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3661B1 - 방사성폐기물용 소각장치 - Google Patents

방사성폐기물용 소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3661B1
KR101073661B1 KR1020110017838A KR20110017838A KR101073661B1 KR 101073661 B1 KR101073661 B1 KR 101073661B1 KR 1020110017838 A KR1020110017838 A KR 1020110017838A KR 20110017838 A KR20110017838 A KR 20110017838A KR 101073661 B1 KR101073661 B1 KR 1010736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incinerator
outside
combus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78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창성
Original Assignee
황창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창성 filed Critical 황창성
Priority to KR10201100178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36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36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36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FPROTECTION AGAINST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PARTICLE BOMBARDMENT; 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9/00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9/28Treating solids
    • G21F9/30Processing
    • G21F9/32Processing by incine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02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with pretreatment
    • F23G5/027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with pretreatment pyrolising or gasifying sta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2209/00Specific waste
    • F23G2209/18Radioactive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Gasification And Melting Of Wast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사성폐기물용 소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단부에 개폐커버(11)가 마련되고 하단부에 밀폐게이트(12)가 마련된 폐기물투입부(10)와, 이 폐기물투입부(10)의 하단부에 배치되어 밀폐게이트(12)를 통해 폐기물이 투입되도록 상단부에 투입구(21)가 형성되고 내부에 폐기물을 이송시키는 폐기물이송기(22)가 마련된 폐기물피딩부(20)와, 이 폐기물피딩부(20)와 연결되어 폐기물이송기(22)를 통해 이송되어 온 폐기물을 소각시키는 폐기물소각부(30)와, 이 폐기물소각부(30)에서 소각 완료된 연소폐기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연소물배출부(40)와, 상기 폐기물소각부(30)에서 발생되는 연소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연소가스배출부(50)와, 상기 폐기물소각부(30)를 덮어씌워 이 폐기물소각부(30)의 열이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단열 차단하기 위한 단열재(61)가 마련된 하우징(60) 및 이 하우징(60)에 관통 설치되어 내부의 폐기물소각부(30)를 가열시키는 가열부(7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소각로를 세라믹 재질로 하고 마그네트론을 통해 자체적으로 고열을 발생시켜 폐기물을 연소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외부 점화 등에 의한 폭발 사고 등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고, 또한, 소각로 외부를 방열차단재로 보호하여 내부의 열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고열 상태를 유지하여 안정적인 연소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등의 효과를 얻는다.

Description

방사성폐기물용 소각장치{Apparatus for incinerating radioactive waste matter}
본 발명은 방사성폐기물용 소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소각로를 세라믹 재질로 하고 마그네트론을 통해 자체적으로 고열을 발생시켜 폐기물을 연소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외부 점화 등에 의한 폭발 사고 등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고, 또한, 소각로 외부를 방열차단재로 보호하여 내부의 열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고열 상태를 유지하여 안정적인 연소가 이루어지도록 하며, 또한, 소각로의 회전축 외부로 냉각챔버를 마련함으로써, 이 회전축을 비롯한 베어링 등 부품들에 대한 열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전반적으로 장치의 수명 연장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방사성폐기물용 소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사성폐기물(放射性廢棄物)은 방사성 감쇠 물질을 포함하고 있는 쓰레기 산물을 말하며, 핵분열과 같은 핵 처리 과정에서 생산되지만 원자력 산업에 직접 관련되지 않은 산업들이 방사성 폐기물을 생산하기도 한다.
방사성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줄어들게 되므로 원칙적으로 더 이상 위험에 노출되지 않을 때까지 일정한 시간동안 격리시킬 필요가 있다.
일부 의학, 산업 방사성 폐기물의 경우 수 시간에서 수년이 걸리지만 핵발전소와 핵무기 재처리에서 나오는 고 수준 폐기물의 경우 수천 년이 걸릴 수도 있다.
대부분의 방사성폐기물은 저수준 폐기물로 분류되며 이는 질량이나 부피에 대한 방사성 수준이 낮다는 것을 말하여 준다.
최근에는 원전 시설의 수출로 인해 이 시설에서 발생되는 폐기물을 보다 효율적으로 처리하여 폐기물 발생량을 줄여 환경오염을 방지하는데 관심이 집중되고 있으며 이러한 처리 시설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어 있다.
이러한 방사성폐기물을 처리하는 종래 기술의 일례로서 소각로를 이용하여 폐기물을 연소 처분하는 방법이 있었다.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 기술의 폐기물 처리방법은 소각로 내에서 폐기물을 연소시키기 위해 외부의 점화장치를 이용하였기 때문에 외부 화염에 의한 폭발의 우려가 있었고, 또한, 소각로에 대한 방열 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소각로의 열이 외부로 손실됨에 따른 불안한 연소 분위기에 의해 연소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또한, 소각로 양단의 회전축이나 베어링 등에 대한 냉각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않았기 때문에 이들에 대한 열 손실이 발생하여 부품 수명이 짧아지면서 전체적으로 장치 수명이 줄어들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소각로를 세라믹 재질로 하고 마그네트론을 통해 자체적으로 고열을 발생시켜 폐기물을 연소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외부 점화 등에 의한 폭발 사고 등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고, 또한, 소각로 외부를 방열차단재로 보호하여 내부의 열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고열 상태를 유지하여 안정적인 연소가 이루어지도록 하며, 또한, 소각로의 회전축 외부로 냉각챔버를 마련함으로써, 이 회전축을 비롯한 베어링 등 부품들에 대한 열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전반적으로 장치의 수명 연장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방사성폐기물용 소각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사성폐기물용 소각장치는 상단부에 개폐커버가 마련되고 하단부에 밀폐게이트가 마련된 폐기물투입부; 상기 폐기물투입부의 하단부에 배치되어 밀폐게이트를 통해 폐기물이 투입되도록 상단부에 투입구가 형성되고 내부에 폐기물을 이송시키는 폐기물이송기가 마련된 폐기물피딩부; 상기 폐기물피딩부와 연결되어 폐기물이송기를 통해 이송되어 온 폐기물을 소각시키는 폐기물소각부; 상기 폐기물소각부에서 소각 완료된 연소폐기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연소물배출부; 상기 폐기물소각부에서 발생되는 연소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연소가스배출부; 상기 폐기물소각부를 덮어씌워 이 폐기물소각부의 열이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단열 차단하기 위한 단열재가 마련된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에 관통 설치되어 내부의 폐기물소각부를 가열시키는 가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사성폐기물용 소각장치에 있어서, 상기 밀폐게이트는 폐기물피딩부의 투입구와 동일 형상의 밀폐판 구조로 되고, 이 밀폐게이트의 일단부가 실린더의 출몰로드와 연결되어 자동 개폐되도록 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사성폐기물용 소각장치에 있어서, 상기 폐기물피딩부의 폐기물이송기는 스크류 컨베이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사성폐기물용 소각장치에 있어서, 상기 폐기물소각부는, 양단부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제자리 축 회전되는 원관 구조의 소각로와, 이 소각로의 내부에 배치되어 소각 완료된 폐기물을 연소물배출부로 이송시키기 위한 연소물이송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사성폐기물용 소각장치에 있어서, 상기 소각로는 세라믹 재질로 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사성폐기물용 소각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는 세라믹 재질의 소각로만을 가열시키기 위한 마그네트론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사성폐기물용 소각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소물이송기는 소각로의 내주면에 일체형으로 결합되는 무축 스크류컨베이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사성폐기물용 소각장치에 있어서, 상기 소각로의 외주면에 이 소각로의 열이 외부로 방열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방열차단재가 더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사성폐기물용 소각장치에 있어서, 상기 소각로의 회전축은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되고 이 회전축 외부를 감싸는 냉각챔버가 더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사성폐기물용 소각장치에 있어서, 상기 냉각챔버의 상단부에 냉각수투입구가 형성되고 그 하단부에 냉각수배출구가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사성폐기물용 소각장치에 있어서, 상기 소각로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측정센서가 더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사성폐기물용 소각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소가스배출부는 외부의 흡입펌프와 연결되어 소각로 내부의 연소가스를 외부로 흡입 배출시키도록 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사성폐기물용 소각장치는 소각로를 세라믹 재질로 하고 마그네트론을 통해 자체적으로 고열을 발생시켜 폐기물을 연소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외부 점화 등에 의한 폭발 사고 등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고, 또한, 소각로 외부를 방열차단재로 보호하여 내부의 열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고열 상태를 유지하여 안정적인 연소가 이루어지도록 하며, 또한, 소각로의 회전축 외부로 냉각챔버를 마련함으로써, 이 회전축을 비롯한 베어링 등 부품들에 대한 열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전반적으로 장치의 수명 연장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등의 효과를 얻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사성폐기물용 소각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사성폐기물용 소각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사성폐기물용 소각장치 중 밀폐게이트가 열려있는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사성폐기물용 소각장치 중 밀폐게이트가 닫혀있는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사성폐기물용 소각장치 중 소각로를 나타낸 요부사시도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5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사성폐기물용 소각장치는 상단부에 개폐커버(11)가 마련되고 하단부에 밀폐게이트(12)가 마련된 폐기물투입부(10)와, 이 폐기물투입부(10)의 하단부에 배치되어 밀폐게이트(12)를 통해 폐기물이 투입되도록 상단부에 투입구(21)가 형성되고 내부에 폐기물을 이송시키는 폐기물이송기(22)가 마련된 폐기물피딩부(20)와, 이 폐기물피딩부(20)와 연결되어 폐기물이송기(22)를 통해 이송되어 온 폐기물을 소각시키는 폐기물소각부(30)와, 이 폐기물소각부(30)에서 소각 완료된 연소폐기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연소물배출부(40)와, 상기 폐기물소각부(30)에서 발생되는 연소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연소가스배출부(50)와, 상기 폐기물소각부(30)를 덮어씌워 이 폐기물소각부(30)의 열이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단열 차단하기 위한 단열재(61)가 마련된 하우징(60) 및 이 하우징(60)에 관통 설치되어 내부의 폐기물소각부(30)를 가열시키는 가열부(7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밀폐게이트(12)는 폐기물피딩부(20)의 투입구(21)와 동일 형상의 밀폐판 구조로 되고, 이 밀폐게이트(12)의 일단부가 실린더(15)의 출몰로드(15a)와 연결되어 자동 개폐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밀폐게이트(12)는 소각로(31)와 연통되어 있는 폐기물피딩부(20) 내의 감압 상태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 실린더(15)에 의해 신속하게 개폐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와 아울러 상기 연소물배출부(40)와 연소가스배출부(50) 역시 내부의 감압 상태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별도의 밸브장치(미도시)가 마련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폐기물피딩부(20)의 폐기물이송기(22)는 스크류 컨베이어인 것이 바람직하다.
미 설명부호 23은 폐기물이송기(22)의 회전축(22a)과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체인스프로켓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폐기물소각부(30)는 양단부의 회전축(31a)을 기준으로 제자리 축 회전되는 원관 구조의 소각로(31)와, 이 소각로(31)의 내부에 배치되어 소각 완료된 폐기물을 연소물배출부(40)로 이송시키기 위한 연소물이송기(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소각로(31)는 마이크로 웨이브에 의해 가열이 용이하게 되는 세라믹 재질로 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가열부(70)는 세라믹 재질의 소각로(31)만을 가열시키기 위한 마그네트론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소각로(31) 중 양단부의 회전축(31a)과 연소물배출부(40)측 및 연소가스배출부(50)측과 동일선상에 놓이는 부분은 그 인접부에 배치되어 있는 베어링(31b)들이 열 손상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마그네트론에 의해 가열이 되지 않는 철재구조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연소물배출부(40)측 및 연소가스배출부(50)측과 동일선상에 놓이는 부분의 철재구조물(31c)은 소각로(31)와 일체로 축 회전되는 동안 각각의 연소물배출부(40) 및 연소가스배출부(50)와 연통되도록 하는 연통공(31c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소물이송기(32)는 소각로(31)의 내주면에 일체형으로 결합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 형상으로 연장되어 상기 소각로(31)와 일체형으로 축 회전되는 무축 스크류컨베이어가 사용된다.
그리고, 상기 소각로(31)의 외주면에 이 소각로(31)의 열이 외부로 방열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방열차단재(33)가 구비되어 있다.
미 설명부호 35는 소각로(31)의 외주면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 배치되어 소각로(31)가 정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대를 나타낸 것이고, 미 설명부호 36은 연소물이송기(32)의 회전축(31a)과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체인스프로켓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소각로(31)의 회전축(31a)은 하우징(60)의 양단 외부로 돌출되고 이 회전축(31a) 외부를 감싸 회전축(31a) 및 베어링(31b) 등을 냉각시키기 위한 원추 형상의 냉각챔버(80)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냉각챔버(80)의 상단부에는 냉각수투입구(81)가 형성되고 그 하단부에는 냉각수배출구(82)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연소물배출부(40)측의 회전축(31a)과 철재구조물(31c)을 관통하여 상기 소각로(31)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측정센서(90)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연소가스배출부(50)는 외부의 흡입(진공)펌프(미도시)와 연결되어 소각로(31) 내부의 연소가스를 외부로 흡입 배출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방사성폐기물용 소각장치는 폐기물투입부(10)의 개폐커버(11)를 열고 폐기물을 투입하고 나서 다시 개폐커버(11)를 닫은 다음 실린더(15)를 통해 밀폐게이트(12)를 신속하게 개방하여 폐기물이 하방의 폐기물피딩부(20)로 낙하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밀폐게이트(12)는 소각로(31)와 연통되어 있는 폐기물피딩부(20)의 내부압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 최대한 신속하게 개폐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렇게 폐기물피딩부(20)로 투입된 폐기물은 스크류 컨베이어인 폐기물이송기(22)를 통해 전방으로 밀려나서 폐기물소각부(30)의 소각로(31)로 이송된다.
여기서, 상기 소각로(31)는 그 자체가 축 회전되는 구조로서 이송되어 온 폐기물과 함께 제자리 축 회전되면서 그 내부 일체형인 무축 스크류 컨베이어인 연소물이송기(32)를 통해 전방으로 밀려나는 동안 마그네트론인 가열부(70)의 가열에 의해 고온(대략 800 ~ 1000도)으로 가열된 소각로(31) 내에서 연소되면서 그 연소물은 선단부의 연소물배출부(40)에서 배출되고 내부의 연소가스는 연소가스배출부(5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즉, 소각로(31)가 축 회전되는 동안 이와 일체형인 철재구조물(31c)의 연통공(31c1)이 상기 연소물배출부(40)와 일치하는 동안 연소물을 배출시키게 되고, 또한, 상기 연통공(31c1)이 연소가스배출부(50)와 일치하는 동안 연소가스를 배출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연소가스배출부(50)는 외부의 진공펌프에 의해 소각로(31) 내부의 연소가스를 포함하는 분진 등이 흡입되어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 고열의 소각로(31)는 방열차단재(33)에 의해 그 열기가 소각로(31) 외측으로 방사되지 않고 고온 상태를 유지하면서 폐기물의 연소시킬 수 있게 되며, 나머지 잔열도 하우징(60) 내주부에 배치되어 있는 단열재(61)에 의해 차단되어 하우징(60) 외부로 열이 누설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냉각챔버(80)의 냉각수투입구(81)를 통해서 계속적으로 냉각수를 투입하여 소각로(31) 양단의 회전축(31a)을 포함한 베어링(31b) 등을 냉각시킨 후 냉각수배출구(82)로 배출되는 과정을 통해 상기 회전축(31a)과 베어링(31b) 등에 열손실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사성폐기물용 소각장치는 소각로를 세라믹 재질로 하고 마그네트론을 통해 자체적으로 고열을 발생시켜 폐기물을 연소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외부 점화 등에 의한 폭발 사고 등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고, 또한, 소각로 외부를 방열차단재로 보호하여 내부의 열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고열 상태를 유지하여 안정적인 연소가 이루어지도록 하며, 또한, 소각로의 회전축 외부로 냉각챔버를 마련함으로써, 이 회전축을 비롯한 베어링 등 부품들에 대한 열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전반적으로 장치의 수명 연장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러한 실시예를 종래의 공지 기술과 단순히 조합 적용한 실시예는 물론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와 상세한 설명에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용이하게 변형하여 이용할 수 있는 기술들은 본 발명의 기술범위에 당연히 포함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폐기물투입부 11 : 개폐커버
12 : 밀폐게이트 15 : 실린더
15a : 출몰로드 20 : 폐기물피딩부
21 : 투입구 22 : 폐기물이송기
22a : 회전축 23 : 체인스프로켓
30 : 폐기물소각부 31 : 소각로
31a : 회전축 31b : 베어링
31c : 철재구조물 31c1 : 연통공
32 : 연소물이송기 33 : 방열차단재
35 : 지지대 36 : 체인스프로켓
40 : 연소물배출부 50 : 연소가스배출부
60 : 하우징 61 : 단열재
70 : 가열부 80 : 냉각챔버
81 : 냉각수투입구 82 : 냉각수배출구
90 : 온도측정센서

Claims (12)

  1. 상단부에 개폐커버가 마련되고 하단부에 밀폐게이트가 마련된 폐기물투입부;
    상기 폐기물투입부의 하단부에 배치되어 상기 밀폐게이트를 통해 폐기물이 투입되도록 상단부에 투입구가 형성되고 내부에 폐기물을 이송시키는 폐기물이송기가 마련된 폐기물피딩부;
    상기 폐기물피딩부와 연결되어 폐기물이송기를 통해 이송되어 온 폐기물을 소각시키도록 양단부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제자리 축 회전되는 원관 구조인 세라믹 재질의 소각로와, 상기 소각로의 내부에 배치되어 소각 완료된 폐기물을 연소물배출부로 이송시키기 위한 연소물이송기를 포함하는 폐기물소각부;
    상기 폐기물소각부에서 소각 완료된 연소폐기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연소물배출부;
    상기 폐기물소각부에서 발생되는 연소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연소가스배출부;
    상기 폐기물소각부를 덮어씌워 이 폐기물소각부의 열이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단열 차단하기 위한 단열재가 마련된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에 관통 설치되어 그 내부의 상기 세라믹 재질의 소각로만을 가열시키기 위한 마그네트론으로 이루어진 가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소각로 양단부의 회전축과 상기 연소물배출부측 및 연소가스배출부측과 동일선상에 놓이는 부분을 철재구조물로 형성하여 구성되는 방사성폐기물용 소각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게이트는 폐기물피딩부의 투입구와 동일 형상의 밀폐판 구조로 되고, 이 밀폐게이트의 일단부가 실린더의 출몰로드와 연결되어 자동 개폐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성폐기물용 소각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폐기물피딩부의 폐기물이송기는 스크류 컨베이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성폐기물용 소각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물이송기는 소각로의 내주면에 일체형으로 결합되는 무축 스크류컨베이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성폐기물용 소각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각로의 외주면에 이 소각로의 열이 외부로 방열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방열차단재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성폐기물용 소각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각로의 회전축은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되고 이 회전축 외부를 감싸는 냉각챔버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성폐기물용 소각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챔버의 상단부에 냉각수투입구가 형성되고 그 하단부에 냉각수배출구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성폐기물용 소각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각로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측정센서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성폐기물용 소각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가스배출부는 외부의 흡입펌프와 연결되어 소각로 내부의 연소가스를 외부로 흡입 배출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성폐기물용 소각장치.

KR1020110017838A 2011-02-28 2011-02-28 방사성폐기물용 소각장치 KR1010736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7838A KR101073661B1 (ko) 2011-02-28 2011-02-28 방사성폐기물용 소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7838A KR101073661B1 (ko) 2011-02-28 2011-02-28 방사성폐기물용 소각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73661B1 true KR101073661B1 (ko) 2011-10-14

Family

ID=450328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7838A KR101073661B1 (ko) 2011-02-28 2011-02-28 방사성폐기물용 소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366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0721B1 (ko) * 2012-02-23 2013-06-03 나문주 폐기물의 탄화 및 열분해장치
KR101270724B1 (ko) * 2012-11-30 2013-06-03 이석정 폐기물의 열분해 가스화 연소장치
KR101300203B1 (ko) * 2012-04-16 2013-08-26 황창성 방사성 폐기물 탄화장치
WO2013125928A1 (ko) * 2012-02-23 2013-08-29 Kim Pill Sung 폐기물의 탄화 및 열분해 가스화 연소장치
KR101333499B1 (ko) * 2012-04-16 2013-11-28 황창성 방사성 폐기물 탄화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73851B2 (ja) * 1993-03-19 2000-08-07 日本碍子株式会社 廃棄物の焼却溶融処理装置及び焼却溶融処理方法
KR100976770B1 (ko) * 2010-03-17 2010-08-18 황창성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가연성 방사성 폐기물 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73851B2 (ja) * 1993-03-19 2000-08-07 日本碍子株式会社 廃棄物の焼却溶融処理装置及び焼却溶融処理方法
KR100976770B1 (ko) * 2010-03-17 2010-08-18 황창성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가연성 방사성 폐기물 처리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0721B1 (ko) * 2012-02-23 2013-06-03 나문주 폐기물의 탄화 및 열분해장치
WO2013125928A1 (ko) * 2012-02-23 2013-08-29 Kim Pill Sung 폐기물의 탄화 및 열분해 가스화 연소장치
KR101300203B1 (ko) * 2012-04-16 2013-08-26 황창성 방사성 폐기물 탄화장치
KR101333499B1 (ko) * 2012-04-16 2013-11-28 황창성 방사성 폐기물 탄화장치
KR101270724B1 (ko) * 2012-11-30 2013-06-03 이석정 폐기물의 열분해 가스화 연소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3661B1 (ko) 방사성폐기물용 소각장치
KR101232866B1 (ko) 연소로 클린커 제거장치 및 연소로 클린커 제거장치가 구비된 연소설비
JP2013101088A (ja) 放射性廃棄物焼却炉および放射性廃棄物焼却処理方法
JP2007332222A (ja) 熱分解処理装置
KR20120128752A (ko) 플라즈마를 이용한 방사성 폐기물 처리장치 및 처리방법
KR101270721B1 (ko) 폐기물의 탄화 및 열분해장치
KR100312137B1 (ko) 열분해식 폐기물 자동 소각장치
KR200314296Y1 (ko) 감염성 폐기물 소각/ 용융 일체형 처리 시스템
KR101333499B1 (ko) 방사성 폐기물 탄화장치
CN107091478A (zh) 焚烧炉装置
JP2001090922A (ja) ロータリキルン
WO1999039356A1 (fr) Appareil de fusion de matieres solides
JP2010038534A (ja) 密閉式回転焼却炉
ES2711424T3 (es) Aparato de combustión para la combustión de material reciclable o de desecho
KR101415450B1 (ko) 고형 폐기물의 연소설비
KR100392503B1 (ko) 저항 발열체를 이용한 가연성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유리화용 저온 용융로의 초기 점화 수단
KR20060110116A (ko) 드럼에 수용된 폐기물을 소각하는 장치 및 그 방법
KR101257063B1 (ko) 가축 처리장치
WO1998030861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articles
RU2507448C1 (ru) Нейтрализатор биологических отходов
ES1111230U (es) Horno de gasificación por pirólisis de residuos.
CN211141947U (zh) 连续式固体废料微波碳化装置
JP4477329B2 (ja) 有害物質真空加熱分解除去装置
KR101300203B1 (ko) 방사성 폐기물 탄화장치
KR101416679B1 (ko) 음식물 쓰레기 및 폐기물 고주파 탄화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