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8733B1 - 휴대 단말기용 안테나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용 안테나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8733B1
KR101068733B1 KR20090017857A KR20090017857A KR101068733B1 KR 101068733 B1 KR101068733 B1 KR 101068733B1 KR 20090017857 A KR20090017857 A KR 20090017857A KR 20090017857 A KR20090017857 A KR 20090017857A KR 101068733 B1 KR101068733 B1 KR 1010687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portable terminal
coupling
support means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900178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99390A (ko
Inventor
이인영
박재권
조일훈
조상혁
김정민
조영희
조진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모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모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모텍
Priority to KR200900178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8733B1/ko
Priority to PCT/KR2010/001309 priority patent/WO2010101398A2/ko
Publication of KR201000993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93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87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87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30Resonant antennas with feed to end of elongated active element, e.g. unipole
    • H01Q9/42Resonant antennas with feed to end of elongated active element, e.g. unipole with folded element, the folded parts being spaced apart a small fraction of the operating wavelengt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258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used with computer equipment
    • H01Q1/2266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used with computer equipment disposed inside the computer

Abstract

충격에 의한 안테나 특성 변경을 방지하여 안테나의 신뢰성을 확보하고, 안테나의 실장시 한정된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한 휴대 단말기용 안테나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가 제시된다. 제시된 휴대 단말기용 안테나는 휴대 단말기에 실장되는 휴대 단말기용 안테나에 있어서, 하부면 및 일측면에 제1결합부가 형성된 지지수단; 지지수단의 하부면의 제1결합부와 결합되는 제2결합부가 형성된 제1안테나부; 및 지지수단의 일측면의 제1결합부와 결합되는 제3결합부가 일측면에 형성되고, 제1안테나부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결합되는 제2안테나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휴대 단말기용 안테나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Antenna for potable device and potable devic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용 안테나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노트북, UMPC 등과 같은 휴대 단말기에 사용되는 휴대 단말기용 안테나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무선 인터넷 기술의 발전과 함께 다양한 형태의 휴대 단말기(예컨대, UMPC, 노트북 등)가 개발 및 보급되었다. 휴대 단말기에는 WWAN, WLAN, GPS, UWB, WIMAX 등의 각 대역 특성을 갖는 안테나가 적어도 하나 이상 내장된다.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 점차 소형화, 경박 단소화되어감과 동시에 그 기능의 다양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소비자의 욕구를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기능을 유지 또는 향상시키면서 휴대 단말기의 부피를 줄여야 하는데 역점을 두고 있다. 그에 따라, 휴대 단말기에 내장되는 안테나 역시 고효율의 다중 밴드 특성을 갖는 소형화된 구조가 요구되고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에 내장되는 안테나는 휴대 단말기 내부의 공간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구조도 요구되고 있다.
현재 가장 많이 고려되고 있는 휴대 단말기용 안테나의 구조는 휴대 단말기 액정화면의 테두리에 위치하는 프레임 내에 설치되는 형태이다. 이 위치는 휴대 단말기 사용중 사용자에 의한 전파간섭이 적으면서 손쉽게 설치가 가능하다. 또한, 내장안테나를 형으로 설계하는 것이 돌출형으로 설계하는 것보다 사용자의 편리성을 증대시킨다.
도 1은 종래의 휴대 단말기용 안테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안테나는 안테나의 이득과 대역폭의 특성이 우수한 안테나를 제공하기 위해서 제1안테나부(110) 및 제2안테나부(120)가 수직으로 결합된 휴대 단말기용 안테나(100)이다. 제2안테나부(120)는 소정 형상의 방사체 패턴(미도시)이 형성된다. 제2안테나부(120)는 제1안테나부(110)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부(122)가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2안테나부(120)는 하부면에 하나 이상의 결합돌기(122)가 형성되어 제1안테나부(110)에 결합되어 고정된다. 제1안테나부(110)는 소정 형상의 방사체 패턴(미도시)이 형성된다. 제1안테나부(110)는 제2안테나부(120)의 결합돌기(122)를 수용하는 결합 홈(112)이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1안테나부(110)의 일측면에는 하나 이상의 결합 홈(112)이 형성되어 제2안테나부(120)의 결합돌기(122)와 결합되어 고정된다. 이때, 방사체 패턴(111)이 휴대 단말기의 메인기판(미도시)에 형성된 경우에, 메인기판(미도시)이 제1안테나부(110)의 역할을 대신한다. 물론, 메인기판(미도시)의 일측면에는 제2안테나부(120)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 홈(미도시)이 형성된다.
이때, 제1안테나부(110) 및 제2안테나부(120)는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1안 테나부(110) 및 제2안테나부(120)의 결합 형태에 따라 이득, 대역폭 등의 안테나 특성이 결정된다.
그런데, 종래의 휴대 단말기용 안테나(100)는 제1안테나부(110)와 제2안테나부(120)가 안정적으로 결합되지 못할 경우, 안테나의 임피던스 매칭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없기 때문에, 안테나의 특성 및 이득에 악영향을 초래할 수가 있다.
또한, 종래의 휴대 단말기용 안테나(100)는 안테나의 특성을 개선하기 위해 제2안테나부(120)의 높이를 높일 경우 제1안테나부(110)와의 안정적인 결합을 이룰 수 없게 된다. 그리하면, 휴대 단말기에 실장된 안테나는 약한 충격에도 제2안테나부(120) 및 제1안테나부(110)의 결합 형태가 변경되어 이득, 대역폭 등의 안테나 특성이 변경되는 문제점이 있다.
부수적으로, 종래의 휴대 단말기용 안테나(100)는 충격에 의해 안테나의 특성이 변경되는 것으로 인해 안테나의 신뢰성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휴대 단말기용 안테나(100)는 프레스 형태(press type)의 인쇄회로기판(PCB)으로 형성된 제2안테나부(120)가 사용된다. 그리하면, PCB의 특성상 구부림(bending)에 한계가 있어 안테나의 실장시 한정된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도 2는 종래의 휴대 단말기용 안테나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휴대 단말기용 안테나(100)는 인쇄회로기판(PCB)의 특성상 구부림(bending)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특성을 유지하면서 안테나를 실장하기 위해서는 돌기부(210; bump)를 휴대 단말기(200)에 형성해야 한다. 즉, 종래의 휴대 단말기용 안테나(100)는 인쇄회로기판(PCB) 형태의 제1안테나부(110) 및 제2안테나부(120)로 구성되기 때문에 구부림(bending)에 한계가 있다. 따라서, 종래의 안테나를 휴대 단말기(200)에 실장하는 경우 케이스(230)의 후크(220)와 안테나의 일부가 겹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때, 안테나의 폭 또는 결합 각도(즉, 제1안테나부(110) 및 제2안테나부(120)의 결합 각도)를 줄이는 경우 안테나의 특성이 변경된다. 따라서, 안테나의 특성을 유지하면서 종래의 휴대 단말기용 안테나(100)를 실장하기 위해서 휴대용 단말기의 케이스(200)에 별도의 돌기부(210; bump)를 형성하여 안테나를 실장하게 된다. 이 경우, 휴대 단말기(200)의 디자인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 즉, 안테나의 실장을 위해 돌기부(210)를 형성한 상태에서 휴대 단말기(200)의 디자인을 생성해야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충격에 의한 안테나 특성 변경을 방지하여 안테나의 신뢰성을 확보하고, 안테나의 실장시 한정된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한 휴대 단말기용 안테나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안테나는, 휴대 단말기에 실장되는 휴대 단말기용 안테나에 있어서, 하부면 및 일측면에 제1결합부가 형성된 지지수단; 지지수단의 하부면의 제1결합부와 결합되는 제2결합부가 형성된 제1안테나부; 및 지지수단의 일측면의 제1결합부와 결합되는 제3결합부가 일측면에 형성되고, 제1안테나부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결합되는 제2안테나부를 포함한다.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 및 제3결합부는, 요(凹)형상의 결합 홈, 및 결합 홈에 수용되는 철(凸)형상의 결합돌기 중에 하나로 형성되되, 제2결합부 및 제3결합부는 제1결합부에 대항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2안테나부는 굴곡진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2안테나부는 플렉시블한 도전체 재질로 형성된다.
제2안테나부는, 하부면에 돌출부가 형성되고, 돌출부는 제1안테나부에 형성된 방사체 패턴과 솔더링되어 결합된다.
지지수단은 절연체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는, 상술한 휴대 단말기용 안테나를 구비한다.
다르게는, 휴대 단말기에 실장되는 제1안테나부; 제1안테나부에 수직방향으로 결합되는 제2안테나부; 및 하부면이 제1안테나부의 상부면에 접촉하고, 일측면이 제2안테나부에 접촉하고, 타측면이 휴대 단말기의 케이스에 접촉하여 제1안테나부 및 제2안테나부를 지지하는 지지수단을 포함한다.
휴대 단말기용 안테나의 제2안테나부는 굴곡진 형상으로 형성된다.
휴대 단말기용 안테나의 제2안테나부는 플렉시블한 도전체 재질로 형성된다.
휴대 단말기용 안테나의 제2안테나부는 하부면에 돌출부가 형성되고, 돌출부는 제1안테나부에 형성된 방사체 패턴과 솔더링되어 결합된다.
휴대 단말기용 안테나의 지지수단은 절연체 재질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휴대 단말기용 안테나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는 지지수단을 이용하여 제2안테나부를 지지함으로써, 제1안테나부 및 제2안테나부를 안정적으로 결합하여 충격에 의해 안테나의 특성이 변경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부수적으로, 휴대 단말기용 안테나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는 충격에 의해 안테나의 특성이 변경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휴대 단말기용 안테나의 신뢰성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휴대 단말기용 안테나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는 플렉시블한 도전체 재질을 제2안테나부로 사용함으로써, 안테나의 실장시에 휴대용 단말기의 한정된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하면서 안테나의 특성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부수적으로, 휴대 단말기용 안테나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는 한정된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하면서 안테나의 특성을 유지함으로써, 안테나를 실장하기 위한 돌기부를 형성하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휴대 단말기용 안테나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디자인이 자유로워지는 장점이 있다.
부수적으로, 휴대 단말기용 안테나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는 방사체 패턴을 형성해야하는 인쇄회로기판 대신에 플렉시블한 도전체 재질을 사용함으로써, 종래에 휴대 단말기용 안테나와 거의 유사한 특성을 유지하면서도 저렴한 비용으로 생산하는 것이 가능하다.
부수적으로, 휴대 단말기용 안테나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는 방사체 패턴을 따로 형성하지 않기 때문에, 생산하는 것이 쉽고 불량률이 낮은 장점이 있다. 즉, 휴대 단말기용 안테나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는 프레스를 이용해 도전체 재질을 소정형태로 성형함으로써, 생산성이 향상되고 불량률이 저하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휴대 단말기용 안테나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는 플렉시블한 도전체 재질을 사용함으로써, 다양한 형상의 안테나를 생산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안테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하게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안테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안테나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a 및 도 3b의 312a안테나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3a 및 도 3b의 제2안테나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3a 및 도 3b의 지지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단말기용 안테나(300)는 제1안테 나부(310), 제2안테나부(320), 지지수단(330)을 포함한다.
제1안테나부(310)는 길이 방향으로 길게 소정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휴대 단말기에 실장된다. 제1안테나부(310)는 길이 방향으로 길게 소정 길이를 갖는 인쇄회로기판(PCB)으로 형성된다. 제1안테나부(310)는 하부면이 휴대 단말기의 케이스에 결합되어 휴대 단말기에 실장된다.
제1안테나부(310)에는 지지수단(330)과의 결합을 위한 제2결합부(312)가 형성된다. 즉, 제1안테나부(310)의 상부면에는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수단(330)과의 결합을 위해 철(凸)형상의 결합돌기(312a)가 형성된다. 물론, 제1안테나부(310)의 상부면에는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수단(330)과의 결합을 위해 요(凹)형상의 결합공(312b)이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제1안테나부(310)에는 결합돌기(312a) 또는 결합공(312b) 이외에도 지지수단(330)과의 결합이 가능한 부재라면 제2결합부(312)로의 사용이 가능하다.
제1안테나부(310)에는 각 대역 특성에 따라 다양한 형상의 방사체 패턴이 형성된다. 제1안테나부(310)는 휴대 단말기의 메인기판(미도시)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2안테나부(320)는 제1안테나부(310)에 수직방향으로 결합된다. 즉, 제2안테나부(320)는 하부면에 돌출부(324)가 형성되고, 돌출부(324)는 제1안테나부(310)와 전기적으로 결합된다. 이때, 제2안테나부(320)의 돌출부(324)는 제1안테나부(310)에 형성된 방사체 패턴과 솔더링(soldering)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여 기서, 솔더링에 대한 내용은 동종업계에 종사하는 자라면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내용이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2안테나부(320)는 플렉시블(flexible)한 도전성 재질로 형성된다. 즉, 제2안테나부(320)는 휴대 단말기의 한정된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다양한 형태의 곡절부를 갖는 도전성 재질로 형성된다. 제2안테나부(320)는 실장되는 휴대 단말기의 케이스 공간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도 5의 (a)는 공간이 충분한 케이스에 실장되는 휴대 단말기용 안테나(300)이다. 도 5의 (b)는 공간이 충분하지 못한 케이스에 실장되는 휴대 단말기용 안테나(300)로서, 충분하지 못한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해서 다양한 곡절부가 형성된다.
제2안테나부(320)는 일측면에 지지수단(330)과의 결합을 위한 제3결합부(322)가 형성된다. 제2안테나부(320)는 타일면이 휴대 단말기의 케이스에 결합되어 고정된다. 즉,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수단(330)과 결합되는 제2안테나부(320)의 일측면에는 위해 철(凸)형상의 결합돌기(322a)가 형성된다. 물론,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수단(330)과 결합되는 제2안테나부(320)의 일측면에는 요(凹)형상의 결합공(322b)이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제2안테나부(320)에는 결합돌기(322a) 또는 결합공(322b) 이외에도 지지수단(330)과의 결합이 가능한 부재라면 제3결합부(322)로의 사용이 가능하다.
지지수단(330)은 휴대 단말기의 케이스 형태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되 어 제1안테나부(310) 및 제2안테나부(320)를 지지한다. 이때, 지지수단(330)은 하부면이 제1안테나부(310)의 상부면에 결합되고, 일측면이 제2안테나부(320)의 일측면에 결합된다. 제2안테나부(320)와 결합된 지지수단(330)의 일측면에 대항되는 타측면은 휴대 단말기의 케이스에 의해 지지된다.
지지수단(330)에는 제1안테나부(310) 및 제2안테나부(320)와의 결합을 위한 제1결합부(332)가 형성된다. 즉,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수단(330)의 하부면 및 일측면에는 제1안테나부(310) 및 제2안테나부(320)와의 결합을 위해 철(凸)형상의 결합돌기(332a)가 형성된다. 물론,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수단(330)의 하부면 및 일측면에는 제1안테나부(310) 및 제2안테나부(320)와의 결합을 위해 요(凹)형상의 결합공(332b)이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지지수단(330)에는 결합돌기(332a) 또는 결합공(332b) 이외에도 제1안테나부(310) 및 제2안테나부(320)와의 결합이 가능한 부재라면 제1결합부(332)로의 사용이 가능하다.
지지수단(330)은 제1안테나부(310)의 상부면 및 제2안테나부(320)의 일측면과 결합하여 제1안테나부(310) 및 제2안테나부(320)를 지지한다. 즉, 지지수단(330)의 하부면에 형성된 제1결합부(332)가 제1안테나부(310)의 상부면에 형성된 제2결합부(312)와 결합된다. 이와 함께, 지지수단(330)의 일측면에 형성된 제1결합부(332)가 제2안테나부(320)의 일측면에 형성된 제3결합부(322)와 결합한다. 그에 따라, 지지수단(330)은 제1안테나부(310) 및 제2안테나부(320)를 지지한다.
지지수단(330)은 플라스틱 등과 같은 절연체 재질로 형성된다. 이때, 제1안테나부(310)의 상부면에는 방사체 패턴이 형성되어 있고, 제2안테나부(320)는 자체 가 도전성 재질로 형성되어 있다. 제1안테나부(310)의 방사체 패턴과 제2안테나부(320)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경우 안테나 자체의 특성에 변화가 발생한다. 따라서, 지지수단(330)은 제1안테나부(310)의 방사체 패턴과 제2안테나부(320)의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플라스틱 등과 같은 절연체 재질로 형성된다.
지지수단(330)은 휴대 단말기에 고정하기 위한 체결공(334)이 추가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지지수단(33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단말기의 케이스에 형성된 체결돌기(미도시)를 수용할 체결공(336)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휴대 단말기의 케이스와 결합된 지지수단(33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서 휴대 단말기의 케이스에 형성된 체결돌기(미도시)의 내부에 나사산을 형성하고, 볼트 등의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결합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 따른 휴대 단말기용 안테나(300)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하게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안테나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노트북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안테나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정화면(430)을 실장하는 노트북 케이스(400)는 상부 케이스(410) 및 하부 케이스(420)로 구성된다. 이때, 하부 케이스(420)에는 각각의 대역 특성을 갖는 복수의 안테나들을 실장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된다. 상부 케이스(410)에는 하부 케이스(420)와의 결합을 위해 복수의 후크(411)가 형성된다. 물론, 하부 케이스(420)에는 상부 케이스(410)에 형성된 복수의 후크(411)와의 결합을 위한 복수의 후크(421)가 형성된다. 이때, 상부 케이스(410) 및 하부 케이스(420)에 형성된 후크(411,421)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결합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된다. 하부 케이스(420)에는 지지부재(330)와의 결합을 견고하게 하기 위한 체결돌기(미도시)가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제1실시예의 휴대용 단말기에 실장되는 휴대 단말기용 안테나(300)의 제1안테나부(310) 및 제2안테나부(320)는 솔더링으로 결합되어 휴대용 단말기의 하부 케이스(420)에 실장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2안테나부(320)는 제1안테나부(310)에 수직방향으로 결합된다. 이때, 휴대 단말기용 안테나(300)의 제2안테나부(320)는 플렉시블(flexible)한 도전체 재질로 형성되기 때문에 구부림(bending)에 자유롭다. 따라서, 휴대 단말기용 안테나(300)의 제2안테나부(320)는 굴곡진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휴대 단말기의 케이스를 결합하기 위한 후크의 위치에 해당하는 부분에 요철(凹凸)을 형성하여 해당 후크를 빗겨지나가도록 휴대 단말기용 안테나(300)를 형성하게 된다. 여기서, 제2안테나부(320)는 휴대 단말기의 케이스에 따라 굴곡진 형상이 다르게 형성된다.
이후, 제1안테나부(310) 및 지지수단(330), 제2안테나부(320) 및 지지수 단(330)은 각각 결합부(예컨대, 제1결합부(332), 제2결합부(312), 제3결합부(322))에 의해 결합된다. 즉, 제1안테나부(310)의 상부면에 형성된 제2결합부(312; 예컨대, 결합돌기(312a) 또는 결합공(312b))와 지지수단(330)의 하부에 형성된 제1결합부(332; 예컨대, 결합공(332b) 또는 결합돌기(332a))를 통해 제1안테나부(310)의 상부면에 지지수단(330)이 결합된다. 이와 함께, 제2안테나부(320)의 일측에 형성된 제3결합부(322; 예컨대, 결합돌기(322a) 또는 결합공(324b))와 지지수단(330)의 일측면에 형성된 제1결합부(예컨대, 결합공(332b) 또는 결합돌기(332a))를 통해 제2안테나부(320)의 일측면이 지지수단(330)에 결합된다. 이는 안테나 특성의 변화가 없도록 하기 위해 제1안테나부(310) 및 제2안테나부(320)는 지지수단(330)을 이용하여 휴대용 단말기에 실장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지지수단(330)은 체결공(334)을 통해 휴대용 단말기의 하부 케이스(420)에 고정된다. 즉, 지지수단(330)에 형성된 체결공(334)에 하부 케이스(420)에 형성된 체결돌기(미도시)를 관통시켜 지지수단(330)을 고정시킨다. 이때, 체결돌기(미도시)에 나사산을 형성하여 나사로 지지수단(330)을 고정시킬 수도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다른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제1실시예의 휴대용 단말기에 실장되는 휴대 단말기용 안테나(300)의 제1안테나부(310) 및 제2안테나부(320)는 솔더링으로 결합되어 휴대용 단말기의 하부 케이스(420)에 실장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2안테나부(320)는 제1안테나부(310)에 수직방향으로 결합된다. 이때, 휴대 단말기용 안테나(300) 의 제2안테나부(320)는 플렉시블(flexible)한 도전체 재질로 형성되기 때문에 구부림(bending)에 자유롭다. 따라서, 휴대 단말기용 안테나(300)의 제2안테나부(320)는 굴곡진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휴대 단말기의 케이스를 결합하기 위한 후크의 위치에 해당하는 부분에 요철(凹凸)을 형성하여 해당 후크를 빗겨지나가도록 휴대 단말기용 안테나(300)를 형성하게 된다. 여기서, 제2안테나부(320)는 휴대 단말기의 케이스에 따라 굴곡진 형상이 다르게 형성된다.
이후, 지지수단(330)은 제1안테나부(310) 및 제2안테나부(320)를 고정시키기 위해서 하부면을 제1안테나부(310)의 상부면에 접촉하도록 설치한다. 물론, 지지수단(330)의 일측면은 제2안테나부(320)에 접촉하도록 설치한다. 이때, 제1안테나부(310)와 제2안테나부(320) 및 지지수단(330)에는 결합부(312, 322, 332)가 형성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즉, 지지수단(330)의 상부면은 휴대 단말기의 상부 케이스(410)에 의해 지지되고, 지지수단(330)의 일측면은 휴대 단말기의 하부 케이스(420)에 의해 지지되기 때문에 별도의 결합수단을 이용하지 않고서도 지지수단(330)의 고정이 가능하다. 물론, 제1안테나부(310)와 제2안테나부(320) 및 지지수단(330)의 결합을 견고하게 하기 위해 결합부(312, 322, 332)를 형성해도 무방하다.
다음으로, 지지수단(330)은 체결공(334)을 통해 휴대용 단말기의 하부 케이스(420)에 고정된다. 즉, 지지수단(330)에 형성된 체결공(334)에 하부 케이스(420)에 형성된 체결돌기(미도시)를 관통시켜 지지수단(330)을 고정시킨다. 이때, 체결돌기(미도시)에 나사산을 형성하여 나사로 지지수단(330)을 고정시킬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휴대 단말기용 안테나(300)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는 지지수단(330)을 이용하여 제2안테나부(320)를 지지함으로써, 제1안테나부(310) 및 제2안테나부(320)를 안정적으로 결합하여 충격에 의해 안테나의 특성이 변경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충돌시에 지지수단(330)이 제1안테나부(310) 및 제2안테나부(320)를 지지하기 때문에 제1안테나부(310) 및 제2안테나부(320)의 결합형태(예컨대, 결합 각도)가 변경되지 않는다. 따라서, 충격에 의해 안테나의 특성이 변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부수적으로, 휴대 단말기용 안테나(300)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는 충격에 의해 안테나의 특성이 변경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휴대 단말기용 안테나(300)의 신뢰성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휴대 단말기용 안테나(300)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는 플렉시블한 도전체 재질을 제2안테나부(320)로 사용함으로써, 안테나의 실장시에 휴대용 단말기의 한정된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하면서 안테나의 특성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플렉시블한 도전체 재질은 종래의 인쇄회로기판보다 구부림(bending)에 자유도가 높다. 따라서, 제2안테나부(320)로 플렉시블한 도전체 재질을 사용하면 케이스의 형상(예컨대, 후크의 위치 및 형성, 결합 돌기의 위치 및 형상, 케이스의 외관 등)에 따라 곡절부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하면, 안테나의 실장시에 휴대용 단말기의 한정된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하면서 안테나의 특성을 거의 동일 하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부수적으로, 휴대 단말기용 안테나(300)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는 한정된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하면서 안테나의 특성을 유지함으로써, 안테나를 실장하기 위한 돌기부를 형성하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휴대 단말기용 안테나(300)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디자인이 자유로워지는 장점이 있다.
부수적으로, 휴대 단말기용 안테나(300)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는 방사체 패턴을 형성해야하는 인쇄회로기판 대신에 플렉시블한 도전체 재질을 사용함으로써, 종래에 휴대 단말기용 안테나(300)와 거의 유사한 특성을 유지하면서도 저렴한 비용으로 생산하는 것이 가능하다.
부수적으로, 휴대 단말기용 안테나(300)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는 방사체 패턴을 따로 형성하지 않기 때문에, 생산하는 것이 쉽고 불량률이 낮은 장점이 있다. 즉, 휴대 단말기용 안테나(300)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는 프레스를 이용해 도전체 재질을 소정형태로 성형함으로써, 생산성이 향상되고 불량률이 저하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휴대 단말기용 안테나(300)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는 플렉시블한 도전체 재질을 사용함으로써, 다양한 형상의 안테나를 생산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며,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예 및 수정예를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 된다.
도 1은 종래의 휴대 단말기용 안테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종래의 휴대 단말기용 안테나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안테나의 분해 사시도.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안테나의 결합 사시도.
도 4는 도 3a 및 도 3b의 제1안테나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 및 도 6은 도 3 및 도 3b의 제2안테나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 및 도 8은 도 3 및 도 3b의 지지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안테나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제1안테나부 112: 결합 홈
120: 제2안테나부 122: 결합돌기
210: 돌기부 220: 후크
230: 케이스 300: 휴대 단말기용 안테나
310: 제1안테나부 312: 제2결합부
320: 제2안테나부 322: 제3결합부
324: 돌출부 330: 지지수단
332: 제1결합부 334: 체결공
312a, 322a, 332a: 결합돌기 312b,322b,332b: 결합 홈
400: 노트북 케이스 410: 상부 케이스
420: 하부 케이스 430: 액정화면
411, 421: 후크

Claims (12)

  1. 휴대 단말기에 실장되는 휴대 단말기용 안테나에 있어서,
    하부면 및 일측면에 제1결합부가 형성된 지지수단;
    상기 지지수단의 하부면의 제1결합부와 결합되는 제2결합부가 형성된 제1안테나부; 및
    상기 지지수단의 일측면의 제1결합부와 결합되는 제3결합부가 일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안테나부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결합되는 제2안테나부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제1안테나부 및 제2안테나부의 결합각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안테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 및 제3결합부는,
    요(凹)형상의 결합 홈, 및 상기 결합 홈에 수용되는 철(凸)형상의 결합돌기 중에 하나로 형성되되,
    상기 제2결합부 및 제3결합부는 상기 제1결합부에 대항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안테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안테나부는 굴곡진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안테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안테나부는 플렉시블한 도전체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안테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안테나부는,
    하부면에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1안테나부에 형성된 방사체 패턴과 솔더링되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안테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절연체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안테나.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휴대 단말기용 안테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8. 휴대 단말기에 실장되는 제1안테나부;
    상기 제1안테나부에 수직방향으로 결합되는 제2안테나부; 및
    하부면이 상기 제1안테나부의 상부면에 접촉하고, 일측면이 상기 제2안테나부에 접촉하고, 상기 제2안테나부와 결합된 일측면에 대향되는 타측면이 상기 휴대 단말기의 케이스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제1안테나부 및 제2안테나부의 결합 각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지지수단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용 안테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용 안테나의 제2안테나부는 굴곡진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용 안테나의 제2안테나부는 플렉시블한 도전체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11.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용 안테나의 제2안테나부는 하부면에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1안테나부에 형성된 방사체 패턴과 솔더링되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12.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용 안테나의 지지수단은 절연체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KR20090017857A 2009-03-03 2009-03-03 휴대 단말기용 안테나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KR1010687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17857A KR101068733B1 (ko) 2009-03-03 2009-03-03 휴대 단말기용 안테나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PCT/KR2010/001309 WO2010101398A2 (ko) 2009-03-03 2010-03-03 휴대 단말기용 안테나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17857A KR101068733B1 (ko) 2009-03-03 2009-03-03 휴대 단말기용 안테나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9390A KR20100099390A (ko) 2010-09-13
KR101068733B1 true KR101068733B1 (ko) 2011-09-28

Family

ID=427101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90017857A KR101068733B1 (ko) 2009-03-03 2009-03-03 휴대 단말기용 안테나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068733B1 (ko)
WO (1) WO2010101398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1088259A1 (de) * 2011-12-12 2013-06-13 Robert Bosch Gmbh Bügelantenne
KR102002516B1 (ko) * 2018-02-02 2019-07-22 국방과학연구소 고이득 안테나 시스템
KR102553108B1 (ko) 2018-12-14 2023-07-10 삼성전자주식회사 안테나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10043321A (ko) * 2019-10-11 2021-04-21 삼성전자주식회사 안테나 고정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1835636B2 (en) * 2020-05-11 2023-12-05 Cisco Technology, Inc. Low-profile angle of arrival antenna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2620A (ko) * 2007-07-30 2009-02-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안테나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31505A (en) * 1998-06-26 2000-02-29 Research In Motion Limited Dual embedded antenna for an RF data communications device
DE10049410A1 (de) * 2000-10-05 2002-04-11 Siemens Ag Mobiltelefon mit Mehrbandantenne
JPWO2004006385A1 (ja) * 2002-07-05 2005-11-17 太陽誘電株式会社 誘電体アンテナ、アンテナ実装基板及びそれらを内蔵する移動体通信機
US6999031B2 (en) * 2003-09-24 2006-02-14 Motorola, Inc. Antenna device and its use in a communication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2620A (ko) * 2007-07-30 2009-02-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안테나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9390A (ko) 2010-09-13
WO2010101398A3 (ko) 2010-12-09
WO2010101398A2 (ko) 2010-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52529B2 (en) Dual band antenna
US7629928B2 (en) Patch antenna with electromagnetic shield counterpoise
KR101606145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
GB2404497A (en) PCB mounted antenna
KR101068733B1 (ko) 휴대 단말기용 안테나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US10971807B2 (en) Mobile device
US20090239595A1 (en) Multi-band built-in antenna
US7679568B2 (en) Feeding clip
US20210167504A1 (en) Antenna structure
US7187331B2 (en) Embedded multiband antennas
US11824568B2 (en) Antenna structure
US11831086B2 (en) Antenna structure
US20220255226A1 (en) Antenna structure
KR100850058B1 (ko) 내장형 안테나
JP4772602B2 (ja) アンテナ装置および同アンテナ装置を搭載した携帯端末装置
KR101113458B1 (ko) 휴대 단말용 안테나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
KR102046549B1 (ko) 결제 정보를 처리하는 휴대 단말의 내장 안테나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
US6914569B2 (en) Built-in antenna terminal part supporting device
US11444369B1 (en) Antenna structure
US11784397B1 (en) Wearable device
US20230387591A1 (en) Mobile device supporting wideband operation
EP2858174B1 (en) Antenna and terminal device
US20240072445A1 (en) Antenna structure
US20240021988A1 (en) Antenna structure
US20230115428A1 (en) Antenna structure and electronic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