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6948B1 - Apparatus for preventing from bedsore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preventing from bedso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6948B1
KR101066948B1 KR1020100050074A KR20100050074A KR101066948B1 KR 101066948 B1 KR101066948 B1 KR 101066948B1 KR 1020100050074 A KR1020100050074 A KR 1020100050074A KR 20100050074 A KR20100050074 A KR 20100050074A KR 101066948 B1 KR101066948 B1 KR 1010669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mattress
air chambers
user
ope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007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홍정화
신철
Original Assignee
바이오슬립메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이오슬립메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바이오슬립메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500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6948B1/en
Priority to PCT/KR2010/005053 priority patent/WO2011149147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69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694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61G7/057Arrangements for preventing bed-sores or for supporting patients with burns, e.g. matt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G7/05723Arrangements for preventing bed-sores or for supporting patients with burns, e.g. matt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ith cut-outs or depressions in order to relieve the pressure on a part of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01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with means for turning-over the pati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61G7/057Arrangements for preventing bed-sores or for supporting patients with burns, e.g. matt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G7/05769Arrangements for preventing bed-sores or for supporting patients with burns, e.g. matt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ith inflatable chambers
    • A61G7/05776Arrangements for preventing bed-sores or for supporting patients with burns, e.g. matt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ith inflatable chambers with at least two groups of alternately inflated chamb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욕창 방지장치는 사용자의 신체 부위에 따라 머리, 상체, 둔부, 다리의 섹션으로 구획하여 분리구성된 매트리스와, 매트리스의 각각의 섹션의 양측에 팽창 및 수축에 의해 동작하도록 각각 마련되는 제 1 및 제 2 에어챔버와, 각 에어챔버가 팽창되도록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공급수단과, 에어챔버 중 어느 하나를 동작시키거나 교대로 동작시키도록 선택하는 동작선택부와, 선택된 동작을 동작시키도록 에어공급수단 및 에어챔버 각각으로의 에어 공급과 배출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각각의 에어챔버가 초기로부터 동작하기 시작하는 시간을 설정하는 동작시간설정부를 포함하되, 매트리스를 다수의 섹션으로 분리함에 따라 이동이 편리하고, 체압이 집중되는 매트리스의 둔부 섹션에는 도넛형의 구멍이 형성되어 환부에 대한 접촉면을 줄이면서도 통기성을 좋게 하고, 머리 섹션에는 사용자의 신장을 측정할 수 있도록 줄자를 포함하고, 에어챔버의 각각은 피팅 오픈에 의해 급속배기가 가능하며, 제어부는 에어챔버의 각각에 공급된 공기의 압력을 측정하여 사용자의 체중을 환산함에 따라, 환자의 영양상태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Bed restrain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vided into sections of the head, upper body, buttocks, legs according to the user's body portion, and a first mat is configured to operate by inflation and contraction on both sides of each section of the mattress. And a second air chamber, air supply means for supplying air to inflate each air chamber, an operation selector for selecting one of the air chambers to be operated or alternately operated, and an air to operate the selected operation.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supply and discharge of air to each of the supply means and the air chamber, and an operation time setting unit for setting the time each air chamber starts to operate from the beginning, moving as the mattress is separated into a plurality of sections The convenient, buttock-shaped buttock section of the mattress has a donut-shaped hole that reduces the contact surface to the affected area. In order to improve ventilation, the head section includes a tape measure to measure the height of the user. Each of the air chambers allows rapid exhaustion by opening the fitting, and the controller controls the pressure of the air supplied to each of the air chambers. By converting the weight of the user by measuring, it is possible to easily determine the nutritional status of the patient.

Figure R1020100050074
Figure R1020100050074

Description

욕창 방지장치{APPARATUS FOR PREVENTING FROM BEDSORE}Bed sore prevention device {APPARATUS FOR PREVENTING FROM BEDSORE}

본 발명은 와상 생활자의 욕창 발생을 방지하기에 알맞은 자세 변화 방향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나아가서 자세 변화를 유지하는 시간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특성에 효율적으로 적용할 수 있음과 동시에, 분리된 매트리스가 마련되어 이동이 편리하고, 수면자의 체중과 신장도 측정 가능한 욕창을 방지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to select a suitable posture change direction to prevent the development of bed sores in the vortex, and furthermore, it is possible to set the time to maintain the posture change, which can be efficiently applied to user characteristics and at the same time separated mattress It is provided with a device that can be easily moved, to prevent bedsores that can measure the weight and height of the sleeper.

일반적으로, 중추신경계 이상이나 그 외의 병변에 의하여 와상(누운상태) 생활을 할 수 밖에 없는 환자는 스스로 일정기간 내에 체위를 변경하지 못하여 발생할 수 있는 욕창을 예방하고자 일정시간(최소 2시간) 마다 체위변경을 실시하도록 하고 있으며 이는 미국 욕창자문위원회(NPUAP)의 권고 사항으로서 욕창 예방을 위한 체위변경은 접촉압력과 전단력이 최소화되는 30°측와위 체위를 유지해 주는 것이며(The 30 Degree Rule: JoAnn Maklebust, Mary Sieggreen, 'Pressure Ulcers Guidelines for Prevention and Nursing', 1991) 일반적으로 체위를 변경하기 위하여 두 명 이상의 개호인(Caregiver)이 환자를 들어 올린 후 베개 또는 스폰지 등의 보조기구를 이용하고 있다.In general, patients who are forced to live in a state of lying (laying) due to central nervous system abnormalities or other lesions are not allowed to change their position within a certain period of time to prevent pressure sores. This is a recommendation of the U.S. Sores Advisory Committee (NPUAP), which is to maintain a 30 ° side position where contact pressure and shear forces are minimized (The 30 Degree Rule: JoAnn Maklebust, Mary). Sieggreen, 'Pressure Ulcers Guidelines for Prevention and Nursing', 1991) In general, two or more caregivers use a device such as a pillow or sponge after lifting a patient to change their position.

욕창을 예방하는 방법에는 고식적인 방법으로 Nutritional and skin care assessment가 있으나, 논란이 있으며(Lange, Bates-Jensen, 2003). 욕창 발생의 가장 중요한 원인인 압력과 관련하여, 신체 피부 상의 contact pressure (body pressure)를 모세혈관의 혈액순환 장애가 발생하는 최소압력 이하로 감압하거나, 자세를 바꿈으로써 압력이 집중되는 부위를 이동시키는 방법 등이 널리 쓰인다(Kosiak, 1959). 이러한 방법을 응용하여 pressure-reducing devices (static or dynamic)가 사용되고 있으나(Thomas, 2006), 이들에 대한 유용한 효과에 대하여는 논란이 있다(Reddy, 2006).Conventional methods of preventing bedsores include the Nutritional and skin care assessment, but it is controversial (Lange, Bates-Jensen, 2003). Regarding pressure, which is the most important cause of pressure sores, reduce the contact pressure (body pressure) on the body skin below the minimum pressure at which the blood circulation of capillaries occurs, or change the posture to move the area where the pressure is concentrated Etc. are widely used (Kosiak, 1959). Pressure-reducing devices (static or dynamic) are used to apply this method (Thomas, 2006), but there are controversies about their useful effects (Reddy, 2006).

일부 교대부양 에어매트리스의 경우 체압 분산의 효과가 없고 오히려 체압을 집중시키며 매트리스 재질에 의한 습기 유발이 욕창을 발생시키기도 하며 틸팅(tilting) 기능이 적용된 경우에도 충분한 각도를 형성시켜주지 못하여 효과가 미비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Some of the levitation air mattresses do not have the effect of dispersing body pressure, but rather concentrate the body pressure, causing moisture caused by the mattress material, causing pressure sores, and insufficient effects even when the tilting function is applied. Appearing.

또한, 개호인의 피로 누적에 의한 체위변경 회피 가능성이 높고, 1인의 개호인이 다수의 환자를 담당할 경우 변경시간을 확인하기 어려우며, 주기적 체위 변경에 의한 개호인의 근골격계 질환을 유발할 가능성이 높고, 욕창 발생으로 의료진과의 의료 분쟁 가능성이 높아진다.In addition, there is a high possibility of avoiding position changes due to cumulative fatigue of the caregiver, it is difficult to confirm the change time when one caregiver is responsible for a large number of patients, and there is a high possibility of causing caregiver's musculoskeletal disorders due to periodic position changes. In addition, the development of pressure sores increases the likelihood of medical disputes with medical staff.

미국의 의료과실 발생률 3% 중 20%에 해당하는 환자가 사망하는 것으로 드러났는데, 이 중 가장 많이 발생한 의료과실은 욕창이 45만 5305건으로 전체의 40.53%를 차지했다.Twenty percent of the 3 percent incidence of medical malpractice in the U.S. was found to be dead, with the largest number of medical malpractice being 45,305,305, accounting for 40.53 percent of the total.

따라서 주기적으로 환자의 체위를 충분히 변환해주고 변환 시, 피부로부터 압축 및 인장 응력과 전단력을 최소화하며 체중에 의한 접촉 압력을 분산시키는 자동 자세변환 매트리스 기술 개발이 필요하다.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 automatic posture converting mattress technology that periodically converts the patient's position sufficiently, minimizes compressive and tensile stresses and shear forces from the skin, and distributes contact pressure due to weight.

기존의 유사 선행기술로는 자세변환을 통하여 코골이 및 수면호흡장애를 방지하는 방법으로 본 출원인의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 10-0948883호에 따른 수면 호흡장애 방지장치(100)의 구성이 도 1에 개시되어 있다. 이 특허에 개시된 수면 호흡장애 방지장치(100)는 인체의 등 양측에 마련되는 제 1 및 제 2 에어챔버(120,130)와, 제 1 및 제 2 에어챔버(120,130)에 팽창을 위해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공급수단(140)과, 제 1 및 제 2 에어챔버(120,130)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을 교대로 동작시키도록 선택하는 동작선택부(150)와, 제 1 또는 제 2 에어챔버(120,130)가 동작시 팽창을 유지하는 시간을 설정할 수 있는 유지시간설정부(170)와, 제 1 또는 제 2 에어챔버(120,130)가 동작하기 시작하여 수면자가 수면에 들어가서 수면 호흡장애를 일으키는 시간을 설정할 수 있는 동작시간설정부(180)와, 유지시간설정부(170) 및 동작시간설정부(180)에 의해 설정된 시간을 카운팅하여 이들에 설정된 시간이 경과시 신호를 출력하는 타이머부(163)와, 에어공급수단(140)과 동작선택부(150)와 유지시간설정부(170)와 동작시간설정부(18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60)를 포함하며, 에어공급라인(141)에서 제 1 및 제 2 에어챔버(120,130) 각각에 연결되는 분기된 측에 마련되는 솔레노이드밸브의 3방향 밸브(161,162)의 동작을 제어부(140)가 제어하여 에어공급수단(140)으로부터 공급되는 에어를 제 1 또는 제 2 에어챔버(120,130)에 선택적으로 공급함에 따라 제 1 또는 제 2 에어챔버(120,130)가 팽창하여 수면자가 수면 중 자세를 달리하더라도 좌측 또는 우측 측와위(側臥位)로의 자세 변환이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Existing similar prior art as a method for preventing snoring and sleep breathing disorder through posture transformation configuration of the device for preventing sleep respiratory disorder 100 according to the applicant's 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0948883 disclosed in FIG. It is. Sleep respiratory disorder preventing device 100 disclosed in this patent is to supply air for expansion to the first and second air chambers 120,130 and the first and second air chambers 120,130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human body The air supply means 140, the operation selection unit 150 for selecting one or the first and second air chambers 120 and 130 alternately to operate, and the first or second air chambers 120 and 130 operate The holding time setting unit 170 and the first or second air chambers 120 and 130 that can set the time to maintain the expansion during the start of operation to set the time that the sleeper enters the sleep and causes sleep respiratory disorder A timer unit 163 that counts the time set by the time setting unit 180, the holding time setting unit 170 and the operation time setting unit 180, and outputs a signal when the time set therein is elapsed; Means 140, operation selector 150 and holding time setting unit 17 0) and a control unit 160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time setting unit 180, which is provided on a branched side connected to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air chambers 120 and 130 in the air supply line 141. The control unit 14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three-way valves 161 and 162 of the solenoid valve to selectively supply air supplied from the air supply unit 140 to the first or second air chambers 120 and 130. 2 Even if the air chambers 120 and 130 are inflated and the sleeper differs in his / her posture during sleep, the posture change to the left or right side vortex may be accurately performed.

이에 따라 수면자의 등에 마련되는 에어챔버의 팽창에 의해 수면 자세를 각성없이 자연스럽게 변화시킴으로써 수면자가 수면 호흡장애를 일으키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숙면을 유지시키고, 에어챔버가 수면자의 등에 정확하게 위치함으로써 에어챔버의 팽창 및 수면자의 수면중 위치와 자세 변경에도 불구하고 수면자가 수면 호흡장애 방지를 위한 자세 변화가 정확하게 실시되도록 하며, 수면자가 수면 호흡장애를 방지하기에 알맞은 자세 변화 방향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나아가서 자세 변화를 유지하는 시간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면자마다 상이한 수면 호흡장애 방지 특성에 효율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As a result, the sleeping posture is naturally changed without arousal by the expansion of the air chamber provided on the sleeper's back, so that the sleeping person does not cause the sleep respiratory disorder and maintains a good night's sleep. And despite the change of the sleeping position and posture of the sleeping person, the sleeping person can perform the posture change accurately to prevent sleep respiratory disorder, and the sleeping person can select the appropriate posture change direction to prevent the sleeping respiratory disorder, By allowing the user to set the time to maintain the change,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apply to the sleep respiratory disorder prevention characteristics that are different for each sleeper.

그런데, 이상의 수면 호흡장애 방지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에어챔버(120,120)가 수면자의 등부분에 대응하는 매트리스(190) 저면의 양측에 팽창 및 수축 가능하도록 마련되지만, 이러한 매트리스(190)가 일체형으로 구성됨에 따라 이동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above-described sleep respiratory disorder prevention device is provided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air chambers 120 and 120 can expand and contract on both sides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mattress 190 corresponding to the back part of the sleeper, as shown in FIG. As the mattress 190 is integrally forme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movement is inconvenient.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매트리스를 일체형이 아닌 수면자의 신체부위에 따라 다수의 섹션으로 구획하여 분리되도록 구성하되, 각 섹션 마다 에어챔버가 팽창 및 수축 가능하도록 마련된 욕창 방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urpose is to separate the mattress into a plurality of sections according to the body parts of the sleeper, not integral, so that the air chamber is expandable and contracted for each section It is to provide a bedsore prevention device provided.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장시간 요양 또는 치료가 필요한 환자의 체압이 집중되는 부분의 매트리스에 구멍을 형성하여 욕창을 방지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evice that can prevent bedsores by forming a hole in the mattress of the part where the body pressure of the patient in need of long-term care or treatment is concentrated.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환자의 체중 및 신장을 에어챔버의 압력을 이용하여 측정하여 환자의 영양상태를 파악 할 수 있는 욕창 방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ed sore prevention device that can determine the nutritional status of the patient by measuring the weight and height of the patient using the pressure of the air chamber.

이상을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욕창 방지장치는 사용자의 신체 부위에 따라 다수의 섹션으로 구획하여 분리되도록 구성된 매트리스와, 상기 매트리스의 각각의 섹션의 양측에 팽창 및 수축에 의해 동작하도록 각각 마련되는 제 1 및 제 2 에어챔버와, 상기 제 1 및 제 2 에어챔버에 팽창을 위해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공급수단과, 상기 제 1 및 제 2 에어챔버 중 어느 하나를 동작시키거나 상기 1 및 제 2 에어챔버를 교대로 동작시키도록 선택하는 동작선택부와, 상기 동작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동작을 동작시키도록 상기 에어공급수단 및 상기 제 1 및 제 2 에어챔버로의 에어 공급과 배출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 1 또는 제 2 에어챔버가 초기로부터 동작하기 시작하는 시간을 설정하는 동작시간설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작시간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시간의 경과 시 상기 제 1 또는 제 2 에어챔버를 동작시킨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ed sore prevention device is a mattress configured to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ections according to the user's body portion, and by expanding and contracting on both sides of each section of the mattress Operating one of the first and second air chambers respectively provided to operate, air supply means for supplying air to the first and second air chambers for expansion, and one of the first and second air chambers; An operation selector for selecting the first and second air chambers to alternately operate; an air supply to the air supply means and the first and second air chambers to operate the operation selected by the operation selector;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discharge, and an operation time setting unit for setting a time at which the first or second air chamber starts to operate from an initial stage. When the lapse of time set by the operation time setting unit operates the first or second air chamber.

매트리스는 머리, 상체, 둔부, 다리의 섹션으로 구획되어 분리되며, 둔부 섹션에는 구멍이 형성되고, 머리 섹션에는 수면자의 신장을 측정할 수 있도록 줄자를 포함한다.The mattress is divided into sections of the head, the upper body, the buttocks, and the legs, and is divided into a hole in the buttocks section, and the head section includes a tape measure to measure the height of the sleeper.

제어부는 제 1 및 제 2 에어챔버의 각각에 공급된 공기의 압력을 측정하여 수면자의 체중을 환산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convert the weight of the sleeper by measuring the pressure of air supplied to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air chambers.

제 1 및 제 2 에어챔버의 각각은 피팅 오픈에 의해 급속배기가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air chambers is preferably capable of rapid exhaustion by opening the fitting.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 또는 간병인이 욕창을 방지하기에 알맞은 자세 변화 방향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나아가서 자세 변화를 유지하는 시간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병변에 알맞도록 효율적으로 적용하여 욕창을 방지함과 동시에, 매트리스가 신체부위별로 구획되어 분리되어 있으므로 이동이 편리하고, 체압이 집중되는 매트리스의 섹션에 도넛형의 구멍이 형성되어 욕창 발생 가능성이 높은 환부에 대한 접촉 압력을 줄이면서도 통기성을 좋게 하고, 장기간 치료를 요하는 환자의 체중과 신장을 측정할 수 있어 환자의 영양상태를 용이하게 파악하여 욕창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allowing the user or the caregiver to select a suitable posture change direction to prevent bedsores, and also to set the time to maintain the posture change efficiently by appropriately adapted to the user's lesion In addition to preventing bedsores, the mattress is partitioned and separated by body parts, making it easy to move, and a donut-shaped hole is formed in the section of the mattress where the body pressure is concentrated. Good breathability, and can measure the weight and height of patients who require long-term treatment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bedsores by easily grasp the nutrition of the patient.

도 1은 종래의 수면 호흡장애 방지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수면 호흡장애 방지장치가 부착된 매트리스를 도시하는 저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욕창 방지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4는 도 3의 욕창 방지장치가 부착된 매트리스를 도시하는 저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욕창 방지장치에 있어서 측정된 압력과 체중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6은 도 3 욕창 방지장치의 체중 측정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ventional sleep respiratory disorder preventing device,
Figure 2 is a bottom view showing a mattress with a sleep respiratory disorder prevention device of Figure 1,
Figure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bed sore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bottom view illustrating the mattress to which the bedsore prevention device of FIG. 3 is attached,
5 is a graph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essure and the weight measured in the bed sore prevention device of FIG.
FIG.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weight measurement of the apparatus for preventing bedsores from FIG. 3.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아울러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으며, 종래와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병기하였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addi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as in the prior art. Staged.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욕창 방지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4는 도 3의 욕창 방지장치가 부착된 매트리스를 도시하는 저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욕창 방지장치(200)는 수면자의 소정 신체부위의 양측에 마련되는 제 1 및 제 2 에어챔버(120,130)와, 제 1 및 제 2 에어챔버(120,130)에 팽창을 위해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공급수단(140)과, 제 1 및 제 2 에어챔버(120,130)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을 교대로 동작시키도록 선택하는 동작선택부(150)와, 동작선택부(150)에 의해 선택된 제 1 및 제 2 에어챔버(120,130)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을 교대로 동작시키도록 하는 제어부(160)를 포함한다.Figure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bed sock preven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bottom view showing a mattress with a bed sock prevention apparatus of FIG. As shown, the pressure ulcer devic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xpanded to the first and second air chambers 120 and 130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predetermined body part of the sleeper, and the first and second air chambers 120 and 130. An air supply means 140 for supplying air for operation, an operation selector 150 for selecting one of the first and second air chambers 120 and 130 or alternately operating them, and an operation selector 150 And a control unit 160 for alternately operating any one or the first and second air chambers 120 and 130 selected by.

제 1 및 제 2 에어챔버(120,130)는 사용자의 소정 신체부위, 즉 크게 머리(head rest), 상체, 둔부(hip) 및 다리의 양측, 구체적으로 좌측과 우측에 팽창 및 수축에 의해 동작하도록 각각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이를 위해, 상면에 사용자가 누울 수 있는 면을 제공하는 매트리스(300)를 사용자의 신체 부위별로 다수의 섹션, 즉 머리 섹션(320), 상체 섹션(340), 둔부 섹션(360) 및 다리 섹션(380)으로 구획하여 분리하고, 각 섹션의 바닥면의 좌측과 우측에 제 1 및 제 2 에어챔버(120,130)가 마련되며, 이로 인해 저면으로부터 팽창하는 각각의 제 1 또는 제 2 에어챔버(120,130)가 지면을 밀게 됨으로써 좌측 또는 우측으로 기울어지게 된다. 따라서, 제 1 또는 제 2 에어챔버(120,130)의 팽창에 의해 매트리스(300) 자체가 기울어지게 됨으로써 매트리스(300)에 누운 사용자가 좌측 또는 우측 측와위(側臥位)로의 자세 변환이 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The first and second air chambers 120 and 130 are operated to expand and contract by predetermined body parts of the user, i.e., both sides of the head rest, upper body, hip and leg, specifically, left and right sides. Since it is preferable to provide, for this purpose, the mattress 300 for providing a surface that the user can lie on the upper surface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ections for each body part of the user, that is, head section 320, upper body section 340, buttocks section ( 360 and leg sections 380, which are separated and provided with first and second air chambers 120 and 130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ottom of each section, thereby expanding each of the first or second 2 The air chambers 120 and 130 are inclined to the left or right by pushing the ground. Therefore, the mattress 300 itself is inclined by the expansion of the first or second air chambers 120 and 130, so that the user lying on the mattress 300 is correctly transformed into a left or right side vortex.

제 1 및 제 2 에어챔버(120,130)는 팽창과 수축이 가능한 구조, 재질로 이루어지는데, 구조적으로는 셔링 처리 또는 다트 처리된 부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재질적으로는 팽창과 수축이 가능한 합성수지, 천연고무, 인조고무, 섬유 등의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사용자의 자세를 변화시키기에 충분한 체적을 가진다.The first and second air chambers 120 and 130 are made of a structure and a material that can be expanded and contracted. The first and second air chambers 120 and 130 may include a shirred or dart-treated part, and a synthetic resin capable of being expanded and contracted. It may be made of materials such as natural rubber, artificial rubber, fiber, etc., and has a volume sufficient to change a user's posture.

에어공급수단(140)은 제 1 및 제 2 에어챔버(120,130)에 에어를 각각 공급하도록 한 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와 달리 본 실시예에서 처럼 단일로 이루어져서 에어공급라인(141)의 분기된 끝단을 통해서 제 1 및 제 2 에어챔버(120,130)에 공급할 수도 있다. 압축된 가스를 이용하여 제 1 및 제 2 에어챔버(120,130)에 에어를 공급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펌핑에 의해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펌프가 사용된다.The air supply means 140 may be formed in a pair to supply air to the first and second air chambers 120 and 130, respectively. Alternatively, the air supply means 140 may be formed as a single unit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so that the branched end of the air supply line 141 is provided. It may be supplied to the first and second air chamber (120, 130) through. The compressed gas may be used to supply air to the first and second air chambers 120 and 130. Preferably, an air pump for supplying air by pumping is used.

동작선택부(150)는 제 1 및 제 2 에어챔버(120,130) 중 어느 하나를 동작시키거나 제 1 및 제 2 에어챔버(120,130)를 교대로 동작시키도록 사용자 또는 간병인이 선택할 수 있는 다수의 버튼이 마련되고, 이러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각각 해당하는 신호를 제어부(160)로 출력하며, 제어부(160)는 동작선택부(150)에 의해 선택된 제 1 및 제 2 에어챔버(120,130) 중 어느 하나를 동작시키거나, 제 1 및 제 2 에어챔버(120,130)를 교대로 동작시키도록 에어공급수단(140)의 구동을 제어함과 아울러 제 1 또는 제 2 에어챔버(120,130)로의 에어 공급과 에어 배출을 제어함으로써 사용자의 자세를 변경시켜서 욕창 발생을 방지한다.The operation selector 150 may include a plurality of buttons that can be selected by a user or a caregiver to operate one of the first and second air chambers 120 and 130 or alternately operate the first and second air chambers 120 and 130. And a corresponding signal is output to the controller 160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and the controller 160 is an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air chambers 120 and 130 selected by the operation selector 150. Control the driving of the air supply means 140 to operate the first or second air chamber (120, 130) alternately, and to supply and discharge the air to the first or second air chamber (120,130) By controlling the user's posture to change the prevention of bedsores.

제어부(160)는 제 1 또는 제 2 에어챔버(120,130)로 에어를 공급함과 아울러 제 1 또는 제 2 에어챔버(120,130)로부터 에어를 배출시키기 위하여 에어공급수단(140)이 에어펌프인 경우 에어공급라인(141)에서 제 1 및 제 2 에어챔버(120,130) 각각에 연결되는 분기된 측에 솔레노이드가 바람직한 3방향 밸브(161,162)를 마련하여 사용할 수 있는데, 이러한 3방향 밸브(161,162)의 동작에 의해 에어공급수단(140)으로부터 공급되는 에어를 제 1 또는 제 2 에어챔버(120,130)에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음과 아울러 제 1 또는 제 2 에어챔버(120,130)에 채워진 에어를 사용자의 체중에 의한 가압에 의해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한다.The control unit 160 supplies air to the first or second air chambers 120 and 130, and also to supply air when the air supply means 140 is an air pump to discharge air from the first or second air chambers 120 and 130. In the line 141, three-way valves 161 and 162, which are preferably solenoids, may be provided on branched sides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air chambers 120 and 130, respectively, by the operation of the three-way valves 161 and 162. The air supplied from the air supply means 140 may be selectively supplied to the first or second air chambers 120 and 130, and the air filled in the first or second air chambers 120 and 130 may be pressed by the user's weight. To be discharged.

한편, 제 1 또는 제 2 에어챔버(120,130)가 동작시 팽창을 유지하는 시간을 설정할 수 있는 유지시간설정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60)는 제 1 또는 제 2 에어챔버(120,130)가 팽창 및 수축의 반복적인 동작시 유지시간설정부(170)에 의해 설정된 시간동안 제 1 또는 제 2 에어챔버(120,130)를 팽창시키도록 하며, 이를 위해 제 1 또는 제 2 에어챔버(120,130)가 팽창 후 유지시간설정부(170)에 의한 설정시간이 경과 후 제 1 또는 제 2 에어챔버(120,130)로부터 에어가 배출되도록 3방향 밸브(161,162)를 제어한다.On the other hand, the first or second air chamber 120, 130 may further include a holding time setting unit 170 that can set the time to maintain the expansion during operation. Accordingly, the controller 160 expands the first or second air chambers 120 and 130 for the time set by the holding time setting unit 170 when the first or second air chambers 120 and 130 are repeatedly operated to expand and contract. To this end, the first or second air chamber (120,130) in three directions so that the air is discharged from the first or second air chamber (120, 130) after the set time by the holding time setting unit 170 after expansion The valves 161 and 162 are controlled.

또한, 제 1 또는 제 2 에어챔버(120,130)가 초기, 바람직하게는 전원이 온(on)되는 시점으로부터 제 1 또는 제 2 에어챔버(120,130)가 동작하기 시작하는 시간, 예컨대, 전원이 온(on)된 후 사용자가 작동 및 유지 시간을 설정할 수 있는 동작시간설정부(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60)는 동작시간설정부(180)에 의해 설정된 시간이 경과시 제 1 또는 제 2 에어챔버(120,130)를 동작시키도록 에어공급수단(140) 및 3방향 밸브(161,162)를 각각 제어한다.In addition, a time at which the first or second air chambers 120 and 130 start to operate, for example, when the first or second air chambers 120 and 130 are initially turned on, preferably, the power is turned on. It may further include an operation time setting unit 180 to set the operation and maintenance time after the user is on). Accordingly, the controller 160 controls the air supply means 140 and the three-way valves 161 and 162 to operate the first or second air chambers 120 and 130 when the time set by the operation time setting unit 180 elapses. To control.

한편, 제어부(160)는 유지시간설정부(170) 및 동작시간설정부(180)에 의해 설정된 시간을 카운팅하여 이들에 설정된 시간이 경과시 신호를 출력하는 타이머부(163)를 가짐으로써 유지시간설정부(170) 및 동작시간설정부(180)에 설정된 시간의 경과를 인식하게 된다.Meanwhile, the control unit 160 has a timer unit 163 that counts the time set by the holding time setting unit 170 and the operation time setting unit 180 and outputs a signal when the time set therein elapses. The elapse of time set in the setting unit 170 and the operation time setting unit 180 is recognized.

매트리스(300)는 사용자에게 쿠션감을 주기 위하여 에어 주입이 가능한 구조를 가지거나, 탄성을 제공하는 스프링이나 발포재 등이 내측에 설치되거나 채워질 수 있음은 물론이며,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의 욕창 방지장치는 자동차의 시트와 같이 우레탄 폼으로 구성될 수 있다.Mattress 300 has a structure capable of injecting air to give a cushion feeling to the user, or a spring or foam material that provides elasticity may be installed or filled inside, of course, although not specifically illustrated, Bed restraint device may be made of urethane foam, such as a seat of the vehicle.

쇠약해진 환자나 뇌척수신경의 장애로 체위를 자유롭게 바꿀 수 없는 환자가 매트리스(300)에 오랫동안 있게 되면, 환자의 체중으로 압박받는 부위, 특히 주로 뼈의 돌출부에 지속적인 또는 반복적인 압박이 가해짐으로써 혈액순환이 잘 안되어 조직이 죽어서 염증이나 괴사로 인해 그 조직표면이 국소적으로 결속되거나 함몰되는 궤양, 즉 욕창(pressure sore: 압박궤양)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욕창이 가장 많이 발생되는 부위는 견갑골(scapula), 천골(sacrum, 꼬리뼈), 뒤꿈치 등이므로, 본 발명의 욕창 방지장치(200)는 매트리스(300)의 둔부 섹션(360)에 구멍(362)을 형성하여 천골부분에서 발생하는 압력을 최소화한다.When the patient is in the mattress 300 for a long time in a debilitated patient or a patient who cannot change his position freely due to a disorder of the cerebrospinal nerve, the blood is applied by continuous or repetitive pressure applied to the site of the patient's weight, especially the bone protrusion. Inadequate circulation causes tissue to die, resulting in pressure sore (pressure sores) that cause local tightness or depression of the tissue surface due to inflammation or necrosis. Since most of these pressure sores are scapula, sacrum, tail heel, etc., the bed sore prevention device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hole 362 in the buttocks section 360 of the mattress 300. Forming to minimize the pressure generated in the sacrum part.

또한, 쇠약해진 환자나 뇌척수신경의 장애로 체위를 자유롭게 바꿀 수 없는 환자에게 응급 상황이 발생하게 되면, 환자에게 심폐소생술 등을 효과적으로 행하기 위해서는 매트리스(300)의 각 섹션에 마련된 제 1 및 제 2 에어챔버(120)(130)에 공급된 공기를 급속하게 배출할 필요가 있는 바,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욕창 방지장치(200)는 제 1 및 제 2 에어챔버(120)(130)를 피팅 오픈(fitting open)에 의해 급속배기가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when an emergency situation occurs in a debilitated patient or a patient who cannot freely change his / her position due to a disorder of the cerebrospinal nerve, first and second provided in each section of the mattress 300 in order to effectively perform CPR to the patient. It is necessary to rapidly discharge the air supplied to the air chamber (120, 130), accordingly, the decubitus prevention device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fitting the first and second air chamber (120, 130) open It is preferable to configure such that rapid exhaustion is possible by fitting open.

한편, 이와 같은 욕창 발생 가능성이 높은 환자의 영양 상태를 알기 위해서는 주기적으로 환자의 체중과 신장의 측정이 필요하므로, 본 발명의 욕창 방지장치(200)는 매트리스(300)의 머리 섹션(320)에 사용자의 신장을 측정할 수 있도록 줄자(322)를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know the nutrition state of the patient with a high possibility of such pressure sores need to periodically measure the weight and height of the patient, the bed sore prevention device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 the head section 320 of the mattress 300 A tape measure 322 may be included to measure the height of the user.

또한 매트리스(300)의 각 섹션에 마련된 제 1 및 제 2 에어챔버(120)(130)의 각각에 공급된 공기의 압력을 압력센서(도시하지 않음)로 측정하고, 압력센서에 의해 측정된 신호를 받은 제어부(16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의 체중이 제 1 및 제 2 에어챔버(120)(130)의 각각에 공급되는 공기의 압력에 선형 또는 비선형의 관계에 있으므로, 즉 공급되는 공기의 압력을 압력센서(도시하지 않음)로서 감지하여 압력이 증가하면 환자의 체중이 증가함을 의미하고, 압력이 감소하면 환자의 체중이 감소함을 의미하므로, 압력센서의 신호를 환자의 체중으로 환산하여 이를 모니터(도시하지 않음)상에 표시함으로써 환자 체중의 증감을 확인하여 환자의 영양상태를 파악하게 된다.In addition, the pressure of the air supplied to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air chambers 120 and 130 provided in each section of the mattress 300 is measured by a pressure sensor (not shown), and a signal measured by the pressure sensor. As shown in FIG. 5, the control unit 160 has a linear or non-linear relationship with the pressure of the air supplied to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air chambers 120 and 130. The pressure of the supplied air is sensed as a pressure sensor (not shown), and as the pressure increases, the weight of the patient increases, and when the pressure decreases, the weight of the patient decreases. By converting the weight of the patient on the monitor (not shown) by checking the increase and decrease of the weight of the patient to determine the nutritional status of the patient.

이와 같은 환자의 체중 측정의 동작을 도 6을 이용하여 설명한다.The operation of measuring the weight of the pati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도 6은 도 3 욕창 방지장치의 체중 측정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욕창 방지장치(200)의 체중 측정은 작동중인 제 1 및 제 2 에어챔버(120)(130)의 공기를 배출하는 단계(S10)와, 공기가 배출된 제 1 및 제 2 에어챔버(120)(130)에 압력측정을 위한 공기를 공급하는 단계(S20)와, 안정화를 위해 소정 시간 대기하는 단계(S30)를 포함한다.FIG.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weight measurement of the apparatus for preventing bedsores from FIG. 3. As shown, the weight measurement of the decubitus prevention apparatus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tep of discharging the air of the first and second air chamber 120, 130 in operation (S10), and the air discharged agent And supplying air for pressure measurement to the first and second air chambers 120 and 130 (S20) and waiting for a predetermined time to stabilize (S30).

안정화가 되면, 압력센서가 압력을 측정하고(S40), 제어부(160)는 압력센서에 의해 측정된 압력을 받아 환자의 체중으로 환산한다.(S50)When stabilization, the pressure sensor measures the pressure (S40), the control unit 160 receives the pressure measured by the pressure sensor to convert to the weight of the patient. (S50)

이어 체중의 측정이 종료되었는 지를 판단하여(S60), 체중의 환산이 끝나면, 환산된 체중을 디스플레이하고(S70), 압력측정을 위해 공급된 공기를 제 1 및 제 2 에어챔버(120)(130)에서 배출하여 다시 자세제어모드로 복귀한다(S80).Subsequently,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measurement of the weight is finished (S60), and when the conversion of the weight is completed, the converted weight is displayed (S70), and the air supplied for pressure measurement is supplied to the first and second air chambers 120 and 130. ) To return to the posture control mode again (S80).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욕창 방지장치는 매트리스(300)가 신체부위별로 구획되어 분리되어 있으므로 이동이 편리하고, 체압이 집중되는 매트리스의 섹션에 도넛형의 구멍이 형성되어 환부에 대한 접촉면을 줄여주면서도 통기성을 좋게 하여 욕창의 발생을 방지하고, 환자의 체중과 신장을 측정하여 환자의 영양상태를 용이하게 파악 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bedsore preven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venient to move because the mattress 300 is divided into separate body parts, and a donut-shaped hole is formed in the section of the mattress where body pressure is concentrated, while reducing the contact surface to the affected part. Good breathability prevents the development of pressure sores, and by measuring the weight and height of the patient can easily determine the nutritional status of the patient.

이상의 상세한 설명에서 본 발명의 욕창 방지장치를 구체적인 실시예로서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요소가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는 것으로, 당업자라면 각 구성요소의 재질, 크기 등을 적용 분야에 따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또한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구조를 채택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명백하다.
Although the above-described decubitus preven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s a specific embodiment, it should be interpreted that the technical ele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have the widest scope,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apply the material, size, etc. of each component to the application field. It can be easily changed accordingly. It is also possible to adopt a structure not shown by combining / substituting the disclosed embodiments, which again does not depart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readily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200 : 본 발명 욕창 방지장치 300 : 매트리스
320 : 머리 섹션 322 : 줄자
340 : 상체 섹션 360 : 둔부 섹션
362 : 구멍 380 : 다리 섹션
200: invention bedsore prevention device 300: mattress
320: head section 322: tape measure
340: upper body section 360: buttocks section
362: hole 380: leg section

Claims (6)

욕창 방지장치로서,
사용자의 신체 부위에 따라 머리, 상체, 둔부, 다리의 섹션으로 구획하여 분리되도록 구성된 매트리스와,
상기 매트리스의 각각의 섹션의 양측에 팽창 및 수축에 의해 동작하도록 각각 마련되는 제 1 및 제 2 에어챔버와,
상기 제 1 및 제 2 에어챔버가 팽창되도록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공급수단과,
상기 제 1 및 제 2 에어챔버 중 어느 하나를 동작시키거나 상기 1 및 제 2 에어챔버를 교대로 동작시키도록 선택하는 동작선택부와,
상기 동작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동작을 동작시키도록 상기 에어공급수단 및 상기 제 1 및 제 2 에어챔버로의 에어 공급과 배출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 1 또는 제 2 에어챔버가 초기로부터 동작하기 시작하는 시간을 설정하는 동작시간설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작시간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시간의 경과 시 상기 제 1 또는 제 2 에어챔버를 동작시키며, 상기 제 1 및 제 2 에어챔버의 각각에 공급된 공기의 압력을 측정하여 사용자의 체중을 환산하고,
상기 매트리스의 둔부 섹션에는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매트리스의 머리 섹션에는 사용자의 신장을 측정할 수 있도록 줄자를 포함하는
욕창 방지장치.
As a bed restraint device,
A mattress configured to be divided into sections of the head, upper body, buttocks, and legs according to a user's body part,
First and second air chambers respectively provided to operate by inflation and deflation on both sides of each section of the mattress;
Air supply means for supplying air to expand the first and second air chambers;
An operation selector which selects one of the first and second air chambers to be operated or alternately operates the first and second air chambers;
A control unit controlling air supply and discharge to the air supply means and the first and second air chambers to operate the operation selected by the operation selecting unit;
An operation time setting unit for setting a time at which the first or second air chamber starts to operate from the beginning;
The control unit operates the first or second air chamber when the time set by the operation time setting unit elapses, and measures the pressure of air supplied to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air chambers to measure the weight of the user. In conversion,
Holes are formed in the buttocks section of the mattress, and the head section of the mattress includes a tape measure to measure the height of the user
Bed restraints.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에어챔버의 각각은 피팅 오픈에 의해 급속배기가 가능한
욕창 방지장치.
The method of claim 1,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air chambers is capable of rapid exhaust by fitting open.
Bed restraints.
KR1020100050074A 2010-05-28 2010-05-28 Apparatus for preventing from bedsore KR101066948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0074A KR101066948B1 (en) 2010-05-28 2010-05-28 Apparatus for preventing from bedsore
PCT/KR2010/005053 WO2011149147A1 (en) 2010-05-28 2010-07-30 Anti-decubitus aid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0074A KR101066948B1 (en) 2010-05-28 2010-05-28 Apparatus for preventing from bedsor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66948B1 true KR101066948B1 (en) 2011-09-22

Family

ID=449577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0074A KR101066948B1 (en) 2010-05-28 2010-05-28 Apparatus for preventing from bedsor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066948B1 (en)
WO (1) WO2011149147A1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7666A (en) * 2017-06-26 2018-01-23 주식회사 지혜텍 Bed for preventing bedsore and method therof
KR20180030270A (en) * 2016-07-13 2018-03-22 주식회사 지혜텍 Bed for preventing bedsore and method therof
KR20190100776A (en) * 2018-02-21 2019-08-29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Apparatus for preventing from bedsore
KR20210047639A (en) * 2019-10-22 2021-04-30 경북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bedsore Prevention wheelchair
KR20210052022A (en) * 2019-10-31 2021-05-10 경북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Bed restraint wheelchair and control method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611058B (en) * 2021-09-24 2024-03-27 Gbuk Group Ltd Inflatable suppor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7507A (en) * 2004-07-20 2006-01-26 산재의료관리원 An air pressure control method of a air mattress to reduce the body pressure
KR100948883B1 (en) * 2007-10-15 2010-03-24 바이오슬립메드 주식회사 Apparatus for preventing from sleeping respiratory obstruction and method us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73935A (en) * 2002-11-27 2004-06-24 Sanyo Electric Co Ltd Excreta disposal system
JP2004271368A (en) * 2003-03-10 2004-09-30 Hitachi Engineering & Services Co Ltd Body weight measuring apparatus for patient
KR200400454Y1 (en) * 2005-08-12 2005-11-08 장성철 A left-right variable air mattress for bedsore prevent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7507A (en) * 2004-07-20 2006-01-26 산재의료관리원 An air pressure control method of a air mattress to reduce the body pressure
KR100948883B1 (en) * 2007-10-15 2010-03-24 바이오슬립메드 주식회사 Apparatus for preventing from sleeping respiratory obstruction and method using the same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0270A (en) * 2016-07-13 2018-03-22 주식회사 지혜텍 Bed for preventing bedsore and method therof
KR101854637B1 (en) * 2016-07-13 2018-06-14 주식회사 드림테크 Bed for preventing bedsore and method therof
KR20180007666A (en) * 2017-06-26 2018-01-23 주식회사 지혜텍 Bed for preventing bedsore and method therof
KR101854636B1 (en) * 2017-06-26 2018-06-14 주식회사 드림테크 Bed for preventing bedsore and method therof
KR20190100776A (en) * 2018-02-21 2019-08-29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Apparatus for preventing from bedsore
WO2019164243A1 (en) * 2018-02-21 2019-08-29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Device for preventing bedsores
KR102051070B1 (en) * 2018-02-21 2019-12-02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Apparatus for preventing from bedsore
KR20210047639A (en) * 2019-10-22 2021-04-30 경북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bedsore Prevention wheelchair
KR102306661B1 (en) * 2019-10-22 2021-09-30 경북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bedsore Prevention wheelchair
KR20210052022A (en) * 2019-10-31 2021-05-10 경북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Bed restraint wheelchair and control method
KR102306651B1 (en) * 2019-10-31 2021-09-30 경북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Bed restraint wheelchair control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149147A1 (en) 2011-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123631A1 (en) Independently adjustable support system
KR101066948B1 (en) Apparatus for preventing from bedsore
WO2020233329A1 (en) Pressure sore-preventing airbag mattress device for long-term care of bedridden elderly patient
US10463165B2 (en) Air mattress having a plurality of air cell groups
US11672715B2 (en) Support apparatus, system and method
US8281434B2 (en) Localized patient support
US8832887B2 (en) Anti-snore bed having inflatable members
JP4849991B2 (en) Bed for bedsore prevention
US8296887B2 (en) Resilient material/air bladder system
CA2892048C (en) Adjustable support system
CN1398175A (en) Inflating strutting piece
CN112472447A (en) Air cushion bed for preventing bedsore
US20120011658A1 (en) Patient support device with lower extremity raiser
US20220347027A1 (en) Devices and Methods to Help Prevent Decubitus Ulcers
WO2007146059A2 (en) Localized patient support
JP2002126013A (en) Air mat device
JP4585935B2 (en) bed
US20100281619A1 (en) Air mattress system with inflatable limb chamber
Rithalia et al. Assessment of alternating air mattresses using a time-based interface pressure threshold technique
US20050262638A1 (en) Inflatable, pressure alleviating, eggcrate mattress pad
JP2007190150A (en) Bed
US20030135929A1 (en) Buttocksrest pad
EP3697362B1 (en) Two-in-one mattress with air mattress and memory foam for patient care
JP3237550U (en) Bedsore prevention mattress with improved load bearing components
CN218305379U (en) Multifunctional inflatable turnover mattres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