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8956B1 - 블라인드가 내장된 삼중유리시스템 - Google Patents

블라인드가 내장된 삼중유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8956B1
KR101068956B1 KR1020090024527A KR20090024527A KR101068956B1 KR 101068956 B1 KR101068956 B1 KR 101068956B1 KR 1020090024527 A KR1020090024527 A KR 1020090024527A KR 20090024527 A KR20090024527 A KR 20090024527A KR 101068956 B1 KR101068956 B1 KR 1010689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blind
spacer
space
trip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45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06081A (ko
Inventor
이건호
김수암
조동우
김현수
강재식
윤용상
문수영
장대희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900245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8956B1/ko
Publication of KR201001060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60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89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89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64Combinations of lamellar blinds with roller shutters, screen windows, windows, or double panes; Lamellar blinds with special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38Other details
    • E06B9/388Details of bottom or upper slats or their attach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48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allowing alternative mov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68Operating devices or mechanisms, e.g. with electric drive
    • E06B9/74Operating devices or mechanisms, e.g. with electric drive adapted for selective electrical or manual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linds (AREA)
  • Joining Of Glass To Oth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3장의 유리가 간격을 유지하도록 일체로 결합되어 사용되는 삼중유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외기와 접촉하는 제1유리(100); 상기 제1유리(100)의 내측 테두리를 따라 설치되는 제1스페이서(11)에 부착되어 상기 제1유리(100)와 간격을 유지하도록 실내 방향으로 이격설치되는 제2유리(200); 상기 제2유리(200)의 내측 테두리를 따라 설치되는 제2스페이서(21)에 부착되어 상기 제2유리(200)와 간격을 유지하도록 실내 방향으로 이격설치되는 제3유리(300); 및, 상기 제1유리(100)와 상기 제2유리(200) 사이의 공간 상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1유리(100)와 상기 제2유리(200) 사이의 공간을 상하로 승하강하는 블라인드(40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계절에 따라 적합한 에너지 절감 모드를 능동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유리, 제2유리, 제3유리, 블라인드, 차양박스, 콘트롤러, 롤스크린, 슬로트, 제1스페이서, 제2스페이서, 불활성 가스

Description

블라인드가 내장된 삼중유리시스템{Triple Window Glass System with Blind}
본 발명은 단열부와 일사조절부가 일체로 구비되어 기후조건(일사량 및 기온)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삼중유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외기와 접촉하는 제1유리(100); 상기 제1유리(100)의 내측 테두리를 따라 설치되는 제1스페이서(11)에 부착되어 상기 제1유리(100)와 간격을 유지하도록 실내 방향으로 이격설치되는 제2유리(200); 상기 제2유리(200)의 내측 테두리를 따라 설치되는 제2스페이서(21)에 부착되어 상기 제2유리(200)와 간격을 유지하도록 실내 방향으로 이격설치되는 제3유리(300); 및, 상기 제1유리(100)와 상기 제2유리(200) 사이의 공간 상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1유리(100)와 상기 제2유리(200) 사이의 공간을 상하로 승하강하는 블라인드(4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배경기술>
창호부는 건물에 있어 열적으로 가장 취약한 부분이다. 특히 유리는 현대 건축에 있어 가장 중요한 디자인 요소의 하나로 자리를 잡았으며, 이에 따라 건물의 유리 면적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인 바, 건물의 에너지 소비에 미치는 영향은 더욱 증가하게 된다.
먼저 건축물 에너지 절약 설계기준을 살펴보면 난방기(동절기) 건물 에너지 소비에 주요한 파라매트가 되는 창호의 열관류율(U값)은 3.84W/m2K 정도인데, 이 값은 외벽면 열관류율(U값) 0.47W/m2K에 비해 7배 이상 높은 수준이며, 최근 고층건물에 다소 높은 수준으로 적용되는 Low-E 유리의 경우에도 그 값이 U = 1.6 ~ 2.0W/m2K로서 외벽면에 비해 약 4배 정도 높아 건물 열손실의 원인 가운데 큰 부분을 차지하게 된다.
특히 현재 건물에 적용되고 있는 일반적인 단열유리의 에너지투과율(G값)은 0.6 ~ 0.65 수준이며, 크립톤을 충전한 3중 단열유리의 경우 열관류율(U값)은 0.7W/m2K이고 에너지투과율(G값)은 0.5이며, 제논을 충전한 3중 단열유리의 경우 열관류율(U값)은 0.4W/m2K , 에너지투과율(G값)은 0.4까지 낮아진다.
일반적으로 유리는 열관류율(U값)이 낮아지면 에너지투과율이 떨어짐으로 에너지투과율(g값)도 함께 낮아지는데, 이로 인하여 간혹 고단열창은 난방기 일사에너지의 활용 측면에서는 오히려 불리할 수도 있다.
즉, 일사량이 많은 건물의 남측은 유리를 통한 열획득이 열손실보다 크므로 에너지투과율(G값)이 너무 작으면 난방에 오히려 불리하며, 일사량이 적은 건물의 동측, 서측 또는 북측은 유리를 통한 열획득이 열손실보다 작아 에너지투과율(G값) 이 작을수록 난방에 유리하다.
냉방기(하절기)에는 반대의 결과가 발생한다. 빛은 유리를 통과하면서 부분적으로 흡수되어 실내 또는 실외에 열로 방사되고, (유리의 특성에 따라) 유리를 투과한 후 실내의 물질과 접한 후 열에너지로 변환되는데, 만약 이러한 열이 효과적으로 제어되지 못하면 실내에 높은 냉방부하가 발생한다. 재실자가 많거나 창호부 복사와 같은 원인으로 실내 발생 열원이 많은 공간에서는 높은 냉방부하로 인하여 냉방 에너지 소비가 급증하고, 실내 쾌적성이 심각하게 손상될 수 있다.
도1의 경우 일반적인 Low-E 코팅된 복층유리의 에너지투과율의 개요를 보여주는데, 태양일사의 46%는 투과되어 실내로 유입되고, 유리에 흡수된 후 실내로 16%가 방사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일사의 유입을 합리적으로 차단하기 위해서는 소위 차폐계수(SC값)가 0.15 ~ 0.20 수준의 외부차양이 필요하다. 하지만 국내와 같이 기상변화가 잦은 지역에서 파손에 대한 우려가 높아 구조적으로 안정적인 외부차양이 요구되나 비용 부담과 디자인의 문제점으로 인해 일반적으로 적용하기가 쉽지 않아 실내차양이 이를 대신하고 있는데, 대부분의 실내차양의 경우 차폐계수(SC값)는 0.60 ~ 0.70 수준으로 비교적 높다.
특히 이런 현상은 국내에 시공된 대부분의 건물에 해당되며, 적용된 내부차양의 표면반사율이 높다 하더라도 유입된 일사는 대부분 내부에 적재되어 온실효과를 발생시킨다.
최근 현장에 적용되고 있는 삼중유리, 적외선 차단막, 투광 조절창 등의 새 로운 기술들은 열관류율(U값) 또는 에너지투과율(G값)의 개선에는 분명히 기여하나, 고정된 U값과 G값을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뚜렷한 냉난방기를 동시에 보유한 온난기후대에는 적합하지 않다. 특히 국내와 같이 극단적인 혹한기와 혹서기를 가진 기후대에서는 U값과 G값에 가변성을 부여할 있는 창호시스템이 요구되며, 현재까지 이에 대한 연구는 충분하지 않다.
<종래기술의 문제점>
1. 내부 또는 외부차양이 적용되는 유리
일반적으로 국내에서 생산되는 단열 복층유리(예: 6mm+12mm(air)+6mm=24mm)에 유리 한 장을 더 첨부하면 삼중유리(예: 6mm+12mm(air)+6mm+12mm(air)+ 6mm=42mm)가 가능하며, 유리나 중공층(air)의 두께에 따라 매우 다양한 조합이 가능하다.
통상 복층유리는 유리의 단열성능에 한계가 있어 이를 개선하기 위해 내측유리에 Low-E 코팅 또는 중공층(air)에 아르곤(argon)이나 크립톤(krypton)과 같은 불활성 가스를 주입한다. Low-E 코팅이 된 복층유리에 아르곤(argon) 가스 주입시 열관류율(U값)은 1.5W/m2K 이하까지 낮출 수 있고, 에너지투과율(G값)은 유리의 스펙에 따라 50~70% 수준에서 결정된다. 만약 여기에 일반적인 차양을 적용하면 유리는 단열기능을 수행하고 차양은 일사를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즉 에너지성능적 평가 이전에 기능적으로 유리와 차양의 물리적 분리가 가능하다.
차양 적용시는 슬로트(slat) 25mm의 기존 일반 블라인드를 실내에 적용할 수 있고, 만약 차양을 외부에 적용하고자 하면 슬로트(slat) 50mm를 적용하거나 기상변화에 구조적 대응이 가능한 구조로 시공되어야 하나 국내의 경우 적용된 사례는 전무한 실정이다.
도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폐계수(SC값) 0.60 ~ 0.75 수준의 내부차양의 경우 유리 사양과 함께 검토되면 통상 50~60%의 에너지투과율(G값)을 얻을 수 있다. 내부차양은 국내 대부분의 현장에서 적용되고 있으며, 기술적으로 뿐만 아니라 비용적으로도 가장 용이한 사양이나, 내부 발열부하가 많은 공간에서는 이미 중간기부터 냉방이 가동되어야 함으로 초기 투자비는 적지만 가장 높은 에너지 소비(특히 냉방 에너지 소비)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도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폐계수(SC값) 0.15 ~ 0.2 수준의 외부차양이 적용되면 유리와 함께 약 15% 수준의 에너지투과율(G값) 달성이 가능하다. 가동형 외부차양은 슬로트(slat)의 상하이동 및 각도조절이 가능하다. 간단한 구조의 경우 비교적 적은 비용으로 설치가 가능하지만 다양한 기상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구조가 동반될 경우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외부차양은 난방기에도 일사에 의한 눈부심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가동될 필요가 있는데, 이럴 경우 실내로 유입되는 일사량이 저감되어 난방에너지 소비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초기 투자비용과는 별도로 외부차양은 먼지가 많은 외기에 노출되면 유지관리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유지보수에 따른 비용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2. 기존 블라인드창
현재 국내에서 시공되는 블라인드 창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6mm+24mm(air)+6mm=36mm로서 복층유리의 중공층(air space)에 슬로트(slat) 15mm의 블라인드를 적용한다. 차양을 통상 중공층 상부에 설치하며 이 때 와이어를 외부로 돌출시키거나 또는 자석을 이용하여 슬로트(slat)를 가동시키거나 전동 장치를 이용하여 원격으로 가동시킬 수도 있다.
블라인드창은 단열기능과 일사 조절기능이 두 장의 유리 내에서 동시에 확보되어야 하는 관계로 인해 성능 개선에 한계가 있다.
왜냐하면 차양 메카니즘이 중공층에 적용됨에 따라 기밀성을 확보하기에 불리하여 아르곤(argon) 또는 크립톤(krypton) 가스를 주입하여 단열성능을 개선하는 것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중공층 내면 유리에 Low-E 코팅시 슬로트(slat)가 상하로 이동하면서 코팅면과 접촉되어 그 마찰에 의하여 코팅면이 쉽게 훼손될 수 있어 Low-E코팅을 적용하는 것도 용이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런 이유에 의해 통상적으로 기존 블라인드창의 열관류값( U값)을 2.0W/m2K 이하로 유지하는 것은 매우 어려우며, 기존 블라인드창은 주로 시선차단효과 달성을 주목적으로 한다.
한편 블라인드창의 냉방기 에너지투과율(G값)은 45 ~ 55% 수준 정도인데, 냉방기에 실내를 냉방할 경우 이러한 에너지투과율(G값)은 큰 의미를 가지기 않는다.
이는 차양을 가동하더라도 일사에 의한 영향으로 블라인드창 내부의 중공층 온도가 상승할 경우 50 ~ 60℃까지도 상승할 수 있는데, 유리면 온도를 55℃로 가정하고, 외기온을 35℃, 그리고 냉방이 가동되는 실내온도가 25℃로 가정할 경우 유리면과 외기온의 온도 차이는 20K, 그리고 유리면과 실내온도와의 차이는 30K의 차이가 발생하게 되며, 결국 물리적으로 실외측으로의 에너지 이동보다 온도 차이가 큰 실내측으로 더 많은 에너지 이동이 발생하게 됨으로써 실제 에너지투과율(G값)은 50% 이상으로 높게 발생하여 일사 차단효과가 떨어지기 때문이다.
난방기의 경우 차양 가동시 이와 반대의 효과가 발생한다. 중공층의 온도가 20 ~ 30℃를 유지한다면 실내 20℃, 실외 0℃의 조건에서 중공층과 실내와는 온도차가 크지 않지만, 중공층과 외부와의 온도차가 매우 증가함으로 태양일사를 이용해야 하는 난방기에 실제 에너지투과율(G값)은 45% 이하로 낮게 되어 일사 유입효과가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작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존 블라인드창의 문제점인 열관류율(U값)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함을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둘째, 난방기와 냉방기에 따라 냉난방에너지 소비를 동시에 최소화할 수 있도록 에너지투과율(G값)을 능동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함을 본 발명의 다른 목적으로 한다.
셋째, 제품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최초 설치비용과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함을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작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3장의 유리가 간격을 유지하도록 일체로 결합되어 사용되는 삼중유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외기와 접촉하는 제1유리(100); 상기 제1유리(100)의 내측 테두리를 따라 설치되는 제1스페이서(11)에 부착되어 상기 제1유리(100)와 간격을 유지하도록 실내 방향으로 이격설치되는 제2유리(200); 상기 제2유리(200)의 내측 테두리를 따라 설치되는 제2스페이서(21)에 부착되어 상기 제2유리(200)와 간 격을 유지하도록 실내 방향으로 이격설치되는 제3유리(300); 및, 상기 제1유리(100)와 상기 제2유리(200) 사이의 공간 상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1유리(100)와 상기 제2유리(200) 사이의 공간을 상하로 승하강하는 블라인드(4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기술적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존 블라인드창의 문제점인 열관류율(U값)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2유리(200)와 제3유리(300)는 고단열유리를 사용하고, 제2유리(200)와 제3유리(300) 사이의 공간(중공층)에는 불활성 가스를 주입하여 열관류율(U값)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둘째, 냉방기와 난방기에 따라 에너지 소비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에너지투과율(G값)을 능동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냉방기(하절기)에는 블라인드(400)를 가동하여 블라인드(400)에 반사되는 일사를 에너지투과율(G값)이 높은 제1유리(100)를 통하여 신속히 외부로 방출하고, 제1유리(100)와 제2유리(200) 사이의 공간에서 발생되는 온도상승에 기인한 열에너지도 에너지투과율(G값)이 높은 제1유리(100)를 통하여 신속히 외부로 방출하고, 단열부를 구성하는 제2유리(200), 제3유리(300) 및 그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중공층)은 제1유리(100)와 제2유리(200) 사이의 공간에서 발생된 열에너지 가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바, 냉방기(하절기)에 냉방 에너지 소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난방기에는 블라인드(400)를 가동하지 않고 가능한 많은 일사가 실내로 투과될 수 있도록 유도하여 태양의 일사에너지를 실내 난방에 활용하도록 하는 바, 난방기(동절기)에 난방 에너지 소비를 절감할 수 있다.
즉, 난방기와 냉방기에 따라 에너지 절약을 위한 능동적인 제어가 가능하여 사계절에 걸쳐 에너지를 효과적으로 절감하고 쾌적한 실내환경을 유지할 수 있다.
셋째, 제품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최초 설치비용과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블라인드(40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제1유리(100)와 제2유리(200) 사이의 공간(중공층)에 간단하게 설치함으로써, 최초 설치비용을 합리적인 수준에서 낮출 수 있고, 블라인드(400)의 유지보수를 위한 관리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종래와는 달리 블라인드(400)가 승하강하는 구간과 Low-E코팅된 부분이 분리되어 블라인드(400)의 작동으로 Low-E코팅이 손상받는 문제점도 해결하여 반영구적인 단열부를 구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4는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의 단면구조로서, 접철식 슬로트(402)가 사용 된 경우이고, 도5는 본 발명의 다른 구체적 실시예의 단면구조로서, 롤스크린(401)이 사용된 경우이고, 도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적 실시예의 단면구조로서, 블라인드(400)가 설치되는 부분의 구조가 일부 변경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본 발명은 도4 내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3장의 유리가 간격을 유지하도록 일체로 결합되어 사용되는 삼중유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3중 유리의 테두리에는 창호의 프레임이 결합되어 함께 사용됨이 일반적이나 창호 프레임의 구체적 구조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직접적인 관련성이 없는 바 자세한 설명이나 도시를 생략한다.
본 발명의 삼중유리시스템은 외부로부터 순차적으로 배열되는 제1유리(100), 제2유리(200) 및 제3유리(300)로 구성되고, 제1유리(100)와 제2유리(200) 사이의 공간(중공층)에 상하로 승하강하는 블라인드(400)가 설치되어 실내로 유입되는 일사량을 조절하게 된다.
제1유리(100)는 삼중유리시스템의 가장 외부에 위치하여 외기와 직접 접촉하는 유리이다.
제2유리는 제1유리(100)와 간격을 유지하도록 이격설치되어 제1유리(100)와 제2유리(200) 사이에 공간(중공층)을 형성하게 되는데, 중공층 내부로 블라인드(400)가 승하강 할 수 있도록 적절한 간격이 확보되어야 한다.
제1스페이서(11)는 제1유리(100)와 제2유리(200)의 내측 테두리를 따라 설치되어 제1유리(100)와 제2유리(200) 사이의 간격을 확보하는 역할과 함께 제1유리(100), 제2유리(200) 및 제1스페이서(11)로 구성되는 공간(중공층)을 밀폐시켜 기밀성을 유지하는 역할도 한다.
제3유리(300)는 제2유리(200)와 간격을 유지하도록 이격설치되어 제2유리(200)와 제3유리(300) 사이에 공간(중공층)을 형성하게 된다.
제2스페이서(21)는 제2유리(200)와 제3유리(300)의 내측 테두리를 따라 설치되어 제2유리(200)와 제3유리(300) 사이의 간격을 확보하는 역할과 함께 제2유리(200), 제3유리(300) 및 제2스페이서(21)로 구성되는 공간(중공층)을 밀폐시켜 기밀성을 유지하는 역할도 한다.
이러한 제1스페이서(11)나 제2스페이서(21)는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으로 제작될 수도 있고, 실리콘과 같은 합성수지로 제작될 수도 있는데, 제1스페이서(11)나 제2스페이서(21)는 2차코킹(10, 20) 처리된다.
블라인드(400)는 제1유리(100)와 제2유리(200) 사이의 공간 상단부에 설치되어 제1유리(100)와 상기 제2유리(200) 사이의 공간을 상하로 승하강하면서 실내로 유입되는 일사량을 조절하게 된다.
블라인드(400)는 작동 원리에 따라 수동식과 전동식 또는 자석을 이용한 방식들이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으며, 외부 형태도 도4에 도시된 접철식 슬로트(402)를 이용한 방식이나 도5에 도시된 롤스크린(401)과 같은 방식이 선택될 수도 있다.
이러한 블라인드(400)는 이미 일반적인 기술로 알려진 바 그 구체적인 구조나 작동원리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블라인드(400)는 도4 또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스페이서(11)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설치하며(이 경우 블라인드(400)을 제어하는 콘트롤러(403)가 제2유리(200)와 제3유리(300)를 관통하도록 설치될 수 있는데, 이럴 경우 기밀성 확보를 위하여 콘트롤러(403)의 하부에 제2스페이서(21)를 하나 더 설치하게 된다.),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유리(100)와 제2유리(200)의 상단부에는 블라인드(400)가 내장되는 별개의 차양박스(404)를 설치하고 콘트롤러(403)가 차양박스(404)만 관통하도록 하여 제2유리(200)와 제3유리(300)로 형성되는 공간(중공층)의 기밀성에는 영향이 없도록 할 수도 있다.
제2유리(200) 및 제3유리(300)는 단열유리로 구성되는데, 제2유리(200), 제3유리(300) 및 제2스페이서(21)로 밀폐된 공간(중공층)은 진공상태를 유지하거나 아르곤이나 크립톤과 같은 불활성 가스로 채워 넣어 단열성능을 높인다.
또한 제2유리(200)를 향하는 제3유리(300)의 표면과 제3유리(300)를 향하는 제2유리(200)의 표면(다시 말하면 제2유리(200)와 제3유리(300)로 형성되는 공간 내부면)에 Low-E(low-emmissivity)코팅을 하여 단열성능을 더욱 개선시킬 수 있는데, 본 발명의 경우 종래의 블라인드창과는 달리 블라인드(400)가 Low-E 코팅이 되지 않은 공간 내부를 승하강하여 Low-E 코팅이 손상을 입을 염려가 없다.
또한 제1유리(100)는 제2유리(200) 및 제3유리(300)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에너지투과율이 높은 것을 사용한다.
제1유리(100)와 제2유리(20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중공층)은 블라인드(400)가 구비되어 태양을 일사량을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제2유리(200)와 제3유리(30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중공층)은 단열기능을 확보하게 된다.
즉 냉방기에는 블라인드(400)를 가동하여 블라인드(400)에 반사되는 일사를 에너지투과율(G값)이 높은 제1유리(100)를 통하여 신속히 외부로 방출하고, 제1유리(100)와 제2유리(200) 사이의 공간에서 발생되는 온도상승에 기인한 열에너지도 에너지투과율(G값)이 높은 제1유리(100)를 통하여 신속히 외부로 방출한다. 한편 제2유리(200), 제3유리(300) 및 그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중공층)은 단열성능이 향상되어 제1유리(100)와 제2유리(200) 사이의 공간에서 발생된 열에너지가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냉방기(하절기)에 냉방 에너지 소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
난방기에는 블라인드(400)를 가동하지 않고 가능한 많은 일사가 실내로 투과될 수 있도록 유도하여 태양의 일사에너지를 실내 난방에 활용하도록 한다.
따라서 난방기(동절기)에 난방 에너지 소비를 절감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체적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변경, 공지기술의 부가나 삭제, 단순한 수치한정 등의 경우에도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함을 분명히 한다.
도1은 복층유리의 에너지투과율의 개요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2는 (a)내부차양이 적용된 종래의 실시예이고, (b)외부차양이 적용된 종래의 실시예이다.
도3은 복층유리의 중공층 내부에 블라인드가 설치된 기존의 블라인드창의 단면구조를 도시한다.
도4는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의 단면구조로서, 접철식 슬로트(402)가 사용된 경우이다.
도5는 본 발명의 다른 구체적 실시예의 단면구조로서, 롤스크린(401)이 사용된 경우이다.
도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적 실시예의 단면구조로서, 블라인드(400)가 설치되는 부분의 구조가 일부 변경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제1유리
200:제2유리
300:제3유리
400:블라인드
401:롤스크린
402:슬로트
403:콘트롤러
404:차양박스
10:2차코킹
11:제1스페이서
20:2차코킹
21:제2스페이서

Claims (8)

  1. 3장의 유리가 간격을 유지하도록 일체로 결합되어 사용되는 삼중유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외기와 접촉하는 제1유리(100);
    상기 제1유리(100)의 내측 테두리를 따라 설치되는 제1스페이서(11)에 부착되어 상기 제1유리(100)와 간격을 유지하도록 실내 방향으로 이격설치되는 제2유리(200);
    상기 제2유리(200)의 내측 테두리를 따라 설치되는 제2스페이서(21)에 부착되어 상기 제2유리(200)와 간격을 유지하도록 실내 방향으로 이격설치되는 제3유리(300); 및,
    상기 제1유리(100)와 상기 제2유리(200) 사이의 공간 상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1유리(100)와 상기 제2유리(200) 사이의 공간을 상하로 승하강하는 블라인드(400);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2유리(200), 상기 제3유리(300), 및 상기 제2스페이서(21)로 구성되는 내부 공간은 기밀성을 유지하며,
    상기 제2유리(200) 및 상기 제3유리(300)는 단열유리이며, 상기 제1유리(100)는 상기 제2유리(200) 및 상기 제3유리(300)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에너지투과율이 높으며,
    상기 제2유리(200)를 향하는 상기 제3유리(300)의 표면에 Low-E(low-emmissivity)코팅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가 내장된 삼중유리시스템.
  2. 제1항에서,
    상기 제3유리(300)를 향하는 상기 제2유리(200)의 표면에도 Low-E(low-emmissivity)코팅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가 내장된 삼중유리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제2유리(200), 상기 제3유리(300), 및 상기 제2스페이서(21)로 구성되는 내부 공간은 불활성 가스로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가 내장된 삼중유리시스템.
  4. 제3항에서,
    상기 제1스페이서(11)와 상기 제2스페이서(21)는 알루미늄 또는 실리콘으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가 내장된 삼중유리시스템.
  5. 제3항에서,
    상기 블라인드(400)는 롤스크린(401) 형태이거나 다수 개의 슬로트(402)를 펼치거나 접는 접철식이며, 수동 또는 전동으로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가 내장된 삼중유리시스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090024527A 2009-03-23 2009-03-23 블라인드가 내장된 삼중유리시스템 KR1010689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4527A KR101068956B1 (ko) 2009-03-23 2009-03-23 블라인드가 내장된 삼중유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4527A KR101068956B1 (ko) 2009-03-23 2009-03-23 블라인드가 내장된 삼중유리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6081A KR20100106081A (ko) 2010-10-01
KR101068956B1 true KR101068956B1 (ko) 2011-09-29

Family

ID=43128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4527A KR101068956B1 (ko) 2009-03-23 2009-03-23 블라인드가 내장된 삼중유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895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626496A1 (en) 2012-02-10 2013-08-14 Technoform Glass Insulation Holding GmbH Spacer profile for a spacer frame for an insulating glass unit with interspace elements and insulating glass unit
KR101353718B1 (ko) * 2012-05-21 2014-01-20 박헌구 단열성능을 향상시킨 복층유리
CN111255365A (zh) * 2020-03-04 2020-06-09 江苏鸿泰阳节能科技有限公司 一种防内凹带勾起磁控三玻中空外腔百叶玻璃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4705B2 (ja) * 1984-05-14 1994-09-21 帝人株式会社
JP2006090053A (ja) * 2004-09-27 2006-04-06 Porasu Kurashi Kagaku Kenkyusho:Kk 開口部構造
KR100773155B1 (ko) * 2006-01-11 2007-11-02 주식회사 엘지화학 더블창짝을 구비한 창호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4705B2 (ja) * 1984-05-14 1994-09-21 帝人株式会社
JP2006090053A (ja) * 2004-09-27 2006-04-06 Porasu Kurashi Kagaku Kenkyusho:Kk 開口部構造
KR100773155B1 (ko) * 2006-01-11 2007-11-02 주식회사 엘지화학 더블창짝을 구비한 창호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6081A (ko) 2010-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2067B1 (ko) 블라인드가 일체형으로 내장된 이중창호.
US8881456B2 (en) Shading devices
US10612292B2 (en) Window system
KR101076408B1 (ko) 차양의 교체가 용이한 다중유리 블라인드 창짝
CN114232853B (zh) 一种新型十字百叶式呼吸幕墙系统及其控制方法
KR101068956B1 (ko) 블라인드가 내장된 삼중유리시스템
KR101023748B1 (ko) 차양 내장형 삼중유리 창짝구조
KR101271873B1 (ko) 에너지 절감형 다기능 창호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N110761695A (zh) 动态可调高性能窗户及其运行控制方法
KR101612006B1 (ko) 이중창 시스템
CN202157731U (zh) 阳光辐射下低得热率的建筑外窗中置活动遮阳系统
KR101352018B1 (ko) 전천후 이동식 블라인드 내장형 친환경 디자인 창호
KR101586109B1 (ko) 하이브리드 윈도우 시스템
KR20210061098A (ko) 에너지효율성이 개선된 고효율 복합창호시스템
KR20110062855A (ko) 초고층 건물의 에너지 절약형 창호시스템
KR101255086B1 (ko) 창호
KR101210516B1 (ko) 차양겸용 셔터를 가지는 통합창호
Nguanson et al. The criteria of passive and low energy in building design for tropical climate in Thailand
Capon et al. Modelling climate change adaptation measures to reduce overheating risk in existing dwellings
KR101670251B1 (ko) 고정형 수직 차양 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1168493B1 (ko) 비대칭 반사면을 구비한 이중창호 시스템
Al Touma et al. Experimental analysis of double and triple glazed façades with different shading devices in Qatar
WO2021073027A1 (zh) 动态可调高性能集热保温隔声一体化窗户及其控制方法
KR101233789B1 (ko) 루버형 차양 장치
Rubnicu Intelligent Systems In Architecture Façade Sys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