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5969B1 - 열 교환기 하우징 및 시일 - Google Patents

열 교환기 하우징 및 시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5969B1
KR101065969B1 KR1020057021661A KR20057021661A KR101065969B1 KR 101065969 B1 KR101065969 B1 KR 101065969B1 KR 1020057021661 A KR1020057021661 A KR 1020057021661A KR 20057021661 A KR20057021661 A KR 20057021661A KR 101065969 B1 KR101065969 B1 KR 1010659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baffle plate
fluid
flange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216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12610A (ko
Inventor
프랭클린 디 쥬니어 로맥스
킴 홍 임
스테핀 웨이드
Original Assignee
레르 리키드 쏘시에떼 아노님 뿌르 레드 에렉스뿔라따시옹 데 프로세데 조르즈 클로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레르 리키드 쏘시에떼 아노님 뿌르 레드 에렉스뿔라따시옹 데 프로세데 조르즈 클로드 filed Critical 레르 리키드 쏘시에떼 아노님 뿌르 레드 에렉스뿔라따시옹 데 프로세데 조르즈 클로드
Publication of KR200600126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26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59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59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7/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tubular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001Casings in the form of plate-like arrangements; Frames enclosing a heat exchange co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5/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using the cooling effect of natural or forced evapo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7/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tubular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 F28D7/16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tubular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being arranged in parallel spaced relation
    • F28D7/163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tubular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being arranged in parallel spaced relation with conduit assemblies having a particular shape, e.g. square or annular; with assemblies of conduits having different geometrical features; with multiple groups of conduits connected in series or parallel and arranged inside common casing
    • F28D7/1653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tubular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being arranged in parallel spaced relation with conduit assemblies having a particular shape, e.g. square or annular; with assemblies of conduits having different geometrical features; with multiple groups of conduits connected in series or parallel and arranged inside common casing the conduit assemblies having a square or rectangular sha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9/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22Arrangements for directing heat-exchange media into successive compartments, e.g. arrangements of guide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230/00Seal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metry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 Details Of Fluid Heaters (AREA)

Abstract

열 교환 장치용 하우징은 연장부를 갖는 배플 플레이트에 의해 부분적으로 형성되는 유체 통로를 포함한다. 열 교환 장치는 상기 유체 통로를 통해 연장되는 유체 도관 어레이를 더 포함한다. 하우징은 벽과 이 벽으로부터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플랜지를 각각 갖는 복수 개의 하우징 부재를 포함한다. 인접한 하우징 부재의 플랜지는 플랜지 조인트에서 결합되고, 플랜지 조인트는 배플 플레이트의 연장부를 고정적으로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열 교환 장치는 또한 유체 통로 내에 마련되는 플레이트 부재와, 배플 플레이트와 플레이트 부재 사이의 간극을 충전하는 팽창성 재료를 포함한다. 또한, 제2 유체 통로의 일부를 형성하는 제2 배플 플레이트가 마련되고, 제1 배플 플레이트와 제2 배플 플레이트 사이에 내화성 가스킷과 팽창성 재료층이 마련된다.

Description

열 교환기 하우징 및 시일{IMPROVED HEAT EXCHANGER HOUSING AND SEALS}
본 발명은 전반적으로 열 교환기 및 이 열 교환기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평행한 튜브의 대형 어레이를 갖는 열 교환 화학적 리액터와 열 교환기는 당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그러한 물품들의 통상적인 설계 실무는 설계 표준으로 체계화되어 있다. 튜브 표면 외측(보통, "튜브와 셸" 교환기의 "셸측"이라 칭함)의 유동로를 바이패스하는 유동 누출이 설계 열성능을 상당히 제한한다는 것은 공지되어 있다.
열 교환기에서 단위 용적당 열전달 영역을 유리하게 증가시키기 위하여, 열전달 표면이 연장된 튜브의 사용과 특히 긴밀하게 패킹된 튜브 어레이의 사용 등의 다양한 기법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한 구성은 콤팩트하고 비용 효율적인 열 교환 구조의 제조에 있어서 중요하다. 그러나, 그러한 구성의 사용은 튜브와 셸 열 교환기에서 유동 바이패싱의 문제를 악화시킨다. 따라서, 열 교환기 산업은 튜브들의 간격을 넓혀서 유동로를 통한 압력 강하를 감소시키고, 열 교환기의 소형화와 비용 효율을 저감시키는 연장된 열전달 표면[흔히 핀(fin)이라 칭함]을 제공하지 않거나 거의 제공하지 않음으로써 유동 바이패싱의 효과를 제한하려는 시도를 하였다. 별법으로서, 열 교환기 산업은 튜브 외측에 있는 임의의 소정 유동로에서의 누출을 제한하는 밀봉 요소를 제공함으로써 유동 바이패싱의 효과를 제한하려는 시도를 하였다. 그러나, 유동 바이패싱을 제한하는 이들 방법은 몇가지 심각한 제약을 갖고 있다.
Uggersby의 미국 특허 제2,595,822호(이하, "'822 특허"라 함)에 개시된 방법은 둥근 외형을 갖는 금속으로부터 형성된 탄성 요소를 제공한다. 그러한 탄성 요소는 튜브와 셸 교환기라 칭하는 것과 같은, 둥근 설계 형태를 갖는 관형 열 교환 어레이로 제한된다. 또한, 이들 탄성 요소는 그 능력이 높은 거칠기의 표면 또는 국부적인 표면 결함을 밀봉하는 것으로 제한된다. 많은 튜브와 셸 교환기가 롤형 플레이트를 용접함으로써 제조된 둥근 셸을 갖고, 이에 따라 국부적인 불균일성이 어렵고/어렵거나 비용이 많이 드는 기계 가공 또는 연마 가공에 의해서만 제거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822 특허는 비교적 비실용적인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많은 경우에, 물리적 크기 또는 제조 재료로 인해, '822 특허에 개시된 방법을 이용하기에 충분한 표면 마감질을 개선시키는 것은 완전히 비실용적이다. 결국, '822 특허 발명의 금속 요소는 크리프 변형이 시작하는 온도 미만의 용례로 제한된다. 사실상, 금속 요소의 응력을 경감시키기에 충분히 높은 작업 온도에서 금속 요소를 이용하더라도 실질적으로 밀봉을 제공하는 데에 있어 효율이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400℃ 이상의 온도는 완전히 생각할 가치도 없고, 200℃ 이상의 온도는 장시간의 노출 동안 부분적인 기능 손실을 유발할 수 있다.
'822 특허에 개시된 것의 대안의 방법이 Forbes 등의 미국 특허 제4,733,722호(이하, "'722 특허")에 개시되어 있다. '722 특허는 특별히 설계된 형태를 갖는 폴리머 재료로 제조된 탄성 요소를 개시하고 있다. 이들 밀봉 요소는 '822 특허의 요소에서 표면 마감질에 대한 민감성에 관한 문제를 극복한다. 그러나, '722 특허에 개시된 탄성 요소는 '822 특허에 개시된 탄성 요소보다 훨씬 더 심각한 온도 제한을 갖는다.
시일을 이용하여 바이패스 유동을 제한하는 문제는 튜브 외측의 유동로에서 국부적인 압력 구배가 매우 높은 열 교환기에서 더 나빠진다. 이 타입의 교환기의 예로는 TEMA(Tubular Exchanger Manufacturers Association)의 표준 명칭에서 셸형 F로서 지시되는 멀티패스(multi-pass) U 튜브 열 교환기가 있다. 설계 표준은 그러한 교환기에서 시일의 필요성을 인지하고 있고, Smith의 미국 특허 제4,778,005호("이하, '005 특허")에 개선된 인터패스(inter-pass) 시일이 개시되어 있다. '005 특허에 개시된 개선된 시일은 가스 압력차에 의해 확실히 로딩되는 탄성 금속 요소이다. 그러한 시일은 '822 특허에 개시된 원형 시일의 단점을 어느 정도는 여전히 제공하지만, 그 확실한 물성에 이점이 있다.
TEMA의 표준 명칭은 길이 방향으로 분할되는 셸 내에 상이한 셸측 통로를 갖는 교환기를 여전히 인지하지 못한다. 이는 그러한 설계에서 해로운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종래 기술의 방법의 무능력을 나타낸다. Lomax 등의 미국 특허 제6,497,856호(이하, "'856 특허")는 튜브 어레이와 이들 튜브 외측의 멀티패스 유동을 채용한 열 교환 화학적 리액터를 개시하고 있다. '856 특허에 의해 제시된 타입의 열 교환 리액터 구조에서는, 튜브 외측의 유동로들 사이의 최대 온도가 800℃보다 높아서, '822 특허에 개시된 방법을 채택하기에는 너무 온도가 높다. '856 특허에 개시된 장치에 필요한 버너는 유동 채널들 사이의 격벽을 가로질러 상당한 압력 강하를 생성할 수 있다. 이 압력 강하는 종래의 제조 기법을 이용하는 해로운 유동 바이패싱을 상당히 증가시킨다. 또한 '856 특허에 개시된 장치는 구체적으로 연장된 열전달 표면을 제공하여 성능을 향상시키고, 이에 따라 열 교환 리액터 내에서의 압력 강하와 누출을 더 증가시킨다.
따라서, 예컨대 고온 및 고압에서 작동되는 관형 열 교환기에 대해 셸측 유체 누출 및 바이패스를 저감시키는 열 교환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 요망된다.
본 발명은 유리하게는 하우징과, 이 하우징 내에 마련되는 제1 유체 통로와, 상기 하우징 내에 마련되는 유체 도관 어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유체 도관 어레이가 제1 유체 통로를 통해 연장되는 열 교환 장치를 제공한다. 제1 유체 통로는 하우징의 내표면과 배플 플레이트에 의해 형성된다. 배플 플레이트는 제1 유체 통로를 지나서 연장되는 연장부를 갖는다. 하우징은 제1벽과 이 제1벽으로부터 연장되는 플랜지를 갖는 제1 하우징 부재와, 제2벽과 이 제2벽으로부터 연장되는 플랜지를 갖는 제2 하우징 부재를 포함한다. 제1 하우징 부재의 플랜지와 제2 하우징 부재의 플랜지는 연장부 반대측의 배플 플레이트의 연장부에 대해 플랜지 조인트에서 결합된다.
본 발명은 배플 플레이트에 의해 부분적으로 형성되는 유체 통로를 포함하고, 배플 플레이트가 연장부를 갖는 열 교환 장치용 하우징을 제공하는 것이 더 유리한다. 열 교환 장치는 유체 통로를 통해 연장되는 유체 도관 어레이를 더 포함한다. 하우징은 벽과 이 벽으로부터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플랜지를 각각 갖는 복수 개의 하우징 부재를 포함하고, 인접한 하우징 부재의 플랜지들은 플랜지 조인트에서 결합된다. 플랜지 조인트는 배플 플레이트의 연장부를 고정적으로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은 또한 유리하게는 하우징과, 이 하우징 내에 마련되는 제1 유체 통로와, 상기 하우징 내에 마련되는 제2 유체 통로와, 상기 제1 유체 통로를 제2 유체 통로부터 실질적으로 분리하는 배플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열 교환 장치를 제공한다. 열 교환 장치는 또한 하우징 내에 마련되는 유체 도관 어레이를 포함하고, 유체 도관 어레이는 제1 유체 통로, 배플 플레이트 및 제2 유체 통로를 통해 연장된다. 제1 유체 통로 내에는 플레이트 부재가 마련된다. 유체 도관 어레이는 플레이트 부재를 통해 연장되고, 플레이트 부재는 배플 플레이트로부터 예정된 거리에서 유체 도관 어레이의 외표면에 장착된다. 배플 플레이트와 플레이트 부재 사이에는 하나 이상의 팽창성 재료층이 마련되고, 유체 도관 어레이는 하나 이상의 팽창성 재료층을 통해 연장된다. 하나 이상의 팽창성 재료층은 배플 플레이트와 플레이트 부재 사이의 간극을 거의 완전히 충전한다.
본 발명은 하우징과, 이 하우징 내에 마련되는 제1 유체 통로와, 상기 하우징 내에 마련되는 제2 유체 통로와, 상기 하우징 내에 마련되는 유체 도관 어레이를 포함하고, 유체 도관 어레이가 제1 유체 통로와 제2 유체 통로를 통해 연장되는 열 교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유리하다. 밀봉 구역은 제1 유체 통로를 제2 유체 통로로부터 실질적으로 분리시킨다. 밀봉 구역은 제1 유체 통로의 일부를 형성하는 제1 배플 플레이트와, 제2 유체 통로의 일부를 형성하는 제2 배플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유체 도관 어레이는 제1 배플 플레이트와 제2 배플 플레이트를 통해 연장된다. 제1 배플 플레이트와 제2 배플 플레이트 사이에는 내화성 가스킷이 마련되고, 유체 도관 어레이는 내화성 가스킷을 통해 연장된다. 제1 배플 플레이트와 제2 배플 플레이트 사이에는 팽창성 재료층이 마련되고, 유체 도관 어레이는 팽창성 재료층을 통해 연장된다.
본 발명은 또한 배플 플레이트에 의해 부분적으로 형성되는 유체 통로를 포함하고, 배플 플레이트가 연장부를 갖는 열 교환 장치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유리하다. 열 교환 장치는 유체 통로를 통해 연장되는 유체 도관 어레이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조 방법은 벽과 이 벽으로부터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플랜지를 각각 갖는 복수 개의 하우징 부재를 마련하는 단계와, 인접한 하우징 부재의 플랜지들을 플랜지 조인트에서 결합하는 단계로서, 상기 플랜지 조인트는 배플 플레이트의 연장부를 고정적으로 수용하고, 최종 하우징 부재는 이 단계에서 결합되지 않는 것인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또한 상기 유체 도관 어레이를 유체 통로 내에 삽입하는 단계와, 상기 유체 도관 어레이의 유체 도관들의 외표면에 복수 개의 열전달 핀을 마련하는 단계와, 상기 최종 하우징 부재의 플랜지들을 인접한 하우징 부재들에 결합하여 폐쇄된 하우징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관형 열 교환 코어의 등각도.
도 2는 본 발명의 유체 도관 시스템의 실시예의 등각도.
도 3은 본 발명의 유체 도관 시스템의 조인트의 상세도.
도 4는 본 발명의 유체 도관 시스템이 적소에 있는 도 1의 관형 열 교환 코어의 등각도.
도 5는 본 발명의 포획된 팽창성 시일의 측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다음의 설명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과 구조를 갖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 번호로 지시하고, 필요한 경우에만 반복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실질적으로 평행한 도관 또는 튜브의 어레이(2)를 포함하는 관형 열 교환 코어를 도시하고 있는데, 상기 튜브들은 제1 튜브 시트와 제2 튜브 시트 사이에 밀봉 연결되어 있다. 제1 유체는 제1 튜브 시트(3)에 밀봉 부착된 유입 매니폴드로부터 유동하여, 튜브 어레이(2)의 튜브들을 통과하고 제2 튜브 시트(4)에 부착된 제2 매니폴드에서 배출된다. 여기서, 매니폴드들은 명확성을 기하기 위해 도시하지 않았다. 튜브 어레이(2)에는 유동 지향 배플 또는 플레이트(5)가 튜브들의 외표면에 마련되고, 상기 플레이트는 튜브 어레이(2)의 축선에 대해 거의 수직인 유동에 제2 유체를 생성하도록 사용된다. 제1 유체를 이송하는 튜브 어레이를 가로지르는 제2 유체의 직교류의 연속적인 몇 번의 단계를 발생시키도록 하나 이상의 배플(5)이 제공될 수도 있다.
열 교환기의 형태 및 원하는 구성에 따라, 배플은 원하는 유동을 생기게 하도록 교호 측면(alternating sides)에서 코드(chord)된 섹션이 제거된 거의 원형의 면형태(planform)일 수 있다. 도 1의 배플은 바람직한 직사각형 면형태이다. 본 발명은 직사각형 면형태를 갖는 튜브 어레이 및 배플로 결코 제한되지 않지만, 도 1의 튜브 어레이(2)는 마찬가지로 직사각형이며 임의의 원하는 면형태가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856 특허(그 전체 내용은 본 명세서에 합체됨)의 유동 구조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열 교환 코어를 도시하고 있다. 배플(5)은 원하는 어떠한 종류의 유동 패턴, 예컨대 간단한 역류 또는 평행류의 열 교환을 수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856 특허에 도시된 유동 구조에 있어서, 제2 유체의 유동은 밀봉 구역(7)에 의해 별개의 2개의 유동로로 분할된다. 도 1에 있어서, 하부 유동로(8)와 상부 유동로(9) 사이의 밀봉 구역(7)에는 내화성 펠트 가스킷의 밀봉 방법이 채용된다. 제2 유체는 몇몇의 중간 처리, 예컨대 공기를 포함하는 제2 유체에 연료를 첨가하고 그 결과적인 혼합기를 연소시키는 처리 후에 유동로 양자를 통과할 수 있고, 또는 별개의 제3 유체가 유동로들 중 하나에서 유동할 수도 있다. 어느 한쪽의 경우에, 유동로(7, 8) 내의 스트림의 유압이 상이하여, 밀봉 구역(7)을 가로질러 압력 구배가 존재할 가능성이 있다.
또한, 유리하게는 열 교환 핀이 튜브 어레이(2)의 튜브들의 외표면에 위치되어 열전달 영역을 증가시키고, 부식에 대해 보호하며, 튜브에 대한 기계적 지지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플레이트 핀(10)과 원형 링 핀(11)의 바람직한 조합이 사용된다. 또한, 맞춤식 열전달 핀(12)이 있는 구역(12)이 마련된다. 연장된 열전달 핀은 유체 마찰과 압력 손실을 유발하여, 직교류 스테이지들 간에, 특히 밀 봉 구역(7)을 가로질러 매우 높은 압력차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에서 명백한 한 가지 특징은 배플 플레이트들의 다양한 크기이다. 배플(5)은 튜브 어레이(2)의 일단부의 튜브들에 대해 평행한 유동을 방지하는 한편, 반대측에서 이 방향으로의 유동을 허용하는 코드된 형태를 갖는다. 한편, 완전한 배플(13)은 튜브 어레이(2)에 평행한 어떠한 유동도 허용하지 않는다. 연장된 배플(15)은 튜브 어레이(2)에 대해 평행한 어떠한 유동도 불가능한 긴 평면을 제공하는 한편, 유사한 배플(16)은 국부적인 유동을 가능하게 하는 유체 포트(17)를 제공한다.
도 1에 도시된 배플 전부는 각 유체 스테이지에서 유동로와 핀형 구역 외측에서 연장되는 소연장부(18)를 갖는다. 소연장부(18)는 제2 유체의 유동을 지향시키기 위해 내화성 도관에 정합하도록 제공된다.
도 2는 하우징 부재들, 예컨대 시트 커버 팬(20, 30; sheet cover pan)과 열 교환기의 외측 셸의 일부를 형성하는 여러 배플 부분, 예컨대 배플(13-16 및 19) 부분에 의해 형성된 하우징 내에서 유동 배관을 개선시키는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하우징(100)은 누출이 없는 상태를 달성할 수 있다. 도 2에서, 관형 열 교환기(1)는 시트 금속 커버 팬 등의 하우징 부재(30)가 명확성을 기하기 위해 분해도로 도시되어 있는 한 섹션에서 볼 수 있다. 제2 유체의 직교류 방향에 평행한 직사각형 핀(10)의 측부에서, 시트 금속 커버 팬 등의 제2 하우징 부재(20)를 볼 수 있다. 제2 유체 유동에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커버 팬(20)은 튜브 어레이(2)의 연장된 열전달 핀(10)과 밀접하게 조립된다. 제2 커버 팬(20)에는 4개 의 측부 전부에 플랜지(22)가 마련되고, 플랜지(22)는 거의 90도의 각도(이 각도는 횡단면 형태가 다른 하우징 부재들이 사용되면 상이하다는 점을 유념해야 한다)로 팬(20)의 벽(24)으로부터 연장된다. 플랜지(22)는 배플의 연장부(18)와 접하여 실질적으로 유밀식으로 플랜지 조인트(36)에서 연장부에 결합된다.
커버 플레이트(30)의 양측부에는 거의 90도의 각도(이 각도는 횡단면 형태가 다른 하우징 부재들이 사용되면 상이하다는 점을 유념해야 한다)로 벽(34)으로부터 연장되는 2개의 플랜지(32)가 마련되어 있다. 플랜지(32)는 배플의 연장부(18)와 접하여, 플랜지 조인트(36)를 따라 배플의 연장부(18)와 인접한 커버 팬(20)의 인접한 플랜지(22)에 결합된다. 커버 플레이트(30)의 양측부에는 벽(34)에 대해 거의 평행한 방향(이 배향은 횡단면 형태가 다른 하우징 부재들이 사용되면 상이하다는 점을 유념해야 한다)으로 벽(34)으로부터 연장되는 2개의 플랜지(33)가 마련되어 있다. 플랜지(33)는 플랜지 조인트(35)를 따라 인접한 커버 팬(20)의 인접한 플랜지(22)에 접하여 거기에 결합된다.
팬 대 배플과 팬 대 팬 조인트의 상세 내용은 도 3의 분해도에 의해 더욱 명백하게 이해될 것이다. 열 교환기 코어(1)는 커버 팬(20a)이 분해도로 도시된 경우에 볼 수 있다. 도 3은 또한 배플(5) 아래의 수직 작업 위치에 있는 하부 위치의 다른 커버 팬(20b)을 도시하고 있다. 도 3은 수직 작업 위치에 있는 2개의 커버 플레이트(30a, 30b)를 도시하고 있고, 측부 커버 팬(20b)의 플랜지(22b)와 단부 커버 팬(30b)의 플랜지(33b) 사이의 플랜지 조인트(35)의 위치는 쉽게 알 수 있다. 커버 플레이트(30a)의 플랜지(32a)와 커버 플레이트(30b)의 플랜지(32b)는 배플(5) 의 연장부(18)와 접촉 상태로 더욱 명백하게 도시되어 있다. 플랜지 조인트(35, 36)는 용접, 브레이징, 접착제 부착 또는 롤 성형 등의 방법 또는 당업자에게 명백한 다른 방법에 의해 실질적으로 유체가 침투할 수 없도록 제조될 수 있다. 특히, 플랜지가 열팽창차에 의해 탄성적으로 편향되어 조립시의 응력을 경감시키고 배플, 팬 또는 이들 양자의 영구 변형을 방지하도록 플랜지와 배플(5)의 결합부에 플랜지 조인트(36)를 용접 또는 롤 성형하는 것이 유리하다.
본 발명의 변경예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커버 팬(20, 30)은 볼트, 나사 또는 착탈 가능한 다른 고정 장치에 의해 부착되어도 좋다. 그러한 변경예에서는, 커버 팬(20, 30) 사이 및 커버 팬(20, 30)과 배플 플레이트(5)의 연장부(18) 사이에 고정 밀봉 부재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변경예의 이점은 열 교환 어레이(2)를 비롯한 열 교환기 코어(1)를 검사 및/또는 세척하도록 커버 팬을 제거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이 특징은 부식 또는 부착물의 퇴적이 크게 예상되는 몇몇의 열 교환기 서비스 조건에서 매우 바람직하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각 팬의 상부 및 저부 에지에는 물론이고 각 팬의 단부들에 플랜지형 조인트가 존재하기 때문에, 임의의 영구적인 소성 변형에 직면하기 전에 상당량의 탄성 변형이 가능하다. 탄성 변형은 조인트가 플랜지의 단부에서처럼 팬의 벽으로부터 소정 거리를 두고 위치됨으로써, 조인트와 벽 사이의 플랜지 일부가 벽의 평면을 따라 지향되는 하중 하에 편향되기 때문에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인접한 벽들의 거리가 예정된 조건 하에, 예컨대 여러 부품들의 열적 팽창 및 열 교환기의 온도 구배에 의해 야기되는 하중 하에 확장되게 하는 확 장 수단을 제공한다. 이는 높은 열 응력이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도시된 도관을 채택한 관형 열 교환기의 연속적인 직교류 스테이지들 사이에서 수용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특히 유리한 양태이다. 이 특징은 또한 연장된 열전달 요부가 사용되는 경우에 유리한데, 그 이유는 이들 요부가 직교류 스테이지 당 전달되는 열의 양을 매우 증가시키고, 그 결과 각 직교류 구역을 가로질러 그리고 임의의 2개의 직교류 구역의 지점들 사이에서 온도 구배를 크게 하기 때문이다. 온도 변화에 매우 적합한 이들 고탄성 조인트의 능력은 또한 열 교환기가 다양한 조건에서 작동하도록 설계된 상황에서 그리고 전이 작업 중에 특히 유리하다. 따라서, 넓은 범위의 온도 및 온도 프로파일에 걸쳐서 누출 없이 장치가 계속 기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플과 팬은 시작 상태가 추울 때나 열 교환기를 통한 온도 프로파일의 설계 포인트가 상당히 상이한 오프 디자인(off-design) 조건에서 누출되지 않는다.
플랜지 조인트(35, 36)는 인접한 벽들 사이의 거리의 확장이 가능하여 예정된 조건 하에서 확장시키는 다양한 확장 요부를 형성한다. 수평 확장 요부(48)는 튜브 어레이(2)의 축선에 수직한 주기적인 간격으로 볼 수 있다. 요부가 도관 구조의 전체 외주를 따라 연장된다는 점이 또한 명백하다. 수평 확장 요부(48)는 튜브 어레이(2)에 평행한 큰 열팽창을 가능하게 한다. 수직 확장 요부(49)는 튜브 어레이(2)에 수직한 탄성 팽창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유리하게는 튜브 어레이(2)에 평행한 탄성 편향과 수직한 탄성 편향을 모두 수용한다.
본 발명의 커버 팬(20, 30)은 작동 조건에 적합한 임의의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그러나, 배플 팬을 금속 시트 원료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플랜지 요부는 통상적인 시트 금속 처리를 이용하여 매우 쉽게 형성되어, 유체 조인트가 쉽게 제조될 수 있다.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과 다른 튜브 및/또는 배플 어레이의 면형태가 사용되면, 적절하게 형성된 팬 및 배플은 예컨대 육각형 또는 팔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통상적인 둥근 면형태는 1/4 패널(또는 1/2 패널 등)로서 형성되는 딥 드로잉 가공된 둥근 팬과 통상적인 둥근 배플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둥근 팬에는 여전히 플랜지 요부(예컨대, 플랜지에 바로 인접한 벽 부분으로부터 거의 90도의 각도로 둥근 벽으로부터 연장된 플랜지)가 마련되어 다각형 배플과 팬에 대해 설명된 것과 동일한 통상적인 방법을 이용하여 결합됨으로써, 본 발명의 부수적인 모든 이점을 생기게 하는 한편, 전통적인 셸 구조보다 훨씬 낮은 중량, 제조 비용 및 재료 비용을 갖는다.
도 4는 본 발명의 배플 및 팬 도관을 포함하는 하우징(100)이 외부에 끼워진 도 1의 관형 열 교환 코어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융통성은 세장형 커버 패널과 세장형 배플(15, 16)로 형성된 버너 박스(41)의 제공에 의해 명백하다. 버너 플레임 튜브(42)는 튜브 어레이(2)에 거의 평행하게 장착되고, 부착 플랜지(43)가 마련된다. 종래의 일체식 셸은 두꺼운 플레이트에서 대형 용접의 어렵고 단조로운 끼워맞춤 없이 연장된 챔버를 수용할 수 없어, 통상적으로 챔버보다 작은 감소된 면적의 파이프를 사용함으로써, 유동 불균형 분배 가능성이 높았다. 버너로부터의 고온의 배기 가스의 배관과 같은 고온 용례에 있어서, 복사 열전달이 중요할 수 있는데, 그러한 작은 연결부는 불균일한 열전달을 유발할 수 있어, 상당한 열 응력을 부과한다.
버너 박스(41)와 같이 튜브 어레이(2)에 거의 평행한 입구 및/또는 출구 외에, 튜브 어레이(2)에 수직한 제2 유체 입구가 쉽게 제공될 수 있다. 이들 입구는 연결부(44)와 같은 전면적의 플랜지형 연결부 뿐만 아니라 감소된 면적의 튜브 또는 파이프 연결부(45, 46)를 포함하는 다양한 유체 연결 포트들을 포함한다. 감소된 면적의 연결부로부터의 유동 분배는 연장된 커버 팬을 사용함으로써 부가된 매니폴드 챔버(47)가 제공되면 상당히 향상될 수 있다. 버너 박스(41)와 마찬가지로, 매니폴드 챔버(47)는 연장된 부분이 열전달 핀(10)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 다기관 영역을 제공하기 때문에, 간단한 파이프 연결과 비교할 때 매우 균일한 유동 분배가 가능하게 한다.
모든 도면은 하나의 패널로 다각형 튜브 어레이의 전체 측면을 덮는 커버 패널을 도시하고 있다. 몇몇 용례에 있어서, 열 교환 코어(1)의 치수와 조합되는 서비스 압력과 온도는 하나 이상의 측면에 다수의 서브 패널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게 한다. 이것은 소정의 커버 플레이트 두께에 대해 기계적 응력을 유리하게 감소시켜 추가의 열 팽창 조인트를 제공한다. 따라서, 소정의 지점에 제공된 커버 플레이트의 개수와 두께는 국부적 온도 및 응력 조건에 접하도록 변경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열 교환 밀봉 구역(7)의 측단면도이다. 밀봉 구역(7)은 배플 플레이트(13, 15)에 의해 형성된다. 도 5는 관련된 플레이트 핀(10)과 함께 거의 평행한 튜브의 어레이(2)를 도시하고 있다. 전방 및 후방 커버 플레이트(30)를 또한 볼 수 있는데, 이들 플레이트는 연장된 배플 플레이트(15)와 완전한 배플 플레이트(13)에 결합되어 있다. 링 핀(11)은 명확성을 기하기 위해 도 5로부터 생 략되어 있다.
배플 플레이트는 관통 홀의 표면들과 이들 홀을 통과하는 튜브 어레이(2)의 튜브들 사이에 국부적인 간극을 갖는다. 이들 간극은 선택된 제조 방법과 열 교환 구조의 설계 명세에 의해 결정되는 임의의 치수를 가질 수 있다. 추가 간극(50)이 내화성 펠트 시일(51)과 밀봉 구역(7) 내의 커버 팬 벽 사이에 존재할 수 있다. 간극(50)은 하우징의 제조 방법 때문에 본 발명을 이용하여 최소화될 수 있다. 간극은 제1 직교류 유체 통로(52)와 제2 직교류 유체 통로(53) 사이에 유체를 운반하는 유체 누출 경로를 제공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들 2개의 통로는 동일한 유체 또는 2개의 상이한 유체를 운반할 수 있지만, 어느 경우에나 유체 통로들 사이에 압력차가 존재할 가능성이 있다. 특정 구성에 있어서, 상부 유체 통로(53)는 제1 압력의 고온의 버너 배기 가스를 수용하고, 하부 유체 통로(52)는 더 높은 제2 압력의 예열된 버너 공기를 수용한다. 이 경우에, 내화성 펠트 시일(51)은 누출과 열 응력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내화성 펠트 재료의 단점은 이미 입증되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바람직하게는 통로(53) 내의 유체가 800℃의 팽창성 재료용 서비스 한계 이상의 온도에 있고 통로(52) 내의 유체가 팽창성 재료용 서비스 한계 미만에 있을 때 특히 유용한, 도 5에 도시된 밀봉 구역(7)을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배플 플레이트(13, 15) 사이의 간극은 하나 이상의 내화성 재료층, 예컨대 몰딩 가능한 내화성 섬유에 의해 주조되거나 느슨한 내화성 섬유에 의해 채워진 내화성 펠트 가스킷(51)에 의해 충전된다. 내화성 재료는 배플(15)과 밀접하고, 배플은 유체 통로(53)와 접촉한다. 이 내화성 재료는 초기에 튜브 어레이(2)의 튜브들, 배플(15) 및 하우징(100)의 내표면과 밀봉 접촉하도록 장착된다. 이어서, 도 5에 점선으로 도시된 하나 이상의 팽창성 재료층(56)은 내화성 재료층(51)과 배플(31) 사이에 마련된다. 팽창성 재료층(56)은 팽창성 재료층(56)의 과열을 방지하는 단열재로서 작용하는 충분한 내화성 재료층(51)에 의해 유체 통로(53)로부터 분리된다. 2개의 배플은 당업계에 공지된 배플 지지봉에 대한 연결부와 같은 기계적 수단, 튜브(1)와 밀접하는 연장된 열 교환 핀의 층들 사이의 기계적 포획 또는 당업자에게 명백한 다른 수단에 의해 실질적으로 고정된 기계적 관계로 유지된다.
300℃ 이상으로 가열시, 팽창성 재료층(56)은 배플(13, 15)의 면에 대해 수직으로 팽창한다. 이 팽창은 내화성 재료층(51)이 상당한 압력을 받게 한다. 이 압력에 의해 내화성 재료층(51)은 장착되었을 때보다 고밀도로 압축된다. 또한, 내화성 재료층(51)은 튜브 어레이(2)의 튜브들 및 하우징(100)의 내표면과의 밀봉 접촉이 개선되도록 이 압력에 의해 가압된다. 하우징(100)의 커버 플레이트는 실질적으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튜브에 대해 평행한 방향으로 팽창성 재료(56)의 팽창은 내화성 펠트 재료층(51)에 대해 균일한 압력으로 전환된다.
내화성 재료층(51)의 두께와 팽창성 재료(56)의 품질의 선택은 문제의 내화성 재료층(51)의 원하는 압축, 내화성 재료의 서비스시 예상되는 수축, 팽창성 재료층(56)의 팽창 특성 및 배플, 팬(하우징)과 기계적 지지부의 기계적 강도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예상되는 열 교환기의 정확한 타입과 그 작동 조건에 독특하게 적합할 수 있는 많은 상이한 조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플레이트 부재(54)는 배플 플레이트(13)에 평행하게 마련된다. 플레이트 부재(54)는 배플 플레이트(13)로부터 소정 거리를 두고 있다. 플레이트(54)는 동일한 배플 플레이트, 또는 도 5에 도시된 연장된 열전달 플레이트 핀 또는 개별적인 핀들의 어레이일 수 있다. 배플 플레이트(13)와 플레이트(54) 사이의 간극 거리는 배플 지지봉에 대한 연결부와 같은 기계적 수단, 튜브 어레이(2)의 튜브들과 밀접하는 연장된 열 교환 핀의 층들 사이의 기계적 포획, 또는 당업자에게 명백한 다른 수단에 의해 실질적으로 고정 상태로 유지된다.
실질적으로 평행한 플레이트(13, 54) 사이의 간격은 온도의 상승시 팽창하는 재료(55)로 충전된다. 바람직한 예로는 질석만을 포함하거나 내화성 섬유계 및 바인더와 조합하는 팽창성 매트가 있다. 특히 바람직한 재료는 자동차 용례에서 촉매 컨버터 요소를 억제하도록 채용되는 팽창성 매트이다. 이 팽창성 매트 재료는 300℃ 내지 375℃ 사이의 온도에서 팽창하고 연장된 노출 동안 800℃ 만큼 높은 온도에서 탄성을 유지하는 능력면에서 독특하다. 촉매 컨버터 모놀리스를 유지하고 소화를 위한 이 재료의 용도는 당업계에 널리 알려져 있다. 팽창성 매트는 그 두께에 평행한 방향보다 그 두께에 수직한 방향으로 훨씬 더 현저하게 팽창하는 독특한 특성을 갖는다. 따라서, 밀봉 부재 단독으로서의 그 용도는 여기서 고찰한 타입의 튜브 어레이 열 교환기에서 비효율적이다. 실질적으로 서로에 대해 고정된 관계로 유지되는 배플 플레이트(13)와 핀(54) 사이에 팽창성 매트(55)를 억제하면, 그렇지 않으면 배플 플레이트(13)의 평면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만 팽창하는 팽창성 매트가 튜브 어레이(2)의 튜브들 및 유체 통로 주변부와 긴밀한 밀봉 접촉 상태로 가압되게 된다. 따라서, 이 억제된 팽창은 실질적으로 누출이 없는 접촉을 적용할 수 있어 간극을 통한 유체 통로(52, 53) 간의 유동을 방지한다.
팽창성 시일(55)과 팽창성 재료층(56)에 사용되는 팽창성 재료는 일단 300℃ 내지 375℃ 사이의 온도로의 가열에 의해 팽창되면, 고온에서 매우 높은 횟수의 사이클 동안 그 팽창된 상태를 유지하고 실질적으로 탄성적이다. 따라서, 밀봉 압력이 저온 시작 상태로부터 고온 작업 상태를 통해 실질적으로 유체 누출 방지가 일정하도록 유지된다.
특히 바람직한 팽창성 매트 제품은 가열된 가스의 유동에 의한 침식에 저항하도록 고안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포획된 팽창성 시일은 본질적으로 침식에 의한 고장에 내성을 갖는다.
상기 설명을 기초로 하여, 전술한 것과 같은 포획된 팽창성 시일(55)을 팽창성 재료(56)와 내화성 재료(51)의 합성물을 채택한 밀봉 구역(7)과 조합시킴으로써, 개선된 밀봉이 얻어질 수 있다는 것을 쉽게 이해할 수 있다. 그러한 조합이 도 5에 도시되어 있고 단독으로 사용된 어느 한쪽의 방법에 비해 누출 감소를 증진시킨다.
또한, 본 발명의 밀봉 기법이 본 발명의 하우징 및 배플과 조합하여 사용하는 데에 매우 양호하게 적합하지만, 이 기법이 또한 다른 밀봉 방법으로 달성할 수 없는 온도에서의 작동을 촉진시키도록 표준 튜브와 셸 열 교환기에서 우수한 효과 를 갖도록 사용될 수 있다는 점을 쉽게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은 또한 튜브와 셸 열 교환 방법의 동작성을 다수의 셸측 유체 통로를 갖는 열 교환기로 연장시켜, 이전 실시에 관하여 그러한 열 교환기의 적용 가능성을 상당히 연장시킬 수 있다. 도관 및 밀봉 방법의 조합은 고밀도의 연장된 열전달 핀을 이용하여 고성능을 갖는, 이에 따라 높은 압력 강하를 갖는 멀티패스 고온 관형 열 교환기를 추가로 보장한다.
본 발명의 팬 및 배플 도관 시스템의 중요한 추가 이점은 관형 열 교환기의 조립 또는 제조에 있다. 몇몇의 다른 셸과 튜브 열 교환기는 2개의 스테이지로 제조된다. 열 교환 코어 구조는 셸 조립체와 별개로 제조되어, 셸 내로 삽입된다. 이 통상적인 조립 절차는 열 교환기의 관형 코어와 셸의 조립에 있어서 매우 엄격한 공차를 필요로 하거나, 본 발명에서 제거되는 유체 누출을 생기게 하는 비교적 자유로운 공차와 큰 간극을 필요로 한다. 또한, 다른 구성에 있어서, 열 교환기 코어는 분해시의 손상을 피하기 위해 매우 조심스럽게 처리되어야 한다. 열 교환기가 부식 조건 또는 부착물 조건에서 동작되는 경우에, 부식 및/또는 부착 잔류물이 셸 내에서 관형 코어와 결합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코어와, 셸, 또는 양자에 대한 손상을 피하기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더욱이, 열 교환기의 이들 다른 구성은 장비의 자유로운 접근을 가능하게 하도록 코어 제거 방향으로 충분한 공간과 코어가 취출될 적절한 공간을 갖는 상태에서 장착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열 교환기는 조립 공정을 안내하는 치구(治具)로서 커버 팬과 배플을 사용하여 한번에 하나의 직교류 통과로 조립된다. 이것은 열절단 핀의 지겨운 계수(counting)가 최소화될 수 있기 때문에 수동 조립이 특히 신속하게 처리될 수 있게 하고, 커버 팬의 높이와 합치할 때까지 핀이 추가된다. 이 방법은 또한 셸의 각 구성 요소가 훨씬 작을 때 각 부품에 대한 공차 요건을 유리하게 감소시켜, 대형 셸을 처리할 때보다 훨씬 쉽게 더 엄격한 공차를 유지하게 한다. 이것은 얇은 재료가 정확한 형태로 쉽게 형성될 수 있을 때 커버 팬에 필요한 얇은 게이지 두께에 의해 도움을 받아, 임의의 불일치를 조립 중에 쉽게 정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배플을 구비한 부분적으로 조립된 하우징이 조립 중에 열 교환기 구성 요소의 중량을 지지하도록 구조적 크레이들(cradle)로서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코어를 쉽게 처리하게 한다. 예컨대, 본 발명은 열 교환 장치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이 방법에서 하우징(100)의 일측부를 따라 연장하는 하우징 부재들을 제외하고[예컨대, 하우징(100)의 측부를 따라 개구(들)를 남겨 두도록 도 4에서 볼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하우징 부재(20)를 제외하고], 하우징 부재(20, 30)와 배플 플레이트(5, 13-16 및 19)를 포함하는 하우징(100)이 조립됨으로써, 작업자가 코어(1)를 조립하게 하도록 하우징(100)의 측부를 따라 개구가 있는 크레이들을 형성한다. 이어서, 작업자는 유체 통로 내에 유체 도관의 어레이(2)를 삽입하여 하우징(100)의 개방 측부를 통해 도관 어레이(2)의 유체 도관들의 외표면 상에 복수 개의 열전달 핀(10)을 제공할 수 있다. 코어(1)가 완전히 조립되면, 나머지 하우징 부재가 인접한 하우징 부재에 결합되어 폐쇄된 하우징(100)을 형성한다.
상기 방식으로 제조된 열 교환기는 열 교환기를 이동시키지 않고 하우징 (100)의 일부를 분해함으로써, 예컨대 하나 이상의 하우징 부재(20, 30)를 제거함으로써 검사될 수 있다. 이것은 전술한 바와 같이 착탈 가능한 하우징 부재(20, 30)를 선택적으로 제공함으로써, 또는 노출된 플랜지 조인트를 제공함으로써 행해질 수 있다. 전자는 더욱 많은 제조 비용을 초래하고 결과적인 셸의 누출 기회를 크게 하는 한편, 후자는 기밀식 제2 유체 도관을 보장하지만 현장에서 더욱 많은 노동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어느 쪽의 방법도 일반적으로 바람직하지 않다. 어느 경우에도, 코어가 하우징으로부터 착탈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대형 열 교환기라도 크레인이 필요하지 않다. 또한, 열 교환기는 검사 또는 세척을 위해 코어를 착탈할 수 있는 공간을 고려하지 않고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으로부터 코어의 착탈 중에 코어를 손상시키는 임의의 기회가 또한 제거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부식 또는 부착물 서비스를 위해 의도된 열 교환기에 양호하게 적합하다. 또한, 통상적인 코어 착탈시 직면하는 포텐셜 힘을 고려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기계적으로 덜 튼튼한 구성 요소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도시 및 설명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술하며, 어떻게든 청구 범위의 범주를 제한하려는 의미는 없다.
상기 교시의 관점에서 본 발명의 많은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 범위의 범주 내에서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구체적으로 설명된 것과 다르게 실시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Claims (42)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열 교환 장치로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마련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표면과 배플 플레이트에 의해 형성되는 제1 유체 통로와,
    상기 하우징 내에 마련되고, 상기 제1 유체 통로를 통해 연장되는 유체 도관 어레이
    를 구비하고, 상기 배플 플레이트는 상기 제1 유체 통로를 지나서 연장되는 연장부를 가지며, 상기 하우징은 제1벽과 이 제1벽으로부터 연장되는 플랜지를 갖는 제1 하우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제2벽과 이 제2벽으로부터 연장되는 플랜지를 갖는 제2 하우징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하우징 부재의 플랜지와 제2 하우징 부재의 플랜지는 플랜지 조인트가 상기 연장부의 반대측 배플 플레이트의 연장부에 결합되고,
    상기 유체 도관 어레이는 상기 배플 플레이트를 통해 연장되고,
    상기 배플 플레이트의 연장부는 상기 배플 플레이트의 전체 주변 둘레에서 연장되며,
    상기 열 교환 장치는 상기 하우징 내에 마련되는 제2 유체 통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2 유체 통로는 상기 하우징의 추가 내표면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유체 도관 어레이는 상기 제2 유체 통로를 통해 연장되고,
    상기 제1 유체 통로 내에 마련되는 플레이트 부재와,
    상기 배플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 부재 사이에 마련되는 하나 이상의 팽창성 재료층을 더 구비하고,
    상기 유체 도관 어레이는 상기 플레이트 부재를 통해 연장되며, 상기 플레이트 부재는 상기 배플 플레이트로부터 예정된 거리에서 상기 유체 도관 어레이의 외표면에 장착되고, 상기 유체 도관 어레이는 상기 하나 이상의 팽창성 재료층을 통해 연장되며, 상기 하나 이상의 팽창성 재료층은 상기 배플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 부재 사이의 간극을 완전히 충전하는 것인, 열 교환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팽창성 재료층은 300℃ 이상의 온도에서 팽창하는 재료로 제조되는 것인 열 교환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유체 통로는 이 제2 유체 통로를 지나서 연장되는 연장부를 갖는 추가 배플 플레이트에 의해 추가로 형성되고, 상기 유체 도관 어레이는 상기 추가 배플 플레이트를 통해 연장되며, 상기 추가 배플 플레이트의 연장부는 상기 추가 배플 플레이트의 전체 주변 둘레에서 연장되고,
    상기 하우징은 제3벽과 이 제3벽으로부터 연장되는 플랜지를 갖는 제3 하우징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하우징 부재의 플랜지와 상기 제3 하우징 부재의 플랜지는 상기 연장부 반대측의 추가 배플 플레이트의 연장부에 결합되고,
    상기 열 교환 장치는, 상기 배플 플레이트와 추가 배플 플레이트 사이에 마련되는 내화성 가스킷과, 상기 배플 플레이트와 상기 추가 배플 플레이트 사이에 마련되는 팽창성 재료층을 더 구비하며, 상기 유체 도관 어레이는 상기 내화성 가스킷을 통해 연장되고, 상기 유체 도관 어레이는 상기 팽창성 재료층을 통해 연장되는 것인 열 교환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내화성 가스킷과 상기 팽창성 재료층은 상기 배플 플레이트와 추가 배플 플레이트 사이의 간극을 완전히 충전하는 것인 열 교환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성 재료층은 300℃ 이상의 온도에서 팽창되는 재료로 제조되는 것인 열 교환 장치.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배플 플레이트에 의해 부분적으로 형성되는 유체 통로를 포함하는 열 교환 장치용 하우징으로서,
    상기 배플 플레이트는 연장부를 갖고, 열 교환 장치는 상기 유체 통로를 통해 연장되는 유체 도관 어레이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은, 벽과 이 벽으로부터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플랜지를 각각 갖는 복수 개의 하우징 부재를 구비하고, 인접한 하우징 부재의 플랜지들이 플랜지 조인트에서 결합되며,
    상기 플랜지 조인트는 배플 플레이트의 연장부를 고정적으로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하우징은 대향하는 2개의 제1 하우징 부재와 대향하는 2개의 제2 하우징 부재를 포함하는 4 측면 횡단면을 갖는 제1 섹션을 포함하고,
    상기 각 제1 하우징 부재는 벽과 이 벽의 반대측에 있는 2개 이상의 플랜지를 가지며, 상기 2개 이상의 플랜지는 상기 제1 하우징 부재의 벽으로부터 90도의 각도로 연장되고,
    상기 각 제2 하우징 부재는 벽과 이 벽의 반대측에 있는 2개 이상의 플랜지를 가지며, 상기 2개 이상의 플랜지는 상기 제2 하우징 부재의 벽으로부터 이 벽에 평행한 평면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각 제1 하우징 부재의 2개 이상의 플랜지의 각 플랜지는 인접한 제2 하우징 부재의 2개 이상의 플랜지 중 한 플랜지에 결합되는 것인, 하우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대향하는 2개의 제1 하우징 부재와 대향하는 2개의 제2 하우징 부재를 포함하는 4 측면 횡단면을 갖는 제2 섹션을 구비하고, 상기 제2 섹션은 상기 제1 섹션 위에 적층되어 제1 섹션에 결합되는 것인 하우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섹션의 횡단면적은 제2 섹션의 횡단면적과 상이한 것인 하우징.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섹션의 제1 하우징 부재와 제2 하우징 부재 각각은 그 벽으로부터 90도의 각도로 연장되는 확장 플랜지를 갖고,
    상기 제2 섹션의 제1 하우징 부재와 제2 하우징 부재 각각은 그 벽으로부터 90도의 각도로 연장되는 확장 플랜지를 가지며,
    상기 제1 섹션의 확장 플랜지는 상기 제2 섹션의 각 확장 플랜지에 결합되어, 상기 제1 섹션과 제2 섹션 사이에 4개의 확장 조인트를 형성하는 것인 하우징.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4개의 확장 조인트 중 3개는 배플 플레이트의 연장부를 고정적으로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하우징.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섹션의 확장 플랜지는 상기 제2 섹션의 각 확장 플랜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인 하우징.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섹션의 확장 플랜지와 상기 제2 섹션의 각 확장 플랜지 사이에 밀봉 부재가 마련되는 것인 하우징.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마련된 제1 유체 통로와,
    상기 하우징 내에 마련된 제2 유체 통로와,
    상기 제1 유체 통로를 제2 유체 통로로부터 분리시키는 배플 플레이트와,
    상기 하우징 내에 마련되고, 상기 제1 유체 통로, 상기 배플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유체 통로를 통해 연장되는 유체 도관 어레이와,
    상기 제1 유체 통로 내에 마련되는 플레이트 부재와,
    상기 배플 플레이트와 플레이트 부재 사이에 마련되는 하나 이상의 팽창성 재료층
    을 구비하고, 상기 유체 도관 어레이는 상기 플레이트 부재를 통해 연장되며, 상기 플레이트 부재는 상기 배플 플레이트로부터 예정된 거리에서 유체 도관 어레이의 외표면에 장착되고, 상기 유체 도관 어레이는 상기 하나 이상의 팽창성 재료층를 통해 연장되며, 상기 하나 이상의 팽창성 재료층은 상기 배플 플레이트와 플레이트 부재 사이의 간극을 완전히 충전하는 것인 열 교환 장치.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팽창성 재료층은 300℃ 이상의 온도에서 팽창하는 재료로 제조되는 것인 열 교환 장치.
  33.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팽창성 재료층은 질석으로 제조되는 것인 열 교환 장치.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팽창성 재료층은 내화성 섬유와 바인더로 더 제조되는 것인 열 교환 장치.
  35.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마련되는 제1 유체 통로와,
    상기 하우징 내에 마련되는 제2 유체 통로와,
    상기 하우징 내에 마련되고, 상기 제1 유체 통로와 제2 유체 통로를 통해 연장되는 유체 도관 어레이와,
    상기 제1 유체 통로를 제2 유체 통로로부터 분리시키는 밀봉 구역
    을 구비하고, 상기 밀봉 구역은,
    상기 제1 유체 통로의 일부를 형성하는 제1 배플 플레이트와,
    상기 제2 유체 통로의 일부를 형성하는 제2 배플 플레이트와,
    상기 제1 배플 플레이트와 제2 배플 플레이트 사이에 마련되는 내화성 가스킷과,
    상기 제1 배플 플레이트와 제2 배플 플레이트 사이에 마련되는 팽창성 재료층
    을 구비하며, 상기 유체 도관 어레이는 상기 제1 배플 플레이트를 통해 연장되고, 상기 유체 도관 어레이는 상기 제2 배플 플레이트를 통해 연장되며, 상기 유체 도관 어레이는 상기 내화성 가스킷을 통해 연장되고, 상기 유체 도관 어레이는 상기 팽창성 재료층을 통해 연장되는 것인 열 교환 장치.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내화성 가스킷과 팽창성 재료층은 상기 제1 배플 플레이트와 제2 배플 플레이트 사이의 간극을 완전히 충전하는 것인 열 교환 장치.
  37.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성 재료층은 300℃ 이상의 온도에서 팽창하는 재료로 제조되는 것인 열 교환 장치.
  38.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성 재료층은 질석으로 제조되는 것인 열 교환 장치.
  39.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성 재료층은 내화성 재료와 바인더로 더 제조되는 것인 열 교환 장치.
  40.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체 통로 내에 마련되는 플레이트 부재와, 상기 제1 배플 플레이트와 플레이트 부재 사이에 마련되는 하나 이상의 팽창성 재료층을 더 구비하고,
    상기 유체 도관 어레이는 상기 플레이트 부재를 통해 연장되고, 상기 플레이트 부재는 상기 제1 배플 플레이트로부터 예정된 거리에서 유체 도관 어레이의 외표면에 장착되며, 상기 유체 도관 어레이는 상기 하나 이상의 팽창성 재료층을 통해 연장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팽창성 재료층은 제1 배플 플레이트와 플레이트 부재 사이의 간극을 완전히 충전하는 것인 열 교환 장치.
  41.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팽창성 재료층은 300℃ 이상의 온도에서 팽창하는 재료로 제조되는 것인 열 교환 장치.
  42. 삭제
KR1020057021661A 2003-05-13 2004-05-11 열 교환기 하우징 및 시일 KR1010659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436,060 2003-05-13
US10/436,060 US6957695B2 (en) 2003-05-13 2003-05-13 Heat exchanger housing and seal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2610A KR20060012610A (ko) 2006-02-08
KR101065969B1 true KR101065969B1 (ko) 2011-09-19

Family

ID=334170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21661A KR101065969B1 (ko) 2003-05-13 2004-05-11 열 교환기 하우징 및 시일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957695B2 (ko)
EP (1) EP1649168A4 (ko)
JP (1) JP4728243B2 (ko)
KR (1) KR101065969B1 (ko)
CN (1) CN100587381C (ko)
AU (1) AU2004239229B2 (ko)
CA (1) CA2522613C (ko)
WO (1) WO2004101995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PI0508190B1 (pt) 2004-02-26 2019-12-24 Ventech Llc aparelho de aquecimento e sistema de aquecimento
US7600489B2 (en) * 2004-03-04 2009-10-13 H2Gen Innovations, Inc. Heat exchanger having plural tubular arrays
US8480006B2 (en) * 2006-09-08 2013-07-09 Ventech, Llc Vehicle supplemental heating system
US7882809B2 (en) * 2006-11-07 2011-02-08 L'air Liquide, Societe Anonyme Pour L'etude Et L'exploitation Des Procedes Georges Claude Heat exchanger having a counterflow evaporator
US8469283B2 (en) * 2008-07-29 2013-06-25 Ventech, Llc Liquid heat generator with integral heat exchanger
US8240358B2 (en) * 2008-09-26 2012-08-14 L'air Liquide Societe Anonyme Pour L'etude Et L'exploitation Des Procedes Georges Claude Method and device for minimizing adverse effects of temperature differential in a heat exchanger or heat exchange reactor
NL2002567C2 (en) * 2009-02-26 2010-08-30 Hld Dejatech B V Heat exchang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uch.
CN103900396B (zh) * 2012-12-26 2016-03-16 赵吉焕 减少白烟发生装置及利用其的废热及用水回收方法
US9151546B2 (en) 2013-02-28 2015-10-06 General Electric Company Heat exchanger assembly
ES2426163B1 (es) * 2013-07-12 2014-09-02 José Luis CORDÓN URBIOLA Intercambiador para calderas de calefacción
US10145626B2 (en) * 2013-11-15 2018-12-04 General Electric Technology Gmbh Internally stiffened extended service heat recovery steam generator apparatus
US9849510B2 (en) 2015-04-16 2017-12-26 General Electric Company Article and method of forming an article
US9976441B2 (en) 2015-05-29 2018-05-22 General Electric Company Article, component, and method of forming an article
US10253986B2 (en) 2015-09-08 2019-04-09 General Electric Company Article and method of forming an article
US10087776B2 (en) 2015-09-08 2018-10-02 General Electric Company Article and method of forming an article
US10739087B2 (en) * 2015-09-08 2020-08-11 General Electric Company Article, component, and method of forming an article
CN106503390B (zh) * 2016-11-09 2017-08-25 中国石油大学(华东) 一种板翅式换热器的蠕变疲劳强度设计方法
EP3339791A1 (en) * 2016-12-23 2018-06-27 KELVION Sp. z o.o. Lightweight exchangers for heat recovery: a gas-gas recuperator and a gas-fluid economizer, and a method of protection particularly an exchanger casing
KR101950757B1 (ko) * 2017-03-10 2019-02-26 김민형 에어드라이어용 열교환기의 고정격판
US10782071B2 (en) 2017-03-28 2020-09-22 General Electric Company Tubular array heat exchanger
CN110621136B (zh) * 2018-06-19 2022-08-0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芯体组件以及通信室外机柜热交换器
CN108917435B (zh) * 2018-08-23 2024-05-24 中山尚诚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组合式热交换器及包括它的热交换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21652A (en) 1977-07-19 1979-02-19 Gadelius Co Ltd Tube type heat exchanger
JP2000111278A (ja) * 1998-10-06 2000-04-18 Usui Internatl Ind Co Ltd 多管式熱交換器
US20040034717A1 (en) * 2002-06-12 2004-02-19 Ghyslain Pelletier Method and apparatus for increased Internet Protocol (IP) headers compression performance by reporting cause of missing packets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901370A (en) * 1930-09-27 1933-03-14 Badenhausen Corp Dust separating and collecting device
FR52301E (fr) * 1939-10-28 1943-12-01 Etude Sa D Perfectionnements aux échangeurs de température, réchauffeurs et réfrigérants, condenseurs
US2595822A (en) * 1949-10-25 1952-05-06 Young Radiator Co Spring seal for tube and shell heat exchangers
US3147084A (en) * 1962-03-08 1964-09-01 Shell Oil Co Tubular catalytic reactor with cooler
US3842904A (en) * 1972-06-15 1974-10-22 Aronetics Inc Heat exchanger
US3861460A (en) * 1973-05-23 1975-01-21 Laval Turbine Condenser construction
US4034717A (en) * 1975-09-10 1977-07-12 Heater Technology, Inc. Multi-section heat exchanger means
US4279293A (en) * 1979-06-18 1981-07-21 Westinghouse Electric Corp. High temperature heat exchanger having porous tube sheet portions
US4660631A (en) * 1980-04-28 1987-04-28 Phillips Petroleum Company Baffle
SE8206436L (sv) * 1981-11-20 1983-05-21 Serck Industries Ltd Rorvermevexlare och forfarande for tillverkning av sadan
NL8202096A (nl) * 1982-05-21 1983-12-16 Esmil Bv Warmtewisselaar omvattende een stelsel granulaat bevattende verticale buizen.
US4778005A (en) * 1983-06-13 1988-10-18 Exxon Research And Engineering Company Baffle seal for sheel and tube heat exchangers
USRE33444E (en) * 1984-01-09 1990-11-20 Fluid treating for removal of components or for transfer of heat, momentum-apparatus and method
US4592416A (en) * 1985-04-29 1986-06-03 The Air Preheater Company, Inc. Modular tubular heat exchanger
EP0383224B1 (en) * 1989-02-17 1992-09-16 Jgc Corporation Shell-and-tube apparatus having an intermediate tube plate
US6106789A (en) * 1993-12-30 2000-08-22 Phillips Petroleum Company Alkylation reactor with internal acid cooling zones
US5642774A (en) * 1996-06-05 1997-07-01 Touchstone, Inc. Heat exchanger mounting system
CA2278486C (en) * 1997-02-06 2005-12-27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Multilayer intumescent sheet
US6102995A (en) * 1998-03-06 2000-08-15 Georgia-Pacific Resins, Inc. High performance intumescent system for imparting heat/flame resistance to thermally unstable substrates
US6613296B1 (en) * 2000-01-31 2003-09-02 Delphi Technologies, Inc. Relieved support material for catalytic converter and the process of making the same
US6497856B1 (en) * 2000-08-21 2002-12-24 H2Gen Innovations, Inc. System for hydrogen generation through steam reforming of hydrocarbons and integrated chemical reactor for hydrogen production from hydrocarbons
US6896041B2 (en) * 2001-08-14 2005-05-24 H2Gen Innovations, Inc. Heat exchange reactor having integral housing assembly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21652A (en) 1977-07-19 1979-02-19 Gadelius Co Ltd Tube type heat exchanger
JP2000111278A (ja) * 1998-10-06 2000-04-18 Usui Internatl Ind Co Ltd 多管式熱交換器
US20040034717A1 (en) * 2002-06-12 2004-02-19 Ghyslain Pelletier Method and apparatus for increased Internet Protocol (IP) headers compression performance by reporting cause of missing packe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4101995A2 (en) 2004-11-25
JP4728243B2 (ja) 2011-07-20
CN1997864A (zh) 2007-07-11
WO2004101995A3 (en) 2006-07-20
US20040226701A1 (en) 2004-11-18
KR20060012610A (ko) 2006-02-08
EP1649168A2 (en) 2006-04-26
EP1649168A4 (en) 2012-05-16
JP2007505284A (ja) 2007-03-08
CN100587381C (zh) 2010-02-03
AU2004239229B2 (en) 2009-05-07
US6957695B2 (en) 2005-10-25
CA2522613A1 (en) 2004-11-25
CA2522613C (en) 2012-07-03
AU2004239229A1 (en) 2004-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5969B1 (ko) 열 교환기 하우징 및 시일
EP0753712B1 (en) A heat exchanger
US4229868A (en) Apparatus for reinforcement of thin plate, high pressure fluid heat exchangers
US8028410B2 (en) Gas turbine regenerator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e
CA2752753C (en) Heat exchanger with cast housing and method of making same
RU2348883C1 (ru) Пластинчатый теплообменник
US3894581A (en) Method of manifold construction for formed tube-sheet heat exchanger and structure formed thereby
JP2010513828A (ja) バッフルとシールとの集合体及び熱交換器の組立方法
ITMI940397A1 (it) Scambiatore di calore, in particolare radiatore dell'aria di sovralimentazione di un motore a combustione interna
US6012514A (en) Tube-in tube heat exchanger
US3780800A (en) Regenerator strongback design
RU2717726C2 (ru) Теплообменник
GB2042672A (en) Thermol isolation of hot and cold parts especially in heat exchangers
US5797446A (en) Plate heat exchanger
WO2003004955A1 (en) Unitary body quadrilateral header for heat exchanger
GB2275995A (en) Plate type heat exchanger
JP7030036B2 (ja) 熱交換器
RU2154248C1 (ru) Трубчатый воздухоподогреватель гтд
ITMI962718A1 (it) Scambiatore di calore
AU2002316584A1 (en) Unitary body quadrilateral header for heat exchanger
JPH05203384A (ja) シェルアンドチューブ熱交換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