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7877B1 - 소방용 공구 - Google Patents

소방용 공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7877B1
KR101067877B1 KR1020110061012A KR20110061012A KR101067877B1 KR 101067877 B1 KR101067877 B1 KR 101067877B1 KR 1020110061012 A KR1020110061012 A KR 1020110061012A KR 20110061012 A KR20110061012 A KR 20110061012A KR 101067877 B1 KR101067877 B1 KR 1010678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ring
clamp
groove
to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10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주
Original Assignee
김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주 filed Critical 김현주
Priority to KR10201100610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78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78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78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3/00Hose accessories
    • A62C33/06Hose or pipe bridg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8/00Hand tool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fire-fighting, e.g. tool box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방용 공구에 관한 것으로, 비너가 연결되는 걸이홈과, 상기 걸이홈에 인접형성되는 로프연결홈이 관통구성된 몸체부; 호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고리부와, 상기 제1고리부의 끝단 내주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제1걸림턱을 구성하여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1클램프부; 호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고리부와, 상기 제2고리부의 끝단 내주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제2걸림턱을 구성하여 상기 몸체부의 타측에 형성되는 제2클램프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 2클램프부에 구성된 제1, 2고리부는 상기 제1, 2고리부의 중심점을 연결한 중심선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방향으로 형성된 것에 특징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이용하면, 비너를 이용하여 용이한 휴대를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긴급상황발생시 레펠을 이용하여 신속한 대피를 하거나, 공구로 사용하여 신속한 작업을 할 수 있는 것과 같이 긴급상황 및 인명구조에 따른 용이한 대처를 신속하게 이룰 수 있으며, 소방호스를 조이는 매듭 없이 소방호스를 손쉽고 빠르게 안착설치하여 소방활동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소방용 공구{A firefighting tool}
본 발명은 소방용 공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비너를 이용하여 용이한 휴대를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긴급상황발생시 레펠을 이용하여 신속한 대피를 하거나, 공구로 사용하여 신속한 작업을 할 수 있는 것과 같이 긴급상황 및 인명구조에 따른 용이한 대처를 신속하게 이룰 수 있으며, 건물의 상층부 화재시 소방호스를 결착시키는 로프 매듭 없이 손쉽고 빠르게 안착설치하여 소방활동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는 소방용 공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방호스들의 연결을 위해서는 호스끝에 설치된 커플링을 상대측 소방호스에 끼운 상태에서 커플링을 회전시키면 커플링 내경에 형성된 나사관과 상대측 호스의 나사홈이 나사식 결합에 의해 연결결합되었다.
이러한 커플링은 회전상태에 따라 소방호스의 연결과 분리가 이루어지는데, 이를 위하여 호스용 스패너가 개발되었으며, 이와 같은 종래의 호스용 스패너는 지렛대 원리로 제작된 것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부(100)와 받침점(101) 및 작용점(102)을 갖추었다.
종래의 호스용 스패너를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일측에 손잡이대(100A)를 형성하였고, 손잡이대(100A)를 연장시켜 타측에 받침점(101)과 작용점인 걸림턱(102A)을 형성하였다.
상기의 걸림턱(102A)은 타측의 선단끝을 구부려 형성하고 받침점(101)은 걸림턱(102A)과 손잡이대(100A) 사이에 형성하되 커플링의 원주면에 접촉할 수 있도록 원호적으로 구부려 형성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호스용 스패너는 걸림턱과 받침점 사이가 한정적인 크기로 형성되어 있어, 그 사용이 제한되는 것이 큰 문제점으로 대두되었다.
즉, 소방호스의 규격은 그 직경이 40mm와 65mm로 된 두 종류의 것이 있는데, 상기와 같은 스패너는 그 규격에 맞는 소방호스에만 적용할 수 있어 그 사용범위가 제한되었고, 스패너를 형성하는 구조에 있어서는 굵은 철사를 구부려서 된 스패너이기 때문에 받침점이 확실하게 구분되는 구조를 이루고 있지 못하여 사용상에 힘의 가압에 따른 회전력이 스패너의 돌기에 정확하게 제공되지 못하는 문제점도 있있다.
그리고, 긴급상황(화재발생 지역에 출동한 상태)하에서 신속하게 호스를 연결해야하는 작업원인으로 목적하고자 한 커플링의 용이한 체결 및 안정된 연결결합상태를 만족스럽게 달성할 수 없었다.
한편, 소방관들은 호스용 스패터 외에도 긴급상황을 대비하여 여러 가지 공구들을 구비하는데, 특히 레펠용 하강기와 비너를 구비해야 한다. 이는 출입구가 화재에 의해 봉쇄되었을 때에 창문을 통해 외부로 탈출하기 위한 것으로, 별도 소지해야 하는 것이다. 또한, 소화전을 개/폐할 수 있는 소화전렌치는 물론, 위급상황시 탈출구를 만들 수 있는 망치 또는 도끼를 항시 소지하여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공구들은 종류가 많고, 각각의 부피가 크기 때문에 소방관들이 항시 소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을 뿐만 아니라, 레펠을 할 때에는 별도로 보관한 하강기에 비너를 연결한 후, 로프를 연결해야 하는데, 이와 같은 과정에서 시간이 지체되므로, 수초를 다투는 긴급상황에 적절히 대응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소방호스는 고층화재시 소방호스를 건물 외부로 창문 등을 통하여 소방호스를 진입 시키는데, 물이 든 소방호스는 자중으로 무겁기에 로프를 이용하여 말뚝매기 매듭법으로 근처의 지지대 등에 고정 후 화재진압 활동을 하는 것이 통상적이다.
그러나, 이러한 소방호스의 지지대 결착시 활용하는 로프의 말뚝매기 매듭으로 인해 상기 소방호스에서 방수되는 물은 최대량의 70 ~ 80%정도 밖에 공급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을 뿐만 아니라, 소방차의 물부족으로 물을 재보충하여 다시 방수할 때에는 말뚝매기 매듭된 로프가 소방호스의 자중으로 인하여 더욱 조이게 되므로, 시간이 지날수록 물의 방수압은 더욱 약해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에 따라 고층건물 또는 장거리에서 사용하기에 효율이 저하되는 상황이 자주 발생하였다.
아울러, 로프의 말뚝매기 매듭법은 소방관이 직접 하는 것으로, 위급 상황발생시 빠르게 묶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며, 특히 숙달이 덜 된 신규 소방관들은 긴급상황에 당황하여 로프의 매듭을 짓지 못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였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는 소방용 공구를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 비너를 이용하여 허리춤 등에 항시 고정설치할 수 있어 휴대가 용이한 장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구입비용의 절감으로 보급률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레펠을 할 경우에는 허리춤에 찬 비너를 해체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로프를 연결할 수 있어 긴급상황에 신속히 대처할 수 있는 소방용 공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단품으로써 여러 기능이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2종류의 규격품으로 이루어진 소방호스의 커플링을 모두 체결 또는 분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화전의 렌치 및 너트의 체결 및 분리를 손쉽게 이룰 수 있으며, 타격부의 구성으로 건물의 창문 및 차량의 유리창을 손쉽게 깰 수 있어 위급상황에 따른 대처를 용이하게 이룰 수 있는 소방용 공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제2클램프부의 제2고리부에 형성된 손가락홈을 이용하여 작업자가 미끄러짐 없이 용이하고 견고하게 잡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1클램프부의 제1고리부에 형성된 긁개부에 의해 무너진 건물더미나, 화재로 인한 잔해 및 차량의 유리창 등을 손쉽게 걷어낼 수 있어 인명구조작업을 손쉽게 이룰 수 있는 소방용 공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공구 2개를 서로 대칭이 되도록 겹쳐 놓은 후, 한 쌍의 결합홈에 각각 비너를 결합하여 2개의 소방용 공구를 결합시키면, 각각의 제1, 2클램프부에 40mm와 65mm로 이루어진 2종류의 소방호스를 걸어서 각각 안착시킬 수 있기 때문에 숙달된 사람이 아니라 하더라도 소방호스의 설치준비를 손쉽고 빠르게 이룰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물 방수시 소방호스를 조이는 매듭이 없기 때문에 물을 강한 방수압으로 멀리 방수하여 소방활동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는 소방용 공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소방용 공구는, 비너가 연결되는 걸이홈과, 상기 걸이홈에 인접형성되는 로프연결홈이 관통구성된 몸체부; 호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고리부와, 상기 제1고리부의 끝단 내주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제1걸림턱을 구성하여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1클램프부; 호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고리부와, 상기 제2고리부의 끝단 내주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제2걸림턱을 구성하여 상기 몸체부의 타측에 형성되는 제2클램프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 2클램프부에 구성된 제1, 2고리부는 상기 제1, 2고리부의 중심점을 연결한 중심선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방향으로 형성된 것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소방용 공구는 비너를 이용하여 허리춤 등에 항시 고정설치할 수 있어 휴대가 용이한 장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구입비용의 절감으로 보급률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레펠을 할 경우에는 허리춤에 찬 비너를 해체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로프를 연결할 수 있어 긴급상황에 신속히 대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단품으로써 여러 기능이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2종류의 규격품으로 이루어진 소방호스의 커플링을 모두 체결 또는 분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화전의 렌치 및 너트의 체결 및 분리를 손쉽게 이룰 수 있으며, 타격부의 구성으로 차량의 유리창을 손쉽게 깰 수 있어 위급상황에 따른 대처를 용이하게 이룰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제2클램프부의 제2고리부에 형성된 손가락홈을 이용하여 작업자가 미끄러짐 없이 용이하고 견고하게 잡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1클램프부의 제1고리부에 형성된 긁개부에 의해 무너진 건물더미나, 화재로 인한 잔해 및 차량의 유리창 등을 손쉽게 걷어낼 수 있어 인명구조작업을 손쉽게 이룰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소방용 공구 2개를 서로 대칭이 되도록 겹쳐 놓은 후, 한 쌍의 결합홈에 각각 비너를 결합하여 2개의 소방용 공구를 결합시키면, 각각의 제1, 2클램프부에 2종류의 소방호스를 걸어서 각각 안착시킬 수 있기 때문에 숙달된 사람이 아니라 하더라도 소방호스의 설치준비를 손쉽고 빠르게 이룰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물 방수시 소방호스를 조이는 매듭이 없기 때문에 물을 강한 방수압으로 멀리 방수하여 소방활동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종래의 호스용 스패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소방용 공구를 비너에 결합하여 휴대하는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소방용 공구를 도시한 정면도.
도 4, 5는 본 발명의 소방용 공구를 이용하여 레펠을 하는 상태도.
도 6은 2개의 소방용 공구를 이용하여 65mm의 소방호스를 안착설치하는 상태도.
도 7은 2개의 소방용 공구를 이용하여 40mm의 소방호스를 안착설치하는 상태도.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소방용 공구(50)는 소방관이 소방활동 또는 구조활동에 사용하는 소방공구에 관한 것으로,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10)와, 제1클램프부(20)와, 제2클램프부(30)로 구성된 것에 특징이 있다.
먼저, 몸체부(10)는 비너(1)가 연결되는 걸이홈(11)과, 상기 걸이홈(11)에 인접형성되는 로프연결홈(12)이 관통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걸이홈(11)은 본 발명의 휴대를 용이하게 하는데 주목적으로 사용되지만, 상기 걸이홈(11)은 로프연결홈(12)과 같이 사용함으로써 소방관이 긴급상황발생시 레펠을 하는데에 사용될 수 있다. 이는 상기 걸이홈(11)과 로프연결홈(12)이 인접형성되어 8자 홈을 형성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레펠을 이용할 시에는 로프(2)를 제1클램프부(20)나 제2클램프부(30)에 걸어서 사용함으로써 하강속도를 조절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몸체부(10)에는 길거리에 설치된 소화전(미도시)을 개방/폐쇄하기 위한 사각렌치홈(13)이 더 포함되어 구성될 수도 있으며, 이로써 소방관이 별도의 소화전용 렌치를 구비하지 않고도 소화전의 개폐를 손쉽게 이룰 수 있게 된다.
더불어, 레펠을 실시하는 방법에 있어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10)에 형성된 로프연결홈(12)과 제1클램프부(20) 또는 제2클램프부(30)를 이용하면, 상기 걸이홈(11)에 결합된 비너(1)를 이용하지 않고도 레펠을 할 수도 있는데, 이와 같은 방법은 반으로 접은 로프(2)를 로프연결홈(12)에 끼운 후, 반으로 접혀 로프연결홈(12)에 끼워진 로프(2)를 제1클램프부(20) 또는 제2클램프부(30)에 거는 방법으로 간단히 이룰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면, 비너(1)의 체결수단(1a)을 해체/결합하지 않고도 레펠을 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신속한 레펠이 가능해지게 된다.
또한, 제1클램프부(20)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10)의 일측에 형성되는 것으로, 호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고리부(21)와, 상기 제1고리부(21)의 끝단 내주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제1걸림턱(22)을 구성한 것에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제1고리부(21)는 규격품인 65mm의 소방호스(3)의 커플링(4)을 조작한 것이며, 상기 제1걸림턱(22)은 소방호스(3)의 커플링(4)에 구성된 돌부에 걸림으로써 상기 커플링(4)을 개폐하는 데에 힘을 실어주는 작용을 한다.
그리고, 상기 제1클램프부(20)에 구성된 제1고리부(21)의 끝단에는 타격에 따른 충격이 한점에 집중되도록 뾰족하게 돌출형성되는 타격부(21a)가 더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차량의 앞유리나, 건물의 창문 및 강화유리와 같은 파괴대상(5)을 보다 손쉽게 깰 수 있는 작용효과가 있다.
아울러, 상기 제1클램프부(20)에 구성된 제1고리부(21)의 외주면에는 너트의 체결/분리를 위한 너트홈(24)이 더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너트홈(24)은 통상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10 ~ 12mm 의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1개로 형성할 수도 있으나, 크기가 다른 다수 개로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고, 제1고리부(21)의 외주면이 아닌 몸체부(10)의 외주면에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더불어, 상기 제1클램프부(20)에 구성된 제1고리부(21)의 내주면에는 톱날형상의 긁개부(24)가 다수로 형성할 수도 있는데,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화재에 의해 뜨겁게 달구어진 건물 무더기를 용이하게 걷어낼 수 있어 탈출로를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름지에 의해 잘 걷어지지 않는 자동차의 전면유리를 손쉽게 걷어낼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으며, 이는, 톱날형 긁개부(24)에 의해 작은 타격이 연속적으로 가해져 대상물건의 파괴가 잘 이루어지기 때이다.
또한, 상기 제2클램프부(30)는 상기 몸체부의 타측 즉, 상기 몸체부의 반대방향에 형성되는 것으로, 호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고리부(31)와, 상기 제2고리부(31)의 끝단 내주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제2걸림턱(32)을 구성한 것에 특징이 있으며, 상기 제1, 2클램프부(20, 30)에 구성된 제1, 2고리부(31)는 상기 제1, 2고리부(31)의 중심점을 연결한 중심선(L)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소방용 공구(50)는 전체적인 형상이 S자 형상으로 형성되어지는데, 이와 같은 형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ㄹ자 형상 등으로 변형하여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아울러, 상기 제2클램프부(30)에 구성된 제2고리부(31)의 내주면에는 손가락을 안착시키는 손가락홈(33)을 형성함으로써, 소방관이 본 발명의 소방용 공구(50)를 미끄러짐 없이 더욱 손쉽고 견고하게 잡을 수도 있으며, 이에 따르면, 긴급상황발생시 탈출구를 만들거나 타격을 가할 시에 더욱 큰 힘을 발휘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2고리부(31)는 규격품인 40mm의 소방호스(3)의 커플링(4)을 조작한 것이며, 상기 제1걸림턱(32)은 소방호스(3)의 커플링(4)에 구성된 돌부에 걸림으로써 상기 클램프(4)를 개폐하는 데에 힘을 실어주는 작용을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소방용 공구(50)는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를 서로 대칭되도록 겹쳐서 고정설치함으로써 소방호스를 견고하게 안착설치하는 구조로 만들 수도 있다.
이를 위해서는, 상기 몸체부(14)에 비너(1)를 연결결합하기 위한 한 쌍의 결합홈(14)을 형성함으로써 이룰 수 있는데, 이때, 상기 결합홈(14)은 제1, 2고리부(21, 31)의 중심점을 연결한 중심선(L)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게 이격 형성하여야만 한다.
이에 따르면, 2개의 소방용 공구(50)를 서로 대칭되도록 겹쳐놓음으로써, 각각의 소방용 공구(50)에 형성된 결합홈(14)을 서로 일체가 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서로 일체가 된 결합홈(14)에 비너를 각각 결합하면, 2개의 소방용 공구(50)의 결합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와 같은 구조에 따르면, 제1클램프부(20)와 제2클램프부(30)가 각각 서로 겹쳐져서 원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2개의 제1클램프부(20)의 결합을 통하여 원형상으로 형성된 부분에는 65mm의 소방호스(3)가 연결설치되도록 할 수 있고, 2개의 제2클램프부(30)의 결합을 통하여 원형상으로 형성된 부분에는 40mm의 소방호스(3)를 연결설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와 같이 몸체부(10)에 형성된 결합홈(14)은 상기 걸이홈(11)과 마찬가지로 휴대용으로 사용하거나, 레펠을 할 때에 사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른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평상시에는 걸이홈(11)에 비너(1)를 연결하여 허리춤에 차고 다니는데, 바람직하게는 2개를 한 쌍으로 하여 구비하는 것이 좋으며, 이에 따르면, 긴급상황발생시 소방용 공구(50)를 찾는 시간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황에 맞는 긴급상황을 잘 극복할 수 있다.
먼저, 화재진압활동을 할 때의 경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로상에 설치된 소화전을 개폐하기 위해서는 소방관이 본 발명의 소방용 공구(50)를 비너(1)에서 해제 한다. 그 후에는, 양손으로 제1, 2클램프부(20, 30)를 잡은 다음, 사각렌치홈(13)을 소화전의 사각렌치에 끼우고, 그 상태에서 힘을 가하여 소화전의 개방을 이룰 수 있다.
또한, 소방호스(3)에 구성된 커플링(4)의 개폐는 제1, 2클램프부(20, 30)를 활용하여 2종류로 규격화된 소방호스(3)의 커플링(4)을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으며, 물 방수를 위해 소방호스(3)를 안착설치하는 것은 2개의 소방용 공구(50)를 이용하여 간단히 이룰 수 있다.
소방호스(3)를 안착설치하는 것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먼저, 소방호스(3)를 배치한 후, 소방호스(3)의 규격에 따라 일측에서 제1클램프부(20) 또는 2클램프부(30)를 소방호스(3)에 걸고, 이와 동시에 타측에서 소방호스(3)의 규격에 따라 제1클램프부(20) 또는 2클램프부(30)를 소방호스(3)에 건다.
그러면, 상기 소방호스(3)가 원형상으로 결합된 제1클램프부(20) 또는 제2클램프부(30) 사이에 배치되게 되며, 이때 소방관은 한 쌍으로 형성된 결합홈(14)에 비너(1)를 연결하여 서로 대칭되게 겹쳐진 2개의 소방용 공구(50)를 결합시키고, 결합홈(14)의 결합된 하나의 비너(1)를 근처에 있는 지지대(미도시)에 연결설치함으로써 소방호스(3)의 안전한 설치를 이룰 수 있다.
이에 따르면, 물 방수에 따라 상기 소방호스(3)에 물이 가득 차서 소방호스(3)가 부풀을 때에도, 상기 소방호스(3)를 가압하는 외력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물의 최대방수력을 모두 활용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소방활동을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건물 내부에서 구조활동 또는 화재진압시 출입구가 막히는 등의 긴급상황이 발생할 때에는, 허리춤에 찬 본 발명의 소방용 공구(50)를 이용하여 레펠을 실시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때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적인 방법과 마찬가지로 비너(1)에 구성된 체결수단(1a)을 해제 후, 상기 비너(1)에 로프(2)를 연결하여 레펠을 실시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너(1)에 형성된 체결수단(1a)을 풀지 않고 소방관이 착용한 그 상태에서 로프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에서는 S자 형상으로 형성된 제1, 2클램프부(20, 30)의 형상으로 인해 소방용 공구(50)가 비너(1)에 결합된 상태에서도 로프(2)를 연결할 수 있기 때문에 로프(2)의 연결에 따른 시간 지체 없이 신속한 대피를 이룰 수 있는 레펠을 실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화재시 발생하는 건물더미에 의해 길이 막혀 있을 때에는, 소방관이 본 발명이 소방용 공구(50)를 비너(1)에서 풀른 후, 제2클램프부(30)에 형성된 제2고리부(31)를 손으로 잡고 제1클램프부(20)의 제1고리부(21)를 이용하여 화재로 인한 잔해건물더미를 걷어낼 수 있는데, 이때에는, 상기 제1고리부(21)에 톱날형 긁개부(24)가 형성되어 있어 건물더미를 보다 손쉽게 걷어낼 수 있다.
그리고, 제2고리부(31)에는 손가락홈(34)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소방관이 미끄러짐 없이 보다 안정적으로 견고하게 잡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소방관이 큰 힘을 발휘하는데 불편함이 방지된다.
아울러, 차량 사고 등에 의해 차량의 전면 유리와 같은 파괴대상(5)를 제거할 때에는, 제1고리부(21)의 끝단에 뾰족하게 돌출형성된 타격부(21a)를 이용하여 전면 유리를 손쉽게 깰 수 있으며, 전면 유리를 깬 후에는, 잔해건물더미를 걷어내는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긁개부(24)를 이용함으로써 파괴대상(5)을 손쉽게 걷어낼 수 있을 것이다.
더불어, 볼트 또는 너트를 제거할 경우에는, 제1클램프부(20)의 외주면에 형성된 너트홈(23)을 통하여 손쉽게 제거할 수 있는 것과 같이 본 발명을 이용하면, 여러 가지 공구 없이도 다양한 작업을 이룰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특정 실시 예를 한정하여 설명하였지만, 특정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형이 가능할 것이고, 이러한 변화가 모두 본 특허의 권리범위에 속하게 됨은 첨부된 청구범위를 통해 알 수 있을 것이다.
1 : 비너 1a : 체결수단
2 : 로프 3 : 소방호스
4 : 커플링 10 : 몸체부
11 : 걸이홈 12 : 로프연결홈
13 : 사각렌치홈 14 : 결합홈
20 : 제1클램프부 21 : 제1고리부
21a : 타격부 22 : 제1걸림턱
23 : 너트홈 24 : 긁개부
30 : 제2클램프부 31 : 제2고리부
32 : 제2걸림턱 34 : 손가락홈
50 : 소방용 공구

Claims (6)

  1. 비너(1)가 연결되는 걸이홈(11)과, 상기 걸이홈(11)에 인접형성되는 로프연결홈(12)이 관통구성된 몸체부(10);
    호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고리부(21)와, 상기 제1고리부(21)의 끝단 내주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제1걸림턱(22)을 구성하여 상기 몸체부(10)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1클램프부(20);
    호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고리부(31)와, 상기 제2고리부(31)의 끝단 내주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제2걸림턱(32)을 구성하여 상기 몸체부(10)의 타측에 형성되는 제2클램프부(30);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 2클램프부(20, 30)에 구성된 제1, 2고리부(31)는 상기 제1, 2고리부(31)의 중심점을 연결한 중심선(L)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방향으로 형성된 것에 특징이 있는 소방용 공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0)에는 소화전을 개방/폐쇄하기 위한 사각렌치홈(13)이 더 포함되어 구성된 것에 특징이 있는 소방용 공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클램프부(20)에 구성된 제1고리부(21)의 끝단에는 타격에 따른 충격이 한점에 집중되도록 뾰족하게 돌출형성되는 타격부(21a)가 더 포함되어 구성된 것에 특징이 있는 소방용 공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클램프부(20)에 구성된 제1고리부(21)의 외주면에는 너트의 체결/분리를 위한 너트홈(23)이 더 포함되어 구성된 것에 특징이 있는 소방용 공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클램프부(20)에 구성된 제1고리부(21)의 내주면에는 톱날형상의 긁개부(24)가 다수로 형성되고, 제2클램프부(30)에 구성된 제2고리부(31)의 내주면에는 손가락을 안착시키는 손가락홈(34)이 형성된 것에 특징이 있는 소방용 공구.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0)에는 비너(1)를 연결결합하기 위한 한 쌍의 결합홈(14)이 형성되되,
    상기 결합홈(14)은 제1, 2고리부(21, 31)의 중심점을 연결한 중심선(L)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게 이격 형성된 것에 특징이 있는 소방용 공구.
KR1020110061012A 2011-06-23 2011-06-23 소방용 공구 KR1010678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1012A KR101067877B1 (ko) 2011-06-23 2011-06-23 소방용 공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1012A KR101067877B1 (ko) 2011-06-23 2011-06-23 소방용 공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67877B1 true KR101067877B1 (ko) 2011-09-27

Family

ID=449579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1012A KR101067877B1 (ko) 2011-06-23 2011-06-23 소방용 공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787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9734B1 (ko) 2015-03-19 2016-09-26 정노조 다기능 소방용 공구
KR20170143189A (ko) * 2016-06-21 2017-12-29 주식회사 포스코 소방호스 고정장치 및 방법
KR101908883B1 (ko) * 2018-02-08 2018-10-16 김미예 소방호스 리프팅용 걸이구
KR20200040481A (ko) * 2018-10-10 2020-04-20 김미예 원웨이 락킹구조를 갖는 소방호스 리프팅용 걸이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8416Y1 (ko) 2006-07-12 2006-10-11 김재덕 소방호스 걸이기구
JP2007289259A (ja) 2006-04-21 2007-11-08 Hideo Miyazaki カラビナ保持具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89259A (ja) 2006-04-21 2007-11-08 Hideo Miyazaki カラビナ保持具
KR200428416Y1 (ko) 2006-07-12 2006-10-11 김재덕 소방호스 걸이기구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9734B1 (ko) 2015-03-19 2016-09-26 정노조 다기능 소방용 공구
KR20170143189A (ko) * 2016-06-21 2017-12-29 주식회사 포스코 소방호스 고정장치 및 방법
KR101880627B1 (ko) * 2016-06-21 2018-07-20 주식회사 포스코 소방호스 고정장치 및 방법
KR101908883B1 (ko) * 2018-02-08 2018-10-16 김미예 소방호스 리프팅용 걸이구
KR20200040481A (ko) * 2018-10-10 2020-04-20 김미예 원웨이 락킹구조를 갖는 소방호스 리프팅용 걸이구
KR102108639B1 (ko) * 2018-10-10 2020-05-07 김미예 원웨이 락킹구조를 갖는 소방호스 리프팅용 걸이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74034B1 (en) Bowring firefighter tool
US7735172B2 (en) Multi-purpose firefighting tool
US20040261188A1 (en) Combination firefighter tool
KR101067877B1 (ko) 소방용 공구
US8113094B1 (en) Emergency responder rescue tool
US9003586B2 (en) Whacker tool
KR200484218Y1 (ko) 소방용 손도끼
CN205319609U (zh) 一种鸟窝拆除工具
US20160158583A1 (en) Demolition utility tool
US10926118B2 (en) Safety handle of fire extinguisher and fire extinguisher having the safety handle
KR101659734B1 (ko) 다기능 소방용 공구
US10058720B2 (en) Multi-use firefighting tool
CN210256012U (zh) 一种消防用多功能斧
US20080216619A1 (en) Fireman's Rescue Tool
US20030041385A1 (en) Humphreys fire-rescue tool
CN101579557B (zh) 高楼救生缓降器
KR20200099289A (ko) 안전핀 파지(把持) 없는 소화기 m
JP6902686B2 (ja) 高所紐掛け装置および高所紐掛け方法
JP2005211254A (ja) ワイヤロープ緊張器
CN204684481U (zh) 一种多功能破拆工具
US7707700B1 (en) Rapid access tool
US20230310905A1 (en) Multi-functional clamp access tool
KR200386002Y1 (ko) 소화기 안전장치
CN210786041U (zh) 一种输电线路钢管杆作业防坠落装置
US20130340217A1 (en) Firefighter/rescue worker utility anch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