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4592B1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a) caption of (an) image display device - Google Patents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a) caption of (an) image display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4592B1
KR101074592B1 KR1020040080565A KR20040080565A KR101074592B1 KR 101074592 B1 KR101074592 B1 KR 101074592B1 KR 1020040080565 A KR1020040080565 A KR 1020040080565A KR 20040080565 A KR20040080565 A KR 20040080565A KR 101074592 B1 KR101074592 B1 KR 1010745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spectacle
caption
video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056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60031508A (en
Inventor
이상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805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4592B1/en
Publication of KR200600315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150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45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459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8Data services, e.g. news ticker
    • H04N21/4884Data services, e.g. news ticker for displaying subtit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 하는 모드 중에서 파노라마와 같이 실지 경관을 보는 것 같은 느낌을 갖도록 하는 스펙터클 모드가 선택되면, 자막이 등간격으로 보다 명확하게 디스플레이 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spectacle mode is selected among the modes for displaying an image signal, the subtitles can be displayed more clearly at equal intervals.

즉, 사용자가 선택한 디스플레이 모드가 스펙터클 모드이면서, 기 설정영역에 자막이 수평방향으로 존재하면 자막은 와이드 모드로 처리됨으로써 영상과는 달리, 자막은 등간격으로 디스플레이 되도록 한 것이다.That is, if the display mode selected by the user is the spectacle mode and the subtitles exis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the preset area, the subtitles are processed in the wide mode so that the subtitles are displayed at equal intervals unlike the image.

따라서 본 발명은 스펙터클 모드에서 자막처리를 영상처리와는 차별적으로 수행함에 따라 사용자가 보다 쉽고 편안하게 자막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효과가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allowing the user to recognize the subtitles more easily and comfortably by performing the subtitle processing differently from the image processing in the spectacle mode.

스펙터클 모드/자막Spectacle Mode / Subtitles

Description

영상표시기기의 자막 처리장치 및 방법{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a) caption of (an) image display device}Subtitl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an image display device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a) caption of (an) image display devic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자막 처리장치를 나타낸 블록도.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aption processing apparatus of an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자막 처리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aption processing method of an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튜너 200 : 디먹스100: tuner 200: demux

300 : 자막 처리부 400 : 영상신호 처리부300: caption processing unit 400: video signal processing unit

500 : 디스플레이부 600 : 키 입력부500: display unit 600: key input unit

700 : 제어부 800: 저장부
700: control unit 800: storage unit

본 발명은 영상표시기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파노라마와 같이 실지 경관을 보는 것 같은 느낌을 갖도록 하는 스펙터클 모드에서 자막이 보다 명확하게 디스플레이 될 수 있도록 한 영상표시기기의 자막 처리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deo display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ap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of a video display device such that the caption can be displayed more clearly in the spectacle mode to have a feeling of viewing the actual landscape, such as a panorama.                         

일반적으로 영상표시기기는 영상을 표시하는 기기로써, 티브이 또는 모니터 등이 대표적인 영상표시기기 라고 할 수 있다. 여기서, 티브이는 방송국으로부터 전송되는 방송신호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선국 하여 화면상에 디스플레이 하는 장치로서, 멀티미디어 기술의 발달에 따라 점차 아날로그 방식에서 디지털 방식으로 변모하고 있다.In general, an image display device is a device for displaying an image, such as a TV or a monitor may be a representative image display device. Here, a TV is a device for selecting and displaying a broadcast signal transmitted from a broadcasting station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The TV is gradually changing from an analog method to a digital method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multimedia technology.

이러한 디지털 방송은 아날로그 방송과 많은 차이점들 중 하나는 기존 아날로그 방송에 비해 다양한 영상 포맷을 지원할 수 있는 것으로서, 디지털 방송의 다양한 영상 포맷들은 해상도(고해상도 또는 저해상도), 에스펙트비 모드(16:9 또는 4:3) 및 스펙터클 모드 등의 다양한 모드로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One of the differences between analog broadcasting and analog broadcasting is that digital broadcasting can support various video formats, and various video formats of digital broadcasting include resolution (high resolution or low resolution), aspect ratio mode (16: 9 or 4: 3) and spectacle modes.

즉, 사용자가 설정하는 모드에 따라 다양한 영상 포맷들을 제공할 수 있으나, 스펙터클 모드 설정시 자막이 동반되어 오는 영상을 디스플레이 할 경우 자막 또한 스펙터클 모드로 처리됨에 따라 화면 중앙에선 글자폭이 크고, 좌/우로 갈수록 글자폭이 작아지게 됨으로써 사용자가 자막을 읽을 때 불편함을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That is, various image formats can be provided according to the mode set by the user. However, when displaying the image with the subtitles when setting the spectacle mode, the subtitles are also processed in the spectacle mode, so the font width is large in the center of the screen. As the width becomes smaller toward the right, there is a problem of causing inconvenience when the user reads the subtitles.

본 발명은 스펙터클 모드에서 자막이 존재할 경우 사용자가 보다 편안하게 자막을 읽을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a user to more comfortably read subtitles when there are subtitles in the spectacle mode.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 튜너, 상기 튜너를 통해 수신된 신호에서 영상, 음성, 자막 및 부가정보등을 분리하기 위한 디먹스를 구비한 영상표시기기에서, 사용자가 요구에 따른 메뉴선택 및 디스플레이 모드 설정을 위한 키 입력부와, 상기 키 입력부를 통해 설정된 모드에 따라 차별적으로 자막을 처리하는 자막 처리부와, 상기 키 입력부를 통해 설정된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스펙터클 모드 설정시 상기 디먹스에서 분리된 영상 및 자막이 서로 다른 모드로 처리될 수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디먹스에서 분리된 영상신호 및 상기 자막 처리부에서 처리된 영상신호가 디스플레이 가능하도록 처리하는 영상신호 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그 특징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n the video display device having a tuner, a demux for separating the image, voice, subtitles and additional information from the signal received through the tuner, according to the user's request A key input unit for menu selection and display mode setting, a caption processing unit for processing subtitles according to a mode set through the key input unit, and a demux separated when the spectacle mode is set in the display mode set through the key input unit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image and the subtitle can be processed in different modes, and a video signal processing unit for processing to display the video signal separated from the demux and the video signal processed by the subtitle processing unit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unit It is configured to include its features.

바람직하게 상기 키 입력부를 통해 설정되는 디스플레이 모드로는, 영화, 확대, 16:9, 4:3, 스펙터클 모드 중 어느 하나인데 그 특징이 있다.Preferably, the display mode set through the key input unit may be any one of movie, magnification, 16: 9, 4: 3, and spectacle modes.

더 바람직하게 상기 자막 처리부는 상기 키 입력부를 통해 설정된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스펙터클 모드가 설정되면 상기 디먹스에서 분리된 자막은 16:9로 처리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More preferably, when the spectacle mode is set in the display mode set through the key input unit, the caption processing unit processes the subtitles separated from the demux to 16: 9.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자막 처리방법은 튜너, 자막처리부 및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영상표시기기의 자막 처리방법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디스플레이모드를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설정된 모드가 스펙터클모드이면 튜너를 통해 수신된 영상신호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 되는 영역중 기 설정영역에 자막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자막존재 여부에 따라 영상 및 자막이 서로 다른 모드로 처리될 수 있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포 함하여 이루어지는데 그 특징이 있다.A caption processing method of an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comprises the steps of setting a display mode desired by a user in a caption processing method of a video display device having a tuner, a caption processing unit and a display unit; If is a spectacle mode, the method determines whether a caption exists in a predetermined region among areas where an image signal received through a tuner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nd processes the image and the caption in different modes according to whether the caption exists. It is characterized by the fact that it includes processing steps to make it possible.

바람직하게 상기 자막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영상신호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하측 소정영역의 영상신호를 추출하여 수평방향의 자막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인데 그 특징이 있다.Preferably,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caption exists is a step of determining whether a caption in a horizontal direction exists by extracting a video signal of a lower predetermined area from the display unit from the received video signal.

더 바람직하게 상기 영상 및 자막이 서로 다른 모드로 처리될 수 있도록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스펙터클 모드가 설정되고, 수평방향 자막이 존재하면 자막은 16:9의 와이드 모드로 처리하고, 영상영역은 상기 설정된 스펙터클 모드로 처리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인데 그 특징이 있다.
More preferably, the process of processing the video and the subtitle in different modes may include setting the spectacle mode, and if there is a horizontal subtitle, the subtitle is processed in a wide mode of 16: 9, and the image area is set in the set mode. It is a step of processing and displaying in spectacle mod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자막 처리장치 및 방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 cap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of an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자막 처리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자막 처리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aption processing apparatus of an imag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aption processing method of the imag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자막 처리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방송신호를 선국하기 위한 튜너(100)와, 상기 튜너(100)를 통해 선국된 방송신호에서 영상, 음성, 부가정보 및 자막정보등을 분리하기 위한 디먹스(200)와, 사용자가 요구에 따른 메뉴선택 및 디스플레이 모드 설정을 위한 키 입력부(600)와, 상기 키 입력부(600)를 통해 설정된 모드에 따라 차별적으로 자막을 처리하는 자막 처리부(300)와, 상기 키 입력부(600)를 통해 설정된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스펙터클 모드 설정시 상기 디먹스(200)에서 분리된 영상 및 자막이 서로 다른 모드로 처리될 수 제어하는 제어부(700)와, 상기 제어부(700)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디먹스(200)에서 분리된 영상신호 및 상기 자막 처리부(300)에서 처리된 영상신호가 디스플레이 가능하도록 처리하는 영상신호 처리부(400)와, 정보 저장을 위한 저장부(800)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 1, a caption processing apparatus of an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uner 100 for tuning a broadcast signal received through an antenna and an image from a broadcast signal tuned through the tuner 100. Demux 200 for separating voice, additional information and subtitle information, a key input unit 600 for menu selection and display mode setting according to a user's request, and a mode set through the key input unit 600 According to the subtitle processing unit 300 to process the subtitles differently, and when the spectacle mode is set in the display mode set through the key input unit 600, the image and subtitles separated from the demux 200 may be processed in different modes. The video signal separated by the demux 200 and the video signal processed by the subtitle processing unit 300 may be displayed according to the control unit 700 for controlling the number and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unit 700. And image signal processing unit 400 for processing, is composed of a storage part 800 for storing information.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자막 처리장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같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caption processing apparatus of the video display devic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as follows.

상기 키 입력부(600)를 통해 파워 온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튜너(100)에 제어 명령을 출력함으로써,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영상신호가 디스플레이 될 수 있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한다.When a power-on command is input through the key input unit 600, the controller 700 outputs a control command to the tuner 100, thereby outputting a control signal so that an image signal received through an antenna can be displayed.

또한,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튜너(100)를 통해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부(500)에 디스플레이 하는데 있어, 사용자가 설정한 디스플레이 모드(영화, 확대, 16:9, 4:3, 스펙터클(파노라마))중에서 사용자가 설정한 모드에 따라 해당 화면이 구성될 수 있도록 상기 영상신호 처리부(400)에 제어신호를 출력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700 in displaying the image signal received through the tuner 100 on the display unit 500, the display mode set by the user (movie, zoom, 16: 9, 4: 3, The control signal is output to the video signal processor 400 so that the screen can be configured according to the mode set by the user in the spectacle.

이때, 사용자가 스펙터클(파노라마) 모드를 설정하면,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디먹스(200)를 통해 분리된 영상신호가 상기 디스플레이부(500)의 중앙은 확대시켜 디스플레이하고, 화면 양측은 축소시켜 디스플레이 한다.In this case, when the user sets the spectacle (panorama) mode, the control unit 700 displays an image signal separated by the demux 200 by enlarging the center of the display unit 500 and reducing both sides of the screen. Display it.

그러나,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부(500)의 기 설정영역에 자막이 수평방향으로 존재하게 되면, 상기 제어부(700)는 수신되는 자막을 균일한 크기로 디스플레이 하기 위해 상기 자막 처리부(300)에 제어명령을 출력하고, 이에 따라 상기 자막 처리부(300)에서는 입력되는 자막을 16:9의 와이드로 디스플레이 될 수 있도록 제어한 다.However, in this case, when the caption exists in the preset area of the display unit 50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control unit 700 issues a control command to the caption processing unit 300 to display the received caption in a uniform size. The subtitle processor 300 controls the subtitle to be displayed in a 16: 9 wide format.

즉, 상기 디스플레이부(500)의 기 설정영역으로는 하측 영역중 20%정도의 영역이며, 해당 영역에 자막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여 자막이 균일한 크기로 디스플레이 될 수 있도록 처리한다.That is, the preset area of the display unit 500 is about 20% of the lower area, an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subtitle exists in the corresponding area so that the subtitle can be displayed in a uniform size.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자막 처리방법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사용자가 파워온 명령을 입력하면 사용자가 선택한 디스플레이 모드가 스펙터클 모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01).Referring to FIG. 2, the method for processing a caption of an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firstly determine whether the display mode selected by the user is a spectacle mode (S101).

이어서 상기 판단 결과(S101), 상기 선택한 모드가 스펙터클 모드이면 디스플레이 되는 영상신호에서 기 설정영역을 추출하여 영상을 인식한다(S102). 이때, 상기 설정영역은 하측 20% 영역정도이다.Subsequently, if the selected mode is the spectacle mode, the determination result (S101) extracts a predetermined region from the displayed video signal to recognize the image (S102). At this time, the setting area is about 20% lower area.

그리고, 상기 인식된 영상에서 수평방향의 자막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03).In operation S103, it is determined whether there is a horizontal subtitle in the recognized image.

이어서 상기 판단 결과(S103), 상기 수평방향의 자막이 존재하면 수평방향 자막의 영역을 검출하고, 검출된 수평방향 영역은 등간격의 와이드(16:9) 모드로 처리하고, 이를 제외한 영상영역은 상기 사용자가 설정한 스펙터클 모드로 처리하여 디스플레이 한다(S104∼S105).Subsequently, in the determination result (S103), if there is the horizontal subtitle, a horizontal subtitle area is detected, and the detected horizontal area is processed in a wide (16: 9) mode at equal intervals, except for the image area. The display is processed in the spectacle mode set by the user (S104 to S105).

한편 상기 판단 결과(S103), 상기 수평방향의 자막이 존재하지 않으면 화면 전체영역을 스펙터클 모드로 처리하여 디스플레이 한다(S106).On the other hand, if there is no subtitl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S103), the entire screen area is processed and displayed in spectacle mode (S106).

또한 사용자가 파워 오프 명령을 입력하면 종료하고, 입력하지 않았으면 상기 단계(S101)로 복귀한다(S107). If the user inputs the power-off command, the process ends. If no user inputs the power-off command, the process returns to step S101 (S107).                     

한편 상기 판단 결과(S101),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디스플레이 모드가 스펙터클 모드가 아니면 사용자가 선택한 디스플레이 모드에 따라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한다(S108).On the other hand, if the display mode selected by the user is not a spectacle mode (S101), the image signal received according to the display mode selected by the user is displayed (S108).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자막 처리장치 및 방법은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모드에서 스펙터클 모드 설정시 수신되는 영상신호에서 기 설정영역에 자막이 존재하는지 여부에 따라 영상신호 및 자막을 서로 다른 모드로 처리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captions of an imag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based on whether or not captions exist in a predetermined region in a video signal received when the spectacle mode is set in a mode for displaying a video signal. To be handled in different modes.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자막 처리장치 및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ap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of the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스펙터클 모드가 설정되고, 디스플레이부의 기 설정영역에 자막이 존재하면 영상은 스펙터클 모드로, 자막은 와이드(16:9) 모드로 서로 다르게 처리한 후 디스플레이 함으로써 자막이 등간격으로 균일하게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First, if the spectacle mode is set in the display mode, and subtitles exist in the preset area of the display unit, the video is processed in the spectacle mode and the subtitles are processed differently in the wide (16: 9) mode. Can be displayed.

둘째, 스펙터클 모드에서도 자막이 균일하게 디스플레이 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편안하게 자막을 읽을 수 있다.Second, even in the spectacle mode, the subtitles are uniformly displayed so that the user can read the subtitles more comfortably.

셋째, 자막이 균일하게 디스플레이 됨으로써 사용자의 시청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Third, the user's viewing sensitivity can be improved by displaying the subtitles uniformly.

Claims (6)

튜너, 상기 튜너를 통해 수신된 신호에서 영상, 음성, 자막 및 부가정보등을 분리하기 위한 디먹스를 구비한 영상표시기기에서,In a video display device having a tuner, a demux for separating the video, audio, subtitles and additional information from the signal received through the tuner, 사용자 요구에 따른 메뉴선택 및 영화, 확대, 스펙터클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드 설정을 위한 키 입력부;A key input unit for menu selection according to a user's request and display mode setting of any one of movie, zoom, and spectacle modes; 상기 키 입력부를 통해 설정된 모드에 따라 차별적으로 자막을 처리하는 자막 처리부;A caption processing unit for processing subtitles differentially according to a mode set through the key input unit; 상기 키 입력부를 통해 설정된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스펙터클 모드 설정시 상기 디먹스에서 분리된 영상은 상기 설정된 스펙터클 모드로 처리하고, 상기 디먹스에서 분리된 자막은 16:9의 와이드 모드로 처리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When the spectacle mode is set in the display mode set through the key input unit, the image separated from the demux is processed in the set spectacle mode, and the subtitle separated from the demux is controlled to be processed in a wide mode of 16: 9. Control unit; And,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디먹스에서 분리된 영상신호 및 상기 자막 처리부에서 처리된 영상신호가 디스플레이 가능하도록 처리하는 영상신호 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자막 처리장치.And a video signal processor configured to process the video signal separated from the demux and the video signal processed by the subtitle processor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자막 처리부는 The caption processing unit 상기 키 입력부를 통해 설정된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스펙터클 모드가 설정되면 상기 디먹스에서 분리된 자막은 16:9로 처리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자막 처리장치.And a caption separated in the demux when the spectacle mode is set in the display mode set through the key input unit. 튜너, 자막처리부 및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영상표시기기의 자막 처리방법에서,In a caption processing method of a video display device having a tuner, a caption processing unit, and a display unit, 사용자가 원하는 영화, 확대, 스펙터클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드를 설정하는 단계;Setting a display mode of any one of a movie, zoom, and spectacle mode desired by the user; 상기 설정된 모드가 스펙터클모드이면 튜너를 통해 수신된 영상신호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 되는 영역중 기 설정영역에 자막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Determining whether a subtitle exists in a predetermined region among regions in which an image signal received through a tuner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when the set mode is a spectacle mode; And, 상기 자막존재 여부에 따라 영상은 상기 설정된 스펙터클 모드로 처리하고, 자막은 16:9의 와이드 모드로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자막 처리방법.And processing the video in the set spectacle mode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caption, and processing the video in the wide mode of 16: 9.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자막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Determining whether the subtitle exists or not 상기 수신된 영상신호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하측 소정영역의 영상신호를 추출하여 수평방향의 자막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임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자막 처리방법.And extracting a video signal of a predetermined lower area of the display unit from the received video signal to determine whether a subtitle exists in a horizontal direction. 삭제delete
KR1020040080565A 2004-10-08 2004-10-08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a) caption of (an) image display device KR10107459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0565A KR101074592B1 (en) 2004-10-08 2004-10-08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a) caption of (an) image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0565A KR101074592B1 (en) 2004-10-08 2004-10-08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a) caption of (an) image display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1508A KR20060031508A (en) 2006-04-12
KR101074592B1 true KR101074592B1 (en) 2011-10-17

Family

ID=37141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0565A KR101074592B1 (en) 2004-10-08 2004-10-08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a) caption of (an) image display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4592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1508A (en) 2006-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59230B1 (en) Method for displaying a video stream according to a customised format
JP4562606B2 (en) Receiving apparatus and receiving method
JP4956216B2 (en) Digital broadcast program display device and digital broadcast program display program
US2011025500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 of a digital video signal
EP1897368B1 (en) A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data content
KR100598223B1 (en) An image display device for having function of screen quality improvement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0848597B1 (en) Display signal control apparatus, and display signal control method
JP2000152112A (en) Program information display device and program information display method
US8004506B2 (en) Display control device, display control method, and program
KR20050019614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sition of caption
KR20090010494A (en) Method for arrangement screen size having subtitle and digital tv thereof
US20070285565A1 (en) Video display device
KR10107459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a) caption of (an) image display device
KR20100059639A (en) Method for displaying a widget and a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thereof
CN1984274A (en) Method and device for processing captions by image display device
KR10061822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a caption of an image display device
KR19980057258A (en) Subtitle Position Control Method in Zoom Mode in Wide Vision
KR101069081B1 (en) An image display device for having a function of auto zoom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0242113B1 (en) Korean character deleting device of tv set
KR100696106B1 (en) Tv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4375389B2 (en) Digital broadcast signal receiver
KR20100072681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mage displaying in image display device
JP2007240869A (en) Voice guidance output device
JP2010200085A (en) Video apparatus
KR20070038817A (en) Osd display method for screen size rati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