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2390B1 - 초음파를 이용한 약물 및 화장품 주입 장치 - Google Patents

초음파를 이용한 약물 및 화장품 주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2390B1
KR101902390B1 KR1020160069651A KR20160069651A KR101902390B1 KR 101902390 B1 KR101902390 B1 KR 101902390B1 KR 1020160069651 A KR1020160069651 A KR 1020160069651A KR 20160069651 A KR20160069651 A KR 20160069651A KR 101902390 B1 KR101902390 B1 KR 1019023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g
case
housing
absorber
ultrason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96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37471A (ko
Inventor
박상해
Original Assignee
박상해
주식회사 티앤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상해, 주식회사 티앤티 filed Critical 박상해
Priority to KR10201600696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2390B1/ko
Publication of KR201701374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74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23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23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61M37/0092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vibrations, e.g. phonophore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1/00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 A61M11/005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using ultrason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1/00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 A61M11/02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operated by air or other gas pressure applied to the liquid or other product to be sprayed or atomised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20Additional enhancing means
    • A45D2200/207Vibration, e.g. ultrasoun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61M2037/0007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having means for enhancing the permeation of substances through the epidermis, e.g. using suction or depression, electric or magnetic fields, sound waves or chemical ag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Dermatology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초음파를 이용한 약물 주입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초음파 에너지를 이용하여 환부에 도포된 약물을 비침습적으로 투약시킬 뿐만 아니라, 전원의 공급 주기 및 전위를 변경시켜 약물의 투약 깊이를 조절할 수 있고, 투입되는 약물의 종류를 시술자가 환자의 환부 상태에 따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별도의 약물 투입부와 약물 투입부에 장착되는 약물케이스가 구비된 초음파를 이용한 약물 주입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초음파를 이용한 약물 및 화장품 주입 장치 {DRUG AND COSMETIC DELIVERY DEVICE BY USING ULTRASONIC WAVES}
본 발명은 초음파를 이용한 약물 주입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초음파 에너지를 이용하여 환부에 도포된 약물을 비침습적으로 투약시킬 뿐만 아니라, 전원의 공급 주기 및 전위를 변경시켜 약물의 투약 깊이를 조절할 수 있고, 투입되는 약물의 종류를 시술자가 환자의 환부 상태에 따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별도의 약물 투입부와 약물 투입부에 장착되는 약물케이스가 구비된 초음파를 이용한 약물 및 화장품 주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약물은 적용이 편리하며 약리효과가 최적으로 발현될 수제형으로 가공된 후 여러 경로로 생체에 투여된다. 또한, 그 투여된 약물은 제형으로 방출된 후 흡수되고 혈류를 따라 각 장기로 분포된 후 대사 및 요중 배설로 소실 된다. 그리고, 약물의 약리 효과는 생체내 작용 부위에 도달한 약물에 의해 약효과 발휘되고 다른 부위로 가는 약물은 주로 부작용의 원인이 되며, 일반 약물의 약효는 혈중 약물 농도에 비례하여 나타나므로 다양한 제제학적 기술로 혈중농도 곡선의 모양을 조절할 필요가 있다. 물론, 항암제, 유전자 물질 또는 정상 조직으로 이행 되었을 때 부작용이 심한 약물은 혈정농도 조절보다는 특수한 기술을 이용하여 표적부위로의 약물 전달로 극대화시킬 필요가 있었다.
그러나, 종래에 약물을 체내에 침투시키는 방법은 구강을 통해 투여하는 방법과 구강 투여가 어려운 약물 또는 국소적용이 요구되는 부위에 투여하기 위한 주사가 있으나, 구강에 의해 투여되는 방법은 그 침투성이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약물이 흡수된 후 혈류를 따라 각 장기로 분포되는 도중 부작용의 제일 큰 원인인 다른 부위로 흡수되는 경우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주사의 경우, 투여시 사용자에게 고통을 느끼게 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약물 투여를 꺼리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약물 치료를 안정적이고 효과적으로 발현하고 약물을 가능한 작용부위에 선택적으로 작용할 수 있도록 약물의 생체내 거동을 각종 기술로 제어할 필요가 있으며, 약물을 체내에 주입시키기 위한 비침습적인 방법으로 DDS(Drug Delivery System), TDS(Transdermal Delivery System) 중 의학산업 등의 여러 분야에서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는 초음파를 이용하였다. 이 때, 초음파란 인간이 들을 수 없을 정도의 빠르기로 진동하는 음으로 1MHz 이상의 주파수를 가진다.
종래의 초음파 에너지를 이용한 장치로는 피부 미용기가 있으며, 이는 압전 소자와 피부 미용 젤을 이용하여 피부에 마사지를 하는 목적으로 이용되고 있으며, 주로 1MHz/3MHz의 압전 소자와 초음파 혼을 이용하여 초음파 진동의 공진 점에서 미세한 진동을 통해 1초당 백만번씩 세포 하나씩 자극하는 시스템으로 혈액순환과 체내 심부의 온열작용으로 피부미용에 도움을 준다. 초음파 혼의 공진시 발생하는 액체의 무화 현상을 이용하여 피부미용 젤을 피부 표면에 도포 하도록 되어 있었다.
그러나, 주로 1MHz/3MHz의 압전 소자를 이용하여 미용의 효과를 위해 사용되는 종래의 초음파 에너지를 이용한 피부 미용기는 피부 표면에 진동 효과를 침투시켜 마사지 효과, 온열 효과, 세정효과 및 안면부와 전신의 피부에 화장품의 흡수 효과를 높이기 위해 사용되었으나, 관절염, 각종 동통 등의 발병 부위에 직접적으로 약물을 전달하지는 못하였다. 즉, 종래의 초음파 미용기의 경우에는 표피층에만 작용할 뿐 체내에 약물을 전달하는 용도로 사용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환자의 환부에 따라 선택적으로 약물을 도포할 수 있고, 초음파의 진동으로 인해 약물을 미세한 입자로 분리하여 도포된 약물의 침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초음파 약물 및 화장품 주입 장치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10-2003-0080506호 초음파 에너지를 이용한 약물 주입 장치. 10-2009-0084867호 약물주입장치. 10-1022201호 경피약물전달 촉진을 위한 초음파 장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초음파의 진동으로 인해 투입되는 약물을 미세한 입자로 나눈 후 일정한 압력을 가지도록 분사하여 피부를 통해 흡수되는 약물의 침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초음파 약물 및 화장품 주입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환자의 환부의 치료 진행 상태 또는 환부의 종류에 따라 환자의 환부 상태에 맞게 시술자가 약물을 선택하여 주입시킬 수 있도록 별도의 약물 주입부와 약물케이스가 구비되어 치료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는 초음파 약물 및 화장품 주입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초음파를 이용한 약물 및 화장품 주입장치는 내부에 약물이 수용되는 약물케이스(100); 내부에 수용공간(S1)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S1)과 연통되며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로드(210) 및 상기 유입로드(210)로 유입된 유체가 배출되는 분사구(220)를 포함하는 하우징(200); 상기 유입로드(210)로 약물을 주입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200)의 일측에 탈부착되며, 내부에 상기 유입로드(210)로 약물을 전달하는 약물주입로(310) 및 상기 약물주입로(310)로 약물을 공급하기 위해 상기 약물케이스(100)가 장착되는 케이스 수용부(S2)가 형성되는 약물 주입부(300); 상기 수용공간(S1)에 삽입되어 상기 유입로드(210)로 유입되는 약물을 흡수하는 약물흡수체(400); 상기 약물흡수체(400)가 흡수한 약물이 미세한 입자로 나뉘어 상기 분사구(220)를 통해 외부로 분사되도록 상기 약물흡수체(400)에 초음파 진동을 전달하는 초음파 진동자(510)가 구비된 초음파 하우징(5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약물흡수체(400)는 상기 약물을 일정량 흡수하는 약물흡수부(420)와 상기 약물흡수부(42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초음파 진동자(510)로부터 생성된 진동을 흡수하여 상기 약물흡수부(420)에 포함된 약물에 진동을 전달하는 진동전달부(410)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하우징(200)은 상기 분사구(220)가 구비되는 제1 하우징(230); 상기 제1 하우징(230)과 탈부착 되도록 결합되며, 일측에 상기 유입로드(210)가 돌출 형성되는 제2 하우징(240); 일측이 상기 제2 하우징(240)과 탈부착 되도록 결합되며, 상기 약물흡수체(400)의 일측이 삽입 고정되며, 타측에 상기 초음파 하우징(500)과 결합되어 상기 약물흡수체(400)에 초음파 진동을 전달하는 제3 하우징(250);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3 하우징(250)에는 상기 제3 하우징(250)의 외부로 확산되는 초음파 진동을 일정한 영역으로 안내하기 위한 진동전달패드(6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약물주입로(310)와 인접한 상기 약물 주입부(300)의 일측에는 안내돌기(320)가 돌출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고정돌기(330)가 형성되되, 상기 제2 하우징(240)의 측면에는 상기 약물주입로(310)와 상기 유입로드(210)가 상호 어긋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안내돌기(320)가 삽입되는 안내홈(241)이 형성되고, 상기 초음파 하우징(500)의 외측에는 상기 안내돌기(320)가 상기 안내홈(241)에 삽입되기 전 상기 약물 주입부(300)의 장착 위치를 안내하기 위해 상기 고정돌기(330)가 삽입되는 고정돌기 결합부(510)가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케이스 수용부(S2) 내부에는 상기 약물케이스(100)의 일측을 탄성지지하는 푸쉬로드(700)와 상기 푸쉬로드(700)와 마주보며 상기 약물케이스(100)로부터 배출되는 약물이 약물주입로(310)의 유입부로부터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약물케이스(100)의 타측을 지지하는 케이스 안내판(800)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 수용부(S2) 내부에는 상기 약물케이스(100)의 일측을 탄성지지하는 푸쉬로드(700)와 상기 푸쉬로드(700)와 마주보며 상기 약물케이스(100)의 타측을 지지하는 케이스 안내판(800)이 구비되되, 상기 케이스 안내판(800)에는 상기 약물케이스(100) 내부에 수용된 약물을 상기 약물주입로(310)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약물케이스(100)를 관통하며 상기 약물주입로(310)와 연통되는 관통핀(810)이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 수용부 내부에는 상기 관통핀(810)이 삽입된 상기 약물케이스(100)에서 약물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케이스 안내판(800)의 타측을 탄성 지지하는 제1 탄성부재(820)가 더 구비된다.
본 발명은 초음파의 진동을 이용하여 피부에 분사된 약물의 흡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과, 환자의 환부 상태 및 조건에 따라 시술자가 원하는 약물을 선택할 수 있는 추가적인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약물이 미스트(Mist) 형상으로 나뉠 때 반응하는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약물을 일정량 흡수할 수 있는 약물흡수체가 구비되며, 약물흡수체의 탈부착 및 하우징의 관리가 용이하도록 하우징이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분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약물케이스에서 약물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푸쉬로드 및 케이스 안내판을 구비하였으며, 약물 주입부가 쉽게 탈부착 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초음파를 이용한 약물 및 화장품 주입장치의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하우징의 일실시예와 초음파를 이용한 약물 주입장치의 주요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내부 구조 및 약물 주입부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하우징 및 제1 하우징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약물 주입부의 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및
도 6은 본 발명의 약무 주입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성요소들은 실제 응용에서 구현될 때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도면 전체를 통하여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였고,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전술한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으로 대체되어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초음파를 이용한 약물 및 화장품 주입장치의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하우징의 일실시예와 초음파를 이용한 약물 주입장치의 주요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내부 구조 및 약물 주입부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하우징 및 제1 하우징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약물 주입부의 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및 도 6은 본 발명의 약무 주입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주입 장치는, 약물케이스(100), 하우징(200), 약물 주입부(300), 및 초음파 하우징(500)을 포함할 수 있다.
약물케이스(100)는 내부에 피부 전달 물질이 수용/보관할 수 있다. 피부 전달 물질은 약물, 화장품 등과 같이 피부의 최외곽 층인 표피에 전달될 물질, 또는 피부를 얕게 투과하여 경피에 전달될 물질 등을 의미한다.
약물케이스(100)는 내부가 중공된 원통형상으로 일측이 개방된 형상일 수 있다. 약물케이스(100)의 개방된 일측에는 피부 전달 물질(이하 '약물')이 배출될 수 있는 캡이 구비될 수 있다.
하우징(200)은 내부에 소정의 직경을 갖는 원통형의 수용공간(S1)이 형성될 수 있다. 수용공간(S1)은 일측이 개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200)은 좌우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이에 따라 수용공간(S1)도 동일하게 연장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200)은 외측에 수용공간(S1)과 연통되며 유체가 유입될 수 있는 유입홀(211)을 갖는 유입로드(210)를 구비할 수 있다.
하우징(200)은 일측에 유입로드(210)로 유입된 유체가 배출되는 분사구(220)를 구비할 수 있다. 분사구(220)는 수용공간(S1)의 개방된 공간과 인접한 곳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수용공간(S1)으로 이송된 유체가 분사구(220)를 통해 외부로 분사/배출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분사구(220)는 수용공간(S1)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을 가지도록 개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5를 참조하면, 분사구(220)는 노즐 형태의 형성될 수 있다. 노즐 형상의 분사구(220)는 약물이 분출될 때, 고압으로 분출되도록 할 수 있다.
약물 주입부(300)는 수용공간(S1)으로 약물을 공급할 수 있다. 약물 주입부(300)는 유입로드(210)로 약물을 주입하기 위해 하우징(200)의 일측에 탈부착될 수 있다.
약물 주입부(300)는, 내부에, 케이스 수용부(S2) 및 약물주입로(310)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 수용부(S2)는 약물케이스(100)를 장착할 수 있다. 약물주입로(310)는 케이스 수용부(S2)와 연통되며, 약물케이스(100)의 약물을 유입로드(210)로 전달할 수 있다. 약물주입로(310)는 약물 주입부(300) 내측에 소정의 직경을 가지며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 수용부(S2)에 약물케이스(100)가 장착되면, 약물케이스(100)로부터 약물이 흘러나와 약물주입로(310) 및 유입로드(210)를 거쳐 분사구(220)로 배출될 수 있다.
약물흡수체(400)는 하우징(200)의 수용공간(S1)에 삽입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약물흡수체(400)는 유입로드(210)로 유입되는 약물을 일정량 흡수할 수 있다.
약물흡수체(400)는 약물흡수부(420)와 진동전달부(410)를 포함할 수 있다. 약물흡수부(420)는 스펀지, 우레탄, 그라스울, 아이소핑크, 등의 수분을 흡수할 수 있는 그 어떠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약물흡수부(420)는 수용공간(S1)의 직경과 동일하거나 작은 직경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며, 일측단이 분사구(220)와 인접하도록 배치된다. 약물흡수부(420)는 수용공간(S1)에 배치된 후, 약물을 흡수하면 그 부피가 팽창할 수 있으며, 이러한 팽창으로 약물흡수부(420)는 수용공간(S1) 내벽에 일정 압력을 가할 수 있다.
진동전달부(410)는 약물흡수부(420)의 타측에 배치될 수있다. 진동전달부(410)는 약물흡수부(420)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약물흡수부(420)와 착탈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진동전달부(410)의 재질은 약물흡수부(420) 보다 경화된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초음파 진동자(510)와 인접한 진동전달부(410)는 초음파 진동을 약물흡수부(420)로 원활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과 초음파 진동에 의해 약물흡수부(420)가 전진하여 분사구(220)의 배출구를 막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하는 역할을 가질 수 있다.
초음파 하우징(500)은 초음파 진동자(510)를 구비하며, 분사구(220)와 대칭을 이루는 하우징(200)의 타측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초음파 진동자(510)는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력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초음파 하우징(500)의 초음파 진동자(510)는 20~2000kHz의 진동을 방출할 수 있다.
방출된 초음파의 진동이 약물흡수체(400)에 전달되면서 약물이 분사구(22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초음파 진동자(510)는 일반적으로 전기에너지를 초음파로 바꾸는 장치에 해당하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초음파 진동자(510)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본 실시예에서, 초음파 진동자는 특정 축으로 강력한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압전 세라믹 트랜듀서(Bolted Langevin Transducer)인 것이 바람직하다.
약물케이스(100)의 약물은 약물주입로(310) 및 유입 로드(210)를 통해, 수용공간(S1)의 약물흡수부(420)에 흡수될 수 있다. 초음파 진동자(510)에서 발생된 초음파는 진동전달부(410)를 통해 약물흡수부(420)에 전달될 수 있다. 초음파 진동이 약물에 전달되면 약물의 입자가 분열되며, 약물의 입자들이 서로 부딪히면서 입자들 사이에 진동을 전달하고, 약물흡수체(400)의 표면에 있던 약물의 입자가 미스트(Mist) 상태로 분출된다. 이때 수용공간(S1)의 내부의 압력이 초음파 진동에 의해 높아지기 때문에 분사구(220)로 고압의 미스트 상태의 약물이 분출될 수 있는 것이다.
약물흡수체(400)는 약물이 수용공간(S1)에 정적인 상태로 위치하도록 약물을 일정량 보유할 수 한다. 일정량 보유된 약물로 인해 약물 분자 상호간 진동 전달이 용이하게 되고, 약물 분자의 진동 전달이 용이하기 때문에 미스트 상태의 약물을 신속하게 생성시킬 수 있다. 따라서, 신속하게 생성되는 미스트 상태의 약물이 수용공간(S1)의 내부 압력을 빠르게 상승시킴에 따라 고압의 약물이 분사구(220)를 통해 피부에 분사될 수 있다.
하우징(2000은 제1 하우징(230), 제2 하우징(240), 제3 하우징(25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하우징(230,240,250)은 상호 체결, 고정 및 착탈이 자유롭게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하우징(200) 내부에 수용된 약물흡수체(400)의 교체가 용이하고, 세척 및 관리가 간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제1 내지 제3 하우징(230,240,250) 중 두 개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하우징(230)은 일측에 상기의 분사구(220)를 구비할 수 있다. 제2 하우징(240)은 제1 하우징(230)과 탈부착이 자유롭도록 상호 결합되며, 일측면에 상기 유입로드(210)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3 하우징(250)은 일측이 제2 하우징(240)과 탈부착 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진동전달부(410)는 제3 하우징(250)의 일측 내부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다. 제3 하우징(250)은 타측에 초음파 하우징(500)이 배치될 수 있다. 초음파 진동자(510)가 작동하면 초음파 진동이 제3 하우징(250)을 통해 진동전달부(410)로 전달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하우징(230,240,250)이 결합되면 내부에 상기 수용공간(S1)이 형성될 수 있도록 제1 내지 제3 하우징(230,240,250)) 내부는 수용공간(S1)의 일부에 해당하는 공간이 각각 구비된다.
초음파 진동자(510)의 진동이 제1 내지 제3 하우징(230,240,250)에 전달되고 동시에 분사구(220)에 전달되는데, 이때 분사구(220)와 접촉되는 피부에도 진동이 전달될 수 있다. 피부 진동은, 분사구(220)로 배출되는 약물이 피부에 더 잘 흡수되도록 할 수 있다.
제3 하우징(250)은 내부에 진동전달패드(600)를 구비할 수 있다. 진동전달패드(600)는 일측면이 상기 초음파 진동자(510)와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며 초음파 진동자(510)에서 생성된 진동을 전달받는다. 즉, 초음파 진동자(510)를 통해 생성된 진동은 초음파 진동자(510)의 주변으로 확산될 수 있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진동전달패드(600)가 초음파 진동자(510)에 접촉되어 확산되는 초음파 진동의 파장을 안내한다.
약물 주입부(300)의 일측, 즉, 약물주입로(310)와 인접한 위치에는 안내돌기(320)가 돌출 형성되고, 약물주입부(300)의 타측, 상기 안내돌기(320)가 형성된 반대 방향에는 고정돌기(330)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2 하우징(240)의 측면에는 안내돌기(320)가 삽입되는 안내홈(241)이 제2 하우징(240)의 내측방향으로 함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약물 주입부(300)가 하우징(200) 또는 제2 하우징(240)에 결합될 때 약물주입로(310)와 유입로(210)가 어긋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1차로 안내돌기(320)가 안내홈(241)에 삽입되면 동시에 약물주입로(310)와 유입로(210)가 일치하고, 약물케이스(100)로부터 제공받는 약물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초음파 하우징(500)의 외측에는 고정돌기(330)가 삽입되는 고정돌기 결합부(510)가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안내돌기(320)가 안내홈(241)에 삽입되기 전 약물 주입부(300)의 장착 위치를 안내한다. 따라서, 사용자에게 간편한 탈부착 방법을 제공하고, 보다 안정적으로 시술자가 파지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한다.
본 발명에 따른 주입 장치는, 케이스 수용부(S2) 내부에 배치되고, 약물케이스(100)의 일측을 탄성지지하는 푸쉬로드(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푸쉬로드(700)는 케이스 수용부(S2) 내측면에 지지되는 제2 탄성부재(710)의 탄성을 제공받아 약물케이스(100)의 일측을 지지할 수 있다.
푸쉬로드(700)의 가장자리, 바람직하게는 푸쉬로드(700)의 가장자리 하단에는 약물케이스(100)의 일측단을 지지하는 안착돌기(701)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주입 장치는, 푸쉬로드(700)와 마주보며 약물주입로(310)의 유입부(311)에 해당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케이스 안내판(80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케이스 안내판(800)은 약물케이스(100)의 타측을 지지하며, 케이스 안내판(800)의 내측에는 약물케이스(100)로부터 배출되는 약물을 약물주입로(310)로 이동시키기 위한 미세한 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케이스 안내판(800)의 가장자리는 약물케이스(100)를 지지함과 동시에 약물케이스(100)로부터 배출되는 약물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케이스 안내판(800)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케이스 안내판(800)의 중앙에는 약물케이스(100)의 타측을 관통하여 약물케이스(100) 내부에 수용된 약물을 약물주입로(310)로 이송시키기 위한 관통핀(810)이 구비될 수 있다. 관통핀(810)은 약물주입로(310)와 연통되며, 약물이 관통핀(810)을 통과하여 약물주입로(310)로 이송될 수 있다.
약물주입로(310)의 유입부(311)에는 케이스 안내판(800)을 탄성지지하는 제1 탄성부재(820)가 구비될 수 있다. 제1 탄성부재(820)는 상기 유입부(311)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지지홈(311-1)에 위치한다. 그리고 지지홈(311-1)의 전방에는 케이스 안내판(800)이 제2 탄성부재(820)의 탄성력에 의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가이드핀(311-2)이 돌출 형성된다. 이로 인해 케이스 안내판(800)은 전후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즉, 약물케이스(100)의 일측을 푸쉬로드(700)에 먼저 안착한 후 약물케이스(100)를 케이스 안내판(800)에 삽입하면 푸쉬로드(700)가 약물케이스(100)를 일정압력으로 가압한다. 이때, 케이스 안내판(800) 또한 제1 탄성부재(820)에 의해 약물케이스(100)를 가압하므로 약물케이스(100)에서 배출되는 약물이 약물주입로(310)를 벗어나 수용공간(S2) 내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유입부(311)의 내측 가장자리에는 케이스 안내판(800)의 전후이동을 가이드하는 안내로드(311-3)가 돌출 형성된다. 이는 상기 관통핀(810)이 약물케이스(100)의 타측을 관통할 때, 관통하는 위치가 어긋나는 현상을 방지함과 동시에 케이스 안내판(800)이 일정한 수평선을 그리며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해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약물 주입부(300)의 내부에는 약물주입로(310)로 공기(Air)를 분사하기 위해 약물주입로(310)와 연통되는 공기주입로(340)가 형성될 수 있다. 공기주입로(340)의 일측은 약물주입로(310)와 인접하고, 타측에는 공기주입관(910)이 연결된다. 이때 공기주입관(910)에는 공기주입관(910)으로부터 공급되는 공기의 유/출입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밸브(92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공기주입로(340)는 약물주입로(310)와, 하우징(200) 내부 잔존하는 잔여약물을 쉽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공기주입로(340)는 약물주입로(310)를 통해 토출되는 약물의 압력을 증가시켜 하우징(200) 외부로 배출되는 분사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면, 하우징(200)은 전도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초음파 하우징(500)의 일측에 저주파 또는 고주파를 발생시키는 별도의 장치가 구비된다. 즉, 하우징(200)으로 저주파 또는 고주파를 전달하면 분사구(220)로 분사되는 약물이 피부에 도포될 때 저주파 또는 고주파가 피부를 자극하여 약물의 원활한 흡수를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100 : 약물케이스 200 : 하우징
210 : 유입로드 220 : 분사구
230 : 제1 하우징 240 : 제2 하우징
250 : 제3 하우징 300 : 약물 주입부
310 : 약물 주입로 400 : 약물흡수체
410 : 약물흡수부 420 : 진동전달부
500 : 초음파 하우징 510 : 초음파 진동자
600 : 진동전달패드 700 : 푸쉬로드
800 : 케이스 안내판 810 : 관통핀
820 : 제1 탄성부재

Claims (9)

  1. 내부에 약물 및 화장품 중 적어도 하나의 피부 전달 물질이 수용되는 약물케이스(100);
    내부에 수용공간(S1)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S1)과 연통되며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로드(210) 및 상기 유입로드(210)로 유입된 유체가 배출되는 분사구(220)를 구비하는 하우징(200);
    내부에 상기 약물케이스의 상기 피부 전달 물질을 상기 유입로드(210)로 전달하는 약물주입로(310) 및 상기 약물케이스(100)를 장착하는 케이스 수용부(S2)를 구비하는 약물 주입부(300);
    상기 수용공간(S1)에 삽입되어 상기 유입로드(210)로 유입되는 피부 전달 물질을 흡수하는 약물흡수체(400); 및
    상기 약물흡수체(400)가 흡수한 피부 전달 물질이 상기 분사구(220)를 통해 외부로 분사되도록 상기 약물흡수체(400)에 초음파 진동을 전달하는 초음파 진동자(510)를 구비하는 초음파 하우징(500);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200)은
    상기 분사구(220)를 구비하는 제1 하우징(230);
    상기 제1 하우징(230)과 탈부착 되도록 결합되며, 일측에 상기 유입로드(210)가 돌출 형성되는 제2 하우징(240); 및
    일측이 상기 제2 하우징(240)과 탈부착 되도록 결합되며, 상기 약물흡수체(400)의 일측이 삽입 고정되며, 타측에 상기 초음파 하우징(500)과 결합되어 상기 약물흡수체(400)에 초음파 진동을 전달하는 제3 하우징(250);을 포함하는, 초음파를 이용한 약물 주입장치.
  2. 삭제
  3. ◈청구항 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내부에 약물 및 화장품 중 적어도 하나의 피부 전달 물질이 수용되는 약물케이스(100);
    내부에 수용공간(S1)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S1)과 연통되며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로드(210) 및 상기 유입로드(210)로 유입된 유체가 배출되는 분사구(220)를 구비하는 하우징(200);
    내부에 상기 약물케이스의 상기 피부 전달 물질을 상기 유입로드(210)로 전달하는 약물주입로(310) 및 상기 약물케이스(100)를 장착하는 케이스 수용부(S2)를 구비하는 약물 주입부(300);
    상기 수용공간(S1)에 삽입되어 상기 유입로드(210)로 유입되는 피부 전달 물질을 흡수하는 약물흡수체(400);
    상기 약물흡수체(400)가 흡수한 피부 전달 물질이 상기 분사구(220)를 통해 외부로 분사되도록 상기 약물흡수체(400)에 초음파 진동을 전달하는 초음파 진동자(510)를 구비하는 초음파 하우징(500);
    상기 케이스 수용부(S2) 내부에는 상기 약물케이스(100)의 일측을 탄성지지하는 푸쉬로드(700); 및
    상기 푸쉬로드(700)와 마주보며 상기 약물케이스(100)의 타측을 지지하는 케이스 안내판(800);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 안내판(800)에는 상기 약물케이스(100) 내부에 수용된 약물을 상기 약물주입로(310)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약물케이스(100)를 관통하며 상기 약물주입로(310)와 연통되는 관통핀(810)이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 수용부 내부에는 상기 관통핀(810)이 삽입된 상기 약물케이스(100)에서 약물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케이스 안내판(800)의 타측을 탄성 지지하는 제1 탄성부재(820)를 더 포함하는, 초음파를 이용한 약물 주입장치.
  4. ◈청구항 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 항 및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약물흡수체(400)는,
    상기 피부 전달 물질을 일정량 흡수하는 약물흡수부(420); 및
    상기 약물흡수부(42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초음파 진동자(510)로부터 생성된 진동을 흡수하여 상기 약물흡수부(420)에 포함된 피부 전달 물질에 진동을 전달하는 진동전달부(410)를 포함하는, 초음파를 이용한 약물 주입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하우징(250)에는 상기 제3 하우징(250)의 외부로 확산되는 초음파 진동을 일정한 영역으로 안내하기 위한 진동전달패드(600)가 구비되는, 초음파를 이용한 약물 주입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약물주입로(310)와 인접한 상기 약물 주입부(300)의 일측에는 안내돌기(320)가 돌출 형성되고 타측에는 고정돌기(330)가 형성되고,
    상기 제2 하우징(240)의 측면에는 상기 약물주입로(310)와 상기 유입로드(210)가 상호 어긋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안내돌기(320)가 삽입되는 안내홈(241)이 형성되고,
    상기 초음파 하우징(500)의 외측에는 상기 안내돌기(320)가 상기 안내홈(241)에 삽입되기 전 상기 약물 주입부(300)의 장착 위치를 안내하기 위해 상기 고정돌기(330)가 삽입되는 고정돌기 결합부(510)가 구비되는, 초음파를 이용한 약물 주입장치.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60069651A 2016-06-03 2016-06-03 초음파를 이용한 약물 및 화장품 주입 장치 KR1019023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9651A KR101902390B1 (ko) 2016-06-03 2016-06-03 초음파를 이용한 약물 및 화장품 주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9651A KR101902390B1 (ko) 2016-06-03 2016-06-03 초음파를 이용한 약물 및 화장품 주입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2125A Division KR101947505B1 (ko) 2018-09-19 2018-09-19 초음파를 이용한 약물 및 화장품 주입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7471A KR20170137471A (ko) 2017-12-13
KR101902390B1 true KR101902390B1 (ko) 2018-10-01

Family

ID=609445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9651A KR101902390B1 (ko) 2016-06-03 2016-06-03 초음파를 이용한 약물 및 화장품 주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239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59024A (ko) 2022-10-26 2024-05-07 김명훈 초음파와 일회용 화장품이 결합된 홈케어 피부관리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7239B1 (ko) * 2020-09-10 2022-08-26 장상현 초음파를 이용한 약물 전달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40235A1 (en) * 2009-08-11 2011-02-17 Castel J Chris Multi-Modal Drug Delivery System
KR101022201B1 (ko) * 2009-12-22 2011-03-16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경피약물전달 촉진을 위한 초음파 장치
KR101608179B1 (ko) * 2015-11-24 2016-03-31 지승구 피부용 약물주입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40235A1 (en) * 2009-08-11 2011-02-17 Castel J Chris Multi-Modal Drug Delivery System
KR101022201B1 (ko) * 2009-12-22 2011-03-16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경피약물전달 촉진을 위한 초음파 장치
KR101608179B1 (ko) * 2015-11-24 2016-03-31 지승구 피부용 약물주입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59024A (ko) 2022-10-26 2024-05-07 김명훈 초음파와 일회용 화장품이 결합된 홈케어 피부관리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7471A (ko) 2017-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14470B2 (en) Ultrasonic method and device for wound treatment
US8679051B2 (en) Microbubble medical devices
EP2678055B1 (en) A device for administering therapeutic substances using a high velocity liquid-gas stream
JP2018519060A5 (ko)
KR101582822B1 (ko) 피부 자극용 유체 주입 장치
JP2001149485A (ja) 物質の経皮投与の方法及び装置
US20080319377A1 (en) Medical Device for Generating Transient Bubbles
KR101910815B1 (ko) 피부미용기기
RU2009135627A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доставки лекарственного средства
JP2010501237A (ja) 圧電アクチュエータを備える薬品供給装置
WO2002028350A2 (en) Nozzle for ultrasound and wound treatment
KR101947505B1 (ko) 초음파를 이용한 약물 및 화장품 주입 장치
KR20210054529A (ko) 고속 액체 가스 흐름을 사용하여 치료제를 투여하기위한 쉴드 장치
JP6513102B2 (ja) 薬液注入装置
US20090187135A1 (en) Ultrasonic syringe
CN110893125A (zh) 使用高速液气流施用治疗药物的具有注射器分配器的装置
KR101902390B1 (ko) 초음파를 이용한 약물 및 화장품 주입 장치
CA294904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dermal fluid delivery
JP2022119971A (ja) 無針注射装置用注射ノズル
US20070232987A1 (en) One-hand-operated ultrasound transducer and method for delivering a controlled and uniform distribution of a sterile or a non-sterile topical reagent to skin for use in diagnostic, therapeutic, and aesthetic therapies
US20220072293A1 (en) Drug delivery device using ultrasonic wave
US20100324481A1 (en) Ultrasound pumping apparatus for use with the human body
KR20090077930A (ko) 초음파 에너지를 사용하여 신체에 액체를 전달하는 초음파 액체 전달 장치 및 방법
WO2018006195A1 (zh) 健康保健系统
KR20030082813A (ko) 피부를 통한 약물 투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