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6152B1 - 전자 장치 및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 Google Patents

전자 장치 및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6152B1
KR101066152B1 KR1020090000754A KR20090000754A KR101066152B1 KR 101066152 B1 KR101066152 B1 KR 101066152B1 KR 1020090000754 A KR1020090000754 A KR 1020090000754A KR 20090000754 A KR20090000754 A KR 20090000754A KR 101066152 B1 KR101066152 B1 KR 1010661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screen
touch
capacitive
screen display
resis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07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83278A (ko
Inventor
종밍 마
Original Assignee
리서치 인 모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리서치 인 모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리서치 인 모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900832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32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61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61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6Details of scanning methods, e.g. sampling time, grouping of sub areas or time sharing with display driv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5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resistive elements, e.g. a single continuous surface or two parallel surfaces put in contac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single conductive element covering the whole sensing surface, e.g. by sensing the electrical current flowing at the corn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94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s are generated
    • H03K17/96Touch switches
    • H03K17/962Capacitive touch switch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6Multi-sensing digitiser, i.e. digitiser using at least two different sensing technologies simultaneously or alternatively, e.g. for detecting pen and finger, for saving power or for improving position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상에 배치되고 갭에 의해 분리된 한쌍의 터치 센서층들을 포함하는 저항성 터치 감응형 오버레이와, 상기 터치 감응형 오버레이 상의 터치 이벤트의 위치를 판정하기 위한 상기 한쌍의 터치 센서층들 각각에 연결된 저항성 터치 스크린 제어기와, 터치 센서층쌍의 외곽층에 연결되어 상기 터치 센서층쌍의 외곽층과의 용량성 결합으로부터 발생하는 변화를 판별하기 위한 용량성 제어기를 포함한다.
터치 스크린 제어기, 저항성 터치 감응형 오버레이, 용량성 제어 컴포넌트

Description

전자 장치 및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ELECTRONIC DEVICE AND TOUCH SCREEN DISPLAY}
본 발명은 저항성 터치 스크린 장치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전자 장치를 포함한 전자 장치들은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있으며, 예를 들어, 전화, 전자 메시징 및 기타 개인 정보 관리자(PIM) 애플리케이션 기능을 포함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휴대용 전자 장치는, 간단한 셀룰러 전화, 스마트 전화, 무선 PDA, 및 무선 802.11 또는 블루투스 기능을 구비한 랩탑 컴퓨터와 같은 이동국을 포함하는 몇가지 타입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장치들은, Mobitex 및 DataTAC와 같은 데이터-전용 네트워크로부터, GSM/GPRS, CDMA, EDGE, UMTS 및 CDMA2000 네트워크와 같은 복합 음성 및 데이터 네트워크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네트워크 상에서 동작한다.
PDA 또는 스마트 전화와 같은 장치들은 일반적으로 용이한 핸드헬드 및 휴대성을 목적으로 한다. 더 작은 장치들은 일반적으로 휴대성에 바람직할 것이다. 터치 스크린 입력/출력 장치는 이와 같은 휴대용 장치들에서 특히 유용한데, 이것은, 휴대용 장치들은 작아서 사용자 입력 및 출력 장치를 위한 공간에 있어서 제약 을 받기 때문이다. 또한, 터치 스크린 장치들 상의 스크린 콘텐츠는 수행되고 있는 기능 및 동작에 따라 수정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장치들은, 터치-감응형 오버레이를 구비한 액정 디스플레이와 같은 디스플레이로 구성된다. 저항성 터치 감응형 장치들은, 한쌍의 터치 센서층들을 구비하며, 한쌍의 터치 센서층들 중 외곽층은 다른층과 접촉하도록 눌러졌을 때 구부러진다. 2개층들의 접촉 지점이 판정되어, 터치의 위치가 판정된다. 저항성 터치 감응형 장치들은 특히 유익한데, 이것은, 다른 터치 감응형 장치들에 비해 비교적 가격이 저렴하고, 전도성 입력 및 스타일러스와 같은 비전도성 입력으로부터의 입력을 지원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들 장치들은 불리한 점들이 있다. 예를 들어, 저항성 터치 감응형 장치들은 터치 입력의 x 및 y 좌표의 결정에 제한을 받고 있고, 터치 이벤트들은 2개의 터치 센서층들간의 접촉이 있어야 비로소 검출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터치 스크린 장치들의 감도는 낮고 피드백은 느릴 수 있다
따라서 터치 스크린 장치들에서의 개선이 바람직하다.
한 양태에 따르면,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가 제공된다.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상에 배치되고 갭에 의해 분리된 한쌍의 터치 센서층들을 포함하는 저항성 터치 감응형 오버레이와, 상기 터치 감응형 오버레이 상의 터치 이벤트의 위치를 판정하기 위한 상기 한쌍의 터치 센서층들 각각에 연결된 저항성 터치 스크린 제어 컴포넌트와, 상기 한쌍의 터치 센서층의 외곽층에 연결되어 상기 한쌍의 터치 센서층의 외곽층과의 용량성 결합으로부터 발생하는 변화를 판별하기 위한 용량성 제어 컴포넌트를 포함한다. 저항성 터치 스크린 제어 컴포넌트는 저항성 터치 스크린 제어기일 수 있고, 용량성 제어 컴포넌트는 용량성 제어기일 수 있다.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는 저항성 터치 스크린 제어 컴포넌트 및 용량성 제어 컴포넌트에 연결된 호스트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센서층들은 각각의 기판 상에 배치된 ITO 또는 기타 임의의 적절한 물질층을 포함할 수 있다.
한쌍의 터치 센서 회로층들 중 외곽층과 용량성 제어 컴포넌트는, 저항성 터치 감응형 오버레이 부근에서 저항성 터치 감응형 오버레이와 에어갭에 의해 분리 이격된 도전성 물체로부터 발생하는 용량성 변화를 판별하도록 구성된다.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는 외곽 터치 센서층 상에 보호층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 감응형 오버레이는 4개 와이어 및 5개 와이어 저항성 터치 감응형 오버레이를 포함하는 임의의 적절한 저항성 터치 감응형 오버레이일 수 있다.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전자 장치가 제공된다. 이 전자 장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연결되고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 디스플레이 장치 상에 배치된 저항성 터치 감응형 오버레이를 포함하는 저항성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와, 상기 베이스와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사이에 배치된 동작 컴포넌트를 포함한다. 동작 컴포넌트는 터치 감응형 오버레이의 터치 센서층쌍들 각각에 연결된 저항성 터치 스크린 제어 컴포넌트와, 상기 터치 센서층쌍의 외곽층에 연결되어 용량성 결합으로부터 발생하는 변화를 검출하기 위해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용량성 제어 컴포넌트와, 제어 컴포넌트 및 디스플레이 장치에 연결되어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저항성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갖는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이 방법은, 물체와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의 외곽 터치 센서층 사이의 용량성 결합의 결과로서 물체가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부근에 있는지를 판정하는 단계와, 상기 물체가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부근에 있다는 판정에 응답하여 휴대용 전자 장치의 출력에서 변화를 초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출력에서의 변화는 디스플레이된 출력에서의 변화를 저항성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상에 포함할 수 있다.
유익하게도,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의 터치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와의 접촉에 앞서 검출될 수 있다. 따라서, 터치 스크린이 터칭될 때 시기적절한 응답을 제공하기 위해 프로세서에 신호가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촉각적 피드백이 제공되어 더 나은 사용자 감각을 더욱 신속하게 제공한다. 전자 장치에서 터치 스크린이 사용될 때, 터치 스크린 부근에서 사용자에 의해 유지된 손가락 또는 전도성 물체의 검출에 기초하여 출력 변화가 초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LCD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예를 들어, 통화를 할때 행해지는 것과 같이, 사용자가 그들 얼굴 부근에 장치를 위치시키면, 턴오프될 수 있다. 또한, LCD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물체나 손가락이 휴대용 전자 장치에 접근할 때 꺼진다면, "웨이크 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예로서 기술될 것이다.
예시의 간략성과 명확성을 위해 참조번호들은 도면들에 걸쳐 대응하거나 유사한 요소들을 가리키도록 반복될 것임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실시예들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많은 특정한 세부사항들이 개시될 것이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실시예들은 이들 특정한 세부사항들없이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다른 예에서, 공지된 방법들, 프로시져들, 및 컴포넌트들은 본 실시예들을 불명확하게 하지 않도록 세부적으로 기술되지는 않을 것이다. 또한, 이러한 설명들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된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대체로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및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전자 장치의 예로는, 페이저, 셀룰러 전화, 셀룰러 스마트폰, 무선 오거나이저, PDA, 무선 가능형 노트북 컴퓨터등과 같은, 모바일, 또는 핸드헬드, 무선 통신 장치가 포함된다.
휴대용 전자 장치는, 트랜시버 스테이션들의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휴대용 전자 장치 또는 컴퓨터 시스템들과 통신하는 기능을 포함한 진보된 데이터 통신 기능을 구비한 양방향 통신 장치일 수 있다. 휴대용 전자 장치는 또는 음성 통신을 허용하는 기능을 가질 수도 있다. 휴대용 전자 장치에 의해 제공되는 기능에 따라, 이것은, 데이터 메시징 장치, 양방향 페이저, 데이터 메시징 기능을 구비한 셀룰러 전화, 무선 인터넷 장치, 또는 (전화 기능을 구비하거나 구비하지 않은) 데이 터 통신 장치라고도 언급될 수 있다. 휴대용 전자 장치는, 핸드헬드 전자 게임 장치, 디지털 사진 앨범, 디지털 카메라 등과 같은 무선 통신 기능이 없는 휴대용 장치일 수도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의 컴포넌트들을 보여주고 있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한다.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는 일반적으로 참조번호 10으로 표시되어 있고, 디스플레이 장치(12)와; 디스플레이 장치 상에 배치되며 갭에 의해 분리되어 있는 한쌍의 터치 센서층(16, 18)을 포함하는 저항성 터치 감응형 오버레이(14)와; 본 실시예에서는, 한쌍의 터치 센서층(16, 18)의 각각에 연결되어 터치 감응형 오버레이 상의 터치 이벤트의 위치를 판정하기 위한 저항성 터치 스크린 제어기(20)인, 저항성 터치 스크린 제어 컴포넌트와; 본 실시예에서는, 한쌍의 터치 센서층의 외곽층(18)에 연결되어 한쌍의 터치 센서층의 외곽층(18)과의 용량성 결합으로부터 발생하는 변화를 판별하기 위한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용량성 제어 컴포넌트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는 휴대용 전자 장치의 일부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휴대용 전자 장치(24)의 실시예의 블럭도가 도시되어 있다. 휴대용 전자 장치(24)는, 휴대용 전자 장치(24)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세서(26)와 같은 다수의 컴포넌트들을 포함한다. 데이터 및 음성 통신을 포함하는 통신 기능은 통신 서브시스템(28)을 통해 수행된다. 휴대용 전자 장치(24)에 의해 수신되는 데이터는, 임의의 적절한 압축 기술(예를 들어, YK 압축해제, 및 기타의 공지된 기술) 및 (예를 들어, DES(Data Encryption Standard), 트리플 DES, 또는 AES(Advanced Encryption Standard)와 같은 암호화 기술을 이용하는) 암호화 기술에 따라 동작하는, 디코더(30)에 의해 압축해제 및 암호해독될 수 있다. 통신 서브시스템(28)은 무선 네트워크(1000)와 메시지를 주고 받는다. 휴대용 전자 장치(24)의 이 실시예에서, 통신 서브시스템(28)은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및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s) 표준에 따라 구성된다. GS/GPRS 무선 네트워크는 널리 사용되며 이들 표준들은 결국 EDGE(Enhanced Data GSM Encironment)) 및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에 의해 대체될 것으로 예상된다. 새로운 표준이 여전히 정의되고 있지만, 이들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네트워크 동작과 유사성을 가질 것이라 믿어지며,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실시예들은 미래에 개발되는 기타 임의의 적절한 표준들을 사용하는 것을 의도하고 있다는 것을 당업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통신 서브시스템(28)을 무선 네트워크(1000)에 연결하는 무선 링크는, GSM/GPRS 통신을 위해 명시된 정의된 프로토콜에 따라 동작하는, 하나 이상의 상이한 무선 주파수(RF) 채널들을 나타낸다. 더 새로운 네트워크 프로토콜과 함께, 이들 채널들은, 회선교환형 통신과 패킷 전환형 데이터 통신 양자 모두를 지원할 수 있다.
비록 휴대용 전자 장치(24)와 연관된 무선 네트워크(1000)가 한 구현예에서는 GSM/GPRS 무선 네트워크이지만, 다양한 다른 구현에서 다른 무선 네트워크들이 휴대용 전자 장치(24)와 연관될 수도 있다. 채택될 수 있는 상이한 타입의 무선 네트워크들로는, 예를 들어, 데이터-중심 무선 네트워크, 음성-중심 무선 네트워크, 및 동일한 물리 기지국을 통해 음성 및 데이터 통신 양자 모두를 지원할 수 있는 듀얼모드 네트워크가 포함될 수 있다. 결합된 듀얼-모드 네트워크로는, CDMA 또는 CDMA2000 네트워크, (전술한) GSM/GPRS 네트워크, 및 EDGE 및 UMTS와 같은 향후의 제3세대(3G) 네트워크들이 포함되지만, 이들만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데이터 중심 네트워크의 일부 다른 예로는, WiFi 802.11, MorbitexTM, 및 DataTACTM 네트워크 통신 시스템이 포함된다. 다른 음성 중심 데이터 네트워크들의 예로는, GSM 및 시분할 다중 액세스(TDMA) 시스템과 같은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가 포함된다. 프로세서(26)는, RAM(32), 플래시 메모리(34), 저항성 터치 스크린 제어기(20) 및 용량성 터치 스크린 제어기(22)에 연결된 터치 감응형 오버레이(14)와 디스플레이 장치(12)를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10), 보조 입/출력 서브시스템(36), 데이터 포트(38), 스피커(40), 마이크로폰(42), 단거리 통신(44) 및 기타 장치 서브시스템(46)과 같은 추가적인 서브시스템들과도 상호작용한다. 프로세서(26)는 전자 저항성 터치 스크린 제어기(20) 및 용량성 터치 스크린 제어기(22)를 통해 터치 감응형 오버레이(14)와 상호작용한다.
휴대용 전자 장치(24)의 서브시스템들 중 일부는 통신-관련 기능을 수행하는 반면, 다른 서브시스템들은 "상주형" 또는 온디바이스 기능을 제공한다. 예로서, 디스플레이 장치(12) 및 터치 감응형 오버레이(14)는, 네트워크(1000)를 통해 전송하기 위한 텍스트 메시지를 입력하는 것과 같은 통신-관련 기능과, 계산기 또는 작업 목록 기능과 같은 디바이스 상주형 기능 양자 모두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휴대용 전자 장치(24)는, 네트워크 등록 또는 활성화 프로시져가 완료된 이 후에 무선 네트워크(1000)를 통해 통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액세스는 휴대용 전자 장치(24)의 사용자 또는 가입자와 연관된다. 본 실시예에 따라 가입자를 확인하기 위해, 휴대용 전자 장치(24)는, 네트워크(1000)와 같은 네트워크와의 통신을 위해 SIM/RUIM 인터페이스(50) 내에 삽입되는 SIM/RUIM 카드(48)(즉, 가입자 신원 모듈 또는 탈착가능한 사용자 신원 모듈)를 이용한다. SIM/RUIM 카드(48)는 무엇보다도 휴대용 전자 장치(24)의 가입자를 식별하고 휴대용 전자 장치(24)를 맞춤화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일종의 종래의 "스마트 카드"이다. 본 실시예에서, 휴대용 전자 장치(24)는 SIM/RUIM 카드(48)없이는 무선 네트워크(1000)와의 통신에 대해 완전하게 동작하지 않는다. SIM 카드/RUIM(48)을 SIM/RUIM 인터페이스(50)에 삽입함으로써, 가입자는 모든 가입된 서비스들에 액세스할 수 있다. 서비스들은, 웹 브라우징 및 전자메일과 같은 메시징, 음성 메일, 단문 서비스(SMS), 및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MMS)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진보된 서비스들로는, POS(Point of Sale), 필드 서비스 및 세일즈 포스 자동화가 포함된다. SIM/RUIM 카드(48)는 프로세서와,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포함한다. 일단 SIM/RUIM 카드(48)가 SIM/RUIM 인터페이스(50)에 삽입되고 나면, 이것은 프로세서(26)에 결합된다. 가입자를 신원확인하기 위해, SIM/RUIM 카드(48)는 IMSI(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와 같은 일부 사용자 파라미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SIM/RUIM 카드(48)의 이용 잇점은, 가입자가 임의의 단일의 물리적 휴대용 전자 장치에 의해 반드시 예속될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SIM/RUIM 카드(48)는, 메모책(또는 캘린더) 정보 및 최근의 콜 정보를 포함하여, 휴대용 전 자 장치에 대한 추가의 가입자 정보를 또한 저장할 수 있다. 대안으로서, 사용자 식별 정보는 플래시 메모리(34) 내에 프로그래밍될 수 있다.
휴대용 전자 장치(24)는 배터리-전원형 장치이며 하나이상의 충전가능한 배터리(54)를 수용하기 위한 배터리 인터페이스(52)를 포함한다. 적어도 일부의 실시예들에서, 배터리(54)는 임베디드 마이크로프로세서를 구비한 스마트 배터리일 수 있다. 배터리 인터페이스(52)는 레귤레이터(미도시)에 결합되고, 이 레귤레이터는 배터리(54)가 휴대용 전자 장치(24)에 전력 V+를 제공하는 것을 보조한다. 비록 현재의 기술은 배터리를 이용하고 있지만, 마이크로 연료 전지와 같은 미래의 기술이 휴대용 전자 장치(24)에 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휴대용 전자 장치(24)는 또한,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기술하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58 내지 68)와 운영 체제(56)를 포함한다. 프로세서(26)에 의해 실행되는 운영 체제(56) 및 소프트웨어 컴포넌트(58 내지 68)는 전형적으로 플래시 메모리(34)와 같은 영구 저장소에 저장된다. 대안으로서 판독 전용 메모리(ROM) 또는 유사한 저장 장치(미도시)에 저장될 수도 있다. 당업자라면, 운영 체제(56)와, 특정 디바이스 애플리케이션 또는 그 일부와 같은 소프트웨어 컴포넌트(58 내지 68)는 RAM(32)과 같은 휘발성 저장소 내에 임시로 로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당업자에게 공지된 바와 같이, 기타의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이 포함될 수 있다.
데이터 및 음성 통신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여, 기본 장치 동작을 제어하는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들(58)의 서브세트는, 통상, 제조 동안에 휴대용 전자 장 치(24) 상에 설치될 것이다. 기타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들은, 휴대용 전자 장치의 사용자가 전자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것을 허용하는 임의의 적절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일 수 있는 메시지 애플리케이션(60)을 포함한다. 당업자에게 공지된 바와 같이 메시지 애플리케이션(60)을 위한 다양한 대안들이 존재한다. 사용자에 의해 송수신된 메시지들은 전형적으로, 휴대용 전자 장치(24)의 플래시 메모리(34) 또는 휴대용 전자 장치(24)의 임의의 적절한 저장 요소에 저장된다. 적어도 일부의 실시예들에서, 송수신된 메시지들 중 일부는 휴대용 전자 장치(24)와 통신하는 연관된 호스트 시스템의 데이터 저장소 내와 같은, 휴대용 전자 장치(24)로부터 원격지에 저장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들은 장치 상태 모듈(62), 개인 정보 관리자(PIM, 64), 및 기타의 적절한 모듈들(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장치 상태 모듈(62)은 지속성을 제공한다. 즉, 장치 상태 모듈(62)은 중요한 장치 데이터가 플래시 메모리(34)와 같은 영구 메모리에 저장되어, 휴대용 전자 장치(24)가 턴오프되거나 전원이 끊어질 때 데이터가 소실되지 않는 것을 보장한다.
PIM(64)은, 비제한적인 예로서 전자메일, 연락처, 캘린더 이벤트, 음성 메일, 약속, 작업 항목과 같은 사용자에 대한 관심 데이터 항목을 편성하고 관리하기 위한 기능을 포함한다. PIM 애플리케이션은 무선 네트워크(1000)를 통해 데이터 항목들을 송수신하는 기능을 가진다. PIM 데이터 항목들은 무선 네트워크(1000)를 통해, 호스트 컴퓨터 시스템에 저장된 및/또는 연관된 휴대용 전자 장치 가입자의 대응하는 데이타 항목들과 씸리스 통합, 동기화, 및 업데이트된다. 이 기능은 이 와 같은 항목들에 관하여 휴대용 전자 장치(24)에 미러링된 호스트 컴퓨터를 생성한다. 이것은, 호스트 컴퓨터 시스템이 휴대용 전자 장치 가입자의 오피스 컴퓨터 시스템일 때 특히 유익하다.
휴대용 전자 장치(24)는 또한 연결 모듈(66), 및 정보 기술(IT) 정책 모듈(68)을 포함한다. 연결 모듈(66)은, 휴대용 전자 장치(24)가 인터페이스하도록 권한부여받은 엔터프라이즈 시스템과 같은 임의의 호스트 시스템 및 무선 인프라구조와 휴대용 전자 장치(24)가 통신하는데 필요한 통신 프로토콜을 구현한다.
연결 모듈(68)은, 휴대용 전자 장치(24)가 엔터프라이즈 시스템과 연관된 임의 갯수의 서비스들을 이용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 휴대용 전자 장치(24)와 통합될 수 있는 한세트의 API를 포함한다. 연결 모듈(66)은 휴대용 전자 장치(24)가 호스트 시스템과의 종단간 보안되고 인증된 통신 파이프를 확립하는 것을 허용한다. 연결 모듈(66)에 의해 액세스를 제공받는 애플리케이션들의 서브세트는, 호스트 시스템으로부터 휴대용 전자 장치(24)로 IT 정책 명령을 전달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것은 무선 또는 유선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들 명령어들은, 장치(24)의 구성을 수정하기 위해 IT 정책 모듈(68)에 전달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일부 경우에, IT 정책 모듈 업데이트는 유선 연결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타입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들이 휴대용 전자 장치(24) 상에 설치될 수 있다. 이들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들은, 휴대용 전자 장치(24)의 제조 후에 추가될 수 있는 제3자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제3자 애플리케이션들의 예로는, 게임, 계산기, 유틸리티 등이 포함된다.
추가의 애플리케이션들이, 무선 네트워크(1000), 보조 I/O 서브시스템(36), 데이터 포트(38), 단거리 통신 서브시스템(44), 또는 임의의 적절한 장치 서브시스템(46)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휴대용 전자 장치(24) 상에 로드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설치에서의 이러한 융통성은 휴대용 전자 장치(24)의 기능을 증대시키며, 향상된 온디바이스 기능, 통신 관련 기능 또는 양자 모두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안 통신 애플리케이션들은 전자 상거래 기능 및 기타의 이와 같은 금융 거래가 휴대용 전자 장치(24)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도록 해준다.
데이타 포트(38)는, 사용자가 외부 장치 또는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선호사항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해주고, 무선 통신 네트워크가 아닌 다른 수단을 통해 휴대용 전자 장치(24)로의 정보나 소프트웨어 다운로드를 제공함으로써 휴대용 전자 장치(24)의 기능을 확장시킨다. 보안된 장치 통신을 제공하기 위해 직접적인 연결, 그에 따라 신뢰성있는 연결을 통해 휴대용 전자 장치(24) 상에 암호화 키를 로드하기 위해 대안적인 다운로드 경로가 사용될 수 있다.
데이터 포트(38)는 휴대용 전자 장치(24)와 또 다른 컴퓨팅 장치 사이의 데이터 통신을 가능케하는 임의의 적절한 포트일 수 있다. 데이터 포트(38)는 직렬 또는 병렬 포트일 수 있다. 일부 예에서, 데이터 포트(38)는, 휴대용 전자 장치(24)의 배터리(54)를 충전하기 위해 충전 전류를 제공할 수 있는 전원공급 라인 및 데이터 전송을 위한 데이터 라인들을 포함하는 USB 포트일 수 있다.
단거리 통신 서브시스템(44)은, 무선 네트워크(1000)의 이용없이, 휴대용 전자 장치(24)와 다른 시스템 또는 장치들 사이의 통신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단 거리 통신 서브시스템(44)은 적외선 장치와 단거리 통신을 위한 연관된 회로 및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단거리 통신 표준의 예로서는, 적외선 데이터 연합(IrDA), 블루투스, 및 IEEE에 의해 개발된 802.11 표준 패밀리가 포함된다.
사용시에, 텍스트 메시지, 전자메일 메시지, 또는 웹페이지 다운로드와 같은 수신된 신호는 통신 서브시스템(28)에 의해 처리되고 프로세서(26)에 입력된다. 그 다음, 프로세서(26)는 디스플레이 장치(12) 또는 대안으로서 보조 I/O 서브시스템(36)으로의 출력을 위해 수신된 신호를 처리한다. 가입자는, 예를 들어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10)의 일부를 형성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2) 상의 터치 감응형 오버레이(14)와, 아마도 보조 I/O 서브시스템(36)을 이용하여, 전자메일 메시지와 같은 데이터 항목들을 작성할 수 있다. 보조 I/O 서브시스템(36)은, 마우스, 트랙볼, 적외선 지문 검출기, 또는 동적 버턴 누름 기능을 구비한 롤러휠과 같은 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음성 통신의 경우, 휴대용 전자 장치(24)의 전반적 동작은, 수신된 신호는 스피커(40)에 출력되고, 전송용 신호는 마이크로폰(42)에 의해 발생된다는 점만 제외하고는, 실질적으로 유사하다. 음성 메시지 기록 서브시스템과 같은 대안적 음성 또는 오디오 I/O 서브시스템이 휴대용 전자 장치(24) 상에 구현될 수 있다. 비록 음성 또는 오디오 신호 출력은 주로 스피커(40)를 통해 달성되지만, 콜측 신원, 음성콜의 지속기간, 또는 기타 음성콜 관련 정보와 같은 추가적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장치(12)가 이용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다시 참조하면,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10)는 디스플레이 장치(12)와, 디스플레이 장치(12) 상에 배치된 터치 감응형 오버레이(14)를 포함한다. 당업자라면 터치 감응형 오버레이(14)가 복수의 층들을 포함한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이들 층들은, 예를 들어, 글래스 또는 아크릴과 같은 적절한 재료의 경성 기판(70)과, 인듐 주석 산화물(ITO), 적절한 투명 도전 폴리머, 또는 기타 임의의 적절한 투명 도전 물질과 같은 적절한 재료의 도전성 코팅을 구비한 저항 회로층을 포함하는 내측 터치 센서층(16)과, ITO, 투명 도전 폴리머 또는 기타 임의의 적절한 물질과 같은 적절한 물질의 도전성 코팅을 구비한 저항성 회로층을 역시 포함하는 외측 터치 센서층(18)과, 폴리에스테르 막과 같은 보호 커버(72)를 포함한다. 내측 터치 센서층(16)은 보호 커버(72) 상에 피착된다. 내측 터치 센서층(16) 및 외측 터치 센서층(18)은 공개 갭과 절연 도트(74)에 의해 분리되어 있다. 외측 터치 센서층(18) 및 보호 커버(72)는, 예를 들어, 보호 커버 상의 사용자 누름에 의해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10)의 보호 커버(72)에 힘이 가해질 때 2개의 ITO(또는 다른 적절한 물질) 코팅 사이에 접촉을 유발하게끔 구부러지도록 유연하다.
도 1에 도시된 저항성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10)는 5개 와이어 저항성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라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내측 터치 센서층(16)은 각각 대향하는 x+ 및 x-와 대향하는 y+ 및 y- 버스 바(76, 78)를 포함하며, 외측 터치 센서층(18)은 하나의 버스 바(80)를 포함한다. 따라서, 내측 및 외측 터치 센서층(16, 18)은 각각 전압 분배기 및 전압 프로브로서 역할한다.
예를 들어, 손가락이나 스타일러스에 의해 눌러질 때, 외측 터치 센서층(18) 은 내측 터치 센서층(16)과 접촉한다. 대향하는 x 버스 바(76)를 통해 차분 전압(differential voltage)이 내측 터치 센서층(16) 양단에 인가되고, 접촉 지점에서의 전압이 버스 바(80)를 통해 외측 터치 센서층(18)에 의해 측정된다. 그 다음, 대향하는 버스 바(78)를 통해 차분 전압이 내측 터치 센서층(16) 양단에 인가되고, 접촉 지점에서의 전압이 버스 바(80)를 통해 외측 터치 센서층(18)에 의해 측정된다. 내측 터치 센서층(16)과 외측 터치 센서층(18) 사이의 접촉 위치, 그리고 그에 따라,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의 접촉 위치는, 측정된 전압에 기초하여 판정된다.
저항성 터치 스크린 제어기(20)는, 도 1에 도시된 5개 와이어 실시예에서의 내측 터치 센서층(16)에 인가되는 전압을 구동하고, 프로세서(26)에 의한 터치 위치의 판정을 위해 외측 터치 센서층(18)으로부터 전압을 수신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외측 터치 센서층(18)은, 터치 센서층(16)의 양단에 연속 전류를 도통시키기 위해, 그리고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사용자가 보유한 도전성 스타일러스와 외측 터치 센서층(18) 사이의 용량성 결합의 결과로서 커패시턴스에서의 변화를 검출하기 위해, 버스 바(80)를 통해 용량성 터치 스크린 제어기에도 연결된다. 따라서, 커패시턴스에서의 변화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10) 상에서의 터치 또는 준-터치를 감지하는, 전자 용량성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22)에 대한 신호로서 역할한다.
사용자가 손가락 또는 맨손으로 쥔 기타의 도전성 물체를, 2개의 터치 센서층이 서로 접촉할 정도로 충분한 힘을 가하지 않고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상에 위치시킬 때, 보호 커버(72)를 통해 손가락 또는 도전성 물체의 용량성 결합이 발생하고, 그 결과, 용량성 터치 스크린 제어기(22)에서 신호가 발생한다. 용량성 결합은 또한 보호 커버(72)를 통해 그리고 작은 공기 갭을 통해 발생한다. 따라서, 손가락 또는 (사용자의 맨손으로 쥐고 있는) 도전성 물체가 보호 커버(72)의 표면에 접근할 때, 그리고, 보호 커버에 충분한 힘이 가해져 2개의 터치 센서층들이 서로 접촉하기 이전에 보호 커버에 접촉할 때, 용량성 결합이 발생하고, 그 결과, 신호가 용량성 터치 스크린 제어기(22)에 전송된다. 따라서, 용량성 터치 스크린 제어기(22)의 감도는 보호 커버(72)로부터 작은 거리, 예를 들어, 9밀리미터 이하만큼 떨어진 곳에서 접근하는 손가락(또는 기타의 도전성 물체)을 검출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접근 위치는 판정되지 않는다. 그러나, 외측 터치 센서층 부근의 손가락 또는 기타 도전성 물체의 접근은 판정된다. 따라서, 외측 터치 센서층(18) 및 용량성 터치 스크린 제어기(22)는 접근을 검출하도록 역할하며, 보호 커버(72)의 표면에 근접한 손가락 또는 도전성 물체를 검출한다.
사용시, 휴대용 전자 장치(24)의 출력에서의 변화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부근에서의 도전성 물체의 판정에 응답하여 발생할 수 있다. 출력에서의 변화는, 판정 시점에서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 또는 장치 상태 또는 모드와 같은 많은 요인들에 의존할 수 있다.
용량성 결합의 결과로서 접근하는 손가락 또는 기타 적절한 물체의 판정은, 외측 터치 센서층(18)이 내측 터치 센서층(16)에 접촉하기 이전에 발생한다. 따라서, 용량성 결합은, 저항성 터치 스크린의 2개의 터리 센서층들의 접촉 지점의 판정에 앞서 판정된다. 저항성 터치 감지는 용량성 터치 감지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저항성 터치 감지 동안에, 용량성 터치 감지는 비활성이다. 따라서, 터치 스크린의 용량성 및 저항성 기능은 서로 간섭하지 않는다. 용량성 제어기(22)는 5 와이어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에서의 버스 바(80)에 연결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10)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 장치(90)와 같은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에서의 단계들을 예시하는 플로차트가 도시되어 있다. 단계(90)에서, 예를 들어, 휴대용 전자 장치(24)를 턴온함으로써 접근 검출이 턴온된다. 따라서, 커패시턴스에서의 변화를 검출하기 위해 터치 센서층(16) 양단에 전류가 도통된다.
단계(92)에서 물체와 터치 센서층(16) 사이의 용량성 결합의 결과로서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10) 부근에서 물체가 검출된다. 검출된 물체는 사용자의 맨손에 쥐어진 도전성 물체 또는 도전성 스타일러스 또는 사용자의 손가락이라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전술된 바와 같이, 용량성 터치 스크린 제어기(22)의 감도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10)와 접촉하기 이전에 접근하는 물체의 검출을 허용한다.
터치 스크린 장치 부근에서의 물체 또는 터치 스크린 장치에 접근하는 물체의 판별시에, 활성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장치 상태가 판정된다(단계 94). 따라서, LCD 디스플레이 장치(12)가 온(스크린을 표시하고 있는 중)인지, 또는 소정 기간 동안 입력으로서 사용자 상호작용이 없는 것에 대한 응답으로서 전력을 절감하기 위해 발생할 수 있는, LCD 디스플레이 장치가 오프(블랙 아웃 상태)인지가 판정된다. 예를 들어, LCD 디스플레이 장치(12)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GUI를 갖는 임 의의 활성 애플리케이션도 역시 판정된다.
단계(94 및 96)에서 판정되는 바와 같이 장치 상태 및 활성 애플리케이션에 기초하여 출력이 제공된다(단계 96).
한 예에서, 휴대용 전자 장치(24)가 온이고 따라서 접근 검출이 활성화된다(단계 90). 접근중인 물체의 검출시에(단계 92), LCD 디스플레이 장치는 오프인 것으로 판정된다(블랙 아웃 상태). 따라서, 휴대용 전자 장치(24) 상에는 어떠한 활성 애플리케이션도 없다. 응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2)가 턴온되어 LCD 디스플레이 장치(12) 상에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제공한다(단계 96).
또 다른 예에서, 휴대용 전자 장치(24)가 온되고 따라서 접근 검출이 활성화된다(단계 90). 접근중인 물체의 검출시에(단계 92), LCD 디스플레이 장치는 온인 것으로 판정되고, 휴대용 전자 장치(24) 상에서 셀룰러 전화 애플리케이션이 활성인 것으로 판정되며, 이미 통화가 이루어졌다. 응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2)는 턴오프되어(블랙아웃되어) 전력을 절감한다(단계 96).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12)는, 사용자가 전화 통화를 위해 휴대용 전자 장치를 자신의 얼굴 부근에 둘때 턴오프된다.
다른 예들도 가능하기 때문에, 상기 예들은 오직 예시를 위해 제공된 것이다. 예를 들어,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10)에 접근하는 물체의 판정에 응답하여, 휴대용 전자 장치(24) 상의 활성 애플리케이션에 기초한 사용자 입력을 위한 버턴 또는 버턴들을 통해, 가상 입력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출력은 스피커(40)로부터 방출되는 사운드 형태이거나 기타 적절한 출력일 수 있다. 이것은 예를 들어, 시기적절한 촉각적 피드백을 제공하는데 있어서 유용하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의 컴포넌트들의 블럭도를 도시하는 도 5를 참조한다. 본 실시예는, 저항성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10)가 5 와이어 저항성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가 아니라 4-와이어 저항성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10)라는 점을 제외하고는, 도 1에 관련하여 전술한 내용과 유사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내측 터치 센서층(16)은 대향하는 y+ 및 y- 버스 바(78)를 포함하고, 외측 터치 센서층(18)은 대향하는 x+ 및 x- 버스 바(76)를 포함한다. 충분한 힘을 동반한 사용자 터치의 결과로서 내측 및 외측 센서층(16, 18)이 서로 접촉할 때, x+ 및 x- 버스 바들 양단에는 전압이 인가되고 접촉 지점에서의 전압이 y+ 및 y- 버스 바에 의해 측정되기 때문에,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10) 상에서의 터치의 x 위치가 판정된다. 마찬가지로, y+ 및 y- 버스 바 양단에는 전압이 인가되고 접촉 지점에서의 전압은 x+ 및 x- 버스 바들에 의해 측정되기 때문에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10) 상에서의 터치의 y 위치가 판정된다.
저항성 터치 스크린 제어기(20)는 각각 내측 및 외측 터치 센서층(16, 18)에 인가되는 전압을 구동하고, 프로세서(26)에 의한 터치의 위치 판정을 위해 저항성 터치 스크린 제어기(20)에서 터치 위치에서의 각각의 전압이 측정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외측 터치 센서층(16)은, 터치 센서층(16) 양단에 전류를 도통시키고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사용자가 쥐고 있는 도전성 스타일러스와, 외측 터치 센서층(18) 사이의 용량성 결합의 결과로서 커패시턴스의 변화를 검출하기 위해 버스 바들중 하나(기준 버스 바)를 통해 용량성 터치 스크린 제어기(22)에도 역시 연결된다.
첫번째 기술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손가락 또는 도전성 물체의 용량성 결합이 보호 커버(72)를 통해 발생하여, 그 결과 용량성 터치 스크린 제어기(22)에서 신호가 발생한다. 용량성 결합은 또한 보호 커버(72)를 통해 및 작은 공기 갭을 통해 발생한다. 따라서, 손가락 또는 (사용자의 맨손으로 쥐고 있는) 도전성 물체가 보호 커버(72)의 표면에 접근할 때, 그리고, 보호 커버에 충분한 힘이 가해져 2개의 터치 센서층들이 서로 접촉하기 이전에 보호 커버에 접촉할 때, 용량성 결합이 발생하고, 그 결과, 신호가 용량성 터치 스크린 제어기(22)에 전송된다. 용량성 터치 센서층들의 감도는 다시 한번 보호 커버로부터 작은 거리만큼 떨어진 곳에서 접근하는 손가락(또는 기타 도전성 물체)을 검출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실시예들은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및 휴대용 전자 장치의 특정한 구현에 관한 것이지만, 이들 실시예들에 대한 수정 및 변형들은 본 발명의 범위와 사상 내에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실시예들은 각각 5개 및 4개 와이어 저항성 터치 스크린을 도시하고 있다. 7개 와이어 또는 8개 와이어 터치 스크린과 같은 다른 터치 스크린들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2개의 별개의 제어기들로서 기술되었지만, 용량성 및 저항성 터치 스크린 제어기는 하나의 집적 회로 제어기 회로에 통합하여 구현하는 것도 생각해 볼 수 있다.
동일한 기능을 제공하면서도 많은 특징들의 크기와 형상이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을 또한 이해할 것이다. 다른 많은 수정 및 변형들이 당업자에게는 가능할 것이 다. 이와 같은 모든 수정 및 변형들은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 드는 것으로 믿어진다.
도 1은 실시예의 한 양태에 따른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의 컴포넌트들의 간략화된 블럭도이다.
도 2는 실시예의 한 양태에 따른 저항성 터치 스크린의 간략화된 구획 측면도이다.
도 3은 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 장치의 소정의 내부 컴포넌트들을 포함한, 소정 컴포넌트들의 블럭도이다.
도 4는 한 실시예의 양태에 따른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한 방법에서의 단계들을 예시하는 플로차트이다.
도 5는 또 다른 실시예의 한 양태에 따른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의 컴포넌트들의 간략화된 블럭도이다.

Claims (9)

  1.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장치;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상에 배치되고 갭에 의해 분리된 한쌍의 터치 센서층을 포함하는 저항성 터치 감응형 오버레이;
    상기 한쌍의 터치 센서층들 각각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터치 감응형 오버레이 상의 터치 이벤트의 위치를 판정하는 저항성 터치 스크린 제어 컴포넌트;
    상기 한쌍의 터치 센서층들 중 외곽층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한쌍의 터치 센서층들 중 외곽층과의 용량성 결합으로부터 발생하는 변화를 판별하도록 입력을 수신하는 용량성 제어 컴포넌트 - 상기 용량성 제어 컴포넌트는 상기 한쌍의 터치 센서층들 중 내부층에는 연결되어 있지 않음 - ; 및
    통신을 위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상기 저항성 터치 스크린 제어 컴포넌트, 및 상기 용량성 제어 컴포넌트에 연결된 프로세서로서, 상기 저항성 터치 스크린 제어 컴포넌트를 통한 터치 감응형 오버레이 상의 터치 이벤트의 위치 판정 동안에 상기 한쌍의 터치 센서층들 중 외곽층만과의 용량성 결합으로부터 발생하는 변화의 판별을 비활성화하도록 구성된 상기 프로세서
    를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성 터치 스크린 제어 컴포넌트는 저항성 터치 스크린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용량성 제어 컴포넌트는 용량성 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인,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터치 센서층은 인듐 주석 산화물 'ITO'층들을 포함하고, 각 층은 각각의 기판 상에 배치되는 것인,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터치 센서층들 중 외곽층과 용량성 제어 컴포넌트는, 상기 저항성 터치 감응형 오버레이 부근의 도전성 물체로부터 발생하는 용량성 변화를 판별하도록 구성된 것인,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터치 센서층들 중 외곽층과 용량성 제어 컴포넌트는, 공기갭에 의해 상기 저항성 터치 감응형 오버레이로부터 근접하나 거리가 떨어져 있는 도전성 물체로부터 발생하는 용량성 변화를 판별하도록 구성된 것인,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6. 제1항에 있어서, 바깥쪽 터치 표면은 상기 터치 센서층들 중 외곽층 상에 배치된 보호 커버층을 포함하는 것인,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성 터치 감응형 오버레이는 4-와이어 저항성 터치 감응형 오버레이를 포함하는 것인,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성 터치 감응형 오버레이는 5 와이어 저항성 터치 감응형 오버레이를 포함하는 것인,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9. 전자 장치에 있어서,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연결된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및
    저항성 터치 스크린 제어 컴포넌트, 용량성 제어 컴포넌트, 및 디스플레이 장치에 연결되어 있으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프로세서
    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0090000754A 2008-01-29 2009-01-06 전자 장치 및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KR1010661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8150810A EP2085861A1 (en) 2008-01-29 2008-01-29 Electronic device and touch screen display
EP08150810.3 2008-01-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3278A KR20090083278A (ko) 2009-08-03
KR101066152B1 true KR101066152B1 (ko) 2011-09-20

Family

ID=394717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0754A KR101066152B1 (ko) 2008-01-29 2009-01-06 전자 장치 및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EP (1) EP2085861A1 (ko)
JP (1) JP4764918B2 (ko)
KR (1) KR101066152B1 (ko)
CN (1) CN101498982B (ko)
CA (1) CA2647319A1 (ko)
MX (1) MX2009001069A (ko)
SG (1) SG154407A1 (ko)
TW (1) TW20094132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398800B (zh) 2009-08-14 2013-06-11 Htc Corp 觸控面板及其輸出方法
CN101996015B (zh) * 2009-08-19 2013-05-01 宏达国际电子股份有限公司 触控面板及其输出方法
JP5707694B2 (ja) 2009-12-04 2015-04-30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表示装置の制御方法
TW201732525A (zh) * 2010-03-08 2017-09-16 半導體能源研究所股份有限公司 電子裝置及電子系統
CN101859216B (zh) 2010-06-11 2012-01-25 北京富纳特创新科技有限公司 触摸屏
DE102010024658A1 (de) 2010-06-22 2011-12-22 Gerd Reime Berührungsempfindliche Fläche
TWI417771B (zh) * 2010-06-24 2013-12-01 Beijing Funate Innovation Tech 觸摸屏
FR2965944B1 (fr) * 2010-10-06 2013-02-15 Thales Sa Procede de mesure d'effort pour un dispositif a ecran tactile multimode
US8320970B2 (en) * 2011-02-16 2012-11-27 Google Inc. Mobile device display management
US8963858B2 (en) * 2011-02-28 2015-02-24 Semtech Corporation Use of resistive touch screen as a proximity sensor
WO2013087930A1 (de) * 2011-12-16 2013-06-20 Printechnologics Gmbh Touchdatenträger und verfahren
JP5884571B2 (ja) * 2012-03-14 2016-03-15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入力装置
EP2645218A1 (en) * 2012-03-29 2013-10-02 Sony Mobile Communications AB Method for operating an electronic device
DE102012024055A1 (de) * 2012-12-08 2014-06-12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edienen eines elektronischen Gerätes
US10254815B2 (en) * 2013-03-08 2019-04-09 Microchip Technology Incorporated Using capacitive proximity detection with resistive touch screens for wake-up
CN110275642B (zh) * 2019-07-29 2024-05-17 黄石瑞视光电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八线式触摸屏及触摸屏校准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73834A2 (en) * 2004-01-30 2005-08-1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Touch screens
US20080018608A1 (en) * 2006-07-18 2008-01-24 Bogdan Serban Data input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58485A (en) * 1997-07-29 2000-05-02 Lsi Logic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power consumption of a digitizing panel
WO2003019346A1 (en) * 2001-08-22 2003-03-06 Sharp Kabushiki Kaisha Touch sensor, display with touch sensor, and method for generating position data
GB0313808D0 (en) * 2003-06-14 2003-07-23 Binstead Ronald P Improvements in touch technology
GB2411278B (en) 2004-02-20 2008-05-07 Pelikon Ltd Improved display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73834A2 (en) * 2004-01-30 2005-08-1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Touch screens
US20080018608A1 (en) * 2006-07-18 2008-01-24 Bogdan Serban Data input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498982B (zh) 2012-09-05
KR20090083278A (ko) 2009-08-03
CN101498982A (zh) 2009-08-05
JP4764918B2 (ja) 2011-09-07
TW200941325A (en) 2009-10-01
MX2009001069A (es) 2009-08-12
CA2647319A1 (en) 2009-07-29
SG154407A1 (en) 2009-08-28
EP2085861A1 (en) 2009-08-05
JP2009181572A (ja) 2009-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6152B1 (ko) 전자 장치 및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US20090189875A1 (en) Electronic device and touch screen display
KR101095154B1 (ko) 전자 디바이스 및 개별 터치 감지형 영역들을 갖는 터치 스크린
US20090193361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US20090146970A1 (en) Electronic device and touch screen having discrete touch-sensitive areas
EP2085866B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EP2105824B1 (en) Touch screen display for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determining touch interaction therewith
US9448721B2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ouch-sensitive input device and method of determining selection
US20090244026A1 (en) Touch screen display for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determining touch interaction therewith
US20090195959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US20100053089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ouchscreen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20090109181A1 (en) Touch screen and electronic device
KR20090042725A (ko) 터치 스크린 및 전자 디바이스
KR101051064B1 (ko) 전자 장치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CA2654127C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ouch sensitive input surface and method of determining user-selected input
KR101068599B1 (ko) 전자 디바이스용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및 이와의 터치 상호작용 판정 방법
EP2159665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ouchscreen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20150242004A1 (en) Touch-sensitive input device having a logo displayed thereon for use in a mobile electronic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