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9310B1 - 도파민, 아스코빅산 및 요산의 동시 검출이 가능한 전도성고분자 전극을 이용한 바이오센서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도파민, 아스코빅산 및 요산의 동시 검출이 가능한 전도성고분자 전극을 이용한 바이오센서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9310B1
KR101069310B1 KR1020070111332A KR20070111332A KR101069310B1 KR 101069310 B1 KR101069310 B1 KR 101069310B1 KR 1020070111332 A KR1020070111332 A KR 1020070111332A KR 20070111332 A KR20070111332 A KR 20070111332A KR 101069310 B1 KR101069310 B1 KR 1010693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pamine
conductive polymer
electrode
ascorbic acid
uric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13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45491A (ko
Inventor
이재준
김성현
원용
아하메드 살레
Original Assignee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701113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9310B1/ko
Publication of KR200900454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54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93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93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2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electrochemical variables; by using electrolysis or electrophoresis
    • G01N27/28Electrolytic cell components
    • G01N27/30Electrodes, e.g. test electrodes; Half-cel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4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an insoluble carrier for immobilising immunochemicals
    • G01N33/54366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solid-phase testing
    • G01N33/5437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solid-phase testing involving physiochemical end-point determination, e.g. wave-guides, FETS, gratings
    • G01N33/5438Electrodes

Abstract

본 발명은 도파민(Dopamine, DA), 아스코빅산(Ascorbic acid, AA) 및 요산(Uric acid, UA)의 동시 검출이 가능한 바이오센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체 내 대사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작용을 하는 생의학적 또는 신경화학적 기능성 물질인 도파민, 아스코빅산 및 요산을 동시에 검출하는 것이 가능한 전도성 고분자 전극을 이용한 바이오센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바이오센서는 생화학적으로 중요한 도파민, 아스코빅산 및 요산이 동시에 존재하는 경우 각각의 물질을 동시에 검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정량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수단으로서 활용이 가능하다.
도파민, 아스코빅산, 요산, 전도성 고분자 전극, 바이오센서, 동시 검출

Description

도파민, 아스코빅산 및 요산의 동시 검출이 가능한 전도성 고분자 전극을 이용한 바이오센서 및 그 제조방법 {Electrochemical biosensor with conducting polymer-modified electrodes for a simultaneous detection of dopamine, ascorbic acid and uric acid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본 발명은 도파민(Dopamine, DA), 아스코빅산(Ascorbic acid, AA) 및 요산(Uric acid, UA)의 동시 검출이 가능한 바이오센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체 내 대사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작용을 하는 생의학적 또는 신경화학적 기능성 물질인 도파민, 아스코빅산 및 요산을 동시에 검출하는 것이 가능한 전도성 고분자 전극을 이용한 바이오센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파민(Dopamine, DA), 아스코빅산(Ascorbic acid, AA) 및 요산(Uric acid, UA)은 생체 내 대사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신경전달물질(neurotransmitter)로서 또는 생의약적 물질로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히, 도파민은 가장 많이 알려진 카테콜 아민계의 물질로, 생체내 신경계의 신호전달을 조정하는 신경전달물질 중 하나일 뿐만 아니라 약물중독 및 파킨슨병의 주요 치료제 역할을 하기도 한다.
한편, 요산은 퓨린 대사 과정의 마지막 생성물로, 체내에서 과도하게 비정상적인 요산의 농도는 많은 신경정신계 질환과 매우 밀접하게 연관된다.
따라서, 각종 병증의 조기 진단이나 치료의 목적으로 체내에서 매우 미량으로 존재하는 상기 물질들을 빠르고,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는 방법 또는 장치의 개발이 매우 중요하다.
대상물질이 전기화학적 활성을 보이는 경우, 종래의 검출방법들에 비해 전기화학적 검출방법은 이들 물질들에 대하여 매우 빠르고, 직접적인 검출방법을 제공한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전기화학적 활성을 가진 것으로 알려져 있는 도파민, 아스코빅산 및 요산을 동시에 검출할 수 있는 전기화학적 바이오센서를 개발하고자 예의 노력한 결과, 전도성 고분자를 이용한 전극을 제작하고 상기 전극을 이용하여 상기 물질들이 동시에 존재할 때 개별적인 검출이 가능한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결국, 본 발명은 도파민(Dopamine, DA), 아스코빅산(Ascorbic acid, AA) 및 요산(Uric acid, UA)의 동시 검출이 가능한 바이오센서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바이오센서를 이용하여 도파민(DA), 아스코빅산(AA) 및 요산(UA)을 동시에 검출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도성 고분자 전극을 이용한 바이오센서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고분자 전극은 타이오닌(Thionine)을 모노머 로 한 전도성 타이오닌 고분자 전극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바이오센서를 이용하여 도파민(DA), 아스코빅산(AA) 및 요산(UA)을 동시에 검출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바이오센서는 생화학적으로 중요한 도파민, 아스코빅산 및 요산이 동시에 존재하는 경우 각각의 물질을 동시에 검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정량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수단으로서 활용이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도파민(Dopamine, DA), 아스코빅산(Ascorbic acid, AA) 및 요산(Uric acid, UA)의 동시 검출이 가능한 바이오센서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바이오센서는 전도성 고분자 전극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하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갖는 타이오닌(thionine, C14H13N3O2S)을 모노머로 하는 전도성 고분자 전극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화학식 1]
Figure 112007078878908-pat00001
본 발명의 바이오센서는 전극물질의 선택 및 전처리 방법에 따라 영향을 받기 때문에 본 발명은 전극물질 또는 전처리 방법이 달라짐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추가적인 변화에 따른 센서의 효율 및 감도변화의 활용을 포괄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전도성 고분자 전극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전도성 고분자 전극은, 타이오닌을 모노머로 하여 순환전류법(cyclic voltammetry)에 따라 주어진 전극 면에 타이오닌 고분자를 합성하는 방법으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전극은 유리질 탄소(glass carbon), 금(Au) 또는 백금(Pt)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순환전류법을 이용하여 전도성 고분자 전극을 제조하는 방법은 공지된 사실 이나, 본 발명에 따른 전도성 고분자 전극은 전극의 종류에 따라서, 또는 같은 전극이라도 전극의 표면 처리 여부에 따라 고분자 박막의 형성에 매우 큰 차이를 나타낸다.
그 결과, 본 발명의 전도성 고분자 전극은 유리질 탄소 전극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며, 상기 유리질 탄소 전극에 타이오닌 고분자를 효과적으로 증착하기 위해 전기화학적 전처리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전처리는 전해질 용액으로 pH 6.0 ~ 7.0의 인산염 완충용액(PBS buffer solution)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1.5 ~ 2.0 V의 전위를 300 ~ 500초 동안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8 V 전위를 400초 동안 적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와 같이 전처리된 유리질 탄소 전극에 1 mM 타이오닌이 함유된 pH 6.0 인산 완충염 용액을 100 ㎷/sec.의 속도로 전극의 전압 -0.4 ~ 0.1 V 구간에서 반복 스캔하여 전극 표면에 타이오닌 고분자 박막이 형성된 전도성 고분자 전극이 제조되는데, 이때 생성되는 전도성 박막의 두께는 스캔의 회수로 조절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바이오센서를 이용하여 도파민(DA), 아스코빅산(AA) 및 요산(UA)을 동시에 검출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전도성 고분자 전극의 제조
타이오닌 고분자 박막이 형성된 전도성 고분자 전극을 제조하기 위하여, 유리질 탄소 전극을 pH 6.5의 인산염 완충용액으로 1.8 V의 전위를 400초 동안 적용하여 전처리한 다음, 100 ㎷/sec.의 속도, 전극 전압 -0.4 ~ 1.0 V 구간에서 1 mM 타이오닌(Thionine; C14H13N3O2S, 화학식 1)이 함유된 pH 6.0의 인산염 완충용액에서 유리질 탄소전극을 10 ~ 15 회 스캔하여 전도성 타이오닌 고분자 전극을 제조하였으며, 이때 적층된 타이오닌 고분자의 양은 10 μC/㎠이었다.
실험예 1. 전도성 고분자 전극을 이용한 도파민, 아스코빅산 및 요산의 검출
pH 6.5인 인산염 완충용액에 도파민(DA), 아스코빅산(AA) 및 요산(UA)을 각각 20 μM, 500 μM 및 100 μM을 용해시킨 후,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전도성 타이오닌 고분자 전극의 순환전압전류곡선을 도 1에 나타내었다.
이때, 본 발명의 전도성 고분자 전극의 검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순수한 유리질 탄소 전극만 사용한 경우(a)와 본 발명의 전도성 고분자 전극을 사용하되 용액 속에 DA, AA 및 UA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b)의 결과를 함께 도시하였다.
상기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유리질 탄소 전극에서는 DA, AA 및 UA 모두 전기화학적 활성을 보이기는 하지만 그 반응전압 (potential)의 위치가 거의 비슷하게 나타나고, 활성도 매우 작아서 물질들 간의 분별이 불가능한데 반해(그래프 a 참조), 본 발명의 전도성 고분자 전극은 명확하게 구분되는 3개의 peak가 확인되었다.
실험예 2. 전도성 고분자 전극의 검출 민감도 및 검출 한계 확인
도 1에서 볼 수 있듯이, DA는 존재하는 농도가 낮음에도 불구하고 매우 큰 피크를 나타내었으나, AA의 경우 상대적으로 낮은 검출 민감도(sensitivity)를 나타내었다.
이는 본 발명의 전도성 타이오닌 고분자가 말단에 아민기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아민기와 DA, AA 및 UA가 용액의 pH에 따라 하전의 정도가 달라짐을 고려할 때 충분히 이해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생체 내에서 아스코빅산(AA)의 농도가 매우 높고, 이로 인하여 DA와 UA의 양을 별도로 측정하기 어려운 것을 감안하더라도, 본 발명의 전도성 고분자 전극을 사용할 경우 충분히 높은 AA의 존재 하에서도 DA와 UA의 검출한계(detection limit, 3σ)는 각각 약 1.8 μM과 1.5 μM로 확인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도성 고분자 전극의 증착을 나타낸 것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전도성 고분자 전극의 순환전압전류곡선을 나타낸 것이다.

Claims (7)

  1. 하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갖는 타이오닌(thionine, C14H13N3O2S)을 모노머로 하여 순환전류법에 따라 타이오닌 고분자를 합성하는 방법으로 제조한 전도성 고분자 전극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파민(Dopamine, DA), 아스코빅산(Ascorbic acid, AA) 및 요산(Uric acid, UA)의 동시 검출이 가능한 바이오센서.
    [화학식 1]
    Figure 712011002856777-pat00002
  2. 삭제
  3. 전도성 고분자를 이용하여 바이오센서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전기화학적으로 전처리된 유리질 탄소(glass carbon) 전극 면에 타이오닌을 모노머로 하여 순환전류법에 따라 전기화학적으로 전처리된 유리질 탄소(glass carbon) 전극 면에 전도성 고분자를 합성하는 방법으로 제조한 전도성 고분자 전극을 이용하되,
    상기 유리질 탄소 전극은 pH 6.0 ~ 7.0의 인산염 완충용액(PBS buffer solution)을 전해질 용액으로 사용하고, 1.5 ~ 2.0 V의 전위를 300 ~ 500초 동안 적용하여 전처리하며,
    상기 전도성 고분자 전극은 상기 전처리 된 유리질 탄소 전극에 1 mM 타이오닌이 함유된 pH 6.0의 인산염 완충용액을 100 ㎷/sec.의 속도로 전극의 전압 -0.4 ~ 0.1 V 구간에서 반복 스캔함으로써 전극 표면에 타이오닌 고분자 박막을 형성시켜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고분자 전극을 이용한 바이오센서의 제조방법.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070111332A 2007-11-02 2007-11-02 도파민, 아스코빅산 및 요산의 동시 검출이 가능한 전도성고분자 전극을 이용한 바이오센서 및 그 제조방법 KR1010693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1332A KR101069310B1 (ko) 2007-11-02 2007-11-02 도파민, 아스코빅산 및 요산의 동시 검출이 가능한 전도성고분자 전극을 이용한 바이오센서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1332A KR101069310B1 (ko) 2007-11-02 2007-11-02 도파민, 아스코빅산 및 요산의 동시 검출이 가능한 전도성고분자 전극을 이용한 바이오센서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5491A KR20090045491A (ko) 2009-05-08
KR101069310B1 true KR101069310B1 (ko) 2011-10-05

Family

ID=408555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1332A KR101069310B1 (ko) 2007-11-02 2007-11-02 도파민, 아스코빅산 및 요산의 동시 검출이 가능한 전도성고분자 전극을 이용한 바이오센서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931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3718A (ko) 2018-02-28 2019-09-05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도파민의 선택적 검출 특성을 갖는 보론산-카본닷 복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도파민 바이오센서
KR102596331B1 (ko) 2022-05-17 2023-10-31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Fscv 데이터의 이차미분기반 신경전달물질의 농도 측정 결과를 제공하는 신경전달물질 농도 측정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576530B (zh) * 2009-05-21 2012-02-08 北京化工大学 利用石墨纳米片/Nafion复合薄膜修饰电极测定多巴胺的方法
CN101726531B (zh) * 2009-12-16 2012-07-04 厦门大学 体液中多巴胺的电化学检测方法
KR101140049B1 (ko) * 2010-03-23 2012-05-02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항 신생혈관생성인자 압타머로 기능화된 극미세 전도성 고분자 나노재료를 활용한 고감응성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암진단용 바이오센서의 제조.
PT106522B (pt) * 2012-09-05 2014-10-30 Univ Dos Açores Metodologia para a determinação silmultânea do ácido ascórbico e ácido úrico no plasma humano por hplc-uv
CN105758905B (zh) * 2016-04-15 2019-03-01 天津理工大学 一种同时检测抗坏血酸、多巴胺、尿酸、色氨酸和亚硝酸根的方法
CN106290500B (zh) * 2016-08-24 2018-11-16 川北医学院附属医院 利用石墨烯—二硫化钼—全氟磺酸树脂检测尿酸的方法
KR102029957B1 (ko) 2018-01-02 2019-10-08 한국화학연구원 Nadh 측정을 위한 바이오센서용 전극 및 그의 제조방법
CN113466299A (zh) * 2020-09-22 2021-10-01 镇江宏祥自动化科技有限公司 检测抗坏血酸、尿酸、多巴胺的电化学传感器及制备方法
KR20220061893A (ko) 2020-11-06 2022-05-13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요산 측정용 바이오센서
CN114088787A (zh) * 2021-11-17 2022-02-25 上海第二工业大学 一种二维铁磁性纳米复合传感电极及其制备方法和应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104077A1 (ja) 2005-03-29 2006-10-05 Cci Corporation バイオセンサ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104077A1 (ja) 2005-03-29 2006-10-05 Cci Corporation バイオセンサ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논문1:Analytic Biochemistry*
논문2:Electrochemica Acta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3718A (ko) 2018-02-28 2019-09-05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도파민의 선택적 검출 특성을 갖는 보론산-카본닷 복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도파민 바이오센서
KR102596331B1 (ko) 2022-05-17 2023-10-31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Fscv 데이터의 이차미분기반 신경전달물질의 농도 측정 결과를 제공하는 신경전달물질 농도 측정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5491A (ko) 2009-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9310B1 (ko) 도파민, 아스코빅산 및 요산의 동시 검출이 가능한 전도성고분자 전극을 이용한 바이오센서 및 그 제조방법
Senel et al. Microfluidic electrochemical sensor for cerebrospinal fluid and blood dopamine detection in a mouse model of Parkinson’s disease
Moon et al. Conducting polymer-based electrochemical biosensors for neurotransmitters: A review
Kristensen et al. Temporal characterization of perfluorinated ion exchange coated microvoltammetric electrodes for in vivo use
Jin et al. Poly (p-aminobenzene sulfonic acid)-modified glassy carbon electrode for simultaneous detection of dopamine and ascorbic acid
Lin et al. Electrocatalytic oxidation and determination of dopamine in the presence of ascorbic acid and uric acid at a poly (p-nitrobenzenazo resorcinol) modified glassy carbon electrode
Chethana et al. Voltammetric determination of diclofenac sodium using tyrosine-modified carbon paste electrode
Prasad et al. Multiwalled carbon nanotubes-based pencil graphite electrode modified with an electrosynthesized molecularly imprinted nanofilm for electrochemical sensing of methionine enantiomers
Amidi et al. Sensitive electrochemical determination of rifampicin using gold nanoparticles/poly-melamine nanocomposite
Goud et al. Wearable electrochemical microneedle sensing platform for real-time continuous interstitial fluid monitoring of apomorphine: Toward Parkinson management
Tsai et al. Modification of platinum microelectrode with molecularly imprinted over-oxidized polypyrrole for dopamine measurement in rat striatum
Hamdi et al. An electroenzymatic L-glutamate microbiosensor selective against dopamine
Dervisevic et al. Wearable microneedle array-based sensor for transdermal monitoring of pH levels in interstitial fluid
Li et al. Electrochemical behavior of sophoridine at a new amperometric sensor based on l-Theanine modified electrode and its sensitive determination
Sadok et al. Simultaneous voltammetric analysis of tryptophan and kynurenine in culture medium from human cancer cells
Peng et al. In vivo monitoring of superoxide anion from Alzheimer's rat brains with functionalized ionic liquid polymer decorated microsensor
Salazar et al. Amperometric glucose microbiosensor based on a Prussian Blue modified carbon fiber electrode for physiological applications
Obregón et al. Non-invasive measurement of glucose uptake of skeletal muscle tissue models using a glucose nanobiosensor
Trouillon Biological applications of the electrochemical sensing of nitric oxide: fundamentals and recent developments
Gu et al. An electrochemical biosensor based on double molecular recognition for selective monitoring of cerebral dopamine dynamics at 4 min interval
KR20180006835A (ko) 바이오 센서 및 그의 제작 방법
Zhang et al. Amperometric monitoring of vesicular dopamine release using a gold nanocone electrode
Beluomini et al. Tailor-made 3D-nanoelectrode ensembles modified with molecularly imprinted poly (o-phenylenediamine) for the sensitive detection of L-arabitol
Díaz et al. Molecularly Imprinted Polypyrrole for the selective detection of Dopamine and Serotonin
Li et al. Metal nanoparticle modified carbon-fiber microelectrodes enhance adenosine triphosphate surface interactions with fast-scan cyclic voltammet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