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1599B1 - 자기-바이어스 전압 제어 발진기 - Google Patents

자기-바이어스 전압 제어 발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1599B1
KR101071599B1 KR1020057007333A KR20057007333A KR101071599B1 KR 101071599 B1 KR101071599 B1 KR 101071599B1 KR 1020057007333 A KR1020057007333 A KR 1020057007333A KR 20057007333 A KR20057007333 A KR 20057007333A KR 101071599 B1 KR101071599 B1 KR 1010715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electrode
transistors
pair
cmo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73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84881A (ko
Inventor
위 우
블라디미르 아파린
Original Assignee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500848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48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15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15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BGENERATION OF OSCILLATIONS, DIRECTLY OR BY FREQUENCY-CHANGING, BY CIRCUITS EMPLOYING ACTIVE ELEMENTS WHICH OPERATE IN A NON-SWITCHING MANNER; GENERATION OF NOISE BY SUCH CIRCUITS
    • H03B5/00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 H03B5/08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with frequency-determining element comprising lumped inductance and capacitance
    • H03B5/12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with frequency-determining element comprising lumped inductance and capacitance active element in amplifier being semiconductor device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BGENERATION OF OSCILLATIONS, DIRECTLY OR BY FREQUENCY-CHANGING, BY CIRCUITS EMPLOYING ACTIVE ELEMENTS WHICH OPERATE IN A NON-SWITCHING MANNER; GENERATION OF NOISE BY SUCH CIRCUITS
    • H03B5/00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 H03B5/08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with frequency-determining element comprising lumped inductance and capacitance
    • H03B5/12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with frequency-determining element comprising lumped inductance and capacitance active element in amplifier being semiconductor device
    • H03B5/1228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with frequency-determining element comprising lumped inductance and capacitance active element in amplifier being semiconductor device the amplifier comprising one or more field effect transisto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BGENERATION OF OSCILLATIONS, DIRECTLY OR BY FREQUENCY-CHANGING, BY CIRCUITS EMPLOYING ACTIVE ELEMENTS WHICH OPERATE IN A NON-SWITCHING MANNER; GENERATION OF NOISE BY SUCH CIRCUITS
    • H03B5/00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 H03B5/08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with frequency-determining element comprising lumped inductance and capacitance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BGENERATION OF OSCILLATIONS, DIRECTLY OR BY FREQUENCY-CHANGING, BY CIRCUITS EMPLOYING ACTIVE ELEMENTS WHICH OPERATE IN A NON-SWITCHING MANNER; GENERATION OF NOISE BY SUCH CIRCUITS
    • H03B5/00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 H03B5/08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with frequency-determining element comprising lumped inductance and capacitance
    • H03B5/12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with frequency-determining element comprising lumped inductance and capacitance active element in amplifier being semiconductor device
    • H03B5/1206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with frequency-determining element comprising lumped inductance and capacitance active element in amplifier being semiconductor device using multiple transistors for amplification
    • H03B5/1212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with frequency-determining element comprising lumped inductance and capacitance active element in amplifier being semiconductor device using multiple transistors for amplification the amplifier comprising a pair of transistors, wherein an output terminal of each being connected to an input terminal of the other, e.g. a cross coupled pair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BGENERATION OF OSCILLATIONS, DIRECTLY OR BY FREQUENCY-CHANGING, BY CIRCUITS EMPLOYING ACTIVE ELEMENTS WHICH OPERATE IN A NON-SWITCHING MANNER; GENERATION OF NOISE BY SUCH CIRCUITS
    • H03B5/00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 H03B5/08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with frequency-determining element comprising lumped inductance and capacitance
    • H03B5/12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with frequency-determining element comprising lumped inductance and capacitance active element in amplifier being semiconductor device
    • H03B5/1206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with frequency-determining element comprising lumped inductance and capacitance active element in amplifier being semiconductor device using multiple transistors for amplification
    • H03B5/1221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with frequency-determining element comprising lumped inductance and capacitance active element in amplifier being semiconductor device using multiple transistors for amplification the amplifier comprising multiple amplification stages connected in cascade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BGENERATION OF OSCILLATIONS, DIRECTLY OR BY FREQUENCY-CHANGING, BY CIRCUITS EMPLOYING ACTIVE ELEMENTS WHICH OPERATE IN A NON-SWITCHING MANNER; GENERATION OF NOISE BY SUCH CIRCUITS
    • H03B5/00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 H03B5/08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with frequency-determining element comprising lumped inductance and capacitance
    • H03B5/12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with frequency-determining element comprising lumped inductance and capacitance active element in amplifier being semiconductor device
    • H03B5/1237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with frequency-determining element comprising lumped inductance and capacitance active element in amplifier being semiconductor device comprising means for varying the frequency of the generator
    • H03B5/124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with frequency-determining element comprising lumped inductance and capacitance active element in amplifier being semiconductor device comprising means for varying the frequency of the generator the means comprising a voltage dependent capacitance
    • H03B5/1243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with frequency-determining element comprising lumped inductance and capacitance active element in amplifier being semiconductor device comprising means for varying the frequency of the generator the means comprising a voltage dependent capacitance the means comprising voltage variable capacitance diod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BGENERATION OF OSCILLATIONS, DIRECTLY OR BY FREQUENCY-CHANGING, BY CIRCUITS EMPLOYING ACTIVE ELEMENTS WHICH OPERATE IN A NON-SWITCHING MANNER; GENERATION OF NOISE BY SUCH CIRCUITS
    • H03B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oscillators covered by H03B
    • H03B2200/003Circuit elements of oscillators
    • H03B2200/0038Circuit elements of oscillators including a current mirror

Landscapes

  • Inductance-Capacitance Distribution Constants And Capacitance-Resistance Oscillators (AREA)

Abstract

자기-바이어스 발진기 (VCO) 는 복수의 스위칭 트랜지스터들 (18, 20, 22, 24), VCO 코어에 동작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공진 탱크 회로 (14), VCO 코어 (12) 에 바이어스 전류를 공급하기 위해 VCO 코어 (12) 에 동작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전류 소스 (16), 및 공진 탱크 회로 및 전류 소스 (16) 양자에 동작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바이어스 회로 (38) 를 포함하는 VCO 코어 (12) 를 포함한다. VCO 코어의 바이어스 회로 (38) 및 VCO 코어의 스위칭 트랜지스터들 (18, 20, 22, 24) 은 함께 기능하여 전류 소스 (16) 를 바이어싱하며, 이에 의해 VCO (10) 는 자기-바이어싱된다.
자기-바이어스, 전압 제어 발진기

Description

자기-바이어스 전압 제어 발진기 {SELF-BIASED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본 출원은 2002년 10 월 30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 60/422,658 호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내용은 여기에 전체가 참조로서 포함되었다.
분야
본 발명은 전압 제어 발진기를 바이어싱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바이어싱에 의해 기인된 위상 잡음이 감소되도록 전압 제어 발진기를 바이어싱하는 실시형태에 관한 것이다.
배경
전압 제어 발진기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VCO) 는 공지되어 있다. VCO 는 상이한 요구를 가지는 광범위하게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에 이용되어 왔다. 예를 들어, VCO 는, 중간 주파수 (Intermediate Frequency: IF)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다운컨버터에서 인커밍 RF 신호와 믹싱되는 국부 발진기 (Local Oscillator: LO)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셀룰러 전화기와 같은 무선 통신 장치에 대한 트랜시버에 현재 이용되며, 그 IF 신호는 그 후 장치내의 다운스트림 회로에 의해 더 프로세싱된다. 일반적으로, VCO가 낮은 위상 잡음을 가지는 LO 신호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상 잡음은 잡음대 LO 신호 전력비이다.
현재 이용가능한 셀룰러 시스템은 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이동 통신을 위한 글로벌 시스템), TDMA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분할 다중 접속), 및 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코드 분할 다중 접속) 을 포함하는, 다양한 서로다른 무선 인터페이스를 활용한다. 일반적으로, CDMA 셀룰러 트랜시버에 대한 LO 위상 잡음 요구는 TDMA 또는 GSM 셀룰러 트랜시버에 대한 위상 잡음 요구보다 더 엄격하다. 또한, 저 위상 잡음은 예를 들어 광학 트랜시버를 포함하는 많은 다른 VCO 애플리케이션에 바람직하다.
셀룰러 트랜시버 및 다른 애플리케이션에 이용되는 VCO들은 VCO 코어의 전류를 제한하기 위해 요구되는 바이어스 전류를 생성하기 위하여 전류 미러 및 바이어스 전류 발생기와 같은 별도의 바이어스 회로를 요구한다. 그러나, 이러한 별도의 바이어스 회로는 전류 미러율에 의해 증폭되는 위상 잡음을 초래한다. 낮은 전류 미러율 (예를 들어, 1:1 전류 미러율) 의 이용은 위상 잡음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나, 바이어스 회로에 의한 바람직하지 않은 큰 전력 소모를 그 대가로 한다. 또한, 통상적인 바이어스 회로는 몇몇 유형의 정귀환 (positive feedback) 을 포함하며, 이는 또한 LO 위상 잡음을 증가시킨다.
현재 이용가능한 바이어싱 방식도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적절한 위상 잡음 성능을 제공할 수 있으나, 많은 애플리케이션이 향상된 위상 잡음 성능으로부터 이익을 얻을 수 있다.
상술한 바에 기초하여, 당업계에서는, 전력-효율적인 방식으로 뛰어난 위상 잡음 성능을 획득하기 위한 방식으로 바이어싱되는 VCO 에 대한 필요성이 존재한다. 본 발명은 당업계에서의 이러한 필요성 및 다른 필요성을 해결한다.
요약
본 발명의 일 양태는 복수의 스위칭 트랜지스터들, VCO 코어에 동작가능하게 결합된 공진 탱크 회로, VCO 코어에 바이어스 전류를 공급하기 위해 VCO 코어에 동작가능하게 결합된 전류 소스, 및 공진 탱크 회로 및 전류 소스 양자에 동작가능하게 결합된 바이어스 회로를 구비하는 VCO 코어를 포함하는 자기-바이어스 전압 제어 발진기 (VCO) 를 포함한다. VCO 코어의 바이어스 회로 및 스위칭 트랜지스터들은 함께 기능하여 전류 소스를 바이어싱하며, 이에 의해 VCO 는 자기-바이어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VCO 코어의 바이어스 회로 및 스위칭 트랜지스터는 결합하여 VCO 코어의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상호 컨덕턴스를 제어하는 일정 상호컨덕턴스 바이어스 회로를 구성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제 1 실시형태에서, 전류 소스는 PMOS 트랜지스터이고, 공진 탱크 회로는 한 쌍의 버랙터 다이오드, 및 인덕터가 병렬로 배열되어 있는 LC 공진 탱크 회로이다. DC 바이어스 전압은 인덕터의 중앙 텝으로 공급된다. VCO 코어의 스위칭 트랜지스터들은 제 1 쌍의 교차-결합된 PMOS 트랜지스터들 및 제 2 쌍의 교차-결합된 NMOS 트랜지스터들을 도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도식적으로 LC 공진 탱크 회로는 VCO 코어의 제 1 쌍의 교차-결합된 CMOS 트랜지스터들과 제 2 쌍의 교차-결합된 CMOS 트랜지스터들 사이에 병렬로 배열될 수 있다.
예시적인 제 1 실시형태에서, 바이어스 회로는, 전력공급 전압에 결합된 제 1 전극, 전류 소스의 게이트 전극에 결합된 게이트 전극, 및 최상부 CMOS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 및 전류 소스에 결합된 제 2 전극을 가지는 최상부 CMOS 트랜지스터; 최상부 CMOS 트랜지스터의 제 2 전극에 결합된 제 1 전극, 전류 소스의 제 2 전극에 결합된 게이트 전극, 및 제 2 전극을 가지는 중앙부 CMOS 트랜지스터; 중앙부 CMOS 트랜지스터의 제 2 전극에 결합된 제 1 전극, 접지에 결합된 제 2 전극, 및 VCO 코어의 바이어싱 포인트에 결합된 게이트 전극을 가지는 최하부 CMOS 트랜지스터; 및 최하부 CMOS 트랜지스터의 제 2 전극과 접지 사이에 연결된 저항기를 포함한다.
예시적인 제 1 실시형태에서, VCO 코어의 제 1 쌍의 스위칭 트랜지스터들은, 게이트 전극, 제 1 노드에 결합된 제 1 전극, 및 인덕터의 제 1 단자에 결합된 제 2 전극을 가지는 제 1 PMOS 트랜지스터; 및 제 1 PMOS 트랜지스터의 제 2 전극에 결합된 게이트 전극, 제 1 노드에 결합된 제 1 전극, 및 인덕터의 제 2 단자 및 제 1 PMOS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 양자에 결합된 제 2 전극을 가지는 제 2 PMOS 트랜지스터를 포함한다. VCO 코어의 제 2 쌍의 스위칭 트랜지스터들은, 게이트 전극, 제 2 노드에 결합된 제 1 전극, 및 인덕터의 제 1 단자에 결합된 제 2 전극을 가지는 제 1 NMOS 트랜지스터; 및 제 1 NMOS 트랜지스터의 제 2 전극에 결합된 게이트 전극, 제 2 노드에 결합된 제 1 전극, 및 인덕터의 제 2 단자 및 제 1 NMOS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 양자에 결합된 제 2 전극을 가지는 제 2 NMOS 트랜지스터를 포함한다.
또한 예시적인 제 1 실시형태는 전류 소스의 제 2 전극과 제 1 노드 사이에 결합된 제 1 인덕터, 및 접지와 제 2 노드 사이에 결합된 제 2 인덕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제 2 실시형태에서, VCO 는 제 1 버랙터의 플레이트와 VCO 코어의 제 2 쌍의 스위칭 트랜지스터들의 제 1 NMOS 트랜지스터의 제 2 전극 사이에 결합된 제 1 커패시터; 및 제 2 버랙터의 제 2 플레이트와 VCO 코어의 제 2 쌍의 스위칭 트랜지스터들의 제 2 NMOS 트랜지스터의 제 2 전극 사이에 연결된 제 2 커패시터를 더 포함한다. 예시적인 제 2 실시형태는 제 1 탱크 회로 노드와 VCO 주파수 튜닝 전압 사이에 결합된 제 1 바이어스 저항기; 및 제 2 탱크 회로 노드와 VCO 주파수 튜닝 전압 사이에 결합된 제 2 바이어스 저항기를 더 포함한다. 제 1 탱크 회로 노드는 제 1 커패시터와 탱크 회로의 제 1 버랙터 사이에 있고, 제 2 탱크 회로 노드는 제 2 커패시터와 탱크 회로의 제 2 버랙터 사이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이점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 예를 드는 방식으로 도시되어 있는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히 알 수 있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 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제 1 실시형태에 따라 구성된 VCO 의 개략도이다.
도 2 는 도 1 에 도시된 회로의 등가 회로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제 2 실시형태에 따라 구성된 VCO 의 개략도이다.
상세한 설명
도 1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제 1 실시형태에 따라 구성된 VCO (10) 의 개략도를 볼 수 있다. VCO (10) 는 이하에 설명할 방식으로 결합된 VCO 코어 (12), 공진 탱크 회로 (14), 전류 소스 (16), 및 바이어스 회로 (38) 를 포함한다.
VCO 코어 (12) 는 CMOS 스위칭 트랜지스터들 (18, 20, 22, 및 24) 을 포함한다. CMOS 스위칭 트랜지스터들 (18 및 20) 은, PMOS 트랜지스터 (18) 의 게이트 전극이 PMOS 트랜지스터 (20) 의 드레인 전극에 결합되고, PMOS 트랜지스터 (20) 의 게이트 전극은 PMOS 트랜지스터 (18) 의 드레인 전극에 결합되어 있는 도식적으로 교차-결합된 PMOS 트랜지스터들이다. CMOS 스위칭 트랜지스터들 (22 및 24) 은, NMOS 트랜지스터 (22) 의 게이트 전극이 NMOS 트랜지스터 (24) 의 드레인 전극에 결합되고, NMOS 트랜지스터 (24) 의 게이트 전극이 NMOS 트랜지스터 (22) 의 드레인 전극에 결합되어 있는 도식적으로 교차-결합된 NMOS 트랜지스터들이다.
공진 탱크 회로 (14) 는 한 쌍의 교차-결합된 PMOS 트랜지스터들 (18, 20) 과 한 쌍의 교차-결합된 NMOS 트랜지스터들 (22, 24) 사이의 칩상의 MOS 버랙터와 같은 한 쌍의 공간적으로 분리된 버랙터들 (30, 32) 과 병렬로 배열된 칩상의 나선형 인덕터와 같은 인덕터 (28) 를 포함하는 예시적인 병렬 LC 공진 탱크 회로이다. 인덕터 (28) 는 DC 주파수에서 무시할 정도의 저항 (예를 들어, 몇백 mΩ) 을 나타내는 중앙 탭 (29) 를 가진다. 이하에서 더 명백해질 바와 같이 가장 실용적인 애플리케이션에서, 이 무시할 정도의 저항값은 무시되며, 이에 의해 DC 바이어스 목적을 위하여 중앙 탭 (29) 으로부터 DC 전압이 획득되게 한다.
(종종 "꼬리 (tail) 전류 소스" 라 부르는) 전류 소스 (16) 는 전력공급 전압 Vdd 와 인덕터 (37) 의 제 1 단자 사이에 도식적으로 연결된 PMOS 트랜지스터이다. 전류 소스 (16) 는 VCO 코어 (12) 의 스위칭 트랜지스터들 (18, 20, 22, 및 24) 을 통하여 전류를 제한하고, VCO 코어 (12) 의 바이어싱 포인트에서 저항값을 증가시키는 기능을 한다. 인덕터 (37) 는 전력 공급 잡음 제거 목적을 위해 PMOS 트랜지스터들 (18, 20) 의 공통 소스에서 임피던스를 증가시키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유형의 인덕터는 본 기술분야에서 종종 "소스 감쇠 (degeneration) 인덕터" 라 부른다. 부가적인 소스 감쇠 인덕터 (39) 는 동일한 목적을 위해 NMOS 트랜지스터들 (22, 24) 과 접지 사이에 제공된다.
바이어스 회로 (38) 는 직렬로 연결된 PMOS 트랜지스터 (42), NMOS 트랜지스터 (44), NMOS 트랜지스터 (46), 및 저항기 (49) 를 포함한다. PMOS 트랜지스터 (42) 의 소스 전극은 전력공급 전압 Vdd 에 연결되고, PMOS 트랜지스터 (42) 의 게이트 전극은 VCO 코어 (12) 에 대한 전류 소스로서 기능하는 PMOS 트랜지스터 (16) 의 게이트 전극에 결합된다. PMOS 트랜지스터 (16) 및 PMOS 트랜지스터 (42) 양자의 게이트 전극은 PMOS 트랜지스터 (42) 의 드레인 전극에 공통으로 결합된다. NMOS 트랜지스터 (44) 의 게이트 전극은 소스 감쇠 인덕터 (37) 의 제 1 단자와 PMOS 트랜지스터 (16) 의 드레인 전극 사이 노드에 결합된다. 커패시터 (48) 는 전류 소스 (16) 에 의해 발생한 고주파수 잡음을 접지로 필터링할 목적으로 NMOS 트랜지스터 (44) 의 게이트 전극과 접지 사이에 연결된다. NMOS 트랜지스터 (44) 의 드레인 전극은 PMOS 트랜지스터 (42) 의 드레인 전극에 연결된다. NMOS 트랜지스터 (46) 의 게이트 전극은 공진 탱크 회로 (14) 의 인덕터 (28) 의 중앙 탭 (29) 에 결합되고, NMOS 트랜지스터 (46) 의 드레인 전극은 NMOS 트랜지스터 (44) 의 소스 전극에 연결되며, NMOS 트랜지스터 (46) 의 소스 전극은 저항기 (49) 의 제 1 단자에 결합된다. 저항기 (49) 의 제 2 단자는 접지와 연결된다.
이제 도 2 를 부가적으로 참조하면, VCO 코어 (12) 및 바이어스 회로 (38) 를 포함하는 VCO 바이어스 회로 (50) 의 등가 회로도를 볼 수 있다. 당업자가 이해하는 바와 같이, VCO 코어 (12) 의 스위칭 트랜지스터들 (18, 20, 22, 및 24) 또한 이하에서 설명할 방식으로 바이어스 회로 (38) 를 따라 VCO 바이어스 회로 (50) 의 일부분으로 기능한다. 더 상세하게,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VCO 코어 (12) 의 PMOS 트랜지스터들 (18, 20) 의 쌍은 함께 다이오드-연결된 PMOS 트랜지스터 (52) 를 형성하고, VCO 코어 (12) 의 NMOS 트랜지스터들 (22, 24) 의 쌍은 함께 다이오드-연결된 NMOS 트랜지스터 (54) 를 형성하며, 다이오드-연결된 PMOS 트랜지스터 (52) 와 다이오드-연결된 NMOS 트랜지스터 (54) 는 PMOS 트랜지스터 (16; 전류 소스) 의 드레인 전극과 접지 사이에 캐스코드 (cascode) 로 연결된다. 따라서, VCO 코어 (12) 는 2 개의 다이오드-연결된 트랜지스터들 (52, 54) 의 캐스코드 배열에 의해 형성된다.
계속하여 도 2 를 참조하면, 다이오드-연결된 PMOS 트랜지스터 (52) 의 소스 전극은 바이어스 회로 (38) 의 NMOS 트랜지스터 (44) 의 게이트 전극에 결합된다. VCO 코어 (12) 의 다이오드-연결된 NMOS 트랜지스터 (54) 의 게이트 및 드레인 전극은 바이어스 회로 (38) 의 NMOS 트래지스터 (46) 에 결합된다. 바이어스 회로 (38) 의 PMOS 트랜지스터 (42) 는, PMOS 트랜지스터 (16; 전류 소스) 의 게이트 전극 및 PMOS 트랜지스터 (42) 의 게이트 전극이 PMOS 트랜지스터 (42) 의 드레인 전극에 공통으로 결합된 채로 다이오드-연결되어 있다.
계속하여 도 2 를 참조하면, VCO 코어 (12) 의 다이오드-연결된 트랜지스터들 (52, 54), PMOS 트랜지스터 (16; 전류 소스), 바이어스 회로 (38) 의 다이오드-연결된 PMOS 트랜지스터 (42), 바이어스 회로 (38) 의 NMOS 트랜지스터들 (44, 46), 및 바이어스 회로 (38) 의 저항기 (49) 는 VCO (10) 에 대한 일정 상호컨덕턴스 (gm) 바이어스 회로 (50) 로서 기능하는 캐스코드 전류 미러를 집합적으로 구성한다. NMOS 트랜지스터 (44) 는 일정 상호컨덕턴스 (gm) 바이어스 회로 (50) 의 하부에 대한 출력 임피던스를 증가시키도록 기능한다.
일정 상호컨덕턴스 (gm) 바이어스 회로 (50) 의 최상단부의 전류 미러율을 N 이라 가정하고, N 은 충분히 크고/크거나 바이어스 회로 (38) 의 NMOS 트랜지스터 (46) 의 크기는 VCO 코어 (12) 의 다이오드-연결된 NMOS 트랜지스터 (54) 보다 매우 크다고 가정하며, 트랜지스터들 (46 및 54) 의 문턱 전압은 동일하다 가정하면, gm = 2N/R 이며, 이 때, gm 은 VCO 코어 (12) 의 스위칭 트랜지스터들 (18, 20, 22, 및 24) 의 상호컨덕턴스이고, R 은 바이어스 회로 (38) 의 저항기 (49) 의 저항 값이다.
당업자는 gm 의 절대값이 VCO (10) 의 발진을 시작할 만큼 충분히 크다면 임계적이지 않음을 안다. 이러한 관점에서, gm 은 공진 탱크 회로 (14) 의 손실을 보상하기에 충분할 수 있다. 또한, 당업자는 일정 상호컨덕턴스 (gm) 바이어스 회로 (50) 가 저항기 (49) 의 저항 값 R 의 값을 조정함으로써 gm 의 제어가능한 조정을 가능하게 함을 안다.
본 실시형태의 자기-발진된 VCO 는 외부 전류 미러와 같은, 외부 바이어스 회로를 이용하여 바이어싱되는 현재 이용가능한 VCO 에 비해 몇몇 중요한 장점을 제공한다. 특히, 본 실시형태의 자기-바이어스 VCO 에 의하면, NMOS 트랜지스터 (46) 의 게이트에서 DC 바이어스 전압을 생성하기 위해 부가적인 외부회로가 필요하지 않으며, 그보다는 공진 탱크 회로 (14) 의 인덕터 (28) 의 중앙 탭 (29) 으로부터 DC 바이어스 전압을 획득한다. 또한, VCO 코어 (12) 의 스위칭 트랜지스터들 (18, 20, 22, 및 24) 이 VCO 바이어스 회로 (50) 의 일부분으로 기능하기 때문에 (즉,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그들이 "재사용" 되기 때문에), VCO 의 위상 잡음은 이러한 방식으로 자기-바이어싱되지 않는 현재 이용가능한 VCO에 비해 현저하게 감소한다. 이러한 연결에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자기-바이어스 VCO 의 위상 잡음 이득은 종래의 외부-바이어스 VCO 와 비교할 때, 10 dB 이하일 수 있다. 시뮬레이션의 결과는 종래의 외부 바이어싱된 회로, 즉 외부-바이어스 VCO 가 지배적인 잡음 기여자이던 것에 반하여, VCO 바이어스 회로 (50) 의 위상 잡음 기여가 1 퍼센트 미만임을 보여준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자기-바이어스 VCO 의 전력 소모는 상대적으로 작다.
이제 도 3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제 2 실시형태에 따라 구성된 VCO (10') 의 개략도를 볼 수 있다. 도 1 과 도 3 을 비교하여 쉽게 알 수 있듯이, 예시적인 제 2 실시형태의 VCO (10') 는 예시적인 제 1 실시형태의 VCO (10) 와, 부가적인 커패시터들 (60, 62) 및 저항기들 (64, 66) 을 제외하고 동일한 회로 구성요소를 가진다. 예시적인 양 실시형태들의 공통 요소는 도 1 에 도시된 예시적인 제 1 실시형태의 설명과 관련하여 이미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므로, 그러한 공통 회로 구성요소들의 설명은 여기서 반복되지 않을 것이다.
도 3 에서 보는 바와 같이, VCO (10') 의 커패시터 (60) 는 버랙터 (30) 의 외부 플레이트와, PMOS 트랜지스터 (18) 의 드레인 전극과 NMOS 트랜지스터 (22) 의 드레인 전극 사이 노드와의 사이에 결합된다. VCO (10') 의 커패시터 (62) 는 버랙터 (32) 의 외부 플레이트와, PMOS 트랜지스터(20) 의 드레인 전극과 NMOS 트랜지스터 (24) 의 드레인 전극 사이 노드와의 사이에 연결된다. 버랙터들 (30, 32) 은 커패시터들 (60, 62) 에 의해 DC 적으로 고립되어 있기 때문에, 버랙터들 (30, 32) 사이의 노드는 공진 탱크 회로 (14) 의 인덕터 (28) 의 중앙 탭 (29) 에 결합되어 있고, 이에 의해 버랙터들 (30, 32) 에 대한 DC 바이어스 전압은 인덕터 (28) 의 중앙 탭 (29) 으로부터 획득된다. 버랙터 (30) 와 커패시터 (60) 사이의 노드는 저항기 (64) 의 하나의 단자에 연결되고, 저항기 (64) 의 반대편 단자는 주파수 튜닝 전압 (V_tune) 에 결합된다. 이와 유사하게, 버랙터 (32) 와 커패시터 (62) 사이의 노드는 저항기 (66) 의 하나의 단자에 연결되고, 저항기 (66) 의 반대편 단자는 주파수 튜닝 전압 (V_tune) 에 결합된다.
본 발명의 원리 및 여러 실시형태들은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되었지만, 당 업자에게 자명한 본 발명의 많은 변화, 확장, 변형, 및 다른 실시형태들 역시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정의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 내에 포함된다.

Claims (33)

  1. 복수의 스위칭 트랜지스터들을 구비하는 전압 제어 발진기 (VCO) 코어;
    상기 VCO 코어에 동작가능하게 결합된 공진 탱크 회로;
    상기 VCO 코어에 바이어스 전류를 공급하기 위해 상기 VCO 코어에 동작가능하게 결합된 전류 소스; 및
    상기 공진 탱크 회로 및 상기 전류 소스 양자에 동작가능하게 결합된 바이어스 회로를 포함하며,
    상기 VCO 코어의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들 및 상기 바이어스 회로는 상기 전류 소스를 바이어싱하도록 함께 기능하며, 이에 의해 상기 VCO 는 자기-바이어싱되는 (self-biased), 자기-바이어스 전압 제어 발진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소스는 전력 공급 전압에 결합된 제 1 전극, 제 2 전극, 및 게이트 전극을 가지는 테일 전류 소스 (tail current source) 를 포함하는, 자기-바이어스 전압 제어 발진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소스는 PMOS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자기-바이어스 전압 제어 발진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진 탱크 회로는 LC 공진 탱크 회로를 포함하는, 자기-바이어스 전압 제어 발진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LC 공진 탱크 회로는 병렬로 배열된 하나 이상의 버랙터 및 인덕터를 포함하는, 자기-바이어스 전압 제어 발진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인덕터는 DC 주파수에서 무시할 정도의 저항값을 나타내는 중앙 탭을 가지는, 자기-바이어스 전압 제어 발진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인덕터의 중앙 탭은 상기 바이어스 회로에 연결되어 DC 바이어스 전압을 공급하는, 자기-바이어스 전압 제어 발진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VCO 코어의 스위칭 트랜지스터들은 CMOS 트랜지스터들을 포함하는, 자기-바이어스 전압 제어 발진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VCO 코어의 스위칭 트랜지스터들은,
    제 1 쌍의 교차-결합된 CMOS 트랜지스터들; 및
    제 2 쌍의 교차-결합된 CMOS 트랜지스터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쌍은 상기 전류 소스와 상기 공진 탱크 회로 사이에 결합되고, 상기 제 2 쌍은 상기 공진 탱크 회로와 접지 사이에 결합되는, 자기-바이어스 전압 제어 발진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쌍은 PMOS 트랜지스터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쌍은 NMOS 트랜지스터들을 포함하는, 자기-바이어스 전압 제어 발진기.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공진 탱크 회로는, 상기 제 1 쌍의 교차-결합된 CMOS 트랜지스터들과 상기 제 2 쌍의 교차-결합된 CMOS 트랜지스터들 사이에서 병렬로 배열된 하나 이상의 버랙터 및 인덕터를 구비하는 LC 공진 탱크 회로를 포함하는, 자기-바이어스 전압 제어 발진기.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어스 회로는 전력 공급 전압과 접지 사이에서 직렬로 연결된 복수 의 CMOS 트랜지스터들을 포함하는, 자기-바이어스 전압 제어 발진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전류 미러의 상기 복수의 CMOS 트랜지스터들 중 최하부 CMOS 트랜지스터와 접지 사이에 연결된 저항기를 더 포함하는, 자기-바이어스 전압 제어 발진기.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소스는 상기 전력 공급 전압에 결합된 제 1 전극, 게이트 전극, 및 제 2 전극을 가지는 CMOS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자기-바이어스 전압 제어 발진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어스 회로의 복수의 CMOS 트랜지스터들은,
    상기 전력 공급 전압에 결합된 제 1 전극, 상기 전류 소스의 게이트 전극에 결합된 게이트 전극, 및 상기 전류 소스의 게이트 전극 및 최상부 CMOS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에 결합된 제 2 전극을 가지는 상기 최상부 CMOS 트랜지스터;
    상기 최상부 CMOS 트랜지스터의 제 2 전극에 결합된 제 1 전극, 상기 전류 소스의 제 2 전극에 결합된 게이트 전극, 및 제 2 전극을 가지는 중간 CMOS 트랜지스터; 및
    상기 중간 CMOS 트랜지스터의 제 2 전극에 결합된 제 1 전극, 접지에 결합된 제 2 전극, 및 상기 VCO 코어의 바이어싱 포인트에 결합된 게이트 전극을 가지는 최하부 CMOS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자기-바이어스 전압 제어 발진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최하부 CMOS 트랜지스터의 제 2 전극과 접지 사이에 연결된 저항기를 더 포함하는, 자기-바이어스 전압 제어 발진기.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CMOS 트랜지스터 및 상기 최하부 CMOS 트랜지스터는 NMOS 트랜지스터들을 포함하고, 상기 최상부 CMOS 트랜지스터는 PMOS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자기-바이어스 전압 제어 발진기.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소스는 PMOS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자기-바이어스 전압 제어 발진기.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VCO 코어의 스위칭 트랜지스터들은,
    제 1 쌍의 교차-결합된 CMOS 트랜지스터들; 및
    제 2 쌍의 교차-결합된 CMOS 트랜지스터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쌍은 상기 전류 소스와 상기 공진 탱크 회로 사이에 결합되고, 상기 제 2 쌍은 상기 공진 탱크 회로와 접지 사이에 결합되는, 자기-바이어스 전압 제어 발진기.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공진 탱크 회로는 상기 제 1 쌍의 교차-결합된 CMOS 트랜지스터들과 상기 제 2 쌍의 교차-결합된 CMOS 트랜지스터들 사이에 병렬로 배열된 하나 이상의 버랙터 및 인덕터를 포함하는 LC 공진 탱크 회로를 포함하는, 자기-바이어스 전압 제어 발진기.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인덕터는 DC 주파수에서 무시할 정도의 저항값을 나타내는 중앙 탭을 가지고;
    상기 인덕터의 상기 중앙 탭은 상기 바이어스 회로의 상기 최하부 CMOS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에 연결되어, DC 바이어스 전압을 공급하는, 자기-바이어스 전압 제어 발진기.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쌍의 스위칭 트랜지스터들의 상기 CMOS 트랜지스터들 각각의 제 1 전극에 공통인 제 1 노드와 상기 전류 소스의 제 2 전극 사이에 결합된 제 1 인덕터; 및
    상기 제 2 쌍의 스위칭 트랜지스터들의 상기 CMOS 트랜지스터들 각각의 제 1 전극에 공통인 제 2 노드와 접지 사이에 결합된 제 2 인덕터를 더 포함하는, 자기-바이어스 전압 제어 발진기.
  2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어스 회로의 상기 중간 CMOS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 및 상기 전류 소스의 제 2 전극에 결합된 제 1 플레이트, 및 접지에 결합된 제 2 플레이트를 가지는 커패시터를 더 포함하는, 자기-바이어스 전압 제어 발진기.
  24.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어스 회로의 상기 중간 CMOS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 및 상기 전류 소스의 제 2 전극에 결합된 제 1 플레이트, 및 접지에 결합된 제 2 플레이트를 가지는 커패시터를 더 포함하는, 자기-바이어스 전압 제어 발진기.
  25.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VCO 코어의 상기 제 1 쌍의 스위칭 트랜지스터들은,
    게이트 전극, 제 1 노드에 결합된 제 1 전극, 및 상기 인덕터의 제 1 단자에 결합된 제 2 전극을 가지는 제 1 PMOS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 1 PMOS 트랜지스터의 제 2 전극에 결합된 게이트 전극, 상기 제 1 노드에 결합된 제 1 전극, 및 상기 인덕터의 제 2 단자 및 상기 제 1 PMOS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 양자에 결합된 제 2 전극을 가지는 제 2 PMOS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며,
    상기 VCO 코어의 제 2 쌍의 스위칭 트랜지스터들은,
    게이트 전극, 제 2 노드에 결합된 제 1 전극, 및 상기 인덕터의 제 1 단자에 결합된 제 2 전극을 가지는 제 1 NMOS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 1 NMOS 트랜지스터의 제 2 전극에 결합된 게이트 전극, 상기 제 2 노드에 결합된 제 1 전극, 및 상기 인덕터의 제 2 단자 및 상기 제 1 NMOS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 양자에 결합된 제 2 전극을 가지는 제 2 NMOS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자기-바이어스 전압 제어 발진기.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소스의 제 2 전극과 상기 제 1 노드 사이에 결합된 제 1 인덕터; 및
    접지와 상기 제 2 노드 사이에 결합된 제 2 인덕터를 더 포함하는, 자기-바이어스 전압 제어 발진기.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버랙터는,
    제 1 플레이트 및 제 2 플레이트를 가지는 제 1 버랙터; 및
    제 1 플레이트 및 제 2 플레이트를 가지는 제 2 버랙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버랙터의 제 1 플레이트와 상기 제 2 버랙터의 제 1 플레이트 사이의 노드는 상기 공진 탱크 회로의 상기 인덕터의 상기 중앙 탭에 결합되는, 자기-바이어스 전압 제어 발진기.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VCO 코어의 상기 제 2 쌍의 스위칭 트랜지스터들의 상기 제 1 NMOS 트랜지스터의 제 2 전극과 상기 제 1 버랙터의 제 2 플레이트 사이에 연결된 제 1 커패시터; 및
    상기 VCO 코어의 상기 제 2 쌍의 스위칭 트랜지스터들의 상기 제 2 NMOS 트랜지스터의 제 2 전극과 상기 제 2 버랙터의 제 2 플레이트 사이에 연결된 제 2 커패시터를 더 포함하는, 자기-바이어스 전압 제어 발진기.
  29. 제 28 항에 있어서,
    제 1 탱크 회로 노드와 VCO 주파수 튜닝 전압 사이에 결합된 제 1 바이어스 저항기; 및
    제 2 탱크 회로 노드와 상기 VCO 주파수 튜닝 전압 사이에 결합된 제 2 바이어스 저항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1 탱크 회로 노드는 상기 제 1 커패시터와 상기 공진 탱크 회로의 상기 제 1 버랙터 사이에 있고, 상기 제 2 탱크 회로 노드는 상기 제 2 커패시터와 상기 공진 탱크 회로의 상기 제 2 버랙터 사이에 있는, 자기-바이어스 전압 제어 발진기.
  3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VCO 코어의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들 및 상기 바이어스 회로는, 결합하여, 상기 VCO 코어의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들의 상호컨덕턴스를 제어하는 일정한 상호컨덕턴스 바이어스 회로를 포함하는, 자기-바이어스 전압 제어 발진기.
  31.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VCO 코어의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들 및 상기 바이어스 회로는, 결합하여, 상기 VCO 코어의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들의 상호컨덕턴스를 제어하는 일정한 상호컨덕턴스 바이어스 회로를 포함하는, 자기-바이어스 전압 제어 발진기.
  32.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VCO 코어의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들 및 상기 바이어스 회로는, 결합하여, 상기 VCO 코어의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들의 상호컨덕턴스를 제어하는 일정한 상호컨덕턴스 바이어스 회로를 포함하는, 자기-바이어스 전압 제어 발진기.
  33.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VCO 코어의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들 및 상기 바이어스 회로는, 결합하여, 상기 VCO 코어의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들의 상호컨덕턴스를 제어하는 일정한 상호컨덕턴스 바이어스 회로를 포함하는, 자기-바이어스 전압 제어 발진기.
KR1020057007333A 2002-10-30 2003-10-30 자기-바이어스 전압 제어 발진기 KR1010715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42265802P 2002-10-30 2002-10-30
US60/422,658 2002-10-30
US10/423,261 US6765448B2 (en) 2002-10-30 2003-04-24 Self-biased VCO
US10/423,261 2003-04-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4881A KR20050084881A (ko) 2005-08-29
KR101071599B1 true KR101071599B1 (ko) 2011-10-10

Family

ID=321799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7333A KR101071599B1 (ko) 2002-10-30 2003-10-30 자기-바이어스 전압 제어 발진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765448B2 (ko)
KR (1) KR101071599B1 (ko)
AU (1) AU2003287409A1 (ko)
BR (1) BR0315832A (ko)
WO (1) WO200404291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61442B2 (en) * 2003-01-06 2007-01-09 United Microelectronics Corp. Latch system comprising an action module to increase negative resistance
EP1496609A1 (en) * 2003-07-07 2005-01-12 Dialog Semiconductor GmbH Enhanced architectures of voltage-controlled oscillators with single inductors (VCO-1L)
US8095813B2 (en) * 2004-03-22 2012-01-10 Integrated Device Technology, Inc Integrated circuit systems having processor-controlled clock signal generators therein that support efficient power management
US20090146751A1 (en) * 2007-12-05 2009-06-11 Mobius Microsystems, Inc. Clock, Frequency Reference, and Other Reference Signal Generator
DE102004025545B4 (de) * 2004-05-25 2007-02-15 Texas Instruments Deutschland Gmbh CMOS LC-Schwingkreis-Oszillator
US7123112B2 (en) * 2004-09-15 2006-10-17 Neoreach, Inc. Complementary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ITRM20040648A1 (it) * 2004-12-30 2005-03-30 Univ Roma Dispositivo ad oscillatore differenziale con alimentazione imlpulsata, e relativo metodo di pilotaggio.
KR100715119B1 (ko) * 2006-02-08 2007-05-10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동신호를 얻기 위한 푸쉬-푸쉬 전압조정발진기
US7443260B2 (en) * 2006-09-19 2008-10-28 Atmel Corporation Low-power oscillator
ITRM20060665A1 (it) * 2006-12-11 2008-06-12 Univ Roma Dispositivo a due oscillatori differenziali accoppiati ed in quadratura di fase con alimentazione impulsata.
KR100818798B1 (ko) * 2006-12-28 2008-04-0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원 전압의 변동에 대하여 안정된 발진 주파수를 유지하는전압 제어 발진기
KR100843225B1 (ko) * 2007-01-08 2008-07-02 삼성전자주식회사 위상 잡음을 제어하는 전압 제어 발진기 및 그 이용 방법
KR100836147B1 (ko) * 2007-01-19 2008-06-09 레이디오펄스 주식회사 위상 노이즈를 감소시키며, 주변환경에 안정적인전압제어발진기
KR100836143B1 (ko) * 2007-01-19 2008-06-09 레이디오펄스 주식회사 위상 노이즈를 감소시키는 전압제어발진기
US8812052B2 (en) * 2007-02-27 2014-08-19 Qualcomm Incorporated SPS receiver with adjustable linearity
US20080258827A1 (en) * 2007-04-19 2008-10-23 Mediatek Inc. Radio frequency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s
US20080266007A1 (en) * 2007-04-25 2008-10-30 Ming-Da Tsai Oscillating apparatus having current compensating device for providing compensating current to compensate for current reduction of transconductive device and method thereof
TW200906066A (en) * 2007-07-19 2009-02-01 Uniband Electronic Corp CMOS cross-coupled differential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US8604889B2 (en) * 2007-11-16 2013-12-10 Nxp B.V. Tunable LC oscillator with common mode voltage adjustment
US20090146748A1 (en) * 2007-12-05 2009-06-11 Mobius Microsystems, Inc. Amplitude Controller for a Clock, Frequency Reference, and Other Reference Signal Generator
US8093958B2 (en) * 2007-12-05 2012-01-10 Integrated Device Technology, Inc. Clock, frequency reference, and other reference signal generator with a controlled quality factor
US20090146750A1 (en) * 2007-12-05 2009-06-11 Mobius Microsystems, Inc. Common Mode Controller for a Clock, Frequency Reference, and Other Reference Signal Generator
EP2081291A1 (en) 2008-01-18 2009-07-22 Seiko Epson Corporation Biasing circuit and method for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s
US7961057B2 (en) * 2008-08-28 2011-06-14 Mediatek Singapore Pte Ltd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KR100983039B1 (ko) * 2008-09-03 2010-09-17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입동기 주파수 분배기
JP5185041B2 (ja) * 2008-09-25 2013-04-17 株式会社東芝 安定化回路および安定化回路を備える半導体装置
US8467749B2 (en) * 2008-10-16 2013-06-18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Monolithic FM-band transmit power amplifier for mobile cellular devices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US8159308B1 (en) * 2009-04-20 2012-04-17 Marvell International Ltd. Low power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VCO)
TW201044791A (en) * 2009-04-24 2010-12-16 Integrated Device Tech Clock, frequency reference, and other reference signal generator with frequency stability over temperature variation
US9231630B2 (en) 2009-05-05 2016-01-05 San Diego, CA Radio device having dynamic intermediate frequency scaling
US8164159B1 (en) 2009-07-18 2012-04-24 Intergrated Device Technologies, inc. Semiconductor resonators with electromagnetic and environmental shielding and methods of forming same
JP2011139228A (ja) * 2009-12-28 2011-07-14 Renesas Electronics Corp 発振器複合回路と半導体装置並びに電流再利用方法
US8576017B2 (en) 2011-04-22 2013-11-05 Continental Automotive Systems, Inc Synchronous full-bridge oscillator
US9099956B2 (en) 2011-04-26 2015-08-04 King Abdulaziz City For Science And Technology Injection locking based power amplifier
CN104285375B (zh) 2012-03-19 2018-07-10 英特尔公司 自偏置振荡器
US9490745B1 (en) * 2014-01-21 2016-11-08 Marvell International Ltd. Voltage-controlled oscillator
US9634607B2 (en) 2014-03-11 2017-04-25 Qualcomm Incorporated Low noise and low power voltage-controlled oscillator (VCO) using transconductance (gm) degeneration
US9543891B2 (en) * 2015-04-09 2017-01-10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Low-power low-phase-noise oscillator
US10020777B2 (en) * 2015-10-22 2018-07-10 Mediatek Inc.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1496094B1 (en) 2021-04-26 2022-11-0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Voltage-controlled oscillator with centertap bias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899866A1 (en) * 1997-08-27 1999-03-03 Lsi Logic Corporation Reactive tuned oscillator using standard CMOS technology
US6225871B1 (en) * 2000-02-07 2001-05-01 Prominenet Communications, Inc. Voltage controlled CMOS oscillator
US6411171B2 (en) * 2000-02-25 2002-06-25 Kabushiki Kaisha Toshiba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SE0003510D0 (sv) * 2000-09-29 2000-09-29 Spirea Ab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US6362698B1 (en) * 2000-09-29 2002-03-26 Intel Corporation Low impedance clamping buffer for an LC tank VC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4042913A1 (en) 2004-05-21
KR20050084881A (ko) 2005-08-29
US20040085144A1 (en) 2004-05-06
AU2003287409A1 (en) 2004-06-07
BR0315832A (pt) 2005-09-13
US6765448B2 (en) 2004-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1599B1 (ko) 자기-바이어스 전압 제어 발진기
US7375596B2 (en) Quadrature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US7209017B2 (en) Symmetrical linear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JP3954059B2 (ja) 発振器、通信装置
US8125282B2 (en) Dual-band coupled VCO
US20070103248A1 (en) Oscillator and data processing equipment using the same and voltage control oscillator and data processing equipment using voltage control oscillator
US9425735B2 (en) Voltage-controlled oscillator
US6870432B2 (en) Unilateral coupling for a quadrature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WO2006047041A1 (en)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with varactor-less tuning
US11228280B1 (en) Microelectromechanical system resonator-based oscillator
US8098109B2 (en) Differential varactor circuit for a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US7064622B2 (en) Dual differential LC voltage-controlled oscillator
Liscidini et al. A power-scalable DCO for multi-standard GSM/WCDMA frequency synthesizers
US6469586B1 (en) Low voltage voltage-controlled oscillator topology
US7286024B2 (en) Voltage-controlled oscillator with differential output
US20080315964A1 (en)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using tunable active inductor
KR101759780B1 (ko) 전압 제어 오실레이터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6927643B2 (en) Oscillator topology for very low phase noise operation
EP1543610B1 (en) Lc oscillator
US8098111B2 (en) Reduced phase noise multi-band VCO
US20040251977A1 (en) Low-current, area-efficient and flicker noise free bias CMOS voltage control oscillator
US6606008B2 (en) Oscillator circuit
Singh et al. A low power, low phase noise VCO using cascoded active inductor
Aqeeli et al. Design of a high performance 5.2 ghz low phase noise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using 90nm cmos technology
Zhang et al. Comparison of VCO Topology for Wideband Multi-Standard Applic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