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5178B1 - 복합파일용 연결 조인트 - Google Patents

복합파일용 연결 조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5178B1
KR101075178B1 KR1020090035042A KR20090035042A KR101075178B1 KR 101075178 B1 KR101075178 B1 KR 101075178B1 KR 1020090035042 A KR1020090035042 A KR 1020090035042A KR 20090035042 A KR20090035042 A KR 20090035042A KR 101075178 B1 KR101075178 B1 KR 1010751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pile
connection joint
steel wire
steel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50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16371A (ko
Inventor
이주열
Original Assignee
(주)전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전호 filed Critical (주)전호
Priority to KR10200900350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5178B1/ko
Publication of KR201001163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63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51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51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24Prefabricated piles
    • E02D5/28Prefabricated piles made of steel or other metals
    • E02D5/285Prefabricated piles made of steel or other metals tubular, e.g. prefabricated from sheet pile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24Prefabricated piles
    • E02D5/30Prefabricated piles made of concrete or reinforced concrete or made of steel and concret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52Piles composed of separable parts, e.g. telescopic tubes ; Piles composed of segments
    • E02D5/523Piles composed of separable parts, e.g. telescopic tubes ; Piles composed of segments composed of segments
    • E02D5/526Connection means between pile seg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54Piles with prefabricated supports or anchoring parts; Anchoring p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0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concrete, e.g. reinforced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 E04B1/21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합파일용 연결 조인트에 관한 것으로, 콘크리트 파일을 매설하고 구조물을 세우기 위해 상기 콘크리트 파일에 강관파일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 조인트에 있어서, 중앙으로 중공부를 가지며, 상기 콘크리트 파일의 선단에 접하여 고정되는 제 1플레이트, 상기 제 1플레이트에 형성되며, 콘크리트 파일 제작 시 길이방향으로 내부에 매설되는 강선의 끝단을 고정하기 위해 구비되는 강성공, 상기 제 1플레이트에 수직하게 가장자리를 감싸도록 구비되는 제 2플레이트 및 상기 제 1플레이트와 제 2플레이트에 각각 접하며, 소정간격을 두고 다수개 구비되는 리브가 구비되도록 주형틀을 구비하고, 설계된 함유량을 가지는 용융금속을 상기 주형틀에 주입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복합파일용 연결 조인트는 주조공법을 통해 일체로 형성됨에 따라 제조공정을 간소화하여 생산비용 절감을 도모할 수 있고, 콘크리트 파일 제조 시 일체로 결합됨으로 강관파일 접합 시 용이하게 작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콘크리트, 강관, 연결, 파일, 주조

Description

복합파일용 연결 조인트{Joint for connecting a Complex pile}
본 발명은 복합파일용 연결 조인트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파일을 지지층에 박아 넣고 그에 상부측으로 결합되는 강관파일을 연결할 때 적용하는 복합파일용 연결 조인트에 관한 것이다.
파일기초는 지지층 심도가 깊은 경우에 채용되는 기초형식의 하나로서, 상기 지지층까지 박아넣은 파일 위에 상부 구조물을 구축함으로서 구조물의 중량을 지지층에서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파일기초에 이용하는 파일으로는 콘크리트 파일, 강관파일, 합성파일이 이용되고 있다. 콘크리트 파일은 RC파일, PHC파일, PC파일 등을 말하는 것으로서 파일 자체의 선단부가 폐쇄되어 선단지지력이 높은 장점이 있으며, 자재비가 강관파일에 비해 2~3배정도 저렴하여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부하중이 기초에 작용될 경우 가장 큰 전단력, 휨모멘트 및 축력이 파일상부에 가해지는데 콘크리트 파일은 전단력 및 모멘트에 대한 저항력이 적어 파일 수의 증가로 공사비의 증가가 불가피한 문제점이 있다.
한편, 강관파일은 파일재질이 균일하여 파일의 전 길이에 걸쳐 하중에 대한 저항력이 균일하며 특히 휨모멘트 및 전단력에 대한 저항력이 우수하다. 더욱이 지중으로의 관입을 종료한 후 지표면 위로 돌출되는 파일의 여유분을 절단하여 재사용할 수 있게 됨으로써 자재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다. 그러나 강관파일은 자재비가 일반적인 콘크리트 파일에 비하여 2~3배 정도 고가여서 시공비가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콘크리트 파일과 강관파일의 장점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파일의 상단부에 연결판을 매입하고 강관을 용접 연결한 합성파일이 제공되어 있다.
즉 합성파일은 파일 하부는 선단지지력이 우수하면서 자재비가 저렴한 콘크리트 파일을 사용하고 모멘트 및 전단력이 크게 작용하는 파일 상부는 그것들에 대한 저항력이 수한 강관파일을 연결함으로써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합성파일(10)을 항타하여 지중(G)에 박아 넣을 때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관파일(13)의 상단에 걸려지도록 대항블록(14)을 결합한 상태에서 대항블록(104)을 대형해머(15)로 항타하는 것에 의해 합성파일(10)을 지중(G)에 박아 넣는다.
상기와 같은 종래 합성파일(10)의 항타 시공의 경우 강관파일(13)에 발생되는 응력이 강관파일 항복응력의 90% 정도인 2160㎏/㎠ 까지 상승하는데, 이러한 응 력에 의해 발생된 큰 압축력이 연결판(12)을 통하여 직하부의 기성 콘크리트 파일(11) 상단부에 응력집중을 발생시킴으로써 기성 콘크리트 파일(11)의 두부 파손을 유발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두부파손은 시공 중 검측하기 힘들어 구조물 완공 후 구조물의 손상을 유발함은 물론 두부파손 시 합성파일 전체를 재시공함으로써 공사비의 증가가 불가피한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콘크리트 파일과 이 상단부에 연결되는 강관파일을 용이하게 결합하기 위하여 일체로 제작되는 연결 조인트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항타 시공 과정에서 발생되는 외력에 효과적으로 대응하여 파손이나 변형을 최소화될 수 있는 연결 조인트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콘크리트 파일을 매설하고 구조물을 세우기 위해 상기 콘크리트 파일에 강관파일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 조인트에 있어서, 중앙으로 중공부를 가지며, 상기 콘크리트 파일의 선단에 접하여 고정되는 제 1플레이트, 상기 제 1플레이트에 형성되며, 콘크리트 파일 제작 시 길이방향으로 내부에 매설되는 강선의 끝단을 고정하기 위해 구비되는 강성공, 상기 제 1플레이트에 수직하게 가장자리를 감싸도록 구비되는 제 2플레이트 및 상기 제 1플레이트와 제 2플레이트에 각각 접하며, 소정간격을 두고 다수개 구비되는 리브가 구비되도록 주형틀을 구비하고, 설계된 함유량을 가지는 용융금속을 상기 주형틀에 주입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2플레이트는, 외부 강관파일과 연결 시 강관파일의 내측면과 결합되도록 구비되는 결합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강성공은, 이웃하게 위치하여 서로 연통되고, 강선을 상기 강성공에 위치시키기 위해 강선공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강선보조공을 구비하여 상기 강선보조공을 강선을 삽입한 후 상기 강선공으로 이동시켜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플레이트는, 상기 콘크리트 파일에 접하며 일정 높이 돌출된 강성띠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플레이트는, 상기 강성띠의 내외측으로 소정깊이 요홈 형성된 내/외측홈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2플레이트는, 하부측으로 일정두께로 형성되어 제 1플레이트와 일체로 형성되는 제 1보강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리브는, 하부측으로 양측에 일정두께로 형성되어 제 1플레이트와 일체로 형성되는 제 2보강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콘크리트 파일을 매설하고 구조물을 세우기 위해 상기 콘크리트 파일에 강관파일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 조인트에 있어서, 중앙으로 중공부를 가지며, 상기 콘크리트 파일의 선단에 접하여 고정되는 제 1플레이트, 상기 제 1플레이트에 형성되며, 콘크리트 파일 제작 시 길이방향으로 내부에 매설되는 강선의 끝단을 고정하기 위해 구비되는 강성공, 상기 제 1플레이트에 수직하게 가장자리를 감싸도록 구비되는 제 2플레이트 및 상기 제 1플레이트와 제 2플레이트에 각각 접하며, 소정간격을 두고 다수개 구비되는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 2플레이트와 상기 리브의 상부면은 높이차를 가지며 상부로 연결되는 강관파일의 내측면으로 결합가이드가 구비되어 상기 리브의 상부면에 접하도록 위치하되 결합가이드의 외측면이 제 2플레이트의 내측면과 접하며, 상기 강관파일과 제 2플레이트가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마주하고 이 간격을 통해 용접시켜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발명은 콘크리트 파일 제조 시 적용되는 강선을 결합할 수 있는 일체형 구조와 콘크리트 파일 상부측으로 연결되는 강관파일을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주조 공법을 통해 일체로 제작함에 따라 제작 공정이 매우 간소하여 생산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으며, 외력에 보다 강하게 대응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제 2플레이트에 형성된 결합부를 통해 상부에 연결되는 강관파일을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어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복합파일용 연결 조인트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파일용 연결 조인트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파일용 연결 조인트의 저면도, 도 4는 도 3의 A-A'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도 3의 B-B'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파일용 연결 조인트 의 강선공을 나타낸 상세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파일용 연결 조인트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파일용 연결 조인트의 다른 실시예로 제 2플레이트를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로 리브를 나타낸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파일용 연결 조인트의 결합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로 강관 파일을 연결하기 위해 제 2플레이트와 리브의 형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파일용 연결 조인트의 설치예를 나타낸 단면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파일용 연결 조인트의 제조 과정을 설명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파일용 연결 조인트(100)는, 중앙으로 중공을 가지며, 상기 콘크리트 파일의 선단에 접하여 연결되는 제 1플레이트(110)와, 상기 제 1플레이트에 형성되며, 콘크리트 파일 제작 시 길이방향으로 내부에 매설되는 강선의 끝단을 고정하기 위해 구비되는 강성공(120)과, 상기 제 1플레이트에 수직하게 가장자리를 감싸도록 구비되는 제 2플레이트(130) 및 상기 제 1플레이트와 제 2플레이트에 각각 접하며, 소정간격을 두고 다수개 구비되는 리브(140)가 구비되도록 주형틀을 구비하고, 설계된 함유량을 가지는 용융금속을 상기 주형틀에 주입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플레이트(110)는 중앙으로 중공부(111)가 형성되는 금속 재질의 판재 형 상을 가지는 것으로, 콘크리트 파일 구조물의 중공을 제외한 나머지 면에 접하여 고정되고 상기 중공부는 콘크리트 파일의 중공에 대응한다.
또한, 상기 제 1플레이트 상에는 중간부분에 그 면을 따라 강선공(120)과 강선보조공(121)이 다수개 원형 배열되어 구비된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파일용 연결 조인트는, 중공 콘크리트구조물(A) 일단에 일체로 형성되되, 콘크리트 파일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매설되는 강선의 양단을 지지시키도록 구비되는데, 강선을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강선공(120)을 구비한다.
상기 강선공과 강선보조공은 이웃하여 위치되고 서로 연통된다. 강선을 상기 강선공(120)에 고정시킬 때 강선보조공으로 위치시켰다가 강선공으로 이동시켜 강성을 고정시킨다. 강선보조공이 강선공보다 직경이 크고 서로 연통되어 있기 때문에 강선의 매설 시 보조공을 이용한다.
한편, 상기 강선공과 강선보조공이 형성된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 두께만큼 돌출된 돌출부(122)가 형성된다. 상기 제 1플레이트의 중공부는 중공 콘크리트 구조물 내부의 중공과 연통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가 형성된 면으로는 콘크리트 구조물과 접촉되면 면을 말한다.
상기 돌출부(122)가 일정한 두께만큼 돌출되는 이유는 돌출부에 강선을 고정시킨 후 콘크리트 구조물 양단의 플레이트가 강선의 양단을 지속적으로 지지시키기 위함이다.
도넛형의 플레이트 중심을 기준으로 배열된 돌출부는 돌출부의 길이방향이 접선방향에 대해 평행하게 원형으로 배열된다. 복수의 돌출부는 일정한 간격을 두 고 형성되며, 이는 돌출부에 강선이 고정될 시 플레이트에서 돌출부가 강선을 균등하게 지지시키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돌출부(122)와 돌출부 사이에 강성띠(150)가 연결되어 돌출부에 고정되는 콘크리트 파일에 매입된 강선에 대한 제 1플레이트의 강성을 강화시킨다. 여기서 강성은 변형에 대해 저항하는 성질이다. 제 1플레이트 상에서 돌출부가 강성공에 대응하게 형성되고, 각각의 돌출부 사이에 강성띠가 플레이트 자체의 부분원형으로 연결된다. 복수의 돌출부와 강성띠는 원형의 플레이트 중간부위에 완전 원형을 이루게 되는 것이다.
그리하여 콘크리트 파일의 내부에 매설되는 강선을 플랜지가 지지시키되, 1차적으로 돌출부에 의해 지지되고 2차적으로 강성띠에 의해 지지된다. 돌출부의 길이방향 양측에는 강성띠가 형성되므로 강선에 대한 돌출부의 지지력을 보강시켜 준다.
더불어 원형을 이루고 돌출부와 강성띠의 안쪽과 바깥쪽으로는 내/외측홈(112)이 요홈 형성된다. 이때 상기 내/외측홈도 제 1플레이트 상에서 원형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 1플레이트 상에서 돌출부의 강성을 강화시킬 수 있는 강성띠의 최소 부분만 남기고 강성띠의 양측에 내/외측홈이 형성되는데, 돌출부의 폭이 강성띠의 폭보다 크므로 돌출부의 양측에 요홈되는 내/외측홈의 폭은 강성띠의 양측에 요홈되는 내/외측홈의 폭보다 작다.
제 1플레이트에 돌출부가 형성되는 면은 콘크리트 구조물과 접하는 면으로 써, 콘크리트의 양단부를 마감하면서 내부의 강선을 지지시키는 역할을 하므로 기능상 필요한 두께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내/외측홈이 형성되는 면도 콘크리트 구조물과 접하는 면으로 홈 내측으로 콘크리트가 충진된다.
제 2플레이트(130)는 상기 제 1플레이트의 외주면을 감싸면서 수직하게 고정된다. 이는 콘크리트 파일 상부면으로 연결되는 강관파일과 접합하여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원통형으로 상기 제 1플레이트(110)를 감싸도록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 2플레이트는 결합될 강관파일의 직경과 동일하게 구비되어 강관파일과 정확하게 마주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 2플레이트(13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하중에 대한 보강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제 1플레이트와 지지되도록 제 1보강부(131)가 일정두께로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 1보강부는 하부측으로 점점 두꺼워지는 형태는 가지며 일체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 1플레이트와 제 2플레이트에는 수직 강성을 보강하기 위하여 리브(140)가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개 고정되어 연결 조인트의 변형률이나, 인장력, 하중 지지력을 높여준다.
상기 리브(140)는 제 1, 2플레이트와 동일한 소재로 형성되며, 일측면은 제 1플레이트에 접하고 타측면은 제 2플레이트에 접하며, 나머지 면은 연결 조인트의 내측으로 노출되는 즉, 내측으로 테이퍼지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리브의 하단 양측으로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두께의 제 2보강부(141)가 형성되어 제 1플레이트에 지지되도록 구비되어 리브에 가해지는 하중 지지력을 보강시킨다. 이때 상기 제 2보강부도 제 1보강부와 마찬가지로 하부측으로 점점 두꺼워지는 형태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연결 조인트와 일체로 형성된다.
한편, 제 2플레이트의 끝단으로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높이 돌출된 결합부(132)를 더 구비한다. 상기 결합부(132)는 연결 조인트에 결합된 콘크리트 파일의 상측으로 강관파일을 고정하기 위해 구비되는데, 이때 강관파일을 용이하게 결합시킨 후 용접 고정하기 위하여 강관파일의 내경과 대응하도록 구비하여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상기 결합부(132)는 제 2플레이트에서 연장 형성되는 것으로, 제 2플레이트 두께보다 얇게 형성된다. 상기 연결 조인트(100)에 고정된 강관파일은 용접(welding)을 통해 고정시킨다.
이에 다른 실시예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플레이트와 리브는 일정높이의 높이차를 가지고 구비되며, 상부에 연결되는 강관파일의 내측면으로 내경에 대응하도록 소정길이의 결합가이드(200)를 별도로 고정 구비시키고 이를 통해 강관파일에 용이하게 결합한다. 즉, 강관파일은 상기 제 2플레이트와 마주하며, 결합가이드는 제 2플레이트 보다 높이가 낮은 리브 상부면과 접하게 되고, 소정간격 이격된 제 2플레이트와 강관파일 사이로 용접을 실시하여 고정시킨다. 또한, 상기 결합가이드는 강관파일 제작 시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복합파일용 연결 조인트(100)의 제 1플레이트, 강성공, 돌출부, 제 2플레이트, 리브 및 강성띠를 주조 공법에 의해 일체로 형성시키는 것을 주요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각 구성요소들을 형성될 수 있도록 몰드를 제작한 후 연결 조인트 제작을 위해 설계된 금속 함유량 을 배합하여 몰드에 주입한다. 설계된 용융금속의 대부분은 철(Fe)로 구성될 수 있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강도, 경도, 인장력 등 향상을 위해 합금 설계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일실시예로 본 발명의 연결 조인트 합금 설계로 탄소(C) 0.20 ~ 0.30, 규소(Si) 0.30 ~ 0.60, 망간(Mn) 1.00 ~ 1.60, 인(P) 0.04 이하, 황(S) 0.04 이하로 설계하여 주조한다.
주조공정을 용이하게 달성하기 위해 앞서 설명한 제 2플레이트, 리브, 결합부를 테이퍼지게 가공하여 응고 후 주형틀 제거를 용이하게 달성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연결 조인트는 콘크리트 파일 제조 시 콘크리트 파일 일단으로 연결 조인트를 위치시킨 후 내부에 삽입되는 강선을 상기 강선공을 통해 고정시켜 콘크리트 파일을 응고시킨다. 그리고 추가적으로 콘크리트 파일의 일단에 고정된 연결 조인트를 보강하기 위하여 보강밴드(170)를 콘크리트 끝단에 감아 고정시킨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주조공법을 통해 복합파일 연결 조인트를 일체로 제작함에 따라 가공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으며, 보다 안정적인 구조체를 달성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 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콘크리트 파일의 연결 조인트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파일용 연결 조인트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파일용 연결 조인트의 저면도,
도 4는 도 3의 A-A'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도 3의 B-B'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파일용 연결 조인트의 강선공을 나타낸 상세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파일용 연결 조인트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파일용 연결 조인트의 다른 실시예로 제 2플레이트를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로 리브를 나타낸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파일용 연결 조인트의 결합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로 강관 파일을 연결하기 위해 제 2플레이트와 리브의 형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파일용 연결 조인트의 설치예를 나타낸 단면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파일용 연결 조인트의 제조 과정을 설명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연결 조인트 110 : 제 1플레이트
111 : 중공부 112 : 내/외측홈
120 : 강성공 121 : 강성보조공
122 : 돌출부 130 : 제 2플레이트
131 : 제 1보강부 132 : 결합부
140 : 리브 141 : 제 2보강부
150 : 강성띠 170 : 보강밴드
200 : 결합가이드

Claims (10)

  1. 콘크리트 파일을 매설하고 구조물을 세우기 위해 상기 콘크리트 파일에 강관파일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 조인트에 있어서,
    중앙으로 중공부를 가지며, 상기 콘크리트 파일의 선단에 접하여 고정되는 제 1플레이트;
    상기 제 1플레이트에 형성되며, 콘크리트 파일 제작 시 길이방향으로 내부에 매설되는 강선의 끝단을 고정하기 위해 구비되는 강성공;
    상기 제 1플레이트에 수직하게 가장자리를 감싸도록 구비되는 제 2플레이트; 및
    상기 제 1플레이트와 제 2플레이트에 각각 접하며, 소정간격을 두고 다수개 구비되는 리브;가 구비되도록 주형틀을 구비하고, 설계된 함유량을 가지는 용융금속을 상기 주형틀에 주입하여 형성되며,
    상기 제 1플레이트는 상기 콘크리트 파일에 접하며 일정 높이 돌출된 강성띠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파일용 연결 조인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플레이트는,
    외부 강관파일과 연결 시 강관파일의 내측면과 결합되도록 구비되는 결합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파일용 연결 조인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강성공은,
    이웃하게 위치하여 서로 연통되고, 강선을 상기 강성공에 위치시키기 위해 강선공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강선보조공을 구비하여 상기 강선보조공을 강선을 삽입한 후 상기 강선공으로 이동시켜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파일용 연결 조인트.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플레이트는,
    상기 강성띠의 내외측으로 소정깊이 요홈 형성된 내/외측홈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파일용 연결 조인트.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플레이트는,
    하부측으로 일정두께로 형성되어 제 1플레이트와 일체로 형성되는 제 1보강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파일용 연결 조인트.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는,
    하부측으로 양측에 일정두께로 형성되어 제 1플레이트와 일체로 형성되는 제 2보강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파일용 연결 조인트.
  8. 콘크리트 파일을 매설하고 구조물을 세우기 위해 상기 콘크리트 파일에 강관파일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 조인트에 있어서,
    중앙으로 중공부를 가지며, 상기 콘크리트 파일의 선단에 접하여 고정되는 제 1플레이트;
    상기 제 1플레이트에 형성되며, 콘크리트 파일 제작 시 길이방향으로 내부에 매설되는 강선의 끝단을 고정하기 위해 구비되는 강성공;
    상기 제 1플레이트에 수직하게 가장자리를 감싸도록 구비되는 제 2플레이트; 및
    상기 제 1플레이트와 제 2플레이트에 각각 접하며, 소정간격을 두고 다수개 구비되는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 2플레이트와 상기 리브의 상부면은 높이차를 가지며 상부로 연결되는 강관파일의 내측면으로 결합가이드가 구비되어 상기 리브의 상부면에 접하도록 위치하되 결합가이드의 외측면이 제 2플레이트의 내측면과 접하며, 상기 강관파일과 제 2플레이트가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마주하고 이 간격을 통해 용접시켜 고정하고,
    상기 제 1플레이트는 상기 콘크리트 파일에 접하며 일정 높이 돌출된 강성띠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파일용 연결 조인트.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2플레이트는,
    하부측으로 일정두께로 형성되어 제 1플레이트와 일체로 형성되는 제 1보강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파일용 연결 조인트.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는,
    하부측으로 양측에 일정두께로 형성되어 제 1플레이트와 일체로 형성되는 제 2보강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파일용 연결 조인트.
KR1020090035042A 2009-04-22 2009-04-22 복합파일용 연결 조인트 KR1010751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5042A KR101075178B1 (ko) 2009-04-22 2009-04-22 복합파일용 연결 조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5042A KR101075178B1 (ko) 2009-04-22 2009-04-22 복합파일용 연결 조인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6371A KR20100116371A (ko) 2010-11-01
KR101075178B1 true KR101075178B1 (ko) 2011-10-21

Family

ID=434033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5042A KR101075178B1 (ko) 2009-04-22 2009-04-22 복합파일용 연결 조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517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90388B (zh) * 2015-05-05 2016-10-05 中淳高科桩业股份有限公司 一种预制桩机械连接结构及其连接方法
CN105697974A (zh) * 2016-01-29 2016-06-22 芜湖市海联机械设备有限公司 一种带直槽的端板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42623A (ja) * 2000-03-29 2001-12-14 Osaka Gas Co Ltd 鋼管杭とコンクリート杭との連結継手、鋼管杭とコンクリート杭との連結杭構造、鋼管杭とコンクリート杭との連結杭の施工方法
KR100798647B1 (ko) * 2007-06-15 2008-01-28 교 탁 부 말뚝 이음장치
KR100803658B1 (ko) * 2007-04-04 2008-02-19 (주) 포유엔지니어링 복합파일용 콘크리트 파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42623A (ja) * 2000-03-29 2001-12-14 Osaka Gas Co Ltd 鋼管杭とコンクリート杭との連結継手、鋼管杭とコンクリート杭との連結杭構造、鋼管杭とコンクリート杭との連結杭の施工方法
KR100803658B1 (ko) * 2007-04-04 2008-02-19 (주) 포유엔지니어링 복합파일용 콘크리트 파일
KR100798647B1 (ko) * 2007-06-15 2008-01-28 교 탁 부 말뚝 이음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6371A (ko) 2010-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66862B2 (en) Large scale concrete girder using UHPC member as form and structural element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KR20140021277A (ko) Src 기둥용 중공 pc합성기둥 및 이를 이용한 src구조
KR200441567Y1 (ko) 프리스트레스 고강도 콘크리트 말뚝과 강관 말뚝의 일체로결합되어 구성된 복합 말뚝
JP5056911B2 (ja) 基礎杭構造およびsc杭
KR101202063B1 (ko) 조립식 격자지보
KR101075178B1 (ko) 복합파일용 연결 조인트
CN201952718U (zh) 波形钢腹板与混凝土板的抗剪连接件
KR102069419B1 (ko) 내부가 강관으로 보강된 복합말뚝
KR101043027B1 (ko) 합성 파일 및 합성 파일 제조방법
KR20140110491A (ko) 안장형 띠철근과 이중 대근을 이용한 hpc기둥의 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862622B1 (ko) Phc 파일
KR100480018B1 (ko) 콘크리트 말뚝용 헤드커버 및 그를 이용한 말뚝 기초구조물의 시공방법
KR100768792B1 (ko) 중공 콘크리트구조물용 플랜지 제조방법
CN211646964U (zh) 一种强化型梁体组合结构
JP6590571B2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梁端部の接合構造及び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梁柱架構
JP2013221372A (ja) 鉄筋の継ぎ手構造及び橋脚の補強方法
KR100469840B1 (ko) 철골구조를 이용한 충복식 아치교 및 시공방법
KR101211763B1 (ko) 조립식 강지보의 결합구조
RU76028U1 (ru) Ограждающий геотехнический железобетонный элемент
KR20140143013A (ko) 피에이치씨파일과 강관파일로 구성된 복합파일
KR20150066295A (ko) 분절형 블록 조립체를 이용한 횡단 구조물의 지지보강 방법
JP4626562B2 (ja) 基礎杭構造およびsc杭
CN218813244U (zh) 一种顶板现浇带免底模施工的两构件装配式箱涵
CN218990191U (zh) 端部加强的u形混凝土板桩
CN215857669U (zh) 一种带有钢芯的预应力混凝土管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