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8133B1 - 램프 에이징용 소켓 - Google Patents

램프 에이징용 소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8133B1
KR101068133B1 KR1020090060935A KR20090060935A KR101068133B1 KR 101068133 B1 KR101068133 B1 KR 101068133B1 KR 1020090060935 A KR1020090060935 A KR 1020090060935A KR 20090060935 A KR20090060935 A KR 20090060935A KR 101068133 B1 KR101068133 B1 KR 1010681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sub
chamber
spring
screw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09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3608A (ko
Inventor
유영호
문제운
Original Assignee
동부라이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부라이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부라이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609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8133B1/ko
Publication of KR201100036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36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81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81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9/00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V19/006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of point-like light sources, e.g. incandescent or halogen lamps, with screw-threaded or bayonet ba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20Light sources comprising attachment means
    • F21K9/23Retrofit light sources for lighting devices with a single fitting for each light source, e.g. for substitution of incandescent lamps with bayonet or threaded fittings
    • F21K9/235Details of bases or caps, i.e. the parts that connect the light source to a fitting; Arrangement of components within bases or ca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9/00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V19/001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the light sources being semiconductors devices, e.g. LEDs
    • F21V19/0015Fastening arrangements intended to retain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9/00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V19/001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the light sources being semiconductors devices, e.g. LEDs
    • F21V19/003Fastening of light source holders, e.g. of circuit boards or substrates holding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62/00Illumination
    • Y10S362/80Light emitting di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nnecting Device With Hol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나사캡단자를 구비한 램프를 원터치 투입에 의하여 전기적 접속이 탄력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며, 소켓으로부터의 램프 이탈작업 역시 수직으로 들어올리는 동작에 의하여 이루어짐으로써 나사캡단자를 구비한 램프의 소켓 착탈이 획기적으로 신속하게 이루어지고 생산성이 현저히 향상되도록 하는 램프 에이징용 소켓에 관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나사캡단자를 구비한 램프의 에이징을 위하여 상호 쌍을 이루는 단자인 나사식 주연부와 돌출 선단이 구비된 상기 나사캡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것으로서, 절연체로 되는 챔버 내에 상기 나사캡단자의 주연부 및 선단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단자라인 및 제2단자라인을 구비하고, 상기 제1단자라인과 제2단자라인은 평면상 동심원 형태로 배치되며 각각 도체로 되는 제1스프링과 제2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부에서 나사캡단자를 구비한 램프 투입시 상기 제1스프링 및 제2스프링이 가압되면서 제1단자라인 및 제2단자라인이 각각 나사캡단자의 주연부 및 돌출선단에 탄력적으로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램프 에이징용 소켓{SOCKET FOR LAMP AGING}
본 발명은 나사캡단자를 구비한 램프를 원터치 투입에 의하여 전기적 접속이 탄력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며, 소켓으로부터의 램프 이탈작업 역시 수직으로 들어올리는 동작에 의하여 이루어짐으로써 나사캡단자를 구비한 램프의 소켓 착탈이 획기적으로 신속하게 이루어지고 생산성이 현저히 향상되도록 하는 램프 에이징용 소켓에 관한 것이다.
엘이디(LED: Light Emitting Diode)를 사용하는 조명기구로서 백열전구 등의 벌브형 램프와 같이 상호 쌍을 이루는 단자가 나사식 주연부와 돌출 선단에 형성된 나사캡단자를 구비함으로써 기 설치되어 있는 나사식 소켓에 장착 및 교체가 자유로운 엘이디램프가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나사캡단자를 갖는 엘이디램프는 나사캡단자가 결합된 하우징에 AC전류를 DC전류로 전환하는 구동부 및 엘이디가 실장된 피씨비 등이 조립 결합되어 이루어지며 조립 후에는 점등검사 및 에이징이 이루어진다.
엘이디램프의 에이징은 조립된 제품을 일정시간 동안 가혹조건으로 전기적 충격을 반복적으로 가하여 신뢰성을 테스트하는 단계로서 전원연결이 필수사항이며, 팰릿형 테이블 상에 다수 설치되는 에이징 소켓에 램프 제품을 끼워넣어 이루어진다.
엘이디램프의 에이징 단계에서는 소켓이 상기와 같이 테이블 상에 설치되고 램프가 소켓에 끼워져 있는 동안 물리적으로 이탈될 염려가 없음에도 종래기술의 에이징 소켓은 나사캡단자에 대응하여 암나사식 단자가 형성된 일반적인 나사식 소켓을 사용함으로써 장착시 제품을 일일히 회전 삽입해야 되고 에이징 후 다시 회전 이탈시켜야 됨으로써 에이징 단계의 소켓 착탈에 시간과 인력이 막대하게 소요되어 생산성을 저하시키고 양산을 어렵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나사캡단자 및 이에 대응하는 나사식 소켓은 직경을 포함하는 규격이 다단계로 형성되는데 종래 기술에서는 각각의 규격마다 별도로 테이블에 장착됨으로써 매 규격마다 별도의 테이블을 구비하여야 하므로 보관 및 관리에 어려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나사캡단자를 구비한 램프를 원터치 투입에 의하여 전기적 접속이 탄력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며, 소켓으로부터의 램프 이탈작업 역시 수직으로 들어올리는 동작에 의하여 이루어짐으로써 나사캡단자를 구비한 램프의 소켓 착탈이 획기적으로 신속하게 이루어지고 생산성이 현저히 향상되도록 하는 램프 에이징용 소켓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베이스소켓에 삽탈이 자유로운 서브소켓을 구비함으로써 하나의 테이블을 이용하여 다양한 규격의 나사캡단자를 구비한 램프의 에이징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이에 따라 생산설비를 감축시켜 보관 및 관리를 현저히 용이토록 하는 램프 에이징용 소켓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에 따른 램프 에이징용 소켓은
나사캡단자를 구비한 램프의 에이징을 위하여 상호 쌍을 이루는 단자인 나사식 주연부와 돌출 선단이 구비된 상기 나사캡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것으로서,
절연체로 되는 챔버 내에 상기 나사캡단자의 주연부 및 선단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단자라인 및 제2단자라인을 구비하고,
상기 제1단자라인과 제2단자라인은 평면상 동심원 형태로 배치되며 각각 도체로 되는 제1스프링과 제2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부에서 나사캡단자를 구비한 램프 투입시 상기 제1스프링 및 제2스프링이 가압되면서 제1단자라인 및 제2단자라인이 각각 나사캡단자의 주연부 및 돌출선단에 탄력적으로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상기 챔버는 상기 제1단자라인을 수용하는 내부공간과 나사캡단자 투입구가 단차형성되어 멈춤턱이 형성되는 제1챔버와 제2단자라인을 수용하는 제2챔버로 구성되고,
상기 제1단자라인은 제1챔버의 내부공간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나사캡단자의 주연부가 얹혀지는 링형태의 도체로 되는 제1단자, 상기 제1단자를 하방에서 접하여 탄지하는 상기 제1스프링, 상기 제1스프링과 연결되며 외부로 인출되는 제1전선으로 되어 상기 제1단자, 제1스프링 및 제1전선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챔버는 제1챔버의 내부공간에 설치되며 상부에 통공이 형성된 내부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제2단자라인은 도체로서 상기 제2챔버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통공을 통하여 제2챔버 상부로 돌출되어 나사캡단자의 선단과 접하는 접점부와 제2챔버의 내부공간에서 이탈이 방지되는 걸림단이 형성되는 제2단자, 상기 제2단자를 하방에서 접하여 탄지하는 상기 제2스프링, 상기 제2스프링과 연결되는 제2전선으로 되어 상기 제2단자, 제2스프링 및 제2전선이 전기적으로 연결됨을 특징으로 한 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상기 제1챔버는 하방이 개방형성되고,
상기 제2챔버는 상기 제1스프링의 하단이 접하여 지지되면 제1챔버와 결합되는 플랜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챔버의 하방으로 제2스프링의 하단이 지지되는 받침대가 결합되며,
상기 제1전선 및 제2전선의 인출을 위하여 제2챔버의 플랜지부와 받침대를 관통하는 제1홀과 받침대를 관통하는 제2홀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상기 챔버, 제1단자라인 및 제2단자라인에 적용되는 나사캡단자에 비하여 작은 규격의 나사캡단자 적용을 위하여 상기 제1챔버의 투입구를 통하여 삽입되는 서브소켓이 더 구비되고,
상기 서브소켓은 절연체로 되는 서브챔버 내에 수용되며 상기 제1단자라인 및 제2단자라인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서브단자라인 및 제2서브단자라인을 구비하고
상기 제1서브단자라인과 제2서브단자라인은 평면상 동심원 형태로 배치되며 각각 도체로 되는 제1서브스프링과 제2서브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상기 서브챔버는 상기 제1서브단자라인을 수용하는 내부공간과 나사캡단자 투입구가 단차형성되어 멈춤턱이 형성되는 제1서브챔버와 제2서브단자라인을 수용하는 제2서브챔버로 구성되고,
상기 제1서브단자라인은 상기 제1서브챔버 내에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나사캡단자의 주연부가 얹혀지며 링형태의 도체로 되는 제1서브단자, 상기 제1서브단자를 하방에서 접하여 탄지하는 상기 제1서브스프링, 도체로 되고 상기 제1서브스프링이 지지되며 제1서브챔버의 하단에 결합되고 상기 제1단자에 얹혀지는 연결단자로 되어 제1서브단자, 제1서브스프링, 연결단자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동시에 상기 제1단자라인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2서브챔버는 상기 연결단자와 결합 고정되어 상기 제1서브챔버 내부공간 하방으로 설치되고 상부에 슬라이드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2서브단자라인은 도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2서브챔버의 슬라이드공에 삽입되어 승강되는 로드부와 상기 로드부 상부에서 슬라이드공의 외부로 돌출되어 나사캡단자의 선단과 접하는 접점부와 로드부 하부에 위치되는 제2단자접속부가 구비되어 나사캡단자의 선단과 상기 제2단자라인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을 지닌 본 발명에 따른 램프 에이징용 소켓은 나사캡단자를 구비한 램프를 상부에서 원터치 투입에 의하여 전기적 접속이 탄력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며, 소켓으로부터의 램프 이탈작업 역시 수직으로 들어올리는 동작에 의하여 이 루어짐으로써 나사캡단자를 구비한 램프의 소켓 착탈이 획기적으로 신속하게 이루어지고 생산성을 현저히 향상시키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또한, 베이스소켓에 삽탈이 자유로운 서브소켓을 구비함으로써 하나의 테이블을 이용하여 다양한 규격의 나사캡단자를 구비한 램프의 에이징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이에 따라 생산설비를 감축시켜 보관 및 관리를 현저히 용이하게 하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램프 에이징용 소켓에 대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구성을 보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 단면도, 도 3은 도 1의 단면도, 도 4는 도 3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램프 에이징용 소켓(1)은 나사캡단자(2a)를 구비한 램프(2)의 에이징을 위하여 상호 쌍을 이루는 단자인 나사식 주연부(2aa)와 돌출 선단(2ab)이 구비된 상기 나사캡단자(2a)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것으로서, 절연체로 되는 챔버(30) 내에 상기 나사캡단자의 주연부(2aa) 및 선단(2ab)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단자라인(10) 및 제2단자라인(20)을 구비하고, 상기 제1단자라인(10)과 제2단자라인(20)은 평면상 동심원 형태로 배치되며 각각 도체로 되는 제1스프링(13)과 제2스프링(23)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부에서 나사캡단자(2a)를 구비한 램프(2) 투입시 상기 제1 스프링(13) 및 제2스프링(23)이 가압되면서 제1단자라인(10) 및 제2단자라인(20)이 각각 나사캡단자(2a)의 주연부(2aa) 및 돌출 선단(2ab)에 탄력적으로 접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챔버(30)는 상기 제1단자라인(10)을 수용하는 내부공간(311)과 나사캡단자 투입구(313)가 단차형성되어 멈춤턱(315)이 형성되는 제1챔버(31)와 제2단자라인(20)을 수용하는 제2챔버(32)로 구성되고, 상기 제1단자라인(10)은 제1챔버의 내부공간(311)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나사캡단자의 주연부(2aa)가 얹혀지는 링형태의 도체로 되는 제1단자(11), 상기 제1단자(11)를 하방에서 접하여 탄지하는 상기 제1스프링(13), 상기 제1스프링(13)과 연결되며 외부로 인출되는 제1전선(15)으로 되어 상기 제1단자(11), 제1스프링(13) 및 제1전선(15)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챔버(32)는 제1챔버의 내부공간(311)에 설치되며 상부에 통공(323)이 형성된 내부공간(321)을 구비하고, 상기 제2단자라인(20)은 도체로서 상기 제2챔버(32)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통공(323)을 통하여 제2챔버(32) 상부로 돌출되어 나사캡단자의 선단(3ab)과 접하는 접점부(211)와 제2챔버의 내부공간(321)으로부터의 이탈방지용 걸림단(213)이 형성되는 제2단자(21), 상기 제2단자(21)를 하방에서 접하여 탄지하는 상기 제2스프링(23), 상기 제2스프링(23)과 연결되는 제2전선(25)으로 되어 상기 제2단자(21), 제2스프링(23) 및 제2전선(25)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이다.
상기 나사캡단자(2a)는 주연부(2aa)가 시작되는 부분이 경사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에 대응하여 상기 제1단자(11)는 상기 주연부(2aa)가 안착되는 접속부(112) 가 모따기식으로 경사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챔버(31)는 하방이 개방형성되고, 상기 제2챔버(32)는 상기 제1스프링(13)의 하단이 접하여 지지되면 제1챔버(31)와 결합되는 플랜지부(325)가 형성되고, 상기 제2챔버(32)의 하방으로 제2스프링(23)의 하단이 접하는 받침대(33)가 결합되며, 상기 제1전선(15) 및 제2전선(25)의 인출을 위하여 제2챔버의 플랜지부(325)와 받침대(33)를 관통하는 제1홀(36)과 받침대(33)를 관통하는 제2홀(37)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도 2, 3 참조).
상기 제2챔버의 플랜지부(325)는 하방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받침대(33) 하방에 전선 인출공간(38)을 형성한다(도 2,3 참조).
또한, 상기 제1스프링(13)과 제1전선(15) 및 제2스프링(23)과 제2전선(25)은 납땜연결됨이 바람직하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51'은 제1챔버(31)와 제2챔버(32)를 고정하는 고정수단이고, '52'는 상기 챔버를 테이블(3)에 고정하는 고정수단이다(도 3 참조).
이와 같은 구성을 지닌 본 발명에 따른 램프 에이징용 소켓(1)의 작용상태를 살펴본다.
상기 제1단자라인(10)은 제1단자(11)가 제1스프링(13)을 통하여 스위치와 연결되는 제1전선(15)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2단자라인(20)은 제2단자(21)가 제2스프링(23)을 통하여 스위치와 연결되는 제2전선(25)과 연결 구성되어 자유상태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단자(11)는 제1챔버의 내부공간(311)에서 상기 멈춤턱(315)에 걸리는 상태로 상승되고 상기 제2단자(21)는 걸림단(213)이 제2챔버의 통공(323)이 형성된 상부(322)에 맞닿기까지 상승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캡단자(2a)를 구비한 램프(2)를 나사캡단자 투입구(313)를 통하여 상부에서 투입하면 나사캡단자의 돌출 선단(2ab)은 제2단자의 접접부(211)에, 주연부(2aa)는 상기 제1단자(11)의 경사 접속부(112)에 얹혀져 접하는 동시에 램프(2)의 중량 압력과 제1스프링(13) 및 제2스프링(23)의 반력에 의하여 나사캡단자의 주연부(2aa)와 제1단자라인(10), 나사캡단자의 선단(2ab)과 제2단자라인(20)의 전기적 접속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진다.
즉, 엘이디램프의 에이징 단계에서는 소켓이 상향 설치되며 램프가 소켓에 전기적으로 접하고 있는 동안 물리적으로 이탈될 염려가 없는 상황에서, 본 발명은 나사캡단자(2a)를 구비한 램프(2)를 상부에서 원터치 투입에 의하여 전기적 접속이 탄력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며, 소켓으로부터의 램프 이탈작업 역시 수직으로 들어올리는 동작에 의하여 이루어짐으로써 소켓에 대한 나사캡단자를 구비한 램프(2)의 착탈이 획기적으로 신속하게 이루어지고 생산성을 현저히 향상시킨다.
한편, 나사캡단자(2a)는 규격이 다단계로 형성되고 에이징 단계를 위하여 생산현장에는 그 규격에 따른 소켓이 각각 구비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소켓을 베이스소켓으로 하고 여기에 삽탈이 자유로우며 규격에 차이가 나는 서브소켓(1s)을 구비함으로써 하나의 테이블(3)에서 다단계 규격의 나사캡단자를 구비한 램프의 에이징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단면도, 도 6은 도 5의 결합상태도, 도 7은 도 6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상기 챔버(30), 제1단자라인(10) 및 제2단자라인(20)에 적용되는 나사캡단자에 비하여 작은 규격의 나사캡단자 적용을 위하여 상기 제1챔버(31)에 삽입되는 서브소켓(1s)이 더 구비되고,
상기 서브소켓(1s)은 절연체로 되는 서브챔버(30s) 내에 수용되며 상기 제1단자라인(10) 및 제2단자라인(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서브단자라인(10s) 및 제2서브단자라인(20s)을 구비하고, 상기 제1서브단자라인(10s)과 제2서브단자라인(20s)은 평면상 동심원 형태로 배치되며 각각 도체로 되는 제1서브스프링(13s)과 제2서브스프링(23s)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서브챔버(30s)는 상기 제1서브단자라인(10s)을 수용하는 내부공간(311s)과 나사캡단자 투입구(313s)가 단차형성되어 멈춤턱이 형성되는 제1서브챔버(31s)와 제2서브단자라인(20s)을 수용하는 제2서브챔버(32s)로 구성되고,
상기 제1서브단자라인(10s)은 상기 제1서브챔버(31s) 내에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나사캡단자의 주연부(2aa)가 얹혀지며 링형태의 도체로 되는 제1서브단자(11s), 상기 제1서브단자(11s)를 하방에서 접하여 탄지하는 상기 제1서브스프링(13s), 도체로 되고 상기 제1서브스프링(13s)이 지지되며 제1서브챔버(30s)의 하단에 결합되고 상기 제1단자(11)에 얹혀지는 연결단자(15s)로 되어 제1서브단자(11s), 제1서브스프링(13s), 연결단자(15s)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동시에 상기 제1단자라인(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2서브챔버(32s)는 상기 연결단자(15s)와 결합 고정되어 상기 제1서브챔버의 내부공간(311s) 하방으로 설치되고 상부에 슬라이드공(323s)이 형성되며,
상기 제2서브단자라인(20s)은 도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2서브챔버의 슬라이드공(323s)에 삽입되어 승강되는 로드부(211s)와 상기 로드부(211s) 상부에서 슬라이드공(211s)의 외부로 돌출되어 나사캡단자의 선단(2ab)과 접하는 접점부(212s)와 로드부 하부에 위치되는 제2단자접속부(213s)가 구비되어 나사캡단자(2ab)의 선단과 상기 제2단자라인(20)을 전기적으로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서브단자(21s)는 상기 접점부(212s)와 제2단자접속부(213s)가 상기 슬라이드공(323s)으로부터의 이탈방지를 위한 걸림단 형태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상기 서브소켓(1s)은 베이스소켓의 구성요소를 규격을 달리하여 형성하면서 베이스소켓의 제1단자라인(10) 및 제2단자라인(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성으로 규격이 다양하게 된다.
상기 서브소켓(1s)을 구비한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살펴본다.
상기 베이스소켓에 서브소켓(1s)을 삽입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서브단자라인(10s)과 제1단자라인(10), 제2서브단자라인(20s)과 제2단자라인(20)이 접하는 동시에 서브소켓(1s)의 중량 압력과 제1스프링(13) 및 제2스프링(23)의 반력에 의하여 접속이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이후,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소켓(1s)에 해당 규격의 나사캡단자(2a)가 구비된 램프(2)가 투입되면 역시 램프(2)의 중량에 의한 압력과 상기 제1서브스프링(10s), 제1스프링(13), 제2스프링(23)의 반력에 의하여 안정적인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다양한 규격의 서브소켓을 구비해두고 필요에 따라 삽입사용함으로써 하나의 테이블(3)을 이용하여 다양한 규격의 나사캡단자를 구비한 램프(2)의 에이징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이에 따라 생산설비를 감축시켜 보관 및 관리를 현저히 용이하게 한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설명하였다. 여기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구성을 보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 단면도
도 3은 도 1의 단면도
도 4는 도 3의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단면도
도 6은 도 5의 결합 상태도
도 7은 도 6의 사용상태도
도 8은 종래기술의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본 발명의 램프 에이징용 소켓
10: 제1단자라인 11: 제1단자 13: 제1스프링
15: 제1전선 20: 제2단자라인 21: 제2단자
211: 접점부 213: 걸림단 23: 제2스프링
25: 제2전선 30: 챔버 31: 제1챔버
311: 내부공간 313: 나사캡단자 투입구 315: 멈춤턱
32: 제2챔버 321: 내부공간 323: 통공
325: 플랜지부 33: 받침대 36: 제1홀
37: 제2홀 2: 램프 2a: 나사캡단자
2aa: 주연부 2ab: 선단 3: 테이블
1s: 서브소켓 10s: 제1서브단자라인 15s: 연결단자
20s: 제2서브단자라인 21s: 제2서브단자 211s: 로드부
212s: 접점부 213s: 제2단자접점부 30s: 서브챔버
31s: 제1서브챔버 32s: 제2서브챔버 323s: 슬라이드공

Claims (5)

  1. 삭제
  2. 나사캡단자(2a)를 구비한 램프(2)의 에이징을 위하여 상호 쌍을 이루는 단자인 나사식 주연부(2aa)와 돌출 선단(2ab)이 구비된 상기 나사캡단자(2a)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것으로서,
    절연체로 되는 챔버(30) 내에 상기 나사캡단자의 주연부(2aa) 및 선단(2ab)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단자라인(10) 및 제2단자라인(20)을 구비하고,
    상기 제1단자라인(10)과 제2단자라인(20)은 평면상 동심원 형태로 배치되며 각각 도체로 되는 제1스프링(13)과 제2스프링(23)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부에서 나사캡단자(2a)를 구비한 램프(2) 투입시 상기 제1스프링(13) 및 제2스프링(23)이 가압되면서 제1단자라인(10) 및 제2단자라인(20)이 각각 나사캡단자(2a)의 주연부(2aa) 및 돌출 선단(2ab)에 탄력적으로 접하고,
    상기 챔버(30)는 상기 제1단자라인(10)을 수용하는 내부공간(311)과 나사캡단자 투입구(313)가 단차형성되어 멈춤턱(315)이 형성되는 제1챔버(31)와 제2단자라인(20)을 수용하는 제2챔버(32)로 구성되고,
    상기 제1단자라인(10)은 제1챔버의 내부공간(311)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나사캡단자의 주연부(2aa)가 얹혀지는 링형태의 도체로 되는 제1단자(11), 상기 제1단자(11)를 하방에서 접하여 탄지하는 상기 제1스프링(13), 상기 제1스프링(13)과 연결되며 외부로 인출되는 제1전선(15)으로 되어 상기 제1단자(11), 제1스프링(13) 및 제1전선(15)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챔버(32)는 제1챔버의 내부공간(311)에 설치되며 상부에 통공(323)이 형성된 내부공간(321)을 구비하고,
    상기 제2단자라인(20)은 도체로서 상기 제2챔버(32)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통공(323)을 통하여 제2챔버(32) 상부로 돌출되어 나사캡단자의 선단(3ab)과 접하는 접점부(211)와 제2챔버의 내부공간(321)으로부터의 이탈방지용 걸림단(213)이 형성되는 제2단자(21), 상기 제2단자(21)를 하방에서 접하여 탄지하는 상기 제2스프링(23), 상기 제2스프링(23)과 연결되는 제2전선(25)으로 되어 상기 제2단자(21), 제2스프링(23) 및 제2전선(25)이 전기적으로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에이징용 소켓.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챔버(31)는 하방이 개방형성되고,
    상기 제2챔버(32)는 상기 제1스프링(13)의 하단이 접하여 지지되면 제1챔버(31)와 결합되는 플랜지부(325)가 형성되고,
    상기 제2챔버(32)의 하방으로 제2스프링(23)의 하단이 지지되는 받침대(33)가 결합되며,
    상기 제1전선(15) 및 제2전선(25)의 인출을 위하여 제2챔버의 플랜지부(325)와 받침대(33)를 관통하는 제1홀(36)과 받침대(33)를 관통하는 제2홀(37)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에이징용 소켓.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챔버(30), 제1단자라인(10) 및 제2단자라인(20)에 적용되는 나사캡단자에 비하여 작은 규격의 나사캡단자 적용을 위하여 상기 제1챔버(31)에 삽입되는 서브소켓(1s)이 더 구비되고,
    상기 서브소켓(1s)은 절연체로 되는 서브챔버(30s) 내에 수용되며 상기 제1단자라인(10) 및 제2단자라인(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서브단자라인(10s) 및 제2서브단자라인(20s)을 구비하고
    상기 제1서브단자라인(10s)과 제2서브단자라인(20s)은 평면상 동심원 형태로 배치되며 각각 도체로 되는 제1서브스프링(13s)과 제2서브스프링(23s)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에이징용 소켓.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서브챔버(30s)는 상기 제1서브단자라인(10s)을 수용하는 내부공 간(311s)과 나사캡단자 투입구(313s)가 단차형성되어 멈춤턱이 형성되는 제1서브챔버(31s)와 제2서브단자라인(20s)을 수용하는 제2서브챔버(32s)로 구성되고,
    상기 제1서브단자라인(10s)은 상기 제1서브챔버(31s) 내에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나사캡단자의 주연부(2aa)가 얹혀지며 링형태의 도체로 되는 제1서브단자(11s), 상기 제1서브단자(11s)를 하방에서 접하여 탄지하는 상기 제1서브스프링(13s), 도체로 되고 상기 제1서브스프링(13s)이 지지되며 제1서브챔버(30s)의 하단에 결합되고 상기 제1단자(11)에 얹혀지는 연결단자(15s)로 되어 제1서브단자(11s), 제1서브스프링(13s), 연결단자(15s)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동시에 상기 제1단자라인(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2서브챔버(32s)는 상기 연결단자(15s)와 결합 고정되어 상기 제1서브챔버의 내부공간(311s) 하방으로 설치되고 상부에 슬라이드공(323s)이 형성되며,
    상기 제2서브단자라인(20s)은 도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2서브챔버의 슬라이드공(323s)에 삽입되어 승강되는 로드부(211s)와 상기 로드부(211s) 상부에서 슬라이드공(211s)의 외부로 돌출되어 나사캡단자의 선단(2ab)과 접하는 접점부(212s)와 로드부 하부에 위치되는 제2단자접속부(213s)가 구비되어 나사캡단자(2ab)의 선단과 상기 제2단자라인(2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에이징용 소켓.
KR1020090060935A 2009-07-06 2009-07-06 램프 에이징용 소켓 KR1010681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0935A KR101068133B1 (ko) 2009-07-06 2009-07-06 램프 에이징용 소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0935A KR101068133B1 (ko) 2009-07-06 2009-07-06 램프 에이징용 소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3608A KR20110003608A (ko) 2011-01-13
KR101068133B1 true KR101068133B1 (ko) 2011-09-27

Family

ID=436113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0935A KR101068133B1 (ko) 2009-07-06 2009-07-06 램프 에이징용 소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813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9060U (ko) * 1997-08-09 1999-03-05 이명례 고전압전등용 소켓
US6198272B1 (en) * 1997-11-18 2001-03-06 Lisle Corporation Plug construction having positive and negative poles for circuit testing on vehicles
JP2004139918A (ja) 2002-10-21 2004-05-13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ソケッ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9060U (ko) * 1997-08-09 1999-03-05 이명례 고전압전등용 소켓
US6198272B1 (en) * 1997-11-18 2001-03-06 Lisle Corporation Plug construction having positive and negative poles for circuit testing on vehicles
JP2004139918A (ja) 2002-10-21 2004-05-13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ソケ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3608A (ko) 2011-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09256B2 (en) Electrical connecting terminal used to connect driving board with lamp holder of LED lamp
US8459829B2 (en) Illuminating system,universal lamp holder and LED lamp
CN103378525A (zh) 转换灯座结构
CN203911103U (zh) 一种防爆插接装置
KR101068133B1 (ko) 램프 에이징용 소켓
CN104007292A (zh) 测试灯座
CN214044033U (zh) 一种站用电源转接快速接口装置
CN104466482A (zh) 一种灯笼花式接触头
CN203894269U (zh) 测试灯座
CN205301550U (zh) Led灯检测装置
CN204786263U (zh) 射灯电连接结构
CN201916778U (zh) 一种日光灯管安装结构
CN210668797U (zh) 一种电工电子实验用接线座
CN203838179U (zh) 一种芯片测试座
CN208655912U (zh) 一种笼式弹簧接线端子
CN203367630U (zh) 一种锁扣式电源插头插座
KR20090055822A (ko) 플러그 원터치 분리형 멀티 탭
CN202308588U (zh) 带环形永久磁铁的灯口
US3725850A (en) Detachable lamp socket assembly
CN209960421U (zh) 一种灯具或发光标识连接用的连接构件
CN211502425U (zh) 一种可拆卸插拔式台灯及展示柜
CN103939860A (zh) 一种照明灯及插座连接机构
CN104569860A (zh) 一种led管灯老化测试装置
CN214337035U (zh) 一种弹性卡紧连接端子
CN211650152U (zh) 一种led户外灯灯头和灯座三极导通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