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5421B1 - 발목 펌핑운동용 승강장치 - Google Patents

발목 펌핑운동용 승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5421B1
KR101065421B1 KR1020100116204A KR20100116204A KR101065421B1 KR 101065421 B1 KR101065421 B1 KR 101065421B1 KR 1020100116204 A KR1020100116204 A KR 1020100116204A KR 20100116204 A KR20100116204 A KR 20100116204A KR 101065421 B1 KR101065421 B1 KR 1010654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ing
ankle
pumping
members
exerci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62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31959A (ko
Inventor
정동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동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동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동기업
Publication of KR201001319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19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54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54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63B23/08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for ankle join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2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using rollers, wheels, castors or the like, e.g. gliding means, to be moved over the floor or other surface, e.g. guide tracks, during exercising
    • A63B22/201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using rollers, wheels, castors or the like, e.g. gliding means, to be moved over the floor or other surface, e.g. guide tracks, during exercising for moving a support element in reciprocating translation, i.e. for sliding back and forth on a guide track
    • A63B22/20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using rollers, wheels, castors or the like, e.g. gliding means, to be moved over the floor or other surface, e.g. guide tracks, during exercising for moving a support element in reciprocating translation, i.e. for sliding back and forth on a guide track in a substantially vertical plane, e.g. for exercising against grav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06Percussion or tapping massag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2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using rollers, wheels, castors or the like, e.g. gliding means, to be moved over the floor or other surface, e.g. guide tracks, during exercising
    • A63B22/201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using rollers, wheels, castors or the like, e.g. gliding means, to be moved over the floor or other surface, e.g. guide tracks, during exercising for moving a support element in reciprocating translation, i.e. for sliding back and forth on a guide track
    • A63B22/208On a track which is itself moving during exercis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목 펌핑운동용 승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발목을 펌핑롤(pumping roll)에 상하로 펌핑운동을 행할 시 다리를 별도의 승강수단을 사용하여 손쉽게 들어 올릴 수 있도록 하되 발목이 대퇴부를 기점으로 원호운동을 행하면서 승강하므로 발목이 꺾여 통증을 유발하는 문제점을 일소하고, 보다 간단한 장치 구성으로 원가절감과 함께 장치의 작동 신뢰성 확보 및 부피도 콤팩트하게 구성토록 하여 이동 및 보관 편의성을 극대화시킨 발목 펌핑운동용 승강장치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좌우로 승강개구를 갖는 커버케이싱을 기대 상부에 커버링 될 수 있도록 설치하고, 상기 기대 내부에서 좌우 승강개구를 통해 상하로 승강할 수 있도록 좌우 승강부재에 좌우 발 안치판이 설치된 좌우 승강수단을 구비한 발목 펌핑운동용 승강장치에 있어서, 상기 좌우 승강부재는 전방 상측으로 기울기를 갖도록 기대에 고정설치된 좌우 가이드포스트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좌우 승강부재와 좌우 발 안치판은 각각 축핀으로 각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좌우 승강부재는 좌우 타이밍벨트 일단부가 연결되며, 상기 좌우 타이밍벨트는 기대 좌우의 상하에 각각 설치된 가이드로울러에 안내 권설됨과 동시에 좌우 모터의 원동축에 각각 축고정된 기어치가 일부만 형성된 좌우 구동기어와 맞물림되도록 하며, 상기 좌우 타이밍벨트의 반대측 단부가 기대에 고정된 좌우 와이어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발목 펌핑운동을 행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누운 후 발목 후측이 펌핑롤에 연접되도록 한 상태에서 장치를 가동하면 좌우의 발을 승강부재에 설치된 안치판이 사전에 설정한 횟수 만큼 승강부재의 승강작동에 의해 자동으로 상승 및 자연낙하시켜 발목 펌핑운동이 행해지도록 하여 사전 발목 결속을 행하는 등의 번거로움을 일소할 수 있으며, 발목을 결속부재로 결속하지 않아 혈액순환 촉진을 더욱 원활하게 하여 소기의 펌핑운동 효과를 득할 수 있고, 특히 발목 승강운동 시 원호형으로 승강부재가 승강되도록 하여 발목 하부에 통증을 유발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으며, 장치의 구성이 간단하고 작동의 신뢰성을 줄 수 있어 상용화에 크게 일조할 수 있으며, 장치를 보다 콤팩트하게 제작이 가능하여 이동 및 보관상의 편익도 제공받을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발목 펌핑운동용 승강장치{Lifting device for an ankle pumping exercise}
본 발명은 발목 펌핑운동용 승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발목을 펌핑롤(pumping roll)에 상하로 펌핑운동을 행할 시 다리를 별도의 승강수단을 사용하여 손쉽게 들어 올릴 수 있도록 하되 발목이 대퇴부를 기점으로 원호운동을 행하면서 승강하므로 발목이 꺾여 통증을 유발하는 문제점을 일소하고, 보다 간단한 장치 구성으로 원가절감과 함께 장치의 작동 신뢰성 확보 및 부피도 콤팩트하게 구성토록 하여 이동 및 보관 편의성을 극대화시킨 발목 펌핑운동용 승강장치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발목 펌핑운동은 일본의 저명한 비의학 자연 치유학의 권위자인 이나가키 씨의 '발목펌핑운동' 이론에 근거한 운동법으로, 다리를 들어 발목 후측 아킬레스건 부위를 펌핑롤에 다리 자중에 의해 낙하시켜 보행 부족 해소는 물론 혈액순환을 촉진시켜 질병 치료에도 크게 보탬이 되는 운동이다.
이러한 발목 펌핑운동은 침구에 펌핑롤을 안치한 후 사용자가 다리를 직접 들어 올린 후 낙하시켜야 하므로 복근이 부실하거나 하체가 약한 사용자는 수회 실행하지 못하고 결국 포기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라 발목 펌핑운동 효과를 장기적으로 지속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체력이 뒷받침되는 사용자라 하더라도 약 10분 정도 펌핑운동을 하게 되면 자연스럽게 수면을 취하는 경우가 많아 소망하는 횟수 만큼 펌핑운동을 지속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던 것이다.
이에 본 발명자는 발목 펌핑운동을 행할 시 사용자가 다리를 일정 높이까지 별도의 구동원을 이용하여 손쉽게 상승시킨 후 펌핑롤에 다리의 자중에 의해 발목 후측이 연접될 수 있도록 하여 발목 펌핑운동을 매우 손쉽게 행할 수 있도록 한 발목 펌핑운동용 승강장치를 선특허 받은 바 있다.
국내특허 제 10-859015 호의 경우 구동원으로 2개의 모터를 사용함으로써 제조원가가 앙등되고, 디스크의 회전각도를 제한할 수 있도록 설치된 각도제한수단이 작동 시 소음발생 요인으로 작용하였으며, 제1,2평기어가 상호 기어물림 및 기어이격 시에 소음 및 진동이 발생되고, 기어치 시작 지점과 끝 지점의 마모가 신속하게 진행되어 장치의 내구성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을 안고 있어서, 이를 해결코자, 본 발명자가 선특허 받은 국내특허 제 10-0878592 호의 경우 발목 펌핑운동을 행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발을 결속하면 단일의 정역모터로 이루어진 구동원의 정역 회전운동에 의해 좌우로 설치된 승강수단이 클러치베어링에 의해 교호로 승강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장치의 제조원가를 대폭 절감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제1평기어와 제2평기어가 기어물림 및 기어이격 시에 발생되는 소음, 진동, 마모률을 완충부재를 사용하여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었다.
그러나 상기한 선행 특허의 경우 발목 펌핑운동을 위해 발목을 결속시킬 수 있는 결속수단이 필요하여 사용자가 발목을 일일이 결속 및 해제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발목 결속으로 인해 혈액 순환도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펌핑운동의 효과를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지적되었고, 더불어 장치의 부피도 커지게 되어 이동 및 보관상에도 문제가 지적되었던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코자 본 발명자는 국내 특허출원 제 10-2010-0078269 호로 발목을 결속치 않고도 발목펌핑운동을 행할 수 있도록 발목펌핑운동기구를 선출원한 바 있으나, 상기한 선행 특허들은 발목 펌핑운동을 행할 시에 발목이 원호운동을 하면서 승강한다는 점을 간과하여 발목 후측이 통증을 유발하여 장시간 펌핑운동을 행할 수 없다는 문제점을 안고 있었으며, 그 구성이 복잡하여 원가앙등 및 장치의 부피가 커질 수 밖에 없어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단이 절실히 요망되었던 것이다.
[문헌 1] 대한민국 특허 제 10-859015 호 [문헌 2] 대한민국 특허 제 10-878592 호 [문헌 3]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 10-2010-0078269 호
이에 본 발명에서는 본 발명자가 선 특허받은 발목 펌핑운동용 승강장치 및 선 특허출원한 발목 펌핑운동용 승강장치가 갖는 문제점을 일소할 수 있는 새로운 구성의 발목 펌핑운동용 승강장치를 제공코자 하는 것으로서,
특히, 본 발명은 사용자가 발목을 승강발판에 안치토록 하여 결속하는 번거로움을 일소시키고, 발목이 승강시 원호운동을 하므로 발목 하부에 가해지는 통증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하며, 장치의 구성을 보다 간단하고 작동이 원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원가절감 및 작동의 신뢰성을 보장함과 동시에 부피를 콤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도록 하여 이동 및 보관상의 편익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발목 펌핑운동용 승강장치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발목 펌핑운동용 승강장치는 커버케이싱에 형성된 좌우 승강개구를 통해 승강될 수 있는 발 안치판을 가진 승강부재를 설치하되, 상기 승강부재는 전방 상측으로 기울기를 갖도록 기대에 고정설치된 가이드포스트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승강부재와 발 안치판은 축핀으로 각운동이 가능하게 설치하여 발이 대퇴부를 기점으로 원호운동으로 상승할 시에 꺾이면서 통증을 유발하는 것을 방지토록 하며, 상기 승강부재의 승강작동을 행하는 구동원은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기어치가 일부만 형성된 구동기어와 타이밍벨트를 사용하거나, 또는 기어치가 전부 형성된 구동기어를 클러치베어링에 축고정하여 일방향으로만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고 반대방향으로는 공회전될 수 있도록 하되, 상기 타이밍벨트는 승강부재와 일단부가 연결되고 기대 상부 및 하부에 설치된 가이드로울러에 안내 권설됨과 동시에 모터의 원동축에 축고정된 구동기어와 맞물림되도록 하며, 상기 타이밍벨트의 반대측 단부는 기대에 고정된 와이어와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발목 펌핑운동용 승강장치는 발목 펌핑운동을 행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누운 후 발목 후측이 펌핑롤에 연접되도록 한 상태에서 장치를 가동하면 좌우의 발을 승강부재에 설치된 안치판이 사전에 설정한 횟수 만큼 승강부재의 승강작동에 의해 자동으로 상승 및 자연낙하시켜 발목 펌핑운동이 행해지도록 하여 사전 발목 결속을 행하는 등의 번거로움을 일소할 수 있으며, 발목을 결속부재로 결속하지 않아 혈액순환 촉진을 더욱 원활하게 하여 소기의 펌핑운동 효과를 득할 수 있고, 특히 발목 승강운동 시 원호형으로 승강부재가 승강되도록 하여 발목 하부에 통증을 유발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으며, 장치의 구성이 간단하고 작동의 신뢰성을 줄 수 있어 상용화에 크게 일조할 수 있으며, 장치를 보다 콤팩트하게 제작이 가능하여 이동 및 보관상의 편익도 제공받을 수 있는 등 다수의 효과를 제공받을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발목 펌핑운동용 승강장치의 외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발목 펌핑운동용 승강장치의 내부 구성을 보인 측단면도서, 승강부재가 하강한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발목 펌핑운동용 승강장치의 내부 구성을 보인 측단면도서, 승강부재가 상승한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발목 펌핑운동용 승강장치에 있어서, 승강수단의 내부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발목 펌핑운동용 승강장치의 작용상태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발목 펌핑운동용 승강장치의 내부 구성 중 일부 다른 실시예를 보인 측단면도서, 승강부재가 하강한 상태도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발목 펌핑운동용 승강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5와 함께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개략 박스체로 구성되는 발목 펌핑운동용 승강장치 커버케이싱(1)을 기대(2) 상부에 커버링 될 수 있도록 설치하고, 상기 커버케이싱(1)에 의해 커버링 되는 기대(2)의 내부에는 좌우 승강수단(3,4)을 승강키 위한 구동원으로 좌우 모터(5,6)를 좌우 승강수단(3,4)과 각각 연결 설치한다.
즉, 상기 좌우 승강수단(3,4)은 전면에서 볼 때 좌우로 배치되어 승강할 수 있도록 설치되며, 좌우 승강수단(3,4)에 사용자의 좌우 발을 안치하기 위한 좌우 안치판(7,8)은 커버케이싱(1) 외측에서 상하로 승강작동이 가능토록 커버케이싱(1)의 전면에는 좌우로 승강개구(9,10)가 형성된다. 상기 좌우 안치판(7,8)에는 발을 안치시 접촉성을 좋게 하고 완충 등을 위한 좌우 완충패드(7a,8a)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대(2)의 전면에는 발목 후측을 타격하여 펌핑운동을 행할 수 있는 펌핑롤(11)이 설치되며, 상기 펌핑롤(11)은 별도로 준비하여 사용 시에만 기대(2)에 안치하거나 사용하는 매트 등에 안치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좌우 승강수단(3,4)은 기대(2)의 좌우로 가이드포스트(12,13)를 설치하고, 상기 좌우 가이드포스트(12,13)를 따라 안내 승강될 수 있는 좌우 승강부재(14,15)를 각각 결합하여, 상기 좌우 승강부재(14,15)가 좌우 모터(5,6)의 회전운동에 따라 승강될 수 있도록 좌우 타이밍벨트(16,17)의 일측 단부는 좌우 승강부재(14,15)에 각각 고정하고, 기대(2) 좌우의 상부 및 후측 하부에 각각 축설치된 가이드로울러(18,18a,19,19a)에 좌우 타이밍벨트(16,17)가 안내되도록 권설한 후 좌우 모터(5,6)의 원동축에 축고정된 좌우 구동기어(20,21)와 기어물림되도록 한 후 단부는 기대(2)에 고정된 좌우 와이어(22,22a)와 연결한다. 상기 좌우 구동기어(20,21)는 기어치(20a,21a)가 일부(약 원호의 반 정도)만 형성된 것을 사용한다.
그리고 상기 좌우 승강부재(14,15)에는 좌우 안치판(7,8)에 발을 안치한 후 상승할 시에 발은 대퇴부를 기점으로 하여 원호운동을 행하면서 상승하게 되므로 이때 발의 후측이 꺾이면서 좌우 안치판(7,8)과 접하게 되어 통증을 유발하게 되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좌우 승강부재(14,15)에 좌우 안치판(7,8)을 좌우 축핀(23,23a)을 사용하여 전방 하측으로 각운동 할 수 있도록 설치한다.
그리고 좌우 승강부재(14,15)가 승강시 안내되는 좌우 가이드포스트(12,13)는 수직으로 설치할 경우 전기한 바와 같이 발이 대퇴부를 기점으로 상승시 원호운동을 하므로 좌우 안치판(7,8)에서 점차 멀어지게 되어 통증을 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좌우 가이드포스트(12,13) 상부가 전방으로 소정 기울기를 갖도록 구성한다.
한편, 상기 좌우 모터(5,6)의 작동은 별도의 타이머(도시하지 아니함) 등에 의해 시간을 설정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부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서, 이는 상기 좌우 구동기어(20,21)의 기어치(20a,21a)가 외주연에 전부 형성된 구동기어(20,21)를 사용하여 구동기어(20,21) 가공에 따른 제조비용 등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것인 바, 상기 좌우 구동기어(20,21)를 일방향으로만 회전 구동하고, 반대방향으로는 공회전하는 좌우 클러치베어링(24,24a)-‘원웨이베어링’이라고도 칭함-과 고정하고, 상기 좌우 클러치베어링(24,24a)이 좌우 모터(5,6)의 구동축에 각각 축고정되도록 하여 좌우 모터(5,6)가 구동시에는 좌우 구동기어(20,21)가 각각 회전구동하고, 좌우 모터(5,6)가 정지시에는 반대방향으로 공회전토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은 경우 좌우 승강수단(3,4)의 하강을 보다 원활하게 작동되게 하기 위해 좌우 승강부재(14,15)와 커버케이싱(1) 하부 사이에는 스프링과 같은 좌우 탄성복원부재(25,25a)를 탄력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될 수 있는 본 발명을 사용하여 발목 펌핑운동을 행하고자 할 시에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기대(2) 전면으로 (침구 또는 매트 등을 깔고) 사용자가 누운 후 좌우 발을 좌우 안치판(7,8) 상부에 안치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좌우 승강수단(3,4)을 승강구동시키는 좌우 모터(5,6)를 작동 제어하면 먼저 우측 모터(6)가 기동하여 심장의 반대쪽 다리인 우측 다리를 약 15~25회 정도 우측 승강수단(4)의 승강작동에 의해 승강시킨 후에는 좌측 다리를 승강시키는 좌측 모터(5)의 구동에 의해 좌측 승강수단(3)이 좌측 다리를 약 15~25회 정도 승강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기 좌우 승강수단(3,4)에 의한 다리의 승강횟수도 임의로 셋팅이 가능한 것이며, 이러한 좌우 모터(5,6)와 타이머의 구동제어는 일반적인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키로 한다.
상기 좌우 모터(5,6)의 선택적인 구동에 의해 좌우 모터(5,6)의 원동축에 축고정된 좌우 구동기어(20,21)가 회전 구동하면서 이에 기어물림된 좌우 타이밍벨트(16,17)에 의해 좌우 승강수단(3,4)을 승강시키게 된다.
즉, 상기 좌우 승강수단(3,4)을 구성하는 좌우 승강부재(14,15)가 좌우 가이드포스트(12,13)에 각각 승강 안내될 수 있도록 조립되어 있고, 상기 좌우 승강부재(14,15)는 좌우 타이밍벨트(16,17)와 연결되고, 상기 좌우 타이밍벨트(16,17)는 좌우 구동기어(20,21)에 일부만 형성된 기어치(20a,21a)와 기어물림되어 있어 좌우 구동기어(20,21)가 회전구동시 기어치(20a,21a)가 있는 부분에서만 좌우 타이밍벨트(16,17)가 기어물림되어 당겨지게 되어 좌우 승강부재(14,15)가 상승하고, 기어치(20a,21a)가 없는 부분에서는 발의 무게 및 좌우 승강부재(14,15)의 자중에 의해 좌우 승강부재(14,15)가 좌우 가이드포스트(12,13)를 따라 자연낙하(=하강)하는 작동을 반복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좌우 승강부재(14,15)는 상승시 발은 대퇴부를 기점으로 하여 원호운동을 하면서 상승하므로 이때 발의 하부가 안치되어 있는 좌우 안치판(7,8)은 발의 원호운동에 대응하여 자체 각운동 및 전방으로 기울기를 갖고 상승운동을 하게 된다.
이는 상기 좌우 승강부재(14,15)가 전방 상측으로 기울기를 가진 좌우 가이드포스트(12,13)에 안내되면서 승강을 행하므로 발의 원호운동에 부합하여 승강을 행하게 되며, 발이 상승한 경우 발목 부분이 꺾이지 않도록 좌우 승강부재(14,15)에 좌우 축핀(23,23a)으로 좌우 안치판(7,8)이 각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어 발이 상승하더라도 발목이 꺾여 좌우 안치판(7,8)의 전측 부분에 압박을 받으면서 통증을 유발하는 문제점을 일소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좌우 승강부재(14,15)가 자연낙하로 하강 시에 사용자의 발목 후측은 펌핑롤(11)에 타격하면서 연접되어 발목 펌핑운동을 손쉽게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 6과 같이 기어치(20a,21a)가 외주연에 전부 형성된 좌우 구동기어(20,21)에 좌우 클러치베어링(24,24a)을 축고정하여 일방향으로만 회전구동하고, 반대방향으로는 공회전하는 좌우 구동기어(20,21)를 사용할 경우 좌우 모터(5,6)가 구동시에만 좌우 클러치베어링(24,24a)에 의해 좌우 구동기어(20,21)가 회전을 하여 좌우 타이밍벨트(16,17)를 당기게 되어 좌우 승강부재(3,4)가 상승을 하게 되고, 좌우 모터(5,6)가 정지하면 좌우 승강부재(3,4)의 자중 및 사용자의 발의 무게, 그리고 좌우 탄성복원부재(25,25a)의 복원탄성에 의해 좌우 클러치베어링(24,24a)이 축고정된 좌우 구동기어(20,21)는 구동 상태와 반대방향으로 공회전을 하게 되어 좌우 승강부재(3,4)는 하강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발목 펌핑운동을 행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누운 후 발을 좌우 승강부재(14,15)에 각도조절 가능하게 설치된 좌우 안치판(7,8)에 각각 안치하고 발목 후측이 펌핑롤(11)에 연접되도록 한 상태에서 장치를 가동하면 좌우의 발을 사전에 설정한 횟수 만큼 좌우 모터(5,6)가 구동하여 좌우 구동기어(20,21) 및 좌우 타이밍벨트(16,17)에 의해 자동으로 상승 및 자연낙하시켜 발목 펌핑운동이 행해지도록 하여 사전 발목 결속을 행하는 등의 번거로움을 일소할 수 있으며, 발목을 결속부재로 결속하지 않아 혈액순환 촉진을 더욱 원활하게 하여 소기의 펌핑운동 효과를 득할 수 있고, 발이 대퇴부를 기점으로 상승 시 원호운동을 행한다는 점에 착안하여 좌우 가이드포스트(12,13)를 전방 상측으로 기울기를 갖도록 하고, 좌우 승강부재(14,15)에 좌우 안치판(7,8)을 좌우 축핀(23,23a)으로 각도조절 가능하게 설치하여 발목이 꺾여 통증을 유발하는 등의 문제점을 일소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1: 커버케이싱 2: 기대 3,4: (좌우)승강수단 5,6: (좌우)모터 7,8: (좌우 발)안치판 7a,8a: (좌우)완충패드 9,10: (좌우)승강개구 11: 펌핑롤 12,13: (좌우)가이드포스트 14,15: (좌우)승강부재 16,17: (좌우)타이밍벨트 18,18a,19,19a: (좌우 상하)가이드로울러 20,21: (좌우)구동기어 20a,21a: 기어치 22,22a: (좌우)와이어 23,23a: (좌우)축핀 24,24a: (좌우)클러치베어링 25,25a: (좌우)탄성복원부재

Claims (2)

  1. 좌우로 승강개구를 갖는 커버케이싱을 기대 상부에 커버링 될 수 있도록 설치하고, 상기 기대 내부에서 좌우 승강개구를 통해 상하로 승강할 수 있도록 좌우 승강부재에 좌우 발 안치판이 설치된 좌우 승강수단을 구비한 발목 펌핑운동용 승강장치에 있어서;
    상기 좌우 승강부재는 전방 상측으로 기울기를 갖도록 기대에 고정설치된 좌우 가이드포스트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좌우 승강부재와 좌우 발 안치판은 각각 축핀으로 각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좌우 승강부재는 좌우 타이밍벨트 일단부가 연결되며,
    상기 좌우 타이밍벨트는 기대 좌우의 상하에 각각 설치된 가이드로울러에 안내 권설됨과 동시에 좌우 모터의 원동축에 각각 축고정된 기어치가 일부만 형성된 좌우 구동기어와 맞물림되도록 하며, 상기 좌우 타이밍벨트의 반대측 단부가 기대에 고정된 좌우 와이어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목 펌핑운동용 승강장치.
  2. 좌우로 승강개구를 갖는 커버케이싱을 기대 상부에 커버링 될 수 있도록 설치하고, 상기 기대 내부에서 좌우 승강개구를 통해 상하로 승강할 수 있도록 좌우 승강부재에 좌우 발 안치판이 설치된 좌우 승강수단을 구비한 발목 펌핑운동용 승강장치에 있어서;
    상기 좌우 승강부재는 전방 상측으로 기울기를 갖도록 기대에 고정설치된 좌우 가이드포스트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좌우 승강부재와 좌우 발 안치판은 각각 축핀으로 각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좌우 승강부재는 좌우 타이밍벨트 일단부가 연결되며,
    상기 좌우 타이밍벨트는 기대 좌우의 상하에 각각 설치된 가이드로울러에 안내 권설됨과 동시에 좌우 모터의 원동축에 각각 축고정된 클러치베어링과 고정된 좌우 구동기어와 맞물림되도록 하며, 상기 좌우 타이밍벨트의 반대측 단부가 기대에 고정된 좌우 와이어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목 펌핑운동용 승강장치.
KR1020100116204A 2010-11-05 2010-11-22 발목 펌핑운동용 승강장치 KR1010654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9979A KR20100133330A (ko) 2010-11-05 2010-11-05 발목 펌핑운동용 승강장치
KR1020100109979 2010-11-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1959A KR20100131959A (ko) 2010-12-16
KR101065421B1 true KR101065421B1 (ko) 2011-09-19

Family

ID=4350781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9979A KR20100133330A (ko) 2010-11-05 2010-11-05 발목 펌핑운동용 승강장치
KR1020100116204A KR101065421B1 (ko) 2010-11-05 2010-11-22 발목 펌핑운동용 승강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9979A KR20100133330A (ko) 2010-11-05 2010-11-05 발목 펌핑운동용 승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10013333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0323B1 (ko) 2014-03-03 2015-02-06 문조영 발목 펌프 운동장치
KR101631434B1 (ko) * 2015-02-04 2016-06-17 동진프로텍 주식회사 발목 펌프 운동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7145B1 (ko) * 2014-07-21 2016-06-03 정동문 발목 펌핑운동용 승강장치
CN112957675A (zh) * 2021-04-16 2021-06-15 南京磁脉节能技术有限公司 踝泵运动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23091U (ko) * 1992-04-24 1993-11-25 권정일 전동식 다리 승강운동기구
KR200404007Y1 (ko) 2005-10-01 2005-12-15 광동정밀 주식회사 발목 자극 운동기구
KR100649276B1 (ko) 2004-10-29 2006-11-24 (주) 앵클맨 발목 펌프 운동기구
KR20100097637A (ko) * 2010-08-13 2010-09-03 정동문 발목 펌핑운동용 승강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23091U (ko) * 1992-04-24 1993-11-25 권정일 전동식 다리 승강운동기구
KR100649276B1 (ko) 2004-10-29 2006-11-24 (주) 앵클맨 발목 펌프 운동기구
KR200404007Y1 (ko) 2005-10-01 2005-12-15 광동정밀 주식회사 발목 자극 운동기구
KR20100097637A (ko) * 2010-08-13 2010-09-03 정동문 발목 펌핑운동용 승강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0323B1 (ko) 2014-03-03 2015-02-06 문조영 발목 펌프 운동장치
KR101631434B1 (ko) * 2015-02-04 2016-06-17 동진프로텍 주식회사 발목 펌프 운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3330A (ko) 2010-12-21
KR20100131959A (ko) 2010-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8592B1 (ko) 발목 펌핑운동용 승강장치
KR101065421B1 (ko) 발목 펌핑운동용 승강장치
KR101245792B1 (ko) 발목 펌핑운동용 승강장치
TWI606817B (zh) Lower limb vibration device
KR101490323B1 (ko) 발목 펌프 운동장치
CN104173154B (zh) 一种电动改变躺姿的多功能按摩床
CN104146846B (zh) 一种电动抬背屈腿病人护理多功能按摩床
US7118541B2 (en) Lie-down massager
JP2020054573A (ja) 踵落とし機
KR100859015B1 (ko) 발목 펌핑운동용 승강장치
JP2003190235A (ja) 足首回し健康器
CN109603090A (zh) 一种组合健身器材
KR200409961Y1 (ko) 흔들침대
CN105395348B (zh) 独立型两列陶瓷结构体
KR20100027517A (ko) 발목 펌핑운동용 승강장치
KR101208815B1 (ko) 관절 운동기구
KR20110121114A (ko) 운동기구가 형성된 의자
CN216168688U (zh) 一种医用从动与被动的脚踝泵锻炼装置
KR101384509B1 (ko) 전동식 꺼꾸리용 구동장치 및 전동식 꺼꾸리
CN1857139A (zh) 自动婴儿摇篮
KR102300793B1 (ko) 발목 펌프 운동장치
JP4564267B2 (ja) マッサージ器
CN214910024U (zh) 一种神经疾病患者护理康复装置
KR20100025381A (ko) 발목 펌핑운동용 승강장치
KR101627145B1 (ko) 발목 펌핑운동용 승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