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8035B1 - 캡슐형 투약 장치 및 그 투약 방법 - Google Patents
캡슐형 투약 장치 및 그 투약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68035B1 KR101068035B1 KR1020080132102A KR20080132102A KR101068035B1 KR 101068035 B1 KR101068035 B1 KR 101068035B1 KR 1020080132102 A KR1020080132102 A KR 1020080132102A KR 20080132102 A KR20080132102 A KR 20080132102A KR 101068035 B1 KR101068035 B1 KR 10106803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rug
- capsule
- unit
- heating
- holding uni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28—Inhalators using prepacked dosages, one for each application, e.g. capsules to be perforated or broken-up
- A61M15/003—Inhalators using prepacked dosages, one for each application, e.g. capsules to be perforated or broken-up using capsules, e.g. to be perforated or broken-up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3/00—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 A61J3/07—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into the form of capsules or similar small containers for oral us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61K9/480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characterised by the form of the capsule or the structure of the filling; Capsules containing small tablets; Capsules with outer layer for immediate drug releas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61K9/50—Microcapsules having a gas, liquid or semi-solid filling; Solid microparticles or pellets surrounded by a distinct coating layer, e.g. coated microspheres, coated drug crystal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1/00—Devices for introducing or retaining media, e.g. remedies, in cavities of the body
- A61M31/002—Devices for releasing a drug at a continuous and controlled rate for a prolonged period of tim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5—Communicatio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6—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related to heating or cooling
- A61M2205/3673—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related to heating or cooling thermo-electric, e.g. Peltier effect, thermocouples, semi-conduct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체 내의 표재 질환 등의 목적 부위에 직접적으로 근접시킬 수 있는 캡슐형 투약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투약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약제 유지부 및 회로 유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약제 유지부와 회로 유지부 사이에 차단벽이 설치된 캡슐형 투약 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로 유지부는, 상기 회로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 외부로부터 약제 방출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통신부, 및 상기 약제 방출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약제 유지부에는 약제 방출을 위한 약제 방출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차단벽의 제1 표면에는 가열부 및 상기 가열부에 적층된 기포생성막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형 투약 장치가 제공된다.
캡슐, 투약, 가열, 히터, 기포, 토출 헤드
Description
본 발명은, 생체 내의 표재 질환(superficial disorder) 등의 환부에 대하여 투약을 수행하기 위한 캡슐형 투약 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생체 내의 표재 질환 등의 목적 부위에 직접적으로 근접시킬 수 있는 캡슐형 투약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투약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환자에 대하여 약제의 과잉 투여, 부작용을 억제하여, 보다 안전하고 또한 효과적으로 약품을 투여하는 수단으로서, 약제 송달 시스템(DDS; Drug Delivery System)이 주목받고 있다.
상기 약제 송달 시스템은 의약품의 생물활성, 부작용, 환부에의 표적 지향(targeting), 약제의 방출 제어(control release), 약제의 흡수 개선, 약제의 화학적 안정성 및 대사활성 등을 조정하여, 생체 내의 표재 질환에 대하여 필요한 양의 약제를 필요한 시간만큼 작용시켜, 약제를 보다 효과적으로 사용하는 것이다.
이 약제 송달 시스템은 질환 종류에 따라서 이용되는 기술이 다르며, 예컨대 환부인 표재 질환이 악성 종양인 경우에는 표적 지향, 방출 제어 등의 기술이 요구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표재 질환을 특정하기 위해서는, 예컨대 X선 CT 장치, MRI 장치(자기 공명 촬상 장치), 핵의학 장치(감마 카메라, SPECT나 PET), 초음파 진단 장치, 내시경 장치 등의 각종 진단 장치에서 얻을 수 있는 정보를 기초로 하여 의사 등이 환부를 특정하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최근, 환자에게 부담을 주지 않고 상술한 표재 질환이나 건강 상태를 검사하기 위한 것으로, 생체 내에 경구 투입되는 캡슐형 의료 장치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종류의 캡슐형 의료 장치는 여러 가지의 것이 제공되어 있으며, 예컨대 생체 내의 각부를 무작위적으로 촬영하는 것이나, 생체 내에서 샘플 등을 채취하는 것이나, 약제를 방출하는 것 등이 알려져 있다.
약제 방출 캡슐과 관련해서, 초음파를 이용한 것이 알려져 있지만, 이는 별도의 초음파 구동 장치를 필요로 하여 비용이 비싸고 구조가 복잡하여 소형화하기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비용이 저렴하고 구조가 단순한 캡슐형 투약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르면, 약제 유지부 및 회로 유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약제 유지부와 회로 유지부 사이에 차단벽이 설치된 캡슐형 투약 장치를 제공하고, 회로 유지부는, 회로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 외부로부터 약제 방출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통신부, 및 약제 방출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고, 약제 유지부에는 약제 방출을 위한 약제 방출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차단벽의 제1 표면에는 가열부 및 상기 가열부에 적층된 기포생성막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형 투약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캡슐형 투약 장치에서,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로부터의 약제 방출 신호 수신에 기반하여 상기 가열부를 가열한다. 약제 방출구는 상기 가열부가 가열되기 이전 상태에서 폐쇄되어 있다가, 가열부가 가열되면 약제 유지부 내부의 팽창에 의해 방출구가 개방되어 약제가 방출된다. 이때, 기포생성막은 상기 가열부의 가열에 따라 기포를 생성함에 따라 약제의 방출을 촉진할 수 있다. 또한, 기포생성 막은 가열시 기포를 생성할 수 있는 질소 또는 산소를 포함한 물질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따르면, 약제 유지부 및 회로 유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약제 유지부와 회로 유지부 사이에 차단벽이 설치된 캡슐형 투약 장치에 있어서, 회로 유지부는, 상기 회로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 외부로부터 약제 방출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통신부, 및 약제 방출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고, 약제 유지부에는 박막으로 밀폐된 복수의 약제 방출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차단벽의 제1 표면에는 가열부가 형성된 캡슐형 투약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로부터의 약제 방출 신호 수신에 기반하여 상기 가열부가 가열된다. 약제 방출구는 가열부가 가열되기 이전 상태에서 폐쇄되어 있고, 가열부가 가열되면 약제의 가열에 의해 상기 박막이 열에 의해 파괴되어 약제 방출구가 개방되고, 약제의 가열에 의해 생성되는 기포에 의해 약제가 방출구를 통해 방출되게 된다.
또한, 상기 가열부의 상측으로 기포생성막이 더 형성되어 가열부의 가열에 따라 기포가 생성되어 약제의 방출이 더욱 촉진될 수 있다. 또한 기포생성막은 탄화수소계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통신부는 캡슐의 위치 정보를 외부로 송출하도록 구성되어 캡슐의 투약된 캡슐의 위치를 오퍼레이터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제3 양태에 따르면, 약제 유지부 및 회로 유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약제 유지부와 회로 유지부 사이에 차단벽이 설치된 캡슐형 투약 장치에 있어서, 회로 유지부는, 회로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 외부로부터 약제 방출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통신부, 및 약제 방출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고, 약제 유지부의 일단에는 약제 분사 헤드가 형성되어 있는 캡슐형 투약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약제 분사 헤드는 잉크젯 분사 헤드의 원리에 따른 열전사 분사 방식 또는 피에조 분사 방식에 의해 상기 약제 유지부 내의 약제를 분사하도록 구성된다.
열전사 분사 방식을 채용한 경우, 노즐에 미리 형성된 저항체에 전류를 가하면 저항체가 급격히 발열하면서 액상 약재 내에 기포가 형성되게 되고, 약재가 기포에 밀료 노즐 밖으로 토출된다. 노즐에 형성된 기포 방울이 터지면 노즐 안이 순간적으로 진공이 되어 약재 유지부 내의 약제가 다시 노즐로 빨려 들어오게 된다.
반면 압전 소자 분사 방식을 채용한 경우, 노즐의 상부에 압전 소자를 설치해두고, 압전 소자에 전기를 가하면 압전 소자가 진동하게 되어 압전 소자가 팽창 함에 따라 압전 소자 하부의 액상 약재를 노즐 밖으로 밀어내고, 다시 압전 소자가 축소됨에 따라 약재 유지부 내의 약재가 빨려 들어오게 된다.
이러한 잉크젯 분사 헤드와 유사한 약제 분사 헤드를 사용하는 경우, 환부로 투여되는 약제의 양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질 수 있다. 또한, 통신부는 캡슐의 위치 정보를 외부로 송출하도록 구성되어 캡슐의 투약된 캡슐의 위치를 오퍼레이터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좋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비용이 저렴하고 구조가 단순한 캡슐형 투약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는 작용효과가 얻어진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1 실시예)
도 1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캡슐형 투약 장치(10)의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제1 실시예에 따른 캡슐형 투약 장치(10)는 케이싱(11) 내부에 액상 약체가 유지되어 있는 약재 유지부(a)와 캡슐형 투약 장치의 구동에 필요한 회로부가 탑재되는 회로 유지부(b)를 포함한다.
케이싱(11)은 플라스틱 등으로 내부의 약재 유지부(a)와 회로 유지부(b)를 밀폐하도록 형성된다. 약재 유지부(a)와 회로 유지부(b)는 차단벽(12)에 의해 막혀져 있어 약재 유지부(a) 내의 액상 약재가 회로 유지부(b)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되어 있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재 유지부(a)의 케이싱(11) 일단에는 약재 방출구(11a)가 형성되어 있다. 이 약재 방출구(11a)는 평상시에는 점선의 화살표로 나타낸 방향으로 힘을 받도록 상호 작용하여 내부의 약재를 유지하고 있다. 또한, 차단벽(12)의 약제 유지부측 상에는 가열부(14) 또는 히터(14)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가열부(14)의 상측으로 기포생성막(13)이 형성되어 있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싱(11) 내의 약재 유지부(a)의 반대측에는 회로 유지부(b)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회로 유지부(b)에는 외부의 오퍼레이터로부터 방출 신호를 수신하고, 또한 캡슐의 현재 위치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통신부(16)와, 상기 통신부가 방출 신호를 수신했을 때 약제 방출 처리를 수행하는 제어부(15) 및 이들 회로 구성품들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7)가 실장되어 있다. 전원공급부(17)로서 소형의 배터리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제1 실시예에서의 투약 동작은 다음과 같이 진행된다.
먼저, 환자의 환부 및 환부의 위치를 X선 컴퓨터 단층 촬영 장치, MRI, PET, 초음파 장치 등을 통해 파악하고, 캡슐형 투약 장치(10)를 환자의 경부를 통해 투입한다. 투약된 캡슐형 투약 장치(10)의 통신부로부터 전송되는 캡슐형 투약 장치의 위치를 이용하여 캡슐형 투약 장치(10)를 투약이 필요하다고 판단된 위치로 이동시킨다. 캡슐형 투약 장치의 이동에 대한 기술은 당업자에게 공지된 기술이므로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투약이 필요하다고 판단된 환부에 캡슐형 투약 장치(10)가 도달된 경우, 오퍼레이터는 외부의 리모콘이나 진단 장치에 설치된 조작 패널을 통해 약재 방출 신호를 송출한다. 캡슐형 투약 장치(10)의 통신부(16)에서 외부로부터의 약재 방출 신호를 수신하면, 통신부(16)에서는 약재 방출 신호를 수신했음을 제어부(15)에 통지한다. 약재 방출 신호가 수신되었음을 확인한 제어부(15)는 전원공급부(17)를 통해 가열부(14)에 전류를 인가하여 가열부(14) 또는 히터(14)를 가열시킨다.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열부(14)가 순간적으로 가열됨에 따라 액상 약제가 가열되어 기포가 생성될 뿐만 아니라, 가열부 위쪽에 적층되어 형성된 기포생성막(13)이 가열로 인해 파괴되어 기포가 생성되고, 약제 유지부(a)의 내부 압력이 상승하게 된다.
도 1a 및 도 1b에 표시된 것 처럼, 약재 방출구(11a)를 형성하는 케이싱 부분은 그 끝단이 테이퍼진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끝단 부분으로 갈수록 기포로 인한 압력에 의해 취약하게 되어,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끝단 부분이 압력으로 인해 벌어져서 개방되게 되고, 생성되는 기포와 함께 약재가 캡슐 외부로 방출되게 된다. 상기 기포생성막(13)은 가열시 기포를 생성할 수 있는 물질막이라면 어떤 것이라도 사용가능하지만, 인체에 위해하지 않은 질소 또는 산소를 포함한 물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열부(100)의 가열온도는 상기 기포생성막(13) 및 상기 액상 약재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지만, 통상적으로 100℃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제1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각종 변경 및 변경이 가능하다.
(제2 실시예)
도 2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캡슐형 투약 장치(20)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캡슐형 투약 장치(10)는 캡슐의 단부쪽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복수의 약재 방출구(21a)를 포함하고, 약재 방출구(21a)의 하방으로 얇은 박막(21b)이 형성되어 내부의 액상 약재가 캡슐 외부로 누출되는 것이 방지되고 있다.
도 2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캡슐형 투약 장치(20)의 내부 단면도로서, 도 2b를 참조하면, 캡슐형 투약 장치(20)는 케이싱(21) 내부에 액상 약체가 유지되어 있는 약재 유지부(a)와 캡슐형 투약 장치의 구동에 필요한 회로부가 탑재되는 회로 유지부(b)를 포함한다.
케이싱(21)은 플라스틱 등으로 내부의 약재 유지부(a)와 회로 유지부(b)를 밀폐하도록 형성된다. 약재 유지부(a)와 회로 유지부(b)는 차단벽(22)에 의해 막혀져 있어 약재 유지부(a) 내의 액상 약재가 회로 유지부(b)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되어 있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재 유지부(a)의 케이싱(21) 외주면을 따라 복수의 약재 방출구(21a)가 형성되어 있다. 약재 방출구(21a)의 내측에는 박막(21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차단벽(22)의 약제 유지부측 상에는 가열부(22) 또는 히터(22)가 설치되어 있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싱(21) 내의 약재 유지부(a)의 반대측 에는 회로 유지부(b)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회로 유지부(b)에는 외부의 오퍼레이터로부터 방출 신호를 수신하고, 또한 캡슐의 현재 위치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통신부(26)와, 상기 통신부가 방출 신호를 수신했을 때 약제 방출 처리를 수행하는 제어부(25) 및 이들 회로 구성품들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27)가 실장되어 있다. 전원공급부(27)로서 소형의 배터리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제2 실시예에서의 투약 동작은 다음과 같이 진행된다.
먼저, 환자의 환부 및 환부의 위치를 X선 컴퓨터 단층 촬영 장치, MRI, PET, 초음파 장치 등을 통해 파악하고, 캡슐형 투약 장치(20)를 환자의 경부를 통해 투입한다. 투약된 캡슐형 투약 장치(20)의 통신부로부터 전송되는 캡슐형 투약 장치의 위치를 이용하여 캡슐형 투약 장치(20)를 투약이 필요하다고 판단된 위치로 이동시킨다.
투약이 필요하다고 판단된 환부에 캡슐형 투약 장치(20)가 도달된 경우, 오퍼레이터는 외부의 리모콘이나 진단 장치에 설치된 조작 패널을 통해 약재 방출 신호를 송출한다. 캡슐형 투약 장치(20)의 통신부(26)에서 외부로부터의 약재 방출 신호를 수신하면, 통신부(26)에서는 약재 방출 신호를 수신했음을 제어부(25)에 통지한다. 약재 방출 신호가 수신되었음을 확인한 제어부(25)는 전원공급부(27)를 통해 가열부(24)에 전류를 인가하여 가열부(24) 또는 히터(24)를 가열시킨다.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열부(24)가 순간적으로 가열됨에 따라 액상 약제가 가열되어 기포가 생성되고, 그 압력으로 인해 약제 유지부(a)의 내부 온도 및 압력이 상승하게 되며, 상승된 내부 온도 및 압력으로 인해 방출구(21a)에 형성됨 박막(21b)이 파괴되어 생성된 기포와 함께 약재가 캡슐 외부로 방출된다.
또한,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기포생성막(13)이 상기 가열부(24)의 상층에 더 적층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가열부(24) 상에 기포생성막(13)이 더 형성된 경우, 가열부(14)가 순간적으로 가열됨에 따라 액상 약제가 가열되어 기포가 생성될 뿐만 아니라, 가열부 위쪽에 적층되어 형성된 기포생성막(13)이 가열로 인해 파괴되어 기포가 생성되어 약제 유지부(a)의 내부 압력이 더욱 상승하게 되고, 이로 인해 박막(21b)의 파괴 및 액상 약재의 방출을 더욱 촉진할 수 있음이 자명하다.
상기 기포생성막(13)은 가열시 기포를 생성할 수 있는 물질막이라면 어떤 것이라도 사용가능하지만, 인체에 위해하지 않은 질소 또는 산소 물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열부(100)의 가열온도는 상기 기포생성막(13) 및 상기 액상 약재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지만, 통상적으로 100℃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제2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각종 변경 및 변경이 가능하다.
(제3 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캡슐형 투약 장치(30)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캡슐형 투약 장치(30)는 캡슐의 단부쪽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복수의 약재 방출구에 설치된 약재 분사 헤드를 포함한다.
캡슐형 투약 장치(30)는 케이싱(31) 내부에 액상 약체가 유지되어 있는 약재 유지부(a)와 캡슐형 투약 장치의 구동에 필요한 회로부가 탑재되는 회로 유지부(b)를 포함한다.
케이싱(31)은 플라스틱 등으로 내부의 약재 유지부(a)와 회로 유지부(b)를 밀폐하도록 형성된다. 약재 유지부(a)와 회로 유지부(b)는 차단벽(22)에 의해 막혀져 있어 약재 유지부(a) 내의 액상 약재가 회로 유지부(b)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재 유지부(a)의 케이싱(21)의 일단에는 약재 분사 헤드(34)가 형성되고 동작시 약재 분사 헤드에 설치된 분사 노즐(34a)을 통해 약재가 분사된다.
상기 케이싱(21) 내의 약재 유지부(a)의 반대측에는 회로 유지부(b)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회로 유지부(b)에는 외부의 오퍼레이터로부터 방출 신호를 수신하고, 또한 캡슐의 현재 위치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통신부(36)와, 상기 통신부가 방출 신호를 수신했을 때 약제 방출 처리를 수행하는 제어부(35) 및 이들 회로 구성품들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37)가 실장되어 있다. 전원공급부(37)로서 소형의 배터리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제3 실시예에서의 투약 동작은 다음과 같이 진행된다.
먼저, 환자의 환부 및 환부의 위치를 X선 컴퓨터 단층 촬영 장치, MRI, PET, 초음파 장치 등을 통해 파악하고, 캡슐형 투약 장치(30)를 환자의 경부를 통해 투입한다. 투약된 캡슐형 투약 장치(30)의 통신부로부터 전송되는 캡슐형 투약 장치의 위치를 이용하여 캡슐형 투약 장치(30)를 투약이 필요하다고 판단된 위치로 이동시킨다.
투약이 필요하다고 판단된 환부에 캡슐형 투약 장치(30)가 도달된 경우, 오퍼레이터는 외부의 리모콘이나 진단 장치에 설치된 조작 패널을 통해 약재 방출 신 호를 송출한다. 캡슐형 투약 장치(30)의 통신부(36)에서 외부로부터의 약재 방출 신호를 수신하면, 통신부(36)에서는 약재 방출 신호를 수신했음을 제어부(35)에 통지한다. 약재 방출 신호가 수신되었음을 확인한 제어부(35)는 전원공급부(27)를 통해 약재 분사 헤드(34)에 구동 신호를 전달하여 약재 분사 헤드(34)의 노즐(34a)을 통해 약재가 분사된다.
약재 분사 헤드의 분사 방식은 종래의 잉크젯 프린터의 잉크 토출 방식인 열전사 분사 방식 또는 피에조 분사 방식에 의해 상기 약제 유지부 내의 약제를 분사한다.
이상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제3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각종 변경 및 변경이 가능하다.
도 1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캡슐형 투약 장치의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캡슐형 투약 장치에 있어서 약물 토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캡슐형 투약 장치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캡슐형 투약 장치의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c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캡슐형 투약 장치에 있어서 약물 토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c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캡슐형 투약 장치의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Claims (16)
- 약제 유지부 및 회로 유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약제 유지부와 회로 유지부 사이에 차단벽이 설치된 캡슐형 투약 장치에 있어서,상기 회로 유지부는,상기 회로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외부로부터 약제 방출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통신부, 및상기 약제 방출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고,상기 약제 유지부에는 약제 방출을 위한 약제 방출구가 형성되어 있으며,상기 차단벽의 제1 표면에는 가열부 및 상기 가열부에 적층된 기포생성막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형 투약 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로부터의 약제 방출 신호 수신에 기반하여 상기 가열부를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형 투약장치.
- 제2항에 있어서,상기 약제 방출구는 상기 가열부가 가열되기 이전 상태에서 폐쇄되어 있고, 상기 가열부가 가열되면 약제 유지부의 팽창에 의해 방출구가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형 투약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기포생성막은 상기 가열부의 가열에 따라 산소를 포함한 기포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형 투약장치.
- 제4항에 있어서,상기 기포생성막은 질소 또는 산소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형 투약장치.
- 약제 유지부 및 회로 유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약제 유지부와 회로 유지부 사이에 차단벽이 설치된 캡슐형 투약 장치에 있어서,상기 회로 유지부는,상기 회로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외부로부터 약제 방출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통신부, 및상기 약제 방출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고,상기 약제 유지부에는 박막으로 밀폐된 복수의 약제 방출구가 형성되어 있으며,상기 차단벽의 제1 표면에는 가열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형 투약 장치.
- 제6항에 있어서,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로부터의 약제 방출 신호 수신에 기반하여 상기 가열부를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형 투약장치.
- 제7항에 있어서,상기 약제 방출구는 상기 가열부가 가열되기 이전 상태에서 폐쇄되어 있고, 상기 가열부가 가열되면 약제의 가열에 의해 상기 박막이 파괴되어 상기 약제 방출구가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형 투약장치.
- 제6항에 있어서,상기 가열부의 상측으로 기포생성막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형 투약 장치.
- 제9항에 있어서,상기 기포생성막은 상기 가열부의 가열에 따라 기포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형 투약장치.
- 제10항에 있어서,상기 기포생성막은 질소 또는 산소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형 투약장치.
- 제6항에 있어서,상기 통신부는 캡슐의 위치 정보를 외부로 송출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느 투약 장치.
- 약제 유지부 및 회로 유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약제 유지부와 회로 유지부 사이에 차단벽이 설치된 캡슐형 투약 장치에 있어서,상기 회로 유지부는,상기 회로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외부로부터 약제 방출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통신부, 및상기 약제 방출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고,상기 약제 유지부의 일단에는 약제 분사 헤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형 투약 장치.
- 제13항에 있어서,상기 약제 분사 헤드는 열전사 분사 방식 또는 피에조 분사 방식에 의해 상기 약제 유지부 내의 약제를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형 투약 장치.
- 제14항에 있어서,상기 캡슐형 투약 장치는 캡슐의 위치 정보를 외부로 송출하도록 구성된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형 투약 장치.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132102A KR101068035B1 (ko) | 2008-12-23 | 2008-12-23 | 캡슐형 투약 장치 및 그 투약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132102A KR101068035B1 (ko) | 2008-12-23 | 2008-12-23 | 캡슐형 투약 장치 및 그 투약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73431A KR20100073431A (ko) | 2010-07-01 |
KR101068035B1 true KR101068035B1 (ko) | 2011-09-28 |
Family
ID=426363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132102A KR101068035B1 (ko) | 2008-12-23 | 2008-12-23 | 캡슐형 투약 장치 및 그 투약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68035B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168680A (ja) * | 1991-12-03 | 1993-07-02 | Olympus Optical Co Ltd | 医療用カプセル装置 |
KR100457752B1 (ko) | 2002-07-15 | 2004-12-08 |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 체내 무선 텔레메트리 캡슐의 자기장 원격 구동 시스템 |
US20070248661A1 (en) | 2004-07-13 | 2007-10-25 | Fachhochschule Jena | Capsule for Releasing Agents Contained Therein at Defined Points In a Body |
-
2008
- 2008-12-23 KR KR1020080132102A patent/KR10106803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168680A (ja) * | 1991-12-03 | 1993-07-02 | Olympus Optical Co Ltd | 医療用カプセル装置 |
KR100457752B1 (ko) | 2002-07-15 | 2004-12-08 |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 체내 무선 텔레메트리 캡슐의 자기장 원격 구동 시스템 |
US20070248661A1 (en) | 2004-07-13 | 2007-10-25 | Fachhochschule Jena | Capsule for Releasing Agents Contained Therein at Defined Points In a Body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73431A (ko) | 2010-07-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325239B2 (ja) | 流体運搬システム、流体運搬装置、及び危険性流体を搬送する方法 | |
US8048019B2 (en) | Multiple nozzle transdermal drug delivery system | |
JP5528810B2 (ja) | 消化管において薬品を放出するための飲み込み可能なマルチノズルの投薬デバイス | |
US20150164734A1 (en) | System and Method for Cosmetic Enhancement of Lips | |
KR101886217B1 (ko) | 패치형 능동 약물전달 시스템 | |
JP2010501237A (ja) | 圧電アクチュエータを備える薬品供給装置 | |
EP3677296B1 (en) | Microjet drug injection device equipped with backflow prevention valve | |
US20040260234A1 (en) | Apparatus and methods for repetitive microjet durg delivery priority statement | |
JP5883330B2 (ja) | コリメートされたガス流及び粒子源を用いる送達機器及び方法 | |
JP2018519060A5 (ko) | ||
RU2009135627A (ru) |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доставки лекарственного средства | |
CN100560157C (zh) | 超声波药贴 | |
JP4842807B2 (ja) | カートリッジ付きの医薬マイクロデバイス給送システム | |
CN111655324B (zh) | 鼻内施用装置 | |
KR101068035B1 (ko) | 캡슐형 투약 장치 및 그 투약 방법 | |
US20060079841A1 (en) | Rapid insufflation drug compartment | |
KR101978554B1 (ko) | 비강-뇌 약물전달장치 | |
KR101947505B1 (ko) | 초음파를 이용한 약물 및 화장품 주입 장치 | |
KR101902390B1 (ko) | 초음파를 이용한 약물 및 화장품 주입 장치 | |
EP3380184B1 (en) | Apparatus for transdermal medicament delivery | |
CN1777452A (zh) | 进行反复微射流药物递送的设备和方法 | |
KR20200039206A (ko) | 무바늘 무통 주사 장치 | |
JP2006087597A (ja) | 薬液噴射装置 | |
JP2012223560A (ja) | コリメートされたガス流及び放出活性化テープを用いる薬剤送達機器及び方法 | |
WO2020008483A1 (en) | Injective administration system by using a syringe without needle that is guided by echography and related process of injection of medicines and immunostimulants by intralymphatic way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708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920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921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920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923 Year of fee payment: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