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5142B1 - 물 절약 변기 - Google Patents

물 절약 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5142B1
KR101075142B1 KR1020110081490A KR20110081490A KR101075142B1 KR 101075142 B1 KR101075142 B1 KR 101075142B1 KR 1020110081490 A KR1020110081490 A KR 1020110081490A KR 20110081490 A KR20110081490 A KR 20110081490A KR 101075142 B1 KR101075142 B1 KR 1010751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urine
discharge valve
drain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14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성수
Original Assignee
권성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성수 filed Critical 권성수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51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51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02High-level flushing systems
    • E03D1/14Cisterns discharging variable quantities of water also cisterns with bell siphons in combination with flushing valves
    • E03D1/142Cisterns discharging variable quantities of water also cisterns with bell siphons in combination with flushing valves in cisterns with flushing valves
    • E03D1/145Cisterns discharging variable quantities of water also cisterns with bell siphons in combination with flushing valves in cisterns with flushing valves having multiple flush outle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02High-level flushing systems
    • E03D1/22Twin or multiple flushing cister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세식 변기에서 대변과 소변에 따라 각기 다른 량의 물을 배출시켜 처리함으로서 물을 절약할 수 있도록 하는 물 절약 변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변기의 저수조에 높낮이가 다른 배출밸브를 설치하되 각각의 배출레버로 배출밸브를 작동시키도록 하는 변기에 있어서, 대변용 배출밸브 보다 높은 곳에 위치하는 소변용 배출밸브를 설치하되 상기 소변용 배출밸브의 높낮이를 조절하도록 함으로써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물 절약 변기{Water save type toilet bowl}
본 발명은 수세식 변기에서 대변과 소변에 따라 각기 다른 량의 물을 배출시켜 처리함으로서 물을 절약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수위의 측정과 함께 소변량 조절이 가능한 물 절약 변기에 관한 것이다.
수세식 변기는 세척용 물을 저장하는 저수조에 일정량의 물을 채운 후 대변과 소변의 구분 없이 저수조의 물을 변기로 배출하여 세척을 하게 되는 것으로, 대변 처리시와는 달리 소변 처리시는 적은 량의 물을 사용하고도 처리가 가능함에도 불구하고 동일한 량의 물을 사용함으로써 물을 절약하지 못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하나의 저수조에 높낮이가 다른 두 개의 배출밸브를 설치하되 각각의 배출밸브는 별도의 배출레버로 작동되게 함으로써, 소변 처리시는 적은 량의 물을 배출하고, 대변 처리시는 많은 량의 물을 배출하여 물을 절약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즉, 실용신안등록 20-108403호, 실용신안공개 20-1998-0035544호, 실용신안공개 20-2001-0001111호, 실용신안등록 20-0169255호에 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저수조에 높낮이가 다르게 두 개의 배출밸브를 설치하되 각각의 배출밸브로 별도로 설치되는 두 개의 배출레버를 이용하여 작동되게 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된 선행기술에서는 대변 처리시 열리는 배출배브 보다 높은 위치에 소변 처리시 개방되는 배출밸브를 설치하고, 저수조에 채워지는 전체적인 물의 량은 공지된 수위 조절구를 이용하여 일정 수위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저수조에 담긴 수위를 조절하여야만 소변 처리시 배출량과 대변 처리시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으나, 이 경우 대변 처리시 배출량은 만족하나, 소변 처리시 배출량이 많거나 적을 경우 이를 조절할 방법은 없는 것이었다.
즉, 선행기술에서는 두 개의 배출밸브로 배출시키는 물의 량을 각각 조절할 수 있는 구조가 아니고, 저수조에 담긴 물의 수위를 조절하여 대변 처리시 배출량을 맞추어 줄 경우, 소변 처리시의 물의 량이 많거나 적게 되면 이를 조절할 수 없는 것이었다.
그리고, 기존에는 오버플로우가 발생하는 경우 물탱크를 열어보지 않는 한확인할 수 없어, 오버플로우의 장시간 진행으로 물의 낭비를 막을 수 없고, 또한 물탱크의 수위량을 정확히 측정할 수 없어 물의 사용량을 숫자로 감지할 수 없는 관계로 물의 절약에 소극적일 수밖에 없다.
실용신안등록 20-108403호(1997. 08. 20 등록) 실용신안공개 20-1998-0035544호(1999. 09. 15 공개) 실용신안공개 20-2001-0001111호(2001. 01. 15 공개) 실용신안등록 20-0169255호(1999. 11. 17 등록)
본 발명은 변기의 저수조에 높낮이가 다른 배출밸브를 설치하되 각각의 배출레버로 배출밸브를 작동시키도록 하는 변기에 있어서, 대변용 배출밸브 보다 높은 곳에 위치하는 소변용 배출밸브의 높낮이를 독립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소변용 물의 량을 임으로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오버플로우가 진행되고 있음의 확인과 물탱크의 수위를 숫자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변기의 저수조에 높낮이가 다른 배출밸브를 설치하되 각각의 배출레버로 배출밸브를 작동시키도록 하는 변기에 있어서, 대변용 배출밸브 보다 높은 곳에 위치하는 소변용 배출밸브를 설치하되 상기 소변용 배출밸브의 높낮이를 조절하도록 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으로, 대변 처리용 물의 량을 변화시키지 않으면서도 소변 처리용 물의 량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오버플로우 발생시 변기로 배출되는 물의 색이 달라지게 함으로써 오버플로우 발생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오버플루오관에 수량 확인용 숫자를 기재하여 물의 량을 숫자로 확인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소변 처리용 배출밸브를 작동시켜 소변 처리에 필요한 물을 배출시키는 한편 대변 처리용 배출밸브를 작동시켜 대변 처리에 필요한 물을 배출시킴으로써 물을 절약하면서도 대소변 처리를 하는 변기에 있어서, 대변 처리용 물의 량을 변화시키지 않으면서도 소변 처리용 물의 량을 자유롭게 변경시킬 수 있는 것으로, 소변 처리에 필요한 최소한의 물을 조절하여 사용함으로써 물을 절약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오버플로우 발생시 변기로 배출되는 물의 량이 달라지게 하여 오버플로우 발생을 금방 알아 처리토록 하고, 수위에 따른 물의 량을 숫자로 확인할 수 있어 물절약의 인식을 주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배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좌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우측면도
도 6은 도 2의 A-A선 분해 단면도
도 7은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서 저수조에 정상수위가 유지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서 대변용 배출밸브 개방시 저수조 수위를 보인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서 소변용 배출밸브 개방시 저수조 수위를 보인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서 소변용 배출밸브의 높이를 조절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본 발명은 변기에 대변 처리용 배출밸브와 소변 처리용 배출밸브를 구비시킴으로써 대소변을 처리할 때 최소한의 물을 소비하여 자원을 절약하는 것으로, 저수조에서 소변 처리용 배출밸브의 높낮이를 자유롭게 조절하는 한편 오버플로우가 진행되는 것을 물의 색상을 달리하여 표시하는 한편 물의 량을 숫자로 확인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저수조(10)에 일정량의 물이 채워지게 하는 수위조절장치는 별도의 도시를 하지 않고도 변기용 저수조(10)에 설치되는 기본적인 구조로써, 저수조(10)에는 상기 도시되지 아니한 수위조절장치를 이용하여 일정 수위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저수조(10)의 내측에는 바닥에 대변용 배출밸브(20)로 개폐되는 배수구(40)를 설치하는 한편 상기 배수구(40)의 측면으로는 연결관(50)을 연결하되 상기 연결관(50)에는 상측으로 오버플로우관(60)을 형성하는 한편 상측으로 개방된 결합부(51)를 형성한다.
상기 대변용 배출밸브(20)는 배수구(40)의 입구를 막아주게 되고, 오버플로우관(60)에 회동대(21)로 결합되어 회동되게 되며, 상기 배출밸브(20)는 저수조(10)에 설치된 배출레버(11)의 작동에 의해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으로, 배출레버(11)를 하측으로 누르게 되면 배출밸브(20)는 회동대(21)를 중심으로 상측으로 개방되면서 배수구(40)의 입구를 열어주게 되고, 배수구(40)의 입구가 열리면 저수조(10)에 채워진 물이 배수구(40)를 통하여 변기로 배출되게 된다.
배수구(40)를 통하여 저수조(10)의 물이 배출될 동안에는 배출밸브(20)가 자중에 의하여 서서히 가라앉으며 배수구(40)의 입구를 막아주게 되는 것으로, 배출밸브(20)가 배수구(40)의 입구를 막아주면 저수조(10)에는 다시 수위조절장치에 의해 일정 수위까지 물이 채워지게 된다.
이때 배수구(40)의 입구는 바닥에 가깝게 설치되므로, 배수구(40)의 개방시 가장 많은 량의 물이 배출되게 되므로, 대변을 처리할 때 배출밸브(20)를 개방시켜 배수구(40)로 배출되는 물로 처리가 될 수 있도록 하고, 여기서 수위조절장치를 이용하여 배출밸브(20)의 개방시 배수구(40)를 통하여 배출되는 물의 량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배수구(40) 측면으로 연결되는 연결관(50)에는 수직 방향으로 오버플로우관(60)을 설치하는 동시에 상측으로 개방된 결합부(51)를 형성하고, 상기 오버플로우관(60)은 저수조(10)에서 수위조절장치가 손상되어 수위가 상승할 때 수위의 상승을 방지하게 되며, 상기 결합부(51)에는 소변용 배출밸브(30)로 입구가 개폐되는 소변용 배수구(80)가 끼워지게 하고, 상기 결합부(51)의 외측에는 나사를 형성한다.
상기 연결관(50)은 일측이 배수구(40)의 측면에 연결되는 그와 연장되는 곳에는 상측으로 개방된 결합부(51)를 형성하되 상기 결합부(51)의 외측은 나사를 형성하고, 상기 결합부(51)에는 패킹(71)을 사이에 두고 고정캡(70)을 씌우되 소변용 배출밸브(30)가 결합된 소변용 배수구(80)가 끼워지게 한다.
여기서 소변용 배수구(80)는 상측으로 개방된 곳을 개폐밸브(30)로 개폐되게 하되 하측은 결합부(51)에 끼워진 채로 고정캡(70)에 의해 고정되게 되고, 상기 소변용 배수구(80)는 고정캡(70)을 관통하여 패킹(71)에 끼워진 채로 결합부(51)에 끼워진 상태에서 고정캡(70)을 나사 조임 방식으로 조임으로써 결합부(51)의 내측에 소변용 배수구(80)가 끼워진 채로 고정되게 된다.
이를 위하여 고정캡(70)을 결합부(51)의 외측에서 나사 조임을 하는 경우 결합부(51)가 고정캡(70)에 의해 밀리게 되고, 이때 고정캡(70)은 패킹(71)을 압착하며 밀리게 되며, 고정캡(70)에 의해 패킹(71)이 밀리면서 소변용 배수구(80)의 외측을 밀착하게 된다.
즉, 고정캡(70)을 나사 조임하면 패킹(71)을 압착하게 되고, 패킹(71)의 압착과 결합부(51)의 조임으로 인하여 소변용 배수구(80)의 결합부위를 통하여 누수가 진행되지 않으면서도 소변용 배수구(80)가 움직이지 않고 결합부(51)에 끼워진 채로 고정되게 된다.
여기서 고정캡(70)을 풀면 소변용 배수구(80)를 상하 이동시킬 수 있으며, 소변용 배수구(80)의 높낮이를 조절한 후에는 전술된 바와 같이 고정캡(70)을 조여 패킹(71)을 압착시킴으로서 결합부(51)에 소변용 배수구(80)를 높낮이 조절되게 고정하는 한편 누수가 발생되지 않게 한다.
본 발명의 소변용 배수구(80)에는 측면 상측으로 수직 방향을 향하여 수직봉(90)이 형성되어 있게 되고, 상기 수직봉(90)에는 회동대(31)가 결합되어 배출밸브(30)가 회동하며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기 배출밸브(30)는 소변용 배출레버(12)를 하측으로 당겼을 때 상부로 들리면서 개방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물의 배출이 이루어짐에 따라 배출밸브(30)가 자중에 의해 소변용 배수구(80)의 상측 입구를 막아주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오버플로우관(60)의 외측으로 저수조(10)의 수량을 나타내는 숫자(61)를 표시하도록 함으로써 저수조(10)에 채워지는 물의 량을 숫자(61)로 나타낼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오버플로우관(60)의 상부 입구에는 색소마개(62)를 끼워주되 상기 색소마개(10)는 오버플로우관(60)을 통하여 오버플로우가 이루어질 때 넘치는 물이 색소마개(62)에 닿아 색깔이 변한 후 변기로 배출이 이루어지게 한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은 저수조(10)의 상부 외측에 별도로 설치되는 배출레버(11)(12)를 이용하여 배출밸브(20)(30)의 개방을 선택하는 것으로, 각각 대변용과 소변용으로 구분되고, 저수조(10)의 내부에는 공지되었으나 도시되지 아니한 수위조절장치를 이용하여 일정량의 수위가 유지되게 되며, 수위조절장치에 의해 조절된 수위는 통상 대변시 배출되는 물의 량에 맞추게 된다.
따라서 대변을 처리하는 경우는 배출레버(11)로 배출밸브(20)를 개방시켜 저수조(10)에 채워진 물이 대부분 빠져 나가면서 대변을 처리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소변 처리시에는 배출레버(12)로 배출밸브(30)를 개방시켜 저수조(10)에 채워진 물 중 배출밸브(30)가 설치된 위치의 수위까지 배출이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보다 적은 량의 물을 사용하고도 소변 처리가 가능한 것이다.
즉, 소변 처리시는 배출밸브(30)로 배출되는 물을 이용하게 되고, 대변 처리시시는 배출밸브(20)로 배출되는 물을 이용하게 되는 것으로, 소변 처리시 배출밸브(20)(30) 사이의 수위만큼 물을 절약할 수 있다.
그러나, 대변을 처리하는 물의 량은 적합하여 저수조(10)에서 수위조절장치를 이용하여 수위를 조절할 필요는 없으나, 소변을 처리하는 물의 량은 적거나 많을 경우 대변처리시의 물의 량을 조절하지 않는 한 소변 처리시의 물의 량을 조절할 수 없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소변용 배수구(80)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간단히 소변 처리시의 물의 량을 조절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대변 처리시 사용되는 물의 량은 변화시키지 않으면서도 소변 처리시의 물의 량은 변화시켜 최소한의 물을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최소한의 물을 사용하면서 소변을 처리할 수 있어 자원을 절약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 소변처리시의 수위는 고정캡(70)을 풀고, 결합부(51)에 끼워진 소변용 배수구(80)의 높낮이를 적절히 조절한 후 고정캡(70)을 조여주면 되는 것으로, 소변용 배수구(80)의 높이가 높을수록 소변 처리시 사용되는 물의 량은 적어지고, 반대로 소변용 배수구(80)의 높이가 낮을수록 소변 처리시 사용되는 물의 량은 늘어나게 된다.
여기서 고정캡(70)을 풀면 패킹(71)을 조이는 힘이 제거되어 결합부(51)에 끼워진 소변용 배수구(80)의 높낮이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고, 소변용 배수구(80)의 높낮이를 조절한 후에는 고정캡(70)을 조여 패킹(71)을 압착시킴으로써 소변용 배수구(80)를 고정시키는 한편 수밀이 이루어지게 한다.
즉, 고정캡(70)를 풀면 소변용 배수구(80)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고, 고정캡(70)을 조이면 패킹(71)을 압착하면서 소변용 배수구(80)를 고정시키는 한편 고정이 이루어지게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오버플로우관(60)의 외측에 수량 측정용 숫자(61)를 설치하여 저수조(10)에 채워진 물의 량을 숫자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소비되는 물을 숫자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오버플로우관(60)의 선단에는 색소마개(62)를 끼워주어 오버플로우가 이루어질 때 색소마개(62)에서 물의 색이 변하여 배출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사용자는 변기로 배출되는 물의 색을 보고도 오버플로우가 이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오버플로우의 진행을 금방 확인하여 조치를 취하게 되므로, 오버플로우 발생을 방치하여 물이 낭비되는 원인을 없애게 된다.
10 : 저수조 11,12 : 배출레버
20,30 : 배출밸브 40 : 배수구
50 : 연결관 51 : 결합부
60 : 오버플로우관 61 : 숫자
62 : 색소마개 70 : 고정캡
71 : 패킹 80 : 소변용 배수구
90 : 수직봉

Claims (1)

  1. 변기의 저수조(10)에 높낮이가 다른 배출밸브(20)(30)를 설치하되 각각의 배출레버(11)(12)로 배출밸브(20)(30)를 작동시키는 변기에 있어서,
    저수조(10)의 물을 배출시키는 배수구(40)의 상부는 대변용 배출밸브(20)로 개방되게 하고,
    상기 배수구(40)의 측면으로 연결관(50)을 연결하되 상기 연결관(50)에는 외측으로 수량 측정용 숫자(61)가 표시된 오버플로우관(60)을 연결하는 동시에 상부를 향하여 개방된 결합부(51)를 형성하며,
    상기 배출밸브(20)를 개폐시키는 회동대(21)는 오버플로우관(60)에 끼워져 설치되게 하되, 상기 오버플로우관(60)의 상부에는 색소마개(62)를 끼워주며,
    상기 결합부(51)에는 소변용 배수구(80)가 끼워지고,
    상기 소변용 배수구(80)는 결합부(51)에 끼워진 채로 고정캡(70)에 의해 높낮이 조절되게 고정되며,
    상기 소변용 배수구(80)의 상부는 배출밸브(30)로 개방되게 설치하고,
    상기 배출밸브(30)를 개폐시키는 회동대(31)는 소변용 배수구(80)의 측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된 수직봉(90)에 끼워져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절약 변기.
KR1020110081490A 2011-04-25 2011-08-17 물 절약 변기 KR1010751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8190 2011-04-25
KR20110038190 2011-04-2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75142B1 true KR101075142B1 (ko) 2011-10-19

Family

ID=450330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1490A KR101075142B1 (ko) 2011-04-25 2011-08-17 물 절약 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514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05212A1 (ko) * 2014-01-10 2015-07-16 권성수 소음감소수단을 채용한 절수형 변기
KR101853963B1 (ko) 2017-10-16 2018-05-02 박훈근 절수형 양변기
WO2019078550A1 (ko) * 2017-10-16 2019-04-25 박훈근 절수형 양변기
KR20210080972A (ko) * 2019-12-23 2021-07-01 서영섭 좌변기 절수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05212A1 (ko) * 2014-01-10 2015-07-16 권성수 소음감소수단을 채용한 절수형 변기
KR101853963B1 (ko) 2017-10-16 2018-05-02 박훈근 절수형 양변기
WO2019078550A1 (ko) * 2017-10-16 2019-04-25 박훈근 절수형 양변기
KR20210080972A (ko) * 2019-12-23 2021-07-01 서영섭 좌변기 절수장치
KR102318753B1 (ko) * 2019-12-23 2021-10-27 서영섭 좌변기 절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5142B1 (ko) 물 절약 변기
CN101772604B (zh) 限量式高性能冲洗阀组件
US20120174307A1 (en) Suction device for enhancing the negative pressure of the siphon of the toilet and the method thereof
US8650672B2 (en) Water leakage protecting device
KR100890385B1 (ko) 양변기 물탱크 개폐밸브
KR200424276Y1 (ko) 양변기의 세척수 급수 제어장치
CN204781212U (zh) 一种节水水箱
KR101230354B1 (ko) 양변기 배수량 조절용 물덮개
KR101247134B1 (ko) 저수위용 허브링크를 이용한 정수위밸브
WO2007129864A1 (en) Chamberpot with auto controlling fill-valve for water saving
KR200476918Y1 (ko) 절수형 양변기 물탱크
CN114075838A (zh) 一种u型隔气以及排水设备
KR101132763B1 (ko) 비데와 변기용 자동 물내림의 선택사용이 가능한 후레쉬 밸브 장치
KR101504420B1 (ko) 좌변기를 이용하는 상수도관 동파 방지장치
KR20110127299A (ko) 강제 배수식 변기 및 그 수세장치
US20120227172A1 (en) Water saver toilet control valves and methods
KR101698729B1 (ko) 양변기 물탱크 누수 지속 차단 장치
KR101135953B1 (ko) 양변기 배수량 조절용 물덮개
KR200327321Y1 (ko) 수세식변기의 절수장치
KR200277610Y1 (ko) 압축공기를 이용한 양변기용 급속 배수장치
KR200308732Y1 (ko) 양변기의 버튼식 배수장치
CN202347619U (zh) 一种中水优先的双水源便器冲洗水箱
KR100394508B1 (ko) 절수형 욕조
KR950006223Y1 (ko) 양변기용 수압식 밸브
EP2463447B1 (en) fill controll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