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5762B1 - 곡물 분쇄 장치 - Google Patents

곡물 분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5762B1
KR101065762B1 KR1020090136125A KR20090136125A KR101065762B1 KR 101065762 B1 KR101065762 B1 KR 101065762B1 KR 1020090136125 A KR1020090136125 A KR 1020090136125A KR 20090136125 A KR20090136125 A KR 20090136125A KR 101065762 B1 KR101065762 B1 KR 1010657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in
grinding
inlet
main body
pow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361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79149A (ko
Inventor
하외구
Original Assignee
(주)리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리큅 filed Critical (주)리큅
Priority to KR10200901361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5762B1/ko
Publication of KR201100791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91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57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57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7/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disc mills
    • B02C7/11Details
    • B02C7/12Shape or construction of discs
    • B02C7/13Shape or construction of discs for grain mi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02Feed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7/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disc mills
    • B02C7/02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disc mills with coaxial discs
    • B02C7/06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disc mills with coaxial discs with horizontal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7/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disc mills
    • B02C7/18Disc mills specially adapted for grain
    • B02C7/182Disc mills specially adapted for grain with horizontal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7/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disc mills
    • B02C7/18Disc mills specially adapted for grain
    • B02C7/188Driv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9/00Other milling methods or mills specially adapted for grain
    • B02C9/02Cutting or splitting gra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isintegrating Or Milling (AREA)
  • Adjustment And Processing Of Grains (AREA)

Abstract

개시된 본 발명에 따른 곡물 분쇄 장치는, 곡물 원료가 투입되는 곡물 투입구 및 분쇄된 곡물가루가 배출되는 곡물가루 배출구가 형성되는 본체, 곡물 투입구 및 곡물가루 배출구와 연통되도록 본체 내부에 설치되어 유입되는 곡물 원료를 1차로 분쇄하고, 1차로 분쇄된 중간 크기의 곡물을 분말 형태의 곡물가루로 2차로 분쇄하여 배출시키는 분쇄유닛, 본체 내부에 설치되어 분쇄유닛을 구동시키는 구동유닛, 본체에 설치되어 곡물 투입구의 크기를 조절하여 분쇄유닛으로 들어가는 곡물 원료의 양을 조절하는 곡물투입 조절유닛, 및 본체에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분쇄유닛으로부터 배출되는 곡물가루를 저장하는 저장유닛을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본 발명에 의하면, 원료 곡물을 분쇄하는 분쇄유닛에서 1차로 곡물을 잘게 먼저 분쇄하고, 다음 단계에서 2차로 미세하게 분쇄함으로써, 단시간에 많은 양의 곡물을 분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곡물투입 조절유닛을 회전 노브의 회전에 의한 스크류 방식에 의해 장치의 곡물 투입구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곡물의 투입량을 미세하게 조절하여 곡물의 분쇄 분말크기를 더욱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곡물, 분쇄, 고정 분쇄날, 회전 분쇄날, 회전 노브, 스크류

Description

곡물 분쇄 장치{APPARATUS FOR GRAIN MILLING}
본 발명은 곡물 원료를 미세한 분말 형태로 분쇄하는 곡물 분쇄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곡물을 빠르고 효율적으로 분쇄할 수 있는 곡물 분쇄 장치에 관한 것이다.
곡물 분쇄 장치는 일반적으로 곡물 투입구 및 배출구를 가지는 본체와, 본체 내부에 설치되는 모터 및 곡물을 분쇄하는 분쇄부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곡물 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곡물은 모터의 동력으로 고속 회전하는 분쇄부에 의해 분쇄시키도록 하는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곡물용 분쇄 장치에서 곡물을 실제적으로 분쇄하는 역할을 하는 분쇄부는 두 개 이상의 분쇄날이 서로 대응되어 있어 투입된 분쇄날 사이의 공간을 통과하면서 분쇄되고, 분쇄날이 서로 맞닿아 있는 부분을 통과할 때 미세하게 분쇄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분쇄기의 분쇄날은 단단한 재질인 철재로 되어 있어서, 곡물의 분쇄를 위해 맞닿아 있는 분쇄날이 서로 접촉되면서 구동됨으로써 분쇄날로부터 떨어져 나온 쇳가루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분쇄날이 접촉되지 않도록 하는 비마찰식 곡물 분쇄 장치 등이 개발되고 있다. 한편, 곡물의 분쇄입자크기는 분쇄 부로 유입되는 곡물의 투입량에 따라 조절되어 지므로, 곡물의 투입량을 조절하는 곡물 분쇄 장치에 대해서도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5-45955호(곡물 분쇄기)에는 비마찰식 곡물 분쇄기가 개시되어 있는데, 상기 선행기술은 또한 곡물의 투입량을 조절함으로써 분쇄입자크기를 사용자의 의도대로 조절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선행기술에는 곡물의 투입량을 조절하는 수단이 미세하지 못해 정밀성 측면에서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서로 대응되는 고정 분쇄날과 회전 분쇄날의 크기가 동일하여 분쇄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곡물의 투입량을 미세하게 조절함으로써 정밀성으로 높이고 또한 분쇄날들의 크기 및 배치를 다양화 함으로써 분쇄 효율이 우수한 곡물 분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곡물 분쇄 장치는, 곡물 원료가 투입되는 곡물 투입구 및 분쇄된 곡물가루가 배출되는 곡물가루 배출구가 형성되는 본체: 상기 곡물 투입구 및 곡물가루 배출구와 연통되도록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어, 유입되는 곡물 원료를 1차로 분쇄하고, 1차로 분쇄된 중간 크기의 곡물을 분말 형태의 곡물가루로 2차로 분쇄하여 배출시키는 분쇄유닛;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분쇄유닛을 구동시키는 구동유닛;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곡물 투입구의 크기를 조절하여 상기 분쇄유닛으로 들어가는 곡물 원료의 양을 조절하는 곡물투입 조절유닛; 및, 상기 본체에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분쇄유닛으로부터 배출되는 곡물가루를 저장하는 저장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쇄유닛은, 상기 본체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체와 상기 구동유닛의 모터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회전체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체는, 상기 본체의 곡물 투입구와 연통되는 곡물 유입구가 중앙부에 형성되는 원판과 상기 원판의 외주에 일정 높이로 돌출되게 설치되며 분말 배출구가 형성되는 외벽을 포함하는 하 우징본체와, 상기 분말 배출구 및 상기 본체의 곡물가루 배출구를 연통하도록 연결하는 배출관과, 상기 원판상의 상기 곡물 유입구 주위에 방사상으로 다수개 설치되는 고정 분쇄날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체는, 상기 모터의 축과 결합하는 축공이 중앙부에 형성되는 회전원판과, 상기 회전원판상의 상기 축공 주위에 방사상으로 다수개 설치되며 회전동작시 상기 고정 분쇄날과 접촉되지 않도록 설치되는 회전 분쇄날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회전 분쇄날은, 상기 축공과 가까운 곳에 설치되어 상기 곡물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곡물을 1차로 분쇄시키는 1차 분쇄날과, 상기 축공과 먼 곳에 설치되어 상기 1차 분쇄날에 의해 분쇄된 중간 크기의 곡물을 분말 형태로 분쇄시키는 2차 분쇄날을 포함한다.
한편, 상기 고정 분쇄날과 회전 분쇄날은 고정체 및 회전체의 중심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다수의 열을 갖도록 설치되며, 같은 열에서의 고정 분쇄날 및 회전 분쇄날은 일정 간격을 갖도록 복수개 설치되며 그 크기는 서로 동일하다.
또한, 상기 고정 분쇄날은 상기 고정체의 중심으로부터 외주 방향으로 갈수록 그 크기가 작아진다.
상기 곡물투입 조절유닛은, 상기 본체의 외면에 사용자가 조작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곡물 투입구를 완전히 개방하는 제 1 위치 및 상기 곡물 투입구를 폐쇄하는 제 2 위치 사이에서 회전하는 회전 노브; 일단이 상기 회전 노브의 내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 노브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도록 상기 본체의 내부에 연장되게 설치되며, 외주면에 수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스크류봉; 상기 스크류봉을 감싸도록 일단이 상기 회전 노브의 내측면에 결합되며, 상기 본체에 고정하도록 설치 되는 홀더; 및, 상기 홀더의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이동하도록 설치되며, 내주면에는 상기 스크류봉의 수나사산과 대응되는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 노브의 회전에 따른 상기 스크류봉의 회전에 의해 전진 및 후진하면서 상기 곡물 투입구의 크기를 조절하는 개폐레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회전 노브는 상기 제 2 위치에서 상기 구동유닛의 모터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제 3 위치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회전 노브가 제 3 위치로 회전시, 상기 개폐레버는 상기 곡물 투입구를 폐쇄하는 위치에서 더 전진하여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된 상기 모터의 구동 스위치를 가압하여 모터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상기 저장유닛은, 상기 본체의 곡물가루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분쇄된 곡물가루가 저장되는 저장통; 상기 저장통을 덮도록 설치되며, 상기 본체의 곡물가루 배출구에 대응되는 곡물가루 유입구 및 저장통 내의 공기를 배출시키는 공기 배출구가 형성되는 저장통 덮개; 상기 공기 배출구의 상부에 설치되어 배출되는 공기 중의 곡물가루를 걸러 내는 필터; 상기 공기 배출구에 대응되도록 상기 저장통 뚜껑의 내측면에 설치되며, 상단 일측에 공기 유입구가 형성되는 분진컵;을 포함하며, 상기 곡물가루 유입구를 통해 곡물가루와 함께 상기 저장통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는 상기 공기 유입구를 통해 상기 분진컵 내에 유입되어 사이클론 기류를 형성하면서 상기 공기 배출구를 통해 빠져 나간다.
본 발명에 의하면, 원료 곡물을 분쇄하는 분쇄유닛에서 1차로 곡물을 잘게 먼저 분쇄하고, 다음 단계에서 2차로 미세하게 분쇄함으로써, 단시간에 많은 양의 곡물을 분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분쇄유닛의 회전체의 2차 분쇄날의 크기를 같게 하고, 고정체의 고정 분쇄날의 크기를 달리함으로써, 곡물의 분쇄 효율이 극대화되고 더욱 미세한 분말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곡물투입 조절유닛을 회전 노브의 회전에 의한 스크류 방식에 의해 장치의 곡물 투입구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곡물의 투입량을 미세하게 조절하여 곡물의 분쇄 분말크기를 더욱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 특징 및 다른 장점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곡물 분쇄 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곡물 분쇄 장치의 사시도를, 도 2는 도 1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곡물 분쇄 장치는 본체(30), 곡물투입 조절유닛(40), 분쇄유닛(10), 구동유닛(50) 및 저장유닛(60)을 포함한다.
본체(30)의 상단은 개방되어 있으며, 본체 덮개(310)에 의해 개폐 가능하다. 본체(30)의 상부에는 사용자가 곡물을 넣을 수 있는 곡물 투입구(320)가 형성되어 있다. 본체분리 노브(360)는 본체(30)를 상부와 하루로 분리 하도록 하는 기능을 하고, 본체(30)의 하부에는 저장유닛(60)이 탈착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분쇄유 닛(10)과 구동유닛(50)은 본체(30) 내부에 설치된다. 사용자는 상기 곡물 투입구(320)에 곡물 원료를 넣으면, 곡물 원료는 본체(30) 내부로 유입되어 분쇄유닛(10)으로 들어가고, 분쇄유닛(10)은 이 곡물 원료를 잘게 부수어 분말 형태의 곡물가루로 분쇄하게 된다. 구동유닛(50)은 구동모터(510)와, 분쇄유닛(10)에 결합되는 모터축(530) 및 모터 하우징(520)으로 구성되어, 분쇄유닛(10)을 구동하게 된다. 분쇄된 곡물가루는 하강하여 저장유닛(60)에 저장되고, 따라서 사용자는 이 저장유닛(60)을 본체(30)로부터 분리하여 분쇄된 곡물가루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면부호 '370'은 구동모터(510)의 속도를 조절하는 속도조절 노브를 나타낸다.
도 3은 곡물투입 조절유닛(40)의 사시도를, 도 4는 도 3의 분리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에서는 설명의 용이를 위해 개폐레버(450)의 일부를 절개하였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곡물투입 조절유닛(40)은 곡물 투입구(320)의 크기 조절 및 곡물 투입구(320)를 개폐하여 분쇄유닛(10)으로 들어가는 곡물 원료의 양을 조절하는데, 구체적으로 회전 노브(410), 스크류봉(420), 홀더(430) 및 개폐레버(450)로 구성된다.
회전 노브(410)는 상기 곡물 투입구(320)를 완전하게 개방하는 제 1 위치(도 5a 참조) 및 상기 곡물 투입구(320)를 완전하게 폐쇄하는 제 2 위치(도 5b)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30)의 상부 외면에 설치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회전 노브(410)를 조작하여 곡물 투입량을 조절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사용자의 조작 편의성을 증진시키기 위해 회전 노브(410)의 주변에는 화살표 표시를 할 수 있고, 회전 노브(410)가 이동하는 위치(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에 대응되는 본체(30) 외면의 적절한 곳에 투입량을 알 게 해주는 MIN, MAX 또는 FINER, COARSER, 또는 눈금 표시 등을 할 수 있다.
스크류봉(420)은 일단이 회전 노브(410)의 내측면에 결합되어, 회전 노브(410)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도록 상기 본체(30)의 내부에 연장되게 설치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류봉(420)은 원통형상을 가지며, 외주면에 수나사산(422)이 형성되어 있다.
홀더(430)는 상기 스크류봉(420) 및 개폐레버(450)를 감싸도록 일단이 회전 노브(410)의 내측면에 결합된다. 따라서, 홀더(430)는 내부가 비어 있으며 그 내경이 스크류봉(420) 및 개폐레버(450)의 외경보다 크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홀더(430)에는 개폐레버(45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슬롯(432)이 형성된다. 한편, 홀더(430)는 상기 본체(30) 내부에 나사 등에 의해 고정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사용자 조작에 의한 회전 노브(410)의 회전에 의해 스크류봉(420)은 구속되어 같이 회전하나, 홀더(430)는 회전 노브(410)에 구속되지 않아 회전 노브(410)가 회전해도 같이 회전되지 않는다.
개폐레버(450)는 홀더(430)의 내부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이동하도록 설치되며, 구체적으로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편(454)이 홀더(430)의 가이드슬롯(432)을 따라서 안내되어 이동한다. 한편, 개폐레버(450)의 내주면에는 상기 스크류봉(420)의 수나사산(422)과 대응되는 암나사산(452)이 형성되어 서로 맞물리도록 결합된다. 따라서, 회전 노브(410)의 회전에 의해 스크류봉(420)은 회전하게 되고, 스크류봉(420)의 회전에 의해 개폐레버(450)는 홀더(450) 내부에서 전진 및 후 진하면서 상기 곡물 투입구(320)의 크기를 조절하고 또한 개폐하게 된다.
이렇게, 본 발명에 의하면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노브(410)의 회전 조작에 따른 스크류 방식에 의해 개폐레버(450)가 전후진을 하여 곡물 투입구(320)를 개폐하고 또한 회전량에 따라 곡물 투입구(320)의 크기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곡물 투입량을 보다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고, 이는 곧 곡물의 입자 크기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한편, 회전 노브(410)는 곡물 투입구(320)를 폐쇄하는 상기 제 2 위치에서 구동유닛(50)의 모터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제 3 위치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회전 노브(410)가 제 3 위치로 회전시, 개폐레버(450)는 곡물 투입구(320)를 폐쇄하는 위치에서 더 전진하게 되고 개폐레버(450)의 가이드편(454)은 본체(30) 내부에 설치된 상기 모터의 구동 스위치(380, 도2 참조)를 가압하여 모터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이렇게, 곡물투입 조절유닛(40)에 곡물 투입량을 조절하는 기능 및 모터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스위치 기능까지 추가하여, 별도의 전원 OFF 스위치를 구비할 필요가 없어, 사용자 편의성 및 제조비용이 절감되는 이점이 있다.
도 6 내지 도 8b를 참조하면, 분쇄유닛(10)은 본체(30)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체(100)와, 구동유닛(50)의 구동모터(510)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회전체(200)를 포함한다.
고정체(100)는 원판(120)과, 원판의 외주에 일정 높이로 돌출되게 설치된 외벽(130)을 갖는 하우징본체(110)와, 상기 원판(120)의 대략 중앙부에 형성되어 곡물이 유입되는 곡물 유입구(122)과, 상기 원판(120) 상의 곡물 유입구(122) 주위에 방사상으로 다수 개 설치되는 고정 분쇄날(140)을 포함한다.
곡물 유입구(122)을 통해 본체(30) 내부로 유입된 곡물은 고정체(100)에 수직 방향으로 투입되게 된다. 한편, 하우징본체(110)의 외벽(130)에는 분쇄된 곡물가루가 외부로 토출되는 분말 배출구(132)가 형성된다. 분말 배출구(132)는 배출관(150)과 연통되어, 분쇄된 분말은 분말 배출구(132) 및 배출관(150)을 통해 저장유닛(60)의 저장통(610)으로 빠져나간다. 배출관(150)의 구조, 형상 등은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원판(120)의 외주 단부에는 고정체(100)를 본체(30)에 나사 결합시키기 위한 나사공(124)이 형성된다.
한편, 고정 분쇄날(140)은 고정체(100)의 중심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다수의 열을 갖도록 설치되며, 하나의 열에서는 복수 개의 고정 분쇄날이 일정 간격을 갖도록 설치된다. 또한, 같은 열에서의 고정 분쇄날(140)의 크기는 서로 동일하다. 그러나, 고정 분쇄날(140)은 각각의 열에서는 그 크기가 서로 다른데,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분쇄날(140)은 고정체(100)의 중심으로부터 외주 방향으로 갈수록 그 크기가 작아지게 된다. 여기서 크기가 작아진다는 것은 높이는 같으나 전면에서 보이는 단면적이 작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고정 분쇄날(140)는 고정체(100)의 중심으로부터 외주방향으로 갈수록 같은 열에서의 이웃하는 고정 분쇄날과의 간격이 좁아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외주방향으로 갈수록 고정 분쇄날(140)은 크기가 작아지고 또한 이웃하는 고정 분쇄날과의 간격이 작아지게 된다.
회전체(200)는 모터축(530)과 결합하는 축공(212)이 중앙부에 형성된 회전원판(210)과, 상기 회전원판(210) 상의 상기 축공(212) 주위에 방사상으로 설치되는 회전 분쇄날(220)을 포함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체(200)가 고정체(100)와 결합되어 동작시, 상기 회전 분쇄날(220)은 고정체(100)의 고정 분쇄날(140)과 접촉되지 않도록 설치된다.
회전 분쇄날(220)은 상기 축공(212) 즉 회전체의 중심과 가까운 곳에 설치되어 고정체(100)의 곡물 유입구(122)을 통해 유입된 곡물을 1차로 분쇄시키는 1차 분쇄날(230)과, 축공(212)과 먼 곳에 설치되어 상기 1차 분쇄날(230)에 의해 분쇄된 중간 크기의 곡물을 분말 형태로 분쇄시키는 2차 분쇄날(24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중간 크기의 곡물로 분쇄된다는 의미는 정확하게 곡물의 반으로 잘라지는 것이 아니라, 분말 형태가 아닌 미세하게 잘려진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하면 족하다.
회전 분쇄날(220) 역시 회전체(200)의 중심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다수의 열을 갖도록 설치되며, 하나의 열에서는 복수 개가 일정 간격을 갖도록 설치된다. 한편, 같은 열에서의 회전 분쇄날(220)의 크기는 서로 동일하다. 1차 분쇄날(230)은 축공(212)과 가장 가까운 첫 번째 열에 설치되며, 2차 분쇄날(240)은 그 다음열부터 복수의 열을 갖도록 설치된다. 한편, 2차 분쇄날(240)은 각각의 열에서의 그 크기가 동일하고, 또한 이웃하는 분쇄날과의 간격이 서로 동일하다.
고정 분쇄날(140)과 회전 분쇄날(220)의 2차 분쇄날(240)의 간격은 0.3 내지 0.4 ㎜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외에 범위를 갖게 되어도 곡물을 분쇄하는 것에 큰 어려움은 없으나, 상기 범위를 갖게 됨으로써 곡물은 다음 열의 분쇄날로 이송되면서 가장 효율적으로 분쇄되게 되며, 또한 고정 분쇄날과 회전 분쇄날의 간섭 없이 원할하게 작동될 수 있게 된다.
한편, 고정 분쇄날(140)과 회전 분쇄날(220)의 2차 분쇄날(240)은 사각형의 단면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단면의 의미는 횡단면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전면에서 보이는 단면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으며, 또한 사각형의 의미는, 정사각형, 직사각형, 사다리꼴 등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해석할 수 있다. 실험 및 연구에 의하면 사각 단면이 곡물 분쇄에 있어서 곡물을 깨고 잘게 갈수 있는 형태이다. 모양은 사각형을 가지면 족하고, 반드시 동일할 필요는 없다.
이하 상기 구조를 갖는 분쇄유닛(10)의 동작을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분쇄동작이 시작되면, 구동유닛(50)의 구동모터(510)는 동작하고, 모터축(530)에 결합된 회전체(200)는 회전을 하여, 회전체(200)의 회전 분쇄날(220)과 고정체(100)의 고정 분쇄날(140)의 상호작용에 의해 곡물은 분쇄된다. 곡물 유입구(122)을 통해 유입된 원료 곡물은 회전체(200)의 1차 분쇄날(230)에 의해 먼저 분쇄된다. 1차 분쇄된 곡물은 회전체(200)의 원심력에 의해 외주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동하는 동안 고정체(100)의 고정 분쇄날(140)과 회전체(200)의 2차 분쇄날(240)들에 의해 미세하게 파쇄되고 원주 방향으로 갈수록 크기가 점점 작아져 결국 미세한 분말 형태로 분쇄되어 분말 배출구(132) 및 배출관(150)을 통해 저장유닛(60)으로 분출되게 된다.
이렇게 회전체(200)의 1차 분쇄날(230)에 의해 곡물은 잘게 먼저 분쇄되고, 다음 단계인 회전체(200)의 2차 분쇄날(240)과 고정체(100)의 고정 분쇄날(140)에 의해 미세하게 분쇄됨으로써, 단시간에 많은 양의 곡물을 분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회전체(200)의 2차 분쇄날(240)이 일정한 크기와 모양을 갖는데 반해, 고정체(100)의 고정 분쇄날(140)은 그 크기가 다르게 배치된다. 이러한 형태의 조합으로 인해, 회전하는 회전체(200)의 균일한 2차 분쇄날(240)이 곡물가루를 분쇄날 사이의 빈 공간으로 균일한 양을 이송시키고 분쇄하므로 곡물의 분쇄효율이 극대화된다. 또한, 회전체(200)의 회전에 의해 곡물가루가 분말 배출구(132) 쪽으로 즉, 외주방향으로 이송되는데, 분말 배출구(132) 쪽으로 갈수록 고정 분쇄날(140)의 크기 및 간격이 작아짐으로써 단위 체적당 함유하는 입자의 양을 달리하게 되고 결국, 곡물은 더 미세하게 분쇄되게 된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저장유닛(60)은 상단이 개방된 원통형의 저장통(610)과, 저장통(610)을 밀폐시키는 저장통 덮개(620)를 포함한다. 한편, 도 9에서는 저장통(610)을 생략한 저장유닛(60)의 분리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저장통(610)에는 본체(30)의 분쇄유닛(10)을 거쳐 곡물가루 배출구(340)로부터 배출되는 분쇄된 곡물가루가 저장된다. 한편, 저장통 덮개(620)에는 본체(30)의 곡물가루 배출구(340)에 대응되는 곡물가루 유입구(630)와, 저장통(610) 내의 공기를 배출시키는 공기 배출구(640)가 형성된다. 그리고, 공기 배출구(640)의 상부에는 필터(650)가 설치되어, 공기 배출구(640)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 중의 곡물 분진을 걸러 낸다. 한편, 공기 배출구(640)에 대응되는 저장통 덮개(620)의 내측면는 분진컵(660)이 설치된다. 분진컵(660)의 상단 일측에는 공기 유입구(662)가 접선 방향으로 형성된다.
곡물가루 유입구(630)를 통해 분쇄된 곡물가루는 자중에 의해 저장통(610) 내부에 쌓이게 된다. 한편, 곡물가루와 함께 저장통(610)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는 공기 유입구(662)를 통해 분진컵(660) 내로 유입된다. 공기 유입구(662)는 상단 일측에 접선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분진컵(660)으로 유입된 공기는 사이클론 기류를 형성하면서 하강한 후 다시 상승하여 공기 배출구(640)를 통해 외부로 빠져 나간다. 한편, 공기 중에 포함되는 곡물가루의 분진은 자중 및 공기의 원심력에 의해 분진컵(660)의 내측면에 충돌하여 분진컵 아래에 쌓이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며,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의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곡물 분쇄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곡물 분쇄 장치의 단면도,
도 3은 곡물투입 조절유닛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분리 사시도,
도 5a 및 도 5b는 곡물투입 조절유닛의 동작 설명도,
도 6은 분쇄유닛의 단면도,
도 7a 및 도 7b는 분쇄유닛의 고정체의 사시도 및 평면도,
도 8a 및 도 8b는 분쇄유닛의 회전체의 사시도 및 평면도,
도 9는 저장유닛에서 저장통을 제외한 분리 사시도,
도 10은 저장유닛의 동작 설명을 위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
10. 분쇄유닛 30. 본체
40. 곡물투입 조절유닛 50. 구동유닛
60. 저장유닛 100. 고정체
110. 하우징본체 120. 원판
122. 곡물 유입구 132. 분말 배출구
140. 고정 분쇄날 150. 배출관
200. 회전체 210. 회전원판
230. 1차 분쇄날 240. 2차 분쇄날
310. 본체 덮개 320. 곡물 투입구
340. 곡물가루 배출구 410. 회전 노브
430. 홀더 450. 개폐레버
510. 구동모터 530. 모터축
610. 저장통 620. 저장통 덮개
630. 곡물가루 유입구 640. 공기 배출구
650. 필터 660. 분진컵

Claims (9)

  1. 곡물 원료를 분쇄하는 곡물 분쇄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곡물 원료가 투입되는 곡물 투입구 및 분쇄된 곡물가루가 배출되는 곡물가루 배출구가 형성되는 본체:
    상기 곡물 투입구 및 곡물가루 배출구와 연통되도록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어, 유입되는 곡물 원료를 1차로 분쇄하고, 1차로 분쇄된 중간 크기의 곡물을 분말 형태의 곡물가루로 2차로 분쇄하여 배출시키는 분쇄유닛;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분쇄유닛을 구동시키는 구동유닛;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곡물 투입구의 크기를 조절하여 상기 분쇄유닛으로 들어가는 곡물 원료의 양을 조절하는 곡물투입 조절유닛; 및,
    상기 본체에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분쇄유닛으로부터 배출되는 곡물가루를 저장하는 저장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분쇄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유닛은,
    상기 본체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체와 상기 구동유닛의 모터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회전체로 구성되며,
    상기 고정체는, 상기 본체의 곡물 투입구와 연통되는 곡물 유입구가 중앙부에 형성되는 원판과 상기 원판의 외주에 일정 높이로 돌출되게 설치되며 분말 배출 구가 형성되는 외벽을 포함하는 하우징본체와, 상기 분말 배출구 및 상기 본체의 곡물가루 배출구를 연통하도록 연결하는 배출관과, 상기 원판상의 상기 곡물 유입구 주위에 방사상으로 다수개 설치되는 고정 분쇄날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체는, 상기 모터의 축과 결합하는 축공이 중앙부에 형성되는 회전원판과, 상기 회전원판상의 상기 축공 주위에 방사상으로 다수개 설치되며 회전동작시 상기 고정 분쇄날과 접촉되지 않도록 설치되는 회전 분쇄날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 분쇄날은, 상기 축공과 가까운 곳에 설치되어 상기 곡물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곡물을 1차로 분쇄시키는 1차 분쇄날과, 상기 축공과 먼 곳에 설치되어 상기 1차 분쇄날에 의해 분쇄된 중간 크기의 곡물을 분말 형태로 분쇄시키는 2차 분쇄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분쇄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분쇄날과 회전 분쇄날은 고정체 및 회전체의 중심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다수의 열을 갖도록 설치되며, 같은 열에서의 고정 분쇄날 및 회전 분쇄날은 일정 간격을 갖도록 복수개 설치되며 그 크기는 서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분쇄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분쇄날은 상기 고정체의 중심으로부터 외주 방향으로 갈수록 그 크기가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분쇄 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분쇄날은 상기 고정체의 중심으로부터 외주방향으로 갈수록 같은 열에서의 이웃하는 고정 분쇄날과의 간격이 좁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분쇄 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분쇄날의 상기 2차 분쇄날은 상기 회전체의 중심으로부터 외주 방향으로 갈수록 각각의 열에서의 크기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분쇄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곡물투입 조절유닛은,
    상기 본체의 외면에 사용자가 조작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곡물 투입구를 완전히 개방하는 제 1 위치 및 상기 곡물 투입구를 폐쇄하는 제 2 위치 사이에서 회전하는 회전 노브;
    일단이 상기 회전 노브의 내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 노브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도록 상기 본체의 내부에 연장되게 설치되며, 외주면에 수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스크류봉;
    상기 스크류봉을 감싸도록 일단이 상기 회전 노브의 내측면에 결합되며, 상기 본체에 고정하도록 설치되는 홀더; 및,
    상기 홀더의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이동하도록 설치되며, 내주면에는 상기 스크류봉의 수나사산과 대응되는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 노브의 회전에 따른 상기 스크류봉의 회전에 의해 전진 및 후진하면서 상기 곡물 투입구의 크기를 조절하는 개폐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분쇄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노브는 상기 제 2 위치에서 상기 구동유닛의 모터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제 3 위치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회전 노브가 제 3 위치로 회전시, 상기 개폐레버는 상기 곡물 투입구를 폐쇄하는 위치에서 더 전진하여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된 상기 모터의 구동 스위치를 가압하여 모터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분쇄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유닛은,
    상기 본체의 곡물가루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분쇄된 곡물가루가 저장되는 저장통;
    상기 저장통을 덮도록 설치되며, 상기 본체의 곡물가루 배출구에 대응되는 곡물가루 유입구 및 저장통 내의 공기를 배출시키는 공기 배출구가 형성되는 저장통 덮개;
    상기 공기 배출구의 상부에 설치되어 배출되는 공기 중의 곡물가루를 걸러 내는 필터;
    상기 공기 배출구에 대응되도록 상기 저장통 뚜껑의 내측면에 설치되며, 상단 일측에 공기 유입구가 형성되는 분진컵;을 포함하며,
    상기 곡물가루 유입구를 통해 곡물가루와 함께 상기 저장통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는 상기 공기 유입구를 통해 상기 분진컵 내에 유입되어 사이클론 기류를 형성하면서 상기 공기 배출구를 통해 빠져 나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분쇄 장치.
KR1020090136125A 2009-12-31 2009-12-31 곡물 분쇄 장치 KR1010657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6125A KR101065762B1 (ko) 2009-12-31 2009-12-31 곡물 분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6125A KR101065762B1 (ko) 2009-12-31 2009-12-31 곡물 분쇄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9149A KR20110079149A (ko) 2011-07-07
KR101065762B1 true KR101065762B1 (ko) 2011-09-19

Family

ID=449185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36125A KR101065762B1 (ko) 2009-12-31 2009-12-31 곡물 분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576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5592B1 (ko) 2015-05-28 2016-10-12 동의과학대학 산학협력단 곡물 분쇄유닛 및 이를 갖는 가정용 곡물 분쇄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8324Y1 (ko) 1999-04-14 2001-09-29 김일수 곡물분쇄기
KR200266268Y1 (ko) 2001-11-13 2002-02-27 강래선 날콩분쇄기
KR20050045955A (ko) * 2005-03-18 2005-05-17 주식회사 아로나전자 곡물 분쇄기
JP2006167515A (ja) 2004-12-13 2006-06-29 Turbo Kogyo Co Ltd 微粉砕機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8324Y1 (ko) 1999-04-14 2001-09-29 김일수 곡물분쇄기
KR200266268Y1 (ko) 2001-11-13 2002-02-27 강래선 날콩분쇄기
JP2006167515A (ja) 2004-12-13 2006-06-29 Turbo Kogyo Co Ltd 微粉砕機
KR20050045955A (ko) * 2005-03-18 2005-05-17 주식회사 아로나전자 곡물 분쇄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5592B1 (ko) 2015-05-28 2016-10-12 동의과학대학 산학협력단 곡물 분쇄유닛 및 이를 갖는 가정용 곡물 분쇄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9149A (ko) 2011-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8079092A1 (ja) 電動粉挽き機
JP2004313735A (ja) 焙煎コーヒー豆粉砕装置
JP6308329B2 (ja) 粉砕装置
EP3741271B1 (en) Coffee bean grinding mechanism
KR102386275B1 (ko) 기류식 하부이동식 분급분쇄기
CN106102531B (zh) 用于研磨和计量咖啡的设备
KR101932088B1 (ko) 원두분쇄장치
KR101065762B1 (ko) 곡물 분쇄 장치
KR200381603Y1 (ko) 곡물 분쇄기
KR101619359B1 (ko) 다목적 분쇄장치
KR20110109581A (ko) 양념 분쇄용기
KR100520634B1 (ko) 곡물 분쇄기
KR101071656B1 (ko) 분쇄기
KR100743574B1 (ko) 분쇄기
KR200427529Y1 (ko) 곡물분쇄기의 포집장치
KR101065755B1 (ko) 분쇄기
KR100591778B1 (ko) 곡물 분쇄기
RU2397019C1 (ru) Измельчитель
JP6175033B2 (ja) コーヒー豆粉砕装置
CN206168500U (zh) 磨浆粉碎一体装置
JP5531591B2 (ja) コーヒー飲料製造装置
KR200179227Y1 (ko) 분쇄시스템의 분급장치
CN113617458B (zh) 新型超细微粉碎机
RU2808398C1 (ru) Бункер для кофемолки с нижним закрывающим устройством для сохранения зерен и кофейная мельница, оснащенная таким бункером
CN212681281U (zh) 一种便于使用的高精细粉末粉碎机进料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