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4451B1 - 로봇의 유선조종장치 - Google Patents

로봇의 유선조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4451B1
KR101074451B1 KR1020090035337A KR20090035337A KR101074451B1 KR 101074451 B1 KR101074451 B1 KR 101074451B1 KR 1020090035337 A KR1020090035337 A KR 1020090035337A KR 20090035337 A KR20090035337 A KR 20090035337A KR 101074451 B1 KR101074451 B1 KR 1010744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bot
unit
terminal
cable
contro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53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16760A (ko
Inventor
정상봉
Original Assignee
(주)미니로봇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미니로봇 filed Critical (주)미니로봇
Priority to KR10200900353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4451B1/ko
Publication of KR201001167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67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44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44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5/00Manipulators mounted on wheels or on carriages
    • B25J5/02Manipulators mounted on wheels or on carriages travelling along a guidew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3/00Manipulators of master-slave type, i.e. both controlling unit and controlled unit perform corresponding spatial movements
    • B25J3/04Manipulators of master-slave type, i.e. both controlling unit and controlled unit perform corresponding spatial movements involving servo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positioning means for manipulator elements
    • B25J9/104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positioning means for manipulator elements with cables, chains or ribb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901/00Robots
    • Y10S901/01Mobile robo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bo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선으로 로봇를 조정하는 장치에 있어서 자유로운 로봇의 활동을 보장하고 로봇의 활동영역을 최대한 확장시키도록 하는 로봇의 유선조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로봇의 활동공간의 위쪽에 설치되는 레일과, 상기 레일상을 이동하는 이동브래킷과, 상기 이동브래킷에 고정되고 상기 로봇으로 전원 또는 제어신호를 전달하기 위해 회로기판에 연결되는 상부유닛과 상기 상부유닛의 아래에 상기 상부유닛에 대하여 회전이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상부유닛으로부터 상기 전원 또는 제어신호를 전달받으며 단자접속부가 형성된 하부유닛을 포함하는 회전유닛 및 로봇과 회전유닛을 연결하는 신축성케이블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Figure R1020090035337
보행로봇, 유선, 꼬임, 슬립링

Description

로봇의 유선조종장치{wire control device for mapipulating robot}
본 발명은 로봇의 유선선조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유선으로 로봇를 조정하는 장치에 있어서 자유로운 로봇의 활동을 보장하고 로봇의 활동영역을 최대한 확장시키도록 하는 로봇의 유선조종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로봇의 유선조종장치는 로봇에 전원 또는 제어신호를 전달하는 케이블이 지면에 놓여지는 형태의 것이 있는데, 이러한 형태의 유선조종장치에서는 지면에 놓여진 케이블에 로봇의 다리가 걸리는 등 로봇의 자유로운 활동을 방해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보행로봇의 경우 활동경로를 특정시키지 않고 자유롭게 임의의 경로를 이동하는 로봇의 경우 로봇이 회전하기 되면 로봇에 연결된 케이블이 비틀리거나 꼬이게 되어 케이블을 손상시키거나 로봇의 활동이 방해가 되는 경우가 많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유선으로 로봇를 조정하는 장치에 있어서 자유로운 로봇의 활동을 보장하고 로봇의 활동영역을 최대한 확장시키도록 하는 로봇의 유선조종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과제는 로봇의 활동공간의 위쪽에 설치되는 레일과, 상기 레일상을 이동하는 이동브래킷과, 상기 이동브래킷에 고정되고 상기 로봇으로 전원 또는 제어신호를 전달하기 위해 회로기판에 연결되는 상부유닛과 상기 상부유닛의 아래에 상기 상부유닛에 대하여 회전이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상부유닛으로부터 상기 전원 또는 제어신호를 전달받으며 단자접속부가 형성된 하부유닛을 포함하는 회전유닛 및 나선으로 감겨져서 신축이 가능한 케이블과 상기 케이블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형성된 상부단자와 하부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단자가 상기 로봇에 형성되는 단자접속부에 연결되고 상기 상부단자가 상기 로봇의 위쪽에 위치한 상기 회전유닛의 상기 하부유닛의 상기 단자접속부에 연결되는 것인 신축성케이블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로봇의 유선조종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상기 로봇은 보행로봇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부유닛의 상기 단자접속부는 상기 하부유닛의 저면에 형성되고, 상기 보행로봇의 상기 단자접속부는 상기 보행로봇의 등부분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 직하다.
또한 상기 하부유닛의 상기 단자접속부와 상기 보행로봇의 상기 단자접속부와 상기 신축성케이블의 상기 단자들의 결합은 상기 단자들을 상기 단자접속부들로 밀어넣으면 상기 단자들이 단자접속부에 걸리면서 빠지지 않게 체결되는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로봇의 유선선조종장치에 의하면 레일과 회전유닛 및 신축성케이블에 의해 로봇의 자유로운 움직임이 가능하며 로봇의 활동영역을 확장시켜주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로봇의 유선조종장치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로봇의 유선조종장치가 장착된 보행로봇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부분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로봇의 유선조종장치(이하 '유선조종장치'라고 함)가 설치되는 로봇은 이동이 가능한 다양한 형태의 로봇에 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보행로봇(100)에 설치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행로봇(100)은 2개 이상의 다리가 형성되며 각각의 다리는 복수의 관절을 구비하고 각각의 관절들을 복수개의 구동모터들 이 구동하여 다리에 의해 보행하는 로봇이다. 특히 도면에 도시된 보행로봇(100)은 2개의 다리를 가지고 직립보행하는 휴머노이드 보행로봇(100)으로서, 허리를 굽혀서 상체를 아래로 숙일 수도 있으며 팔을 움직여서 물체를 집을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선조종장치는 레일(1)과 레일(1)상을 미끄럼 이동하는 이동브래킷(10)과 이동브래킷(10)에 설치되는 회전유닛(20) 및 회전유닛(20)과 로봇의 사이를 연결하는 신축성케이블(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레일(1)은 로봇의 활동공간의 상부를 가로질러 설치된다.
레일(1)에는 레일(1)상에서 미끄럼 가능하게 이동브래킷(10)이 설치된다. 이동브래킷(10)에는 후술할 회전유닛(20)이 설치되고 회전유닛(20)의 옆으로 회전유닛(20)으로 전원이나 제어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회로기판(2)이 설치된다. 회로기판(2)은 로봇의 활동공간의 일측에 설치된 수신기로부터 전원 또는 제어신호를 전달받기 위해 수신기(3)와 유선(4)으로 연결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로봇의 유선조종장치를 구성하는 회전유닛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브래킷(10)에는 회전유닛(20)이 설치된다. 회전유닛(20)은 상부유닛(21)과 상부유닛(21)의 아래에 회전이 가능하게 연결되는 하부유닛(22)으로 구성된다. 회전유닛(20)의 상부유닛(21)은 이동브래킷(10)에 고정되어 있으며 로봇으로 전원 또는 제어신호를 전달하기 위해 회로기판(2)에 연결된다. 회전유닛(20)의 하부유닛(22)은 상부유닛(21)의 하부에 상부유닛(21)에 대하여 회전이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부유닛(21)으로부터 전원 또는 제어신호를 전달받으며, 하부유닛(22)의 저면에는 단자접속부(23)가 형성된 다. 이러한 회전유닛(20)을 통상 전기분야에서는 슬립링(slip ring)이라 한다. 즉 회전유닛(20)의 하부유닛(22)이 회전하더라도 하부유닛(22)은 상부유닛(21)으로부터 전원 및 제어신호를 전달받을 수 있다. 하부유닛(22)의 단자접속부(23)에 상부유닛(21)으로부터 전달받은 전원 또는 제어신호를 로봇으로 전달하기 위한 후술할 신축성케이블(30)의 단자(31)가 연결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로봇의 유선조종장치를 구성하는 신축성케이블 및 신축성케이블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축성케이블(30)은 나선상으로 감겨진 형태의 케이블로서 길이가 늘어났다가 원래길이로 복귀하는 것이며 나선상 감겨진 케이블의 간격이 넓어지면서 늘어날 수 있고 케이블이 다시 나선상으로 감겨지면서 원래길이로 복귀한다. 신축성케이블(30)의 양단에는 단자(31, 32)가 형성된다. 신축성케이블(30)의 위쪽의 단자(31)는 회전유닛(20)의 단자접속부(23)에 연결되고 아래쪽의 단자(32)는 로봇(100)에 형성된 단자접속부(110)에 연결된다. 이러한 신축성케이블(30)을 스프링케이블이라고도 한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구성을 갖는 로봇의 유선조종장치의 작용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로봇이 레일(1)이 형성된 방향을 따라 이동하면 신축성케이블(30)이 회전유닛(20)을 당기고 회전유닛(20)이 고정된 이동브래킷(10)이 레일(1)을 타고 로봇의 이동방향으로 로봇과 함께 이동한다. 이 때 신축성케이블(30)의 길이는 별로 늘어나지 않는다. 즉 이동브래킷(10)의 이동성이 로봇의 활동영역을 확장시키며 로봇의 자유로운 움직임에 도움이 된다.
로봇이 레일(1)이 형성된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신축성케이블(30)에 연결된 회전유닛(20)과 이동브래킷(10)이 레일(1)을 벗어날 수 없으므로, 로봇의 이동에 따라 신축성케이블(30)이 늘어나서 로봇의 이동을 허용한다. 즉 신축성케이블(30)의 전후좌우 유연성이 로봇의 자유로운 활동을 보장한다.
로봇이 제자리에서 또는 이동하면서 회전하는 경우에는 신축성케이블(30)이 연결된 회전유닛(20)의 하부유닛(22)이 로봇과 함께 회전한다. 신축성케이블(30)이 연결된 회전유닛(20)의 하부유닛(22)이 로봇과 함께 회전함에 따라 신축성케이블(30)은 꼬이거나 비틀리지 않는다. 따라서 로봇이 아무런 제한을 받지 않고 회전할 수 있으므로 로봇의 이동과 활동이 자유롭다.
로봇이 허리를 숙여서 지면의 물건을 집을 때에도 신축성케이블(30)이 늘어나서 로봇이 허리를 숙여서 물건을 집는 것을 방해하지 않는다. 즉 신축성케이블(30)의 상하방향 유연성이 로봇의 자유로운 활동을 보장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로봇의 유선조종장치에서 하부유닛(22)의 단자접속부(23)는 하부유닛(22)의 저면에 형성되고 보행로봇(100)의 단자접속부(110)는 보행로봇(100)의 등부분에 형성되며, 신축성케이블(30)은 감겨진 케이블의 복원력에 의해 로봇의 등부분의 접속단자로부터 위로 세워져서 배치되기 때문에 로봇의 팔이나 다리에 걸리지 않게 된다. 따라서 로봇의 자유로움 움직임이 방해되지 않는다. 만약 신축성케이블(30)이 아니라면 로봇의 위치에 따라 케이블이 아래로 늘어지거나 처져서 로봇의 팔이나 다리에 걸릴 수 있으며 로봇의 자유로운 이동이나 활동에 방해가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로봇의 유선조종장치에서 신축성케이블(30)의 단자는 하부유닛(22)이나 보행로봇(100)의 단자접속부(23)에 밀어넣으면 체결되어 빠지지 않게 되는 원터치식 커넥터를 사용하였기 때문에 유선조종장치나 로봇에 이상이 발생하였을 때에 빠르게 로봇이나 신축성케이블(30)을 분리하여 수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로봇의 유선조종장치가 장착된 보행로봇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부분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로봇의 유선조종장치를 구성하는 회전유닛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로봇의 유선조종장치를 구성하는 신축성케이블 및 신축성케이블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Claims (4)

  1. 전원을 공급받아서 다리를 움직여서 보행하는 로봇(100)의 활동공간의 위쪽에 설치되는 레일(1);
    상기 레일(1)에 미끄럼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브래킷(10);
    상기 이동브래킷(10)에 고정되고 상기 로봇(100)으로 전원 또는 제어신호를 전달하기 위해 회로기판(2)에 연결되는 상부유닛(21)과 상기 상부유닛(21)의 아래에 상기 상부유닛(21)에 대하여 회전이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상부유닛(21)으로부터 상기 전원 또는 제어신호를 전달받으며 단자접속부(23)가 형성된 하부유닛(22)을 포함하는 회전유닛(20); 및
    나선으로 감겨져서 신축이 가능한 케이블과 상기 케이블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형성된 단자(31, 32)를 포함하며, 상기 하단에 형성된 단자(32)가 상기 로봇(100)의 등부분에 형성되는 단자접속부(110)에 연결되고 상기 상단에 형성된 단자(31)가 상기 로봇(100)의 위쪽에 위치한 상기 하부유닛(22)의 상기 단자접속부(23)에 연결되는 것인 신축성케이블(30)을 포함하고,
    상기 로봇(100)이 이동하여 상기 신축성케이블(30)이 당겨지면 상기 이동브래킷(10)이 상기 레일(1)을 타고 이동하며,
    상기 신축성케이블(30)은 나선으로 감겨진 구조에 의한 복원력에 의해 상기 로봇(100)의 상기 단자접속부(110)의 위쪽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의 유선조종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유닛(22)의 상기 단자접속부(23)와 상기 로봇(100)의 상기 단자접속부(110)와 상기 신축성케이블(30)의 상기 단자들(31, 32)의 결합은 상기 단자들(31, 32)을 상기 단자접속부들(23, 110)로 밀어넣으면 상기 단자들(31, 32)이 상기 단자접속부들(23, 110)에 걸리면서 빠지지 않게 체결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의 유선조종장치.
KR1020090035337A 2009-04-23 2009-04-23 로봇의 유선조종장치 KR1010744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5337A KR101074451B1 (ko) 2009-04-23 2009-04-23 로봇의 유선조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5337A KR101074451B1 (ko) 2009-04-23 2009-04-23 로봇의 유선조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6760A KR20100116760A (ko) 2010-11-02
KR101074451B1 true KR101074451B1 (ko) 2011-10-18

Family

ID=434035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5337A KR101074451B1 (ko) 2009-04-23 2009-04-23 로봇의 유선조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445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41168A (zh) * 2021-10-18 2021-11-12 珠海进田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分布式线控器测试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11625B1 (en) 1999-12-15 2001-11-06 Meyer Ostrobrod Horizontal lifeline traversing device
JP2002137180A (ja) 2000-10-30 2002-05-14 Hitachi Ltd 遠隔移動ロボット
JP2005251707A (ja) * 2004-03-02 2005-09-15 Toyo Connector Co Ltd 同軸ケーブル用コネクタ及び同軸ケーブル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11625B1 (en) 1999-12-15 2001-11-06 Meyer Ostrobrod Horizontal lifeline traversing device
JP2002137180A (ja) 2000-10-30 2002-05-14 Hitachi Ltd 遠隔移動ロボット
JP2005251707A (ja) * 2004-03-02 2005-09-15 Toyo Connector Co Ltd 同軸ケーブル用コネクタ及び同軸ケーブル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41168A (zh) * 2021-10-18 2021-11-12 珠海进田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分布式线控器测试系统
CN113641168B (zh) * 2021-10-18 2021-12-17 珠海进田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分布式线控器测试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6760A (ko) 2010-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42781B2 (en) Robot
RU2015141700A (ru) Шарнирно поворачиваемые хирургические инструменты с проводящими путями для передачи сигналов
JP3844473B2 (ja) 移動ロボットの充電装置
CN100522507C (zh) 机器人灵巧手手指内集成电路板之间的柔性连线结构
CN206811974U (zh) 一种列车检修机器人
US9346653B1 (en) Cord retractor
KR20100053005A (ko) 조인트유닛의 전기연결장치와 이를 구비한 로봇
TWI628676B (zh) 纜線
EP0895574A4 (en) DEVICE FOR MEASURING SPATIAL COORDINATES
KR102009311B1 (ko) 로봇 핸드
US10337650B2 (en) Cable management system for telescoping assembly
US5384431A (en) Joint assembly for power and signal coupling between relatively rotatable structures
CN109952175B (zh) 利用线的机器人关节驱动装置、包括此的内窥镜机器人装置及医疗用机器人装置
CN107847092A (zh) 具有铰接吸头的吸尘器
KR101074451B1 (ko) 로봇의 유선조종장치
CN102573684A (zh) 具有自由转动的医疗装置组件
CN107981932A (zh) 一种泌尿外科手术机器人机械臂
KR101075522B1 (ko) 스프링 백본을 사용한 핑거 로봇
CN107000219A (zh) 对人类特点的机器人的组装的改进
KR100890197B1 (ko) 회전체 전용 케이블 보호장치
US6183263B1 (en) Articulate electric connector
JPH0753220Y2 (ja) フラットケーブル
KR101818739B1 (ko) 전원 전달 기구 및 이를 이용한 딸기 수확 장치
KR100987792B1 (ko) 광소자를 이용한 슬립링
JP7290475B2 (ja) ロボ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