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8455B1 - 안전 뜸 집게 - Google Patents

안전 뜸 집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8455B1
KR101068455B1 KR1020100104680A KR20100104680A KR101068455B1 KR 101068455 B1 KR101068455 B1 KR 101068455B1 KR 1020100104680 A KR1020100104680 A KR 1020100104680A KR 20100104680 A KR20100104680 A KR 20100104680A KR 101068455 B1 KR101068455 B1 KR 1010684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xibustion
holder
bodies
moxa
delete del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46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훈
류연희
최선미
Original Assignee
한국 한의학 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 한의학 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 한의학 연구원
Priority to KR10201001046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84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84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84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6Devices for heating or cooling such points within cell-life limi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7/00Accessories for massa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2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 A61H2201/0207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heated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안전 뜸 집게는, 간접구용 뜸을 시술 중, 상기 뜸을 잡아서 고정하여 상기 뜸의 발화 및 피시술자의 피부에 대한 착탈 과정에서 시술자 및 피시술자의 화상을 차단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두 개의 바디; 및 상기 바디의 단부에 형성된 홀더;를 포함하며, 상기 뜸을 두 개의 상기 홀더 사이에 위치시킨 후, 두 개의 상기 홀더로 상기 뜸의 외주면을 압박하여 상기 뜸을 홀드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안전 뜸 집게{safty forceps for disposable moxa}
본 발명은 안전 뜸 집게로서, 뜸 시술 중 시술자가 뜸을 안전하게 홀드할 수 있는 안전 뜸 집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한방치료에서는 침과 함께 뜸치료도 병행되고 있다.
이와 같은 뜸치료에서는 간접구용 뜸이 사용되고 있는데, 시술자가 상기 뜸을 피시술자에게 시술하는 과정에서 직접적으로 뜸을 잡고 시술을 한다.
이러한 시술과정에서 시술자가 뜸을 잡는 힘이 약해지거나 뜸의 고열로 인하여 뜸을 놓치는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즉, 시술자가 뜸을 잡아서 고정하여 뜸의 발화 및 피시술자의 피부에 대한 착탈 과정에서 화상을 입을 수 있다. 물론, 이와 같은 과정에서 피시술자 또한 화상의 피해를 입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뜸을 견고하게 홀드하여 뜸을 시술하는 과정에서, 시술자 및 피시술자가 뜸발화 중의 화상이나 나아가 뜸을 떨어뜨려서 입는 화상을 방지하고, 이에 더하여 편리하게 뜸을 홀드할 수 있는 뜸의 홀드장치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뜸 시술 중 시술자가 뜸을 안전하게 홀드할 수 있는 안전 뜸 집게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안전 뜸 집게는, 간접구용 뜸을 시술 중, 상기 뜸을 잡아서 고정하여 상기 뜸의 발화 및 피시술자의 피부에 대한 착탈 과정에서 시술자 및 피시술자의 화상을 차단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안전 뜸 집게는, 두 개의 바디; 및 상기 바디의 단부에 형성된 홀더;를 포함하며, 상기 뜸을 두 개의 상기 홀더 사이에 위치시킨 후, 두 개의 상기 홀더로 상기 뜸의 외주면을 압박하여 상기 뜸을 홀드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홀더는 상기 뜸의 외주면과 형합되는 반원형상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홀더의 내주면은 요철부가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두 개의 상기 바디는 서로가 선택적으로 고정되도록, 서로 마주보는 부위에 걸쇠부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안전 뜸 집게는, 교차로 배치되어 서로 회전되도록 체결된 두 개의 바디; 및 상기 바디의 단부에 형성된 홀더;를 포함하며, 상기 뜸을 두 개의 상기 홀더 사이에 위치시킨 후, 두 개의 상기 홀더로 상기 뜸의 외주면을 압박하여 상기 뜸을 홀드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에서, 두 개의 상기 바디는 교차된 부위를 중심으로 상기 홀더의 반대 측에 각각 사용자의 손가락이 삽입되는 손잡이부가 형성되며, 서로가 선택적으로 고정되도록 상기 손잡이부 측 서로 마주보는 부위에 걸쇠부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두 개의 상기 바디에 각각 형성된 상기 걸쇠부는, 교차시 서로 마주보는 면에 톱니가 형성되어 비틀림에 의해 선택적으로 고정 및 해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전 뜸 집게는, 간접용구용 뜸을 시술 중, 뜸을 안정하게 잡아서 들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뜸의 발화 및 피시술자의 피부에 대한 착탈 과정에서 뜸을 잡는 시술자 및 피시술자가 화상을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안전 뜸 집게를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도 1의 안전 뜸 집게에서 홀더에 요철부가 형성된 것을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도 1의 안전 뜸 집게에서 바디에 걸쇠부가 형성된 것을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안전 뜸 집게를 나타낸 도이다.
본 발명은, 간접구용 뜸을 시술 중, 상기 뜸을 잡아서 고정하여 상기 뜸의 발화 및 피시술자의 피부에 대한 착탈 과정에서 시술자 및 피시술자의 화상을 차단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안전 뜸 집게를 나타낸 도이며, 도 2는 도 1의 안전 뜸 집게에서 홀더에 요철부가 형성된 것을 나타낸 도이고, 도 3은 도 1의 안전 뜸 집게에서 바디에 걸쇠부가 형성된 것을 나타낸 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안전 뜸 집게(100)는 두 개의 바디(120), 상기 바디(120)의 단부에 형성된 홀더(140)를 포함한다.
상기 바디(120)는 일정길이를 가진 바(bar) 형상의 부재로서, 두 개의 바디(120)는 동일 구조를 취한다.
또한, 상기 홀더(140)는 바디(120)의 끝단으로부터 굴곡되어 연장되는데, 구체적으로 뜸의 외주면과 형합되는 반원형상을 이룬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홀더(140)를 가진 바디(120) 두 개가 구비됨에 따라, 뜸을 두 개의 홀더(140) 사이에 위치시킨 후, 두 개의 상기 홀더(140)로 뜸의 외주면을 압박하여 뜸을 홀드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홀더(140)의 내주면은 요철부(142)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요철부(142)는 홀더(140)를 통해 뜸을 압박하여 고정시킬 때, 뜸의 외주면에 대한 홀더(140)의 파지력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나아가, 홀더(140)의 내주면은 요철부(142)의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뜸에 대한 홀더(140)의 파지력, 즉 뜸을 고정시키는 접지력을 높이면 될 뿐, 그 구조에 대해서는 어떠한 형상도 활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두 개의 상기 바디(120)는 서로가 선택적으로 고정되도록, 서로 마주보는 부위에 걸쇠부(160)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걸쇠부(160)는 뜸을 들고 있는 상태에서, 두 개의 바디(120) 양측으로부터 두 개의 바디(120)에 지속적인 힘을 주지 않아도 상기 뜸을 떨어뜨리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걸쇠부(16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바디(120)로부터 일정길이 내측으로 절곡되어 서로에 대해 외측으로 밀리지 않도록 지지하는 구조를 가진다.
나아가, 상기 걸쇠부(160)는 상기와 같이 사용자가 지속적인 힘을 가하지 않고도 뜸을 홀드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형상을 취하면 될 뿐, 본 발명에 의해 구체적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상기 바디(120)는 홀더(140)가 형성된 부위와 반대 측 부분에, 사용자가 그립할 수 있도록 적정한 길이 및 너비를 가진 구조를 취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안전 뜸 집게를 나타낸 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교차로 배치되어 서로 회전되도록 체결된 두 개의 바디(220)와, 상기 바디(220)의 단부에 형성된 홀더(240)를 포함한다.
상기 바디(220)는 일정길이를 가진 바(bar) 형상의 부재가, 서로에 대해 교차하여 체결되는데, 교차된 부위는 회전축이 된다.
즉, 구체적으로 두 개의 바디(220)에서 상기 교차부위에는 홀이 형성되고, 리벳과 같은 부재가 상기 홀에 삽입되어 두 개의 바가 서로에 대해 원활하게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홀더(240)는 이러한 바디(220)의 일단부에는 형성되는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의 상술된 제1 실시예에서의 홀더(240)의 형상과 동일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물론, 비록 도 4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홀더(240)의 내주면에는 도 2와 같은 요철부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두 개의 상기 바디(220)는 교차된 부위를 중심으로 상기 홀더(240)의 반대 측에 각각 사용자의 손가락이 삽입되는 손잡이부(280)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손잡이부(280)와 상기 바디(220)의 교차구조에 의해, 사용자가 안전 뜸 집게(200)를 집게와 같이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바디(220)는 서로가 선택적으로 고정되도록 상기 손잡이부(280) 측 서로 마주보는 부위에 걸쇠부(260)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두 개의 상기 바디(220)에 각각 형성된 상기 걸쇠부(260)는, 교차시 서로 마주보는 면에 톱니가 형성되어 비틀림에 의해 선택적으로 고정 및 해제되도록 구성된다.
물론, 이러한 걸쇠부(260)는 두 개의 바디(220)를 서로 고정시키도록 구성되면 될 뿐, 그에 대한 구체적인 구조는 종래의 어떤 구조도 활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간접용구용 뜸을 시술 중, 뜸을 안정하게 잡아서 들 수 있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의 안전 뜸 집게에 의해, 뜸의 발화 및 피시술자의 피부에 대한 착탈 과정에서 뜸을 잡는 시술자 및 피시술자가 화상을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제1 실시예에 따른 안전 뜸 집게
120 : 바디 140 : 홀더
142 : 요철부 160 : 걸쇠부
200 : 제2 실시예에 따른 안전 뜸 집게
220 : 바디 240 : 홀더
260 : 걸쇠부 280 : 손잡이부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간접구용 뜸을 시술 중, 상기 뜸을 잡아서 고정하여 상기 뜸의 발화 및 피시술자의 피부에 대한 착탈 과정에서 시술자 및 피시술자의 화상을 차단하도록 구성되며,
    교차로 배치되어 서로 회전되도록 체결된 두 개의 바디; 및 상기 바디의 단부에 형성된 홀더;를 포함하며, 상기 뜸을 두 개의 상기 홀더 사이에 위치시킨 후, 두 개의 상기 홀더로 상기 뜸의 외주면을 압박하여 상기 뜸을 홀드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홀더는 상기 뜸의 외주면과 형합되는 반원형상을 이루며,
    상기 홀더의 내주면에는 내측으로 삼각형의 뾰족한 요철부가 형성되고,
    두 개의 상기 바디는 교차된 부위를 중심으로 상기 홀더의 반대 측에 각각 사용자의 손가락이 삽입되는 손잡이부가 형성되며, 서로가 선택적으로 고정되도록 상기 손잡이부 측 서로 마주보는 부위에 걸쇠부가 형성되며,
    두 개의 상기 바디에 각각 형성된 상기 걸쇠부는, 교차시 서로 마주보는 면에 톱니가 형성되어 비틀림에 의해 선택적으로 고정 및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뜸 집게.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00104680A 2010-10-26 2010-10-26 안전 뜸 집게 KR1010684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4680A KR101068455B1 (ko) 2010-10-26 2010-10-26 안전 뜸 집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4680A KR101068455B1 (ko) 2010-10-26 2010-10-26 안전 뜸 집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68455B1 true KR101068455B1 (ko) 2011-09-29

Family

ID=449580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4680A KR101068455B1 (ko) 2010-10-26 2010-10-26 안전 뜸 집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845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3415U (ko) * 2016-03-24 2017-10-12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쑥뜸 보조 기구
KR20180001084U (ko) 2016-10-11 2018-04-19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쑥뜸보조유닛, 케이스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쑥뜸 보조기구 세트
KR102081325B1 (ko) 2018-08-29 2020-02-26 청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쑥뜸시술용 보조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7065Y1 (ko) * 2000-12-18 2001-06-15 김명철 어류파지용 집게
JP2005118509A (ja) 2003-10-15 2005-05-12 Naoto Takano マッサージ器具
US20050230983A1 (en) * 2004-04-14 2005-10-20 Leslie Gray Moxa cone removal instrument
KR100551242B1 (ko) 2004-03-04 2006-02-09 정중래 온침용 뜸발열소자 및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7065Y1 (ko) * 2000-12-18 2001-06-15 김명철 어류파지용 집게
JP2005118509A (ja) 2003-10-15 2005-05-12 Naoto Takano マッサージ器具
KR100551242B1 (ko) 2004-03-04 2006-02-09 정중래 온침용 뜸발열소자 및 장치
US20050230983A1 (en) * 2004-04-14 2005-10-20 Leslie Gray Moxa cone removal instrument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3415U (ko) * 2016-03-24 2017-10-12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쑥뜸 보조 기구
KR200486164Y1 (ko) * 2016-03-24 2018-04-09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쑥뜸 보조 기구
KR20180001084U (ko) 2016-10-11 2018-04-19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쑥뜸보조유닛, 케이스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쑥뜸 보조기구 세트
KR102081325B1 (ko) 2018-08-29 2020-02-26 청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쑥뜸시술용 보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38715B2 (ja) 止血クリップ
KR101068455B1 (ko) 안전 뜸 집게
KR20040034471A (ko) 포경 교정구
US1629436A (en) Swab or dauber
CN210144695U (zh) 一种骨科手术用持针器
CN114642478A (zh) 加强扭转刚度和夹持力的医疗用钳子
CN206867268U (zh) 一种环抱器夹持固定钳
KR200464983Y1 (ko) 손잡이가 구비된 주사침
CN202554042U (zh) 颌间固定专用钳
JP2008000258A (ja) 薬剤塗布具
CN213787610U (zh) 一种止血钳
CN205612731U (zh) 一种温针灸器
CN217448038U (zh) 一种牙科用镊子
CN205339011U (zh) 医用拉舌钳
CN206730136U (zh) 一种燃艾器
JPH0833649A (ja) 歯科用ピンセット
CN205379352U (zh) 医用针张紧器
TWM556599U (zh) 針灸埋線工具
CN215350650U (zh) 一种中医艾灸用手持夹具
KR200444478Y1 (ko) 휴대용 지압기
CN213346818U (zh) 一种能探敏定量的热敏灸器
CN202437258U (zh) 一种外科护理用手术钳装置
CN215192146U (zh) 一种医学胫骨骨折复位钳
CN202761361U (zh) 一种止血钳
CN211094497U (zh) 安全断脐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