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6381B1 - 옥미수로부터 분리된 플라보노이드계 화합물을 함유하는 비뇨기계 질환 증상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및 비뇨기계 질환 치료제 - Google Patents

옥미수로부터 분리된 플라보노이드계 화합물을 함유하는 비뇨기계 질환 증상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및 비뇨기계 질환 치료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6381B1
KR101066381B1 KR1020110062248A KR20110062248A KR101066381B1 KR 101066381 B1 KR101066381 B1 KR 101066381B1 KR 1020110062248 A KR1020110062248 A KR 1020110062248A KR 20110062248 A KR20110062248 A KR 20110062248A KR 101066381 B1 KR101066381 B1 KR 1010663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der
glucopyranoside
chryseriol
urinary system
compoun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22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86787A (ko
Inventor
이민원
명순철
서성준
이무열
이신영
최선은
오명환
손기배
심동석
Original Assignee
광동제약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동제약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광동제약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622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6381B1/ko
Publication of KR201100867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67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63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63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42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 A61K31/7048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oxygen as a ring hetero atom, e.g. leucoglucosan, hesperidin, erythromycin, nystatin, digitoxin or digox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3Organic compounds
    • A23L29/035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as heteroato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크리세리올-6-C-β-보이비노피라노실-7-O-β-글루코피라노사이드, 크리세리올 또는 루테올린 화합물을 포함하는 플라보노이드계 화합물을 함유하는 비뇨기계 질환 증상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및 비뇨기계 질환 치료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플라보노이드계 화합물인 크리세리올-6-C-β-보이비노피라노실-7-O-β-글루코피라노사이드, 크리세리올 및 루테올린 화합물은 옥미수(玉米鬚)로부터 분리될 수 있으며, 페닐에프린 및 아세틸콜린에 의한 방광 평활근 및 전립선 평활근의 수축을 현저히 억제하여 비뇨기계 질환 즉, 전립선비대증 및 과민성방광에 효과를 나타냄으로써 비뇨기계 질환 증상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및 비뇨기계 질환 치료제로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옥미수로부터 분리된 플라보노이드계 화합물을 함유하는 비뇨기계 질환 증상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및 비뇨기계 질환 치료제{Health food and therapeutic agent containing flavonoid compounds extracted from silk of Zea mays linne for improving urinary system disorder}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플라보노이드계 화합물을 함유하는 비뇨기계 질환 증상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및 비뇨기계 질환 치료제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
Figure 112011048780014-pat00001

배뇨장애 관련 질환 중 대표적인 질환이 전립선비대증이다. 전립선비대증은 60대 노인의 50%에서 확인되고 주된 병태는 전립선 상피조직과 간질조직의 과증식과 비대이다. 전립선 세포의 증식과 사망을 조절하는 요인으로는 내분비 인자(endocrine factors), 각종 성장인자들, 간질세포와 상피세포의 상호작용, 신경내분비세포 및 신경전달물질, 세포주기와 사망을 조절하는 물질, 염증 등이 거론되고 있다.
전립선비대증의 병태를 결정하는 또 하나의 주요한 부분은 소변 배출의 장애로 인한 방광의 이차적인 변화이다. 방광 출구의 폐색에 의하여 방광근의 비대가 발생하고 이는 배뇨근 과활동으로 인한 과민성방광을 유발시키며, 또한 폐색이 오래 지속되면 배뇨근의 수축력이 부적절해져 잔뇨량 증가, 요폐 등이 발생하고 이의 결과로 요로감염, 방광결석, 신부전 등의 합병증이 발생된다.
또한, 방광 자극증상을 일으키는 상태를 과민성방광, 하부요로증상 등으로 통합하여 부르고 있으며, 하부요로증상에 전립선비대증도 포함된다.
과민성방광(overactive bladder, OAB)은 의지와 상관없이 갑작스러운 요의를 느끼는 급박뇨를 주 증상으로 하는 질환으로 요실금을 동반하거나 하지 않을 수 있다. 과민성방광은 전립선비대증 환자에서 동반이 될 수도 있으며, 질환의 발생빈도가 평균적으로 15-20%로 매우 높고, 더구나 60세 이상이 되면 남녀를 불문하고 노령인구의 1/3 이상이 과민성방광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이런 환자들의 대부분은 수분섭취를 줄임으로써 소변보는 횟수를 조절하기도 하나 이로 인해 외부 활동이 저하되기도 한다. 이러한 상황은 노인에서 변비 등의 문제를 야기하고 변비가 생기면 다시 배뇨증상이 악화되는 악순환이 반복될 수 있다.
하부요로증상(lower urinary tract symptoms, LUTs)은 요저장 및 배출 증상을 말하는 것으로, 전립선비대증, 방광경부장애, 신경인성장애 등이 포함된다. 전립선비대증은 방광 출구가 막혀서 소변배출이 어려우므로 병의 경과에 따라 3가지 유형의 문제가 생긴다. 첫째는 방광 근육에 정상보다 많은 부하가 걸리므로 방광 벽이 두꺼워지면서 예민해져 빈뇨, 야간뇨, 잔뇨감이 발생하는 것이다. 둘째는 방광근육이 방광에 있는 소변을 완전히 배출하지 못하면서 예민해지는 경우 잔뇨가 남는 증상이다. 셋째는 방광이 약해져서 정상적인 배출을 거의 못하는 경우 요폐가 올 수 있는 유형이다.
방광은 주로 교감신경의 자극으로 방광체부의 muscarinic 수용체를 활성화시켜 수축하게 되며, 교감신경은 방광 체부에서 β 수용체를 통해 방광을 이완시키기도 하고 purine 수용체를 통해 수축시키기도 한다. 또한 방광 경부 및 전립선 요도에는 교감신경이 a1 수용체를 통해 수축을 유발하며, 막양부 요도에 위치한 외요도 괄약근은 체신경에 의해 수축이완을 수의적으로 조절하게 된다. 요로상피 및 신경말단에는 vanilloid 수용체 등에 의해 해로운 자극을 인지하는 기능이 있다.
현재 전립선비대증의 약물 치료에 가장 많이 쓰이는 약제로는 알파차단제가 있다. 알파 차단제(tamsulosin, doxazosin, alfuzosin 등)는 전립선요도가 잘 벌어지게 하여 방광 출구를 이완시킨다. 그러나 전립선 비대증 환자의 약 1/5은 알파차단제 단독으로 부족하여 방광의 과민성을 억제하는 약제 즉 항무스카린성 약제(antimuscarinic agents; 예를 들면, 디트로판(ditropan), 톨테로딘(tolterodine), 솔리페나신(solifenacin) 등) 및 antipurinergic agent(propiverine HCl) 등의 약제를 병합 투여하게 되며, 이 때 치료효과를 보인다.
한편, 옥미수(玉米鬚)는 벼과(Graminese) 식물로 옥촉서(玉蜀黍)의 수염을 일컬으며, 옥맥수(玉麥鬚), 봉자모(棒子毛), 옥촉서예(玉蜀黍蘂)라고도 불리운다. 옥미수(玉米鬚)는 지방 2%, 휘발성 정유 성분 0.12%, gum 3.8%, resin 1.15%, saponin 3.2%, alkaloid 0.05% 등의 조성을 갖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옥미수(玉米鬚)로부터 플라보노이드 계열의 화합물들인 크리세리올(Chrysoeriol), 크리세리올-6-C-β보이비노피라노실-7-O-β-글루코피라노사이드(Chrysoeriol-6-C-β-boivinopyranosyl-7-O-β-glucopyranoside) 및 루테올린(Luteolin)이 추출 분리되었으며, 상기 화합물들은 당뇨치료를 위한 활성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Chem. Pharm. Bull., 2007, 55(1), 153 ~ 155 및 J. Nat. Prod., 2003, 66(4), 564 ~ 565).
또한, 쑥(Artemisia vulgaris)의 전초의 수용성 에탄올추출물로 부터 크리세리올, 루테올린 등의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이 분리되었으며, 이들 분리된 각 플라보노이드 화합물들의 항산화효과는 비타민 E와 비교하였을 때 높은 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한국식품과학회지, 1999, 31권, 3호, 815~822).
본 발명자들은 플라보노이드 계열의 화합물들인 크리세리올(Chrysoeriol), 크리세리올-6-C-β보이비노피라노실-7-O-β-글루코피라노사이드(Chrysoeriol-6-C-β-boivinopyranosyl-7-O-β-glucopyranoside), 및 루테올린(Luteolin)을 옥미수(玉米鬚)로부터 추출 분리하여 상기 플라보노이드계의 화합물에 관한 용도를 연구하던 중에 상기 플라보노이드계 화합물들에 관하여 전립선비대증 발생에 대한 억제 효과와 방광의 이차적인 변화과정에 대한 병태생리를 규명함으로써 비뇨기계 질환 증상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및 비뇨기계 질환 치료제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옥미수(玉米鬚)로부터 추출 분리된 플라보노이드 계열의 화합물들인 크리세리올(Chrysoeriol), 크리세리올-6-C-β-보이비노피라노실-7-O-β-글루코피라노사이드(Chrysoeriol-6-C-β-boivinopyranosyl-7-O-β-glucopyranoside), 및 루테올린(Luteolin)에 관한 새로운 용도를 갖는 건강기능식품 및 치료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플라보노이드계 화합물을 함유하는 비뇨기계 질환 증상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및 비뇨기계 질환 치료제를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1048780014-pat00002

상기 식에서, R1은 수소 또는 C1~C5 알킬, R2는 수소 또는 β-보이비노피라노실(β-boivinopyranosyl), R3는 수소 또는 β-글루코피라노사이드(β-glucopyranoside)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플라보노이드계 화합물은 옥미수(Zea mays linne , 玉米鬚, 옥수수수염)로부터 추출 분리될 수 있다(Chem. Pharm. Bull., 2007, 55(1), 153 ~ 155 및 J. Nat. Prod., 2003, 66(4), 564 ~ 565).
본 발명에서는 옥미수 에틸아세테이트(EtOAc) 분획으로부터 플라보노이드 계열의 화합물들인 크리세리올-6-C-β-보이비노피라노실-7-O-β-글루코피라노사이드(Chrysoeriol-6-C-β-boivinopyranosyl-7-O-β-glucopyranoside), 크리세리올(Chrysoeriol) 및 루테올린(Luteolin) 화합물을 단리시켰다.
본 발명에 따른 옥미수로부터 플라보노이드 계열의 화합물을 단리시킨 모식도를 하기와 같이 간단하게 나타내었다.
Figure 112011048780014-pat00003

본 발명에서 크리세리올(Chrysoeriol) 및 크리세리올-6-C-β-보이비노피라노실-7-O-β-글루코피라노사이드(Chrysoeriol-6-C-β-boivinopyranosyl-7-O-β-glucopyranoside) 화합물은 칼슘 통로 활성화 조건인 고농도의 K 용액으로 수축을 유발한 상태에서 방광 수축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각종 K 통로 차단제(1 mM 및/또는 10 mM TEA, 10μM 4-AP)를 투여한 경우에도 방광 수축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고, 루테올린(Luteolin) 화합물은 고농도에서는 칼슘 통로 차단을 통해 방광의 수축을 억제하나, 저농도에서는 Rho kinase 경로를 활성화시켜 방광의 비정상적인 수축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어 이중 효과(dual effect)를 가지며, 고농도를 투여하면 과민성 방광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플라보노이드 계열의 화합물은 페닐에프린에 의한 수축을 현저히 억제시켜 전립선 비대증이 있는 환자에서 흔히 쓰이는 알파 차단제와 같이 요도를 이완시키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본 발명에 따른 플라보노이드계 화합물은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통상의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활택제, 감미제 등을 혼합하여 경구투여용 제제를 제조할 수 있다. 이때, 부형제로는 미결정셀룰로오스, 유당, 옥수수전분, 만니톨, 저치환도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메타규산알루민산마그네슘, 콜로이드성 이산화규소 등이 바람직하고, 결합제로는 히드록시프로필메칠셀룰로오스, 포비돈,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등이 바람직하고, 붕해제는 크로스카르멜로오스나트륨, 전분글리콘산나트륨, 카르복시메칠셀룰로오스칼슘, 크로스포비돈 등이 바람직하며, 활택제는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탈크, 스테아릴푸마르산나트륨 등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경구투여용 제제로 환제,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액제 제형 등의 제조가 가능하며, 음료 또는 다류로 제조될 수 있으며, 또한 본 발명은 투여를 위해서 상기 기재한 유효성분 이외에 추가로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1종 이상 포함하여 제조되며,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는 식염수, 멸균수, 링거액, 완충 식염수, 덱스트로즈 용액, 말토 덱스트린 용액, 글리세롤, 에탄올 및 이들 성분 중 1성분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항산화제, 완충액, 정균제 등 다른 통상의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 또한 희석제, 분산제, 계면활성제, 결합제 및 윤활제를 부가적으로 첨가하여 수용액, 현탁액, 유탁액 등과 같은 주사용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에 따른 플라보노이드계 화합물의 투여량 또는 복용량은 환자의 체중, 연령, 성별, 건강상태, 식이, 투여시간, 투여방법, 배설율 및 질환의 중증도에 따라 그 범위가 다양하며, 성인 기준으로 투여량 0.01 mg/kg 내지 1000 mg/kg을 1일 1회 내지 수회에 나누어 복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플라보노이드계 화합물인 크리세리올-6-C-β-보이비노피라노실-7-O-β-글루코피라노사이드(Chrysoeriol-6-C-β-boivinopyranosyl-7-O-β-glucopyranoside), 크리세리올(Chrysoeriol) 및 루테올린(Luteolin) 화합물은 페닐에프린 및 아세틸콜린에 의한 방광 평활근 및 전립선 평활근의 수축을 현저히 억제하여 비뇨기계 질환 즉, 전립선비대증 및 과민성방광에 효과를 나타냄으로써 비뇨기계 질환 환자의 증상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및 비뇨기계 질환 치료제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옥미수 에틸아세테이트(EtOAc) 분획층의 TLC 패턴을 나타낸 것으로서,
도 1a는 UV로 발색정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1b는 10%황산 용액으로 발색정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1c는 FeCl3 용액으로 발색정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옥미수 에틸아세테이트(EtOAc) 분획층으로부터 분리된 본 발명에 따른 크리세리올-6-C-β-보이비노피라노실-7-O-β-글루코피라노사이드 화합물에 관한 것으로서,
도 2a는 TLC 패턴을 나타낸 것이며,
도 2b는 1H-NMR spectroscopy를 나타낸 것이고,
도 2c는 13C-NMR spectroscopy를 나타낸 것이고,
도 2d는 Mass spectroscopy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옥미수 에틸아세테이트(EtOAc) 분획층으로부터 분리된 본 발명에 따른 크리세리올 화합물에 관한 것으로서,
도 3a는 TLC 패턴을 나타낸 것이며,
도 3b는 1H-NMR spectroscopy를 나타낸 것이고,
도 3c는 13C-NMR spectroscopy를 나타낸 것이고,
도 3d는 Mass spectroscopy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옥미수 에틸아세테이트(EtOAc) 분획층으로부터 분리된 본 발명에 따른 루테올린 화합물에 관한 것으로서,
도 4a는 TLC 패턴을 나타낸 것이며,
도 4b는 1H-NMR spectroscopy를 나타낸 것이고,
도 4c는 13C-NMR spectroscopy를 나타낸 것이고,
도 4d는 Mass spectroscopy를 나타낸 것이다.
도 5a는 정상 SD rat 방광에 대한 PE에서의 크리세리올-6-C-β-보이비노피라노실-7-O-β-글루코피라노사이드 화합물의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며,
도 5b는 정상 SD rat 방광에 대한 ACh에서의 크리세리올-6-C-β-보이비노피라노실-7-O-β-글루코피라노사이드 화합물의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a는 정상 SD rat 방광에 대한 PE에서의 크리세리올 화합물의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며,
도 6b는 정상 SD rat 방광에 대한 ACh에서의 크리세리올 화합물의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a는 정상 SD rat 방광에 대한 PE에서의 루테올린 화합물의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며,
도 7b는 정상 SD rat 방광에 대한 ACh에서의 루테올린 화합물의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은 정상 가토 전립선 및 전립선 요도 조직에 대한 PE에서의 크리세리올-6-C-β-보이비노피라노실-7-O-β-글루코피라노사이드 화합물의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는 정상 가토 전립선 및 전립선 요도 조직에 대한 PE에서의 크리세리올 화합물의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0은 정상 가토 전립선 및 전립선 요도 조직에 대한 PE에서의 루테올린 화합물의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옥수수수염 추출액으로부터 본 발명에 의한 화합물의 분리 동정
1) sub-fraction 추출
옥미수를 열수 추출한 옥미수 추출물(658.82g)을 감압 여과하여 수용성 부분을 627.54g을 얻었으며, 그 수용성 부분을 에틸아세테이트(EA)와 용매 분획을 실시하여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62.83g을 얻었다.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30% 메탄올부터 10%씩 gradient를 가하여 100% 메탄올 농도까지 높여가며 Low pressure liquid column chromatography를 실시하여 7개의 sub-fraction을 분리 하였으며, TLC를 이용하여(전개용매는 클로로포름:메탄올:물=80:20:2) 3, 4번 sub-fraction에서 다양한 성분들이 분포되어 있음을 UV, 10%황산 및 FeCl3으로 각각 발색하여 확인하였다(도 1a 내지 도 1c).
2) 본 발명에 의한 크리세리올-6-C-β-보이비노피라노실-7-O-β-글루코피라노사이드 화합물의 분리정제
상기 3번 sub-fraction(3.07g)을 60% 메탄올부터 10%씩 gradient를 가하여 100% 메탄올 농도까지 높여가며 Sephadex LH-20 column chromatography를 수행하고 얻어진 용액을 농축하고, 이 농축액을 50% 메탄올부터 10%씩 gradient를 가하여 100% 메탄올 농도까지 높여가며 MCI gel CHP 20P를 수행하여 얻은 메이져 스팟을 prep-TLC(클로로포름:메탄올:물=75:25:3)를 실시하여 하기 화학식 2 화합물인 크리세리올-6-C-β-보이비노피라노실-7-O-β-글루코피라노사이드 화합물 24mg을 분리 정제하였다.
<화학식 2>
Figure 112011048780014-pat00004
TLC patterns을 통해 단일 화합물로 분리되었음을 확인하고 도 2a에 나타내었으며, 1H, 13C-NMR spectroscopy 및 Mass spectroscopy를 각각 실시하여 분석하여 도 2b 내지 도 2d에 나타내었다.
3) 본 발명에 의한 크리세리올 및 루테올린 화합물의 분리정제
상기 4번 sub-fraction(3.08g)을 물부터 10%씩 gradient를 가하여 100% 메탄올 농도까지 높여가며 YMC-gel ODS-A를 수행한후 얻어진 용액을 농축하고, 농축액을 100% 에탄올부터 10%씩 gradient를 가하여 물까지 낮추어가며 Sephadex LH-20 column chromatography를 진행하고 얻어진 스팟중 두 번째 스팟을 prep-TLC(클로로포름:메탄올=10:1)를 실시하여 하기 화학식 3인 크리세리올 32mg를 분리정제하고, 나머지 메이저 스팟을 다시한번 100% 에탄올부터 10%씩 gradient를 가하여 물까지 낮추어가며 Sephadex LH-20 column chromatography를 수행하여 하기 화학식 4의 화합물인 루테올린 73mg을 분리정제하였다.
<화학식 3>
Figure 112011048780014-pat00005
<화학식 4>
Figure 112011048780014-pat00006

TLC patterns을 통해 크리세리올 및 루테올린이 단일 화합물로 분리되었음을 확인하고 도 3a 및 도 4a로 나타내었으며, 1H, 13C-NMR spectroscopy 및 Mass spectroscopy를 각각 실시하여 분석한 결과를 각각 도 3b 내지 도 3d 및 도 4b 내지 도 4d에 나타내었다.
< 실험예 1>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들의 과민성 방광 질환에 미치는 영향
1) 크리세리올-6-C-β-보이비노피라노실-7-O-β-글루코피라노사이드 화합물
정상 SD rat의 방광을 적출하여 2x5 mm 평활근 절편을 만들어 organ bath (Organ bath model : 조직을 적출하여 처리 물질에 대한 평활근의 수축/이완 정도를 정량한다)에 위치시킨 후 약물에 대한 반응을 isometric tension으로 기록하였다.
크리세리올-6-C-β-보이비노피라노실-7-O-β-글루코피라노사이드 화합물을 각각 0.005, 0.05, 0.5 mg/ml로 처리하고, 처리를 하지 않은 Control과 함께 페닐에프린(alpha-1 adrenergic agonist, PE)과 아세틸콜린(muscarinic, nicotinic receptor agonist, ACh)의 농도 변화에 대해 상기 화합물을 처리하기 전 샘플과 농도별로 처리한 샘플에 대한 방광평활근의 수축 및 이완 반응의 변화를 측정하여 그 값을 도 5a 및 도 5b에 나타내었다.
도 5a 및 도 5b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크리세리올-6-C-β-보이비노피라노실-7-O-β-글루코피라노사이드 화합물은 PE 및 ACh에 의한 방광의 수축을 농도 의존적으로 현저히 억제하며, 특히 PE에 대한 반응이 더 강력하였다.
2) 크리세리올 화합물
상기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크리세리올 화합물을 각각 0.005, 0.05, 0.5 mg/ml로 처리하면서 처리 전후를 페닐에프린(alpha-1 adrenergic agonist, PE)과 아세틸콜린(muscarinic, nicotinic receptor agonist, ACh)의 농도변화에 대한 방광평활근의 수축 및 이완 반응의 변화를 측정하여 그 값을 도 6a 및 도 6b에 나타내었다.
도 6a 및 도 6b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크리세리올-6-C-β-보이비노피라노실-7-O-β-글루코피라노사이드 화합물은 PE 및 ACh에 의한 방광의 수축을 농도 의존적으로 현저히 억제하며, 특히 PE에 대한 반응이 더 강력하였다.
3) 루테올린 화합물
상기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루테올린 화합물을 각각 10-6~10-4M로 처리하면서 처리 전후를 페닐에프린(alpha-1 adrenergic agonist, PE)과 아세틸콜린(muscarinic, nicotinic receptor agonist, ACh)의 농도변화에 대한 방광평활근의 수축 및 이완 반응의 변화를 측정하여 그 값을 도 7a 및 도 7b에 나타내었다.
도 7a 및 도 7b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PE 및 Ach에 대한 수축반응이 낮은 농도 (10-6M~10-5M)에서는 증가되나 고농도(10-4M)에는 억제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크리세리올-6-C-β-보이비노피라노실-7-O-β-글루코피라노사이드, 크리세리올 및 루테올린 화합물은 페닐에프린 및 아세틸콜린에 의한 방광의 수축을 억제하여 과민성방광 경향이 있는 환자의 증상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및 비뇨기계 질환 치료제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 실험예 2>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들의 전립선에 미치는 영향
정상 수컷 가토(NewZealand white rabbit)의 전립선 조직 및 전립선 요도를 적출하여 2x5 mm 평활근 절편을 만들어 organ bath(Organ bath model : 조직을 적출하여 처리 물질에 대한 평활근의 수축/이완 정도를 정량 한다)에 위치시킨 후 각 농도의 페닐에프린(alpha-1 adrenergic agonist, PE)에 대한 크리세리올-6-C-β-보이비노피라노실-7-O-β-글루코피라노사이드, 크리세리올 및 루테올린 화합물을 각각 10-6, 10-5 및 10-4M로 처리하여 처리 전후의 반응을 비교분석하고 값을 각각 도 8 내지 도 10에 나타내었다.
도 8 내지 도 10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크리세리올-6-C-β-보이비노피라노실-7-O-β-글루코피라노사이드, 크리세리올 및 루테올린 화합물은 PE에 의한 수축을 현저히 억제시켜 전립선 비대증이 있는 환자에서 흔히 쓰이는 알파 차단제와 같이 요도를 이완시키는 효과가 있어 향후 전립선 비대증 환자의 증상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및 비뇨기계 질환 치료제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 제제예 1> 정제의 제조
크리세리올-6-C-β-보이비노피라노실-7-O-β-글루코피라노사이드 60 mg
규산칼슘 20 mg
유당 130 mg
미결정셀룰로오스 100 mg
스테아린산마그네슘 적량
탈크 적량
코팅제 적량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한다.
< 제제예 2> 캅셀제의 제조
크리세리올 60 mg
유당 160 mg
전분 적량
통상의 캅셀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캅셀제를 제조한다.
< 제제예 3> 음료의 제조
꿀 0.26 중량%, 치옥토산아미드 0.0002 중량%, 니코틴산아미드 0.0004 중량%, 염산리보플라빈나트륨 0.0001 중량%, 염산피리독신 0.0001 중량%, 이노시톨 0.001 중량%, 오르트산 0.002 중량% 및 물 89.7362 중량%와 루테올린 10 중량%을 배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음료를 제조하였다.

Claims (1)

  1.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크리세리올-6-C-β-보이비노피라노실-7-O-β-글루코피라노사이드(Chrysoeriol-6-C-β-boivinopyranosyl-7-O-β-glucopyranoside)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전립선비대증 또는 과민성방광 질환 치료제.
    <화학식 2>
    Figure 112011048780014-pat00007
KR1020110062248A 2011-06-27 2011-06-27 옥미수로부터 분리된 플라보노이드계 화합물을 함유하는 비뇨기계 질환 증상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및 비뇨기계 질환 치료제 KR1010663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2248A KR101066381B1 (ko) 2011-06-27 2011-06-27 옥미수로부터 분리된 플라보노이드계 화합물을 함유하는 비뇨기계 질환 증상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및 비뇨기계 질환 치료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2248A KR101066381B1 (ko) 2011-06-27 2011-06-27 옥미수로부터 분리된 플라보노이드계 화합물을 함유하는 비뇨기계 질환 증상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및 비뇨기계 질환 치료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7390A Division KR101089987B1 (ko) 2009-08-21 2009-08-21 옥미수로부터 분리된 플라보노이드계 화합물을 함유하는 비뇨기계 질환 증상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및 비뇨기계 질환 치료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6787A KR20110086787A (ko) 2011-08-01
KR101066381B1 true KR101066381B1 (ko) 2011-09-20

Family

ID=449257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2248A KR101066381B1 (ko) 2011-06-27 2011-06-27 옥미수로부터 분리된 플라보노이드계 화합물을 함유하는 비뇨기계 질환 증상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및 비뇨기계 질환 치료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638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85292B2 (ja) * 2012-07-27 2016-09-06 花王株式会社 Trpv4活性抑制剤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건강기능식품의 원료 및 성분의 DB구축, p.135(2003. 11. 7.)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6787A (ko) 2011-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79879B1 (en) Triazine derivatives for delaying the onset of type 1 diabetes
JP6850499B2 (ja) 排尿障害を予防又は改善させる医薬組成物、排尿障害関連受容体に関する拮抗剤又はその医薬組成物又は拮抗剤を用いた排尿障害を予防又は改善させる方法
US20210069209A1 (en) Novel pharmaceutical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menopause related anxiety and depression
WO2021242297A1 (en) Novel pharmaceutical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menopause related anxiety and depression
WO2018062134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and method for treatment of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KR20040030788A (ko) 요실금 치료를 위한 아릴(또는 헤테로아릴)아졸릴카르비놀 유도체
KR20130131265A (ko) 과민성 장 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066354B1 (ko) 옥미수로부터 분리된 플라보노이드계 화합물을 함유하는 비뇨기계 질환 증상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및 비뇨기계 질환 치료제
KR101066381B1 (ko) 옥미수로부터 분리된 플라보노이드계 화합물을 함유하는 비뇨기계 질환 증상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및 비뇨기계 질환 치료제
Li et al. Co‐administration of nuciferine reduces the concentration of metformin in liver via differential inhibition of hepatic drug transporter OCT1 and MATE1
KR101066284B1 (ko) 옥미수로부터 분리된 플라보노이드계 화합물을 함유하는 비뇨기계 질환 증상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및 비뇨기계 질환 치료제
KR101066371B1 (ko) 옥미수로부터 분리된 플라보노이드계 화합물을 함유하는 비뇨기계 질환 증상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및 비뇨기계 질환 치료제
KR101066313B1 (ko) 옥미수로부터 분리된 플라보노이드계 화합물을 함유하는 비뇨기계 질환 증상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및 비뇨기계 질환 치료제
KR101089987B1 (ko) 옥미수로부터 분리된 플라보노이드계 화합물을 함유하는 비뇨기계 질환 증상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및 비뇨기계 질환 치료제
KR20200091925A (ko) 칠엽수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2076137B1 (ko) 수축력 저하 수반성 배뇨근 과활동 개선제
CN103813792A (zh) 用于治疗膀胱过度活动症的索利那新和唾液刺激剂的组合
WO2015178702A1 (ko) 작약, 또는 작약 및 감초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관부종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240012516A (ko) 간질성 방광염/방광통증 증후군을 치료하는 방법
US9358265B2 (en) Plant based formulation for the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irritable bowel syndrome (IBS)
CA3127291A1 (en) Method for enhancing .beta.-adrenergic response
Wu et al. Zhi-Long-Huo-Xue-Tong-Yu modulates mitochondrial fission through the ROCK1 pathway in mitochondrial dysfunction caused by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kidney injury
KR20160011570A (ko) 금은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당뇨 및 항비만 효과 증진용 조성물
Chen et al. Research Article Suppression of Inflammatory and Fibrotic Signals by Cinnamon (Cinnamomum cassia) and Cinnamaldehyde in Cyclophosphamide-Induced Overactive Bladder in Mice
EP3852757A1 (en) Ch24h inhibitors for pain u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7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