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2422B1 - 팬케익형 보빈 및 이를 이용한 한류기 - Google Patents

팬케익형 보빈 및 이를 이용한 한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2422B1
KR101072422B1 KR1020090054588A KR20090054588A KR101072422B1 KR 101072422 B1 KR101072422 B1 KR 101072422B1 KR 1020090054588 A KR1020090054588 A KR 1020090054588A KR 20090054588 A KR20090054588 A KR 20090054588A KR 101072422 B1 KR101072422 B1 KR 1010724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erconducting
body portion
current limiter
superconducting wire
metal block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45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36300A (ko
Inventor
고태국
양성은
박동근
김영재
장기성
나진배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0545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2422B1/ko
Publication of KR201001363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63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24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24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6/00Superconducting magnets; Superconducting coils
    • H01F6/06Coils, e.g. winding, insulating, terminating or casing arrangements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4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40/60Superconducting electric elements or equipment; Power systems integrating superconducting elements or equip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505/00Superconductor technology: apparatus, material, process
    • Y10S505/70High TC, above 30 k, superconducting device, article, or structured stock
    • Y10S505/704Wire, fiber, or c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Films, And Cooling For Superconductiv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측면은, 상면, 하면 및 상기 상면과 하면을 연결하는 측면을 구비하며, 초전도 선재를 상기 측면의 일방향으로부터 내측을 통과하여 타방향으로 안내하는 선재 삽입홈을 구비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하면을 덮는 받침부, 및 상기 받침부에서 상기 몸체부의 측면을 따라 형성되며, 동일한 길이의 초전도 선재 각각의 양단을 연결하기 위한 2n 쌍(n은 정수)의 금속블록을 포함하는 팬케익형 보빈을 제공할 수 있다.
한류기, 보빈

Description

팬케익형 보빈 및 이를 이용한 한류기 {PANCAKE TYPE BOBIN AND FAULT CURRENT LIMITER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팬케익형 보빈 및 이를 이용한 한류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하나의 보빈에 복수개의 초전도 선재를 적층시켜 고용량의 한류기를 얻을 수 있는 팬케익형 보빈의 구조 및 이를 이용한 한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력계통에서의 한류기(Fault Current Limiters)의 역할은 계통사고로 인한 고장전류 발생시 부스바, 애자, 차단기 등에 가해지는 기계적, 열적 및 전기적 스트레스를 제한하는 것이다. 계통고장 전류의 지속적인 상승과 이에 부응하는 전력기기 개발의 난이함으로 인해 고장전류 제어가 가능한 한류 소자에 대한 요구가 급증하고 있다. 하지만 실체적으로 계통에 적용 가능한 한류기술의 개발은 기술적 어려움과 상업화의 난점으로 인해 지연되어 왔다.
그러나, 고온 초전도체가 발견되면서, 이 새로운 소자의 비선형적인 전압-전류 특성을 적용한 한류기의 개발 가능성이 대두되었으며, 액체질소를 냉매로 사용하는 고온 초전도 한류기 개발이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초전도 물질은 높은 비선형적인 저항 특성을 가지므로 한류 소자로서의 응용 가능성을 갖고 있다. 고온 초전도 한류기는 초전도 상태에서 상전도 상태로의 퀀치 특성을 이용하여 높은 저항을 발생시켜 계통상에서 사고를 감지하면 빠른 시간내에 퓨즈 역할을 수행하여 사고전류를 제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류기는 고장전류 저감 후 다시 초전도 상태로 전이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초전도 한류기를 실제 전력 계통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배전 또는 송전 계통에 맞는 용량을 가져야 한다. 특히 대전류 통전을 위해서는 초전도 선재를 병렬로 연결하여 사용하여야 하는데, 현재 사용되고 있는 초전도 한류기를 병렬로 연결하여 사용할 경우 너무 대형화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하나의 팬케익형 보빈에 복수개의 초전도 선재를 병렬로 연결하여 한류기의 대용량화 및 소형화를 이룰 수 있는 보빈의 구조 및 이를 이용한 한류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상면, 하면 및 상기 상면과 하면을 연결하는 측면을 구비하며, 초전도 선재를 상기 측면의 일방향으로부터 내측을 통과하여 타방향으로 안내하는 선재 삽입홈을 구비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하면을 덮는 받침부, 및 상기 받침부에서 상기 몸체부의 측면을 따라 형성되며, 동일한 길이의 초전도 선재 각각의 양단을 연결하기 위한 2n 쌍(n은 정수)의 금속블록을 포함하는 팬케익형 보빈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몸체부는, 원통형일 수 있다.
상기 2n 쌍의 금속블록은, 등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2n 쌍의 금속블록은, + 전극에 연결되는 n 개의 양전극 그룹과 - 전극에 연결되는 n 개의 음전극 그룹이 선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금속블록은, 구리 블록일 수 있으며, 상기 구리블록에는 상기 받침부에 고정되기 위한 연결 홈 및 인두기의 팁이 결합되는 가열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상면, 하면 및 상기 상면과 하면을 연결하는 측면을 구비하며, 초전도 선재를 상기 측면의 일방향으로부터 내측을 통과하여 타방향으로 안내하는 선재 삽입홈을 구비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하면을 덮는 받침부와, 상기 받침부에서 상기 몸체부의 측면을 따라 형성되며, 동일한 길이의 초전도 선재 각각의 양단을 연결하기 위한 2n 쌍(n은 정수)의 금속블록, 및 상기 2n 쌍의 금속블록에서 서로 쌍을 이루는 금속블록 각각에 양단이 연결되는 동일한 길이의 2n 개의 초전도 선재를 포함하는 한류기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2n 개의 초전도 선재 각각은, 기판상에 초전도 물질이 적층되며, 서로 접촉하여 권선된 동일 초전도 선재에서 기판보다 초전도 물질이 더 인접하게 권선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팬케익형 보빈에 복수개의 초전도 선재를 병렬로 연결하여 한류기의 대용량화 및 소형화를 이룰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팬케익형 보빈의 평면도 및 정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에 따른 팬케익형 보빈(100)은, 몸체부(110), 받침부(120) 및 2n 쌍의 금속블록(131a, 131b, 132a, 132b, 133a, 133b, 134a, 134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체부(110)는, 상면, 하면 및 상기 상면과 하면을 연결하는 측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상기 몸체부(110)는 원통형태일 수 있다. 상기 몸체부(110)는 권선되는 초전도 선재의 폭 이상의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몸체부(110)에는 초전도 선재를 상기 측면의 일방향으로부터 내측을 통과하여 타방향으로 안내하는 선재 삽입홈(11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선재 삽입홈(111)은 상기 권선되는 초전도 선재의 권장 곡률반경 이상의 반경을 가질 수 있다. 초전도 선재는 세라믹 물질 등으로 형성되어 일정한 곡률반경 이하로 권선되면 초전도체의 성질이 급감하거나 소멸되므로 상기 선재 삽입홈(111)은 권선되는 초전도 선재의 권장 곡률 반경 이상의 반경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선재 삽입홈을 태극물결 모양으로 형성하여, 상기 선재 삽입홈(111)에 초전도 선재가 삽입되어 권선되는 경우에 상기 초전도 선재의 성질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받침부(120)는, 상기 몸체부(110)의 하면을 덮을 수 있다. 즉, 상기 받침부(120)는 상기 몸체부(110)의 하면 면적보다 큰 면적을 가지며 상기 몸체부에 권선되는 초전도 선재를 연결시키기 위한 금속블록(131a, 131b, 132a, 132b, 133a, 133b, 134a, 134b)이 상기 받침부(120)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2n 쌍의 금속블록(131a, 131b, 132a, 132b, 133a, 133b, 134a, 134b)은, 상기 받침부에서 상기 몸체부의 측면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2n 쌍의 금속블록에서 서로 쌍을 이루는 금속블록(131a 와 131b, 132a 와 132b, 133a 와 133b, 134a 와 134b)에는 동일한 길이를 갖는 초전도 선재의 양단이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금속블록 중 일부(131a, 132a, 133a, 134a)에는 + 전극이 연결되고 나머지 일부(131b, 132b, 133b, 134b)에는 - 전극이 연결되어 상기 금속블록에 연결된 초전도 선재가 병렬 연결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상기 2n 쌍의 금속블록에 연결되는 초전도 선재가 서로 동일한 길이를 갖는 경우에 상기 복수개의 초전도 선재가 병렬연결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2n 쌍의 금속블록의 배열은 상기 금속블록에 연결되는 복수개의 초전도 선재가 동일한 길이를 갖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4쌍의 금속블록이 상기 몸체부의 측면을 따라 등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상기 2n 쌍의 금속블록 중 일부(131a, 132a, 133a, 134a)와 나머지 일부(131b, 132b, 133b, 134b)는 선대칭으로 배열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팬케익형 보빈에 복수개의 초전도 선재를 권선하여 복수개의 초전도 선재 가 병렬 연결된 초전도 한류기를 형성하는 경우에, 상기 복수개의 초전도 선재의 길이는 동일하며, 상기 초전도 선재는 동일한 방향으로 권선될 수 있다. 이러한 조건을 만족하기 위해서 상기 초전도 선재가 연결되는 금속블록의 배열시, + 전극이 연결되는 양전극 그룹과 - 전극이 연결되는 음전극 그룹이 서로 선대칭되도록 배열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일부 금속블록(131a, 132a, 133a, 134a)과 나머지 일부 금속블록(131b, 132b, 133b, 134b)이 가상의 선(101)을 중심으로 선대칭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이처럼, 본 실시형태에 따른 팬케익형 보빈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복수개의 초전도 선재를 하나의 보빈에서 병렬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초전도 한류기를 형성하는 경우 고용량의 한류기를 얻으면서도 한류기의 물리적인 크기를 줄일 수 있다.
도 2의 (a) 및 (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팬케익형 보빈에 사용되는 금속블록의 일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의 (a)는, 금속블록(230)이 받침부(220)에 형성된 형태이다. 본 실시형태에는 금속블록의 형태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상기 받침부(220)에 형성되는 다른 금속블록에 대해서는 도시를 생략하였으나, 상기 받침부(220)에는 상기 몸체부(210)의 측면을 따라 2n 쌍의 금속블록이 형성될 수 있다.
도 2의 (b)는 상기 도 2의 (a)에서 금속블록(230)의 평면도 및 정면도를 도 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형태에서 상기 금속블록(230)은 구리블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금속블록(230)에는 상기 금속블록을 받침부(220)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 홈(201) 및 인두기의 팁이 결합되는 가열 홈(202)이 형성될 수 있다.
팬케익형 보빈의 몸체부에 초전도 선재를 권선한 후, 상기 금속블록(230)에 초전도 선재의 양단을 접합할 수 있다. 상기 금속블록(230)에 초전도 선재를 접합할 때 통상적으로 전기 인두기를 사용하는데, 상기 초전도 선재는 열에 의해 손상을 입기 쉽다. 따라서 상기 초전도 선재 접합시 약 120도보다 낮은 온도로 금속블록에 접합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금속블록(230)을 열전도도가 좋은 구리블록으로 형성하고, 상기 구리블록에 인두기의 팁이 결합될 수 있는 가열홈(202)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가열홈(202)에 맞게 인두기의 팁을 제조하고, 인두기의 팁을 상기 가열홈(202)에 결합시키면 상기 인두기에서 발생되는 열을 효율적으로 상기 구리블록(230)에 전달할 수 있다. 인두기의 특성상 원하는 온도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초전도 선재를 상기 구리블록(230)에 접합할 때 상기 구리블록(230)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한류기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에 따른 한류기(300)는, 몸체부(310), 받침 부(320), 2n 쌍의 금속블록(331a, 331b, 332a, 332b, 333a, 333b, 334a, 334b), 및 2n 개의 초전도 선재(341, 342, 343, 34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체부(310)는, 상면, 하면 및 상기 상면과 하면을 연결하는 측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상기 몸체부(310)는 원통형태일 수 있다. 상기 몸체부(310)는 권선되는 초전도 선재의 폭 이상의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몸체부(310)에는 초전도 선재를 상기 측면의 일방향으로부터 내측을 통과하여 타방향으로 안내하는 선재 삽입홈(31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선재 삽입홈(311)은 상기 권선되는 초전도 선재의 권장 곡률반경 이상의 반경을 가질 수 있다. 초전도 선재는 세라믹 물질 등으로 형성되어 일정한 곡률반경 이하로 권선되면 초전도체의 성질이 급감하거나 소멸되므로 상기 선재 삽입홈(311)은 권선되는 초전도 선재의 권장 곡률 반경 이상의 반경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선재 삽입홈을 태극물결 모양으로 형성하여, 상기 선재 삽입홈(311)에 초전도 선재가 삽입되어 권선되는 경우에 상기 초전도 선재의 성질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받침부(320)는, 상기 몸체부(310)의 하면을 덮을 수 있다. 즉, 상기 받침부(320)는 상기 몸체부(310)의 하면 면적보다 큰 면적을 가지며 상기 몸체부에 권선되는 초전도 선재를 연결시키기 위한 금속블록(331a, 331b, 332a, 332b, 333a, 333b, 334a, 334b)이 상기 받침부(320)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2n 쌍의 금속블록(331a, 331b, 332a, 332b, 333a, 333b, 334a, 334b) 은, 상기 받침부에서 상기 몸체부의 측면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2n 쌍의 금속블록에서 서로 쌍을 이루는 금속블록(331a 와 331b, 332a 와 332b, 333a 와 333b, 334a 와 334b)에는 동일한 길이를 갖는 초전도 선재의 양단이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금속블록 중 일부(331a, 332a, 333a, 334a)에는 + 전극이 연결되고 나머지 일부(331b, 332b, 333b, 334b)에는 - 전극이 연결되어 상기 금속블록에 연결된 초전도 선재가 병렬 연결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상기 2n 쌍의 금속블록에 연결되는 초전도 선재가 서로 동일한 길이를 갖는 경우에 상기 복수개의 초전도 선재가 병렬연결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2n 쌍의 금속블록의 배열은 상기 금속블록에 연결되는 복수개의 초전도 선재가 동일한 길이를 갖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4쌍의 금속블록이 상기 몸체부의 측면을 따라 등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상기 2n 쌍의 금속블록 중 일부(331a, 332a, 333a, 334a)와 나머지 일부(331b, 332b, 333b, 334b)는 선대칭으로 배열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팬케익형 보빈에 복수개의 초전도 선재를 권선하여 복수개의 초전도 선재가 병렬 연결된 초전도 한류기를 형성하는 경우에, 상기 복수개의 초전도 선재의 길이는 동일하며, 상기 초전도 선재는 동일한 방향으로 권선될 수 있다. 이러한 조건을 만족하기 위해서 상기 초전도 선재가 연결되는 금속블록의 배열시, + 전극이 연결되는 양전극 그룹과 - 전극이 연결되는 음전극 그룹이 서로 선대칭되도록 배열할 수 있다.
상기 2n 개의 초전도 선재(341, 342, 343, 344)는 각각 상기 몸체부(310)에 권선되며 각각의 양단이 상기 금속블록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초전도 선재는 Al2O3 또는 LaAlO3 등의 기판위에 0.3 내지 0.4 ㎛ 의 YBa2Cu3O7 박막을 성장시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4 개의 초전도 선재(341, 342, 343, 344)는 동일한 길이를 가지며 동일 특성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동일한 길이를 갖는 4 개의 초전도 선재를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단이 서로 일치하지 않도록 배열한 후, 초전도 선재의 중간부를 상기 몸체부(310)에 형성된 선재 삽입홈(311)에 삽입한 후 상기 몸체부(310)의 측면을 따라 권선할 수 있다. 이때, 복수개의 초전도 선재를 별개로 권선하지 않고 한꺼번에 복수개의 초전도 선재를 권선할 수 있으므로 상기 복수개의 초전도 선재에 일정한 장력을 동일하게 유지하여 권선공정을 진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개의 초전도 선재가 권선되더라도 권선에 의해 초전도 선재의 특성이 변하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어서 초전도 선재의 병렬연결 효과를 최대로 할 수 있다. 이렇게 상기 몸체부(310)에 권선된 상기 4개의 초전도 선재(341, 342, 343, 344) 각각은 상기 받침부(320)에 형성되어 서로 쌍을 이루는 금속블록(331a 와 331b, 332a 와 332b, 333a 와 333b, 334a 와 334b)에 양단이 연결될 수 있다.
이처럼, 본 실시형태에 따른 한류기에서는 하나의 보빈에 복수개의 초전도 선재를 병렬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초전도 선재를 몸체부(310)에 권선할 때 한꺼번에 복수개의 초전도 선재를 권선할 수 있으며, 권선시 동일한 장력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복수개의 초전도 선재 사이에 특성차이가 발생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4는, 상기 도 3의 실시형태에 따른 한류기에서 몸체부(410)에 복수개의 초전도 선재가 권선된 형태의 단면도이다.
도 3에서 각각의 초전도 선재(341, 342, 343, 344)는 상기 선재 삽입홈(311)에 그 중심영역이 삽입된 후 상기 몸체부(310)의 측면에 권선되므로 동일 초전도 선재끼리 서로 접촉하여 권선될 수 있다. 초전도 선재 각각의 양단은 + 전극 및 - 전극에 연결되므로 동일한 초전도 선재가 서로 접촉되어 있는 경우에 전류흐름 방향은 서로 반대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초전도 선재에 흐르는 전류에 의해 초전도 선재의 주위에는 자기장이 형성될 수 있다. 초전도 선재는 보통 기판 상에 초전도 물질을 증착시켜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초전도 물질로 전류가 흐를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몸체부(410)에 권선된 제1 초전도 선재(441)는 기판(441a)상에 초전도 물질(441b)이 적층되며 상기 기판(441a)의 하면에 형성되는 보호층(441c) 및 상기 초전도 물질(441b)을 덮는 보호층(441d)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1 초전도 선재(441)를 몸체부(410)에 권선시 초전도 물질(441b)이 기판(441a) 보다 더 인접하도록 권선할 수 있다. 상기 제1 초전도 선재(441)에서는 상기 초전도 물질(441b)로 전류가 흐르고 서로 접촉되게 권선된 초전도 선재에서 상기 초전도 물질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은 반대일 수 있다. 상기 동 일 초전도 선재에서 초전도 물질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는 경우에는 상기 초전도 물질을 흐르는 전류에 의해 발생되는 자기장이 서로 중첩되게 되어 접촉된 동일 초전도 선재 사이에 발생된 자기장에 의해 통전시 손실이 발생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동일 초전도 선재가 접촉시 반대로 전류가 흐르는 초전도 물질 사이의 거리를 최소화하여 동일 초전도 선재 내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을 상쇄시켜 통전 손실을 최소로 줄일 수 있도록 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하고자 한다. 따라서,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형태의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할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즉, 몸체부 및 받침부의 형태, 금속블록의 개수 및 초전도 선재의 권선회수 등은 다양하게 변형실시가 가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팬케익형 보빈의 평면도 및 정면도이다.
도 2의 (a) 및 (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팬케익형 보빈에 사용되는 금속블록의 일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한류기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상기 도 3의 실시형태에 따른 한류기에서 몸체부에 복수개의 초전도 선재가 권선된 형태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10 : 몸체부 120 : 받침부
131a 내지 133d : 금속블록

Claims (13)

  1. 상면, 하면 및 상기 상면과 하면을 연결하는 측면을 구비하며, 초전도 선재를 상기 측면의 일방향으로부터 내측을 통과하여 타방향으로 안내하는 선재 삽입홈을 구비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하면을 덮는 받침부; 및
    상기 받침부에서 상기 몸체부의 측면을 따라 형성되며, 동일한 길이를 가지는 2n(n은 정수)개의 초전도 선재 각각의 양단을 연결하기 위한 2n 쌍의 금속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2n개의 초전도 선재는 병렬 연결된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케익형 보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원통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케익형 보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n 쌍의 금속블록은,
    등간격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케익형 보빈.
  4. 제1항에
    상기 2n 쌍의 금속블록은,
    + 전극에 연결되는 n 개의 양전극 그룹과 - 전극에 연결되는 n 개의 음전극 그룹이 선대칭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케익형 보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블록은,
    구리 블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케익형 보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구리블록에는
    상기 받침부에 고정되기 위한 연결 홈; 및
    인두기의 팁이 결합되는 가열 홈
    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케익형 보빈.
  7. 상면, 하면 및 상기 상면과 하면을 연결하는 측면을 구비하며, 초전도 선재를 상기 측면의 일방향으로부터 내측을 통과하여 타방향으로 안내하는 선재 삽입홈을 구비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하면을 덮는 받침부;
    동일한 길이를 가지는 2n(n은 정수)개의 초전도 선재; 및
    상기 받침부에서 상기 몸체부의 측면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2n 개의 초전도 선재 각각의 양단을 연결하기 위한 2n 쌍의 금속블록; 을 포함하며,
    상기 2n 개의 초전도 선재는 병렬 연결된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류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2n 개의 초전도 선재 각각은,
    기판상에 초전도 물질이 적층되며,
    서로 접촉하여 권선된 동일 초전도 선재에서 기판보다 초전도 물질이 더 인접하게 권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류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원통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류기.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2n 쌍의 금속블록은,
    등간격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류기.
  11. 제7항에
    상기 2n 쌍의 금속블록은,
    + 전극에 연결되는 n 개의 양전극 그룹과 - 전극에 연결되는 n 개의 음전극 그룹이 선대칭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류기.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블록은,
    구리 블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류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구리블록에는
    상기 받침부에 고정되기 위한 연결 홈; 및
    인두기의 팁이 결합되는 가열 홈
    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류기.
KR1020090054588A 2009-06-18 2009-06-18 팬케익형 보빈 및 이를 이용한 한류기 KR1010724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4588A KR101072422B1 (ko) 2009-06-18 2009-06-18 팬케익형 보빈 및 이를 이용한 한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4588A KR101072422B1 (ko) 2009-06-18 2009-06-18 팬케익형 보빈 및 이를 이용한 한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6300A KR20100136300A (ko) 2010-12-28
KR101072422B1 true KR101072422B1 (ko) 2011-10-11

Family

ID=43510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4588A KR101072422B1 (ko) 2009-06-18 2009-06-18 팬케익형 보빈 및 이를 이용한 한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242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0283A (ko) 2020-07-17 2022-01-25 한국전력공사 초전도 선재의 권선용 보빈 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02429A1 (ko) * 2011-01-28 2012-08-02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다병렬 구조 권선 지원 보빈 및 그 권선 방법
KR101535272B1 (ko) * 2013-09-30 2015-07-09 한국전력공사 한류기의 초전도 한류소자 및 한류기의 초전도 한류소자를 제작하는 방법
WO2021149156A1 (ja) * 2020-01-21 2021-07-29 三菱電機株式会社 超電導コイル及び超電導コイルの製造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8981B1 (ko) * 2005-03-11 2006-06-14 학교법인연세대학교 초전도 선재를 이용한 팬케이크형 무유도 권선 모듈과 이를위한 권선용 보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8981B1 (ko) * 2005-03-11 2006-06-14 학교법인연세대학교 초전도 선재를 이용한 팬케이크형 무유도 권선 모듈과 이를위한 권선용 보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0283A (ko) 2020-07-17 2022-01-25 한국전력공사 초전도 선재의 권선용 보빈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6300A (ko) 2010-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86524C1 (ru) Втсп-магнитные секции
KR101782177B1 (ko) 멀티필라멘트 도체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380921B1 (ko) 초전도 케이블 및 초전도 케이블 제조 방법
JP5506790B2 (ja) 超電導導体から成る少なくとも2つの複合導体を備えた抵抗性開閉素子のための導体装置
KR100717351B1 (ko) 동시퀀치를 위한 초전도 바이패스 리액터를 갖는 한류기
Iwakuma et al. Development of REBCO superconducting power transformers in Japan
JP2009043912A (ja) 超電導コイル
JP6320518B2 (ja) コイル巻線を含む超電導コイル装置
KR101072422B1 (ko) 팬케익형 보빈 및 이를 이용한 한류기
KR100588981B1 (ko) 초전도 선재를 이용한 팬케이크형 무유도 권선 모듈과 이를위한 권선용 보빈
JP2960481B2 (ja) 超電導体テープ中の渦電流の低減方法および超電導体装置
US20140066315A1 (en) Superconductive device without an external shunt system, in particular with a ring shape
JP2002124142A (ja) 電力超伝導送電ケーブル
US8588876B1 (en) Electric joint design to be used in electromagnetic coils made with high-temperature superconducting tape, aspected wire, or cable
US4409425A (en) Cryogenically stabilized superconductor in cable form for large currents and alternating field stresses
JP3892605B2 (ja) 限流素子用超電導コイル装置
KR101087808B1 (ko) 초전도선재의 다중전위방법
JP2016039289A (ja) 高温超電導コイルおよび高温超電導磁石装置
JP6139023B2 (ja) 限流器の超電導限流素子および限流器の超電導限流素子を作製する方法
JP3559550B2 (ja) 超電導限流モジュールおよび超電導限流ユニット
JP5262607B2 (ja) 超電導コイル
KR20240069358A (ko) 인덕턴스 저감을 위한 초전도 테이프 권선 구조를 갖는 한류기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20134356A (ko) 초전도체 코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518673B1 (ko) 적층선재의 단말처리장치 및 단말처리방법
RU2653693C2 (ru) Сверхпроводящая обмотк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