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7536B1 - 송아지의 설사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송아지의 설사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7536B1
KR101067536B1 KR1020080084733A KR20080084733A KR101067536B1 KR 101067536 B1 KR101067536 B1 KR 101067536B1 KR 1020080084733 A KR1020080084733 A KR 1020080084733A KR 20080084733 A KR20080084733 A KR 20080084733A KR 101067536 B1 KR101067536 B1 KR 1010675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rrhea
calf
composition
treatment
ginse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47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25958A (ko
Inventor
장홍길
Original Assignee
장홍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홍길 filed Critical 장홍길
Priority to KR10200800847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7536B1/ko
Publication of KR201000259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59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75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753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61K36/258Panax (ginse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2Artemisia, e.g. wormwood or sagebrus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61K36/488Pueraria (kudzu)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Feed For Specific Anim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송아지의 설사병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항생효과와 위장병에 좋은 인삼, 쑥, 칡즙 및 당근과 같은 천연한방재료를 혼합하여 조성된 송아지의 설사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여 제조된 송아지의 설사치료용 조성물을 송아지에게 경구투여하게 되면 화학적으로 안전하여 송아지의 체내에 잔존된 항생제에 의한 내성 강화가 문제되지 않으면서도 세균성 및 바이러스성 설사에 유효하여 설사로 인한 송아지의 성장지연 및 폐사를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설사 치료에 드는 비용도 절감할 수 있다.
송아지, 설사, 설사치료, 인삼, 쑥

Description

송아지의 설사치료용 조성물{medical's a composite of the calf}
본 발명은 송아지의 설사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항생효과와 위장병에 좋은 인삼, 쑥, 칡즙 및 당근과 같은 천연한방재료를 혼합하여 조성된 송아지의 설사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설사란 수분이 정상에 비하여 과다하게 함유된 분변이 빈번하게 체외로 배출되는 현상으로서 소장 또는 대장의 기능 이상을 초래하는 장염의 가장 특징적인 증상으로, 이는 장염이 장 관내에서 장 내용물의 흡수 및 장액 성분의 분비를 담당하는 장점막에 병변을 유발시켜 가축이 섭취한 사료와 수분의 흡수 불량 또는 장액 성분을 과다하게 분비되어 나타난다.
소화관 내에서 발생하거나 외부로부터 들어온 유해한 물질을 신속하게 배출하여 생체를 보호하려는 생체 방어기전의 일종이 설사이다. 그러므로, 만약 외부로부터 장관내로 들어왔거나 또는 장관 내에서 생성된 독성물질이 설사에 의해서 체외로 배설되지 못한다면 이것이 흡수되어 더욱 심하게 전신적인 병적 상태를 유발하게 된다. 그러나, 심한 설사가 계속될 때에는 섭취한 영양소의 흡수에 장애가 있을 뿐만 아니라 체조직의 수분과 전해질이 상실되어 탈수증 및 전해질의 불균형이 뒤따르게 되어 신체적 대사활동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한다. 실제로 설사병 때문에 가축이 폐사되는 것은 설사병 자체보다는 2차적으로 발생하는 탈수증에 기인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러한 이유로 설사를 치료할 때에는 병인체를 제거하기 위한 항균제 요법보다는 상실된 수분과 전해질을 보충하기 위한 이른바 수액요법이 더 중요한 것이다. 장염이나 흡수부전 때문에 설사가 발생하는 세균성 질병에는 대장균증, 살모넬라균증, 클로스트리디움 퍼프린겐스 C형 감염증, 증식성 장병증(회장염) 등이 있다.
송아지의 설사증은 낙농이나 비육을 불문하고 소를 키우는 목장에서는 빈번 하게 발생하는 질병 중 하나이다. 성우에 비하여 송아지는 면역력 및 저항력이 약하기 때문에 관리가 조금만 잘못되어도 설사를 하게 된다. 특히 송아지가 설사를 하게 되면 이로 인하여 송아지의 성장이 지연될 뿐만 아니라 설사가 장기화되면 이로 인하여 송아지가 폐사되기도 쉽기 때문에 설사의 예방 및 치료에 만전을 기하여야 한다.
송아지의 설사증을 치료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항생제와 영양제를 혼합한 주사약물을 주사기를 이용하여 공급하는 약물요법이 일반적이며, 최근에는 송아지의 침구혈위(鍼灸穴位)에 약물을 주입하는 면역약침요법이 개발된바 있다. 약물 요법이나 약침요법은 송아지의 질병을 치료함에 있어서 항생제가 포함된 치료제를 직접 송아지에게 투여하는 것인데, 발병 초기부터 2~3일간 항생물질과 지사제를 연속적으로 송아지에게 투여하여야만 설사 치료에 효과가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종래로부터 활용되어온 약물요법이나 약침요법은 송아지의 설사 치료에 항생제 및 화학약품을 사용하게 됨으로써 송아지의 항생제 및 약물에 대한 내성을 키워서 설사의 회복속도를 더디게 할 뿐만 아니라 소의 신체 조직에 항생제나 화학물질이 다량 잔존하게 되어 추후 설사를 치료하여 키운 성우를 식용으로 활용하는 경우 소고기를 먹는 사람에게까지 항생제 또는 화학물질에 의한 영향을 줄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약물요법이나 약침요법은 항생제나 지사제의 가격이 높아 송아지의 설사 치료에 소요되는 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점이 남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종래에 사용되던 항생제나 지사제와 같은 인공합성된 화학약물이 아닌 인삼이나 쑥과 같은 천연한방재료를 이용함으로써 송아지의 체내에 잔존하게 되는 항생제로 인한 내성 강화를 일으키지 않으므로 화학적으로 안전하면서도 설사치료에 효과적이어서 설사로 인한 송아지의 성장지연 및 폐사를 최소화할 수 있는 송아지의 설사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아울러, 기존의 약물요법이나 약침요법과 비교하여 치료비용이 저렴한 송아지의 설사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함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송아지의 설사치료용 조성물은 인삼, 쑥, 칡즙, 당근 및 물을 필수 구성성분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에 의한 송아지의 설사치료용 조성물은 인삼 15~16중량%, 쑥 4~5 중량%, 칡즙 56~58 중량%, 당근 15~16 중량% 및 물 6~7중량%의 비율로 혼합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필요에 따라서는 인삼 및 쑥은 분말화 처리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송아지의 설사치료용 조성물에는 상기 구성성분 이외에 계란노른자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구성하는 구성성분에 대해 각각 상세하게 설명하면, 인삼의 약효는 "비특이성 생체방어능력의 증진"이라고 표현되며, 이와 같은 비특이성 방어능력 을 증진시키는 물질을 적용소(Adaptogen)라고 정의하였는데, 인삼 사포닌이 바로 그와 같은 약효성분이라고 하였다. 따라서 인삼을 섭취하게 되면 각종 스트레스를 해소시키고 피로를 회복시켜줌으로써 질병에 대한 저항력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쑥은 약인 동시에 식품으로서 무기질과 비타민, 특히 비타민A는 7,940 IU로서 대단히 많고 약효는 방향성 정유성분인데, 에쎈셜오일( Essential oil)이라고도 하는 정유성분의 25~30%가 치네올( Cineol)이라는 성분으로, 향기의 주성분이며 살균과 살충작용이 있어 모깃불도 피우고 황색포도상구균, 대장균, 용혈성연쇄상구균의 살균이 가능하므로 세균성 설사에 많이 치료제로 사용되어 왔다. 아울러 당근에는 당근의 붉은색을 내는 카로틴이 소장의 기능을 높이는 작용을 하므로 장 기능을 활성화시켜 설사를 멎게 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칡은 가을이나 봄에 뿌리를 캐서 물로 씻어 그늘에 말렸다가 잘게 썰어서 쓰는데, 칡은 70%쯤이 물로 되어 있으나 그 밖에 당분, 섬유질, 단백질, 철분, 인, 비타민 등이 골고루 들어 있고 다이드제인, 다이드진 등 열을 내리고 머리 아픈 것을 낫게 하고 혈압을 낮추는 성분들이 들어 있다. 특히 칡은 땅속에서 물을 빨아들여 굵은 몸통 속에 저장하므로, 체내에서 설사를 멎게 하는 작용을 한다. 칡은 수분이 많이 함유되어 있으므로 채취하여 칡즙을 만든 다음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성분들은 모두 인체나 가축의 몸체 내에 흡수되어 설사를 멎게하고 소장의 기능을 활성화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특히 본 발명의 성분비율로 혼합하게 되는 경우에는 송아지의 설사치료에 최적의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의 구성성분 이외에 계란 노른자를 더 추가하여 구성성분으로 포 함시키게 되면 설사로 인해 체력이 떨어져 있는 송아지에게 체력을 보강하게 해주는 역할을 담당하여 설사치료 후에 회복속도를 빠르게 하고 성장을 촉진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송아지 설사치료용 조성물은 인삼이나 쑥과 같은 천연한방재료를 이용함으로써 약물요법이나 약침요법에 비해 송아지의 체내에 잔존하게 되는 항생제로 인한 내성 강화를 일으키지 않으므로 화학적으로 안전하면서도 설사치료에는 효과적이어서 설사로 인한 송아지의 성장지연 및 폐사를 최소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기존의 약물요법이나 약침요법과 비교하여 송아지의 설사치료에는 효과적이면서도 그 비용은 저렴하다는 다른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송아지의 설사치료용 조성물에 대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송아지의 설사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하기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 등이 가능할 것이므로, 이러한 수정, 변경 등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실시예
1. 설사 및 탈수치료용 조성물의 제조
인삼 50g과 쑥 15g을 분말화하여 물 12g을 첨가하여 혼합한 후 칡즙 180g, 세절한 당근 50g, 물 7g을 추가하여 본 발명에 의한 송아지의 설사치료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2. 치료효과의 확인
(1) 송아지 설사에 대한 효과
신생 송아지에서 설사 증상을 보이고 생후 2주령 이내에 폐사가 발생하는 대상 농장으로서, 계절 번식으로 봄가을 약 200 마리의 송아지 중, 봄철에 65~70 마리가 설사 증상을 보이며, 32마리 내외가 폐사하였던 농장을 실험대상농가로 정하여, 설사 증상을 보이는 송아지에 1일 2회 50ml씩 경구로 본 발명에 의한 송아지의 설사치료용 조성물을 공급하고, 그 결과를 과거 설사 발생 및 폐사 기록과 비교하여 표 1에 나타내었다. 설사 및 탈수치료용 조성물 공급에 앞서 설사에 대한 원인균을 조사한 결과, 로타바이러스와 용혈성 대장균이 검출되었다.
표 1. 송아지의 설사치료용 조성물 투여 후 송아지의 폐사율 변화
투여 전 투여 후
가을 가을
발병율 폐사율 발병율 폐사율 발병율 폐사율 발병율 폐사율
71/104
(68.2%)
32/71
(45.1%)
45/96
(46.9%)
14/45
(31.1%)
68/108
(63.0%)
7/68
(10.3%)
41/93
(44.1%)
4/41
(9.8%)
표 1에 의하면, 전체적으로 신생 송아지의 설사 발생율이 봄에 63~68% 정도로 가을의 44~45% 정도에 비하여 높았으나, 투여 전년도와 투여 후 사이에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반면에 폐사율은 조성물 투여 전년도의 봄, 가을 각각 45.1%, 31.1%를 기록하던 것이, 조성물 투여 후에는 봄, 가을 각각 10.3%, 9.8%를 보이며, 본 발명에 의한 설사치료용 조성물이 송아지의 폐사 예방에 효과가 있음을 증명하였다.
(2) 송아지에 대한 설사치료의 효과
설사증상이 심한 강원도 횡성의 한 농장의 생후 2개월인 송아지 20마리를 실험군으로 선정하고, 주변의 동일증상을 보이는 동일령 송아지 30마리를 대조군으로 정하였다. 실험 전 검사결과 이 송아지들은 대장균(Escherichea coli)과 프로테우스종(proteus spp.)에 의한 심한 설사 증상을 보였다. 실험군에 마리당 50ml씩의 본 발명에 의한 송아지 설사치료용 조성물을 1일 2회 12시간 간격으로 액상사료에 혼합하여 공급하였다. 최초 투여 후 12시간 간격으로 24시간 까지만 투여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에 대한 관찰은 투여 전, 최초 투여 후 18시간, 최초 투여 후 36시간에 분변의 상태 변화를 관찰하고, 표 2에서 농장에서의 설사치료용 조성물의 임상 실험 효과를 나타내었다.
표 2. 송아지의 설사치료 효과 임상 실험결과
투여 전 18시간 경과 후 36시간 경과 후
심한 설사 10 5 3
중증 설사 6 4 3
정상 상태 4 11 14
설사율 80.0% 45.0% 30.0%
치료율*
(%**)
35.0%
(43.8%)
50.0%
(62.5%)
치료율* : 투여 전 설사율과 투약 후 시간 경과시 설사율의 차감 값
(%**) : 투여 전 설사증세를 가진 송아지 마리수 대비 치료율 (투여 전 설사율을 기준으로 하여 백분율로 환산한 값)
투여 개시 전 실험군 20마리 중 80.0%(16마리)가 설사 증상을 보였다. 최초 투여 18시간 경과 후 설사치료율은 35.0%였고, 최초 투여 36시간 경과 후 설사치료율은 50.0%를 나타냈다. 36시간 경과 후 실험군에 속한 설사증세는 보였던 송아지의 분변 상태는 투여 전에 심한 설사 증상을 보이던 것에 비해 대체적으로 정상상태를 나타내었다. 이와 반대로 대조군은 심한 설사증상을 보이는 마리수가 증가하면서 설사증상이 급격히 악화되는 양상을 보였다.

Claims (4)

  1. 인삼 15~16중량%, 쑥 4~5중량%, 칡즙 56~58중량%, 당근 15~16중량% 및 물 6~7중량%의 비율로 혼합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아지의 설사치료용 조성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삼 및 쑥은 분말화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아지의 설사치료용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계란노른자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아지의 설사치료용 조성물.
KR1020080084733A 2008-08-28 2008-08-28 송아지의 설사치료용 조성물 KR1010675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4733A KR101067536B1 (ko) 2008-08-28 2008-08-28 송아지의 설사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4733A KR101067536B1 (ko) 2008-08-28 2008-08-28 송아지의 설사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5958A KR20100025958A (ko) 2010-03-10
KR101067536B1 true KR101067536B1 (ko) 2011-09-27

Family

ID=421773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4733A KR101067536B1 (ko) 2008-08-28 2008-08-28 송아지의 설사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753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6440A (ko) 2013-12-06 2015-06-16 한명순 설사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경구용 주사기 패키지
KR20230120943A (ko) 2022-02-10 2023-08-17 류형준 송아지 설사병 치료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28004A (ko) * 2013-04-26 2014-11-05 한명순 송아지 설사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4548026A (zh) * 2015-01-08 2015-04-29 岑溪市坤发液体燃烧炉具有限公司 一种治疗小儿腹泻症的中药配方
CN108271970A (zh) * 2017-12-14 2018-07-13 佛山科学技术学院 一种铁皮石斛和葛根汁复合饮品及其制备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702428A (ko) * 1995-02-22 1998-07-15 메드햇 아부-샤반 설사 치료 조성물, 이의 용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52004B1 (ko) * 2010-12-16 2017-07-1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입체영상 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702428A (ko) * 1995-02-22 1998-07-15 메드햇 아부-샤반 설사 치료 조성물, 이의 용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52004B1 (ko) * 2010-12-16 2017-07-1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입체영상 표시장치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대한본초학회지, 7(1), pp.53-60(1993.07.10.)*
한국작물학회지, 49(1), pp.169-175(2004.)*
한국전통지식포탈 DB(www.koreantk.com, 2007.12.06.)*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6440A (ko) 2013-12-06 2015-06-16 한명순 설사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경구용 주사기 패키지
KR20230120943A (ko) 2022-02-10 2023-08-17 류형준 송아지 설사병 치료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5958A (ko) 2010-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335262C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ment of mastitis in amimals and humans
CN100512835C (zh) 一种防治兔、鸡球虫病的中草药缓释注射剂及其制备方法
EA017656B1 (ru)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профилактики и лечения дизентерии свиней
KR101067536B1 (ko) 송아지의 설사치료용 조성물
EP0424534B1 (en) Pharmaceutical preparation for treatment of mastitis in animals and humans
KR101803069B1 (ko) 가축의 면역력 증강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11202164A (zh) 一种宠物驱虫复合软胶囊及其制备方法
CN101396462A (zh) 一种用于治疗畜禽消化道疾病的中药口服液
CN102973829B (zh) 用于治疗奶牛腹泻的饲料
CN101342273A (zh) 一种防治鸡葡萄球菌病的药物
CN101406249B (zh) 一种动物疾病预防饲料添加剂及应用
Huyghebaert Alternatives for antibiotic in poultry
CN101468057A (zh) 一种用于治疗仔猪黄白痢的复方中药制剂
CN104523897B (zh) 一种治疗仔猪流行性腹泻的灌肠药物组合物
CN101244164A (zh) 一种预防和治疗仔猪水肿病的药物
CN104323004A (zh) 一种防治畜禽胃部疾病的饲料添加剂
KR101695488B1 (ko) 설사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경구용 주사기 패키지
JP2023525883A (ja) コクシジウム症の治療へのtlr4モジュレーターの使用
CN101396453A (zh) 一种用于治疗畜禽呼吸道和消化道感染的中药口服液
CN101406607A (zh) 一种防治水产动物细菌性疾病的抗菌消炎药
CN101396427A (zh) 一种用于治疗家禽病毒性肝炎及肝损伤的中药口服液
CN109620877A (zh) 纯中药禽用抗细菌病制剂及其制备方法和使用方法
KR20190045050A (ko) 감기 개선 식품조성물
CN107714838A (zh) 一种预防和治疗断奶仔猪腹泻的中药组合物及其应用
KR20190044734A (ko) 고혈압 개선 식품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