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7086B1 - Linear vibrator - Google Patents
Linear vibrato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67086B1 KR101067086B1 KR1020100041582A KR20100041582A KR101067086B1 KR 101067086 B1 KR101067086 B1 KR 101067086B1 KR 1020100041582 A KR1020100041582 A KR 1020100041582A KR 20100041582 A KR20100041582 A KR 20100041582A KR 101067086 B1 KR101067086 B1 KR 10106708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gnet
- pole
- coil
- weight body
- inner diamet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12—Stationary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17—Stator cores with permanent magnet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3/00—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02K33/02—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with armatures moved one way by energisation of a single coil system and returned by mechanical force, e.g. by springs
- H02K33/04—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with armatures moved one way by energisation of a single coil system and returned by mechanical force, e.g. by springs wherein the frequency of operation is determined by the frequency of uninterrupted AC energisation
- H02K33/06—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with armatures moved one way by energisation of a single coil system and returned by mechanical force, e.g. by springs wherein the frequency of operation is determined by the frequency of uninterrupted AC energisation with polarised armature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6—Means for converting reciprocating motion into rotary motion or vice versa
- H02K7/065—Electromechanical oscillators; Vibrating magnetic driv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9/00—Electrostatic relays; Electro-adhesion relays
- H01H59/0009—Electrostatic relays; Electro-adhesion relays making use of micromechanics
- H01H2059/0036—Movable armature with higher resonant frequency for faster switch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o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선형진동자는 내부 수용공간을 구획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수용되어 선형진동하는 중량체와, 일단이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중량체에 연결되어 상기 중량체를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중량체 및 상기 탄성부재의 하부에 장착된 요크 및 상기 요크의 내부에 구비되며 고정자인 코일 및 상기 코일의 외측을 감싸도록 내경 및 외경이 1극 착자되며 고정자인 제1 마그넷 및 상기 코일의 내부를 관통하도록 배치되되, 상기 제1 마그넷과 반대극성으로 내경 및 외경이 1극 착자되며 가동자인 제2 마그넷 및 상기 요크의 하부에 장착되어 외부입력단자와 연결되는 기판 및 상기 기판의 하부에 장착된 브라켓을 포함한다.The linear vib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se for partitioning an inner accommodating space, a weight body linearly oscillated inside the case, and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case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weight body. An elastic member supporting elasticity, a yoke mounted under the weight body and the elastic member, and a coil provided inside the yoke and having a stator and an inner diameter and an outer diameter of one pole so as to surround the outside of the coil A substrate arranged to penetrate through the inside of the first magnet and the coil, the first magnet having an inner diameter and an outer diameter having a polarity opposite to that of the first magnet, and mounted on a lower portion of the yoke, the second magnet being connected to an external input terminal; It includes a bracket moun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ubstrate.
Description
본 발명은 선형진동자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near oscillator.
진동모터는 전자기적 힘의 발생원리를 이용하여 전기적 에너지를 기계적 진동으로 변환하는 부품으로서, 휴대전화에 탑재되어 무음 착신알림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휴대전화 시장이 급속도로 팽창되고 있고, 이와 더불어 여러가지 기능이 휴대폰에 부가되는 추세에 따라 휴대폰 부품의 소형화, 고품질화가 요구되어지는 상황에서 진동모터 또한 기존제품의 단점을 개선하고 품질을 획기적으로 개선시키는 새로운 구조의 제품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Vibration motor is a component that converts electrical energy into mechanical vibration by using the principle of generating electromagnetic force, and is mounted on a mobile phone and used for silent call notification. As the mobile phone market is rapidly expanding and various functions are added to mobile phones, the vibration motor also improves the shortcomings of existing products and dramatically improves the quality of mobile phone parts. There is a need to develop new products.
최근, 몇년간 LCD 화면이 큰 휴대폰의 출시가 급증하면서, 터치스크린 방식이 채택됨에 따라 터치시 진동을 발생시키는 용도로 채용이 증가되어 왔다. 터치스크린에서의 터치시 진동에 있어서 특히 요구되는 성능은, 첫째 착신시 진동발생에 비하여 사용횟수가 많아짐에 따라서 동작수명시간의 증가를 요구하게 되고, 둘째 화면을 터치하는 속도에 맞추어 진동의 응답속도도 빨라져야 사용자가 터치시 진동을 체감하는데 있어서 만족감을 높일 수 있다.In recent years, with the rapid increase in the launch of mobile phones with large LCD screen, the adoption of the touch screen method has increased the use for generating vibration during touch. Particularly required performance in the touch vibration on the touch screen requires an increase in the operation life time as the number of times of use increases compared to the occurrence of the vibration when the first incoming call occurs. In order to increase the satisfaction of the user to feel the vibration when the touch should be faster.
종래에 많이 사용되는 진동모터는 회전력을 발생시켜 불평형 질량을 회전부에 회전시킴으로써 기계적 진동을 얻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으며, 회전력은 브러쉬와 정류자의 접점을 통하여 정류작용을 거쳐 회전자 코일에 전류를 공급하는 구조로 발생시킨다. 하지만 이러한 정류자를 사용한 브러쉬타입 구조는 모터 회전시 브러쉬가 정류자의 세그먼트와 세그먼트 사이의 극간을 지나면서 기계적인 마찰과 전기적인 스파크를 유발하거나 마모 및 블랙 파우더 등 이물을 생성하여 모터수명이 짧아지는 단점이 있다. Conventionally used vibration motor is a method of generating a mechanical force by rotating the unbalanced mass to generate a rotational force to rotate the rotating part, the rotational force is supplied to the rotor coil through the rectifying action through the contact point of the brush and commutator Generated as a structure. However, the brush-type structure using the commutator has the disadvantage of shortening the service life of the motor by causing the brush to pass through the gap between the segment of the commutator and the spark between the segments, causing mechanical friction and electrical spark, or generating foreign materials such as wear and black powder. There is this.
또한, 모터에 전압 인가시 불평형 질량을 갖는 회전부의 관성에 의하여 목표진동량에 도달하는데 시간이 걸려서 응답속도가 느려지는 단점이 있어서 터치스크린 폰에서 적합한 진동구현에 어려움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response speed is slow due to the time required to reach the target vibration amount due to the inertia of the rotating part having an unbalanced mass when voltage is applied to the motor, and thus, it is difficult to implement suitable vibration in the touch screen phone.
이러한 수명 및 응답성의 단점을 극복하여 현재 터치스크린폰의 진동기능구현을 위하여 많이 사용되고 있는 것이 선형진동자이다.To overcome these shortcomings of lifespan and responsiveness, the linear vibrator is currently used for the vibration function of the touch screen phone.
선형진동자는 모터의 회전원리를 이용한 것이 아니라, 진동자 내부에 설치되는 스프링과 스프링에 매달린 운동부를 이용하여 결정되는 공진주파수를 갖는 전자기력으로 가진되어 진동을 발생시키게 된다. 여기에서 전자기력은 운동 질량부에 위치한 마그넷이 지지판에 위치한 코일의 일정한 주파수를 갖는 직류 또는 교류전류와 상호작용하여 발생한다.
The linear vibrator does not use the principle of rotation of the motor, but is excited by an electromagnetic force having a resonance frequency determined by using a spring installed inside the vibrator and a moving part suspended from the spring to generate vibration. Here, the electromagnetic force is generated when the magnet located at the moving mass part interacts with a direct current or alternating current having a constant frequency of the coil located at the support plate.
본 발명의 목적은 진동력을 충분히 크게 할 수 있는 선형진동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inear vibrator capable of sufficiently increasing the vibration force.
본 발명의 선형진동자는 내부 수용공간을 구획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수용되어 선형진동하는 중량체와, 일단이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중량체에 연결되어 상기 중량체를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중량체 및 상기 탄성부재의 하부에 장착된 요크 및 상기 요크의 내부에 구비되며 고정자인 코일 및 상기 코일의 외측을 감싸도록 내경 및 외경이 1극 착자되며 고정자인 제1 마그넷 및 상기 코일의 내부를 관통하도록 배치되되, 상기 제1 마그넷과 반대극성으로 내경 및 외경이 1극 착자되며 가동자인 제2 마그넷 및 상기 요크의 하부에 장착되어 외부입력단자와 연결되는 기판 및 상기 기판의 하부에 장착된 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linear vib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se for partitioning an inner accommodating space, a weight body linearly oscillated inside the case, and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case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weight body. An elastic member supporting elasticity, a yoke mounted under the weight body and the elastic member, and a coil provided inside the yoke and having a stator and an inner diameter and an outer diameter of one pole so as to surround the outside of the coil A substrate arranged to penetrate through the inside of the first magnet and the coil, the first magnet having an inner diameter and an outer diameter having a polarity opposite to that of the first magnet, and mounted on a lower portion of the yoke, the second magnet being connected to an external input terminal;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bracket moun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ubstrate.
또한, 상기 제1 마그넷은 외경이 S극, 내경이 N극으로 착자되며 상기 제2 마그넷은 내경이 N극, 외경이 S극으로 착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irst magnet is magnetized to the outer pole of the S pole, the inner diameter of the N pole, the second magne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ner diameter of the N pole, the outer diameter is magnetized to the S pole.
또한, 상기 제1 마그넷은 외경이 N극, 내경이 S극으로 착자되며 상기 제2 마그넷은 내경이 S극, 외경이 N극으로 착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irst magnet is magnetized to the outer pole of the N pole, the inner diameter of the S pole, the second magne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ner diameter of the S pole, the outer diameter is magnetized to the N pole.
또한, 상기 제 마그넷은 상기 코일의 내경으로부터 반경방향 또는 상기 코일의 외경에서 내경방향으로 퍼져 나가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magnet is designed to spread in the radial direction from the inner diameter of the coil or in the inner diameter direction from the outer diameter of the coil.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The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based on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Prior to this,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in a conventional and dictionary sense, and the inventor may appropriately define the concept of a term in order to best describe its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in accordance with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선형진동자는 제1마그넷과 제2마그넷이 반대극성으로 마주하도록 하여 자기장의 방향이 코일의 내경으로부터 반경방향 또는 코일의 외경에서 내경방향으로 퍼져 나가도록 설계하여, 동일체적에 전자기력을 극대화할 수 있는 구조를 제안한다.The linear vib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esigned so that the first magnet and the second magnet face in opposite polarity so that the direction of the magnetic field spreads radially from the inner diameter of the coil or from the outer diameter of the coil to the inner diameter, thereby applying electromagnetic force to the same volume. We propose a structure that can be maximized.
이러한 구조를 통하여, 진동자가 수직방향에 따른 운동변위확보의 필요성이 없으며, 이에 따라 진동자의 두께 박형화가 가능하다.Through this structure, the vibrator does not need to secure the movement displacement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us the thickness of the vibrator can be reduced.
또한, 진동방향으로 긴 진동자의 외관설계가 가능하게 되어 수직 리니어진동자에 비하여 진동량이 증가가능하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design the appearance of the vibrator long in the vibration direction,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amount of vibration compared to the vertical lined pupil.
뿐만 아니라, 내외경 1극착자된 마그넷 두 개를 반대 극성으로 마주보게 하는 구조로 전자기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electromagnetic force can be increased by a structure in which two magnets in which the inner and outer diameter single polarized magnets face each other with opposite polaritie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선형진동자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선형진동자의 일부 조립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선형진동자의 또다른 일부 조립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선형진동자의 제1마그넷 및 제2마그넷의 전자기 방향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선형진동자의 제1마그넷 및 제2마그넷의 또다른 전자기 방향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linear vib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artially assembled view of a linear vib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other partially assembled view of a linear vib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lectromagnetic direction diagram of a first magnet and a second magnet of a linear vib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other electromagnetic direction diagram of the first magnet and the second magnet of the linear vib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The objects, specific advantages and nove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preferred embodiments associated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reference numerals are added to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drawings, and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re assigned the same number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since they would obscure the invention in unnecessary detail.
본 발명은 내외경1극착자 마그넷을 사용하고, 코일의 내부와 외부를 연결하는 닫힌구조의 자기회로를 구성하여 코일에 쇄교되는 자기력을 크게 하는 구조를 구현함으로써 코일에 흐르는 전류와 합해진 전자기력을 크게 하고, 결과적으로 진동자의 진동력을 충분히 크게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uses an inner and outer diameter 1 polarizer magnet, and configures a closed magnetic circuit connecting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coil to implement a structure that increases the magnetic force that is connected to the coil, thereby greatly increasing the electromagnetic force combined with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coil. As a result, the object is to sufficiently increase the vibration force of the vibrator.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선형진동자는 케이스(110), 중량체(120), 탄성부재(130), 요크(140), 내외경1착자 제1마그넷(150), 코일(160), 내외경1착자 제2마그넷(170), 기판(180), 브라켓(190)으로 이루어진다.
As shown in FIG. 1, the linear vib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본 발명에 따른 선형진동자는 자기회로가 개선된 선형진동자로서, 내외경1극 착자된 두 개의 링형 마그넷과 코일을 이용한 자기회로 시스템이다.The linear vib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linear vibrator having an improved magnetic circuit. The linear vibrator is a magnetic circuit system using two ring magnets and coils magnetized inside and outside.
리니어모터는 공진주파수(F)는 모터를 구동시키는 고정주파수를 압력으로 받아들이기 때문에 공진주파수와 입력주파수의 차이가 발생하면 진동력이 약해질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공진주파수와 인접한 주파수 대역에서도 진동량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일정량의 대역폭(Band width)를 확보해야 한다. 여기서, 대역폭이란 대역의 상하한의 주파수의 차이를 헤르츠(hz)로 나타낸 것을 말한다. Since the resonant frequency F receives a fixed frequency driving the motor as a pressure, the linear motor may weaken the vibration force when a difference between the resonant frequency and the input frequency occurs.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n order to secure the amount of vibration even in the frequency band adjacent to the resonance frequency, a certain amount of bandwidth must be secured. Here, the bandwidth refers to the difference in frequency between the upper and lower limits of the band in hertz (hz).
또한, 터치스크린폰에 적용시 터치하는 속도에 맞추어 진동의 응답속도도 빨라져야 사용자가 진동을 체감하는데 있어서 만족감을 높일 수 있다.In addition, when applied to the touch screen phone, the response speed of the vibration should also be increased according to the speed of the touch so that the user can increase the satisfaction in immersing the vibration.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선형진동자는, 선형진동자의 주요성능인 진동량을 넓은 주파수 대역에서 확보하기 위한 대역폭의 개선과 진동의 응답속도 개선을 하기위한 자기회로구조를 제안한다.
Accordingly, the linear vib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magnetic circuit structure for improving the bandwidth and the response speed of the vibration to secure the vibration amount, which is the main performance of the linear vibrator, in a wide frequency band.
케이스(110)는 일정크기의 내부공간을 갖는 수용부재이며, 내부에 중량체(120)를 비롯한 진동자 및 고정자를 포함한다.
The
중량체(120)는 코일(160)의 전원신호를 인가하여 마그넷(150,170)과 상호작용함으로써 선형진동을 발생한다. 여기서, 중량체(120)는 철보다 무거운 비중을 갖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동일한 체적 내에서 진동자의 질량을 높임으로써 진동체의 질량에 관계하는 공진주파수(F)를 조절하여 진동량을 최대로 하기 위함이다.The
중량체(120)는 측면으로 확장되어 더 큰 질량을 갖도록 할 수도 있는바, 이 또한, 제한된 체적 내에 질량을 증가시켜 진동량을 최대로 하기 위함이다.
The
일반적으로 공진주파수(F)를 이용하는 선형진동자에 있어서, 공진주파수(F)는 아래 [수학식 1]에서 보듯이 중량체(120)의 질량(m)과 탄성부재(130)의 탄성계수(k)로 결정된다. 코일(160)에 이 공진주파수(F)를 갖는 전원이 인가되어 전류가 흐를 때 중량체(120)가 상하로 움직이는 변위는 최대가 되고 진동량도 최대가 된다. In general, in the linear vibrator using the resonant frequency (F), the resonant frequency (F) is the mass (m) of the
선형진동자(100)의 고유 진동수를 보정하기 위해서 중량체(120)는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홀(미도시)를 구비하여 중량체(120)의 질량을 가감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다.
In order to correct the natural frequency of the
탄성부재(130)는 일측이 중량체(120)에 장착되고 타측이 케이스(110)에 장착되어 중량체(120)의 선형진동을 탄성지지한다. 탄성부재(130)의 탄성계수는 중량체(120)의 고유진동수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One side of the
또한, 탄성부재(130)는 코일스프링 또는 판스프링 형태로 케이스(110)의 내부공간에 고정되고 중량체(120)에 연결되어 탄성력을 발생시키도록 이루어진다.
In addition, the
요크(140)는 중량체(120) 및 탄성부재(130)의 하부에 구비되며, 내부에 내외경1착자 제1마그넷(150)과 코일(160) 및 내외경1착자 제2마그넷(170)을 포함한다. 요크(140)는 마그넷(150,170)과 관련하여 자기장의 세기를 일정하게 유도할 수 있다.
The
내외경1착자 제1마그넷(150)은 코일(160)의 외경에 배치되며, 코일(160)에 흐르는 전류와 상호작용하여 코일(160)의 중심축 방향으로 전자기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내외경1착자 제2마그넷(170)이 코일(160)의 내경에 배치된다.
The inner and outer diameter 1 magnet
코일(160)은 전류를 일정주파수에 따라 인가받으면 주변에 자기장이 유도되며 중량체(120)와 전원신호를 인가하여 마그넷(150,170)과 상호작용함으로써 중량체(120)의 선형진동을 발생시킨다.
When the
기판(180)은 각종 전자회로 및 수동소자가 장착되어 전기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연결되며 요크(140)의 하부에 장착된다.
The
브라켓(190)은 기판(180)의 하부에 구비되어 선형진동자(100)의 부품들을 하부에서 지지한다. 여기서, 브라켓(190)은 구동부에 영향을 주지않도록 비자성 또는 약자성체로 만들어진다.
The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선형진동자(100)가 케이스(110)가 개방된 채로 조립된 형상을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선형진동자(100)의 중량체(120)는 탄성부재(130)에 의해 탄성지지되어 선형진동을 실시한다.
2 shows the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선형진동자(100)의 일부조립도로써, 브라켓(190)의 내부상면에 외부입력단자와 연결되는 기판(180)이 장착되는데, 기판(180)은 외부에서 인가되는 전원을 진동자 내부의 코일(160)로 연결시키는 회로패턴을 포함한다. 또한, 베이스에는 코일(160)과 코일(160)의 외측을 감싸도록 내외경1극 착자된 제1마그넷이 구비되어 있다.
3 is a partially assembled view of the
도 4는 제1 마그넷(150)과 제2 마그넷(170)이 반대극성으로 마주하도록 하여 자기장의 방향이 코일(160)의 내경으로부터 반경방향 또는 코일(160)의 외경에서 내경방향으로 퍼져나가도록 설계하여, 동일체적에서 전자기력을 극대화할 수 있는 구조를 나타내며 전자기 방향도 함께 나타낸다.4 shows the
여기서, 제1마그넷(150)과 코일(160)은 고정자이며, 제2마그넷(170)은 가동자이다. 또한, 마그넷이 두 개이므로 자기회로의 누설이 없는 구조이다.
Here, the
도 4는 제1마그넷(150)의 외경이 S극, 내경이 N극으로 착자된 경우이며, 도 5는 제1마그넷(150)의 외경이 N극, 내경이 S극으로 착자된 경우를 나타낸다.
4 illustrates a case in which the outer diameter of the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선형진동자(100)는 제1마그넷(150)과 제2마그넷(170)이 반대극성으로 마주하도록 하여 자기장의 방향이 코일(160)의 내경으로부터 반경방향 또는 코일(160)의 외경에서 내경방향으로 퍼져 나가도록 설계하여, 동일체적에 전자기력을 극대화할 수 있는 구조를 제안한다.
In the
이러한 구조를 통하여, 진동자가 수직방향에 따른 운동변위확보의 필요성이 없으며, 이에 따라 진동자의 두께 박형화가 가능하다.Through this structure, the vibrator does not need to secure the movement displacement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us the thickness of the vibrator can be reduced.
또한, 진동방향으로 긴 진동자의 외관설계가 가능하게 되어 수직 리니어진동자에 비하여 진동량이 증가가능하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design the appearance of the vibrator long in the vibration direction,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amount of vibration compared to the vertical lined pupil.
뿐만 아니라, 내외경 1극착자된 마그넷 두 개를 반대 극성으로 마주보게 하는 구조로 전자기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electromagnetic force can be increased by a structure in which two magnets in which the inner and outer diameter single polarized magnets face each other with opposite polarities.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선형진동자(100)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through specific embodiments, it is intended to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and the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All simple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pecific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apparent from the appended claims.
100: 선형진동자 110: 케이스
120: 중량체 130: 탄성부재
140: 요크 150: 제1 마그넷
160: 코일 170: 제2 마그넷
180: 기판 190: 브라켓100: linear oscillator 110: case
120: weight 130: elastic member
140: York 150: first magnet
160: coil 170: second magnet
180: substrate 190: bracket
Claims (4)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수용되어 선형진동하는 중량체;
일단이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중량체에 연결되어 상기 중량체를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
상기 중량체 및 상기 탄성부재의 하부에 장착된 요크 및 상기 요크의 내부에 구비되며 고정자인 코일;
상기 코일의 외측을 감싸도록 내경 및 외경이 1극 착자되며 고정자인 제1 마그넷;
상기 코일의 내부를 관통하도록 배치되되, 상기 제1 마그넷과 반대극성으로 내경 및 외경이 1극 착자되며 가동자인 제2 마그넷; 및
상기 요크의 하부에 장착되어 외부입력단자와 연결되는 기판 및 상기 기판의 하부에 장착된 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진동자.
A case partitioning the inner accommodation space;
A weight body that is accommodated in the case and linearly vibrates;
An elastic member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case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weight body to elastically support the weight body;
A yoke mounted under the weight body and the elastic member, and a coil provided inside the yoke and having a stator;
A first magnet having an inner diameter and an outer diameter magnetized by one pole and stator to surround the outer side of the coil;
A second magnet disposed to penetrate the inside of the coil, the second magnet being one-pole magnetized with an inner diameter and an outer diameter polarized opposite to the first magnet; And
And a bracket mounted to the bottom of the yoke and connected to an external input terminal, and a bracket mounted to the bottom of the substrate.
상기 제1 마그넷은 외경이 S극, 내경이 N극으로 착자되며 상기 제2 마그넷은 내경이 N극, 외경이 S극으로 착자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진동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magnet is magnetized to the outer pole of the S pole, the inner diameter of the N pole and the second magnet is magnetized to the inner pole of the N pole, the outer diameter of the S pole.
상기 제1 마그넷은 외경이 N극, 내경이 S극으로 착자되며 상기 제2 마그넷은 내경이 S극, 외경이 N극으로 착자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진동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magnet is magnetized to the outer pole N pole, the inner diameter S pole, and the second magnet is magnetized to the inner pole S pole, the outer diameter N pole.
상기 제2 마그넷은 코일의 내경으로부터 반경방향 또는 상기 코일의 외경에서 내경방향으로 퍼져 나가도록 설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진동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second magnet is designed to spread radially from the inner diameter of the coil or in the inner diameter direction at the outer diameter of the coil.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41582A KR101067086B1 (en) | 2010-05-03 | 2010-05-03 | Linear vibrat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41582A KR101067086B1 (en) | 2010-05-03 | 2010-05-03 | Linear vibrato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067086B1 true KR101067086B1 (en) | 2011-09-22 |
Family
ID=449577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41582A KR101067086B1 (en) | 2010-05-03 | 2010-05-03 | Linear vibrato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67086B1 (en)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70103174A (en) * | 2006-04-18 | 2007-10-23 | 강윤규 | Vibrator |
-
2010
- 2010-05-03 KR KR1020100041582A patent/KR101067086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70103174A (en) * | 2006-04-18 | 2007-10-23 | 강윤규 | Vibrator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55463B1 (en) | Linear vibrator | |
KR101077368B1 (en) | Linear vibrator | |
CN102447372B (en) | Linear vibrator | |
KR100541112B1 (en) | A vertical vibrator of inner weight type | |
US9093888B2 (en) | Linear vibrator | |
US8237314B2 (en) | Horizontal linear vibrator | |
KR101084860B1 (en) | Horizontal Linear vibrator | |
CN101902115B (en) | Linear vibrator | |
US8957558B2 (en) | Linear vibration generator | |
US8384259B2 (en) | Horizontal linear vibrator | |
KR101746007B1 (en) | Linear type vibration motor vibrated Verticality | |
US8937411B2 (en) | Vibration generating device | |
US8446055B2 (en) | Linear type vibration motor having magnet casing | |
KR20100119970A (en) | Linear vibrator | |
KR20100119971A (en) | Linear vibrator | |
KR20130038542A (en) | Linear vibrator | |
CN102055297A (en) | Linear vibrator | |
KR20110009462A (en) | Horizontal linear vibrator | |
KR101525654B1 (en) | Linear vibrator | |
US20140070633A1 (en) | Linear vibrator | |
US20110068641A1 (en) | Horizontal linear vibrator | |
KR20050122101A (en) | A vertical vibrator | |
KR101035339B1 (en) | Cylinder type linear vibration motor for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 |
CN108448858B (en) | High-sensitivity high-vibration-sense micro vibrator | |
KR101067211B1 (en) | Linear vibrat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701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