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1172B1 - 주사기 - Google Patents

주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1172B1
KR101071172B1 KR1020050100049A KR20050100049A KR101071172B1 KR 101071172 B1 KR101071172 B1 KR 101071172B1 KR 1020050100049 A KR1020050100049 A KR 1020050100049A KR 20050100049 A KR20050100049 A KR 20050100049A KR 101071172 B1 KR101071172 B1 KR 1010711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nger
holding
needle seat
syringe
rear e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00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44112A (ko
Inventor
밍 쳉 슈이
밍 밍 후앙
필립 쉬
Original Assignee
밍 쳉 슈이
필립 쉬
밍 밍 후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밍 쳉 슈이, 필립 쉬, 밍 밍 후앙 filed Critical 밍 쳉 슈이
Priority to KR10200501000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1172B1/ko
Publication of KR200700441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41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11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11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05Apparatus for removing or disposing of used needles or syringes, e.g. containers; 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from used needles
    • A61M5/321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by used needles
    • A61M5/322Retractable needles, i.e. disconnected from and withdrawn into the syringe barrel by the piston
    • A61M5/3234Fully automatic needle retraction, i.e. in which triggering of the needle does not require a deliberate action by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5Pistons; Piston-rods; Guiding,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Appliances on the rod for facilitating dosing ; Dosing mechanisms
    • A61M5/31511Piston or piston-rod constructions, e.g. connection of piston with piston-rod
    • A61M2005/31516Piston or piston-rod constructions, e.g. connection of piston with piston-rod reducing dead-space in the syringe barrel after deliv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05Apparatus for removing or disposing of used needles or syringes, e.g. containers; 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from used needles
    • A61M5/321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by used needles
    • A61M5/322Retractable needles, i.e. disconnected from and withdrawn into the syringe barrel by the piston
    • A61M5/3234Fully automatic needle retraction, i.e. in which triggering of the needle does not require a deliberate action by the user
    • A61M2005/3241Needle retraction energy is accumulated inside of a hollow plunger ro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사용이 끝난 니들 캐뉼러를 더욱 순조롭게 플런저 내로 인입할 수 있는 주사기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니들 캐뉼러, 니들좌, 배럴, 협지 수단, 플런저, 계합 수단, 바이어스 수단을 각기 다음과 같이 구비하는 주사기를 제공한다. 니들좌는 관 형태로 니들 캐뉼러를 고정하는 전허브부, 전허브부에서 그 축 방향을 따라 연신하여 이루어진 피협지부, 전허브부와 대향하는 후감부로 이루어진다. 배럴은 상기 축 방향 상으로 서로 대향하는 전· 후 2개의 개구단, 전· 후 2개의 개구단의 사이에 연신하여 전· 후 2개의 개구단의 개구를 연통하는 통로가 형성되고, 동시에 전개구단에 근접하고 있는 소경부와 후개구단에 근접하고 있는 대경부로 이루어져 있는 주벽을 가지며, 또한, 대경부에 상기 축 방향에 있어서 소경부로부터 떨어져있는 보지 에어리어가 형성되어 소경부에 대경부에 근접한 다음 니들좌가 사용 위치에 있을 때, 전허브부를 보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보지 영역과, 보지 영역으로부터 전개구단으로 연신하고 그 말단에 니들좌가 사용위치에 있을 때, 전허브부를 격리시키고 있는 접촉견부가 형성되어 있는 마찰 감소 영역이 형성되어, 접촉견부에 니들 캐뉼러를 삽통하는 연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협지 수단은, 관 형태의 것으로 니들좌가 사용위치에 있을 때, 피협지부를 보지하면서 보지 에어리어와 계합하고, 보지 에어리어에 대한 이동저항이 되는 제1 마찰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다. 플런저는 서로 대향하는 전· 후 양단 개구와, 전· 후 양단 개구의 사이에 연신되고 그 내부에 수용 챔버를 이루고 있는 주벽을 갖는 관 형태의 것 으로서, 대경부에 있는 상기 통로 내에 접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어 전단 개구연이 협지 수단과 당접할 때까지 이동할 수 있고, 또, 그 후단개구연이 항상 배럴의 후개구단에서 외부로 노출되어 있어 외부로부터 조작될 수 있다. 계합 수단은 수용 챔버내의 소정 위치에 계지되어 있어 플런저 소정 위치의 상기 주벽에 대한 이동 저항이 되는 제2 마찰력을 발생시키는 보지부, 사용 위치에 있을 때 플런저의 전단 개구연에 인접하고, 동시에 니들좌의 후감부와 대응하도록 배치되어 있어 배럴의 전개구단으로 접동될 때, 후감부와 결합할 수 있는 감합부를 갖고, 그에 따라 플런저가 상기 제1 마찰력에 저항해서 전방으로 접동됨에 따라, 협지 수단이 전방으로 눌리고, 전허브부가 마찰 감소 영역을 경유해서 접촉견부에 당접되며, 나아가 플런저가 눌려서 감합부가 후감부로 밀려들어가 후감부에 결합되고 나서, 플런저의 상기 주벽을 따라 후단 개구연으로 접동되어, 보지부를 상기 소정 위치의 주벽으로부터 이탈시킨다. 바이어스 수단은 감합부를 후단 개구연으로 근접시킴과 동시에 니들좌를 상기 사용 위치에서 니들 캐뉼러와 함께 수용 챔버 내에 수용하는 인입 위치로 이동시키는 바이어스 힘을 전가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Description

주사기{SYRINGE}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주사기를 나타내는 분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주사기가 사용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결합 수단의 배럴의 전단개구로의 이동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주사기가 인입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주사기가 사용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주사기가 사용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주사기가 인입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주사기가 사용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주사기가 사용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 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전허브부가 마찰 감소 영역을 경유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주사기가 인입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주사기가 사용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주사기가 사용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주사기가 사용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주사기가 인입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따른 주사기가 사용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따른 전허브부가 마찰 감소 영역을 경유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10 실시예에 따른 주사기가 사용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10 실시예에 따른 주사기가 인입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11 실시예에 따른 주사기가 사용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12 실시예에 따른 주사기가 사용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제13 실시예에 따른 주사기가 사용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제14 실시예에 따른 주사기가 사용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배럴 10:통로
11:대경부 12 : 소경부
121:보지 영역 122:마찰 감소 영역
123:연통공 124:접촉견부
13:주벽 131:전개구단
132:후개구단 14:링 형태의 견부
15:리브 16:보지 에어리어
2:니들 수단 21:니들좌
211:전허브부 2110:내실
2111:전허브부 2112:전단부
212:후단부 213:후감부
22:니들 캐뉼러 3:협지 수단
31: 연신공 32 : 밀봉부
4 : 플런저 41 : 수용 챔버
42 : 주벽 421 : 전단개구연
422 : 후단개구연 423 : 소단부
424 : 대단부 4241 : 전단부
4242 : 후단부 425 : 말단부
426 : 링 형태의 견부 427 : 링 형태의 홈
427a : 돌기 428 : 링 형태 리브
429 : 통기공 43 : 씰 링
44 : 캡 441 : 링 형태의 홈
45 : 씰 링 수단 51 : 계합 수단
511 : 막대부 512 : 보지부
512a : 보지부 513 : 보지 막대부
514 : 감합부 515 : 돌출연
516 : 결합 홈 517 : 테이퍼 부
518 : 링 형태 에지 519 : 헤드부
52 : 바이어스 수단 521 : 전단
522 : 후단 55 : 밀봉 수단
550 : 말단벽 551 : 요홈
7 : 밀봉 유닛 73 : 챔버
본 발명은 주사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이 끝난 니들 캐뉼러를 약제 추진용의 플런저 내에 수용할 수 있는 주사기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인은 일본 특개 제2004-194385호에서"주사기"를 제안하고 있다. 이러한 주사기에서, 사용이 끝난 니들 캐뉼러를 플런저 내로 인입하는 기구가 있어, 그에 따라, 주사침을 잘못 찌름에 따른 감염을 방지할 수 있으나, 본 출원인은 이와 같은 기구에 따른 니들 캐뉼러의 플런저 내로의 인입은 순조성이 아직 이상적이라고는 할 수 없다고 생각한다.
상술한 점을 감안하여, 본 출원인은 검토에 검토를 거듭해 사용이 끝난 니들 캐뉼러를 더욱 순조롭게 플런저 내로 인입할 수 있는 주사기를 제공하는 것을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니들 캐뉼러, 니들좌, 배럴, 협지수단, 플런저, 계합수단 및 바이어스 수단을 각각 이하와 같이 구비하고 있는 주사기를 제공한다. 상기 니들좌는 관 형태로 상기 니들 캐뉼러를 고정하는 전허브부, 상기 전허브부에서 그 축 방향을 따라 연신되어 있는 피협지부, 상기 전허브부와 대향하는 후감부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배럴은 상기 축 방향 상에 서로 대향하는 전· 후 2개의 개구단, 상기 전· 후 2개의 개구단의 사이에 연신되어 상기 전· 후 2개의 개구단의 개구를 연통하고 있는 통로가 형성되고, 동시에 상기 전개구단에 근접하고 있는 소경부와 상기 후개구단에 근접하고 있는 대경부로 이루어져 있는 주벽을 가지며, 상기 대경부에 상기 축 방향에서 상기 소경부로부터 떨어져 있는 보지 에어리어가 형성되어, 상기 소경부에 상기 대경부에 근접한 다음 상기 니들좌가 사용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전허브부를 보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보지 영역과, 상기 보지 영역으로부터 상기 전개구단으로 연신하고 있고 그 말단에 상기 니들좌가 사용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전허브부로부터 떨어져 있는 접촉견부가 형성되어 있는 마찰 감소 영역이 형성되어, 상기 접촉견부에 상기 니들 캐뉼러를 삽통하는 연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협지 수단은 관 형태의 것으로 상기 니들좌가 사용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피협지부를 보지하면서 상기 보지 에어리어와 계합하고, 그로부터 상기 보지 에어리어에 대한 이동 저항이 되는 제1 마찰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다. 상기 플런저는 서로 대향하는 전· 후 양단 개구와, 상기 전· 후 양단 개구의 사이에 연신하고 그 내부에 수용 챔버를 이루고 있는 주벽을 갖는 관 형태의 것으로, 상기 대경부에 있는 상기 통로 내에 접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어 그 전단 개구연이 상기 협지 수단과 당접할 때까지 이동할 수 있고, 또한, 그 후단 개구연이 항상 상기 배럴의 상기 후개구단에서 외부로 노출되어 있어 외부로부터 조작될 수 있다. 상기 계합 수단은 상기 수용 챔버 내의 소정 위치 에 계지되어있어 그로부터 상기 플런저 소정 위치의 상기 주벽에 대한 이동 저항이 되는 제2 마찰력을 발생시키는 보지부, 사용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플런저의 상기 전단 개구연에 인접하고, 동시에 상기 니들좌의 상기 후감부와 대변하도록 배치되어 있어 상기 배럴의 상기 전개구단으로 접동될 때, 상기 후감부와 결합할 수 있는 감합부를 갖고, 그에 따라 상기 플런저가 상기 제1 마찰력에 저항해서 전방으로 접동됨에 따라, 상기 협지 수단이 전방으로 눌리고, 상기 전허브부가 상기 마찰 감소 영역을 경유해서 상기 접촉견부에 당접되고, 나아가 상기 플런저가 눌려서 상기 감합부가 상기 후감부에 밀려들어가 후감부에 결합되고 나서 상기 플런저의 상기 주벽을 따라 상기 후단 개구연으로 접동되어, 상기 보지부를 상기 소정 위치의 주벽으로부터 이탈시킨다. 상기 바이어스 수단은 상기 감합부를 상기 후단 개구연으로 근접시킴과 동시에, 상기 니들좌를 상기 사용 위치에서 상기 니들 캐뉼러와 함께 상기 수용 챔버 내에 수용하는 인입 위치로 이동시키는 바이어스 힘을 전가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상술한 구조를 갖는 주사기에 따르면, 상기 니들 캐뉼러의 플런저 내로의 인입은 상기 전허브부가 상기 보지 영역으로부터 상기 마찰 감소 영역을 경유해서 상기 접촉견부에 당접되고, 즉, 상기 전허브부가 상기 배럴의 소경부의 상기 보지 영역에 따른 보지 상태에서 상기 마찰 영역 내에 있는 완화 상태로 변경되고 나서 비로소 수행되므로, 상기 인입 이동에 대한 저항이 되는 정적 마찰이 대폭 감소하고, 상기 바이어스 수단에 따른 인입 동작이 용이하게 수행되어 종래보다 순조롭게 수행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따른 주사기를 설명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주사기를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주사기는, 니들 수단(2), 배럴(1), 협지(挾持) 수단(3), 플런저(4), 계합 수단(51) 및 바이어스 수단(52)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니들 수단(2)은 니들좌(21)와 니들 캐뉼러(22)로 이루어져 있다. 니들좌(21)는 직관의 형상을 가지며, 전· 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니들 캐뉼러(22)의 후단을 고정하는 전허브부(211), 전허브부(211)에서 상기 전· 후 방향(즉, 니들좌(21) 그 자체의 축 방향)을 따라 연신되어 있는 피협지부(被挾持部)(212), 전허브부(211)와 대향하는 후감부(後嵌部)(213)로 이루어져 있다. 다시 말하면, 니들좌(21)는 전허브부(211)로서의 전단부(211), 전단부(211)의 반대편에 있고, 동시에 그 내· 외 양면이 각각 상기 후감부(213)와 상기 피협지부(212)로 되어 있는 후단부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니들 수단(2)은 직경이 극히 작은 금속관으로 되어 있고, 플런저(4) 및 배럴(1) 각각의 내· 외경도 그에 따라서 극히 작다. 따라서, 예를 들면 1㎖ 정도의 극소량의 약제의 주사에 적용된다.
상기 배럴(1)은 상기 축 방향(상기 전· 후 방향) 상에 서로 대향하는 전· 후 2개의 개구단들(131, 132), 상기 전· 후 2개의 개구단들(131, 132)의 사이에 연신하여 그 전· 후 2개의 개구단들(131, 132)의 개구를 연통하고 있는 통로(10)가 형성됨과 함께, 전개구단(131)에 근접하고 있는 소경부(小徑部)(12)와 후개구단 (132)에 근접하고 있는 대경부(大俓部)(11)로 이루어져 있는 주벽(13)을 갖는다. 또한, 대경부(11)에 상기 축 방향에 있어서 소경부(12)에서 떨어져있는 보지 에어리어(16)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배럴(1)의 대경부(11)와 소경부(12)와의 사이의 내벽 면에, 링 형태 견부(肩部))(14)가 형성되어 있고, 링 형태 견부(14)에 복수의 리브들(15)이 상기 전· 후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으며, 니들좌(21)가 사용 위치에 있을 때, 하기 보지 영역(121)에 더해 복수의 리브들(15)에 의해 전허브부(211)를 더욱 보지 할 수 있다.
상기 소경부(12)에, 대경부(11)에 근접한 다음 니들좌(21)가 사용 위치에 있을 때 전허브부(211)를 보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보지 영역(121), 보지 영역(121)에서 전개구단(131)으로 연신해 있고, 그 말단에 니들좌(21)가 사용 위치에 있을 때 전허브부(211)로부터 떨어져 있는 접촉견부(124)가 형성되어 있는 마찰 감소 영역(12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마찰 감소 영역(122)에 있는 통로(10)의 내경이 보지 영역(121)에 있는 통로(10)의 내경보다 크다. 또한, 접촉견부(124)에 니들 캐뉼러(22)를 삽통(揷通)하는 연통공(12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협지 수단(3)은, 관 형태를 가지며, 니들좌(21)가 사용 위치에 있을 때, 피협지부(212)를 보지하면서 보지 에어리어(16)와 계합(係合)하고, 상기 보지 에어리어(16)에 대한 이동 저항이 되는 제1 마찰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협지 수단(3)에는 니들좌(21)의 피협지부(212)를 보지하는 연신공(3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플런저(4)는 서로 대향하고 있는 전· 후 양단 개구들과 상기 전· 후 양단개구들 간에 연신하고 있고 그 내부로 수용 챔버(41)를 이루고 있는 주벽(42)을 구비하는 관 형태를 가지며, 대경부(11)에 있는 통로(10) 내에 접동(摺動)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어 전단 개구연(421)이 협지 수단(3)과 당접(當接)할 때까지 이동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후단 개구연(422)이 항상 배럴(1)의 후개구단(132)으로부터 외부로 노출되어 있어 외부에서 조작될 수 있다. 또한, 플런저(4)의 주벽(42)은 각각 상기 전단개구에 근접하는 소단부(423), 상기 후단개구에 근접하는 대단부(424), 대단부(424)와 상기 후단개구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말단부(425)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플런저(4)의 소단부(423)와 대단부(424)와의 사이의 서로 인접한 곳에 견부(426)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말단부(425)에 외기와 연통하고 있는 통기공(429)이 형성되어 있다. 대단부(424)에는 후단 개구연(422)에 근접한 링 형태 리브(428)가 형성되어 있다. 플런저(4)의 상기 후단개구는 캡(44)으로 덮여 있고, 캡(44)에 말단부(425)와 계합하고 있는 링 형태 홈(44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대단부(424)의 견부(426)에 근접한 내주 벽에 링 형태 홈(427)이 형성되어 있다. 소단부(423)에 연성 씰 링(43)이 외감(外嵌)되어 있다. 이에 따라, 소단부(423)가 배럴(1)의 대경부(11)와 계합 수단(51)과의 사이에 밀봉적으로 접동 가능하다.
상기 계합 수단(51)은, 막대부(511), 보지부(512), 보지 막대부(513), 감함부(嵌合部)(514)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보지부(512)는 링 형태 홈(427)에 계지(係止)되어 있어, 상기 플런저(4)의 링 형태 홈(427)의 주벽(42)에 대한 이동 저항이 되는 제2 마찰력을 발생시키는 돌기이다. 감합부(514)는 사용 위치에 있을 때, 플런저(4)의 전단 개구연(421)에 인접하고, 동시에 니들좌(21)의 후감 부(213)와 대면하도록 배치되어 있어 배럴(1)의 전개구단(131)으로 접동될 때, 후감부(213)와 결합할 수 있다. 보지 막대부(513)는, 보지부(512)와 감함부(514)와의 사이에 니들좌(21)가 사용 위치에 있을 때, 소단부(423)의 수용 챔버(41)내로 연재해서 계합 수단(51) 전체를 안정화시킨다. 막대부(511)는, 보지부(512)에서 감함부(514)를 멀리하는 방향으로 연신된다.
상기 바이어스 수단(52)은, 전· 후 양단(521, 522)을 갖는 코일 스프링으로서, 각각 막대부(511) 및 링 형태 리브(428)에 고정되어 있고, 보지부(512)가 플런저(4)의 링 형태 홈(427)과 당접할 때, 반대 방향으로 끌려갈 수 있다.
주사를 완료한 후, 플런저(4)를 배럴(1)의 전개구단(131)으로 접동시켜서 밀봉링(43)을 협지 수단(3)과 당접시킨다. 이 때, 감합부(514)가 이미 연신공(31)으로 삽입되어 있다. 그리고,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런저(4)를 상기 제1 마찰력에 저항해서 전방으로 접동시킴에 따라, 협지 수단(3)을 더 전방으로 누르고, 감합부(514)의 일부를 후감부(213)로 진입시켜, 전허브부(211)를 마찰 감소 영역(122)을 경유해서 접촉견부(124)에 당접시킨다. 그리고,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음으로 플런저(4)를 눌러서 감합부(514)를 후감부(213)에 눌러 넣어 후감부(213)에 결합시키고 나서, 플런저(4)의 주벽(42)을 따라 후단 개구연(422)으로 접동시켜, 보지부(512)를 링 형태 홈(427)으로부터 이탈시킨다. 그리고,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이어스 수단(52)의 바이어스 힘에 따라, 감합부(514)를 후단 개구연(422)으로 근접시킴과 동시에, 니들좌(21)를 상기 사용 위치에서 니들 캐뉼러(22)와 함께 수용 챔버(41) 내에 수용하는 인입 위치로 이동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니들 캐뉼러(22)의 플런저(4)내로의 인입은 전허브부(211)가 보지 영역(121)으로부터 마찰 감소 영역(122)을 경유해서 접촉견부(124)에 당접되어, 즉, 전허브부(211)가 배럴(1)의 소경부(12)의 보지 영역(121)에 따른 보지 상태에서 마찰 감소 영역(122)내에 있는 완화 상태로 변경되고 나서 비로소 수행되므로, 상기 인입 이동에 대한 저항이 되는 정적 마찰이 큰 폭으로 감소하고, 바이어스 수단(52)에 따른 인입 동작이 용이하게 발동되어, 종래보다 순조롭게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7에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주사기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술한 제1 실시예의 경우와 다른 점은 후감부(514)가 상기 축 방향을 따라서 피협지부(212)로부터 후방으로 연신되어 이루어져 있는 점이다. 감합부(514)에는 니들좌(21)가 상기 인입 위치에 있을 때에 후감부(213)를 협지할 수 있는 결합홈(516)이 형성된다. 또한, 배럴(1), 플런저(4) 및 니들좌(21)는 상기 제1 실시예의 경우 보다 각기 직경이 크다. 그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주사기는, 예를 들면, 3㎖ 정도 또는 5㎖ 정도의 통상적인 양의 약제를 주사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8 및 도 9에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주사기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술한 제1 실시예의 경우와 다른 점은 계합 수단(51)은 감합부(514)와 보지부(512)와의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막대부(511)를 가지며, 주벽(42) 및 막대부(511)에는 각각 전개구단연(421)과 근접한 링 형태 견부(426)와, 감합부(514)에서 멀리 떨어진 돌출연(515)이 형성되어 있는 점이다. 그에 따라, 바이어스 수단(52)은 보지부(512)가 플런저(4)의 링 형태 홈(427)과 당접할 때, 링 형태 견부(426)와 돌출연(515)과의 사이에 강제적으로 끼워져 상기 바이어스 힘을 발생시킬 수 있다.
다음, 도 10에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주사기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전술한 제3 실시예의 경우와 다른 점은, 배럴(1), 플런저(4) 및 니들좌(21)는 상기 제1 실시예의 경우 보다 직경이 크고, 또한, 후감부(213)가 상기 축 방향을 따라 피협지부(212)에서 후방으로 연신되어 있는 점이다. 감합부(514)에는 니들좌(21)가 상기 인입 위치에 있을 때에 후감부(213)를 협지할 수 있는 결합홈(516)이 형성되어 있게 된다. 그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주사기는, 예를 들면 3㎖ 정도나 5㎖ 정도의 보통 양의 약제를 주사할 수 있다.
다음, 도 11 내지 도 13에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주사기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술한 제1 실시예의 경우와 다른 점은, 후단개구연(422)과 캡(44)의 링 형태 홈(411)과의 사이에 씰 링 수단으로서의 오링(45)이 배치되어 이들 사이를 밀봉하고 있고, 또한, 바이어스 수단(52)은 수용 챔버(41) 내에 수용되어 있는 대기보다 저압의 기체로 이루어져 있는 점이다. 또한, 말단부(425)에 상기 제1 실시예의 경우와 같은 통기공(429)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 또한, 계합 수단(51)과 플런저(4)의 주벽(42)과의 사이에 밀봉 수단(55)이 설치되어 있어서 상기 기체를 수용 챔버(41) 내로 가두고 있다. 이에 따라, 보지부(512)가 주벽(42)으로부터 이탈할 때, 감합부(514)가 수용 챔버(41)의 저압과 니들 캐뉼러(22)와 니들좌(21)로부터 들어오는 대기와의 사이의 압력차에 따라 상기 인입 위치로 흡인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4에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주사기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술한 제5 실시예의 경우와 다른 점은, 밀봉 수단(55)은 상기 축 방향으로 링 형태와 같이 연신하고 나서 계합 수단(51)의 후방으로 결속하여, 그 말단벽(550)이 되고, 또한, 말단벽(550)의 거의 중앙부에 지름 방향을 따르도록, 말단벽(550)의 연성을 증가시켜서 밀봉 수단(550)과 주벽(42)과의 밀접을 향상시킬 수 있는 요홈(551)이 형성되어 있는 점이다.
다음으로, 도 15에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주사기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전술한 제5 실시예의 경우와 다른 점은, 배럴(1), 플런저(4) 및 니들좌(21)는 상기 제1 실시예의 경우보다 직경이 크고, 또한, 후감부(212)가 상기 축 방향을 따라 피협지부(212)에서 후방으로 연신해서 이루어져 있고, 감합부(514)에는 니들좌(21)가 상기 인입 위치에 있을 때에 후감부(213)를 협지할 수 있는 결합홈(516)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그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주사기는, 예를 들면 3㎖ 정도나 5㎖ 정도의 보통 양의 약제를 주사할 수 있다. 또한, 계합 수단(51)은, 보지부(512)에서 후방으로 연신하고 나서 그 말단에 헤드부(519)가 달려있는 막대부(511)를 가진다. 그리고, 밀봉 수단(55)은 헤드부(519)와 보지부(512)와의 사이에 개재되도록 막대부(511)에 외감되어 있다. 그에 따라, 밀봉수단(55)과 주벽(42)과의 밀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6 및 도 17에는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주사기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술한 제7 실시예의 경우와 다른 점은, 배럴(4)의 대단부(424)는 더욱 각각 전단 개구연(421)에 근접한 전단부(4241)와 후단 개구 연(422)에 근접한 후단부(442)를 갖고, 전단부(4241)의 직경이 후단부(4242)보다 작고, 동시에 전단부(4241)에 후단부(4242)와 동일한 높이를 갖는 복수의 지느러미 형태의 리브들(46)이 형성되어 있는 점이다. 그에 따라, 플런저(4)는 배럴(1)내에 밀봉적인 접동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 따른 주사기에 있어서, 보지부(512a)는 플런저(4)의 주벽(42)에 형성되어 있는 돌기(427a)에 계지되어 있어 그것의 플런져(4)의 주벽(42)의 돌기(427a)에 대한 이동 저항이 되는 제2 마찰력을 발생시키는 링 형태 홈이다. 또한, 결합 수단(51)에, 결합홈(516)의 반대편에 있는 테이퍼부(517)가 형성되어 있어 결합 수단(51)과 플런저(4)의 소단부(423)와의 사이를 밀봉할 수 있다. 밀봉 수단(55)은 계합 수단(51)과 일체적으로 형성된 다음, 테이퍼부(517)와 보지부(512a)의 사이에 연재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18 및 도 19에는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따른 주사기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8 실시예에 따른 주사기와 거의 같은 구조를 갖지만, 예를 들면, 1㎖ 정도의 극소량의 약제의 주사에 적용된다. 또한, 밀봉 수단(55)은 연성 재료로 이루어지고, 동시에 계합 수단(51)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계합 수단(51)에 배럴(1)의 대경부(11)의 내벽 면을 따라 밀봉적인 접동이 가능한 링 형태 에지(518)가 연출로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20 및 도 21에는 본 발명의 제10 실시예에 따른 주사기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주사기에 있어서, 상기 제8 실시예에 따른 주사기와 다른 점은, 마찰 감소 영역(122)에 밀봉 유닛(7)이 수밀(水密)적으로 충진되어 있고, 또, 협지 수단(3)에, 니들좌(21)의 피협지부(212)와 밀접해 있는 밀봉부(32)가 형성되어 있어 협지 수단(3)과 밀봉 유닛(7)과의 사이에 압축 가능한 챔버(73)를 이루고 있는 점이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챔버(73) 내에 유체가 충만해 있고, 니들좌(21)의 전허브부(211)가 니들 캐뉼러(22)를 고정하는 후단부(2111)와 후단부(2111)에서 전방으로 연신해서 니들 캐뉼러(22)를 돌아서 내실(2110)을 형성하고 있는 전단부(2112)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전단부(2112)에 내실(2110)과 챔버(73)와 연통하고 있는 복수의 통공들(214)이 형성되어 있다. 그에 따라, 플런저(4)를 전방으로 접동시켜 전허브부(211)를 꽉 눌러서 마찰 감소 영역(122)을 경유하여 접촉견부(124)에 당접할 때, 챔버(73)를 압축시켜서 내압을 올림에 따라, 복수의 통공(214)들을 통하여, 상기 축 방향을 따르는 피협지부(212)로의 추력을 발생하고, 피협지부(212)에 결합된 감합부(514)의 플런저(4)내로의 인입을 보조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2 내지 도 25에는 각기 본 발명의 제11 실시예, 제12 실시예, 제13 실시예 및 제14실시예에 따른 주사기들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11 실시예, 제12 실시예, 제13 실시예 및 제14 실시예에 따른 주사기들의 구조는, 각기 상기 제9 실시예, 제2 실시예, 제4 실시예 및 제6 실시예에 따른 주사기들과 거의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으나, 마찰 감소 영역(122)에 밀봉 유닛(7)이 수밀적으로 충진되어 있는 점에 차이가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통해 알 수 있듯이, 상기 니들 캐뉼러의 플런저 내로의 인입은, 상기 전허브부가 상기 보지 영역에서 상기 마찰 감소 영역을 경유해서 상기 접촉견부에 당접되어, 즉, 상기 전허브부가 상기 배럴의 소경부의 상 기 보지 영역에 의한 보지 상태에서 상기 마찰 영역 내에 있는 완화 상태로 변경되고 나서 비로소 수행되므로, 상기 인입의 이동에 대한 저항이 되는 정적 마찰이 대폭 감소하고, 상기 바이어스 수단에 따라 인입 동작이 용이하게 발동되어 종래보다 순조로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이 끝난 니들 캐뉼러를 더욱 순조롭게 플런저 내로 인입할 수 있는 주사기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8)

  1. 니들 캐뉼러;
    관 형태로 상기 니들 캐뉼러를 고정하는 전허브부, 상기 전허브부에서 그 축 방향을 따라 연신되어 이루어져 있는 피협지부, 상기 전허브부에 대향하는 후감부로 이루어져 있는 니들좌;
    상기 축 방향 상에 서로 대향하는 전· 후 2개의 개구단들과, 상기 전· 후 2개의 개구단들의 사이에 연신해서 상기 전· 후 2개의 개구단들의 개구를 연통하고 있는 통로가 형성되고, 동시에 상기 전개구단에 근접하고 있는 소경부와 상기 후개구단에 근접하고 있는 대경부로 이루어져 있는 주벽을 가지고, 상기 대경부에 상기 축 방향에서 상기 소경부로부터 떨어져 있는 보지 에어리어가 형성되어, 상기 소경부에 상기 대경부에 근접한 다음 상기 니들좌가 사용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전허브부를 보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보지 영역과, 상기 보지 영역으로부터 상기 전개구단으로 연신하고 있고 그 말단에 상기 니들좌가 사용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전허브부에서 떨어져 있는 접촉견부가 형성되어 있는 마찰 감소 영역이 형성되어, 상기 접촉견부에 상기 니들 캐뉼러를 삽통하는 연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배럴;
    관 형태의 것으로 상기 니들좌가 사용위치에 있을 때, 상기 피협지부를 보지하면서 상기 보지 에어리어와 계합하고 이에 따라 상기 보지 에어리어에 대한 이동 저항이 되는 제1 마찰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는 협지 수단;
    서로 대향하고 있는 전· 후 양단 개구와, 상기 전· 후 양단 개구의 사이에 연신하며 그 내부에 수용 챔버를 이루고 있는 주벽을 갖는 관 형태를 가지며, 상기 대경부에 있는 상기 통로 내에 접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어 전단 개구연이 상기 협지 수단과 당접할 때까지 이동할 수 있으며, 후단 개구연이 항상 상기 배럴의 상기 후개구단에서 외부로 노출되어 있어 외부로부터 조작될 수 있는 플런저;
    상기 수용 챔버 내의 소정 위치에 계지되어 상기 플런저의 소정 위치의 상기 주벽에 대한 이동 저항이 되는 제2 마찰력을 발생시키는 보지부, 사용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플런저의 상기 전단 개구연에 인접하고 동시에 상기 니들좌의 상기 후감부와 대면하도록 배치되어 있어 상기 배럴의 상기 전개구단으로 접동될 때, 상기 후감부와 결합할 수 있는 감합부를 갖고, 이에 따라 상기 플런저가 상기 제1 마찰력에 저항해서 전방으로 접동됨에 따라 상기 협지 수단이 전방으로 눌리고, 상기 전허브부가 상기 마찰 감소 영역을 경유해서 상기 접촉견부에 당접되고, 그리고, 나아가 상기 플런저가 눌려서 상기 감합부가 상기 후감부에 밀려들어가 후감부에 결합되고 나서, 상기 플런저의 상기 주벽을 따라 상기 후단 개구연으로 접동되어, 상기 보지부를 상기 소정 위치의 주벽으로부터 이탈시키는 계합 수단; 및
    상기 감합부를 상기 후단 개구연으로 근접시킴과 동시에, 상기 니들좌를 상기 사용 위치에서 상기 니들 캐뉼러와 함께 상기 수용 챔버 내에 수용하는 인입 위치로 이동시키는 바이어스 힘을 전가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바이어스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 감소 영역에 있는 상기 통로의 내경이 상기 보 지 영역에 있는 상기 통로의 내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니들좌는 금속관이고, 상기 전허브부로서의 전단부와, 상기 전단부의 반대편에 있고 그 내외양면이 각각 상기 후감부와 상기 피협지부로 되어있는 후단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의 상기 주벽은, 각각 상기 전단개구에 근접하는 소단부, 상기 후단개구에 근접하는 대단부, 상기 대단부와 상기 후단 개구와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말단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말단부에 외기와 연통되어 있는 통기공이 형성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계합 수단은 상기 보지부로부터 상기 감합부를 멀리 떨어진 방향으로 연신해서 이루어져 있는 막대부를 가지고,
    상기 바이어스 수단은 전후양단을 가지는 코일 스프링으로, 각각 상기 막대부 및 상기 후단 개구연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보지부가 상기 플런저의 상기 소정의 위치에 상기 주벽과 당접할 때, 반대 방향으로 끌릴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대단부에는 상기 후단 개구연에 근접한 링 형태의 리브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코일 스프링의 후단이 상기 링 형태의 리브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계합 수단은 상기 감합부와 상기 보지부와의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막대부를 가지고,
    또, 상기 주벽 및 상기 막대부에는 각각 상기 전단 개구연과 근접한 링 형태의 견부와, 상기 감합부에서 멀리 떨어진 돌출연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바이어스 수단은 코일 스프링으로, 상기 보지부가 상기 플런저의 상기 소정의 위치의 상기 주벽과 당접할 때, 상기 링 형태의 견부와 상기 돌출연과의 사이에 강제적으로 끼워져 상기 바이어스 힘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감부가 상기 축 방향을 따라서 상기 피협지부에서 후방으로 연신해서 이루어져 있고,
    상기 감합부에는 상기 니들좌가 상기 인입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후감부를 협지할 수 있는 결합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의 상기 후단 개구는 캡으로 덮여 있고,
    상기 플런저의 상기 후단 개구와 상기 캡과의 사이에는 씰 링 수단이 배치되 어서 이들 사이를 밀봉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어스 수단은, 상기 수용 챔버 내에 수용되어 있는 대기보다 저압의 유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계합 수단과 상기 플런저의 상기 소정 위치의 상기 주벽과의 사이에 밀봉 수단이 설치되어 상기 유체를 상기 수용 챔버 내에 가둬두고, 이에 따라 상기 보지부가 상기 주벽으로부터 이탈할 때, 상기 감합부가 상기 수용 챔버의 저압과 상기 니들 캐뉼러와 상기 니들좌로부터 들어오는 대기와의 사이의 압력차에 의해 상기 인입 위치로 흡인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수단은 상기 축 방향으로 링 형태와 같이 연신되고 나서 상기 계합 수단의 후방에 결속하여 말단벽이 되며, 상기 말단벽의 중앙으로 지름방향을 따르도록 상기 말단벽의 연성을 증가시켜서 상기 밀봉 수단과 상기 주벽과의 밀접을 향상시킬 수 있는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계합 수단은, 상기 보지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신하고나서 말단에 헤드부가 달린 막대부를 갖고, 상기 밀봉 수단은 상기 헤드부와 상기 보지부와의 사이에 개재되도록 상기 막대부에 외감되어 있고, 이에 따라 상기 밀봉 수단과 상기 주벽과의 밀접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 기.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수단은 상기 계합 수단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수단은 연성 재료로 이루어지고 동시에 상기 계합 수단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계합 수단에 상기 배럴의 상기 대경부의 내벽 면을 따라서 밀봉적인 접동을 할 수 있는 링 형태 에지가 연출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 감소 영역에, 밀봉 유닛이 수밀적으로 충진되어 있고,
    또, 상기 협지 수단에 상기 니들좌의 상기 피협지부와 밀접하고 있는 밀봉 부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협지 수단과 상기 밀봉 유닛과의 사이에 압축 가능한 챔버를 이루고 있고,
    상기 니들좌의 상기 전허브부가 상기 니들 캐뉼러를 고정하는 후단부와 그 후단부에서 전방으로 연신해서 상기 니들 캐뉼러를 돌아서 내실을 형성하고 있는 전단부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내실에는 유체가 차 있고, 상기 전단부에 상기 내실과 상기 챔버와 연통하고 있는 복수의 통공들이 형성되어 있고, 이에 따라 상기 플런저를 전방으로 접동시켜서 상기 전허브부를 꽉 눌러서 상기 마찰 감소 영역을 경유해서 상기 접촉견부에 당접할 때, 상기 챔버를 압축시켜서 내압을 상승시킴에 따라 상기 복수의 통공들을 통해 상기 축 방향을 따르는 상기 피협지부로의 추력을 발생하고, 상기 피협지부에 결합된 상기 감합부의 상기 플런저 내로의 인입을 보조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럴의 상기 대경부와 상기 소경부와의 사이의 내벽 면에 링 형태 견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링 형태 견부에 복수의 리브들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니들좌가 사용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복수의 리브들에 의해 상기 전허브부를 더 보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
  1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보지부와 상기 감합부와의 사이에 상기 니들좌가 사용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소단부의 상기 수용 챔버 내에 연재해서 상기 계합 수단전체를 안정화시키는 보지 막대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
KR1020050100049A 2005-10-24 2005-10-24 주사기 KR1010711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0049A KR101071172B1 (ko) 2005-10-24 2005-10-24 주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0049A KR101071172B1 (ko) 2005-10-24 2005-10-24 주사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4112A KR20070044112A (ko) 2007-04-27
KR101071172B1 true KR101071172B1 (ko) 2011-10-10

Family

ID=381781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0049A KR101071172B1 (ko) 2005-10-24 2005-10-24 주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117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15129A1 (en) 2002-07-17 2004-01-22 Ming-Jeng Shue Disposable syringe
US20040111065A1 (en) 2002-12-10 2004-06-10 Ming-Jeng Shue Disposable syring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15129A1 (en) 2002-07-17 2004-01-22 Ming-Jeng Shue Disposable syringe
US20040111065A1 (en) 2002-12-10 2004-06-10 Ming-Jeng Shue Disposable syrin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4112A (ko) 2007-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03631B1 (en) Valved male luer
US6745998B2 (en) Valved male luer
JP5285911B2 (ja) 逐次的弁タイミングを有する弁付き雄型ルアー・コネクタ
US6743199B2 (en) Disposable syringe
JP2005312895A (ja) 注射器
US20090198255A1 (en) Hemorrhoid ligation apparatus, ligation kit containing the apparatus and method for ligating hemorrhoid
JP2005137888A (ja) 静脈内カテーテル挿入装置
AU2002331044A1 (en) Valved male luer
JP2010523162A (ja) プランジャーフランジを順次移動させるシリンジ
JP2005329220A (ja) 使い捨ての注射筒
KR101071172B1 (ko) 주사기
JP4253295B2 (ja) 安全注射器
AU2003101038A4 (en) Safety Fluid Injecting/Sampling Apparatus
EP1421962B1 (en) Disposable syringe
JP2009125312A (ja) カートリッジ式使い捨て注射器
KR20070047090A (ko) 일회용 주사통
KR101081589B1 (ko) 주사기
CA2454299A1 (en) Safety fluid injecting/sampling apparatus
JP3142201U (ja) 注射器
KR100894342B1 (ko) 주사기
JP2004188199A (ja) 安全注射器
AU2002302130B1 (en) Disposable syrin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