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5493B1 - 미세유체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미세유체 검사 장치 - Google Patents

미세유체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미세유체 검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5493B1
KR101065493B1 KR1020090097117A KR20090097117A KR101065493B1 KR 101065493 B1 KR101065493 B1 KR 101065493B1 KR 1020090097117 A KR1020090097117 A KR 1020090097117A KR 20090097117 A KR20090097117 A KR 20090097117A KR 101065493 B1 KR101065493 B1 KR 1010654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chamber
electrode
light
behavi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71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40007A (ko
Inventor
양성
강양준
Original Assignee
광주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주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광주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0900971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5493B1/ko
Publication of KR201100400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00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54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54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3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for measuring haematocri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using optical sensors, e.g. spectral photometrical oxime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50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 B01L3/502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 B01L3/5027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by integrated microfluidic structures, i.e. dimensions of channels and chambers are such that surface tension forces are important, e.g. lab-on-a-chi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33Special features of optical sensors or probes classified in A61B5/00
    • A61B2562/0238Optical sensor arrangements for performing transmission measurements on body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8Microscale sensors, e.g. electromechanical sensors [ME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a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Hematology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utomatic Analysis And Handling Materials Therefor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혈액 내의 적혈구 집성 지수(AI: Aggregation Index)의 측정을 위한 혈액의 거동 제어용 펌프를 전기장이 발생되는 전극으로 대체하여 그 크기 및 부피를 축소함으로써 휴대 사용이 가능한 미세유체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미세유체 검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미세유체소자는 피검사 유체가 주입 및 배출되는 유체주입부 및 유체배출부와, 유체주입부와 유체배출부의 사이에 개재되어 유체주입부 및 유체배출부를 상호 연결하며 유체주입부에 주입된 피검사 유체가 거동되는 챔버가 형성된 유체거동부와, 유체거동부의 외곽에 상호 대향 배치되어 챔버 내부에서 피검사 유체가 거동되도록 전기장을 발생하는 적어도 2개의 전극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전기장을 발생시켜 피검사 유체의 거동을 제어할 수 있는 복수의 전극부를 설치함으로써, 전체적인 크기를 간소 및 축소화 시켜 제품의 휴대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미세유체, 유체 거동, 적혈구, 집성, 분산, 집성 지수, 전극

Description

미세유체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미세유체 검사 장치{MICROFLUIDIC ELEMENT AND MICROFLUIDIC INSPECTION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미세유체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미세유체 검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피검사 유체인 혈액 내 적혈구 집성 지수(AI: Aggregation Index)의 산출을 위해 피검사 유체를 전기장으로 거동시킬 수 있는 복수의 전극이 마련된 미세유체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미세유체 검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미세유체 검사 장치는 인체의 병리적 상태를 판단하기 위해 피검사 유체인 혈액 내 적혈구의 집성 지수(AI: Aggregation Index)를 산출하는 장치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a)는 혈액(1) 내의 적혈구(3)가 코인 형상(Rouleaux shape)으로 집성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b)는 혈액(1)의 거동에 따라 적혈구(3)가 분산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일반적으로 혈액(1) 내의 적혈구(3)는 (a)와 같이 코인 형상으로 집성되어 있고, 혈액(1)을 거동시키면 (b)와 같이 코인 형상으로 집성된 적혈구(3)가 분산된다.
여기서, 정상적인 혈액(1) 내의 적혈구(3)는 병리적 조건하의 적혈구(3) 집 성 상태보다 분산된다. 이에, 혈액(1) 거동 후 일정시간 동안 빛을 조사하면 정상적인 혈액(1)을 통과하는 빛의 양은 병리적 조건하의 혈액(1)을 통과하는 빛의 양보다 적게 된다. 이렇게 혈액(1)을 통과하는 빛의 양에 따라 병리적 조건 상태를 판단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병리적 조건을 판단하기 위해, 종래의 미세유체 검사 장치는 피검사 유체(혈액)의 거동을 위한 펌프가 마련된다. 이러한 펌프는 압력을 제공하기 위해 공압 제공 장치 등을 포함한다.
그런데, 종래의 미세유체 검사 장치는 피검사 유체의 거동을 위해 펌프가 사용됨으로써, 그 크기 및 부피가 증가한다. 이에, 종래의 미세유체 검사 장치는 그 크기 및 부피 때문에 병리적 조건이 의심되는 환자가 있는 어느 장소에서나 사용할 수 있는 휴대용으로써 사용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피검사 유체의 거동을 위한 제어용 장치의 크기 및 부피가 감소되도록 구조를 개선하여 휴대용으로 사용될 수 있는 미세유체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미세유체 검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은, 본 발명에 따라, 피검사 유체가 주입 및 배출되는 유체주입부 및 유체배출부와, 상기 유체주입부와 상기 유체배출부의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유체주입부 및 상기 유체배출부를 상호 연결하며, 상기 유체주입부에 주입된 피검사 유체가 거동되는 챔버가 형성된 유체거동부와, 상기 유체거동부의 외곽에 상호 대향 배치되어, 상기 챔버 내부에서 피검사 유체가 거동되도록 전기장을 발생하는 적어도 2개의 전극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유체소자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전극부는 상기 유체거동부의 외곽을 따라 원주 방향으로 등간격을 가지고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극부로 인가되는 전원을 인가 및 차단하는 스위칭회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스위칭회로부는 적어도 2개의 상기 전극부에 교호적으로 전원이 인가되도록 전원의 인가 및 차단을 스위칭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피검사 유체는 혈액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은, 본 발명에 따라, 피검사 유체가 주입 및 배출되는 유체주입부 및 유체배출부와, 상기 유체주입부와 상기 유체배출부의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유체주입부로부터 및 상기 유체배출부를 상호 연결하며, 상기 유체주입부에 주입된 피검사 유체가 거동되는 챔버가 형성된 유체거동부와, 상기 유체거동부의 외곽을 따라 원주 방향으로 등간격을 가지고 배치되어, 상기 챔버 내부에서 피검사 유체가 거동되도록 전기장을 발생시키는 4개의 전극부와, 4개의 상기 전 극부에 전원이 선택적으로 인가되도록 전원을 인가 및 차단하는 스위칭회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유체소자에 의해서도 이루어진다.
반면,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은, 본 발명에 따라, 전술한 구성의 미세유체소자와, 상기 챔버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챔버 내부의 피검사 유체가 거동된 후, 기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챔버로 빛을 조사하는 발광부와, 상기 챔버의 타측에 마련되어, 상기 기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발광부로부터 조사되어 상기 챔버를 통과한 빛을 수광하는 수광부와, 상기 기설정된 시간 동안의 상기 발광부로부터 조사된 빛과 상기 수광부에 의해 수광된 빛의 양에 기초하여, 상기 발광부로부터 조사된 빛과 상기 수광부에 의해 수광된 빛의 비를 산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유체 검사 장치에 의해서도 이루어진다.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에 따르면, 전기장을 발생시켜 피검사 유체의 거동을 제어할 수 있는 복수의 전극부를 설치함으로써, 전체적인 크기를 간소 및 축소화 시켜 제품의 휴대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미세유체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미세유체 검사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구성 및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미세유체 검사 장치는 대표적으로 혈액 내의 적혈구 집성 지수를 산출하기 위한 것으로 기재되나, 혈액 이외에 유체 내의 물질의 집성 지수를 산출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미세유체 검사 장치의 개략 구성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미세유체 검사 장치의 미세유체소자 개략 구성도, 그리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미세유체소자의 스위칭회로부의 회로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미세유체 검사 장치(10)는 미세유체소자(10), 발광부(300), 수광부(400), 입력부(600), 출력부(700) 및 제어부(900)를 포함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미세유체소자(10)는 유체주입부(120), 유체배출부(140), 유체거동부(160), 전극부(180) 및 스위칭회로부(190)를 포함한다. 미세유체소자(10)는 미세유체 검사 장치(10)가 피검사 유체 내의 물질 집성 지수(AI: aggregation index)를 산출하기 위해 1차적으로 피검사 유체의 거동을 제어한다.
유체주입부(120) 및 유체배출부(140)는 피검사 유체인 혈액(1)이 주입 및 배출되도록 마련된다. 유체주입부(120)는 주입되는 피검사 유체를 수령하여 유체주입부(120)와 유체배출부(140) 사이에 마련된 유체거동부(160)로 피검사 유체를 공급한다. 그리고, 유체배출부(140)는 유체거동부(160) 내에서 검사가 완료되어 배출되는 피검사 유체를 수령한다.
유체거동부(160)는 유체주입부(120)로부터 공급된 피검사 유체의 거동을 위해 마련된다. 유체거동부(160)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피검사 유체가 수령되어 거동되는 거동 공간인 챔버(162)와, 챔버(162)를 사이에 두고 유체주입부(120)에 연결되는 제1연결부(164)와, 제1연결부(164)에 대향 배치되며 검사가 끝난 유체를 유체배출부(140)로 안내하는 제2연결부(166)를 포함한다.
챔버(162)는 유체주입부(120)로부터의 피검사 유체를 수령한다. 챔버(162)는 유체주입부(120)로부터 수령된 피검사 유체의 거동이 충분히 발생될 수 있는 크기로 마련된다.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유체주입부(120)에 주입되는 피검사 유체의 용량이 10ml일 경우. 챔버(162)는 10ml의 피검사 유체의 거동을 위해 12ml 정도의 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피검사 유체를 수령할 수 있는 챔버(162)의 크기는 12ml 보다 더 클 수도 있다. 챔버(162)의 크기는 피검사 유체의 주입 용량에 대응하여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전극부(180)는 유체거동부(160) 즉, 챔버(162)를 형성하는 유체거동부(160)의 외곽을 따라 원주 방향으로 등간격을 가지고 배치된다. 전극부(180)는 챔버(162) 내부에 수령된 피검사 유체의 거동을 유도하기 위해 전기장을 발생한다. 전극부(180)는 유체거동부(160)의 외곽에 상호 대향 배치되는 적어도 2개의 전극부가 마련된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로서, 전극부(180)는 챔버(162) 내부에 수령된 피검사 유체의 거동이 원활하게 되도록 4개가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의 전극부(180)는 제1전극부(182), 제2전극부(184), 제3전극부(186) 및 제4전극부(188)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의 제1전극부(182), 제2전극부(184), 제3전극부(186) 및 제4전극부(188)는 유체거동부(160)의 외곽을 따라 원주 방향으로 등간격을 가지고 배치된다. 즉, 제1전극부(182)는, 제2전극부(184), 제3전극부(186) 및 제4전극부(188)는 원형의 유체거동부(160)의 외곽을 따라 90도의 간격을 가지고 배치된다. 물론, 전극부(180)의 개수가 변경되면, 전극부(180) 사이의 간격 또한 변경된다. 그러나, 전극부(180)는 등간격을 가지고 배치되어야 챔버(162) 내부의 피검사 유체 거동이 균일하게 된다.
스위칭회로부(190)는 전극부(180)로 인가되는 전원을 인가 및 차단한다. 스위칭회로부(190)는 복수의 전극부(180)에 교호적으로 전원이 인가되도록 전원의 인 가 및 차단을 스위칭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의 스위칭회로부(190)는 4개의 전극부(180)에 전원이 선택적으로 인가되도록 전원 인가 및 차단을 스위칭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스위칭회로부(190)는 npn 바이폴라 트랜지스터(BJT: bipolar junction transistor)가 사용된다. 이에, 제1전극부(182) 및 제2전극부(184)는 스위칭회로부(190)에 의해 전원이 선택적으로 인가되며, 반면 제3전극부(186) 및 제4전극부(188)는 일정 전압 값이 유지된다.
예를 들어, 제3전극부(186)에 인가되는 전압(
Figure 112009062577123-pat00001
)은 10V로 전압 값이 유지되고, 제4전극부(188)에 인가되는 전압(
Figure 112009062577123-pat00002
)은 0V로 전압 값이 유지된다. 그러나, 제1전극부(182) 및 제2전극부(184)에는 선택적으로 각각 전압(
Figure 112009062577123-pat00003
,
Figure 112009062577123-pat00004
)이 10V 및 0V로 인가된다. 스위칭회로부(190)의 작동에 의한 전원이 전극부(180)로 인가 및 차단되는 작동 과정에 대해서는 후술할 미세유체 검사 장치(10)의 작동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발광부(300)는 챔버(162)의 일측에 마련되어, 챔버(162)로 빛이 조사될 수 있도록 빛을 발광하는 장치이다. 이때, 발광부(300)는 피검사 유체인 혈액(1) 내 적혈구(3)의 집성 상태의 변화가 생긴 후 빛을 조사할 수 있도록 피검사 유체의 거동이 끝난 후 작동된다. 그리고, 발광부(300)는 적혈구(3)의 집성 상태 변화에 따른 빛의 투과율을 산출하기 위해 전극부(180)에 의한 피검사 유체 거동 후 기설정된 시간 동안 작동된다. 발광부(3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레이저 다이오드가 사용된다. 그러나, 발광부(300)는 레이저 다이오드뿐만 아니라, 빛을 발광할 수 있는 다양한 공지된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수광부(400)는 챔버(162)를 사이에 두고 발광부(300)의 반대편에 마련되어, 발광부(300)로부터 조사된 빛을 수광한다. 수광부(400)는 기설정 시간 동안 발광부(300)로부터 발광된 빛을 수광한다. 이렇게 기설정 시간 동안 수광부(400)로 수광된 빛의 양에 따라 혈액(1) 내 적혈구(3)의 집성 상태를 알 수 있다.
입력부(600)는 전술한 스위칭회로부(190), 발광부(300) 및 수광부(400)가 작동되도록 작동 신호를 입력 받는다. 그리고, 출력부(700)는 입력부(600)에 입력된 작동 신호에 따라 산출되는 적혈구(3)의 집성 지수를 출력한다. 출력부(700)는 LCD와 같은 디스플레이가 사용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제어부(900)는 기설정된 시간 동안 발광부(300)로부터 조사된 빛과 수광부(400)에 의해 수광된 빛의 양에 기초하여, 발광부(300)로부터 조사된 빛과 수광부(400)에 의해 수광된 빛의 비를 산출한다. 또한, 제어부(900)는 산출된 빛의 비를 이용하여 혈액 내 적혈구(3)의 집성 지수를 산출하여 출력되도록 출력부(700)를 제어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미세유체 검사 장치(10)의 작동 과정에 대해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미세유체 검사 장치의 제1작동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미세유체 검사 장치의 작동에 따른 유체의 거동 시물레이션,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미세유체 검사 장치의 제2작동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미세유체 검사 장치의 작동에 따른 유체의 거동 시뮬레이션, 그리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미세유 체 검사 장치의 각각의 전극부에 인가되는 전압 변화 그래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피검사 유체를 유체주입부(120)에 주입한다. 유체주입부(120)에 주입된 피검사 유체는 제1연결부(164)를 통해 유체거동부(160)의 챔버(162)로 안내된다. 유체주입부(120)로 주입된 피검사 유체가 챔버(162) 내부로 유동된 후, 챔버(162) 내부의 피검사 유체를 거동하기 위해 입력부(600)에 작동 신호를 인가한다.
제1전극부(182)에 전압(
Figure 112009062577123-pat00005
) 10V를 인가하면 스위칭회로부(190)는 OV 되고, 제2전극부(184)의 전압(
Figure 112009062577123-pat00006
)이 0V로 출력된다. 여기서, 제3전극부(186)의 전압(
Figure 112009062577123-pat00007
)은 10V로 유지되고, 제4전극부(188)의 전압(
Figure 112009062577123-pat00008
)은 OV를 유지한다.
제1전극부(182)와 제2전극부(184)의 전압(
Figure 112009062577123-pat00009
,
Figure 112009062577123-pat00010
)에 의해 전기장이 발생하여, 도 6과 같이 제1전극부(182)와 제2전극부(184) 사이 및 제3전극부(186)와 제4전극부(188) 사이에 피검사 유체의 거동이 발생된다.
한편,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6의 과정 후 제1전극부(182)에 인가된 전압(
Figure 112009062577123-pat00011
)을 차단하면 스위칭회로부(190)는 OFF되고, 제2전극부(184)의 전압(
Figure 112009062577123-pat00012
)이 10V로 출력된다. 이에, 제1전극부(182)와 제3전극부(186) 사이 및 제2전극부(184)와 제4전극부(188) 사이에서 전기장이 발생하여 피검사 유체의 거동이 발생된다.
이러한 제1전극부(182)의 전압(
Figure 112009062577123-pat00013
)과 제2전극부(184)의 전압(
Figure 112009062577123-pat00014
)을 시간에 대한 전압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는 도 9에 도시되어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전극부(182)의 전압(
Figure 112009062577123-pat00015
)과 제2전극부(184)의 전압(
Figure 112009062577123-pat00016
)은 시간에 따라 상반되게 변동된다. 여기서, 스위칭되는 제1전극부 의 전압(
Figure 112009062577123-pat00017
) 및 제2전극부(184)에 대한 전압(
Figure 112009062577123-pat00018
)은 스위칭회로부(190)로 사용되는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특성 상 OV로 출력되지 않는다. 물론,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로 사용되는 스위칭회로부(190)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일 뿐, 전극부(180)에 선택적으로 전원을 인가 및 차단할 수 있는 공지된 다양한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미세유체 검사 장치의 시간에 따른 빛의 밀도 변화 그래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5 내지 도 8의 일련의 작동 과정에 따라 거동된 피검사 유체의 거동이 멈춘 후, 빛을 조사하여 빛의 밀도를 산출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피검사 유체 내의 물질 집성 지수, 즉 피검사 유체인 혈액(1)의 적혈구(3) 집성 지수를 산출할 수 있다.
피검사 유체의 거동이 정지된 상태에서 발광부(300)를 작동시켜 빛을 조사하면, 'a'와 같이 적혈구(3)가 코인 형상으로 집성된 상태이므로 빛의 밀도는 최대값을 가진다.
스위칭회로부(190)의 작동에 의해 전극부(180)에 전원이 선택적으로 인가되면 챔버(162) 내부의 피검사 유체가 거동되고, 전극부(180)에 전원을 차단하면 피검사 유체의 거동이 멈추게 된다. 피검사 유체의 거동 및 정지 사이에서의 빛의 밀 도는 집성된 적혈구(3)의 분산 때문에 'b'와 같이 점점 감소한다.
피검사 유체의 거동이 완전히 정지된 후, 빛의 밀도는 분산된 적혈구(3)의 집성되면서 'c'와 같이 점점 증가하게 된다.
이러한 빛의 밀도의 변화량을 이용하여 10초간의 빛의 밀도를 산출하여 적혈구(3)의 집성 지수를 다음과 같은 <식>으로 산출할 수 있다.
<식>
Figure 112009062577123-pat00019
그러므로, 기설정된 시간동안 피검사 유체를 통과하는 빛의 양, 즉 빛의 밀도를 측정하면 피검사 유체인 혈액(1)의 적혈구(3) 집성 지수를 산출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병리적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이에, 전기장을 발생시켜 피검사 유체의 거동을 제어할 수 있는 복수의 전극부를 설치함으로써, 전체적인 크기를 간소 및 축소화 시켜 제품의 휴대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들이 변경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혈액 내의 적혈구가 집성 및 분산되는 개략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미세유체 검사 장치의 개략 구성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미세유체 검사 장치의 미세유체소자 개략 구성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미세유체소자의 스위칭회로부의 회로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미세유체 검사 장치의 제1작동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미세유체 검사 장치의 작동에 따른 유체의 거동 시물레이션,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미세유체 검사 장치의 제2작동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미세유체 검사 장치의 작동에 따른 유체의 거동 시뮬레이션,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미세유체 검사 장치의 각각의 전극부에 인가되는 전압 변화 그래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미세유체 검사 장치의 시간에 따른 빛의 밀도 변화 그래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미세유체 검사 장치 100: 미세유체소자
120: 유체주입부 140: 유체배출부
160: 유체거동부 162: 챔버
180: 전극부 182: 제1전극부
184: 제2전극부 186: 제3전극부
188: 제4전극부 190: 스위칭회로부
300: 발광부 400: 수광부
900: 제어부

Claims (7)

  1. 피검사 유체가 주입 및 배출되는 유체주입부 및 유체배출부와;
    상기 유체주입부와 상기 유체배출부의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유체주입부 및 상기 유체배출부를 상호 연결하며, 상기 유체주입부에 주입된 피검사 유체가 거동되는 챔버가 형성된 유체거동부와;
    상기 유체거동부의 외곽에 상호 대향 배치되어, 상기 챔버 내부에서 피검사 유체가 거동되도록 전기장을 발생하는 적어도 2개의 전극부; 및
    상기 전극부로 인가되는 전원을 인가 및 차단하는 스위칭회로부를 포함하는 미세유체소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부는 상기 유체거동부의 외곽을 따라 원주 방향으로 등간격을 가지고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유체소자.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회로부는 적어도 2개의 상기 전극부에 교호적으로 전원이 인가되도록 전원의 인가 및 차단을 스위칭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유체소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검사 유체는 혈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유체소자.
  6. 피검사 유체가 주입 및 배출되는 유체주입부 및 유체배출부와;
    상기 유체주입부와 상기 유체배출부의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유체주입부로부터 및 상기 유체배출부를 상호 연결하며, 상기 유체주입부에 주입된 피검사 유체가 거동되는 챔버가 형성된 유체거동부와;
    상기 유체거동부의 외곽을 따라 원주 방향으로 등간격을 가지고 배치되어, 상기 챔버 내부에서 피검사 유체가 거동되도록 전기장을 발생시키는 4개의 전극부와;
    4개의 상기 전극부에 전원이 선택적으로 인가되도록 전원을 인가 및 차단하는 스위칭회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유체소자.
  7. 제1항, 제2항 및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미세유체소자와;
    상기 챔버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챔버 내부의 피검사 유체가 거동된 후, 기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챔버로 빛을 조사하는 발광부와;
    상기 챔버의 타측에 마련되어, 상기 기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발광부로부터 조사되어 상기 챔버를 통과한 빛을 수광하는 수광부와;
    상기 기설정된 시간 동안의 상기 발광부로부터 조사된 빛과 상기 수광부에 의해 수광된 빛의 양에 기초하여, 상기 발광부로부터 조사된 빛과 상기 수광부에 의해 수광된 빛의 비를 산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유체 검사 장치.
KR1020090097117A 2009-10-13 2009-10-13 미세유체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미세유체 검사 장치 KR1010654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7117A KR101065493B1 (ko) 2009-10-13 2009-10-13 미세유체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미세유체 검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7117A KR101065493B1 (ko) 2009-10-13 2009-10-13 미세유체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미세유체 검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0007A KR20110040007A (ko) 2011-04-20
KR101065493B1 true KR101065493B1 (ko) 2011-09-16

Family

ID=440464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7117A KR101065493B1 (ko) 2009-10-13 2009-10-13 미세유체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미세유체 검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549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90732A1 (en) 2000-03-15 2002-12-19 Jing Cheng Apparatus and method for high throughput electrorotation analysis
JP2003202321A (ja) * 2001-11-08 2003-07-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チップ上の電気的な微細検出器
KR20080005224A (ko) * 2005-05-06 2008-01-10 유재천 디지털 바이오 디스크 및 디지털 바이오 디스크 드라이버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90732A1 (en) 2000-03-15 2002-12-19 Jing Cheng Apparatus and method for high throughput electrorotation analysis
JP2003202321A (ja) * 2001-11-08 2003-07-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チップ上の電気的な微細検出器
KR20080005224A (ko) * 2005-05-06 2008-01-10 유재천 디지털 바이오 디스크 및 디지털 바이오 디스크 드라이버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0007A (ko) 2011-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72589B2 (en) Electrosurgical system
JP5824281B2 (ja) 電気泳動装置、および電気泳動装置の制御方法
US10613051B2 (en) Particle analyzers and particle test control methods and devices thereof
CN107209096B (zh) 流体抽吸和温度调节
RU2709822C2 (ru) Система формирования электрических импульсов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емкостной связи
CN207529652U (zh) 一种血液分析仪及其蜂鸣器音量调节驱动电路
CN101135682A (zh) 微流体测试装置和方法
KR101065493B1 (ko) 미세유체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미세유체 검사 장치
WO2016122707A1 (en) Multi-threaded fluid parameter signal processing
KR101382366B1 (ko) 기계적 자극 감지 세포에 기계적 자극을 제공하기 위한, 기계적 자극 제공 장치 및 방법
CN102614823B (zh) 具有气泡的微流体系统及其气体放电方法与气体反应方法
CN103091640B (zh) 一种电池测试方法和装置
KR20130066291A (ko) 회수 가능한 세포 카운터 시스템
TWI475214B (zh) 生物檢體檢測裝置及生物檢體檢測方法
JP2004093400A (ja) NOxセンサ及び酸素センサの動作を模擬するシミュレータ
KR101748918B1 (ko) 배터리 밸런싱 상태 표시 장치 및 방법
JP6664046B2 (ja) プラズマ照射処理装置、その評価装置及び評価方法、その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並びに、膜の製造方法
CN207586175U (zh) 蛋白电泳报警器
CN108806658A (zh) 一种血液分析仪及其蜂鸣器音量调节驱动电路
WO2008013056A1 (fr) Dispositif de traitement à basse fréquence et son procédé d&#39;examen d&#39;état de fixation par plages de connexion
CN106918781B (zh) 便携式检测电路装置及检测方法
CN108430318B (zh) 微流体系统
US20190072540A1 (en) Electrical characteristics measurement apparatus, electrical characteristics measurement system, electrical characteristics measurement method, and program
JP2020054378A (ja) 塩基配列検出チップ
BR112023000416A2 (pt) Analisador, porta-filtro e sistema ejetor, célula de detecção de hemoglobina, coletor de fragmentos, e, acoplad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5

Year of fee payment: 7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