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9483B1 - 건조기의 폐열을 이용한 보일러 장치 - Google Patents

건조기의 폐열을 이용한 보일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9483B1
KR101069483B1 KR1020090057227A KR20090057227A KR101069483B1 KR 101069483 B1 KR101069483 B1 KR 101069483B1 KR 1020090057227 A KR1020090057227 A KR 1020090057227A KR 20090057227 A KR20090057227 A KR 20090057227A KR 101069483 B1 KR101069483 B1 KR 1010694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tank
temperature
hot air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72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38626A (ko
Inventor
전종남
Original Assignee
전종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종남 filed Critical 전종남
Priority to KR10200900572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9483B1/ko
Publication of KR201001386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86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94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94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8/00Fluid heaters characterised by means for extracting latent heat from flue gases by means of condens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2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H9/2007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F26B3/04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the gas or vapour circulating over or surrounding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풍에 의하여 건조 대상물을 건조하는 건조기에서 폐열풍을 배기하는 열풍배기관에 감기고 그 내부에 물이 순환하는 순환관과; 상기 순환관과 연통된 물탱크와; 상기 물탱크에 물공급관을 통해서 결합되어 물탱크로부터 물공급관을 통해서 흐르는 물을 가열하는 열교환기를 구비하여 구성된 건조기의 폐열을 이용한 보일러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건조기의 폐열을 이용한 보일러 장치 {BOILER OF RECYCLING WASTE-HEAT OF DRYER}
본 발명은 보일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조기의 폐열을 이용하여 보일러를 예열하는 건조기의 폐열을 이용한 보일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섬유 및 직물 가공, 의류 제조, 세탁 등의 작업에 따라 수분을 머금은 다량의 의류 또는 직물을 일시에 신속히 건조시켜야 할 경우 자연건조는 장소 및 시간에 제약이 따르므로 흔히 건조기를 사용하게 되는데, 건조기는 자연건조가 갖는 제약을 받지 않는 편의성으로 인하여 산업현장에서 뿐 아니라 가정에까지도 널리 보급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건조기의 기본적인 건조방식은 건조하고자 하는 대상물을 회전통에 담은 상태에서 회전통 내부에 열풍을 가하면서 회전통 자체를 고속 회전시켜 건조 대상물에 포함된 수분을 신속히 증발시켜 건조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건조기에서 사용하고 남은 폐열은 외부로 배출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산업현장이나 가정에서는 온수 공급 및 난방을 위하여 보일러가 설치되어 난방을 하거나 온수를 사용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가정이나 산업현장에 설치된 건조기에서 버려지는 폐열을 보일러의 작동 에너지로 활용함으로써 보일러의 에너지 소비를 줄일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요망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요망사항에 부응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가정이나 산업현장에 설치된 건조기에서 버려지는 폐열을 보일러의 작동 에너지로 활용함으로써 보일러의 에너지 소비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건조기의 폐열을 이용한 보일러 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의 폐열을 이용한 보일러 장치는, 열풍에 의하여 건조 대상물을 건조하는 건조기에서 폐열풍을 배기하는 열풍배기관에 감기고 그 내부에 물이 순환하는 순환관과; 상기 순환관과 연통된 물탱크와; 상기 물탱크에 물공급관을 통해서 결합되어 물탱크로부터 물공급관을 통해서 흐르는 물을 가열하는 열교환기를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보일러 장치는, 상기 열교환기를 통과한 물을 사용자가 온수로 사용하도록 배수하는 온수공급관과, 상기 열교환기를 통과한 물을 난방관을 경유하여 상기 물탱크로 순환하도록 하는 구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보일러 장치는, 상기 물탱크의 수온을 감지하는 물탱크 온도센서와; 상기 순환관의 수온을 감지하는 순환관 온도센서와; 상기 순환관의 물을 순환시키기 위한 순환펌프와; 상기 물탱크온도센서로부터의 물탱크 수온감지신호와 순환관 온도센서로부터의 순환관 수온감지신호를 입력받아 순환관의 수온이 물탱크의 수온보다 일정 설정치 이상이면 상기 순환펌프를 구동하여 상기 물탱크의 물이 상기 순환관으로 공급되고 상기 순환관의 물이 물탱크로 유입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에 의한 온수 사용시 또는 사용자에 의한 난방 선택시에 상기 물탱크온도센서로부터의 물탱크 수온감지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물탱크의 수온에 따라서 열교환기의 구동을 제어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하면, 건조기에서 버려지는 폐열을 보일러의 작동 에너지로 활용함으로써 보일러의 에너지 소비를 줄일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의 폐열을 이용한 보일러 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의 폐열을 이용한 보일러 장치와 건조기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보일러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상의 열풍 건조기(10)는 회전통(20)이 설치되고 그 회전통(20)이 설치되어 있는 열풍 건조부(19)와; 외부 공기를 유입하여 열풍으로 만들어 상기 열풍 건조부(19)의 회전통(20)으로 공급하는 열풍 공급부를 구성하는 공기주입구(12), 공기주입관(11), 열교환기(13), 열풍 주입팬(14), 열풍 주입구(15), 열풍주입관(16), 열풍공급공(17) 및 열풍직진차단부(18)와; 상기 열풍 건 조부(19)의 폐열풍을 배기하기 위한 열풍배기부를 구성하는 열풍배기구(26), 열풍배기관(27) 및 열풍배기팬(28)과; 상기 회전통(20)에 건조 대상물을 넣고 꺼내기 위한 도어(24)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회전통(20)은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져 있고, 그 측부에는 복수의 구멍(2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회전통(20)의 배면 중앙부분에는 열풍주입관(16)의 끝단이 삽입되어 있고, 회전통(20)은 열풍주입관(16)의 끝단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미도시한 회전수단에 의하여 회전한다. 또한, 상기 회전통(20)에 삽입된 열풍주입관(26)의 끝단에는 열풍주입관(16)으로부터 회전통(20)으로 유입되는 열풍이 직진하여 도어(24)를 열었을 때 열풍이 도어(24)쪽으로 직진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하여 열풍직진차단부(18)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회전통(20)에 삽입된 열풍주입관(26)에서 열풍직진차단부(18)의 뒤쪽의 열풍주입관(26)의 둘레에 복수의 열풍공급공(17)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공기주입구(12)는 상기 열풍건조부(19)의 전면 상부 일측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공기주입관(11)은 상기 공기주입구(12)와 상기 열풍주입구(15)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열교환기(13)는 공기구입관(11)내에 설치되어 공기 주입구(12)로 유입된 공기에 열을 전달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면 본 출원인에 의한 등록실용신안 제0422763호에 개시된 열교환기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풍 주입팬(14)은 공기주입관(11)내에서 상기 열교환기(13)와 상기 열풍주입구(15)사이에 설치되어 공기주입구(12)로부터 공기를 유입시켜 열교환기를 거쳐 열풍주입구(15), 열풍주입관(16)을 열풍을 불어넣기 위한 구성이다. 또한, 상 기 열풍주입관(16)은 상기 열풍주입구(15)로부터의 열풍을 회전통으로 공급하기 위한 구성이다.
또한, 상기 열풍배기부는 상기 열풍 건조부(19)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열풍배기구(26)는 상기 열풍 건조부(19)를 열풍배기관(27)과 연통시키며, 상기 열풍배기관(27)은 열풍배기구(26)로부터의 열풍을 열풍건조기(10)의 뒤쪽으로 배출하기 위한 구성이며, 상기 열풍배기관(27)내에서는 열풍배기구(26)로부터의 열풍을 열풍건조기(10)의 뒤쪽으로 빨아내어 배출하기 위한 열풍배기팬(28)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통상의 열풍 전조기(10)에서는 도어(24)를 열고 건조 대상물을 회전통(20)에 넣고 도어(24)를 닫은 다음에 작동시키면, 미도시한 회전수단과 열교환기(13), 열풍주입팬(14) 및 열풍배기팬(28)이 작동하게 됨에 따라 회전통(20)이 회전하게 되고, 공기주입구(12)를 통하여 상온의 외부 공기가 유입되어 열교환기로부터 열을 흡수하여 열풍으로 변환되어 열풍주입팬(14)에 의하여 열풍주입관 및 열풍공급공(17)을 통해서 회전통(20)에 공급된다. 이에 따라 회전통(20) 내의 건조 대상물은 회전하면서 유입된 열풍에 의하여 건조되며, 건조 대상물에서 수분을 흡수한 열풍을 회전통(20)의 측면에 형성된 복수의 개공(23)을 통하여 회전통 밖으로 빠져나가게 되고, 이 회전통(20)으로 빠져나간 수분을 흡수한 열풍은 열풍배기팬(28)에 의하여 열풍배기관(27)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배출되는 폐열풍을 재활용하기 위하여 폐열풍에 의하여 고온으로 가열된 열풍배기관(27)의 둘레에 순환관(44)이 권선되어 있다. 상기 순환 관(44)의 일단(즉, 순환수 공급단)은 순환펌프(46)를 매개로 보일러(40)의 물탱크(55)에 연통되어 있고, 상기 순환관(44)의 타단(즉, 온수 공급단)은 온수 공급밸브(45)를 매개로 보일러(40)의 물탱크(55)에 연통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순환관(44)의 일단(즉, 순환수 공급단)은 상기 순환관(44)의 타단(즉, 온수 공급단)에 비하여 더 낮은 위치에서 물탱크(55)에 연통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물탱크(55)내에서 낮은 위치에 있는 물이 온도가 낮으므로 이 낮은 온도의 물이 순환관(44)에 공급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온수공급밸브(45)는 솔레노이드밸브와 같은 전자제어가능한 밸브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물탱크(55) 내에는 물탱크의 수온을 감지하기 위한 물탱크 온도 센서(57)와, 물탱크 내의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수위센서(56)가 설치되어 있고,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공기배출구(43)가 설치되어 있고 또한 난방수가 순환되어 유입되도록 하기 위하여 난방수회수관(53)이 연통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물탱크(55)의 상부에는 새로운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관(41)이 연통설치되어 있고, 이 급수관(41)에는 급수밸브(42)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급수밸브(42)는 솔레노이드밸브와 같은 전자제어가능한 밸브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물탱크(55)의 물은 물공급관(58)을 통하여 열교환기(60)에 공급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물공급관(58)에는 배수펌프(59)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열교환기(60)는 열교환기 구동부(61)에 의하여 작동되며, 물공급관(58)에서 유입되는 물이 내부관 또는 외부관을 통과하는 동안 에너지를 가하여 순간적으로 물을 가열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예를 들면 전기식 열교환기, 가스식 열교환 기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가 사용가능하다.
상기 열교환기(60)에서 가열된 온수는 배수관(48)을 통하여 분기밸브(47)에 공급되며, 이 분기밸브(47)는 배수관(48)을 통과한 온수를 샤워기 및/또는 세면기 등에 연결된 온수공급관(50)과 난방배관(52)과 난방수회수관(53)에 연통된 난방수공급관(51)으로 분배한다. 여기서 분기밸브(47)는 솔레노이드밸브와 같은 전자제어가능한 밸브로 구성된다. 상기 온수공급관(50)에는 온수공급관(50)을 통하여 물이 배수되는지를 감지하는 배수감지센서(49)가 설치되어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보일러 장치의 회로 블록 구성도이다.
동 도면에서, 순환관온도센서(30)는 순환관(44)내의 수온을 감지하여 그 감지신호를 제어부(70)로 전달하며, 배수감지센서(49)는 온수공급관(49)을 통한 배수를 감지하여 그 감지신호를 제어부(70)로 전달하고, 수위센서(56)는 물탱크(55)내의 수위를 감지하여 그 감지신호를 제어부(70)로 전달하며, 물탱크온도센서(57)는 물탱크(55)내의 수온을 감지하여 그 감지신호를 제어부(70)로 전달하고, 버튼입력부(71)는 사용자에 의하여 난방모드와 온수모드 등과 같은 운전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버튼과 난방온도 등을 설정하기 위한 버튼 등을 구비하고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선택신호를 제어부(70)로 전달한다.
상기 제어부(70)는 순환수온도센서(30), 배수관감지센서(49), 수위센서(56), 물탱크온도센서(57) 및 버튼입력부(71)로부터의 신호에 따라서 펌프구동부(72), 밸브구동부(73) 및 열교환기구동부(61)의 구동을 제어한다. 이러한 제어부(70)의 제어동작에 대해서는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펌프구동부(72)는 제어부(70)의 제어에 따라서 순환펌프(46) 및 배수펌프(59)를 구동하고, 상기 밸브구동부(73)는 상기 제어부(70)의 제어에 따라서 온수공급밸브(45), 급수밸브(42) 및 분기밸브(47)를 구동하며, 상기 열교환기구동부(61)는 상기 제어부(70)의 제어에 따라서 열교환기(60)를 구동한다.
다음으로,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의 폐열을 이용한 보일러 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제어부(70)는 순환관 온도센서(30)로부터의 순환수 온도감지신호와 물탱크 온도감지센서(57)로부터 물탱크 수온감지신호를 입력받아 순환수 수온(T1)과 물탱크 수온(T2)을 산출하고, 순환수 수온(T1)이 물탱크 수온(T2)보다 기 설정된 제1설정온도(Ts1)만큼 높은지를 확인한다(단계 S1).
상기 단계 S1에서 순환수 수온(T1)이 물탱크 수온(T2)보다 기 설정된 제1설정온도(Ts1)만큼 높은 것으로 확인되면, 제어부(70)는 밸브구동부(73)을 제어하여 온수공급밸브(45)를 열림 구동하도록 제어하고(단계 S2), 이어서 펌프구동부(72)를 제어하여 순환펌프(46)를 구동하도록 제어한다(단계 S3). 따라서, 순환펌프(46)에 의하여 물탱크(40)의 물이 순환관(44)에 유입되고, 이에 따라 열풍배기관(27)에 의하여 수온이 올라간 순환관(44)의 온수가 온수공급밸브(45)를 통과하여 물탱크(55)에 유입되므로 물탱크(55)의 수온이 높아지게 된다.
그후, 제어부(70)는 순환수 수온(T1)과 물탱크 수온(T2)의 온도차가 기 설정된 제2설정온도(Ts2)보다 작아지는지를 확인한다(단계 S4).
상기 단계 S4에서 순환수 수온(T1)과 물탱크 수온(T2)의 온도차가 기 설정된 제2설정온도(Ts2)보다 작아진 것으로 확인되면, 제어부(70)는 펌프구동부(72)를 제어하여 순환펌프(46)를 구동 정지하도록 제어하고(단계 S5), 이어서 밸브구동부(73)을 제어하여 온수공급밸브(45)를 닫힘 구동하도록 제어한다(단계 S6).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열풍배기관(27)에 감긴 순환관(44)의 수온이 물탱크(55)의 수온보다 일정 온도 이상 높은 상태에서만 순환펌프에 의하여 물을 순환시켜 물탱크(55)의 물을 예열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의 폐열을 이용한 보일러 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제어부(70)는 사용자가 샤워기 또는 세면기를 통하여 온수를 사용함에 따라 배수감지센서(49)로부터의 배수감지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확인하고(단계 S10), 배수감지신호가 입력되면 물탱크 온도감지센서(57)로부터 물탱크 수온감지신호를 입력받아 물탱크(55)의 수온(T2)이 기설정된 제3설정온도 이상인지를 확인한다(단계 S11). 여기서, 제3설정온도는 물탱크(55)의 물을 열교환기(60)에서 가열하지 않고 그대로 사용할 수 있을 정도의 온도로서 예를 들면 30℃~50℃의 범위 중에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단계 S11에서 물탱크(55)의 수온(T2)이 기설정된 제3설정온도 이상이 아닌 것으로 확인되면 제어부(70)는 펌프구동부(72)를 제어하여 배수펌프(59)의 작동을 구동 제어해서 물탱크(55)의 물이 물공급관(58)을 통하여 열교환기(60)로 공급되도록 제어하고(단계 S16), 이어서 제어부(70)는 물탱크(55)의 수온(T2)에 따라서 유입물의 가열 정도를 설정하고 그 설정 정도에 따라서 열교환기(60)에서 유입 물을 가열 구동하도록 열교환기 구동부(61)를 제어함으로써 적정한 온도를 갖는 온수가 배수관(48)과 분기밸브(47)를 통해서 온수공급관(50)으로 배수되도록 하고(단계 S17), 제어는 다음의 단계 S13으로 진행한다.
한편, 단계 S11에서 물탱크(55)의 수온(T2)이 기설정된 제3설정온도 이상인 것으로 확인되면 제어부(70)는 물탱크(55)의 수온이 열교환기(60)에 의하여 가열될 필요가 없는 상태이므로 열교환기(60)를 구동시키지 않고서 펌프구동부(72)를 제어하여 배수펌프(59)를 작동 제어하여 물탱크(55)의 물이 열교환기(60)와 배수관(48)과 분기밸브(47)를 통해서 온수공급관(50)으로 배수되도록 하고(단계 S12), 제어는 다음의 단계 S13으로 진행한다.
상기 단계 S13에서는 배수감지센서(49)로부터 배수감지신호의 입력이 종료되는지를 확인하고, 종료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한 단계 S11로 진행하여, 현재 물탱크 온도감지센서(57)로부터 물탱크 수온감지신호를 입력받아 물탱크(55)의 수온(T2)이 기설정된 제3설정온도 이상인지를 확인하고, 그 확인결과와 물탱크 수온감지신호에 따라서 상기한 제어를 반복한다.
한편, 상기 단계 S13에서는 배수감지센서(49)로부터 배수감지신호의 입력이 종료된 것으로 확인되면, 제어부(70)는 펌프구동부(72)를 제어하여 배수펌프(59)의 구동을 정지시키도록 하고(단계 S14) 또한 열교환기 구동부(61)를 제어하여 열교환기(60)의 작동을 종료하도록 한다(단계 S15).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온수 사용시에 물탱크(55)의 수온에 따라서 열교환기(60)의 작동을 제어함으로써 열교환기(60)에 의한 에너지 소비 효 율을 높이도록 한다.
다음으로,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의 폐열을 이용한 보일러 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제어부(70)는 사용자가 버튼 입력부(71)를 통하여 난방을 구동 요청함에 따라 버튼입력부(71)로부터의 난방 구동 요청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확인하고(단계 S20), 난방 구동 요청신호가 입력되면 물탱크 온도감지센서(57)로부터 물탱크 수온감지신호를 입력받아 물탱크(55)의 수온(T2)이 기 설정된 제4설정온도 이상인지를 확인한다(단계 S21). 여기서, 제4설정온도는 물탱크(55)의 물을 열교환기(60)에서 가열하지 않고 그대로 난방관에 공급하여도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된 난방온도가 가능한 정도의 온도로서 예를 들면 70℃~50℃의 범위 중에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단계 S21에서 물탱크(55)의 수온(T2)이 기설정된 제4설정온도 이상이 아닌 것으로 확인되면 제어부(70)는 펌프구동부(72)를 제어하여 배수펌프(59)의 작동을 구동 제어해서 물탱크(55)의 물이 물공급관(58)을 통하여 열교환기(60)로 공급되도록 제어하고(단계 S26), 이어서 제어부(70)는 물탱크(55)의 수온(T2)에 따라서 유입물의 가열 정도를 설정하고 그 설정 정도에 따라서 열교환기(60)에서 유입물을 가열 구동하도록 열교환기 구동부(61)를 제어함으로써 적정한 온도를 갖는 온수가 배수관(48)과 분기밸브(47)를 통해서 난방수 공급관(51), 난방관(52), 난방수 회수관(53) 및 물탱크(55)로 순환되도록 하고(단계 S27), 제어는 다음의 단계 S23으로 진행한다.
한편, 단계 S21에서 물탱크(55)의 수온(T2)이 기설정된 제3설정온도 이상인 것으로 확인되면 제어부(70)는 물탱크(55)의 수온이 열교환기(60)에 의하여 가열될 필요가 없는 상태이므로 열교환기(60)를 구동시키지 않고서 펌프구동부(72)를 제어하여 배수펌프(59)를 작동 제어하여 물탱크(55)의 물이 열교환기(60)와 배수관(48) 및 분기밸브(47)를 통해서 난방수 공급관(51), 난방관(52), 난방수 회수관(53) 및 물탱크(55)로 순환되도록 하고, 제어는 다음의 단계 S23으로 진행한다.
상기 단계 S23에서는 사용자가 버튼 입력부(71)를 통하여 난방 종료를 요청함에 따라 버튼입력부(71)로부터의 난방 종료 요청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확인하고, 종료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한 단계 S21로 진행하여, 현재 물탱크 온도감지센서(57)로부터 물탱크 수온감지신호를 입력받아 물탱크(55)의 수온(T2)이 기설정된 제4설정온도 이상인지를 확인하고, 그 확인결과와 물탱크 수온감지신호에 따라서 상기한 제어를 반복한다.
한편, 상기 단계 S23에서는 버튼입력부(71)로부터의 난방 종료 요청신호가 입력된 것으로 확인되면, 제어부(70)는 펌프구동부(72)를 제어하여 배수펌프(59)의 구동을 정지시키도록 하고(단계 S24) 또한 열교환기 구동부(61)를 제어하여 열교환기(60)의 작동을 종료하도록 한다(단계 S25).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난방 구동시에 물탱크(55)의 수온에 따라서 열교환기(60)의 작동을 제어함으로써 열교환기(60)에 의한 에너지 소비 효율을 높이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제어부(70)는 수위센서(56)로부터 수위감지신호에 따라서 물탱크(55)의 수위가 소정의 제1설정치 이하로 내려간 것으로 판단되면 밸브구동부(73) 를 제어하여 급수밸브(42)를 열림 구동해서 물탱크(55)에 물이 공급되도록 제어하고, 그후 급수관(41)을 통하여 물이 물탱크(55)에 공급되어 물탱크(55)의 수위가 올라감에 따라 수위센서(56)로부터 수위감지신호에 의하여 물탱크(55)의 수위가 소정의 제2설정치 이상으로 올라간 것으로 판단되면 밸브구동부(73)를 제어하여 급수밸브(42)를 닫힘 구동해서 물탱크(55)의 물 공급이 중단되도록 제어한다.
한편, 상기한 특정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열풍 건조기의 열풍배기관에 순환관이 감겨 있는 예이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열풍 건조기의 열풍배기관에 순환관이 감겨 있어도 되는 것임은 물론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건조기에서 버려지는 폐열을 보일러의 작동 에너지로 활용함으로써 보일러의 에너지 소비를 줄일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수정 및 변형이 첨부하는 특허청구범위에 포함되는 것이라면 본 발명에 속하는 것임은 자명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의 폐열을 이용한 보일러 장치와 건조기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보일러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보일러 장치의 회로 블록 구성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보일러 장치의 동작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건조기 27 : 열풍 배기관
30 : 순환관 온도센서 40 : 보일러
41 : 급수관 42 : 급수밸브
43 : 공기배출구 44 : 순환관
45 : 온수공급밸브 46 : 순환펌프
47 : 분기밸브 48 : 배수관
49 : 배수감지센서 50 : 온수공급관
51 : 난방수공급관 52 : 난방관
53 : 난방수회수관 55 : 물탱크
56 : 수위센서 57 : 물탱크 온도센서
58 : 물공급관 59 : 배수펌프
60 : 열교환기 61 : 열교환기 구동부
70 : 제어부 71 : 버튼입력부

Claims (4)

  1. 열풍에 의하여 건조 대상물을 건조하는 건조기에서 폐열풍을 배기하는 열풍배기관에 감기고 그 내부에 물이 순환하는 순환관과;
    상기 순환관과 연통된 물탱크와;
    상기 물탱크에 물공급관을 통해서 결합되어 물탱크로부터 물공급관을 통해서 흐르는 물을 가열하는 열교환기와;
    상기 물탱크의 수온을 감지하는 물탱크 온도센서와;
    상기 순환관의 수온을 감지하는 순환관 온도센서와;
    상기 순환관의 물을 순환시키기 위한 순환펌프와;
    상기 물탱크온도센서로부터의 물탱크 수온감지신호와 순환관 온도센서로부터의 순환관 수온감지신호를 입력받아 순환관의 수온이 물탱크의 수온보다 일정 설정치 이상이면 상기 순환펌프를 구동하여 상기 물탱크의 물이 상기 순환관으로 공급되고 상기 순환관의 물이 물탱크로 유입되도록 제어하고, 사용자에 의한 온수 사용시 또는 사용자에 의한 난방 선택시에 상기 물탱크온도센서로부터의 물탱크 수온감지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물탱크의 수온에 따라서 열교환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의 폐열을 이용한 보일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를 통과한 물을 사용자가 온수로 사용하도록 배수하는 온수공급관과, 상기 열교환기를 통과한 물을 난방관을 경유하여 상기 물탱크로 순환하도록 하는 구조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의 폐열을 이용한 보일러 장치.
  3. 삭제
  4. 삭제
KR1020090057227A 2009-06-25 2009-06-25 건조기의 폐열을 이용한 보일러 장치 KR1010694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7227A KR101069483B1 (ko) 2009-06-25 2009-06-25 건조기의 폐열을 이용한 보일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7227A KR101069483B1 (ko) 2009-06-25 2009-06-25 건조기의 폐열을 이용한 보일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8626A KR20100138626A (ko) 2010-12-31
KR101069483B1 true KR101069483B1 (ko) 2011-09-30

Family

ID=435120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7227A KR101069483B1 (ko) 2009-06-25 2009-06-25 건조기의 폐열을 이용한 보일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948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67990A (zh) * 2011-11-10 2012-03-07 艾欧史密斯(中国)热水器有限公司 恒温冷凝燃气热水器及其控制方法
CN102927684A (zh) * 2012-11-23 2013-02-13 广东志高空调有限公司 一种废水废热回收热水器
CN102927683A (zh) * 2012-11-23 2013-02-13 广东志高空调有限公司 一种多种废热回收热水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50005597A (ko) * 1984-01-07 1985-08-28 정석수(외1) 폐열의 냉난방 및 재활용 장치
JPH06194041A (ja) * 1992-12-25 1994-07-15 Toshiba Corp 生ごみ処理装置
KR19980014646U (ko) * 1998-03-30 1998-06-05 이근직 보일러 폐열에 의한 온수 예열 장치
JP2004225951A (ja) * 2003-01-21 2004-08-12 Jfe Engineering Kk 排ガスの廃熱回収装置及びその運転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50005597A (ko) * 1984-01-07 1985-08-28 정석수(외1) 폐열의 냉난방 및 재활용 장치
JPH06194041A (ja) * 1992-12-25 1994-07-15 Toshiba Corp 生ごみ処理装置
KR19980014646U (ko) * 1998-03-30 1998-06-05 이근직 보일러 폐열에 의한 온수 예열 장치
JP2004225951A (ja) * 2003-01-21 2004-08-12 Jfe Engineering Kk 排ガスの廃熱回収装置及びその運転方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67990A (zh) * 2011-11-10 2012-03-07 艾欧史密斯(中国)热水器有限公司 恒温冷凝燃气热水器及其控制方法
CN102367990B (zh) * 2011-11-10 2014-02-26 艾欧史密斯(中国)热水器有限公司 恒温冷凝燃气热水器及其控制方法
CN102927684A (zh) * 2012-11-23 2013-02-13 广东志高空调有限公司 一种废水废热回收热水器
CN102927683A (zh) * 2012-11-23 2013-02-13 广东志高空调有限公司 一种多种废热回收热水器
CN102927683B (zh) * 2012-11-23 2015-07-22 广东志高空调有限公司 一种多种废热回收热水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8626A (ko) 2010-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12965B1 (en) Appliance and method for drying laundry
KR100879572B1 (ko) 의류처리 시스템 및 이의 급수 제어방법
JP2007111396A (ja) 洗濯乾燥機
CN106498653B (zh) 衣物护理机及其护理衣物的方法
KR20080022962A (ko) 세탁장치의 운전방법
US8302326B2 (en) Steam dryer control method
KR20080081755A (ko) 세탁기 및 그 건조제어방법
JP2006142019A (ja) 洗濯機
US20070118997A1 (en) Washing machine
KR101069483B1 (ko) 건조기의 폐열을 이용한 보일러 장치
KR20080081471A (ko) 세탁기 및 그 탈수제어방법
JP2013244171A (ja) 衣類乾燥機
JP2013240497A (ja) 衣類乾燥機
JP2008301940A (ja) 衣類乾燥機
JP2014100174A (ja) 衣類乾燥機
WO2015056416A1 (ja) 洗濯乾燥機
WO2017133628A1 (zh) 洗衣机及其控制方法
CN107022866B (zh) 洗干一体机及其控制方法
JP2011120746A (ja) 衣類乾燥機
JP2010011924A (ja) 洗濯乾燥機
KR100739614B1 (ko) 건조 겸용 세탁기의 세탁물 건조방법
KR100659309B1 (ko) 스팀발생장치를 갖춘 세탁기의 제어방법
KR100648175B1 (ko) 드럼세탁기 및 드럼세탁기의 건조시간 단축 방법
JP2007068679A (ja) ドラム式洗濯機
JP2001293278A (ja) ドラム式洗濯乾燥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