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1175B1 - 지중통신 방식의 지하시설물 관리를 위한 지중화용 덕트 - Google Patents

지중통신 방식의 지하시설물 관리를 위한 지중화용 덕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1175B1
KR101071175B1 KR1020090035504A KR20090035504A KR101071175B1 KR 101071175 B1 KR101071175 B1 KR 101071175B1 KR 1020090035504 A KR1020090035504 A KR 1020090035504A KR 20090035504 A KR20090035504 A KR 20090035504A KR 101071175 B1 KR101071175 B1 KR 1010711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derground
duct
communication
facilities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55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16861A (ko
Inventor
류승기
남상관
강진아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900355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1175B1/ko
Publication of KR201001168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68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11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11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4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magnetically coupled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6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underground tubes or conduits; Tubes or conduit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02D2200/1628Shapes rectangula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10Power supply of remote control devices
    • G08C2201/11Energy harvesting
    • G08C2201/114Solar pow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중통신 방식의 지하시설물 관리를 위한 지중화용 덕트(Duct)에 관한 것으로서, 지중화 대상 시설물(예를 들어, 전기/통신 선로 등)을 사후관리가 용이하도록 지표 인접 지하에서 지중화하고, 또한 지하에 직접 매설되거나 공동구를 통해 관리되고 있는 지하시설물(예를 들어, 상/하수도관, 가스관, 전기선, 통신선로, 송유관, 난방열관 등의 7대 지하시설물)의 상태를 지중통신을 통하여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지중통신 방식의 지하시설물 관리를 위한 지중화용 덕트(Duct)에 있어서, 지하시설물 관리를 위한 무선통신 수집 단말기와 지중화 대상 시설물을 내부에 수용할 수 있는 공동(空洞)의 덕트 프레임; 및 상기 무선통신 수집 단말기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력 공급 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무선통신 수집 단말기는, 기성 시가지의 지하 시설물에 설치된 지하시설물 관리용 센서와 지중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지하 시설물에 대한 센싱 정보를 수집한다.
지중화, 덕트, Duct, 지하시설물, 무선통신 수집 단말기, 지중 통신

Description

지중통신 방식의 지하시설물 관리를 위한 지중화용 덕트{UNDERGROUND DUCT FOR MANAGING UNDERGROUND FACILITIES USING UNDERGROUND COMMUNICATION}
본 발명은 지중화용 덕트(Duct)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중화 대상 시설물(예를 들어, 전기/통신 선로 등)을 사후관리가 용이하도록 지표 인접 지하에서 지중화하고, 또한 지하에 직접 매설되거나 공동구를 통해 관리되고 있는 지하시설물(예를 들어, 상/하수도관, 가스관, 전기선, 통신선로, 송유관, 난방열관 등의 7대 지하시설물)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무선통신 수집 단말기를 수용할 수 있는, 지중통신 방식의 지하시설물 관리를 위한 지중화용 덕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국토해양부 및 한국건설교통기술평가원의 지능형국토정보기술혁신사업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과제관리번호: 06국토정보C01, 과제명: 도시시설물 지능화 기술개발].
도시의 공급체계를 이루는 시설물은 지상 또는 지하에 설치되어 있는데, 도시가 복잡해짐에 따라 지하에 설치되는 비중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지상에 설치되었던 기존의 전기/통신 시설물에 대해서도 도시 미관, 유지 보수의 용이성 및 전압의 증가에 따른 위험 방지 등과 같은 이유로 지하에 매설하는 경향이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지중화 사업"의 추세를 살펴보면, 유럽의 경우에는 전선류의 지중화률이 80%이상이고, 일본의 경우에는 동경 35%, 오사카 32% 등 비교적 높은 비율을 보이고 있으나,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신도시를 중심으로 일부에서 진행되는데 그치고 있다.
지하시설물(지하매설물)의 지중화 방법 중에는 직접 매설하는 방식이 있는데, 이는 초기 공사비가 적게 소요되는 장점은 있으나, 추후의 유지관리, 시설확장, 계획변경 등이 매우 불편하고, 공사에 따른 교통체증과 도로 훼손을 유발하기도 한다. 또한, 이러한 시설들은 매설 후에 장시간이 경과하면, 지상현황의 변화에 따라 상태를 파악하는 것이 곤란하고, 심지어 그 위치조차 파악하기 힘든 경우가 많다.
한편, 도로를 건설하는 경우, 도로 시설물과 더불어 전기/통신, 가스, 원유 등의 이동을 담당하는 지하시설물도 함께 구축하고 있는 추세이다. 기존에는 CAB 방식의 PVC 관을 설치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는데, 이에는 비용이 많이 들어가고, 이러한 비용은 전력/전기통신 사업자의 부담으로 돌아가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도시 지하 공간의 합리적인 운영 및 시설물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한 방법으로서, 공동구를 설치하고 있다. 지하시설물을 공동구로 관리할 경우에는, 유지관리 및 확장성이 용이하고 센서 등의 첨단 장치를 활용하여 관리하는 것이 유리하다는 장점은 있으나, 초기 시설비가 많이 들며, 특히 신도시가 아닌 기성 시가지에서는 그 설치가 매우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미래 "Ubiquitous-City" 등 첨단 도시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기성 시가지의 지하 시설물을 관리하는 것이 필수적이며, 이를 위해 기성 시가지에 건설되어 있는 지중화된 지하시설물에 첨단 센서 장비를 설치하여 관리하는 것이 요구된다. 이때, 지상과 다르게 센서를 통해 지하 시설물을 관리할 경우에는, 센서의 설치 및 통신에 많은 어려움이 수반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지중화 시설물의 사후 관리의 불편을 해소하고 또한 지하시설물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게 하는, 지중통신 방식의 지하시설물 관리를 위한 지중화용 덕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지중화용 덕트(Duct)에 있어서, 지중화 대상 시설물을 내부에 수용할 수 있는 공동(空洞)의 덕트 프레임을 포함하되, 상기 덕트 프레임의 상측부는 탈부착이 가능한 덮개 형태이며, 기성 시가지의 지하 시설물에 설치된 지하시설물 관리용 센서와 지중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지하 시설물에 대한 센싱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무선통신 수집 단말기가 상기 덕트 프레임의 내부에 설치된다.
또한, 본 발명은, 지중통신 방식의 지하시설물 관리를 위한 지중화용 덕트(Duct)에 있어서, 지하시설물 관리를 위한 무선통신 수집 단말기와 지중화 대상 시설물을 내부에 수용할 수 있는 공동(空洞)의 덕트 프레임; 및 상기 무선통신 수집 단말기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력 공급 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무선통신 수집 단말기는, 기성 시가지의 지하 시설물에 설치된 지하시설물 관리용 센서와 지중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지하 시설물에 대한 센싱 정보를 수집한다.
상기와 같은 발명은, 전기/통신 선로 등과 같은 지중화 대상 시설물을 저비용의 간이한 방식으로 지중화할 수 있으며, 또한 덕트가 지표 인접 지하에서 설치되고 덕트의 상측부가 탈/부탁이 가능한 덮개 형태를 가짐으로써 지중화 시설물의 사후관리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하시설물 관리용 센서와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무선통신 수집 단말기를 장착함으로써, 공동구뿐만 아니라 기설 시가지의 지하시설물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미래의 유비쿼터스 도시(u-City) 등과 같은 첨단 도시에서 센서와 무선통신 수집 단말기를 지중화용 덕트를 통해 기성 시가지에 적용하면, 전력 및 통신 사고로 인한 복구 작업을 수행함에 있어서 도로 구조를 보존하면서도 장애 복구 작업을 신속/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각각의 지중화용 덕트마다 또는 소정의 덕트 연결구간마다 식별번호를 부여하여 블록 단위 형태로 관리함으로써, 장애가 발생한 지하시설물의 위치 및 해당 상태를 지상의 위치나 현상과 관계없이 신속/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고, 또한 이로 인하여 사고(장애)에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중통신 방식의 지하시설물 관리를 위한 지중화용 덕트의 설치에 대한 설명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지중통신을 이용하여 지하시설물을 관리하기 위한 지중화용 덕트(10)는 지표 인접 지하에 설치되어 전기/통신 라인 등을 지중화하여 관리하고, 또한 지하시설물(지하매설물)의 센서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무선통신 수집장치를 설치(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함으로써, 지중통신을 이용하여 지하시설물을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지중화용 덕트(10)는 무선통신 수집 단말기를 내부에 포함하여 지하시설물 관리용 센서와 지중 통신을 수행하는 바, "유비쿼터스 덕트(U-Duct: Ubiquitous Duct)"라 칭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지중화용 덕트(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구성 등을 고려하여, 차도(16)와 인도(12)를 구분하는 도로 경계석(14)에 인접하게 설치되되, 특히 인도(12) 쪽 인접영역에 설치된다. 도 1에는 인도에 설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실시예에 따라서는 측구 하단부에도 설치될 수 있는데, 특히 태양열을 이용하지 않을 경우에 측구 하단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이는 측구는 간단하게 분리/해체가 가능하기 때문에 유비쿼터스 덕트(10)의 수리 등을 쉽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지중화용 덕트(10)는 상측부가 지표면에 노출되되, 특히 지표면(인도면)과 평평하게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지중화용 덕트(10)에 투과성 보호부(21b)가 있는 경우에는 투과성 보호부가 지표면에 노출되고, 투과성 보호부(21b)가 없는 경우에는 해당 덕트의 외측 상부(20a)가 지표면에 노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지중화용 덕트(10)의 내부(바람직하게는, 내측 상부)에는 무선통신 수집 단말기가 설치되어 있고, 또한 내부에는 지중화 대상물에 해당하는 전선류(전선/통신선) 등을 수용하고 있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지중통신 방식의 지하시설물 관리를 위한 지중화용 덕트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지중화용 덕트는,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덕트 프레임(20), 태양광 집진판(21a), 투과성 보호부(21b), 및 발전부(21c)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태양광 집진판(21a), 투과성 보호부(21b), 및 발전부(21c)는 통털어서 "전력 공급부"라 한다.
덕트 프레임(20)은 지중화 대상 시설물(24)이나 무선통신 수집 단말기(지하 시설물의 관리를 위한 무선통신 수집 단말기)(23)를 내부(바람직하게는 내측 상부)에 수용할 수 있는 공동(空洞)의 프레임으로서, 지중화나 사후 관리의 편리를 위하여 "상측부"가 탈부착이 가능한 덮개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덕트 프레임(20)은 콘크리트로 구조물로서, 단면이 사각형이고 소정의 길이를 갖는 공동 의 덕트 프레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덕트 프레임(20)은 가로(폭)(w)가 30-40cm, 높이(h)가 30-60cm의 크기이고, 다양한 길이(L)를 갖는 사각형 박스 형태의 콘크리트 구조물이다.
다음으로, 전력 공급부(21a 내지 21c)는 덕트 프레임(20) 내에 설치된 무선통신 수집 단말기(23)나 각종 센서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서, 태양광을 집진하기 위한 태양광 집진판(21a), 태양광 집진판을 통하여 집진된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기 위한 발전부(21c), 및 태양광 집진판을 보호하기 위한 투과성 보호부(21b)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특히 태양광 집진판(21a)은 덕트 프레임(20)의 외측 상부(20a)에 인접하게 위한 판상 구조물에 해당하고, 발전부(21c)는 덕트 프레임(20) 내부에 위치한다.
지중화용 덕트 내의 무선통신 수집 단말기(23)는 사건(장애) 발생의 신속한 보고를 위하여, 항시 켜져(Power ON) 있는 상태에 있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많은 전력이 소모되는 바, 이를 공급하기 위하여 전력 공급부(21a 내지 21c)가 필요한 것이다.
다음으로, 투과성 보호부(21b)는 태양광 집진판(21a)을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서, 투명 강화 플라스틱, 투명 강화 유리 등과 같이 빛 투과율과 견고성이 좋은 소재로 이루어진다.
다만, 실시예에 따라서는 전력 공급부(21a 내지 21c)를 부가하지 않을 수도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지중화용 덕트는, 도로 경계석을 따라 복수 개가 연결되어 설치되되, 각각의 지중화용 덕트 또는 일정한 덕트 연결구간마다 식별번호가 부여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중화용 덕트(Duct) 내의 무선통신 수집 단말기와 지하시설물 관리용 센서 간의 지중통신 방법에 대한 설명도이다.
지중화용 덕트(Duct)(10)와 지하 시설물(예를 들면, 상/하수도, 가스관, 난방열관 등)(30) 사이에는 흙으로 채워져 있기 때문에, 지중화용 덕트(Duct)(10) 내의 무선통신 수집 단말기(23)와 지하 시설물(30)에 설치된 센서(지하시설물 관리용 센서)(31) 간에는 일반적인 무선 RF(Radio Frequency)로는 통신이 불가능하므로, 지중 통신이 가능한 자기장 등의 통신 방법을 이용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지중화용 덕트(Duct)를 이용한 지하시설물을 관리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설명도이다.
도로 경계석 등을 따라 복수 개의 지중화용 덕트(Duct)를 연결하되, 각각의 지중화용 덕트마다 또는 일정한 덕트 연결구간마다(일정한 구역별로) 식별번호(고유 관리번호)(U-001, U-002 등)를 부여하고, 이에 해당하는 지하시설물(동일한 위치에 있는 지하시설물)에도 동일한 방식으로 식별번호(W-001, W-002 등)를 부여하고 센서(지하시설물 관리용 센서)를 부착한다. 무선통신 수집 단말기로부터 수집되는 정보를 관리하는 관제 시스템(서버)에서는 지하시설물 식별번호, 덕트 식별번호, 센서 번호(센서 ID) 등을 위치 정보와 매칭하여 저장/관리하고 있다.
특히,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지중화용 덕트(Duct)(10)를 활용하여 상수도 관(42)을 관리하는 상황을 나타내며, U-001과 W-001과 같이 지중화용 덕트(Duct)의 식별번호(41)와 지하시설물의 식별번호(43)를 매칭시킴으로써, 보이지 않는 지하 시설물에 대한 위치 및 상태 관리를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중통신 방식의 지하시설물 관리를 위한 지중화용 덕트의 설치에 대한 설명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지중통신 방식의 지하시설물 관리를 위한 지중화용 덕트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중화용 덕트(Duct) 내의 무선통신 수집 단말기와 지하시설물 관리용 센서 간의 지중통신 방법에 대한 설명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지중화용 덕트(Duct)를 이용한 지하시설물을 관리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설명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지중화용 덕트(U-Duct) 20: 덕트 프레임
20a: 덕트 프레임의 상부 20b: 덕트 프레임의 좌/우 측면부와 하부
21a: 태양광 집진판 21b: 투과성 보호부
21c: 발전부 23: 무선통신 수집 단말기
24: 지중화 대상 시설물

Claims (18)

  1. 지중화용 덕트(Duct)에 있어서,
    지중화 대상 시설물을 내부에 수용할 수 있는 공동(空洞)의 덕트 프레임을 포함하되,
    상기 덕트 프레임의 상측부는 탈부착이 가능한 덮개 형태이며,
    기성 시가지의 지하 시설물에 설치된 지하시설물 관리용 센서와 지중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지하 시설물에 대한 센싱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무선통신 수집 단말기가 상기 덕트 프레임의 내부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화용 덕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 프레임은,
    단면이 사각형이고 소정의 길이를 갖는 공동의 덕트 프레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화용 덕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중통신은,
    자기장 통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화용 덕트.
  4. 삭제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중화용 덕트(Duct)는,
    상기 상측부가 지표에 노출되고, 도로 경계석에서 인도 측으로 인접하게 설치되나 측구 하단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화용 덕트.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지중화용 덕트(Duct)는,
    상기 도로 경계석을 따라 복수 개가 연결되어 설치되되, 각각의 지중화용 덕트 또는 소정의 덕트 연결구간마다 식별번호가 부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화용 덕트.
  7. 지중통신 방식의 지하시설물 관리를 위한 지중화용 덕트(Duct)에 있어서,
    지하시설물 관리를 위한 무선통신 수집 단말기와 지중화 대상 시설물을 내부에 수용할 수 있는 공동(空洞)의 덕트 프레임; 및
    상기 무선통신 수집 단말기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력 공급 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무선통신 수집 단말기는, 기성 시가지의 지하 시설물에 설치된 지하시설물 관리용 센서와 지중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지하 시설물에 대한 센싱 정보를 수집하는, 지중화용 덕트.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공급 수단은,
    태양광을 집진하기 위한 태양광 집진판;
    상기 태양광 집진판을 통하여 집진된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기 위한 발전부; 및
    상기 태양광 집진판을 보호하기 위한 투과성 보호부
    를 더 포함하는 지중화용 덕트.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투과성 보호부는,
    투명 강화 플라스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화용 덕트.
  10. 제 7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 프레임은,
    상측부가 탈부착이 가능한 덮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지중화용 덕트.
  11. 제 7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 프레임은,
    단면이 사각형이고 소정의 길이를 갖는 공동의 덕트 프레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화용 덕트.
  12. 제 7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중통신은,
    자기장 통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화용 덕트
  13.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광 집진판은,
    상기 덕트 프레임의 외측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발전부는 상기 덕트 프레임의 내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 중화용 덕트.
  14.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광 집진판은,
    상기 덕트 프레임의 외측 상부에 인접하게 위치한 판상 구조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화용 덕트.
  15.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지중화용 덕트(Duct)는,
    상기 투과성 보호부가 지표에 노출되고, 도로 경계석에서 인도 측으로 인접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화용 덕트.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지중화용 덕트(Duct)는,
    상기 도로 경계석을 따라 복수 개가 연결되어 설치되되, 각각의 지중화용 덕트 또는 소정의 덕트 연결구간마다 식별번호가 부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화용 덕트.
  17. 제 7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 수집 단말기는,
    상기 덕트 프레임의 내측 상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화용 덕트.
  18. 삭제
KR1020090035504A 2009-04-23 2009-04-23 지중통신 방식의 지하시설물 관리를 위한 지중화용 덕트 KR1010711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5504A KR101071175B1 (ko) 2009-04-23 2009-04-23 지중통신 방식의 지하시설물 관리를 위한 지중화용 덕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5504A KR101071175B1 (ko) 2009-04-23 2009-04-23 지중통신 방식의 지하시설물 관리를 위한 지중화용 덕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6861A KR20100116861A (ko) 2010-11-02
KR101071175B1 true KR101071175B1 (ko) 2011-10-10

Family

ID=434036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5504A KR101071175B1 (ko) 2009-04-23 2009-04-23 지중통신 방식의 지하시설물 관리를 위한 지중화용 덕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117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7680B1 (ko) * 2019-10-31 2020-06-29 주식회사 휴먼네트워크 멀티용 공동구 및 그 시공방법
CN111697523A (zh) * 2020-06-23 2020-09-22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 一种电缆沟智能散热系统及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04510A (ja) * 1999-01-14 2000-07-25 Nsp Corp 電線共同溝における接続函の仮舗装蓋
KR100429769B1 (ko) * 2001-12-24 2004-05-03 주식회사 자라다 지하 공동구의 원격 감시 시스템
KR100791953B1 (ko) * 2007-05-10 2008-01-04 (주)씨엠엔텍 맨홀뚜껑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04510A (ja) * 1999-01-14 2000-07-25 Nsp Corp 電線共同溝における接続函の仮舗装蓋
KR100429769B1 (ko) * 2001-12-24 2004-05-03 주식회사 자라다 지하 공동구의 원격 감시 시스템
KR100791953B1 (ko) * 2007-05-10 2008-01-04 (주)씨엠엔텍 맨홀뚜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6861A (ko) 2010-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98696B1 (en) A modular ducting section adapted for laying end-to- end and side by side forming a networked utilities ducting system and rain and run-off water management system
CN206090610U (zh) 一种地下综合管廊系统
CN106320370A (zh) 一种地下综合管廊系统
KR101071175B1 (ko) 지중통신 방식의 지하시설물 관리를 위한 지중화용 덕트
CN104410031B (zh) 一种预制电缆排管
CN205557584U (zh) 一种钢制管廊及大型综合管廊系统
KR101195008B1 (ko) 힌지형 지중 방수함 장치
US20240141598A1 (en) Smart Modular Street and Sidewalk
CN203034480U (zh) 一种城市地下公共管道
KR101084678B1 (ko) 유비쿼터스 덕트를 이용한 지하시설물 관리 방법
KR101643725B1 (ko) 지중 전력 설비 매립형 구조물의 시공방법
CN110735447B (zh) 一种用于太阳能发电路面电力沟槽的综合管廊及使用方法
CN103114641A (zh) 水,电,天然气,下水道,与修路一体化
CN211080297U (zh) 一种综合管廊
Shahzad The impact of infrastructural services on traditional architecture and urban fabric of the Walled City of Lahore
CN203834522U (zh) 一种混凝土箱涵变形缝防水构造
US20200363392A1 (en) Smart porous concrete slab
CN206877126U (zh) 一种地下管廊分区控制系统
CN205662944U (zh) 电镀工业园区集成式公共地下箱涵
CN109742713B (zh) 一种防水防尘沟盖板
Memari et al. A New Milestone In Pan-European Network Leveraging On Shared Infrastructures
CN203562736U (zh) 一种预应力钢筒混凝土管电缆管廊
CN202401132U (zh) 埋地钢质管道风光电互补网络式防腐系统
CN102545128A (zh) 便于检测的电缆管道
CN204046077U (zh) 变电站户外电缆敷设及检修优化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