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5144B1 - 블로워 레지스터 - Google Patents

블로워 레지스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5144B1
KR101075144B1 KR1020100018830A KR20100018830A KR101075144B1 KR 101075144 B1 KR101075144 B1 KR 101075144B1 KR 1020100018830 A KR1020100018830 A KR 1020100018830A KR 20100018830 A KR20100018830 A KR 20100018830A KR 101075144 B1 KR101075144 B1 KR 1010751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member
cover plate
resistance
fuse
si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88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99856A (ko
Inventor
이규화
Original Assignee
동아전기부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아전기부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아전기부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188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5144B1/ko
Publication of KR201100998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98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51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51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CRESISTORS
    • H01C1/00Details
    • H01C1/02Housing; Enclosing; Embedding; Filling the housing or enclo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21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ventilating, air admitting or air distributing devices
    • B60H1/00828Ventilators, e.g. speed contro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CRESISTORS
    • H01C1/00Details
    • H01C1/14Terminals or tapping points or electrodes specially adapted for resistors; Arrangements of terminals or tapping points or electrodes on resis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4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 H01H85/041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characterised by the type
    • H01H85/048Fuse resis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pparatuses And Processes For Manufacturing Resistors (AREA)
  • Details Of Resis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로워 레지스터에 관한 것으로 제 1 커버 판부재의 측면에 커넥터 본체부재를 결합시켜 조립하는 측면 결합 편이 구비되어 조립 방향을 자유롭게 선택하여 조립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커버의 조립부 형상으로 조립이 가능하도록 하여 커버 제조 시 재료의 손실을 줄이고, 제조 공정을 단순화하여 제조 원가를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조립 시 조립 방향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어 저항의 밀림 현상으로 인한 불량을 방지하며 조립 자유도를 높여 제품의 형상을 다양하게 디자인하고 설계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블로워 레지스터{Blower resistor}
본 발명은 블로워 레지스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블로워 레지스터의 조립 구조를 단순화하고, 조립의 자유도를 향상시키도록 발명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 실내의 냉, 난방과 환기를 목적으로 자동차에 설치되는 공조장치(HVAC : Heating, Ventilating & Air Conditioning System)는, 차량의 프론트로부터 차실 내 외부로 연통되는 덕트를 통하여 차실내에 대한 냉 온풍 공급 또는 환기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상기 공조 장치의 블로워는 블로워 모터의 회전 수로 자동차 실내로 송풍되는 냉, 난방공기의 풍량을 조절하며, 상기 블로워 모터의 회전수는 통상 블로워 레지스터 내의 저항을 이용하여 제어하고 있다.
상기 블로워 레지스터는 블로워 모터 스위치의 각 단계별로 블로워 모터로 전달되는 전류의 세기를 조절하여 송풍량을 조절하는 것이다.
상기 블로워 레지스터는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저항이 연결된 저항 판 및 절연 판이 커버(1a) 사이에 개재된 저항부(1)와;
상기 저항부(1)의 저항이 연결되며 커넥터와 결합하는 복수의 연결 단자(2a)를 구비하며 상기 저항부(1)가 결합되어 장착되는 베이스부(2)를 포함한다.
상기 저항부(1)의 커버(1a)는 양 측면 하부에 상기 베이스부(2)의 상부로 꽂아 결합되는 삽입 편(1b)이 구비되며, 상기 저항부(1)의 하부에는 복수의 저항에서 연장되는 복수의 저항 단자(1c)가 돌출된다.
상기 저항부(1)는 상기 베이스부(2)의 상부 면 양 측에 이격되게 형성된 장착 홈에 상기 삽입 편(1b)을 수직으로 꽂아 결합함으로써 상기 베이스부(2)에 조립되며, 상기 저항 단자(1c)가 수직 방향에서 상기 연결 단자(2a)와 미끄러지듯이 접촉하여 연결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블로워 레지스터는 상기 저항부(1)의 조립 시 저항부(1)가 수직 방향에서 조립되므로 상기 저항 단자(1c)가 상기 연결 단자(2a)에 접촉될 때 상부 측 수직 방향으로 밀려 이동되는 불량이 자주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또한 상기 저항부(1)의 커버(1a)는 하부에 상기 삽입 편(1b)을 형성해야 하므로 제조 시 재료가 많이 소요되고, 제조 과정에서 재료의 손실이 많은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제조 과정에서 발생하는 재료 손실을 최소화하고, 조립성을 향상시키고 조립 시 불량을 방지하는 블로워 레지스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양 측에 굽힘 가능한 장착 편이 돌출되고, 제 1 커버 판부재와;
상기 제 1 커버 판부재의 전면에 장착되는 제 2 커버 판부재와;
상기 제 1 커버 판부재와 상기 제 2 커버 판부재 사이에 배치되며 복수의 저항이 연결된 저항 판부재와;
상기 제 1 커버 판부재와 상기 제 2 커버 판부재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저항 판부재를 절연하는 절연 판부재와;
상기 저항 판부재의 복수의 저항이 연결되는 복수의 연결 단자가 구비되는 커넥터 본체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커넥터 본체부재의 양 측면에는 걸림 돌기가 돌출되고,
상기 제 1 커버 판부재의 하부 양 측에는 상기 걸림 돌기가 삽입되어 걸리는 걸림 구멍이 형성된 측면 결합 편이 절곡 돌출된 블로워 레지스터를 제공함으로써 해결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커버의 조립부 형상으로 조립이 가능하도록 하여 커버 제조 시 재료의 손실을 줄이고, 제조 공정을 단순화하여 제조 원가를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조립 시 조립 방향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어 저항의 밀림 현상으로 인한 불량을 방지하며 조립 자유도를 높여 제품의 형상을 다양하게 디자인하고 설계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블로워 레지스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조립 예를 도시한 개략도
도 4는 도 2의 블로워 레지스터의 조립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5의 블로워 레지스터의 조립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블로워 레지스터는 사이에 저항 판부재(30) 및 절연 판부재(50)가 개재되는 제 1 커버 판부재(10)와 제 2 커버 판부재(20)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커버 판부재(10)는 양 측에 굽힘 가능한 장착 편(11)이 돌출되며, 상기 장착 편(11)은 접혀져 상기 제 1 커버 판부재(10)의 전면에 배치되는 상기 제 2 커버 판부재(20)의 전면을 가압하여 상기 제 2 커버 판부재(20)를 밀착 고정시키는 것이다.
또 상기 제 1 커버 판부재(10)의 하단부에는 굽힘 가능한 추가 장착 편(13)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추가 장착 편(13)은 후술될 측면 결합 편(12)을 가공할 때 손실되는 부분을 이용하여 가공되는 것으로 가공 시 별도의 재료가 필요하지 않고 손실되는 재료의 양을 줄이며 상기 제 2 커버 판부재(20)의 하부 전면을 가압하여 상기 제 2 커버 판부재(20)를 더 견고히 밀착 고정시키게 되는 것이다.
또 상기 제 1 커버 판부재(10)의 하부에는 양 측에 후술될 걸림 돌기(42)가 삽입되어 걸리는 걸림 구멍(12a)이 형성된 측면 결합 편(12)이 절곡되어 상기 제 1 커버 판부재(10)의 전면 또는 후면으로 돌출된다.
또한, 상기 제 1 커버 판부재(10)의 양 측에는 상기 측면 결합 편(12)이 연장되는 보강 편(14)이 절곡 돌출되며, 상기 보강 편(14)의 하부에 상기 측면 결합 편(12)이 연장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강 편(14)은 상기 제 1 커버 판부재(10)의 강성 및 상기 제 1 커버 판부재(10)와 제 2 커버 판부재(20)가 밀착 조립된 후 양 측면을 지지하여 강성을 더 보강함으로써 외부 하중에 의한 변형 및 파손을 방지하는 것이다.
또 상기 측면 결합 편(12)은 상기 보강 편(14)의 하부에 연장 형성됨으로써, 재료의 손실을 최소화하고, 제조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 1 커버 판부재(10)와 제 2 커버 판부재(20) 사이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복수의 저항이 연결된 저항 판부재(30)와, 상기 저항 판부재(30)를 절연시키는 절연 판부재(50)가 배치된다.
상기 절연 판부재(50)는 상기 제 1 커버 판부재(10)와 저항 판부재(30) 사이 및 상기 제 2 커버 판부재(20)와 상기 저항 판부재(30)의 사이에 각각 개재되어 상기 저항 판부재(30)를 통해 흐르는 전류가 외부로 전달되지 않도록 차단시키는 것이다.
상기 저항 판부재(30)의 복수의 저항은 별도의 커넥터가 결합하는 커넥터 본체부재(40)의 복수의 연결 단자(41)에 연결된다.
상기 커넥터 본체부재(40)의 양 측면에는 상기 측면 결합 편(12)의 걸림 구멍(12a)에 삽입되어 걸리는 걸림 돌기(42)가 돌출된다.
상기 제 1 커버 판부재(10)와 제 2 커버 판부재(20) 사이에 상기 저항 판부재(30) 및 상기 절연 판부재(50)가 배치된 상태에서 밀착되고, 상기 장착 편(11) 및 추가 장착 편(13)을 절곡시켜 상기 장착 편(11) 및 추가 장착 편(13)으로 가압 밀착되어 조립되어 저항부를 형성한다.
상기 저항부는 도 3 내지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커버 판부재(10)의 상기 측면 결합 편(12) 사이로 상기 커넥터 본체부재(40)를 끼워 넣음으로써 상기 커넥터 본체부재(40)의 걸림 돌기(42)가 상기 측면 결합 편(12)의 걸림 구멍(12a)에 삽입되어 상기 커넥터 본체부재(40)와 조립되는 것이다.
상기 걸림 돌기(42)는 상기 측면 결합 편(12)이 탄성적으로 벌어지면서 상기 걸림 구멍(12a)에 삽입되므로 상기 커넥터 본체부재(40)와 상기 저항부의 조립 방향을 하향 및 좌, 우 양 측으로 자유롭게 선택하여 조립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측면 결합 편(12)은 상기 제 1 커버 판부재(10)와 제 2 커버 판부재(20)의 조립을 위해 상기 장착 편(11)을 형성하고 손실되는 부분을 이용하여 형성되므로 별도의 추가 적인 재료가 소요되지 않고,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 2 커버 판부재(20)는 하부에 상기 저항 판부재(30)의 복수의 저항을 노출시켜 상기 복수의 연결 단자(41)에 연결 가능하게 하는 복수의 저항 연결 구멍(21)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절연 판부재(50)의 하부에는 상기 복수의 저항 연결 구멍(21)에 대응되는 개방부가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저항을 노출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저항 판부재(30)의 복수의 저항은 상기 저항 연결 구멍(21)으로 노출되어 상기 커넥터 본체부재(40)의 복수의 연결 단자(41)에 접촉 연결되므로, 상기 제 1 커버 판부재(10) 및 제 2 커버 판부재(20)의 하부로 저항 단자를 돌출되게 형성할 필요가 없어 제조 원가를 절감하고, 콤팩트한 설계가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복수의 저항과 상기 복수의 연결 단자(41)를 접촉 시킬 때 상기 저항 판부재(30)가 밀려 이동하는 문제점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저항 판부재(30)와 연결 단자(41) 사이에 연결되어 과전류로부터 블로워 모터를 보호하는 퓨즈(60)와, 상기 퓨즈(60)가 연결되는 퓨즈 컵(70)을 더 포함하며, 상기 퓨즈 컵(70)이 상기 제 2 커버 판부재(20)의 전면부에 장착되고 상기 제 2 커버 판부재(20)의 하부로 노출되는 복수의 저항 중 상기 퓨즈(60)가 연결되는 저항에 연결되는 것이다.
상기 퓨즈 컵(70)은 상기 제 2 커버 판부재(20)의 전면부에 장착되는 장착부(71)와, 상기 장착부(71)의 상부에 구비되며 퓨즈(60)의 선단부가 안착되어 연결되는 퓨즈 안착부(72)와, 상기 장착부(71)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복수의 저항 중 상기 퓨즈(60)가 연결되는 저항 즉, 공통 저항에 연결되는 저항 연결부(73)를 포함한다.
상기 장착부(71)의 양 측에는 끼움 홈(71a)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커버 판부재(20)의 전면부에는 상기 끼움 홈(71a)에 걸리는 한 쌍의 걸림 편(22)이 이격되게 구비된다.
상기 걸림 편(22)은 상기 제 2 커버 판부재(20)를 'ㄷ' 형상으로 절결하고 절결된 부분을 구부려 형성한 것이다.
상기 퓨즈 컵(70)은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 2 커버 판부재(20)의 전면부에서 상기 장착부(71)의 끼움 홈(71a)이 상기 걸림 편(22) 사이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걸림 편(22)을 상기 끼움 홈(71a)에 끼워 상기 장착부(71)의 전면부에 걸리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 2 커버 판부재(20)의 전면부에 안정적으로 장착되는 것이다.
또 상기 걸림 편(22)은 상기 제 2 커버 판부재(20)를 절결하여 형성하므로 별도의 재료가 필요없고, 제조 시 재료 손실이 발생하지 않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퓨즈 컵(70)의 저항 연결부(73)는 상기 저항 단자에 겹쳐져 용접으로 연결 고정되고, 상기 퓨즈 안착부(72)에는 상기 퓨즈(60)의 선단부가 안착되어 납땜으로 연결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퓨즈 컵(70)이 상기 제 2 커버 판부재(20)의 전면부에 장착되어 저항 회로의 설계에 따라 장착되는 위치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는 것이다.
즉, 복수의 저항에서 상기 퓨즈 컵(70)이 연결되는 저항 단자의 위치를 자유롭게 조정하고, 해당 저항 단자의 위치에 맞게 상기 걸림 편(22)의 형성 위치를 결정함으로써 저항 설계를 자유롭게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저항 판부재(30)의 어느 한 저항에 연결되어 과전류로부터 블로워 모터를 보호하는 퓨즈(60)와, 상기 퓨즈(60)가 연결되는 퓨즈 컵(70)을 더 포함하며, 상기 퓨즈(60)가 연결되는 저항을 노출시키는 저항 노출 구멍(23)을 상기 제 2 커버 판부재(20)의 전면부에 형성하고, 상기 퓨즈(60)가 연결되는 퓨즈 컵(70)이 상기 제 2 커버 판부재(20)의 전면부에 형성된 저항 노출 구멍(23)으로 노출된 저항에 연결되는 것이다.
상기 절연 판부재(50)에는 상기 저항 노출 구멍(23)에 대응되는 구멍이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퓨즈 컵(70)은 상기 저항 노출 구멍(23) 내로 삽입되어 상기 저항 노출 구멍(23)으로 노출된 저항 판부재(30)에 연결되는 저항 고정부(74)와;
상기 저항 고정부(74)의 일 측에 연장되게 구비되며 상기 퓨즈(60)가 연결되는 퓨즈 고정부(75)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저항 고정부(74)와 퓨즈 고정부(75) 사이에는 복수로 절곡되어 형성된 탄성 지지부(76)가 구비되어 상기 퓨즈 고정부(75)에 연결되어 고정되는 퓨즈(60)의 선단부를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저항 노출 구멍(23)의 내측에는 상기 퓨즈 컵(70)의 저항 고정부(74)를 걸어 지지하는 복수의 고정 편(23a)이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저항 고정부(74)는 상기 저항 노출 구멍(23)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저항 노출 구멍(23)으로 노출된 저항 판부재(30)와 용접되어 고정되거나, 상기 고정 편(23a)으로 걸어 고정할 수 있으며 용접으로 고정한 후 상기 고정 편(23a)으로 걸어 더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고정 편(23a)은 상기 저항 노출 구멍(23)을 형성할 때 상기 저항 노출 구멍(23) 내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별도의 재료가 필요없고, 제조 시 재료 손실이 발생하지 않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퓨즈 컵(70)의 퓨즈 고정부(75)에는 상기 퓨즈(60)의 선단부가 안착되어 납땜으로 연결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퓨즈 컵(70)이 상기 방열판부재의 전면에 장착되어 저항 회로의 설계에 따라 장착되는 위치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는 것이다.
즉, 복수의 저항에서 상기 퓨즈 컵(70)이 연결되는 저항 단자의 위치를 자유롭게 조정하고, 해당 저항 단자의 위치에 맞게 상기 저항 노출 구멍(23)을 형성하여 상기 퓨즈 컵(70)이 연결되는 위치를 결정함으로써 저항 설계를 자유롭게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구성에 포함됨을 밝혀둔다.
10 : 제 1 커버 판부재 11 : 장착 편
12 : 측면 결합 편 13 : 추가 장착 편
14 : 보강 편 20 : 제 2 커버 판부재
21 : 저항 연결 구멍 22 : 걸림 편
23 : 저항 노출 구멍 30 : 저항 판부재
40 : 커넥터 본체부재 41 : 연결 단자
42 : 걸림 돌기 50 : 절연 판부재
60 : 퓨즈 70 : 퓨즈 컵

Claims (11)

  1. 양 측에 굽힘 가능한 장착 편이 돌출되고, 제 1 커버 판부재와;
    상기 제 1 커버 판부재의 전면에 장착되는 제 2 커버 판부재와;
    상기 제 1 커버 판부재와 상기 제 2 커버 판부재 사이에 배치되며 복수의 저항이 연결된 저항 판부재와;
    상기 제 1 커버 판부재와 상기 제 2 커버 판부재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저항 판부재를 절연하는 절연 판부재와;
    상기 저항 판부재의 복수의 저항이 연결되는 복수의 연결 단자가 구비되는 커넥터 본체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커넥터 본체부재의 양 측면에는 걸림 돌기가 돌출되고,
    상기 제 1 커버 판부재의 하부 양 측에는 상기 걸림 돌기가 삽입되어 걸리는 걸림 구멍이 형성된 측면 결합 편이 절곡 돌출되며,
    상기 커버 판부재의 양 측에는 절곡되어 돌출된 보강 편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로워 레지스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커버 판부재의 하단부에는 굽힘 가능한 추가 장착 편이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로워 레지스터.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측면 결합 편은 상기 보강 편의 하부에 연장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로워 레지스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2 커버 판부재는 하부에 상기 저항 판부재의 복수의 저항을 노출시켜 상기 복수의 연결 단자에 연결 가능하게 하는 복수의 저항 연결 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로워 레지스터.
  6. 양 측에 굽힘 가능한 장착 편이 돌출되고, 제 1 커버 판부재와;
    상기 제 1 커버 판부재의 전면에 장착되는 제 2 커버 판부재와;
    상기 제 1 커버 판부재와 상기 제 2 커버 판부재 사이에 배치되며 복수의 저항이 연결된 저항 판부재와;
    상기 제 1 커버 판부재와 상기 제 2 커버 판부재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저항 판부재를 절연하는 절연 판부재와;
    상기 저항 판부재의 복수의 저항이 연결되는 복수의 연결 단자가 구비되는 커넥터 본체부재와;
    상기 저항 판부재의 저항 중 어느 한 저항에 연결되어 과전류로부터 블로워 모터를 보호하는 퓨즈와;
    상기 퓨즈가 연결되는 퓨즈 컵을 포함하며,
    상기 커넥터 본체부재의 양 측면에는 걸림 돌기가 돌출되고,
    상기 제 1 커버 판부재의 하부 양 측에는 상기 걸림 돌기가 삽입되어 걸리는 걸림 구멍이 형성된 측면 결합 편이 절곡 돌출되며,
    상기 퓨즈 컵은 상기 제 2 커버 판부재의 전면부에 장착되는 장착부와, 상기 장착부의 상부에 구비되며 퓨즈의 선단부가 안착되어 연결되는 퓨즈 안착부와, 상기 장착부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 2 커버 판부재의 하부로 노출되는 복수의 저항 중 상기 퓨즈가 연결되는 저항에 연결되는 저항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장착부의 양 측에는 끼움 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커버 판부재의 전면부에는 상기 끼움 홈에 걸리는 한 쌍의 걸림 편이 이격되게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로워 레지스터.
  7. 삭제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걸림 편은 상기 제 2 커버 판부재를 'ㄷ' 형상으로 절결하고 절결된 부분을 구부려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로워 레지스터.
  9. 양 측에 굽힘 가능한 장착 편이 돌출되고, 제 1 커버 판부재와;
    상기 제 1 커버 판부재의 전면에 장착되는 제 2 커버 판부재와;
    상기 제 1 커버 판부재와 상기 제 2 커버 판부재 사이에 배치되며 복수의 저항이 연결된 저항 판부재와;
    상기 제 1 커버 판부재와 상기 제 2 커버 판부재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저항 판부재를 절연하는 절연 판부재와;
    상기 저항 판부재의 복수의 저항이 연결되는 복수의 연결 단자가 구비되는 커넥터 본체부재와;
    상기 저항 판부재의 저항 중 어느 한 저항에 연결되어 과전류로부터 블로워 모터를 보호하는 퓨즈와;
    상기 퓨즈가 연결되는 퓨즈 컵을 포함하며,
    상기 커넥터 본체부재의 양 측면에는 걸림 돌기가 돌출되고,
    상기 제 1 커버 판부재의 하부 양 측에는 상기 걸림 돌기가 삽입되어 걸리는 걸림 구멍이 형성된 측면 결합 편이 절곡 돌출되며,
    상기 퓨즈가 연결되는 저항을 노출시키는 저항 노출 구멍을 상기 제 2 커버 판부재의 전면부에 형성하고,
    상기 퓨즈 컵은 상기 저항 노출 구멍 내로 삽입되어 상기 저항 노출 구멍으로 노출된 저항 판부재에 연결되는 저항 고정부와;
    상기 저항 고정부의 일 측에 연장되게 구비되며 상기 퓨즈가 연결되는 퓨즈 고정부와;
    상기 저항 고정부와 퓨즈 고정부 사이에는 복수로 절곡되어 형성된 탄성 지지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로워 레지스터.
  10. 삭제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저항 노출 구멍의 내측에는 상기 퓨즈 컵을 걸어 지지하는 복수의 고정 편이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로워 레지스터.
KR1020100018830A 2010-03-03 2010-03-03 블로워 레지스터 KR1010751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8830A KR101075144B1 (ko) 2010-03-03 2010-03-03 블로워 레지스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8830A KR101075144B1 (ko) 2010-03-03 2010-03-03 블로워 레지스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9856A KR20110099856A (ko) 2011-09-09
KR101075144B1 true KR101075144B1 (ko) 2011-10-19

Family

ID=449525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8830A KR101075144B1 (ko) 2010-03-03 2010-03-03 블로워 레지스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514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0428A (ko) * 2017-01-03 2018-07-12 동아하이테크 주식회사 모터제어용 레지스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4947Y1 (ko) * 2004-07-24 2004-10-15 동아전기부품 주식회사 블로워모터용 레지스터
KR200370034Y1 (ko) * 2004-09-22 2004-12-13 동아전기부품 주식회사 블로워모터용 레지스터
JP2009218471A (ja) * 2008-03-12 2009-09-24 Taise:Kk 自動車用送風機の速度制御用抵抗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4947Y1 (ko) * 2004-07-24 2004-10-15 동아전기부품 주식회사 블로워모터용 레지스터
KR200370034Y1 (ko) * 2004-09-22 2004-12-13 동아전기부품 주식회사 블로워모터용 레지스터
JP2009218471A (ja) * 2008-03-12 2009-09-24 Taise:Kk 自動車用送風機の速度制御用抵抗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9856A (ko) 2011-09-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70126B2 (en) Electrical junction box
US20140254068A1 (en) Electrical junction box
US9937772B2 (en) Heater
CN104620454A (zh) 电连接箱
KR101075144B1 (ko) 블로워 레지스터
US5703561A (en) Resistor device
KR101087091B1 (ko) 블로워 레지스터의 퓨즈 컵 구조체
US5883560A (en) Fusible member of a fusible link element
US11731540B2 (en) Blower for ventilation seat having warm-air-blowing function and vehicular ventilation seat including the same
KR101075143B1 (ko) 블로워 레지스터
KR200310310Y1 (ko) 차량용 에어컨디셔닝 도어 액츄에이터의 피드백센서 조립체
JP4178701B2 (ja) 車両用コクピットモジュール組付体
KR100926312B1 (ko) 전열히터
JP2006056348A (ja) 車両用空調装置
JPH09246022A (ja) 自動車用空調装置用抵抗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10142070A (ja) ヒータユニットの水温センサ取付構造
WO2006011705A1 (en) A fet device for intermitting the blower motor of a car, and the mounting structure and mounting method of the device
CN219572215U (zh) 线控器和空调器
KR100926315B1 (ko) 전열히터
KR200330072Y1 (ko) 블로워 레지스터
KR100705472B1 (ko) 자동차용 프리 히터의 히터 하우징 구조
JPH0432721Y2 (ko)
KR100588416B1 (ko) 자동차 보조난방장치용 하우징
KR200411132Y1 (ko) 블로워 레지스터의 퓨즈컵 고정구조
KR101195392B1 (ko) 저항단자 연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