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9449B1 - 멀티 격실 컨테이너 조립체 시스템 - Google Patents

멀티 격실 컨테이너 조립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9449B1
KR101069449B1 KR1020057008547A KR20057008547A KR101069449B1 KR 101069449 B1 KR101069449 B1 KR 101069449B1 KR 1020057008547 A KR1020057008547 A KR 1020057008547A KR 20057008547 A KR20057008547 A KR 20057008547A KR 101069449 B1 KR101069449 B1 KR 1010694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ing
unit
cartridge
assembly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85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72826A (ko
Inventor
아이갈 사론
요하나 막게니
Original Assignee
엠.엘.아이.에스. 프로젝츠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엠.엘.아이.에스. 프로젝츠 엘티디. filed Critical 엠.엘.아이.에스. 프로젝츠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0500728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28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94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94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04Partitions
    • B65D25/08Partitions with provisions for removing or destroying, e.g. to facilitate mixing of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B65D81/3205Separate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joined to each other at their external surfaces
    • B65D81/3211Separate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joined to each other at their external surfaces coaxially and provided with means facilitating admix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 Specialized In Special Use (AREA)
  • Packages (AREA)
  • Supplying Of Containers To The Packaging Station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Bag Frames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일 멀티 격벽 컨테이너로 조립될 수 있는 별도로 밀봉된 조립체 유닛 또는 컨테이너내에 제형의 여러 성분을 저장하기 위한 컨테이너 조립체 시스템이다. 제형의 성분은 조립체 유닛을 밀봉상태로 두고서 개별적으로 밀봉된 조립체 유닛 각각에 저장해서, 그리고 나서 멀티 격벽 컨테이너로 조립될 수 있다. 조립체 유닛 각각을 밀봉하는 밀봉은 그 다음에 미밀봉상태로 될 수 있으므로, 성분은 제형에 혼합될 수 있다.
컨테이너, 밀봉 메카니즘, 격벽, 커플링 아암, 카트리지 유닛, 조립체 유닛, 디스펜싱 유닛

Description

멀티 격실 컨테이너 조립체 시스템{Multi compartment container assembly system}
본 발명은 사용 전에 조합해서 혼합할 준비 때까지 개별 컨테이너내에 두 개 이상의 성분을 별도로 저장하기 위한 멀티 격실 컨테이너 시스템과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멀티 격실 컨테이너의 소정 량의 내용물을 배출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멀티 격실 컨테이너에 관한 것이다.
멀티 격실 컨테이너 조립체는 이 기술분야에 알려져 있으며, 여기서는 두 개 이상의 개별적으로 밀봉가능한 조립체 유닛이 멀티 격실 컨테이너를 조립하는데 함께 조인트될 수 있다. 이러한 멀티 격실 컨테이너 조립체에서의 한 관심거리는 멀티 격벽 컨테이너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하나의 조립체 유닛이 다른 밀봉 조립체 유닛이 부착될 수 있기 전까지는 미밀봉되어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조립 과정 동안 밀봉을 제거하면 조립체 유닛의 내용물을 오염하거나 쏟게 할 잠재적인 위험을 유발한다.
본 발명은 각각의 조립체 유닛이 밀봉상태로 남아 있고 나중에 멀티 격벽 콘 시스템의 분해 없이 미밀봉상태로 남아 있으면서, 두 개 이상의 개별적으로 밀봉가능한 컨테이너 조립체 유닛이 멀티 격벽 컨테이너로 조립될 수 있는 멀티 격실 컨테이너 시스템과 조립체를 제공한다. 멀티 격벽 조립체의 한 장점은 조립체 유닛의 각각이 밀봉상태로 남겨두고서 멀티 격벽 조립체로 조립될 수 있다는 것이다. 멀티 격벽 조립체가 조립체 유닛을 미밀봉하지 않고 조립될 수 있기 때문에, 각 조립체 유닛의 내용물의 오염 위험도를 줄인다. 조립체 유닛 사이의 밀봉은 조립된 상태에서 미밀봉될 수 있어서, 조립체 유닛의 내용물을 제형으로 혼합할 수 있고 그리고나서 조립체로부터 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서, 두 조립체 유닛이 함께 조립되어 두 격벽 컨테이너를 형성하며, 조립체 유닛 각각은 밀봉 격실을 형성한다. 조립체 유닛 각각은 서로 결합하는 유닛을 두 격벽 컨테이너로 조립하는 적어도 하나의 밀봉 개구를 가진다. 이런 조립된 상태에서, 조립체 유닛의 적어도 하나의 밀봉 개구를 밀봉하는 밀봉 메카니즘은 서로 커플링하도록 형상되어 있다. 이 커플링은 컨테이너의 조립 동안 또는 나중에 소망의 시간에 실시할 수도 있다. 이 커플링 형상은 밀봉 메카니즘중 어느 하나가 미밀봉 위치로 축선방향으로 이동되면, 두 조립체 유닛의 밀봉 메카니즘을 동시에 미밀봉상태로 만든다. 두 조립체 유닛의 내용물을 혼합시키는 두 조립체 유닛 사이에 유체 연통을 설정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호한 실시예에서, 멀티 격벽 컨테이너 시스템은 조립체의 터미널 단부에서 격벽중 하나가 배출되어질 물질의 소정 량을 측정해서 유지하도록 형상되어져 있다. 두 조립체 유닛 각각의 밀봉 메카니즘을 커플링하는 방법은 약간의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하도록 하겠지만, 이 기술의 당업자에 의해서 동일한 원리가 또한 추가의 별도의 격벽으로 컨테이너를 형성하는데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두 개 이상의 조립체 유닛이 함께 조립되어 두 개 이상의 격벽을 가지는 멀티 격벽 컨테이너를 형성하는 응용분야에는, 어느 두 개의 조립체 유닛 상에 포함된 밀봉 메카니즘을 커플링함으로서 동시에 미밀봉상태로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두 격벽의 컨테이너 조립체의 사시도.
도 2는 디스펜싱 유닛과 카트리지 유닛이 서로 분리되어 있는 도 1의 두 격벽의 컨테이너 조립체의 사시도.
도 3은 도 1의 디스펜싱 유닛의 부분 절개한 분해도.
도 4는 도 1의 카트리지 유닛의 부분 절개한 분해도.
도 5는 조립체 유닛이 밀봉 상태에 있는 도 1의 두 격벽의 컨테이너 조립체의 상세 절개도.
도 6은 조립체 유닛이 미밀봉 상태에 있는 1의 두 격벽의 컨테이너 조립체의 상세 절개도.
도 6a는 도 1의 두 격벽의 컨테이너 조립체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 7은 카트리지 유닛의 상부 밀봉 벽과, 디스펜싱 유닛의 밀봉형 부재를 위한 커플링 메카니즘의 다른 실시예의 상세 절개도.
도 8은 카트리지 유닛의 상부 밀봉 벽과, 디스펜싱 유닛의 밀봉형 부재를 위한 커플링 메카니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카트리지 유닛과 디스펜싱 유닛의 사시도.
도 9는 변위가능한 유닛이 밀봉 위치에 있게 되는 도 8의 조립 유닛을 갖춘 두 격벽 컨테이너의 상세 절개도.
도 10은 변위가능한 유닛이 미밀봉 위치에 있게 되는 도 8의 조립 유닛 을 갖춘 두 격벽 컨테이너의 상세 절개도.
도면은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을 뿐이지, 축척이 일치하지는 않는다.
멀티-격벽 컨테이너들의 다양한 실시예가 본 발명의 다수의 특정 형식 및 예를 들어 하기에 기술된다.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으로 간주되지는 않는다. 상기 컨테이너들은 상이한 용도로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분말로 제조되는 다수의 비-알콜성 음료 또는 다른 성분을 갖는 칵테일을 형성하는 알콜성 음료, 액체로 재구성되는 다이어트용 분말, 의학 제형용 두 개 이상의 격벽을 갖는 컨테이너가 있으며, 이중 한 격벽은 하나의 구성부재를 포함하고, 다른 한 격벽은 형성화를 형성하기 위해 혼합되는 다른 격벽을 포함한다. 또한, 멀티-격벽 컨테이너들은 소정의 바람직한 양으로 분배되도록 물질의 양을 저장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두 개의 격벽을 갖는 컨테이너 실시예에서, 하나의 격벽은 약물의 공급부를 지지하고, 제 2 격벽은 상기 약물의 소정의 단일 사용량을 위하여 형성되고 크기가 결정된다. 일정 사용량을 다루기 위하여, 두 격벽들을 분할하는 밀봉부들은 격벽들 사이의 유동을 위하여 밀봉되지 않게 형성되고, 약물이 제 2 격벽에 채워지게 한다. 제 2 격벽이 채워졌을 때, 격벽들은 밀봉부를 밀폐시킴으로써 다시 분할될 수도 있으며, 제 2 격벽의 측정된 함유량이 분재 될 수도 있다.
도 1은 두 격벽의 컨테이너 조립체(100)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두 격벽의 컨테이너 조립체(100)는 디스펜싱 유닛(10) 및 카트리지 유닛(30)의 두 조립체 유닛으로부터 조립된다. 상기 조립체 유닛의 각각은 내부에 밀봉되거나 저장될 수도 있는 부품이 채워지는 밀봉가능한 컨테이너들이다.
도 2는 각각의 조립체 유닛으로서 서로 분리되는 디스펜싱 유닛(10) 및 카트리지 유닛(30)이 도시한다. 상기 두 조립체 유닛(10, 30)은 상부 및 하부 단부에서 밀봉가능한 개구들을 갖는 컨테이너들일 수도 있다. 디스펜싱 유닛(10)의 하부 단부에 제공되는 플랜지(12)는 디스펜싱 유닛(10)과 카트리지 유닛(30)이 두 격실의 컨테이너 조립체(100)속으로 조립될 때, 카트리지 유닛(30)의 상부 단부에 제공된 림(32)이 결합하게 된다. 림(32) 및 플랜지(12)의 직경들은 밀봉부를 형성하기 위해 양호하게 결합되도록 형성된다. 밀봉부의 질(quality)은 컨테이너 조립체(100)를 위하여 적용에 대하여 충분히 기밀하게 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밀봉부는 컨테이너 내부의 내용물이 누설되지 않도록, 그리고, 바람직하지 않은 물질이 조립된 컨테이너속으로 들어가지 않도록 매우 질(quality)이 높아야 한다. 또한, 밀봉부는 가능한 한 컨테이너 조립체(100)의 내용물의 질을 오염시키지 말고 떨어뜨리지 말아야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플랜지(12)는 림(32)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림(32)위로 끼워맞춤된다. 그러나, 디스펜싱 유닛(10) 및 카트리지 유닛(30)은 밀봉부를 형성하기 위해 서로 밀봉적으로 결합하도록 다양한 형태의 구조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플랜지(12) 및 림(32)의 접합면들에는 접합 중간부에서 마찰-끼워마춤식 밀봉부(friction-fitted seal)를 발생하는 돋아진 밀봉식 리지(rasied sealing ridge) 가 제공될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접합면들의 적어도 하나에는 접합 중간부에서 압축 밀봉부를 형성하기 위해 탄성 밀봉부가 제공될 수도 있다.
디스펜싱 유닛(10)의 하부 단부는 밀봉 부재(40)에 의해서 밀봉되고, 카트리지 유닛(30)의 상부 단부는 상부 밀봉 벽(50)으로 밀봉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 밀봉 벽(50)이 축선 방향으로 하향 이동할 때 상기 밀봉 부재(40) 및 상부 밀봉 벽(50)은 서로 적절히 결합하도록 형성된다. 그래서, 카트리지 유닛(30)의 상부 개구가 밀봉되지 않을 때, 밀봉 부재(40)가 상부 밀봉 부재(50)와 함께 하향으로 당겨지므로, 디스펜싱 유닛(10)의 하부 단부 개구를 밀봉하지 못하게 된다. 두 밀봉 메카니즘(밀봉 부재(40) 및 상부 밀봉 벽(50)) 커플(couple)에 의한 특정 방법들은 본 발명의 영역 내에서 다수의 상이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디스펜싱 유닛(10) 및 카트리지 유닛(30)이 함께 조립될 때, 밀봉 부재(40)에는 바닥면, 예를 들어 카트리지 유닛(30)상에 두 개 이상의 커플링 아암(45)이 제공된다. 카트리지 유닛(30)의 상부 밀봉 벽(50)자체에는 커플링 아암(45)에 대응하는 두 개 이상의 커플링 아암(55) 세트가 제공된다. 커플링 아암(45, 55)들에는 커플링 아암(45, 55)들 사이에 각각 동일 중심점으로부터 동일거리로 공간이 배열되어 있다. 디스펜싱 유닛(10) 및 카트리지 유닛(30)이 함께 조립될 때, 커플링 아암(45, 55)은 각각 공간에 정렬되어 서로 간섭하지 않게 된다.
도 3은 디스펜싱 유닛(10) 및 커플링 아암(45)을 부분 절개하여 보다 상세하게 도시한다. 상기 커플링 아암(45)은 J-형상의 프로화일을 가지며, 아암(45)의 상부는 밀봉 부재(40)로부터 돌출되고, 록킹 리지(47)를 형성하는 아암(45)의 하부는 밀봉 부재(40)와 접촉하게 된다. 디스펜싱 유닛(10)은 상부 개구(16) 및 하부 개구(18)의 2개의 개구를 가진다. 상부 개구(16)는 상부 밀봉 부재(20)로 밀봉될 수도 있다. 하부 개구(18)는 플랜지(12)로 형성된다. 상기 플랜지(12)는 상향 플랜지 부(12A)와 하향 플랜지 부(12B)로 구성될 수도 있다. 하부 밀봉 부재(40)는 상향 플랜지 부(12A)와 결합하여 디스펜싱 유닛(10)의 하부 개구(18)를 밀봉한다. 바람직하게도, 하부 밀봉 부재(40)와 상향 플랜지 부(12A)는 결합하는 형태로 이루어지며 밀봉부를 형성한다. 상기 하부 밀봉 부재(40)는 마찰식 끼워맞춤 플러그(friction-fitting plug), 스냅식 끼워맞춤 플러그(snap-fitting plug)로 구성될 수도 있고, 그렇지 않다면 다른 밀봉 방식 및 메카니즘에 필요한 밀봉 질(quality)을 갖는 밀봉부를 제공할 수도 있다. 물론, 하부 밀봉 부재(40)에 의해 형성되는 밀봉부의 질 또는 컨테이너 시스템에서 임의의 다른 밀봉부들은 특정한 적용력에 좌우되지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밀봉부는 조립체 유닛의 내용물이 누설되는 것을 최소한 방지하고, 바람직하지 않은 물질의 조립체 유닛으로 유입을 방지한다. 또한, 가능한 조립체 유닛의 내용물의 질의 오염을 방지하고, 질의 저하도 방지한다.
상부 밀봉 부재(20)에 의해 상부 개구(16)에 형성되는 밀봉부는 디스펜싱 유닛이 액체 또는 고체 물질로 채워질 수 있게 하고, 저장중에 디스펜싱 유닛의 내용물의 오염을 방지하는 바람직한 기능을 갖게 된다. 상부 밀봉 부재(20)는 나선형 캡(screw cap), 마찰식 끼워맞춤 플러그(friction-fitting plug), 스냅식 끼워맞춤 플러그(snap-fitting plug), 열-밀봉식 막(heat-sealed membrane), 또는 밀봉 방법(sealing methods) 및 메카니즘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4는 두-격벽 컨테이너를 형성하기 위해 디스펜싱 유닛(10)과 결합하는 카트리지 유닛(30)을 부분적으로 분해한 절개도를 나타낸다. 상기 카트리지 유닛(30)과 같은 카트리지 유닛을 이용하는 멀티-격벽의 컨테이너 시스템 및 조립체는 2002년 8월 6일에 미국 특허청에 출원되어 계류중인 미국특허출원 번호 제 10/214,374에 상세히 기술되어 있으며, 상기 특허 출원은 참고용으로 본원에 기술되어 있다.
카트리지 유닛(30)은 림(32)에 의해서 형성된 상부 개구(36)를 갖는 카트리지 하우징(31)과, 카트리지 하우징(31)내에 제공되는 변위가능한 부재(56)로 구성된다. 상기 변위 가능한 부재(56)는 카트리지 유닛 하우징(31)내측에서 축선으로 밀봉 위치 및 미밀봉 위치 사이로 변위가능 하게 된다. 밀봉 위치에서, 변위 가능한 부재의 상부 밀봉 벽(50)은 림(32)과 맞물리게 되고, 상부 개구(36)를 밀봉하게 된다. 미밀봉 위치에서, 변위 가능한 부재(56)는 림(32)으로 부터 축선방향으로 멀리 이동하여 상부 개구(36)를 개방시켜 놓는다. 카트리지 유닛(30)의 하부 개구(38)가 변위가능한 부재(56)의 하부 단부에 의해 형성되고, 카트리지 유닛(30)의 내부 공간에 도달가능하므로, 카트리지 유닛(30)은 내부가 내용물로 채워지게 된다. 하부 개구(38)는 임의의 적절한 밀폐용 부재(60)로 밀폐될 수도 있다. 밀폐용 부재(60)는 나선형 캡(screw cap), 마찰식 끼워맞춤 플러그(friction-fitting plug), 스냅식 끼워맞춤 플러그(snap-fitting plug), 열-밀봉식 막(heat-sealed membrane), 또는 밀봉 방법(sealing methods) 및 메카니즘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카트리지 유닛(30) 및 디스펜싱 유닛(10)이 조립될 때, 림(32)은 디스펜싱 유닛(10)의 플랜지(12)속으로 삽입된다. 상기 림(32)과 플랜지(12)는 바람직한 성능을 갖는 밀봉부를 형성하도록 적절한 형상으로 구성된다. 플랜지(12) 및 림(32)의 접합면들에는 접합 중간부에서 마찰-끼워맞춤식 밀봉부(friction-fitted seal)를 발생하는 밀봉식 리지(sealing ridge) 또는 다른 유사한 형태가 제공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접합면들은 밀봉부를 형성하기 위해 탄성 물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림(32)과 플랜지(12)가 나선형으로 제공되어, 디스펜싱 유닛(10)과 카트리지 유닛(30)은 함께 나선으로 조립된다.
변위 가능한 부재(56)는 밀봉 위치 및 미밀봉 위치 사이로 변위 가능한 부재(56)를 축선으로 변위시키는 조종부(52)를 구비한다. 변위 가능한 부재(56)를 축선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변위 가능한 부재(56)에는 하나 이상의 가이드 핀(54)이 제공될 수도 있으며, 카트리지 하우징(31)에는 대응하는 다수의 가이드 슬롯(34)이 가이드 핀 내측에 제공될 수도 있다. 슬롯(34)과 핀(54)의 숫자가 동일할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가이드 핀(54)보다 가이드 슬롯(34)이 더 많이 제공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되듯이, 가이드 슬롯(34)은 수평부를 형성하기 위해 단말 부가 S-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도 1 및 도 2에서 조종부(52)상에 화살표 A로 표시된 방향으로 카트리지 유닛(30)의 종축 선에 대해 조종부(52)를 회전시킴으로써, 가이드 핀(54)은 가이드 슬롯(34)의 통로를 뒤따르고, 따라서 변위가능한 부재(56)는 이동하게 된다. 그래서, 변위 가능한 부재(56)가 임의의 축선 변위 없이 종축 방향에 대하여 먼저 회전하고, 그 후 변위가능한 부재(56)는 적어도 축선 방향(예를 들어, 카트리지 유닛(30)의 종축 방향)으로 적어도 이동하게 된다.
임의의 축선방향의 변위 없이 변위 가능한 부재(56)의 초기 이동중에, 커플링 아암(45, 55)은 마주치는 위치에 놓이게 된다. 이후, 변위가능한 부재(56)의 축선 이동중에, 상부 밀봉 벽(50)과, 커플링 밀봉 부재(40)는 동시에 미밀봉상태에 놓이게 된다. 상기 변위가능한 부재(56)는 하나 이상의 연결 부재(58)를 통하여 밀봉 벽(50)에 연결된다. 즉, 연결 부재(58)가 상기 밀봉 벽(50)과 상기 조종부(52)사이를 연장한다. 연결부재(58)들 사이에는 공간(59)이 형성되며, 상기 공간(59)은 변위가능한 부재(56)가 미밀봉 위치에 있을 때 상부 개구(36)를 통하여 카트리지 유닛(30)의 내부 공간(변위가능한 부재(56)에 의해서 형성됨)을 외부 환경과 유통하게 한다.
도 4에서, 변위 가능한 부재(56)의 상부 밀봉 벽(50) 상에 제공된 커플링 아암(55)이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커플링 암(45)과 유사하게, 상기 커플링 아암(55)은 J-형상의 프로화일을 가지며, 상부 밀봉 벽(50)의 상부 면으로부터 돌출된다. 상기 형상의 커플링 아암(55)의 상부는 밀봉 벽(50)과 접촉하게 되고, 하부는 록킹 리지(57)를 형성한다. 디스펜싱 유닛(10)과 카트리지 유닛(30)들이 도 1에 도시되듯이 함께 조립된 후, 변위가능한 부재(56)가 화살표 A 방향으로 조종부(52)를 돌림으로써 회전할 때, 커플링 아암(45, 55)이 서로 정렬되어 록킹 리지(47, 57)는 맞물리게 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되듯이, 커플링 아암(45)이 록킹 리지(47)를 동일 중심점으로부터 동일거리에서 외측으로 대면하게 하지만, 커플링 아암(55)이 록킹 리지(57)를 동일 중심점으로부터 동일거리에서 내측으로 대면하게 하므로, 이들은 서로 간섭과 동시에 맞물리게 된다.
도 5는 조립체 유닛이 밀봉 상태에 있는 완전히 조립된 두 격벽의 조립체를 상세히 절개한 도면을 나타낸다. 디스펜싱 유닛(10)의 하향 플랜지 부(12B)와, 카트리지 유닛(30)의 림(32)은 밀봉적으로 결합한다. 하부 밀봉 부재(40)는 디스펜싱 유닛(10)의 상향 플랜지 부(12A)와 밀봉적으로 결합하여 디스펜싱 유닛(10)의 하부 개구를 밀봉한다. 변위가능한 부재(56)가 밀봉 위치에 있게 되어, 상부 밀봉 벽(50)은 카트리지 유닛(30)의 상부 개구와 결합하고, 커플링 아암(45, 55)들은 맞물리지 않는 위치에 있게 된다. 카트리지 유닛(30)의 하부 개구는 밀폐용 부재(60)로 밀봉된다.
도 6은 조립체 유닛이 미밀봉 상태에 있어 두 격벽이 서로 연통하게 되는 완전히 조립된 두 격벽의 조립체를 상세히 절개한 도면을 나타낸다. 변위 가능한 부재(56)가 미밀봉 위치로 축선으로 변위하게 되어, 가이드 핀(54)은 가이드 슬롯(34)에서 가장 낮은 위치에 있게 된다. 하부 밀봉 부재(40)는 커플링 아암(45, 55)의 맞물림에 의해서 카트리지 유닛(30)의 상부 밀봉 벽(50)과 결합한 채로 남게 된다. 하부 밀봉 부재(40)는 상향 플랜지 부(12A)로 부터 분리되는 변위 가능한 부재(56)의 축선방향의 하향 변위에 의해서 아래로 당겨지게 된다.
두 격벽의 컨테이너 조립체(100)가 적절히 조립되고 커플링 아암(45, 55)이 맞물리게 될 때, 사용자는 카트리지 유닛(30)의 조종부(52)를 돌려서 변위 가능한 부재(56)를 미밀봉 위치로 이동시키면, 카트리지 유닛(30)의 상부 밀봉 벽(50)과 디스펜싱 유닛(10)의 하부 밀봉 부재(40)는 미밀봉상태에 있게 될 것이고, 카트리지 유닛(30) 및 디스펜싱 유닛(10)의 내부 공간은 유통상태에 있게 될 것이다. 물론, 커플링 아암(45, 55)의 맞물림에 의해서 제공되는 커플링 강도는 하부 밀봉 부재(40)를 당겨 미밀봉상태에 놓을 수 있는 충분한 힘을 가져야 한다.
조립체 유닛(30, 10)의 상부 밀봉 벽(50)과 하부 밀봉 부재(40)의 맞물림은, 제형을 준비하기 위해서 조립체 유닛을 밀봉 유닛으로 그대로 유지하면서 사용자가 밀봉된 조립체 유닛내에 제형의 성분 각각을 저장하고 이들을 컨테이너내에 조립할 수 있게 한다. 조립체 유닛이 컨테이너로 조립되는 동안에 밀봉된 유닛으로 본래대로 남아있기 때문에, 조립체 유닛의 저장된 내용물을 오염시키는 위험은 최소화된다.
컨테이너 조립체(100)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조립체 유닛(10, 30)이 함께 있을 때, 디스펜싱 유닛(10) 및 카트리지 유닛(30)이 서로 종축선에 대하여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므로, 커플링 아암(45, 55)은 정렬되고, 록킹 리지(47, 57)를 맞물리게 한다.
컨테이너 조립체(100)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각각의 밀봉 메카니즘(밀봉 부재(40) 및 상부 밀봉 벽(50))은 각 밀봉 메카니즘상에 단일 커플링 아암이 제공된다. 예를 들어, 각 밀봉 메카니즘은 반원호로 연장되는 커플링 아암이 제공될 수도 있다.
도 6a는 컨테이너 조립체(100A)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서는, 변위 가능한 부재(56A)는 미밀봉 위치로 축선으로 변위 될 때 밀봉 위치로 되돌아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적절한 형상으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가이드 핀(54A) 이외에도, 변위 가능한 부재(56A)는 하부 단부에 기밀하게 위치되는 제 2 핀(51A) 셋트를 구비하므로, 미밀봉 위치로 축선방향으로 변위되고, 핀(51A)은 카트리지 하우징(31A)아래로부터 돌출된다. 핀(51A)은 카트리지 하우징(31A)을 간섭하기에 충분히 크기 때문에 변위가능한 부재(56A)를 밀봉 위치로 되돌아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카트리지 하우징(31A) 및 변위가능한 부재(56A)는 충분한 탄성물질로 제공되어 카트리지 하우징(31A) 내측에서 표면으로부터 돌출하는 핀(51A)가 함께 변위 가능한 부재(56A)를 수용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카트리지 유닛(30A)이 초기에 조립되면, 핀(51A)은 내용물이 배출되어진 후 컨테이너의 바람직하지 않은 재사용을 방지하는 특성요소이다.
카트리지 유닛(30)의 바닥 개구(38)를 밀봉하는 밀폐용 부재(60)가 디스펜싱 유닛(10)의 하부 밀봉 부재(40)와 유사한 형태를 취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의 당업자라면 누구나 분명하다. 예를 들어, 밀폐용 부재(60)는 또한 커플링 아암(45)과 유사한 구조를 가지도록 형상될 수 있으므로, 제 2카트리지 유닛(도시 생략)은 컨테이너 조립체(100)에 제 3격벽을 추가하여 카트리지 유닛(30)의 하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유사하게, 어떠한 수의 카트리지 유닛도 이런 방법으로 일련으로 조립될 수 있어서 바람직한 수의 격벽을 가지는 멀티 격벽 컨테이너 조립체를 형성한다. 추가로, 멀티 격벽 컨테이너 조립체는 어느 디스펜싱 유닛도 없이 두 이상의 카트리지 유닛을 연결함으로써 조립될 수 있다. 카트리지의 내용물이 한번 혼합되면, 이들이 액체, 분말 또는 조합물이든지, 내용물은 두 개의 터미널식으로 위치된 카트리지중 하나의 단부 개구를 통해서 직접 배출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혼합 내용물은 상부 카트리지의 상부 개구 또는 하부 카트리지의 하부 개구를 통해서 배출될 수 있 다. 개별 디스펜싱 장치가 특정 적용분야에 필요하면, 적절한 디스펜싱 장치가 디스펜싱 유닛의 개구에 부착될 수 있다.
멀티 격벽 컨테이너 조립체의 다른 형상이 디스펜싱 유닛의 양 개방 단부에 부착된, 여기서 상술한 바와 같은 하나 이상의 카트리지 유닛을 포함한다는 것은 이 기술의 당업자라면 누구나 생각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디스펜싱 유닛은 단지 하나만의 개구를 가지는 컨테이너 처럼 병일 수 있다. 다시, 하나 이상의 카트리지 유닛은 일련으로 이러한 디스펜싱 유닛에 부착될 수 있어서 멀티 격벽 컨테이너 조립체를 조립한다.
더욱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라서, 두 개 이상의 카트리지 유닛은 일련으로 조립되어 멀티 격벽 컨테이너를 조립할 수 있다. 조립체 내의 카트리지 유닛의 각각은 혼합될 제형의 성분을 유지하는 밀봉 격벽을 이룬다. 컨테이너 조립체의 내용물이 혼합되어지고 배출될 준비가 되어 있으면, 이 조립체내의 최상부 카트리지 유닛의 변위가능한 부재는 미밀봉 위치로 이동되므로, 혼합 제형은 최상부 카트리지 유닛의 상부 개구를 통해서 배출될 수 있다. 필요하다면, 유아 공급 꼭지와 같은, 적절한 디스펜싱 장치는 최상부 카트리지 유닛의 상부 개구에 부착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두 격벽 컨테이너 조립체(200)를 도시하며, 여기서 컨테이너는 디스펜싱 유닛(210)과 카트리지 유닛(230)으로 조립된다. 디스펜싱 유닛(210)의 바닥 개구(218)는 이전에 설명한 실시예에서 보다 작은 직경을 가진다. 바닥 개구(218)의 보다 작은 직경은 디스펜싱 유닛(210)을 가압 성분으로 채우는 것이 필요로 하는 적용분야에 보다 적절할 수 있다. 바닥 개구의 크기를 감소함으로써, 따라서, 밀봉 부재(240)도 보다 작고 그러므로 내압에 의해 밀봉 부재(240)에 생긴 압력은 감소될 수 있다. 이는 밀봉 부재(240)가 카트리지 유닛과 함께 조립되기 전에 밀봉 위치로부터 밀려질 수 있는 기회를 줄인다. 보다 작은 직경의 밀봉 부재(240)는 카트리지 유닛(230)과 대면하는 측면상에 다수의 J형상 커플링 아암(245)을 가진다. 변위가능한 유닛(256)에는 변위가능한 유닛(256)이 밀봉 위치에 있을 때 림(232)과 밀봉적으로 결합하는 상부 밀봉벽(250)에 제공되어 있다. 다수의 J형상 커플링 아암(255)은 커플링 아암(245)과 맞물림 함으로써 밀봉 부재(240)와 커플링하기 위한 상부 밀봉벽(250)의 상부 표면상에 제공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커플링 아암(245, 255)은 컨테이너 조립체(100)내의 커플링 아암(45, 55)과 유사하게 다수의 아암으로서 제공되지만, 커플링 아암(245, 255)은 다수의 커플링 아암의 각각의 사이의 최소 공간으로 원형 형태로 배열되어 있다. 각 그룹(245, 255)에 제공된 실제 아암의 수는 특정 적용분야에 따라서 변경될 수 있으며 이는 디자인의 선택에 관련된다. 이들 커플링 아암(245)은 디스펜싱 유닛(210)과 카트리지 유닛(230)이 함께 조립되어질 때 스냅 끼움에 의해서 커플링 아암(255)과 맞물림한다. 커플링 아암(245, 255) 양자는 원형 형태로 배열되고 커플링 아암(245)은 보다 작은 직경 형태를 가진다. 그리고 커플링 아암(245, 255)은 커플링 아암(245)의 J형상 프로화일의 훅크 단부가 커플링 아암(255)의 J형상 프로화일의 훅크 단부와 대면하도록 방위설정된다. 디스펜싱 유닛(210)과 카트리지 유닛(230)이 함께 되면, 커플링 아암(245, 255)은 탄성적으로 굽혀져 이들이 맞물림할 때까지 커플링 아암(245)이 커플링 아암(255)에 의해 형성된 원형 내측에 미끄러지게 허용한다. 본 실시예에서, 변위가능한 유닛(256)의 회전 이동은 커플링 아암(245, 255)를 맞물림 하는데 필요하지 않다.
다른 적당한 형태로 커플링 아암(245, 255)을 제공하는 것은 이 기술의 당업자라면 누구나 분명하다. 예를 들어, 커플링 아암(245, 255) 각각은 단단한 원형 구조일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두 격벽 컨테이너 조립체(300)를 도시하며, 여기서 디스펜싱 유닛의 하부 밀봉 부재와 카트리지 유닛의 상부 밀봉 벽사이의 커플링 메카니즘이 다른 형상으로 제공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디스펜싱 유닛(310)의 하부 밀봉 부재(340)는 하향으로 돌출하는 연장부(343)를 가지고 상기 연장부(343)를 지나서 연장하는 두 단부(345)를 가지는 타원형상 하단부를 가진다. 카트리지 유닛(330)이 상부 밀봉 벽(350)은 J형상의 프로화일을 가지는 두 개의 커플링 아암(355)을 가진다. 커플링 아암(355)은 상부 밀봉 벽(350)의 중심으로부터 동일한 거리로 위치되어 있으며, J형상 커플링 아암(355)의 훅크 단부는 서로 대면하고 있다. 디스펜싱 유닛(310)의 상부 개구는 스크류 캡(320)으로 밀봉되어 있다.
도 9는 완전히 조립된 컨테이너 조립체(300)를 상세히 절개한 도면을 나타내고 상술한 형상은 보다 더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디스펜싱 유닛(310)의 하부 개구는 밀봉 부재(340)로 밀봉되어 있다. 본 도면에서, 디스펜싱 유닛(310)과 카트리지 유닛(330)은 함께 조립되어 있지만, 밀봉 부재(340)와 상부 밀봉 벽(350)은 아직 함께 커플링되어 있지 않다.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펜싱 유닛(310)과 카트리지 유 닛(330)은 밀봉 부재(340)의 타원형 하단부의 연장 단부(345)가 두 커플링 아암(355)사이에 놓이도록 방위설정되어 있다. 밀봉 부재(340)와 상부 밀봉 벽(350)을 커플링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조립체의 길이방향 축선 둘레로 반대방향으로 디스펜싱 유닛(310)과 카트리지 유닛(330)을 비틀어서, 밀봉 부재(340)의 타원형 하단부의 연장 단부(345)를 J형상의 커플링 아암(355)의 훅크 단부 아래로 미끄러지게 한다.
도 10은 변위가능한 유닛(356)이 미밀봉 위치로 축선방향으로 이동된 후 커플링된 밀봉 부재(340)와 상부 밀봉 부재(350)를 미밀봉하는 두 격벽 컨테이너 조립체(300)를 도시한다. 컨테이너 조립체(300)의 상부 격벽(313)(디스펜싱 유닛(310)의 내부 공간에 의해 형성됨)과 하부 격벽(333)(변위가능한 유닛(356)의 내부 공간에 의해 형성됨)은 지금 디스펜싱 유닛(310)의 하부 개구(318)을 통해서 유동 상태에 있다. 밀봉 위치를 밀면, 디스펜싱 유닛(310)의 하부 개구(318)를 개방하게 된다. 카트리지 유닛(330)의 하부 개구는 밀폐용 부재(360)로 밀봉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컨테이너 조립체(100)와 연결해서 이전에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카트리지 유닛(330)의 변위가능한 유닛(356)의 하부 단부는 디스펜싱 유닛(310)의 하부 단부의 것과 유사한 형상과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러므로, 제 2카트리지 유닛은 카트리지 유닛(330)의 하부 단부에 결합할 수 있어 컨테이너 조립체(300)의 제 3 격벽을 형성한다.
상술한 설명이 단지 한 예로서만 언급되어 있어서 많은 다른 실시예가 본 발명의 정신과 범주 내에서 가능하고 내에 속하게 되어질 것이다. 도면에 도시되고 여기서 설명한 조립체 유닛, 카트리지 유닛 및 디스펜싱 유닛은 하나의 예일 뿐이다. 여기에 기술한 다른 다양한 변경 구조를 실시하는 조립체 유닛은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멀티 격벽 컨테이너 시스템은 디스펜싱 유닛이 예정된 양의 물질을 유지하도록 형상되고 개조될 수 있다. 이런 컨테이너는 다른 격벽 내의 대용량 물질을 저장하는데 사용되고 배출을 위해서 물질의 소정의 일회 사용량을 측정하는데 디스펜싱 유닛을 사용할 수 있다. 디스펜싱 유닛의 하부 밀봉 부재는 디스펜싱 유닛에 부착되어 있는 카트리지 유닛의 변위가능한 부재를 축선방향으로 변위함으로써 개방하고 카트리지 유닛의 내용물을 디스펜싱 유닛에 채울 수 있다. 다음으로, 디스펜싱 유닛의 밀봉 부재는 변위가능한 부재를 밀봉 위치까지 축선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재밀봉된다. 지금 디스펜싱 유닛은 디스펜싱 유닛의 상부 단부상의 개별 디스펜싱 개구를 통해서 배출되어질 수 있는 소정량의 물질로 채워져 있다.

Claims (6)

  1. 멀티 격벽 컨테이너 시스템으로서,
    적어도 두 개의 조립체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조립체 유닛중 적어도 하나는 카트리지 유닛이며, 다른 하나는 디스펜싱 유닛이며,
    상기 카트리지 유닛은,
    상기 디스펜싱 유닛을 결합하여 밀봉하도록 형상되어진 상부 개구와 하부 개구를 가지는 카트리지 하우징과, 상부 단부에 있는 밀봉 벽과, 하부 단부에 있고, 변위가능한 부재를 이동하도록 사용자에 의해 제어가능하게 형상되어진 조종부와, 상기 밀봉 벽과 상기 조종부사이를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부재와, 상기 하부 개구를 밀봉하는 밀폐형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변위가능한 부재는 상기 밀봉 벽이 상기 카트리지 하우징의 상부 개구를 밀봉하는 상기 카트리지 하우징을 결합하는 밀봉 위치와, 상기 밀봉 벽이 상기 카트리지 하우징으로부터 해제되고 상기 상부 개구가 개방되는 미밀봉 위치사이로 이동가능하며,
    상기 두 개의 조립체 유닛중 디스펜싱 유닛은 밀봉 부재로 밀봉된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가지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구는 상기 카트리지 하우징의 상부 개구를 결합하도록 형상되어 있으며, 상기 밀봉 벽과 상기 밀봉 부재 각각에는 상기 두 개의 조립체 유닛이 조립될 때 서로 맞물림하는 적어도 하나의 커플링 아암이 제공되어 있으며, 상기 변위가능한 부재가 상기 밀봉 벽을 상기 카트리지 하우징으로부터 해체하는 미밀봉 위치로 이동하면, 상기 밀봉 부재는 또한 상기 두 개의 조립체 유닛중 디스펜싱 유닛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구로부터 해체되는, 멀티 격벽 컨테이너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벽과 상기 밀봉 부재상에 각각 제공된 상기 커플링 아암은 록킹 리지를 가지는 돌출부인 멀티 격벽 컨테이너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벽과 상기 밀봉 부재상에 각각 제공된 상기 커플링 아암은 J형상의 프로화일을 가지는 돌출부인 멀티 격벽 컨테이너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벽과 상기 밀봉 부재상에 각각 제공된 상기 커플링 아암은 록킹 리지를 가지는 다수의 동일 중심점으로부터 동일거리로 위치설정된 돌출부인 멀티 격벽 컨테이너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벽과 상기 밀봉 부재상에 제공된 각각 상기 커플링 아암은 J형상의 프로화일을 가지는 다수의 동일 중심점으로부터 동일거리로 위치설정된 돌출부인 멀티 격벽 컨테이너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하우징의 상부 개구와 하부 개구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두 개의 조립체 유닛중 디스펜싱 유닛을 밀봉적으로 결합하기 위한 스크류 나사가 제공되어 있는 멀티 격벽 컨테이너 시스템.
KR1020057008547A 2002-11-12 2003-11-12 멀티 격실 컨테이너 조립체 시스템 KR1010694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294,020 2002-11-12
US10/294,020 US6959807B2 (en) 2002-11-12 2002-11-12 Multi-compartment container assembly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2826A KR20050072826A (ko) 2005-07-12
KR101069449B1 true KR101069449B1 (ko) 2011-09-30

Family

ID=322297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8547A KR101069449B1 (ko) 2002-11-12 2003-11-12 멀티 격실 컨테이너 조립체 시스템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6959807B2 (ko)
EP (1) EP1569854B1 (ko)
JP (1) JP4236111B2 (ko)
KR (1) KR101069449B1 (ko)
CN (1) CN100363238C (ko)
AT (1) ATE400508T1 (ko)
AU (1) AU2003279505A1 (ko)
DE (1) DE60322098D1 (ko)
ES (1) ES2310674T3 (ko)
RU (1) RU2329926C2 (ko)
WO (1) WO2004043789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L160784A (en) * 2004-03-08 2011-02-28 Mlis Projects Ltd Cartridge unit for a multi-compartment container assembly
US7507701B2 (en) 2005-02-25 2009-03-24 Solutions Biomed, Llc Aqueous disinfectants and sterilants including transition metals
US7534756B2 (en) * 2005-02-25 2009-05-19 Solutions Biomed, Llc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dispensing disinfectant solutions comprising a peroxygen and transition metal
US8802061B2 (en) 2005-02-25 2014-08-12 Solutions Biomed, Llc Aqueous disinfectants and sterilants for skin and mucosal application
US7473675B2 (en) * 2005-02-25 2009-01-06 Solutions Biomed, Llc Disinfectant systems and methods comprising a peracid, alcohol, and transition metal
US7475564B2 (en) * 2005-10-03 2009-01-13 Kagen Kristin W Container with sealed coolant compartment
IL177549A0 (en) * 2006-08-17 2006-12-10 Mlis Projects Ltd Container and divider therefor
US20090232860A1 (en) * 2007-08-30 2009-09-17 Larson Brian G Colloidal metal-containing skin sanitizer
US8146758B1 (en) * 2008-03-07 2012-04-03 Travis Peres Compartmentalized baby bottle and associated method
US9016488B1 (en) * 2008-03-07 2015-04-28 Travis Peres Compartmentalized mixing bottle and associated use therefore
WO2009114754A1 (en) 2008-03-14 2009-09-17 Solutions Biomed, Llc Multi-chamber container system for storing and mixing fluids
US8800816B2 (en) * 2009-03-24 2014-08-12 Sashco, Inc.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individual quantities of custom colored sealing compound
US8834014B2 (en) * 2008-03-24 2014-09-16 Sashco, Inc. System for providing custom colored sealing compound
US8716339B2 (en) 2008-11-12 2014-05-06 Solutions Biomed, Llc Two-part disinfectant system and related methods
US20100120913A1 (en) * 2008-11-12 2010-05-13 Larson Brian G Resin catalyzed and stabilized peracid compositions and associated methods
WO2010056881A1 (en) 2008-11-12 2010-05-20 Solutions Biomed, Llc Multi-chamber container system for storing and mixing liquids
EP2497721B1 (de) * 2011-03-11 2013-11-20 Sulzer Mixpac AG Mehrkomponentenkartusche
WO2014140267A1 (en) * 2013-03-15 2014-09-18 Christoph Zickler Beverage container cask
US11242236B2 (en) 2015-03-19 2022-02-08 Phillip LaBarbera Perfect pour drink mixer
BE1023806B1 (fr) * 2016-06-28 2017-07-27 R&O Lab Sprl Récipient de mélange adaptable à tout récipient récepteur
GB2559594B (en) * 2017-02-10 2020-07-15 Dexos Drinks Ltd A liquid dispenser and method
US20200138794A1 (en) 2017-08-15 2020-05-07 Thomas Julius Borody Novel parasite therapy
KR20210016457A (ko) 2018-06-01 2021-02-15 인 스피릿 그룹, 인크. 다중-구획 음료 용기 시스템 및 방법
US11478013B2 (en) * 2020-05-29 2022-10-25 Kyle Thomas Miller Beverage container rimmer
CN115158889B (zh) * 2022-09-05 2022-11-29 常州远望流体科技有限公司 包装瓶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64600A (en) 1992-08-20 1996-10-15 L'oreal Multiple compartment dispenser for storing and blending the contents
US6481571B1 (en) * 1997-05-15 2002-11-19 R & D Injector, Ag Dual-component container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722371A1 (de) * 1987-07-07 1989-01-19 Henkel Kgaa Zweikammerbehaelter
US5000314A (en) * 1989-01-23 1991-03-19 Bristol-Myers Company Unit dose package
JPH05103819A (ja) * 1991-08-08 1993-04-27 Nissho Corp 薬剤収容容器
FR2680357B1 (fr) * 1991-08-16 1995-01-06 Oreal Conditionnement a deux flacons permettant de stocker separement l'un de l'autre deux produits, notamment liquides, et de les melanger au moment de leur utilisation.
FR2722765B1 (fr) * 1994-07-25 1996-08-23 Oreal Recipient permettant le stockage d'au moins deux produits, le melange de ces produits et la distribution du melange ainsi obtenu
US5638968A (en) * 1996-02-26 1997-06-17 Baron; Moises S. Baby bottle extension assembly having storage chamber and release mechanism
FR2751942B1 (fr) * 1996-08-02 1998-09-11 Oreal Dispositif pour le stockage separe de deux composants leur melange et la distibution du melange
FR2751941B1 (fr) * 1996-08-02 1998-09-11 Oreal Dispositif pour le conditionnement separe de deux composants, leur melange et la distribution du melange ainsi obtenu
DE19635833C2 (de) * 1996-09-04 1998-08-06 Henkel Kgaa Zwei-Komponenten-Behälter
FR2764868B1 (fr) * 1997-06-20 1999-07-30 Oreal Dispositif de conditionnement d'un produit a plusieurs composantes devant etre stockees separement et melangees juste avant l'emploi du produit
FR2806271B1 (fr) * 2000-03-17 2002-05-03 Oreal Dispositif pour le melange extemporane d'au moins deux produits
KR100821802B1 (ko) * 2001-08-06 2008-04-11 엠.엘.아이.에스. 프로젝트 리미티드 다중격실 용기조립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64600A (en) 1992-08-20 1996-10-15 L'oreal Multiple compartment dispenser for storing and blending the contents
US6481571B1 (en) * 1997-05-15 2002-11-19 R & D Injector, Ag Dual-component container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329926C2 (ru) 2008-07-27
KR20050072826A (ko) 2005-07-12
CN1732111A (zh) 2006-02-08
AU2003279505A8 (en) 2004-06-03
EP1569854B1 (en) 2008-07-09
JP2006519139A (ja) 2006-08-24
ATE400508T1 (de) 2008-07-15
RU2005115442A (ru) 2006-01-20
WO2004043789A3 (en) 2005-03-03
DE60322098D1 (de) 2008-08-21
US20040089563A1 (en) 2004-05-13
EP1569854A4 (en) 2007-03-21
WO2004043789A2 (en) 2004-05-27
CN100363238C (zh) 2008-01-23
AU2003279505A1 (en) 2004-06-03
JP4236111B2 (ja) 2009-03-11
ES2310674T3 (es) 2009-01-16
EP1569854A2 (en) 2005-09-07
US6959807B2 (en) 2005-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9449B1 (ko) 멀티 격실 컨테이너 조립체 시스템
US7083043B2 (en) Multi-compartment container assembly system
EP1687208B1 (en) Cap with storage chamber for secondary material and product with the same
CN100556475C (zh) 多室注射器
US7861854B2 (en) Cartridge unit for a multi-compartment container assembly
KR100593246B1 (ko) 용기
AU2002324311A1 (en) Multi-compartment container assembly system
US8403180B2 (en) Chemicals mixing container with elastic partition wall
JP2008501494A (ja) 多成分ペーストのためのシリンジ
US20110005945A1 (en) Chemicals mixing container with offset communicating holes
US20150329268A1 (en) Multi-chamber container
EP0125865A2 (en) Valve assembly for a pressurised aerosol-dispensing container
WO2014077844A1 (en) Multi-chamber container
JPH04115165U (ja) 多種混合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