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5666B1 - 히트싱크 - Google Patents

히트싱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5666B1
KR101065666B1 KR1020110028622A KR20110028622A KR101065666B1 KR 101065666 B1 KR101065666 B1 KR 101065666B1 KR 1020110028622 A KR1020110028622 A KR 1020110028622A KR 20110028622 A KR20110028622 A KR 20110028622A KR 101065666 B1 KR101065666 B1 KR 1010656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plate
heat sink
coupling
cooling fins
coupl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86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유연
Original Assignee
조유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유연 filed Critical 조유연
Priority to KR10201100286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56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56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56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3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characterised by the heat transfer by conduction from the heat generating element to a dissipating body
    • H05K7/20409Outer radiating structures on heat dissipating housings, e.g. fins integrated with the hous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 H05K7/1401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comprising clamping or extracting means
    • H05K7/1402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comprising clamping or extracting means for securing or extracting printed circuit boards
    • H05K7/1405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comprising clamping or extracting means for securing or extracting printed circuit boards by clips or resilient members, e.g. hoo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Electrical Apparatus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Semiconductors Or Solid Stat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냉각핀 결합홈을 가지는 베이스 플레이트(base plate), 결합홈에 끼워지는 삽입부를 가지는 복수의 냉각핀(cooling fin) 및 결합된 결합홈과 삽입부 사이에 개재된 서멀본드(thermal bond)로 구성된 히트싱트(Heat Sink)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히트싱크{Heat Sink}
본 발명은 방열을 필요로 하는 전기ㆍ전자적 부품이나 소자(素子) 등 방열대상으로부터 열을 흡수하여 외부로 방산시키는 히트싱트에 관한 것이다.
근래 들어, 전기 및 전자장치는 성능적으로 괄목할 만한 성장을 이루었으나, 이러한 성능 향상과 더불어 장치 내의 발열량 또한 크게 증가하였다. 게다가, 장치의 소형화가 지속적으로 추구되다 보니, 좁은 공간에 부품이나 소자가 집중되어 장치 내의 열을 자연적으로 소산시키기가 어렵고, 나아가서는 장치 내의 열이 장치의 성능 저하를 초래하기 때문에, 장치 내의 열에 대한 효과적인 소산이 점차 큰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로 히트싱크인데, 이 히트싱크는 냉각을 필요로 하는 방열대상(각종의 전기ㆍ전자적 부품이나 소자)(예를 들면,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시스템 운영 시 다량의 열을 발생하는 회로부품이나 출력이 큰 전력 소자, 즉 고주파 트랜지스터 등)과 직접 접촉하여 열을 전달받는 베이스 플레이트(base plate) 및 이 베이스 플레이트로부터의 열을 공기와의 접촉으로 냉각시키는 복수의 냉각핀(cooling fin)으로 구성된다.
도 1은 일반적인 히트싱크가 도시된 사시도로, 도 1의 히트싱크는 베이스 플레이트(1)와 복수의 냉각핀(2)을 압출공정에 의하여 일체형으로 구성한 것이다. 이는 가장 널리 이용되고 있는 타입이나, 압출공정의 특성상 대형화가 어렵고 베이스 플레이트(1)로부터의 냉각핀(2) 높이를 다양화하는 것이 상당히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1. 해결하려는 과제
본 발명의 목적은 대형화, 냉각핀 높이의 다양화, 양산성 등 제조 면에서 유리한 히트싱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전에 비하여 한층 향상된 방열효과를 보장할 수 있는 히트싱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위 과제에 제한되지 않고, 언급되지 않은 기타 과제들은 통상의 기술자(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2. 과제의 해결 수단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한쪽 면에 방열대상이 접촉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다른 쪽 면에 기저부가 결합되는 복수의 냉각핀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다른 쪽 면과 상기 냉각핀들의 기저부 중 하나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냉각핀들 간의 결합을 위하여 결합홈이 마련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다른 쪽 면과 상기 냉각핀들의 기저부 중 다른 하나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냉각핀들 간의 결합을 위하여 상기 결합홈에 끼워져 결합되는 삽입부가 마련된 히트싱크가 제공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히트싱크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다른 쪽 면에 상기 결합홈이 복수 개 마련되고 상기 냉각핀들의 기저부에 상기 삽입부가 각각 마련되거나,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다른 쪽 면에 상기 삽입부가 복수 개 마련되고 상기 냉각핀들의 기저부에 상기 결합홈이 각각 마련될 수 있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결합홈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다른 쪽 면에 복수 개가 마련되고, 상기 삽입부는 상기 냉각핀들의 기저부에 각각 마련된다. 이에 따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다른 쪽 면에는 복수의 냉각핀 결합부가 마련되고, 상기 냉각핀 결합부들은 상기 결합홈을 하나씩 가질 수 있다.
상기 서로 결합되는 냉각핀 결합부와 냉각핀의 기저부에는 상기 결합홈에 상기 삽입부가 끼워진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체결수단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냉각핀 결합부들은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벽체로 구성되어 상기 한 쌍의 벽체 사이의 공간을 상기 결합홈으로 하고,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한 쌍의 벽체의 대향하는 내측부와 상기 삽입부의 양쪽 중 하나에 각각 마련된 체결홈과; 상기 한 쌍의 벽체의 대향하는 내측부와 상기 삽입부의 양쪽 중 다른 하나에 상기 체결홈에 끼워질 수 있도록 각각 마련된 볼록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결합홈에 상기 삽입부가 끼워져 결합된 때 상기 한 쌍의 벽체가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조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조임부는 상기 기저부에 상기 한 쌍의 벽체의 선단부가 각각 끼워질 수 있도록 마련된 홈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벽체의 선단부는 사이의 공간이 선단 측으로 갈수록 점차 확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체결홈과 상기 볼록부 없이, 상기 결합홈에 상기 삽입부가 끼워져 결합된 때 상기 한 쌍의 벽체가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조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한편,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체결홈과 상기 볼록부, 상기 조임부 없이, 상기 한 쌍의 벽체의 대향하는 내측과 반대되는 쪽인 외측부에 각각 마련된 걸림턱과; 상기 걸림턱에 각각 걸릴 수 있도록 상기 기저부의 양쪽에 마련된 걸림후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히트싱크는 상기 결합홈에 삽입부가 끼워진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하여 체결하는 이 밖의 체결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결합홈과 상기 결합홈에 끼워지는 삽입부는 서로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복수의 냉각핀 중 적어도 하나는 그 기저부를 제외한 본체부의 일부 또는 전체가 지그재그형 구조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냉각핀 중 적어도 하나는 선단에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로부터의 높이를 낮추는 적어도 하나의 오목부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된 결합홈과 삽입부 사이에는 각각 열전달물질이 개재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열전달물질은 서멀본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한쪽 면에 방열대상이 접촉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다른 쪽 면에 구비된 복수의 냉각핀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냉각핀 중 적어도 하나는 그 본체부의 일부 또는 전체가 지그재그형 구조를 가지도록 형성된 히트싱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한쪽 면에 방열대상이 접촉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다른 쪽 면에 구비된 복수의 냉각핀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냉각핀 중 적어도 하나는 선단에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로부터의 높이를 낮추는 적어도 하나의 오목부가 마련된 히트싱크가 제공된다.
위 같은 본 발명의 주요한 과제의 해결 수단은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나 도면 등을 통하여 보다 구체적이고 명확하게 될 것이고, 나아가서는 위 같은 본 발명의 주요한 과제의 해결 수단 이외에도 다양한 과제의 해결 수단이 이하에서 추가로 제시될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히트싱크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히트싱크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히트싱크의 일부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냉각핀 결합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냉각핀의 기저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히트싱크의 조립과정이 도시된 정면도이다.
도 7,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히트싱크의 요부가 도시된 정면도로, 도 7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고, 도 8은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히트싱크의 요부가 도시된 정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히트싱크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참조하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 선의 두께 등은 이해의 편의상 다소 과장되게 표현되어 있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설명에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한 것이므로 사용자, 운용자 의도,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이 용어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리는 것이 마땅하겠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히트싱크가 도시된 사시도로, 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히트싱크는 양면 중 한쪽에 방열대상이 접촉되는 베이스 플레이트(10) 및 이 베이스 플레이트(10)의 양면 중 다른 쪽에 서로 나란한 것과 동시에 서로 이격되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마련된 복수의 냉각핀(20)을 포함한다.
베이스 플레이트(10)와 복수의 냉각핀(20)은 열전달이 우수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베이스 플레이트(10)와 냉각핀(20)들의 재질은 알루미늄(Al), 알루미늄 합금, 구리(Cu), 구리 합금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히트싱크의 일부분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로, 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10)와 복수의 냉각핀(20)은 일체형이 아닌, 별도로 제조되어 서로 조립된다. 이를 위하여, 베이스 플레이트(10)는 복수의 냉각핀 결합부(11)를 가지는데, 이들 냉각핀 결합부(11)는 베이스 플레이트(10)의 다른 쪽 면에 서로 나란한 것과 동시에 서로 이격되도록 마련된다. 그리고, 복수의 냉각핀(20)은 이 냉각핀 결합부(11)에 각각 그 기저부(21)가 결합된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냉각핀 결합부(11)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냉각핀(20)의 기저부(21)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각각의 냉각핀 결합부(11)는 결합홈(12)을 가지고, 기저부(21)에는 이 결합홈(12)에 끼워져 결합되는 삽입부(22)가 각각 마련되는데, 이들 결합홈(12)과 삽입부(22)는 결합홈(12)에 삽입부(22)가 꼭 맞게 끼워지도록 서로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결합홈(12)과 삽입부(22)는 그 위치가 서로 바뀔 수 있다. 즉, 베이스 플레이트(10)의 다른 쪽 면에는 삽입부(22)를 복수 개 마련하고, 냉각핀(20)의 기저부(21)에는 결합홈(12)을 각각 마련할 수 있는 것이다.
도 3, 4와 같이, 각 냉각핀 결합부(11)는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벽체(이하, 좌측벽과 우측벽이라 한다)(11L,11R)로 구성되어 이 좌측벽(11L)과 우측벽(11R) 사이에 마련된 공간을 결합홈(12)으로 한다. 좌, 우측벽(11L,11R)은 재질적인 탄성력으로 인하여 벌어졌다 오므라졌다 할 수 있다.
냉각핀 결합부(11)와 기저부(21)에는 결합홈(12)과 삽입부(22)의 결합상태를 유지시키는 역할을 하는 체결수단이 각각 마련된다. 도 3 내지 도 5와 같이, 이 체결수단은 좌, 우측벽(11L,11R)의 대향하는 내측에 각각 마련된 체결홈(13) 및 이 체결홈(13)에 끼워질 수 있도록 삽입부(22)의 양옆(즉, 좌측 및 우측)에 각각 마련된 볼록부(23)를 포함한다. 이 때, 체결홈(13)과 볼록부(23)는 체결홈(13)에 볼록부(23)가 자연스럽게 끼워질 수 있도록 서로 대응하는 곡선형의 구조를 가지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참고로, 체결홈(13)과 볼록부(23)의 위치는 서로 바뀔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체결수단은 결합홈(12)에 삽입부(22)가 끼워져 체결홈(13)에 볼록부(23)가 끼워진 때 좌, 우측벽(11L,11R)이 의도하지 않게 벌어짐에 따른 결합홈(12)과 삽입부(22)의 결합해제를 방지하는 조임부(24)를 더 포함한다.
조임부(24)는 기저부(21)의 양단부 중 냉각핀(20)을 구성하는 본체부(25) 측에 좌, 우측벽(11L,11R)의 선단부(14)가 각각 끼워질 수 있는 구조를 가지도록 마련된 홈으로 구성된다.
한편, 좌, 우측벽(11L,11R)의 선단부(14)는 결합홈(12)에 삽입부(22)를 용이하게 끼울 수 있도록 그 사이 공간이 선단 측(결합홈의 입구 측)으로 갈수록 확장되는 구조로 형성된다. 물론, 이를 위하여, 삽입부(22)의 끝 부분 역시 곡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음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제1실시예의 조립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결합홈(12)과 삽입부(2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열전달물질으로서 서멀본드(thermal bond)(30)를 일정한 두께로 도포한다.
다음, 결합홈(12)에 삽입부(22)를 삽입한다.
여기에서, 결합홈(12)에 삽입부(22)가 끼워지기 시작하는 때에는 좌, 우측벽(11L,11R)의 선단부(14)가 결합홈(12)의 입구 측으로 갈수록 확장된 구조를 가지므로, 삽입부(22)는 자연스럽게 끼워진다.
이후, 결합홈(12)에 삽입부(22)가 본격적으로 끼워지는 때에는 볼록부(23)를 포함하는 삽입부(22)의 폭이 결합홈(12)의 폭보다 넓어, 좌, 우측벽(11L,11R)은 벌어지게 된다.(도 6의 ⒜ 참조)
그리고, 삽입부(22)를 더욱 끼워 체결홈(13)에 볼록부(23)가 끼워지면, 벌어졌던 좌, 우측벽(11L,11R)은 자체적인 탄성력으로 인하여 원상으로 복원된다. 이와 동시에, 좌, 우측벽(11L,11R)의 선단부(14)는 조임부(24)를 구성하는 홈에 끼워지고, 좌, 우측벽(11L,11R)은 이 조임부(24)에 의하여 그 벌어짐이 방지되면서, 냉각핀(20)은 베이스 플레이트(10)에 견고하게 결합된다.(도 6의 ⒝ 참조)
끝으로, 이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10)에 복수의 냉각핀(20)을 모두 결합시킨 다음, 일정한 시간 동안 서멀본드(30)를 경화시키면 제1실시예의 조립이 완료된다.
살펴본 바와 같이, 제1실시예는 결합홈(12)과 삽입부(2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서멀본드(30)를 도포한 후, 결합홈(12)에 삽입부(22)를 끼움으로써 냉각핀 결합부(11)와 기저부(21)를 서로 체결한 뒤, 서멀본드(30)를 경화시키면 조립이 완료되기 때문에, 히트싱크의 대형화, 냉각핀 높이의 다양화, 양산성 등을 용이하게 이룩할 수 있다.
또한, 체결홈(13)과 볼록부(23)의 체결작용, 조임부(24)의 조임작용 및 서멀본드(30)의 접착작용에 기인하는 3중의 복합적인 락(lock) 구조에 의하여 베이스 플레이트(10)와 냉각핀(20) 간의 결합(체결)력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에서는 위와 같은 제1실시예와 유사하게 구성되는 다른 실시예를 살펴보기로 한다. 이 때, 이 다른 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비교하였을 때 상이한 부분을 중심으로 하여 설명하고 도면 또한 해당 부분만을 도시하기로 한다.
도 7,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히트싱크의 요부가 도시된 정면도로, 도 7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고, 도 8은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7,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히트싱크는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보았을 때, 기타 구성 및 그 작용은 모두 동일한 것에 대하여, 체결수단의 구성만이 다소 상이하다.
이를 설명하면, 제2실시예의 체결수단은 좌, 우측벽(11L,11R)의 대향하는 내측과 반대되는 외측에 각각 마련된 걸림턱(16) 및 이 걸림턱(16)에 각각 걸릴 수 있도록 기저부(21)의 양단부 중 본체부(25) 측의 좌우에 각각 마련된 후크(26)를 포함한다. 즉, 제2실시예의 체결수단은 제1실시예의 체결수단을 구성하는 체결홈(13)과 볼록부(23), 조임부(24) 대신, 걸림턱(16)과 후크(hook)(26)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 때, 후크(26)는 재질적인 탄성력으로 인하여 벌어졌다 오므라졌다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2실시예는 결합홈(12)과 삽입부(22) 중 적어도 하나에 서멀본드를 도포한 후, 결합홈(12)에 삽입부(22)를 완전히 삽입하여 걸림턱(16)에 후크(26)가 걸리도록 함으로써 분리를 방지(체결)한 뒤,(도 8 참조) 서멀본드를 경화시키면 조립이 완료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히트싱크의 요부가 도시된 정면도로, 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보았을 때, 기타 구성 및 그 작용은 모두 동일한 것에 대하여, 냉각핀(20)의 본체부(25A) 구조만이 다소 상이하다.
이를 설명하면, 제3실시예의 본체부(25A)는 일부 또는 전체의 횡단면이 지그재그형 구조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이 때, 이 지그재그형 본체부(25A)는 복수의 냉각핀(20) 모두에 적용될 수도 있고 일부 냉각핀(20)에 한하여 적용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지그재그형 본체부(25A)에 의하면, 베이스 플레이트(10)로부터의 냉각핀(20) 높이를 증가함이 없이 냉각핀(20)의 표면적을 획기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는바, 설치공간의 제약으로 인하여 냉각핀(20)의 높이 증가가 곤란하나 큰 냉각효율을 요구하는 장치에 적용 시 매우 유용하다.
한편, 위에서는 제3실시예가 제1실시예를 기본으로 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제3실시예는 제1실시예가 아닌, 제2실시예를 기본으로 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히트싱크가 도시된 사시도로, 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보았을 때, 기타 구성 및 그 작용은 모두 동일한 것에 대하여, 냉각핀(20)의 본체부(25B) 구조만이 다소 상이하다.
이를 설명하면, 제4실시예의 본체부(25B)는 선단에 베이스 플레이트(10)로부터의 높이를 낮추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오목부(27)가 마련된다. 이 때, 이 오목부(27)는 복수의 냉각핀(20) 모두에 적용될 수도 있고 일부 냉각핀(20)에 한하여 적용될 수도 있다.
또한, 도 10과 같이, 복수의 냉각핀(20)에 오목부(27)를 적용 시에는 오목부(27)가 집중되도록 위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오목부(27)는 복수의 냉각핀(20) 사이 공간으로부터의 공기 유출이 비원활해짐에 따른 방열효과 저하를 방지하기 위한 것인바, 외부공기의 유입을 유도하는 외기유입부로서의 역할을 하여 공기의 신속한 유입, 유출을 구현함으로써 한층 향상된 방열효과를 보장한다.
한편, 위에서는 제4실시예가 제1실시예를 기본으로 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제4실시예는 제1실시예가 아닌, 제2실시예나 제3실시예를 기본으로 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이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10 : 베이스 플레이트 11 : 냉각핀 결합부
11L, 11R : 좌측벽, 우측벽 12 : 결합홈
13 : 체결홈 14 : 좌, 우측벽의 선단부
16 : 걸림턱 20 : 냉각핀
21 : 냉각핀의 기저부 22 : 삽입부
23 : 볼록부 24 : 조임부
25, 25A, 25B : 냉각핀의 본체부 26 : 후크
27 : 오목부 30 : 서멀본드

Claims (1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한쪽 면에 방열대상이 접촉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다른 쪽 면에 기저부가 결합되는 복수의 냉각핀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냉각핀들 간의 결합을 위하여, 상기 냉각핀들의 기저부에는 삽입부가 각각 마련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다른 쪽 면에는 상기 삽입부가 각각 끼워져 결합되는 결합홈이 복수 개 마련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다른 쪽 면에는 상기 결합홈을 하나씩 가지는 냉각핀 결합부가 복수 개 마련되고,
    상기 서로 결합되는 냉각핀 결합부와 냉각핀의 기저부에는 상기 결합홈에 상기 삽입부가 끼워진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체결수단이 마련되며,
    상기 냉각핀 결합부들은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벽체로 구성되어 상기 한 쌍의 벽체 사이의 공간을 상기 결합홈으로 하고,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한 쌍의 벽체의 대향하는 내측과 반대되는 쪽인 외측부에 각각 마련된 걸림턱과; 상기 걸림턱에 각각 걸릴 수 있도록 상기 기저부의 양쪽에 마련된 걸림후크를 포함하는 히트싱크.
  11. 삭제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과 상기 결합홈에 끼워지는 삽입부는 서로 대응하도록 형성된 히트싱크.
  13.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냉각핀 중 적어도 하나는 그 기저부를 제외한 본체부의 일부 또는 전체가 지그재그형 구조를 가지도록 형성된 히트싱크.
  14.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냉각핀 중 적어도 하나는 선단에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로부터의 높이를 낮추는 적어도 하나의 오목부가 마련된 히트싱크.
  15.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결합된 결합홈과 삽입부 사이에는 각각 열전달물질이 개재된 히트싱크.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열전달물질은 서멀본드인 히트싱크.
  17. 삭제
  18. 삭제
KR1020110028622A 2011-03-30 2011-03-30 히트싱크 KR1010656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8622A KR101065666B1 (ko) 2011-03-30 2011-03-30 히트싱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8622A KR101065666B1 (ko) 2011-03-30 2011-03-30 히트싱크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2741A Division KR101107751B1 (ko) 2011-06-28 2011-06-28 히트싱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65666B1 true KR101065666B1 (ko) 2011-09-19

Family

ID=449575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8622A KR101065666B1 (ko) 2011-03-30 2011-03-30 히트싱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566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8824B1 (ko) * 2013-05-22 2014-06-19 주식회사 트루와이드 엘이디 투광등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542784B1 (ko) * 2015-03-27 2015-08-10 주식회사 이즈 파이프 타입의 방열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1128Y1 (ko) * 2000-03-10 2000-08-16 주식회사흥창 방열 구조체
KR20050084401A (ko) * 2002-12-19 2005-08-26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가요성 열 싱크
JP2005251892A (ja) * 2004-03-03 2005-09-15 Nippon Light Metal Co Ltd 放熱部材及びヒートシンク
KR20100039719A (ko) * 2008-10-08 2010-04-16 리더썸(주) 방열성을 향상시킨 전기, 전자 제품용 히트싱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1128Y1 (ko) * 2000-03-10 2000-08-16 주식회사흥창 방열 구조체
KR20050084401A (ko) * 2002-12-19 2005-08-26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가요성 열 싱크
JP2005251892A (ja) * 2004-03-03 2005-09-15 Nippon Light Metal Co Ltd 放熱部材及びヒートシンク
KR20100039719A (ko) * 2008-10-08 2010-04-16 리더썸(주) 방열성을 향상시킨 전기, 전자 제품용 히트싱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8824B1 (ko) * 2013-05-22 2014-06-19 주식회사 트루와이드 엘이디 투광등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542784B1 (ko) * 2015-03-27 2015-08-10 주식회사 이즈 파이프 타입의 방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263359A1 (en) Memory module assembly including a clamp for mounting heat sinks thereon
US9429369B2 (en) Thermal module structure
KR200448519Y1 (ko) 돌출형 ⅰc 패키지용 방열판
US8230904B2 (en) Heat dissipation device having a fan duct thereon
US20070029068A1 (en) Heat sink
JP2016066639A (ja) 接続方法が異なる複数のフィンを備えたヒートシンク
US9772143B2 (en) Thermal module
EP3145287A1 (en) Heat dissipation apparatus for optical module and communication device using heat dissipation apparatus
KR101065666B1 (ko) 히트싱크
KR102606008B1 (ko) 스위칭용 반도체 소자 및 그의 냉각장치
KR101107751B1 (ko) 히트싱크
US20090151896A1 (en) Heat dissipation device
US20130126698A1 (en) Series fan assembling structure
KR102333290B1 (ko) 탭 직접 냉각 방식의 배터리 모듈
JP2015225940A (ja) 半導体装置
KR102170252B1 (ko) 히트파이프 조립형 방열체 및 이를 이용한 히트싱크
US7333341B2 (en) Heat dissipation device
JP6225806B2 (ja) 電気回路装置
US10352625B2 (en) Thermal module
KR102148314B1 (ko) 절연패드가 구비된 냉각모듈 및 냉각모듈의 제조방법
JP5117303B2 (ja) ヒートシンク
CN113395866A (zh) 散热装置
US20140318757A1 (en) Heat sink incorporating interlocked fin
KR200163789Y1 (ko) 인쇄회로기판용방열기
JP5974880B2 (ja)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