 변환한다. 이후, 공간 객체 간의 상호 위치성과 연관성을 파악하기 위한 위상 구조를 정립한 수치지도에 속성자료를 입력하므로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속성자료는 다양한 식별자 정보들이 포함되는데, 일 예로써 국토지리정보원의 수치지도의 지형지물에 대한 식별자로 지형지물 전자식별자(UFID : Unique Feature Identifier)가 사용되고 있다. 이는 지형물에 부여되는 위치정보, 관리기관, 타 속성정보 등을 나타내는 단일 식별자로 지형지물의 유일하게 부여되는 식별자를 말하여, 기관코드, 도엽번호, 지형지물 식별코드, 일련번호 필드 등으로 구성되어 지형지물의 관리, 검색 및 활용을 위해 다른 지리정보와의 연계 또는 지형지물간의 상호참조를 위한 식별자로 사용된다.In the process of constructing the old digital map, first, the paper map is digitized or scanned to generate a digital map, and then the coordinates are converted to the actual map to meet the user's purpose. Convert to Thereafter, this is done by inputting the attribute data into a numerical map that establishes a topological structure to grasp the inter-location and correlation between spatial objects. At this time, the attribute data includes various identifier information. As an example, a unique feature identifier (UFID) is used as an identifier for a feature of a digital map of the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This is a single identifier that indicates the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authority, and other attribute information that is given to the feature. It is the unique identifier of the feature, and consists of an organization code, leaf number, feature identification code, and serial number field. It is used as an identifier for linking with other geographic information or cross-referencing between features for management, retrieval and utilization of features.

그러나 상기 도화는 항공사진, 위성영상을 통해 촬영된 항공촬영이미지를 기초로 작업이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항공촬영이미지는 항공에서 촬영된 지상의 평면이미지여서 이를 기초로 완성되는 도화는 굴곡이 있는 실제 지상모습과는 그 차이가 있을 수 밖에 없고, 이러한 차이는 도화의 지형지물의 정확도를 보장하기 어렵게 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각 지형지물에 부여되는 속성자료의 정확도도 보장하기 어려운 문제가 발생한다. However, the drawing is performed based on aerial photographs taken by aerial photographs and satellite images, and the aerial photographs are plane images of the ground photographed by aerial photographs.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appearance and the difference, which makes it difficult to guarantee the accuracy of the feature of the drawing. Accordingly, a problem arises that it is difficult to guarantee the accuracy of the attribute data assigned to each feature.

이로 인해, 수치지도 제작자들은 수치지도의 정확도를 보장하기 위해 현장조사를 통해 도화의 오류를 수정하여 수치지도를 제작하고 있다.For this reason, digital map makers are making digital maps by correcting errors in drawing through field surveys to ensure the accuracy of digital maps.

도 1 은 종래의 수치지도 제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ventional digital map production process.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수치지도 제작자는 측량지도, 항공사진, 위성영상 등 디지타이징(digitizing)이나 스캐닝(scanning)을 통해 생성된 도면을 종이에 프린트하여(S10), 프린트된 도화의 해당 지역으로 현장조사를 수행한다(S20). Referring to FIG. 1, a digital map maker prints a drawing generated through digitizing or scanning such as surveying maps, aerial photographs, and satellite images on paper (S10), and corresponding regions of the printed drawings. Perform a site survey to (S20).

이때, 상기 현장조사에서는 실제 장소에 프린트된 도화에 표시된 건물, 도로(포장, 비포장), 철도, 공원, 하천, 산, 논, 밭 등의 다양한 인공지물과 자연지형이 실제로 존재하는지, 또는 실제 장소에 위치하는 인공지물과 자연지형의 크기, 방향, 형태가 도화에도 정확히 표시되어 있는지 등을 직접 확인하고, 다른 부분이 있으면 도면에 수작업으로 직접 수정한다. 아울러, 해당 인공지물 및 자연지형의 상호, 명칭 및 기본정보(건물의 층수, 도로나 하천의 폭 등)등의 속성자료들을 도면의 해당 위치에 일일이 수작업으로 표기한다.At this time, in the field survey, various artificial features and natural terrain such as buildings, roads (paved, unpaved), railroads, parks, rivers, mountains, rice fields, and fields indicated in drawings printed on actual places actually exist, or actual places Check whether the size, direction, and shape of the artificial features and natural topography that are located in the drawings are correctly displayed in the drawing, and if there are other parts, modify them manually in the drawing. In addition, attribute data such as the name of the artificial feature and the natural topography, name, and basic information (the number of floors of the building, the width of the road or the river, etc.) are manually indicated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 in the drawing.

이렇게 현장조사를 통해 도화에 잘못 묘사된 인공지물 및 자연지형과, 각 인공지물과 자연지형의 속성자료들의 표기가 완료되면, 상기 표기된 도면을 이용하여 전산화 작업을 통한 최초 생성된 도화에 수작업으로 상기 변경정보를 표시하여 도화 및 지도입력 성과를 수정하고 보완함으로써, 지형, 지물의 지리적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정위치 편집을 수행한다(S30).When the marking of the artificial features and natural topography that are incorrectly depicted in the drawing and the attribute data of each artificial feature and the natural topography through the field survey is completed, the above-mentioned drawing is manually generated by computerization. By modifying and supplementing the drawing and map input performances by displaying the change information, an exact position editing to grasp the geographical correlation of the terrain and the feature is performed (S30).

이어 상기 정위치 편집을 통해 편집된 지형, 지물을 국토지리정보원에서 정의한 점, 선, 면의 기하학적 구조를 성립한 후, 현장조사를 통해 조사된 각 인공지물과 자연지형의 잘못된 속성정보들을 일일이 수작업으로 편집하는 구조화 편집을 수행한다.(S40). 이때, 상기 구조화 편집에서는 점, 선, 면의 기하학적 구조만이 도면에 표시되는 속성자료는 숨겨진(화면에 표지되지 않고 저장된) 상태로 편집이 이루어진다.Subsequently, after establishing the geometric structure of the points, lines, and surfaces defined by the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the terrain and features edited through the in-situ editing, and then manually inspect the incorrect attribute information of each artificial feature and natural terrain surveyed through field survey. Perform structured editing to edit (S40). At this time, in the structured editing, the attribute data of which only points, lines, and surfaces are displayed in the drawing is edited in a hidden state (not stored on the screen).

이렇게 상기 구조화 편집까지 완료되면, 국토지리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수치지도를 제작 및 인쇄하여 수치지도 제작을 요청한 국토지리정보원에 제공한다(S50). 이때 상기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은 구조화 편집된 데이터를 정의된 형태로 변경시키는 프로그램으로 이는 통상적으로 국토지리정보원에서 제공하는 공지된 프로그램을 그대로 이용하고 있다. When the structured editing is completed as described above, the digital map is produced and printed using a software program provided by the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and provided to the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requesting the digital map production (S50). In this case, the software program is a program for changing the structured and edited data into a defined form, which generally uses a known program provided by the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이와 같이, 수치지도 제작자들은 현장조사, 정위치 편집, 구조화 편집은 모두 사람이 수작업을 통해 이루어지는 작업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어서, 많은 시간이 소요됨은 물론 현장조사를 통해 잘못 묘사된 부분이 표시된 도면을 보면서 컴퓨터 화면을 통해 표시되는 파일화된 수치지도와 비교하면서 일일이 수정하고 있어서 그 정확도에 문제가 발생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수치지도 및 수치지도의 속성자료를 보다 편리하면서도 정확하고 신속하게 편집하기 위한 자동화 작업의 필요성이 현재 대두되고 있다.As such, the digital map makers take most of the work done by manual work, such as field survey, in-situ editing, and structured editing, and it takes a lot of time. Compared with the filed numerical map displayed on the computer screen, it is corrected one by one, which may cause a problem in accuracy. Therefore, the necessity of an automated operation for editing the digital map and the attribute data of the digital map more conveniently, accurately and quickly is emerging.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현장조사를 통해 디지털 도화에 잘못 묘사된 부분이 표시된 종이에 프린트된 도면과 터치패널을 갖는 투명터치스크린에 표시된 파일화된 수치지도와의 매칭을 통한 수정으로 파일화된 수치지도의 정위치 편집 및 구조화 편집이 이루어지도록 제공하는 출력도면과의 매칭을 이용한 수치지도의 오차수정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 filed numerical map displayed on a transparent touch screen having a drawing and a touch panel printed on a paper on which a part wrongly depicted in a digital drawing is displayed through a field surve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correcting an error of a digital map using matching with an output drawing which provides editing and structured editing of a filed digital map by correction through matching of a.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존에 출력된 도면을, 이와 동일한 비율로 파일화된 수치지도가 표시되는 투명터치스크린의 뒤쪽에 위치시켜 1대1 매칭을 통한 도화의 잘못 묘사된 부분을 시각적으로 확인시켜 정확한 오차수정을 통한 정확한 수치지도의 제작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존 출력도면과의 매칭을 이용한 수치지도의 오차수정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visually identify the wrongly depicted portion of the drawing through one-to-one matching by placing the previously output drawing on the back of the transparent touch screen displaying the digital map filed at the same ratio.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rror correction method of a digital map using matching with an existing output drawing, which enables the production of an accurate digital map through accurate error correction.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기존 출력도면과의 매칭을 이용한 수치지도의 오차수정 방법의 특징은 (A) 수치지도 및 도화에 표시되는 인공지물과 자연지형의 속성정보 및 위치 좌표값 정보를 이동형 메모리의 저장부에 저장하여 접속하는 단계와, (B) 상기 생성된 수치지도를 종이에 프린트하여, 프린트된 도면의 해당 지역으로 현장조사를 통해 수치지도에 잘못 묘사된 부분이 표시된 기존 출력도면을 출력도면 삽입부를 통해 투명터치 스크린부로 삽입하여 투명터치 스크린부의 전면에 삽입된 출력도면이 투과되어 확인되도록 하는 단계와, (C) 상기 삽입된 출력도면에 대응되는 수치지도의 선택 및 수치지도의 비율, 크기를 포함하는 초기정보를 입력받아 수치지도의 종류, 비율, 크기를 설정하고, 설정된 수치지도를 투명터치 스크린부에 표시하는 단계와, (D) 상기 투명터치 스크린부에 삽입되어 확인되는 출력도면과 투명터치 스크린부에 표시되는 수치지도의 앞뒤로 서로 겹쳐진 위치를 출력도면 또는 수치지도를 상하좌우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이용시켜 매칭 시키는 단계와, (E) 상기 투명터치 스크린부에 투과되어 보이는 출력도면을 기반으로 투명터치 스크린부에 표시되는 수치지도를 투명터치 스크린부의 터치를 통한 정위치 편집 및 구조화 편집의 수정된 수치지도를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characteristic of the error correction method of the digital map using the matching with the existing output drawing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the attribute information and the position coordinate of the artificial feature and the natural terrain displayed on the digital map and the drawing. Storing and accessing the value information in a storage unit of the mobile memory; (B) printing the generated numerical map on a paper, and displaying an incorrectly depicted portion of the numerical map through an on-site survey to a corresponding area of the printed drawing; Inserting an existing output drawing into the transparent touch screen through the output drawing inserting unit so that the output drawing inserted into the front of the transparent touch screen is transmitted and checked; (C) selecting a numerical map corresponding to the inserted output drawing and Inputs initial information including the ratio and size of the digital map, sets the type, ratio and size of the digital map, and transmits the set digital map (D) at least one of an output drawing or a numerical map of the output drawing or the numerical map overlapping each other before and after the output drawing inserted into the transparent touch screen unit and the numerical map displayed on the transparent touch screen unit; (E) editing and structuring editing of a numerical map displayed on the transparent touch screen based on the output drawing transmitted through the transparent touch screen and touching the transparent touch screen. Storing the modified numerical map of the storage unit.

바람직하게 상기 (B) 단계는 삽입되는 기존 출력도면이 투명터치 스크린부에 표시되는 수치지도보다 뒷단으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step (B)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existing output drawing to be inserted is inserted into the rear end than the numerical map displayed on the transparent touch screen.

바람직하게 상기 (D) 단계는 투명터치 스크린부의 터치 후 터치펜의 상하좌우로의 이동을 통한 수치지도를 전자적으로 이동시키거나, 또는 삽입된 기존 출력도면에 물리적인 힘을 가하여 기존 출력도면을 물리적으로 상하좌우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step (D) moves the numerical map electronically by moving the touch pen up, down, left, and right after touching the transparent touch screen unit, or physically applies the existing output drawing by applying a physical force to the inserted existing output drawing. It is characterized by moving up, down, left and right.

바람직하게 상기 (C) 단계는 표시된 수치지도의 인공지물 및 자연지형, 이에 따른 속성자료들, 그리고 대상의 점, 선, 면 형태화의 수정, 삭제 및 미리 정의되는 지형지물 전자식별자들의 삽입을 위한 그리기 도구상자를 더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step (C) is for inserting the features of the displayed digital map, the natural features, the corresponding attribute data, and the modification of the point, line, and surface morphology of the target, and the insertion of the predefined feature electronic identifiers. Characterized by further display of the drawing toolbox.

바람직하게 상기 (E) 단계의 정위치 편집 및 구조화 편집에서 상기 투명터치 스크린부에 표시되는 수치지도의 일부 영역을 확대창을 통해 부분 확대하여 표시하는 단계와, 작업자의 선택에 의해 상기 확대창을 수치지도를 기반으로 상하좌우로 이동되면서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in the position editing and structured editing of the step (E) to partially enlarge and display a portion of the numerical map displayed on the transparent touch screen portion through an enlarged window, the enlarged window by the operator's selection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displaying while moving up, down, left, and right based on the numerical map.

바람직하게 상기 투명터치 스크린부에서 표시되는 수치지도의 점, 선, 면의 색상을 임의의 색으로 변경되도록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정위치 편집 및 구조화 편집되어 수정된 부분을 임의의 색으로 변경되도록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color of the point, the line, or the surface of the numerical map displayed on the transparent touch screen unit is set to be changed to an arbitrary color, and the fixed position edited and structured edited part is changed to an arbitrary color.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tep of setting.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기존 출력도면과의 매칭을 이용한 수치지도의 오차수정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n error correction method of a digital map using matching with an existing output draw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기존 출력도면을 동일한 비율로 파일화된 수치지도가 표시되는 투명터치스크린의 뒤쪽에 위치시켜 1대1 매칭을 통한 시각적 확인을 통해 도화의 잘못 묘사된 부분을 수정함으로서, 보다 정확한 수치지도의 오차수정이 가능하다. First, the existing output drawings are placed behind the transparent touch screen where the digital maps are displayed at the same rate and corrected for the wrong description of the drawing through visual confirmation through one-to-one matching. Error correction is possible.

둘째, 투명터치스크린을 이용하여 수정이 필요한 수치지도의 위치에 직접적인 선택 및 수정이 가능하여 해당 도화에 묘사된 패턴의 수정이 용이하여 보다 간편하고 빠르게 수치지도의 오차수정이 가능하다.Second, it is possible to directly select and correct the position of the digital map that needs to be corrected by using the transparent touch screen, and it is easy to modify the pattern depicted in the drawing, which makes it easier and faster to correct the error of the digital map.

셋째, 투명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수치지도의 비율 및 확대/축소가 가능하고, 도화의 특정 위치의 선택적 표시가 가능하여 기존 출력도면의 비율 및 크기는 물론 기존 출력도면의 특정 위치에 제한 없이 다양한 설정에 따른 수치지도의 오차수정이 가능하다.Third, the ratio and enlargement / reduction of the numerical map displayed on the transparent touch screen are possible, and the selective display of specific positions of the drawing is possible, so that various settings can be made without restriction on the ratio and size of the existing output drawing as well as the specific position of the existing output drawing. It is possible to correct the error of the digital map.

[도 1] 종래의 수치지도 제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2]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존 출력도면과의 매칭을 이용한 수치지도의 오차수정 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도 3]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존 출력도면과의 매칭을 이용한 수치지도의 오차수정 장치의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
[도 4a 내지 도 4c] 도 2의 투명터치 스크린부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5]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존 출력도면와의 매칭을 이용한 수치지도의 오차수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ventional digital map production process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error correction device of the digital map using the matching with the existing output drawing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error correction device of the digital map using matching with the existing output drawing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A to 4C are configuration diagrams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the transparent touch screen unit of FIG. 2 in more detail.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rror correction method of a digital map using matching with an existing output draw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성 및 이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O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embodiments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기존 출력도면과의 매칭을 이용한 수치지도의 오차수정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 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Referring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preferred embodiment of a method for correcting an error of a digital map using matching with an existing output draw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only the embodiments are to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complete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t is provided to inform you.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the drawing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that can be replaced at the tim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equivalents and variations.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존 출력도면과의 매칭을 이용한 수치지도의 오차수정 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존 출력도면과의 매칭을 이용한 수치지도의 오차수정 장치의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error correction apparatus of the numerical map using the matching with the existing output drawing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matching with the existing output drawing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erspective view which shows the external appearance of the error correction apparatus of the numerical map used.

도 2, 도 3과 같이, 수치지도의 오차수정 장치는 출력도면 삽입부(100)와, 투명터치 스크린부(200)와, 입력부(300)와, 설정부(400)와, 저장부(500)와, 매칭부(600)로 구성된다.2 and 3, the error correction apparatus of the numerical map includes an output drawing inserting unit 100, a transparent touch screen unit 200, an input unit 300, a setting unit 400, and a storage unit 500. ) And a matching unit 600.

상기 출력도면 삽입부(100)는 현장조사를 통해 수치지도에 잘못 묘사된 부분이 표시된 종이에 프린트된 기존 출력도면(10)을 상기 투명터치 스크린부(200) 뒷면으로 삽입한다. 이때, 삽입되는 기존 출력도면(10)은 투명터치 스크린부(200)에 표시되는 화면보다 뒷단으로 삽입되게 된다. 그리고 기존 출력도면(10)의 삽입은 구동모터를 통해 회전되는 원통형 회전 롤러(110) 등을 통해 외부에서 안으로 삽입되도록 구성된다.The output drawing inserting unit 100 inserts an existing output drawing 10 printed on a paper on which a wrongly depicted portion is displayed on a numerical map through a field survey into the rear surface of the transparent touch screen unit 200. At this time, the existing output drawing 10 to be inserted is inserted into the rear end than the screen displayed on the transparent touch screen unit 200. And the insertion of the existing output drawing 10 is configured to be inserted in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cylindrical rotary roller 110, etc. which are rotated through the drive motor.

상기 투명터치 스크린부(200)는 투명판넬 및 투명전극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출력도면 삽입부(100)를 통해 삽입된 기존 출력도면이 전면에서 투과되어 확인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화면에는 기존 출력도면에 대응되는 수치지도 및 수치지도의 수정, 삭제, 삽입을 위한 그리기 도구상자를 표시한다. 이에 따라 투명터치 스크린부(200)에 삽입되어 확인되는 기존 출력도면과 투명터치 스크린부(200)상에 표시되는 수치지도는 앞뒤로 서로 겹쳐져서 확인되게 된다. 이때, 투명터치 스크린부(200) 화면은 터치펜 등의 터치 수단을 통해 스크린에 표시된 수치지도를 수정, 삭제, 삽입이 가능하므로, 작업자는 이를 통해 지형, 지물의 지리적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정위치 편집 및 국토지리정보원에서 정의한 점, 선, 면 형태화를 기반으로 인공지물 및 자연지형의 구조화 편집에 따른 도화의 수정을 수행한다.The transparent touch screen unit 200 is configured to include a transparent panel and a transparent electrode so that the existing output drawing inserted through the output drawing inserting unit 100 is transmitted through the front can be confirmed. The screen also displays a drawing toolbox for modifying, deleting, and inserting a digital map corresponding to an existing output drawing. Accordingly, the existing output drawing inserted into the transparent touch screen unit 200 and the numerical map displayed on the transparent touch screen unit 200 are confirmed by overlapping each other back and forth. In this case, the screen of the transparent touch screen unit 200 can modify, delete, and insert the numerical map displayed on the screen through a touch means such as a touch pen, so that the operator can determine the geographical correlation between the terrain and the feature. Based on the location editing and the point, line, and plane morphology defined by the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the drawing is modified according to the structured editing of artificial and natural terrain.

상기 입력부(300)는 출력도면 삽입부(100) 및 투명터치 스크린부(200)의 구동 및 투명터치 스크린부(200)에 표시되는 수치지도의 종류, 비율, 크기 등의 초기정보를 입력한다. 이는 별도의 구성없이 상기 투명터치 스크린부(200)내에 삽입 가능하다.The input unit 300 inputs initial information such as type, ratio, size, etc. of the numerical map displayed on the driving of the output drawing inserting unit 100 and the transparent touch screen unit 200 and the transparent touch screen unit 200. It can be inserted into the transparent touch screen unit 200 without a separate configuration.

상기 설정부(400)는 투명터치 스크린부(200) 및 입력부(300)에서 선택되는 수치지도의 수정, 삭제, 삽입 정보 및 수치지도의 종류, 비율, 크기 정보를 기반으로 투명터치 스크린부(200)에 표시되는 수치지도의 형태를 설정하고, 설정된 형태의 수치지도를 투명터치 스크린부(200)로 제공하여 설정된 형태의 수치지도가 표시되도록 한다. 이때, 설정부(400)는 삽입되는 기존 출력도면과 투명터치 스크린부(200)에서 표시되는 수치지도의 구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표시되는 수치지도의 점, 선, 면의 색상을 임의의 색(청색, 적색 등)으로 변경되도록 설정할 수도 있으며, 또한 그리기 도구상자를 통해 정위치 편집 및 구조화 편집되어 수정된 부분도 임의의 색(청색, 적색 등)으로 변경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수정된 내용을 더욱 손쉽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The setting unit 400 is a transparent touch screen unit 200 based on the correction, deletion, insertion information and the type, ratio, and size information of the numerical map selected by the transparent touch screen unit 200 and the input unit 300. Set the type of the numerical map displayed on the), and provides the digital map of the set form to the transparent touch screen unit 200 to display the digital map of the set form. At this time, the setting unit 400 is a color of the point, the line, the surface of the displayed numerical map in order to facilitate the distinction between the existing output drawing is inserted and the numerical map displayed on the transparent touch screen unit 200 It can be set to change to (Blue, Red, etc.), or it can be set to change to an arbitrary color (Blue, Red, etc.) by editing or structuring editing in place through the drawing toolbox. This makes it easier for the operator to see what has been modified.

상기 매칭부(600)는 상기 출력도면 삽입부(100)를 통해 삽입된 기존 출력도면과 상기 투명터치 스크린부(200)에 표시되는 수치지도의 겹치는 위치 및 크기를 매칭시킨다. 이때, 상기 설정부(400)를 통해 투명터치 스크린부(200)에 표시되는 수치지도는 삽입된 기존 출력도면과 비율, 크기 및 위치에 있어서 매칭되어 있으므로, 상기 매칭부(600)는 미세 조정을 통한 보다 정확한 매칭을 제공한다. 상기 미세 조정은 투명터치 스크린부(200)의 터치 후 터치펜의 상하좌우로의 이동을 통한 수치지도의 전자적 이동과, 도 3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별도의 조작수단(130)을 구성하여 삽입된 기존 출력도면에 물리적인 힘을 가하여 기존 출력도면의 상하좌우로 이동시키는 물리적 이동으로 구성될 수 있다. The matching unit 600 matches the overlapping position and size of the existing output drawing inserted through the output drawing inserting unit 100 and the numerical map displayed on the transparent touch screen unit 200. In this case, since the numerical map displayed on the transparent touch screen unit 200 through the setting unit 400 is matched in the ratio, size, and position of the inserted existing output drawing, the matching unit 600 performs fine adjustment. Provide more accurate matching. The fine adjustment includes the electronic movement of the numerical map by moving the touch pen up, down, left, and right after the touch of the transparent touch screen unit 200, and by inserting a separate operation means 130 as shown in FIG. It can be configured as a physical movement to move up, down, left and right of the existing output drawing by applying a physical force to the existing output drawing.

상기 저장부(500)는 수치지도 제작을 위해 측량지도, 항공사진, 위성영상 등 디지타이징(digitizing)이나 스캐닝(scanning)을 통해 생성된 도화와, 수치지도의 지형지물에 대한 식별자로 지형지물 전자식별자(UFID : Unique Feature Identifier) 정보를 저장한다. 이때 상기 지형지물 전자식별자는 국토지리정보원에서 제공되는 정의된 기호 및 문장으로서, 지형물에 부여되는 위치정보, 관리기관, 타 속성정보 등을 나타내는 단일 식별자로 지형지물의 유일하게 부여되는 식별자를 말한다. 이는 기관코드, 도엽번호, 지형지물 식별코드, 일련번호 필드 등으로 구성되어 지형지물의 관리, 검색 및 활용을 위해 다른 지리정보와의 연계 또는 지형지물간의 상호참조를 위한 식별자로 사용된다. The storage unit 500 is a drawing generated through digitizing or scanning such as surveying maps, aerial photographs, satellite images, and the like to produce digital maps, and the feature electronic identifiers as identifiers for the digital maps. (UFID: Unique Feature Identifier) Information is stored. In this case, the feature electronic identifier is a defined symbol and sentence provided by the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and refers to a unique identifier of the feature as a single identifier indicating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authority, and other attribute information given to the feature. It consists of an organization code, leaf number, feature identification code, and serial number field, and is used as an identifier for linking with other geographic information or cross-reference between features for managing, searching, and utilizing the feature.

도 4a 내지 도 4c는 도 2의 투명터치 스크린부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4A to 4C are diagrams illustrating in more detail the configuration of the transparent touch screen unit of FIG. 2.

도 4a와 같이, 투명터치 스크린부(200)는 수치지도를 표시하는 제 1 스크린 영역(230)과, 상기 제 1 스크린 영역(230)에 표시된 수치지도의 인공지물 및 자연지형, 이에 따른 속성자료들, 그리고 대상의 점, 선, 면 형태화 등의 수정, 삭제 및 미리 정의되는 지형지물 전자식별자들의 삽입을 위한 그리기 도구상자를 표시하는 제 2 스크린 영역(210)으로 구성된다. As shown in FIG. 4A, the transparent touch screen unit 200 includes a first screen area 230 displaying a numerical map, an artificial feature and a natural topography of the numerical map displayed on the first screen area 230, and attribute data accordingly. And a second screen area 210 for displaying a drawing toolbox for the modification, deletion and insertion of predefined feature electronic identifiers, such as point, line, and surface shaping of an object.

아울러, 수치지도가 표시되는 제 1 스크린 영역(230)은 도 4b와 같이 수치지도의 일부 영역을 부분 확대하여 확대창(230a)을 구성하여 복잡한 지역이나 보다 정밀한 수정을 요구하는 경우에 보다 손쉽게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도 4c와 같이, 디지털 도화에서 부분 확대가 필요로 하는 영역이 넓은 경우에는 상기 확대창(230a)을 상하좌우로 이동(230b)되도록 구성하여 넓은 영역에 따른 정밀한 수정 시에도 손쉽게 확대창(230a)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4B, the first screen area 230 in which the numerical map is displayed is partially enlarged to form an enlarged window 230a by partially enlarging a partial region of the numerical map, so that the correction is more easily performed when a complicated area or a more precise correction is required. Let this be done. In addition, as shown in FIG. 4C, when the area requiring partial enlargement is wide in the digital drawing, the enlarged window 230a is moved upwards, downwards, leftwards, and rightwards 230b so that the enlarged window 230a can be easily adjusted even when a precise correction is performed according to a wide area. To be available.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기존 출력도면과의 매칭을 이용한 수치지도의 오차수정 장치의 동작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4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동일한 부재를 지칭한다. Referring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operation of the error correction apparatus of the digital map using the matching with the existing output drawings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FIGS. 1 to 4 refer to the same members performing the same function.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존 출력도면과의 매칭을 이용한 수치지도의 오차수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rror correction method of a digital map using matching with an existing output draw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시스템 서버에서는 수치지도 제작을 위해 국토지리정보원 등에서 제공되는 측량지도, 항공사진, 위성영상 등을 디지타이징(digitizing)이나 스캐닝(scanning)을 통해 도화를 제작하고, 이어 제작된 도화에 표시되는 인공지물과 자연지형에 속성정보 및 위치 좌표값 정보를 삽입하여 파일화된 수치지도를 생성하는데, 이렇게 생성된 수치지도를 이동형 메모리 등을 통해 저장하여 수치지도의 오차수정 장치에 접속한다.Referring to FIG. 5, first, the system server manufactures a drawing through digitizing or scanning a surveying map, aerial photographs, satellite images, etc. provided by the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for digital map production. Generates a filed digital map by inserting attribute information and location coordinate value information into the artificial features and natural terrain displayed in the produced drawings.The digital map is stored through a portable memory, etc., to correct errors in the digital map. Connect to

그리고 이렇게 생성된 수치지도를 종이에 프린트하여, 프린트된 도화의 해당 지역으로 현장조사를 수행하여 수치지도가 생성되는데, 이때, 생성되는 수치지도는 상기 현장조사에서는 실제 장소에 프린트된 도화에 표시된 건물, 도로(포장, 비포장), 철도, 공원, 하천, 산, 논, 밭 등의 다양한 인공지물과 자연지형이 실제로 존재하는지, 또는 실제 장소에 위치하는 인공지물과 자연지형의 크기, 방향, 형태가 도화에도 정확히 표시되어 있는지 등을 직접 확인하고, 다른 부분이 있으면 도화에 수작업으로 직접 수정한다. 아울러, 해당 인공지물 및 자연지형의 상호, 명칭 및 기본정보(건물의 층수, 도로나 하천의 폭 등)등의 속성자료들을 도화의 해당 위치에 일일이 수작업으로 표기한 도화를 말한다.Then, the generated digital map is printed on paper, and a digital map is generated by performing an on-site survey to the corresponding area of the printed drawing. In this case, the generated digital map is a building displayed on the drawing printed on the actual place. Whether there is a variety of artifacts and natural features, such as roads (paved or unpaved), railroads, parks, rivers, mountains, rice fields, or fields, or the size, direction, and shape of the artifacts Check if the drawing is correctly marked, etc., and if there is any other part, modify the drawing manually. In addition, it refers to a drawing that manually displays attribute data such as the name, basic information (such as the number of floors of a building, the width of a road or a river, etc.) of an artificial feature and a natural topography at a corresponding position of the drawing.

이렇게 현장조사를 통해 수치지도에 잘못 묘사된 부분이 표시된 종이에 프린트된 기존 출력도면을 출력도면 삽입부(100)를 통해 투명터치 스크린부(200) 뒷면으로 삽입한다(S100). 이때, 삽입되는 기존 출력도면은 투명터치 스크린부(200)에 표시되는 화면보다 뒷단으로 삽입되게 된다. 그러면, 상기 투명터치 스크린부(200)는 삽입된 기존 출력도면이 전면에서 확인 가능하도록 투과되어 보이게 된다.In this way, through the field survey, the existing output drawing printed on the paper on which the wrong description is displayed on the digital map is inserted into the back of the transparent touch screen unit 200 through the output drawing inserting unit 100 (S100). At this time, the existing output drawing to be inserted is inserted into the rear end than the screen displayed on the transparent touch screen 200. Then, the transparent touch screen unit 200 is transmitted so that the existing output drawing inserted can be seen from the front.

이어 작업자는 입력부(300)를 통해 삽입된 기존 출력도면에 대응되는 수치지도를 선택하고, 아울러 표시되는 수치지도의 비율, 크기 등의 초기정보를 입력한다. 이렇게 입력된 초기정보는 설정부(400)를 통해 설정되어 투명터치 스크린부(200)에 설정된 초기정보에 기반하는 수치지도가 표시된다(S200). 그러면 투명터치 스크린부(200)에 삽입되어 확인되는 기존 출력도면과 투명터치 스크린부(200)상에 표시되는 수치지도는 앞뒤로 서로 겹쳐져서 작업자에게 확인되게 된다.Subsequently, the operator selects the numerical map corresponding to the existing output drawing inserted through the input unit 300, and inputs initial information such as the ratio and size of the displayed numerical map. The initial information input in this way is set through the setting unit 400, and a numerical map based on the initial information set in the transparent touch screen unit 200 is displayed (S200). Then, the existing output drawing inserted into the transparent touch screen unit 200 and the numerical map displayed on the transparent touch screen unit 200 are overlapped with each other back and forth to be confirmed by the operator.

그리고 작업자는 매칭부(600)를 통해 투명터치 스크린부(200)상에 앞뒤로 서로 겹쳐진 수치지도와 기존 출력도면의 미세 조정을 통한 매칭을 수행한다(S300). 이때, 상기 매칭 방법으로는 투명터치 스크린부(200)의 터치 후 터치펜의 상하좌우로의 이동을 통한 수치지도의 전자적 이동을 통한 조정 방법과, 삽입된 기존 출력도면에 물리적인 힘을 가하여 기존 출력도면의 상하좌우로 이동시키는 물리적 이동을 통한 조정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n, the operator performs matching through fine adjustment of the digital map and the existing output drawing, which overlap each other on the transparent touch screen unit 200 back and forth through the matching unit 600 (S300). In this case, the matching method is an electronic method of adjusting the digital map by moving the touch pen up, down, left and right after the touch of the transparent touch screen unit 200, and by applying a physical force to the existing output drawing inserted It can be made by the adjustment method through the physical movement to move up, down, left and right of the output drawing.

이렇게 기존 출력도면과 수치지도가 서로 매칭되어 표시되는 투명터치 스크린부(200)를 이용하여 작업자는 기존 출력도면을 기반으로 투명터치 스크린부(200) 화면에 표시된 수치지도를 터치펜 등의 터치 수단으로 현장조사를 통해 수치지도에 잘못 묘사된 인공지물 및 자연지형과, 각 인공지물과 자연지형의 속정정보들의 수정 등의 정위치 편집 및 구조화 편집을 수행한다(S400).By using the transparent touch screen unit 200 in which the existing output drawings and the numerical map are matched with each other, the operator touches the numerical map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transparent touch screen unit 200 based on the existing output drawings. In-situ editing and structured editing such as correction of artificial features and natural topography that are incorrectly depicted in the digital map, and information on each artifact and natural topography are performed through the field survey (S400).

그리고 정위치 편집 및 구조화 편집을 통해 수정이 완료된 수치지도를 저장부(500)에 저장한다(S500). 이때, 완료된 수치지도의 저장은 투명터치 스크린부(200) 화면에 표시된 터치 아이콘(220)의 선택을 통해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digital map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500 in which the modification is completed through the exact position editing and the structured editing (S500). In this case, the completed numerical map is stored through selection of the touch icon 220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transparent touch screen unit 200.

이때 저장된 수치지도는 이동 저장장치 등을 통해 시스템 서버로 제공되고, 이는 국토지리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수치지도를 제작 및 인쇄하여 수치지도 제작을 요청한 국토지리정보원에 제공한다. 이때 상기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은 구조화 편집된 도면을 정의된 형태로 변경시키는 프로그램으로 이는 통상적으로 국토지리정보원에서 제공하는 공지된 프로그램을 그대로 이용하고 있다.
At this time, the stored digital map is provided to the system server through a mobile storage device, etc., which produces and prints a digital map using a software program provided by the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and provides it to the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requesting the digital map production. In this case, the software program is a program for changing a structured edited drawing into a defined form, which generally uses a known program provided by the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Although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in a preferred embodiment, it should be note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s for the purpose of description and not of limitation. In addi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embodiment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Claims (4)

(A) 측량지도, 항공사진, 위성영상을 디지타이징(digitizing)이나 스캐닝(scanning)을 통해 도화를 제작하고, 이어 제작된 도화에 표시되는 인공지물과 자연지형에 속성정보 및 위치 좌표값 정보를 삽입하여 파일화된 수치지도를 생성하고, 상기 수치지도 및 도화에 표시되는 인공지물과 자연지형의 속성정보 및 위치 좌표값 정보를 이동형 메모리의 저장부에 저장하여 접속하는 단계와,
(B) 상기 생성된 수치지도를 종이에 프린트하여, 프린트된 도면의 해당 지역으로 현장조사를 통해 수치지도에 잘못 묘사된 부분이 표시된 기존 출력도면을 출력도면 삽입부를 통해 투명터치 스크린부로 삽입하여 투명터치 스크린부의 전면에 삽입된 기존 출력도면이 투과되어 확인되도록 하는 단계와,
(C) 상기 삽입된 기존 출력도면에 대응되는 수치지도의 선택 및 수치지도의 비율, 크기를 포함하는 초기정보를 입력받아 수치지도의 종류, 비율, 크기를 설정하고, 설정된 수치지도를 투명터치 스크린부에 표시하는 단계와,
(D) 상기 투명터치 스크린부에 삽입되어 확인되는 기존 출력도면과 투명터치 스크린부에 표시되는 수치지도의 앞뒤로 서로 겹쳐진 위치를 기존 출력도면 또는 수치지도를 상하좌우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이용시켜 매칭시키는 단계와,
(E) 상기 투명터치 스크린부에 투과되어 보이는 기존 출력도면을 기반으로 투명터치 스크린부에 표시되는 수치지도를 투명터치 스크린부의 터치를 통한 정위치 편집 및 구조화 편집의 수정된 수치지도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존 출력도면과의 매칭을 이용한 수치지도의 오차수정 방법.
(A) Drawings are made by digitizing or scanning survey maps, aerial photographs, and satellite images, and then inserting attribute information and position coordinate values into artificial and natural features displayed on the produced drawings. Generating a filed digital map, and storing and connecting attribute information and position coordinate value information of the artificial feature, the natural topography displayed on the digital map and the drawing to a storage unit of the mobile memory;
(B) printing the generated numerical map on paper, and inserting an existing output drawing in which a portion incorrectly depicted on the numerical map by field survey into the corresponding area of the printed drawing is inserted into the transparent touch screen part through the output drawing insert part Allowing the existing output drawings inserted in the front of the touch screen unit to be transmitted and checked;
(C) receiving the initial information including the selection of the digital map corresponding to the inserted existing output drawing and the ratio and size of the digital map, setting the type, ratio, and size of the digital map; Marking the wealth,
(D) Matching an existing output drawing inserted into the transparent touch screen unit and a position overlapped with each other before and after the numerical map displayed on the transparent touch screen by using the existing output drawing or the numerical map in at least one of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Making a step,
(E) The digital display of the numerical value displayed on the transparent touch screen on the basis of the existing output drawing transmitted through the transparent touch screen unit, the modified numerical map of in-situ editing and structured editing through the touch of the transparent touch screen unit; Error correction method of the digital map using the matching with the existing output drawing,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ing the step of storing i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삽입되는 기존 출력도면이 투명터치 스크린부에 표시되는 수치지도보다 뒷단으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C) 단계는 표시된 수치지도의 인공지물 및 자연지형, 이에 따른 속성자료들, 그리고 대상의 점, 선, 면 형태화의 수정, 삭제 및 미리 정의되는 지형지물 전자식별자들의 삽입을 위한 그리기 도구상자를 더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D) 단계는 투명터치 스크린부의 터치 후 터치펜의 상하좌우로의 이동을 통한 수치지도를 전자적으로 이동시키거나, 또는 삽입된 기존 출력도면에 물리적인 힘을 가하여 기존 출력도면을 물리적으로 상하좌우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존 출력도면과의 매칭을 이용한 수치지도의 오차수정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Step (B)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existing output drawing to be inserted is inserted into the rear end than the numerical map displayed on the transparent touch screen,
Step (C) is a drawing tool for modifying, deleting, and inserting predefined feature electronic identifiers of artificial and natural features of the displayed digital map, attribute data, and point, line, and surface of the object. Characterized by displaying more boxes,
In the step (D), the digital map is moved electronically by moving the touch pen up, down, left, and right after touching the transparent touch screen unit, or by applying a physical force to the inserted existing output drawing to physically move the existing output drawing up and down. Error correction method of numerical map using matching with existing output drawings, characterized in that to move left and righ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의 정위치 편집 및 구조화 편집에서
상기 투명터치 스크린부에 표시되는 수치지도의 일부 영역을 확대창을 통해 부분 확대하여 표시하는 단계와,
작업자의 선택에 의해 상기 확대창을 수치지도의 영역을 기반으로 상하좌우로 이동되면서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존 출력도면과의 매칭을 이용한 수치지도의 오차수정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in the in-place editing and structured editing of step (E),
Partially magnifying and displaying a portion of the numerical map displayed on the transparent touch screen through an enlarged window;
And displaying the enlarged window while moving up, down, left, and right based on the area of the digital map by the operator's selec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투명터치 스크린부에서 표시되는 수치지도의 점, 선, 면의 색상을 임의의 색으로 변경되도록 설정하고,
상기 (E) 단계에서 상기 정위치 편집 및 구조화 편집되어 수정된 부분을 임의의 색으로 변경되도록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존 출력도면과의 매칭을 이용한 수치지도의 오차수정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In step (C), the color of the point, line, or surface of the numerical map displayed on the transparent touch screen unit is set to be changed to an arbitrary color,
The method of correcting the error of the numerical map using the matching with the existing output drawing, characterized in that in the step (E) the position editing and structured edited edited set to change to any color.
KR1020110037524A 2011-04-21 2011-04-21 Error compensation method digital map using matching with output draft KR10107525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7524A KR101075256B1 (en) 2011-04-21 2011-04-21 Error compensation method digital map using matching with output draf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7524A KR101075256B1 (en) 2011-04-21 2011-04-21 Error compensation method digital map using matching with output draf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75256B1 true KR101075256B1 (en) 2011-10-19

Family

ID=450331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7524A KR101075256B1 (en) 2011-04-21 2011-04-21 Error compensation method digital map using matching with output draf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5256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3413B1 (en) * 2012-08-24 2013-02-15 권광석 Nautical chart editing device
KR101331536B1 (en) 2013-08-26 2013-11-20 (주)그린공간정보 Digital map making system
KR101834905B1 (en) 2017-09-29 2018-04-13 주흘이엔지 주식회사 System amending the digital map for precision improvement based on gi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3367B1 (en) 2009-06-10 2009-08-20 (유)대산이앤씨 Numerical data update system
KR100929044B1 (en) 2009-06-10 2009-11-27 이경주 Method to modify a numerical map and an image drawing
KR100942278B1 (en) 2009-10-16 2010-02-17 (주)새한지오텍 Photoflight syste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3367B1 (en) 2009-06-10 2009-08-20 (유)대산이앤씨 Numerical data update system
KR100929044B1 (en) 2009-06-10 2009-11-27 이경주 Method to modify a numerical map and an image drawing
KR100942278B1 (en) 2009-10-16 2010-02-17 (주)새한지오텍 Photoflight system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3413B1 (en) * 2012-08-24 2013-02-15 권광석 Nautical chart editing device
KR101331536B1 (en) 2013-08-26 2013-11-20 (주)그린공간정보 Digital map making system
KR101834905B1 (en) 2017-09-29 2018-04-13 주흘이엔지 주식회사 System amending the digital map for precision improvement based on gi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1967B1 (en) Method for generating digital map using electronic digital drawing
Jaselskis et al. Improving transportation projects using laser scanning
KR101226085B1 (en) Updating system for numerical map comparing the geographic information
Paczkowski et al. Insitu: sketching architectural designs in context.
CN103150328B (en) A kind of integrated approach utilizing data base's autodraft
KR101347248B1 (en) Drawing image processing system controling a datum point based on gps information
CN106940187B (en) Navigation method and system for mine ground rapid inspection
CN109426690A (en) Generate the method, apparatus and equipment of the Visualization Model layout in space
KR101075256B1 (en) Error compensation method digital map using matching with output draft
KR101023836B1 (en) System for generating digital map
KR101020170B1 (en) Apparatus and method of field inspection for generating digital map
KR100732915B1 (en) Method for three-dimensional determining of basic design road route using digital photommetry and satellite image
KR101075254B1 (en) Error compensation apparatus digital map using matching with output draft and method of the same
CN113223164A (en) Large-terrain data batch processing method
Bryan et al. Cost-effective rock-art recording within a non-specialist environment
KR101075255B1 (en) Error compensation device of digital map using matching with output draft
KR101205856B1 (en) Method for generating a road alignment
JP3313679B2 (en) Bird's eye and driving simulation system and recording medium
JP7242370B2 (en) Underground object management system
KR100549513B1 (en) Method for producing picture drawing of gis using digital photogrammetry and design drawing
JP3789396B2 (en) Three-dimensional modeling method and three-dimensional modeling program for ground-set type objects such as wave-dissipating block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recording the program
JP3535597B2 (en) Graphic processing unit
JP4630528B2 (en) Spatio-temporal data management device
CN103674014A (en) Positioning method and device for natural gas well
KR101344443B1 (en) Gis attribute data composition digital map mak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