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4115B1 - 계층 변조가 적용된 지상파 dmb 시스템에서 변조 모드 검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계층 변조가 적용된 지상파 dmb 시스템에서 변조 모드 검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4115B1
KR101074115B1 KR1020080130651A KR20080130651A KR101074115B1 KR 101074115 B1 KR101074115 B1 KR 101074115B1 KR 1020080130651 A KR1020080130651 A KR 1020080130651A KR 20080130651 A KR20080130651 A KR 20080130651A KR 101074115 B1 KR101074115 B1 KR 1010741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sequence
modulation
correlation
cro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06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71810A (ko
Inventor
배재휘
김영수
임종수
이수인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801306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4115B1/ko
Publication of KR201000718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18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41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41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65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for broadcast
    • H04H20/71Wireless systems
    • H04H20/72Wireless systems of terrestrial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40/00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broadcast information
    • H04H40/18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 H04H40/27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ystems covered by groups H04H20/53 - H04H20/95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61Arrangements for services using the result of monitoring, identification or recognition covered by groups H04H60/29-H04H60/54
    • H04H60/65Arrangements for services using the result of monitoring, identification or recognition covered by groups H04H60/29-H04H60/54 for using the result on users' si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10Frequency-modulated carrier systems, i.e. using frequency-shift key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18Phase-modulated carrier systems, i.e. using phase-shift key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0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1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 H04H2201/11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igital Transmission Methods That Use Modulated Carrier Waves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계층 변조가 적용된 지상파 DMB 시스템에서 변조 모드 검출 신호를 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수신된 방송 신호로부터 계층 변조가 적용되지 않는 신호 구간을 검출한 뒤, 사전에 설정된 시퀀스와 상호 상관을 수행하고, 상호 상관의 결과 값을 이용하여, 변조 모드를 검출하는 변조 모드 검출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수신된 방송 신호로부터 계층 변조가 적용되지 않는 신호 구간을 검출하는 신호 검출 수단; 사전에 설정된 시퀀스와 검출된 신호 구간 사이의 상호 상관을 수행하는 시퀀스 검출 수단; 및 상호 상관의 결과 값을 이용하여, 변조 모드를 검출하는 모드 판정 수단을 포함하는 변조 모드 검출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계층 변조를 위하여 방송 신호에서 새롭게 추가된 신호에 적용된 변조 모드를 용이하게 검출할 수 있으며, 데이터 송수신에 복수 개의 변조 방식을 동시에 적용시킬 수 있어 데이터 송수신률이 향상될 수 있다.
Figure R1020080130651
DMB, T-DMB, 계층 변조, PN 시퀀스, PRS, 성상비

Description

계층 변조가 적용된 지상파 DMB 시스템에서 변조 모드 검출 방법 및 장치{Modulation Mode Detection Method and Structure for Hierarchically Modulated Terrestrial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ystem}
본 발명은 계층 변조가 적용된 지상파 DMB 시스템에서 변조 모드 검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지상파 DMB 시스템에서 채널 전송률을 높이기 위하여 계층 변조가 적용된 방송 신호가 전송되는 경우, 수신단에서 새롭게 추가되는 신호에 적용된 변조 모드를 효과적으로 검출하기 위한 변조 모드 검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지식경제부 및 정보통신연구진흥원의 정보통신표준개발지원사업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과제관리번호: 2006-S-017-03, 과제명: 지상파 DMB 전송 고도화 기술개발].
전자, 통신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에 따라 무선 통신망(Wireless Telecommunication Network)을 이용한 각종 무선 통신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이동통신 단말기 등의 이동형 수신기나 차량형 수신기 등을 이용하여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고화질의 텔레비전, 동영상을 제공받을 수 있는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DMB 서비스는 위성 DMB(S-DMB: Satellite-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와 지상파 DMB(T-DMB: Terrestrial-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로 분류된다. 위성 DMB는 방송 위성을 이용하여 이동중인 수신기에 DMB 방송 신호를 전송하는 방식이고, 지상파 DMB는 지상에 위치한 송신기를 이용하여 이동중인 수신기에 DMB 방송 신호를 전송하는 방식이다.
이와 같은 지상파 DMB는 1.5MHz의 대역폭을 이용하고, 약 1Mbps의 전송률을 가지며, CIF(Common Interleaved Frame) 급의 화질로 이동 멀티미디어 방송을 실시한다.
지상파 DMB의 서비스 품질을 SD급으로 서비스하거나, 서비스 채널 개수를 늘리기 위해서는 더 높은 채널 전송률이 필요하며, 이에 따라 지상파 DMB 시스템에 계층 변조 기법을 도입하여, 기존의 지상파 DMB 시스템과 역호환성(Backward Compatibility)을 유지하면서 동일한 주파수 대역폭에 대해 전송률이 더 높은 이동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
계층 변조 기법은 기존의 지상파 DMB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신에 사용되는 차동 4위상 편이 변조(DQPSK: Differential 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이하 'DQPSK'라 칭함) 신호에 새로 직교 위상 편이 변조(QPSK: 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이하 'QPSK'라 칭함) 신호 또는 DQPSK 변조 신호를 추가함으로써, 데이터 전송률(Data Rate)을 최대 2배까지 늘리는 방법이다.
기존의 지상파 DMB 시스템에서는 DQPSK 변조 하나만 사용되지만, 이와 같이 계층 변조가 적용된 지상파 DMB 시스템(이하, '계층 변조 지상파 DMB 시스템'이라 칭함)에서는 하나 이상의 변조 방식 및 계층 변조 계수가 사용될 수 있다. 계층 변조 지상파 DMB 시스템에서는 사용되는 변조 방식과 계층 변조 계수 조합에 따라, 여러 가지 변조 모드를 가질 수 있다.
기존의 지상파 DMB 시스템에서는 변조 방식 및 계층 변조 계수의 검출을 위하여 DVB-H 방식이나 MediaFLO 방식이 사용된다.
DVB-H 방식은 전송 파라미터 심볼(TPS: Transmission Parameter Symbol) 내에 계층 변조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으로서, 송신단에서 68개의 비트 중, 25~26번 비트에 변조 방식에 대한 정보를 포함시키고, 27~29번 비트에는 계층 변조 정보를 포함시켜 전송하면, 수신단에서 전송 파라미터 심볼의 확인을 통해 변조 방식 및 계층 변조 정보를 검출하는 방법이다.
MediaFLO 방식은 변조 방식, 보호구간 길이 및 계층 변조 정보를 전송하기 위하여 별도의 OFDM 심볼을 정의하여 데이터 프레임에 삽입시키는 방법이다. MediaFLO 방식에서는 수퍼 프레임(Super Frame) 내에 한 개의 OFDM 심볼로 구성되는 시분할 멀티플렉싱(TDM: Time Division Multiplexing) 파일롯 채널과, 두 개의 OFDM 심볼로 구성되는 신호 파라미터 채널(SPC: Signaling Parameter Channel)을 통해 변조 모드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변조 방식과 계층 변조 계수 조합에 따라 여러 가지 변조 모드를 갖는 계층 변조 지상파 DMB 시스템에서, 수신단은 DVB-?H 방식을 통해서는 계층 변조 계수를 검출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MediaFLO 방식을 이용하기 위하여, 송신 신호에 변조 방식 및 계층 변조 계수 검출을 위한 새로운 OFDM 심볼을 추가하 는 것은, 기존의 지상파 DMB 시스템과의 역호환성 측면에서 적용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와 같이 계층 변조 지상파 DMB 시스템에서 새로 추가되는 신호의 변조 방식 및 계층 변조 계수의 검출이 불가능하거나,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발생함에 따라, 수신단에서 새로 추가된 신호에 적용된 변조 방식 및 계층 변조 계수를 효율적으로 검출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계층 변조 지상파 DMB 시스템에서 새롭게 추가되는 신호에 적용된 변조 모드를 수신단에서 효과적으로 검출하기 위한 변조 모드 검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변조 모드 검출 방법은 계층 변조 기법이 적용된 이동 방송 시스템을 통하여 수신된 방송 신호로부터 변조 모드를 검출하는 방법으로서, (a) 수신된 방송 신호로부터 계층 변조가 적용되지 않는 신호 구간을 검출하는 단계; (b) 사전에 설정된 시퀀스와 검출된 신호 구간 사이의 상호 상관을 수행하는 단계; 및 (c) 상호 상관의 결과 값을 이용하여, 변조 모드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변조 모드 검출 장치는 계층 변조 기법이 적용된 이동 방송 시스템을 통하여 수신된 방송 신호로부터 변조 모드를 검출하는 장 치로서, 수신된 방송 신호로부터 계층 변조가 적용되지 않는 신호 구간을 검출하는 신호 검출 수단; 사전에 설정된 시퀀스와 검출된 신호 구간 사이의 상호 상관을 수행하는 시퀀스 검출 수단; 및 상호 상관의 결과 값을 이용하여, 변조 모드를 검출하는 모드 판정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계층 변조 기법이 적용된 지상파 DMB 시스템에서 본 발명에 따른 검출 방법에 이용하면, 계층 변조를 위하여 새롭게 추가된 신호에 적용된 변조 방식 및 계층 변조 계수를 용이하게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응용하여, 지상파 DMB 시스템에서 복수 개의 변조 방식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어, 데이터 송수신률을 추가로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채널 전송률을 향상시키기 위한 지상파 DMB 시스템의 계층 변조를 위하여, 지상파 DMB 시스템에서는 기존의 서비스 제공 신호(HP: High Priority, 이하 'HP 신호'라 칭함)에 새로 추가되는 신호(LP: Low Priority, 이하 'LP 신호'라 칭함)를 더하여 계층 변조 신호를 만들어야 한다. 이에 따라, 계층 변조 신호는 다음의 수학식 1과 같이 표현된다.
S H (n) = S hp (n) + S lp (n), (여기서, S H (n)는 계층 변조 신호, S hp (n)는 HP 신호, S lp (n)는 LP 신호임)
이 때, LP 신호(S lp (n))는 기존 지상파 DMB 시스템과의 역호환성(Backward Compatibility)을 유지해야 하며, 이를 위하여 LP 신호(S lp (n))의 크기를 HP 신호(S hp (n))의 크기보다 작게 하여, 기존의 지상파 DMB 신호의 수신에 미치는 영향이 작게 해야 한다. 이에 따라, LP 신호의 크기는 HP 신호의 크기에 대비하며, 계층 변조 계수에 의하여 정의된다.
이와 같은 LP 신호에는 DVB-H 및 MediaFLO에서 이용하는 진폭 및 위상 변조 가 모두 사용되는 QAM(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변조 방식 또는 진폭 변조만 사용되는 ADPSK(Amplitude Differential Phase Shift Keying)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QAM 변조 방식이 적용된 지상파 DMB 신호의 성상을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2는 ADPSK 변조 방식이 적용된 지상파 DMB 신호의 성상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여기서, 도 1A 및 도 2A는 지상파 DMB 신호에서의 홀수 심볼 성상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1B 및 도 2B는 지상파 DMB 신호에서의 짝수 심볼 성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있어서, a는 지상파 DMB 신호의 성상군 사이의 간격이며, b는 지상파 DMB 신호의 각 성상 간의 간격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도 1과 같이 도시되는 QAM 변조 방식에서 계층 변조 계수(α)는 수학식 2에 따라 산출될 수 있다.
계층 변조 계수(α) = b/a
도 2에 있어서, A는 중심에서 성상군까지의 간격이며, d는 각 성상 간의 간격을 의미한다. 도 2와 같이 도시되는 ADPSK 변조 방식에서의 계층 변조 계수(μ)는 수학식 3에 따라 산출될 수 있다.
계층 변조 계수(μ) = A/d
여기서, LP 신호에 계층 변조 방식을 적용함에 있어서,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QAM 변조 방식이나, ADPSK 변조 방식 외에도, 위상 변조만 사용하는 PSK(Phase Shift Keying) 계열의 계층 변조 방식 등 다양한 변조 방식이 적용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계층 변조 지상파 DMB 시스템에서 송신단은 효과적인 LP 신호의 변조 모드 검출을 위하여, 유일하게 계층 변조가 적용되지 않는 가상 랜덤 시퀀스(PRS: Pseudo Random Sequence, 이하 'PRS'라 칭함) 신호에, 지상파 DMB 신호의 수신에 영향을 받지 않는 크기의 PN(Pseudo-random Number) 시퀀스를 시간 영역에서 추가하여 전송한다.
이 때, PRS 신호에 PN 시퀀스를 추가함에 있어서, PRS 신호를 시간 간격으로 나눈 후, 한 개의 PN 시퀀스를 시간 간격으로 나뉘어진 각각의 PRS 신호에 추가하는 방법과, 각각 상이한 하나 이상의 PN 시퀀스를 시간 간격으로 분할된 각각의 PRS 신호에 각각 추가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PRS 신호에 PN 시퀀스가 추가된 지상파 DMB 신호가 생성되면, 생성된 지상파 DMB 신호를 수신단으로 송출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계층 변조 지상파 DMB 시스템의 수신단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신단은 수신되는 지상파 DMB 신호로부터 HP 데이터를 검출하는 HP 신호 처리부(100), 계층 변조에 사용된 변조 모드를 검출하는 모드 판정부(200) 및 지상파 DMB 신호로부터 LP 데이터를 검출하는 LP 신호 처리 부(300)를 포함한다.
HP 신호 처리부(100)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OFDM: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변조된 지상파 DMB 신호를 복조시키는 OFDM 복조기(OFDM Demodulator, 110), OFDM 복조된 지상파 DMB 신호에 대한 주파수 및 시간 동기를 수행하는 동기화 장치(120), 동기화 절차가 수행된 지상파 DMB 신호에 대한 DPQSK 복조를 수행하는 DPQSK 복조기(DPQSK Demodulator, 130), DPQSK 복조된 지상파 DMB 신호에 대한 인터리빙(Interleaving)을 수행하는 주파수 인터리버(Frequency Interleaver, 140), 직교 위상 편이 변조를 위하여 QPSK 매핑된 신호로부터 매핑 정보를 획득하여 역매핑시키는 디매퍼(Demapper, 150), 다중화된 신호 중 하나의 신호만을 출력시키는 전송 프레임 디먹스(Transmission Frame Demux, 160) 및 출력된 신호의 오류 검출 및 정정을 수행하여 HP 데이터를 검출하는 비터비 복호기(Viterbi Decoder, 17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드 판정부(200)는 PRS 신호 검출 모듈(210), PN 시퀀스 검출 모듈(220), 에너지/피크값 검출 모듈(230) 및 모드 판정 모듈(240)을 포함한다.
PRS 신호 검출 모듈(210)은 HP 신호 처리부(100)의 동기화 장치(120)로부터 출력되는 지상파 DMB 신호로부터 PRS 신호를 검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PN 시퀀스 검출 모듈(220)은 PRS 신호 검출 모듈(210)에서 검출된 PRS 신호와 사전에 설정된 PN 시퀀스에 대한 상호 상관을 취하여, 상호 상관 값을 산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때, PRS 신호와 PN 시퀀스 신호 사이의 상호 상관을 수행함에 있어서, PRS 신호 전체 구간에 대하여 PN 시퀀스와의 상호 상관을 취할 수도 있으며, PRS 신호 구간을 몇 개로 나누고, 나누어진 PRS 신호 구간을 각각 PN 시퀀스와 상호 상관을 취할 수도 있다. 여기서, PN 시퀀스 검출 모듈(220)의 기능 및 구성에 대해서는 도 4 내지 도 7을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에너지/피크값 검출 모듈(230)은 PN 시퀀스 검출 모듈(220)로부터 검출된 상호 상관 값을 이용하여 에너지 값을 산출하거나, 피크(Peak) 값을 산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모드 판정 모듈(240)은 PN 시퀀스 검출 모듈(220)에서 수행되는 PRS 신호와 PN 시퀀스와의 상호 상관 결과, 에너지/피크값 검출 모듈(230)에서 계산된 에너지 값 또는 피크 값을 이용하여, 계층 변조에 사용된 PN 시퀀스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PN 시퀀스의 존재 여부 판단을 통하여 지상파 DMB 신호의 전송에 사용된 변조 모드, 즉, LP 신호에 대한 변조 방식 및 계층 변조 계수를 검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모드 판정 모듈(240)에서는 검출된 변조 방식, 계층 변조 계수, 수신된 지상파 DMB 신호, PRS 신호 및 PN 시퀀스의 상호 상관 결과 등을 LP 신호 처리부(300)로 전달한다.
LP 신호 처리부(300)는 모드 판정부(200)로부터 수신된 신호로부터 LP 신호를 추출하는 LP 신호 추출기(LP Signal Extraction, 310), LP 신호 추출기(310)로부터 추출된 신호의 감쇄 또는 지연된 부분을 정상적인 신호로 복원시키는 채널 등화기(Channel Equalizer, 320), 채널 등화기(320)에 의해 복원된 LP 신호에 대한 DPQSK 복조를 수행하는 복조기(Demodulator, 330), 복조된 LP 신호에 대한 인터리빙을 수행하는 주파수 인터리버(340), 직교 위상 편이 변조를 위하여 QPSK 매핑된 신호로부터 매핑 정보를 획득하여 역매핑시키는 디매퍼(350), 다중화된 신호 중 하나의 신호만을 출력시키는 전송 프레임 디먹스(360) 및 출력된 신호의 오류 검출 및 정정을 수행하여 LP 데이터를 검출하는 비터비 복호기(370)를 포함한다.
여기서, PN 시퀀스 검출 모듈(220)에서 PRS 신호와 PN 시퀀스를 상호 상관시킴에 있어서, PRS 신호 전체 구간에 대해 PN 시퀀스와 상호 상관을 취할 수도 있으며, PRS 신호 구간을 몇 개로 분할한 후, 분할된 각각의 PRS 신호 구간에 대해 PN 시퀀스와 각각 상호 상관을 취할 수도 있다. 또한, 하나의 동일한 PN 시퀀스 신호를 이용하여 PRS 신호와의 상호 상관을 취할 수도 있으며, 각각 상이한 다수의 PN 시퀀스 신호를 이용하여 PRS 신호와의 상호 상관을 취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PRS 신호와 PN 시퀀스 신호를 상호 상관에 있어서, 4가지 종류의 상호 상관 방법이 수행될 수 있다.
도 4는 하나의 PN 시퀀스를 이용하여 전체 PRS 구간에 대한 상호 상관을 수행하는 PN 시퀀스 검출 모듈의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PN 시퀀스 검출 모듈(220)은 PN 시퀀스 제공 모듈(410) 및 교차 상관 모듈(420)을 포함한다.
PN 시퀀스 제공 모듈(410)은 계층 변조 지상파 DMB 시스템에서 송신단과 수신단 사이에 사전에 설정되어 있는 PN 시퀀스를 교차 상관 모듈(420)로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교차 상관 모듈(420)은 PRS 신호 검출 모듈(210)에서 검출된 PRS 신호와, PN 시퀀스 제공 모듈(410)에서 제공되는 PN 시퀀스의 상호 상관을 수행하여, 상호 상관 값을 산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산출되는 상호 상관 값을 이용하여, 수신된 지상파 DMB 신호의 계층 변조를 위하여 사용된 PN 시퀀스의 존재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송신단에서 지상파 DMB 신호에 포함되는 LP 신호에 대하여 계층 변조를 수행함에 있어서, PN 시퀀스에 사전에 설정된 특정 값이 곱해진 후, PRS 신호에 삽입되는 과정이 포함된다. 이 때, 계층 변조를 위하여 PRS 신호에 삽입되는 PN 시퀀스는 HP 신호의 복조에 영향을 주면 안 되므로, PN 시퀀스에 곱해지는 값은 0과 1 사이의 값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송신단에서 계층 변조를 위하여 PRS 신호에, 사전에 설정된 특정 값이 곱해진 PN 시퀀스를 삽입함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신단의 PN 시퀀스 제공 모듈(410)에서 교차 상관 모듈(420)로 PN 시퀀스를 제공함에 있어서, 사전에 설정된 특정 값만큼 곱해진 PN 시퀀스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 있어서, 교차 상관 모듈(420)로 제공되는 PN 시퀀스에 곱해지는 특정 값을 'K'로 칭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하나의 PN 시퀀스를 이용하여 여러 개로 분할된 PRS 구간에 대한 상호 상관을 수행하는 PN 시퀀스 검출 모듈의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PN 시퀀스 검출 모듈(220)은 PN 시퀀스 제공 모듈(410), PRS 신호 간격 분배 모듈(510), 하나 이상의 PRS 신호 처리 모듈(520 내지 524), 하나 이상의 교차 상관 모듈(530 내지 534) 및 합산기(540)를 포함한다.
도 5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PRS 신호 구간이 시간 간격에 따라 3개의 PRS 신호 구간으로 분할되고, 분할된 각각의 PRS 신호 구간에 대하여 PN 시퀀스와의 상호 상관 값이 산출되는 경우의 PN 시퀀스 검출 모듈(220)이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PN 시퀀스 검출 모듈(220)에는 3개의 PRS 신호 처리 모듈, 3개의 교차 상관 모듈 및 한 개의 합산기가 포함된다.
PN 시퀀스 제공 모듈(410)은 송신단과 수신단 사이에 사전에 설정되어 있는 PN 시퀀스를 제1 교차 상관 모듈(530) 내지 제3 교차 상관 모듈(534)로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PRS 신호 간격 분배 모듈(510)은 PRS 신호 검출 모듈(210)에 의하여 검출된 PRS 신호의 구간을 사전에 설정된 시간 간격에 따라 분할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도 5에 따른 PN 시퀀스 검출 모듈(220)에서 PRS 신호 간격 분배 모듈(510)은 PRS 신호 구간을 3개의 PRS 신호 구간으로 분할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PRS 신호 간격 분배 모듈(510)에 의하여 분할된 각각의 PRS 신호 구간을 제1 PRS 신호, 제2 PRS 신호 및 제3 PRS 신호라 칭하기로 한다.
PRS 신호 처리 모듈(520 내지 524)은 PRS 신호 간격 분배 모듈(510)에 의하여 분할된 제1 PRS 신호, 제2 PRS 신호 및 제3 PRS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모듈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1 PRS 신호, 제2 PRS 신호 및 제3 PRS 신호를 처리하는 PRS 신호 처리 모듈(520 내지 524)을 각각 제1 PRS 신호 처리 모듈(520), 제2 PRS 신호 처리 모듈(522) 및 제3 PRS 신호 처리 모듈(524)이라 칭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1 교차 상관 모듈(530) 내지 제3 교차 상관 모듈(534)은 PN 시퀀스 제공 모듈(410)로부터 제공되는 PN 시퀀스를 수신하여, 제1 PRS 신호 처리 모듈(520) 내지 제3 PRS 신호 처리 모듈(524)로부터 출력되는 제1 PRS 신호 내지 제3 PRS 신호와 각각 상호 상관을 수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 때, 제1 교차 상관 모듈(530) 내지 제3 교차 상관 모듈(534)로 제공되는 PN 시퀀스는 사전에 설정된 특정 값인 'K'만큼 곱해져서 제공된다.
합산기(540)는 제1 교차 상관 모듈(530) 내지 제3 교차 상관 모듈(534)로부터 각각 출력되는 상호 상관 값을 합하여, PRS 신호 전체에 대한 상호 상관 값을 산출하고, 산출된 상호 상관 값을 에너지/피크값 검출 모듈(230)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6은 각각 상이한 다수의 PN 시퀀스를 이용하여 전체 PRS 구간에 대한 상호 상관을 수행하는 PN 시퀀스 검출 모듈의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PN 시퀀스 검출 모듈(220)은 하나 이상의 PN 시퀀스 제공 모듈(610 내지 614), 하나 이상의 교차 상관 모듈(620 내지 624) 및 합산기(540)를 포함한다.
도 6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전체 PRS 구간에 대하여 3개의 PN 시퀀 스를 이용한 상호 상관이 수행되는 경우의 PN 시퀀스 검출 모듈(220)의 구조가 도시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PN 시퀀스 검출 모듈(220)은 3개의 PN 시퀀스 제공 모듈, 3개의 교차 상관 모듈 및 한 개의 합산기를 포함한다.
제1 PN 시퀀스 제공 모듈(610)은 PRS 신호와의 상호 상관을 위하여 사전에 설정된 PN 시퀀스를 제1 교차 상관 모듈(620)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 때, 제1 교차 상관 모듈(620)로 PN 시퀀스를 제공함에 있어서, 사전에 설정된 특정 값을 PN 시퀀스에 곱하여 제공한다. 여기서, 제1 PN 시퀀스 제공 모듈(610)에서 제공되는 PN 시퀀스에 곱해지는 상수를 K1이라고 하며, 제1 PN 시퀀스 제공 모듈(610)에 의하여, K1이 곱해진 PN 시퀀스를 '제1 PN 시퀀스'라고 부르기로 한다.
제2 PN 시퀀스 제공 모듈(612)은 PRS 신호와의 상호 상관을 위하여 사전에 설정된 PN 시퀀스를 제2 교차 상관 모듈(622)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 때, 제2 교차 상관 모듈(622)로 PN 시퀀스를 제공함에 있어서, 사전에 설정된 특정 값을 PN 시퀀스에 곱하여 제공한다. 여기서, 제2 PN 시퀀스 제공 모듈(612)에서 제공되는 PN 시퀀스에 곱해지는 상수를 K2라고 하며, 제2 PN 시퀀스 제공 모듈(612)에 의하여 K2가 곱해진 PN 시퀀스를 '제2 PN 시퀀스'라고 부르기로 한다.
제3 PN 시퀀스 제공 모듈(614)은 PRS 신호와의 상호 상관을 위하여 사전에 설정된 PN 시퀀스를 제3 교차 상관 모듈(624)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 때, 제3 교차 상관 모듈(624)로 PN 시퀀스를 제공함에 있어서, 사전에 설정된 특정 값을 PN 시퀀스에 곱하여 제공한다. 여기서, 제3 PN 시퀀스 제공 모듈(614)에서 제공 되는 PN 시퀀스에 곱해지는 상수를 K3이라고 하며, 제3 PN 시퀀스 제공 모듈(614)에 의하여 K3이 곱해진 PN 시퀀스를 '제3 PN 시퀀스'라고 부르기로 한다.
여기서, 제1 PN 시퀀스 제공 모듈(610) 내지 제3 PN 시퀀스 제공 모듈(614)에서 제공되는 제1 PN 시퀀스 내지 제3 PN 시퀀스는 각각 상이한 값을 갖도록 설정될 수도 있고, 모두 동일한 값을 가지도록 설정할 수도 있으며, 일부만 동일한 값을 갖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즉, 제1 PN 시퀀스 제공 모듈(610) 내지 제3 PN 시퀀스 제공 모듈(614)에서 PN 시퀀스에 각각 곱해지는 K1 내지 K3 사이에는 K1 = K2 = K3, K1 = K2 ≠ K3, K1 ≠ K2 = K3, K1 = K3 ≠ K2 또는 K1 ≠ K2 ≠ K3 중 하나의 관계가 설정될 수 있다. 이 때, K1 내지 K3는 0과 1 사이의 값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교차 상관 모듈(620)은 PRS 신호 검출 모듈(210)에서 검출된 PRS 신호와 제1 PN 시퀀스 제공 모듈(610)에서 제공되는 제1 PN 시퀀스를 상호 상관시켜, PRS 신호에 대한 제1 PN 시퀀스의 상호 상관 값을 산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2 교차 상관 모듈(622)은 PRS 신호 검출 모듈(210)에서 검출된 PRS 신호와 제2 PN 시퀀스 제공 모듈(612)에서 제공되는 제2 PN 시퀀스를 상호 상관시켜, PRS 신호에 대한 제2 PN 시퀀스의 상호 상관 값을 산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3 교차 상관 모듈(624)은 PRS 신호 검출 모듈(210)에서 검출된 PRS 신호와 제3 PN 시퀀스 제공 모듈(614)에서 제공되는 제3 PN 시퀀스를 상호 상관시켜, PRS 신호에 대한 제3 PN 시퀀스의 상호 상관 값을 산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합산기(540)는 제1 교차 상관 모듈(620) 내지 제3 교차 상관 모듈(624)로부터 출력되는 각각의 상호 상관 값을 합산하여, 에너지/피크값 검출 모듈(230)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7은 여러 개로 분할된 PRS 구간에 각각 상이한 다수의 PN 시퀀스를 이용하여 상호 상관을 수행하는 PN 시퀀스 검출 모듈의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PN 시퀀스 검출 모듈(220)은 하나 이상의 PN 시퀀스 제공 모듈(610 내지 614), PRS 신호 간격 분배 모듈(510), 하나 이상의 PRS 신호 처리 모듈(520 내지 524), 하나 이상의 교차 상관 모듈(710 내지 714) 및 합산기(540)를 포함한다.
도 7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시간 간격에 의하여 3개의 구간으로 분할된 각각의 PRS 신호와, 각각 상이한 값을 갖는 3개의 PN 시퀀스에 대한 상호 상관이 각각 수행되는 경우의 PN 시퀀스 검출 모듈(220)의 구조가 도시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PN 시퀀스 검출 모듈(220)은 3개의 PN 시퀀스 제공 모듈, 3개의 PRS 신호 처리 모듈, 3개의 교차 상관 모듈 및 한 개의 합산기를 포함한다.
여기서, PRS 신호 간격 분배 모듈(510), 제1 PRS 신호 처리 모듈(520) 내지 제3 PRS 신호 처리 모듈(524), 제1 PN 시퀀스 제공 모듈(610) 내지 제3 PN 시퀀스 제공 모듈(614)의 기능은 앞서 도 5 및 도 6에 언급된 기능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1 교차 상관 모듈(710)은 제1 PRS 신호 처리 모듈(520)로부터 전달되는 제 1 PRS 신호와 제1 PN 시퀀스 제공 모듈(610)로부터 제공되는 제1 PN 시퀀스를 상호 상관시켜, 제1 PRS 신호에 대한 제1 PN 시퀀스의 상호 상관 값을 산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2 교차 상관 모듈(712)은 제2 PRS 신호 처리 모듈(522)로부터 전달되는 제2 PRS 신호와 제2 PN 시퀀스 제공 모듈(612)로부터 제공되는 제2 PN 시퀀스를 상호 상관시켜, 제2 PRS 신호에 대한 제2 PN 시퀀스의 상호 상관 값을 산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3 교차 상관 모듈(714)은 제3 PRS 신호 처리 모듈(524)로부터 전달되는 제3 PRS 신호와 제3 PN 시퀀스 제공 모듈(614)로부터 제공되는 제3 PN 시퀀스를 상호 상관시켜, 제3 PRS 신호에 대한 제3 PN 시퀀스의 상호 상관 값을 산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합산기(540)는 제1 교차 상관 모듈(710) 내지 제3 교차 상관 모듈(714)로부터 출력되는 각각의 상호 상관 값을 합하여, 에너지/피크값 검출 모듈(230)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PN 시퀀스 검출 모듈(220)을 포함하는 모드 판정부(200)는, PN 시퀀스 검출 모듈(220)을 통하여 산출된 PRS 신호와 PN 시퀀스 사이의 상호 상관 값을 이용하여 에너지 값 또는 피크 값을 산출할 수 있으며, 산출된 에너지 값 또는 피크 값을 이용하여, 계층 변조에 사용된 PN 시퀀스의 존재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PN 시퀀스의 존재 유무 판단을 통하여, 지상파 DMB 신호의 전송에 사용된 변조 모드 및 계층 변조 계수를 검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드 판정부(200)에서의 변조 모드 검출 결과는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그래프와 같이 표현될 수 있다.
계층 변조 지상파 DMB 시스템에서 변조 모드 검출을 위한 PN 시퀀스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변조 모드 검출 결과는 도 8에 도시된 그래프와 같은 형태로 디스플레이된다. 그러나, 변조 모드 검출을 위한 PN 시퀀스가 존재하는 경우, 변조 모드 검출 결과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그래프와 같은 형태로 디스플레이된다. 여기서, 도 9는 계층 변조 계수가 1.5로 설정된 경우의 변조 모드 검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며, 도 10은 계층 변조 계수가 3으로 설정된 경우의 변조 모드 검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변조 모드 검출 및 LP 데이터 검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안테나를 통하여 계층 변조 지상파 DMB 시스템의 송신단으로부터 송출되는, 계층 변조된 지상파 DMB 신호를 수신한 수신단은, HP 신호 처리부(100)를 통하여 수신된 지상파 DMB 신호를 복조시킨 후, 주파수 및 시간 동기화 작업을 수행한다(S1110).
HP 신호 처리부(100)에서 동기화가 완료된 지상파 DMB 신호는 모드 판정부(200)로 전달된다. 모드 판정부(200)에서는 수신된 지상파 DMB 신호로부터 PRS 신호를 검출한 뒤(S1120), 검출된 PRS 신호와 사전에 설정된 PN 시퀀스를 상호 상관시킨다. 이 때, 검출된 PRS 신호와 사전에 설정된 PN 시퀀스 사이의 상호 상관을 수행함에 있어서, 전체 PRS 신호 구간을 PN 시퀀스와 상호 상관시킬 수도 있으며, PRS 신호 구간을 시간 간격에 따라 분할한 뒤, 각각의 PRS 신호 구간을 PN 시퀀스와 상호 상관시킬 수도 있다. 또한, 하나의 PN 시퀀스를 이용하여 상호 상관을 수행할 수도 있으며, 다수의 PN 시퀀스를 이용하여 상호 상관을 수행할 수도 있다. 여기서, PRS 신호와 PN 시퀀스 사이에서 수행되는 상호 상관 방법에 대해서는 도 12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S1130).
검출된 PRS 신호와 사전에 설정된 PN 시퀀스 사이의 상호 상관 수행에 따라 상호 상관 값이 산출되면, 산출된 상호 상관 값을 이용하여 에너지 값 또는 피크 값을 산출한다(S1140).
모드 판정부(200)에서는 상호 상관 값을 이용한 에너지 값 또는 피크 값의 산출 결과를 이용하여, 계층 변조에 사용된 PN 시퀀스의 존재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계층 변조에 사용된 변조 모드, 즉 변조 방식과 계층 변조 계수를 검출할 수 있다(S1150).
모드 판정부(200)에서는 계층 변조에 사용된 PN 시퀀스의 존재 여부, 변조 모드가 검출되면, 검출된 결과를 LP 신호 처리부(300)로 전달한다. LP 신호 처리부(300)는 검출 결과를 이용하여 LP 신호에 대한 복조를 수행하고, 수행된 신호의 오류 정정 등을 통하여 LP 데이터를 복원할 수 있다(S1160).
여기서, 동기화된 신호로부터 PRS 신호 값 및 PN 시퀀스의 상호 상관 값을 산출하고, 상호 상관 값을 통해 검출된 변조 모드를 이용한 LP 데이터의 복원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HP 신호 처리부(100)에서는 지상파 DMB 신호에 포함된 HP 데이터를 복원하는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RS 신호와 PN 시퀀스와의 상호 상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S1130 단계에서 PRS 신호와 PN 시퀀스 사이의 상호 상관을 수행함에 있어서, 전체 PRS 신호 구간에 대한 PN 시퀀스의 상호 상관을 수행할 수도 있으며, PRS 신호 구간을 분할한 뒤, 분할된 각각의 PRS 신호 구간에 대한 PN 시퀀스의 상호 상관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하여, 모드 판정부(200)에서는 상호 상관을 위하여, 전체 PRS 신호 구간을 사용하는지, 또는 PRS 신호 구간을 분할하여 사용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야 한다(S11310).
분할된 PRS 신호를 이용한 상호 상관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PN 시퀀스 검출 모듈(220)에서는 PRS 신호 간격 분배 모듈(510)을 이용하여, 지상파 DMB 신호로부터 검출된 PRS 신호를 사전에 설정된 시간 간격에 따라, 다수의 PRS 신호 구간으로 분할한다(S11320).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호 상관을 위하여, 하나의 PN 시퀀스가 이용될 수도 있으며, 각각 상이한 다수의 PN 시퀀스가 이용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모드 판정부(200)에서는 상호 상관을 위하여 하나의 PN 시퀀스를 이용하는지, 또는 각각 상이한 다수의 PN 시퀀스를 이용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야 한다(S11330).
상호 상관을 위하여 상이한 다수의 PN 시퀀스가 이용됨이 확인되면, 각각 상이한 상수가 곱해진 하나 이상의 PN 시퀀스 값을 다수의 PN 시퀀스 제공 모듈로부 터 각각 전달받아, S11320 단계에서 분할된 다수의 PRS 신호와의 상호 상관을 각각 수행한다.
다수의 PN 시퀀스와 다수의 PRS 신호 사이의 상호 상관에 의하여, 하나 이상의 상호 상관 값이 산출되면(S11340), 산출된 다수의 상호 상관 값을 합산한 뒤(S11342), 합산된 상호 상관 값을 이용하여 에너지 값 또는 피크 값을 산출한다(S1140).
그러나, S11330 단계에서, 상호 상관을 위하여 하나의 PN 시퀀스 값이 이용됨이 확인되면, PN 시퀀스 제공 모듈로부터 사전에 설정된 PN 시퀀스 값을 전달받아, S11320 단계에서 분할된 다수의 PRS 신호 구간에 대한 상호 상관을 각각 수행한다. 하나의 PN 시퀀스와 다수의 PRS 신호 사이의 상호 상관에 의하여, 분할된 PRS 신호 구간의 개수만큼의 상호 상관 값이 산출된다(S11350).
이에 따라, PN 시퀀스 검출 모듈(220)에서는 산출된 다수의 상호 상관 값을 합산하고(S11352), 합산된 상호 상관 값을 이용하여 에너지 값이나 피크 값을 산출한다(S1140).
한편, S11310 단계에서, 전체 PRS 신호 구간을 이용한 상호 상관으로 설정되어 있음이 확인되면, 모드 판정부(200)는 상호 상관을 위하여 하나의 PN 시퀀스를 이용하는지, 또는 각각 상이한 다수의 PN 시퀀스를 이용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야 한다(S11360).
상호 상관을 위하여 상이한 다수의 PN 시퀀스가 이용됨이 확인되면, 각각 상이한 상수가 곱해진 하나 이상의 PN 시퀀스 값을 다수의 PN 시퀀스 제공 모듈로부 터 각각 전달받아, 전체 PRS 신호 구간에 대한 상호 상관을 수행한다.
하나의 PRS 구간에 대하여 다수의 PN 시퀀스가 상호 상관을 수행함에 따라, 상호 상관 값은 PN 시퀀스의 개수만큼 산출된다(S11370). 이에 따라, PN 시퀀스 검출 모듈(220)에서는 산출된 다수의 상호 상관 값을 합산하고(S11372), 합산된 상호 상관 값을 이용하여 에너지 값이나 피크 값을 산출한다(S1140).
그러나, S11360 단계에서, 하나의 PN 시퀀스 값이 이용됨이 확인되면, PN 시퀀스 제공 모듈로부터 사전에 설정된 PN 시퀀스 값을 전달받아, 전체 PRS 신호 구간에 대한 상호 상관을 수행한다. 하나의 PN 시퀀스와 전체 PRS 신호 구간 사이의 상호 상관이 수행됨에 따라, 하나의 상호 상관 값이 산출된다(11380). 이에 따라, 모드 판정부(200)에서는 산출된 하나의 상호 상관 값을 이용하여 에너지 값이나 피크 값을 산출한다(S1140).
이와 같이 도 11 및 도 12를 통하여 설명한 변조 모드 검출 방법을 통하여, 계층 변조 지상파 DMB 시스템에서는 LP 신호의 변조 모드 검출 및 LP 데이터 복원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도 1은 QAM 변조 방식이 적용된 지상파 DMB 신호의 성상을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ADPSK 변조 방식이 적용된 지상파 DMB 신호의 성상을 나타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계층 변조 지상파 DMB 시스템의 수신단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 4는 하나의 PN 시퀀스를 이용하여 전체 PRS 구간에 대한 상호 상관을 수행하는 PN 시퀀스 검출 모듈의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 5는 하나의 PN 시퀀스를 이용하여 여러 개로 분할된 PRS 구간에 대한 상호 상관을 수행하는 PN 시퀀스 검출 모듈의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 6은 각각 상이한 다수의 PN 시퀀스를 이용하여 전체 PRS 구간에 대한 상호 상관을 수행하는 PN 시퀀스 검출 모듈의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 7은 여러 개로 분할된 PRS 구간에 각각 상이한 다수의 PN 시퀀스를 이용하여 상호 상관을 수행하는 PN 시퀀스 검출 모듈의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변조 모드 검출을 위한 PN 시퀀스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의 변조 모드 검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변조 모드 검출을 위한 PN 시퀀스가 존재하며, 계층 변조 계수가 1.5로 설정된 경우의 변조 모드 검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변조 모드 검출을 위한 PN 시퀀스가 존재 하며, 계층 변조 계수가 3으로 설정된 경우의 변조 모드 검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변조 모드 검출 및 LP 데이터 검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RS 신호와 PN 시퀀스와의 상호 상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Claims (15)

  1. 계층 변조 기법이 적용된 이동 방송 시스템을 통하여 수신된 방송 신호로부터 변조 모드를 검출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수신된 방송 신호로부터 계층 변조가 적용되지 않는 신호 구간을 검출하는 단계;
    (b) 사전에 설정된 시퀀스와 상기 검출된 신호 구간의 신호 사이의 상호 상관을 수행하는 단계; 및
    (c) 상기 상호 상관의 결과 값을 이용하여, 상기 변조 모드를 검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변조 모드 검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는,
    상기 검출된 신호 구간을 하나 이상으로 분할하고, 분할된 각 신호 구간에 대하여 상기 시퀀스와의 상호 상관을 각각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조 모드 검출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사전에 설정된 하나의 시퀀스를 이용하여 상기 검출된 신호 구간의 신호 사이의 상호 상관을 수행하거나, 각각 상이한 값을 갖는 하나 이상의 시퀀스를 이용하여 상기 검출된 신호 구간의 신호 사이의 상호 상관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조 모드 검출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는,
    (c1) 상기 상호 상관의 결과 값을 이용하여, 에너지 값 또는 피크 값을 산출하는 단계; 및
    (c2) 상기 에너지 값 또는 상기 피크 값을 이용하여, 상기 계층 변조에 사용된 변조 방식과 계층 변조 계수를 검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변조 모드 검출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2)는,
    상기 에너지 값 또는 상기 피크 값을 이용하여, 상기 계층 변조에 사용된 시퀀스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조 모드 검출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는,
    (a1) 이동 방송 서비스 관련 데이터 및 계층 변조 관련 데이터가 포함된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a2) 상기 방송 신호를 복조 시킨 후, 주파수 및 시간에 대한 동기화를 수행하는 단계; 및
    (a3) 상기 동기화된 방송 신호로부터 상기 계층 변조가 적용되지 않는 신호 구간을 검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변조 모드 검출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 이후에,
    (d) 상기 변조 모드의 검출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계층 변조 관련 데이터를 검출하는 단계
    를 추가로 포함하는 변조 모드 검출 방법.
  8. 계층 변조 기법이 적용된 이동 방송 시스템을 통하여 수신된 방송 신호로부터 변조 모드를 검출하는 장치에 있어서,
    수신된 방송 신호로부터 계층 변조가 적용되지 않는 신호 구간을 검출하는 신호 검출 수단;
    사전에 설정된 시퀀스와 상기 검출된 신호 구간의 신호 사이의 상호 상관을 수행하는 시퀀스 검출 수단; 및
    상기 상호 상관의 결과 값을 이용하여, 상기 변조 모드를 검출하는 모드 판정 수단
    을 포함하는 변조 모드 검출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시퀀스 검출 수단은,
    사전에 설정된 상기 시퀀스를 제공하는 시퀀스 제공 수단; 및
    상기 시퀀스 제공 수단으로부터 수신되는 시퀀스와, 상기 검출된 신호 구간의 신호 사이의 상호 상관을 수행하여 상호 상관 값을 산출하는 교차 상관 수단
    을 포함하는 변조 모드 검출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시퀀스 검출 수단은,
    상기 시퀀스 제공 수단을 하나 이상 포함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시퀀스 제공 수단은 서로 상이한 값의 시퀀스를 상기 교차 상관 수단으로 각각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조 모드 검출 장치.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시퀀스 검출 수단은,
    상기 검출된 신호 구간을 시간 간격에 따라 하나 이상으로 분할하는 신호 간격 분배 모듈
    을 추가로 포함하는 변조 모드 검출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시퀀스 검출 수단은,
    상기 교차 상관 수단을 하나 이상 포함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교차 상관 수단은 분할된 각 신호 구간에 대하여 상기 시퀀스와의 상호 상관을 각각 수행하여, 하나 이상의 상호 상관 값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조 모드 검출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시퀀스 검출 수단은,
    상기 하나 이상의 교차 상관 수단으로부터 산출되는 하나 이상의 상호 상관 값을 합산하여, 상기 검출된 신호 구간 전체에 대한 상호 상관 값을 산출하는 합산기
    를 추가로 포함하는 변조 모드 검출 장치.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상호 상관의 결과 값을 이용하여, 에너지 값 또는 피크 값을 산출하여, 상기 모드 판정 수단으로 전달하는 에너지/피크값 검출 수단
    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조 모드 검출 장치.
  15. 제8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방송 신호로부터 이동 방송 서비스 관련 데이터를 추출하는 제1 신호 처리 수단; 및
    검출된 상기 변조 모드를 이용하여, 상기 방송 신호로부터 계층 변조 관련 데이터를 추출하는 제2 신호 처리 수단
    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조 모드 검출 장치.
KR1020080130651A 2008-12-19 2008-12-19 계층 변조가 적용된 지상파 dmb 시스템에서 변조 모드 검출 방법 및 장치 KR1010741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0651A KR101074115B1 (ko) 2008-12-19 2008-12-19 계층 변조가 적용된 지상파 dmb 시스템에서 변조 모드 검출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0651A KR101074115B1 (ko) 2008-12-19 2008-12-19 계층 변조가 적용된 지상파 dmb 시스템에서 변조 모드 검출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1810A KR20100071810A (ko) 2010-06-29
KR101074115B1 true KR101074115B1 (ko) 2011-10-17

Family

ID=423692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0651A KR101074115B1 (ko) 2008-12-19 2008-12-19 계층 변조가 적용된 지상파 dmb 시스템에서 변조 모드 검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411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61598B (zh) 2017-03-17 2019-02-12 浙江大华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信号制式判断方法及装置
KR102432820B1 (ko) 2020-04-22 2022-08-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4 계층 ldm 신호 송수신 장치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2680B1 (ko) 1996-07-09 1999-10-01 윤종용 고선명 텔레비젼 시스템의 동작 모드 절환 방법 및 장치
KR100781692B1 (ko) 2007-08-20 2007-12-03 (주)웨이브다임 디지털 오디오방송을 이용한 위치 추적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2680B1 (ko) 1996-07-09 1999-10-01 윤종용 고선명 텔레비젼 시스템의 동작 모드 절환 방법 및 장치
KR100781692B1 (ko) 2007-08-20 2007-12-03 (주)웨이브다임 디지털 오디오방송을 이용한 위치 추적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1810A (ko) 2010-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56829B2 (en) Transmitter and method of transmitting, receiver and method of receiving
US10999111B2 (en) Implicit signalling in OFDM preamble with embedded signature sequence, and cyclic prefix and postfix aided signature detection
US20210184905A1 (en) Transmitter and method of transmitting and receiver and method of detecting ofdm signals
US10666483B2 (en) Transmitter and method of transmitting
US10708101B2 (en) Transmitter and method of transmitting payload data, receiver and method of receiving payload data in an OFDM system
US8542774B2 (en) Receiver and method
CN101874381B (zh) Dmb-t系统的时频同步和帧编号检测
EP3236627B1 (en) Methods and devices for transmitting and method for receiving a signal
WO2014140523A1 (en) 6mhz bandwidth ofdm transmitter with the same guard interval as 8mhz dvb-t2
KR20070068821A (ko) 직교주파수 분할 다중화 수신기에서 초기 반송파 주파수오프셋의 추정 장치 및 방법
US20110206137A1 (en) Watermarked based physical layer authentication method of transmitters in ofd communications systems
US7839943B2 (en) Method of frame synchronization
KR101635072B1 (ko) Ofdm 송신 시스템에서 위상 잡음을 추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WO2014155065A1 (en) Transmitter and method of transmitting payload data, receiver and method of receiving payload data in an ofdm system
KR101074115B1 (ko) 계층 변조가 적용된 지상파 dmb 시스템에서 변조 모드 검출 방법 및 장치
EP2090049A1 (en) Amplitude-differential phase shift keying modulation apparatus and method
JP4567088B2 (ja) Ofdm信号受信装置および受信方法
KR101058939B1 (ko) 계층 변조가 적용된 지상파 dmb 시스템에서 변조 모드 검출 신호를 송신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214561B1 (ko) 프레임 동기 검출용 신호 송수신 방법 및 그 장치
KR100964382B1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송수신 방법과 장치
KR101127968B1 (ko) 채널 왜곡 보상장치
KR20090126420A (ko) 채널 추정, 등화 방법 및 시스템
KR101054076B1 (ko) 하이브리드 변조를 적용하여 계층 변조된 지상파 dmb 시스템에서의 복조 방법 및 장치
KR20100003206A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송수신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