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5369B1 - 위변조 방지를 위한 전기 영동 패널 및 이를 이용한 위변조 방지 방법 - Google Patents

위변조 방지를 위한 전기 영동 패널 및 이를 이용한 위변조 방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5369B1
KR101065369B1 KR1020100003225A KR20100003225A KR101065369B1 KR 101065369 B1 KR101065369 B1 KR 101065369B1 KR 1020100003225 A KR1020100003225 A KR 1020100003225A KR 20100003225 A KR20100003225 A KR 20100003225A KR 101065369 B1 KR101065369 B1 KR 1010653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
charged particles
displayed
electrophoretic panel
col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32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83157A (ko
Inventor
우성일
이용의
김철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미지앤머터리얼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미지앤머터리얼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미지앤머터리얼스
Priority to KR10201000032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5369B1/ko
Publication of KR201100831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31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53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53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6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translational movement of particles in a fluid under the influence of an applied field
    • G02F1/166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translational movement of particles in a fluid under the influence of an applied fiel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optical or magneto-optical effect
    • G02F1/167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translational movement of particles in a fluid under the influence of an applied fiel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optical or magneto-optical effect by electrophores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25/0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 B42D25/30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e.g. for preventing forgery
    • B42D25/36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e.g. for preventing forgery comprising special materials
    • B42D25/378Special ink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43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ght modulating elements actuated by an electric field and being other than liquid crystal devices and electrochromic devices
    • G09G3/34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ght modulating elements actuated by an electric field and being other than liquid crystal devices and electrochromic devices based on particles moving in a fluid or in a gas, e.g. electrophoretic devic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6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translational movement of particles in a fluid under the influence of an applied field
    • G02F1/1675Constructional details
    • G02F2001/1678Constructional detail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particle typ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Electrochromic Elements, Electrophoresis, Or Variable Reflection Or Absorption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2 이상의 서브 영역들로 분할되는 위변조 방지용 전기 영동 패널을 제공하며, 2 이상의 서브 영역들에는 서브 영역에 대응하는 컬러 특성을 갖는 대전 입자들이 주입되고, 구동 시 대전 입자들의 특성에 따라 식별 부호가 표시되며, 서브 영역들 각각에는 서로 다른 컬러 특성을 갖는 대전 입자들과 비대전 입자들이 주입된다.

Description

위변조 방지를 위한 전기 영동 패널 및 이를 이용한 위변조 방지 방법{ELECTROPHORETIC PANEL FOR FORGERY AND ALTERATION PREVENTION AND METHOD FOR PREVENTING FORGERY AND ALTERATION USING IT}
본 발명은 위변조 방지를 위한 전기 영동 패널 및 이를 이용한 위변조 방지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분할된 영역들 또는 픽셀들에 특정 컬러 입자를 주입하고 구동 시 위변조 여부를 판별할 수 있는 부속물로 동작하는 전기 영동 패널, 그리고 이를 이용하여 위변조를 방지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문서, 유가증권, 은행권, 포장, 제품 등을 식별하고, 위변조를 방지하기 위해서 다양한 위변조 방지 방법들이 이용된다. 이러한 위변조 방지 방법들 중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는 홀로그램, 바코드 등의 위변조 방지 부속물이 있다.
위변조 방지 부속물 중 홀로그램은 관찰하는 각도에 따라 인식되는 영상이 변하는 특성을 갖는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홀로그램은 복사기에 의해 복사될 수 없으며, 따라서 홀로그램은 우수한 복사 방지 수단이 된다.
그러나 위변조자들도 홀로그램의 제조에 필요한 기술 장치 및 마이크로 문자 및 마이크로 디자인을 검출하기 위한 분석 장치를 저렴하게 이용할 수 있으므로, 노출된 홀로그램은 위변조의 위험에서 안전하지 못하다.
바코드는 일반적으로 정보 및 암호 코드 인식기술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수단이다. 바코드는 블랙과 화이트의 막대 모양 기호로 문자나 숫자를 조합한 것으로, 데이터를 빠르게 입력하고 판독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그러나 바코드 또한 외부로 노출되어 있으므로 위변조의 위험에서 안전하지 못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위변조 방지 부속물들은 정보 및 암호 코드 인식, 위변조 방지에 있어 유용하지만, 외부에 노출되어 있으므로 위변조의 위험에서 완전히 안전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도 위변조를 방지할 수 있는 새로운 위변조 방지 부속물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분할된 영역들 또는 픽셀들에 특정 컬러 입자를 주입하고 구동 시 위변조 여부를 판별할 수 있는 부속물로 동작하는 전기 영동 패널, 그리고 이를 이용하여 위변조를 방지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위변조 방지용 전기 영동 패널은 2 이상의 서브 영역들로 분할되며, 상기 2 이상의 서브 영역들에는 서브 영역에 대응하는 컬러 특성을 갖는 대전 입자들이 주입되고, 구동 시 상기 대전 입자들의 특성에 따라 식별 부호가 표시된다.
한편, 상기 2 이상의 서브 영역들은 서로 다른 폭을 갖는 제 1 서브 영역들과 제 2 서브 영역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서브 영역들 각각은 서로 동일한 컬러(color) 특성을 가지며, 상기 각각의 제 1 서브 영역과 제 2 서브 영역은 서로 평행하게 교대로 배치된다.
이때, 상기 제 1 서브 영역들에는 음으로 대전된 화이트 컬러 특성 입자들과 양으로 대전된 블랙 컬러 특성을 갖는 입자들이 주입되고, 상기 제 2 서브 영역들에는 양으로 대전된 화이트 컬러 특성 입자들과 음으로 대전된 블랙 컬러 특성 입자들이 주입된다.
또한, 상기 전기 영동 패널이 구동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 1 서브 영역들과 상기 제 2 서브 영역들 모두는 그레이 컬러로 표시되며, 상기 전기 영동 패널이 구동되는 경우, 상기 제 1 서브 영역들과 상기 제 2 서브 영역들은 각각 블랙 컬러와 화이트 컬러로 표시된다.
한편, 상기 서브 영역들 각각에는 서로 다른 컬러 특성을 갖는 대전 입자들과 비대전 입자들이 주입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전기 영동 패널이 구동되지 않는 경우, 상기 서브 영역들 각각은 주입된 대전 입자들과 비대전 입자들의 혼합 컬러 특성에 대응하는 컬러로 표시되며, 상기 전기 영동 패널이 구동되는 경우, 상기 서브 영역들 각각은 주입된 대전 입자들의 컬러 특성에 대응하는 컬러로 표시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위변조 방지용 전기 영동 패널은 2 이상의 서브 픽셀들로 분할되는 위변조 방조용 전기 영동 패널로서, 상기 2 이상의 서브 픽셀들에는 서브 픽셀에 대응하는 컬러 특성을 갖는 대전 입자들 또는 비대전 입자들이 주입되며, 구동 시 상기 대전 입자들의 특성에 따라 식별 부호가 표시된다.
한편, 상기 2 이상의 서브 픽셀들은 대전 입자들이 주입되는 제 1 서브 픽셀들과 비대전 입자들이 주입되는 제 2 서브 픽셀들로 분할된다.
이때, 상기 전기 영동 패널이 구동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 1 및 제 2 서브 픽셀들 모두는 같은 컬러로 표시되고, 상기 전기 영동 패널이 구동되는 경우, 상기 대전 입자들의 컬러 특성에 대응되는 컬러가 표시되어 상기 제 1 서브 픽셀들에 의해 상기 식별 부호가 표시된다.
또한, 상기 전기 영동 패널이 구동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 1 및 제 2 서브 픽셀들 모두는 같은 컬러로 표시되고, 상기 전기 영동 패널이 구동되는 경우, 상기 대전 입자들의 컬러 특성에 대응되는 컬러가 표시되어 상기 제 2 서브 픽셀들에 의해 상기 식별 부호가 표시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전기 영동 패널을 이용한 위변조 방지 방법은, 서브 영역에 대응하는 컬러 특성을 갖는 대전 입자들이 주입된 2 이상의 서브 영역들을 포함하는 전기 영동 패널을 이용하며, 상기 전기 영동 패널을 구동하여 상기 대전 입자들의 특성에 따라 식별 부호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표시된 식별 부호와 원본 식별 부호를 비교하여 위변조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위변조 방지용 방법은 서브 픽셀에 대응하는 컬러 특성을 갖는 대전 입자들 또는 비대전 입자들이 주입된 2 이상의 서브 픽셀들을 포함하는 전기 영동 패널을 이용하며, 상기 전기 영동 패널을 구동하여 상기 대전 입자들의 특성에 따라 식별 부호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표시된 식별 부호와 원본 식별 부호를 비교하여 위변조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위변조 방지용 전기 영동 패널 및 이를 이용한 위변조 방지 방법은 구동 시에만 미리 정해진 식별 부호가 전기 영동 패널에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식별 부호의 외부 노출에 의한 위변조의 위험을 차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위변조를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기 영동 패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도 1의 전기 영동 패널이 구동되지 않을 때와 구동될 때 표시되는 이미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는 제 1 실시예의 다른 실시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전기 영동 패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변조 방법에 따라 위변조를 판정하기 위해서 전기 영동 패널을 구동하는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장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위변조 방지 부속물로서 전기 영동 패널을 이용한다. 전기 영동 패널은 대전된 마이크로캡슐 입자들을 포함하며, 인가되는 전계에 따라 대전된 마이크로캡슐 입자들의 위치가 변동함으로써 전기 영동 패널에 이미지가 표시된다.
마이크로캡슐 입자들은 블랙, 화이트, 또는 다른 컬러들을 갖는 입자들일 수 있으며, 이들은 음 또는 양의 전하로 대전되어 전기 영동 패널에 포함된다. 대전된 마이크로캡슐 입자들은 전계가 인가되면 이동하고 전계가 차단되면 정지하는 바이-스테이블(bi-stable) 특성을 가지며,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여 전기 영동 패널에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즉 전기 영동 패널에 전계를 인가하면 대전된 마이크로입자가 이동하여 자신이 가지고 있는 컬러를 표시하게 되며, 이러한 방식으로 전기 영동 패널에 이미지가 표시된다.
따라서 위변조를 식별하기 위한 부호(예를 들어 특정 기호나 문양, 바코드 등)가 표시할 수 있도록 전기 영동 패널을 복수의 서브 영역들 또는 서브 픽셀들로 분할하고 각각의 서브 영역 또는 서브 픽셀에 특정 컬러를 갖는 대전된 마이크로캡슐 입자들을 포함시킨 후, 전기 영동 패널에 전계를 인가하여 식별 부호가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전기 영동 패널을 위변조 방지 부속물로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 경우 위변조 여부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단지 전계를 인가하여 전기 영동 패널에 표시되는 식별 부호를 확인하면 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기 영동 패널은 2 이상의 서브 영역들로 분할되며, 이들 서브 영역들에는 서브 영역에 대응하는 컬러 특성을 갖는 대전 입자들이 주입된다. 전기 영동 패널이 구동되면, 대전 입자들은 특성에 따를 컬러를 표시하며, 이에 따라 전기 영동 패널에는 위변조를 판정하기 위한 식별 부호가 표시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기 영동 패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1은 전기 영동 패널에 식별 부호로서 바코드를 표시하기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2 이상의 서브 영역들은 서로 다른 폭을 갖는 제 1 서브 영역들(1)과 제 2 서브 영역들(2)을 포함한다. 제 1 서브 영역들(1)은 동일한 컬러(color) 특성, 예를 들어 바코드의 경우 블랙 또는 화이트로 표시되는 특성을 갖는다. 제 2 서브 영역들 또한 동일한 컬러 특성, 예를 들어 바코드의 경우 블랙 또는 화이트로 표시되는 특성을 갖는다.
도 1의 실시에에서는, 제 1 서브 영역들(1)의 컬러 특성은 제 2 서브 영역들(2)의 컬러 특성과 다르다. 바코드는 서로 교대로 배열되는 블랙과 화이트 선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므로, 도 1의 실시예에서 제 1 서브 영역들(1)과 제 2 서브 영역들(2)은 서로 다른 컬러 특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한쪽이 블랙 컬러 특성을 가지면 다른 한쪽은 화이트 컬러 특성을 갖는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코드를 표시하기 위해서 각각의 제 1 서브 영역(1)과 제 2 서브 영역(2)은 서로 평행하게 교대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서브 영역들(1)에는 양으로 대전된 화이트 컬러 특성 입자들과 음으로 대전된 블랙 컬러 특성을 갖는 입자들이 주입되고, 제 2 서브 영역(2)들에는 음으로 대전된 화이트 컬러 특성 입자들과 양으로 대전된 블랙 컬러 특성 입자들이 주입된다.
도 2는 도 1의 전기 영동 패널이 구동되지 않을 때와 구동될 때 표시되는 이미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a)는 전기 영동 패널이 구동되지 않는 경우, (b)는 양의 전압으로 구동된 경우, (c)는 음의 전압으로 구동된 경우 전기 영동 패널의 이미지를 나타낸다.
전기 영동 패널이 구동되지 않는 경우, 대전된 입자들은 컬러 특성을 나타내지 않으므로 제 1 서브 영역들(1)과 제 2 서브 영역들(2)은 모두 그레이 컬러로 표시된다(도 2의 (a) 참조).
위변조 여부를 판정하기 위해서는 전기 영동 패널을 구동하여 전기 영동 패널에 식별 부호를 표시하여야 한다. 도 1의 전기 영동 패널은 양전압 또는 음전압으로 구동될 수 있으며, 양전압에 의해 구동되는 경우 음으로 대전된 입자가 이동하므로, 제 1 서브 영역(1)과 제 2 서브 영역(2)에는 각각 블랙 컬러와 화이트 컬러가 표시된다. 따라서 전기 영동 패널에는 도 2의 (b)와 같은 식별 부호(즉 바코드)가 표시될 것이다.
한편, 음전압에 의해 구동되는 경우 양으로 대전된 입자가 이동하므로, 제 1 서브 영역(1)과 제 2 서브 영역(2)에는 각각 화이트 컬러와 블랙 컬러가 표시된다. 따라서 전기 영동 패널에는 도 2의 (c)와 같은 식별 부호(즉 바코드)가 표시될 것이다.
전기 영동 패널이 구동된 후에는 구동 시 이미지가 계속해서 유지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구동 시 인가되는 전압을 조절하여 화이트와 블랙 컬러가 혼합되어 그레이 컬러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동작은 당업자라면 누구나 반복적인 실험을 통해 구현할 수 있는 것이므로 이와 관련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다른 실시형태로, 서브 영역들 각각에는 서로 다른 컬러 특성을 갖는 대전 입자들과 비대전 입자들이 주입될 수도 있다(도 3 참조).
이러한 실시형태에서는, 전기 영동 패널이 구동되지 않는 경우 서브 영역들 각각은 주입된 대전 입자들과 비대전 입자들의 혼합 컬러 특성에 대응하는 컬러로 표시된다. 한편, 전기 영동 패널이 구동되는 경우 상기 서브 영역들 각각은 주입된 대전 입자들의 컬러 특성에 대응하는 컬러로 표시된다. 따라서 위변조 여부는, 전기 영동 패널을 구동시킨 후 표시되는 컬러를 이미 알고 있는 식별 컬러와 비교함으로써 판정될 수 있다.
도 3은 제 1 실시예의 다른 실시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나, 본 발명은 도 3에 도시된 예에 의해 그 권리범위가 제한되거나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3의 실시 형태에서, 전기 영동 패널은 제 1 서브 영역(왼쪽)과 제 2 서브 영역(오른쪽)의 2 개의 서브 영역으로 분할된다. 도 3의 예에서, 제 1 서브 영역에는 블루 컬러 특성을 갖는 대전입자(또는 활성입자)와 레드 컬러 특성을 갖는 비대전입자(또는 비활성입자)가 주입되고, 제 2 서브 영역에는 레드 컬러 특성을 갖는 대전입자와 블루 컬러 특성을 갖는 비대전입자가 주입된다.
전기 영동 패널이 구동되지 않는 경우, 제 1 및 제 2 서브 영역은 모두 블루 컬러와 레드 컬러가 혼합된 퍼플 컬러가 표시될 것이다. 이후 위변조 여부를 판정하기 위해 전기 영동 패널을 구동하는 경우, 대전입자들이 이동하여 대전입자들의 컬러 특성에 의한 컬러가 표시된다. 도 3의 경우 제 1 서브 영역에는 블루 컬러가, 제 2 서브 영역에는 레드 컬러가 표시된다.
따라서 이미 알고 있는 식별 부호(즉 식별 컬러)가 블루와 레드로 이루어진 조합인 경우, 전기 영동 패널을 구동하여 표시된 식별 부호가 블루와 레드의 조합인지 확인함으로써 위변조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실시예 이외에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즉, 전기 영동 패널을 2 개 이상의 서브 영역으로 나누고, 각각의 서브 영역에 다른 컬러가 표시되도록 조합하는 방식으로, 미리 정의된 컬러들의 조합과 표시되는 컬러들의 조합을 비교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이상에서는 전기 영동 패널을 2 이상의 서브 영역으로 분할하여 식별 부호가 표시되도록 하는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픽셀 단위로 전기 영동 영역을 분할함으로써 문자열, 기호와 같이 좀 더 세밀한 식별 부호가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전기 영동 패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전기 영동 패널은 2 이상의 서브 픽셀들로 분할된다.
분할된 2 이상의 서브 픽셀들에는 표시하고자 하는 식별 부호에 대응하는 컬러 특성을 갖는 대전 입자들 또는 비대전 입자들이 주입된다. 따라서 구동되는 경우 전기 영동 패널에는 대전 입자들의 특성에 따라 식별 부호가 표시된다.
이하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여 좀 더 상세하 설명한다.
2 이상의 서브 픽셀들은 대전 입자들이 주입되는 제 1 서브 픽셀들과 비대전 입자들이 주입되는 제 2 서브 픽셀들로 분할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제 1 서브 픽셀들이 식별 부호를 표시한다.
먼저 전기 영동 패널이 구동되지 않는 경우에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서브 픽셀들은 모두 같은 컬러로 표시된다. 위변조 여부를 판정하기 위해서는 전기 영동 패널을 구동하는 경우, 제 1 서브 픽셀들에 주입된 대전입자들은 이동을 하게 되며, 이에 따라 전기 영동 패널에는 미리 정해진 문구, 또는 기호가 표시된다.
도 4b는 제 1 서브 픽셀들이 ‘N’이라는 문자를 식별 부호로 표시하는 예이고, 제 1 서브 픽셀들이 도 4c는 'N'이라는 문자와, ‘N’과 다른 컬러로 표시되는 기호를 표시한다. 도 4c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단순한 문자열뿐만 아니라 다양한 컬러를 이용하여 복잡한 기호들까지 위변조 방지를 위한 식별 부호로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당업자라면 위에 설명된 실시예를 변형하여 제 1 서브 영역이 아니라 제 2 서브 영역이 식별 부호를 표시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제 3 및 제 4 실시예는 위에서 설명한 전기 영동 패널을 구동시켜 식별 부호가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위변조 여부를 판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위변조 여부를 판정하기 위해서는 전기 영동 패널을 구동시키기 위한 수단이 필요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변조 방법에 따라 위변조를 판정하기 위해서 전기 영동 패널을 구동하는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구동 장치는 전기 영동 패널(100), 데이터 구동부(200), 스캔 구동부(300), 신호 제어부(400), 및 메모리(500)를 포함한다. 데이터 구동부(200)는 전기 영동 패널(100)의 화소들에 리셋전압이나 화상 데이터 전압을 전달한다. 스캔 구동부(300)는 전기 영동 패널(100)의 화소들을 스캔한다.
신호 제어부(400)는 스캔 구동부(300)와 데이터 구동부(200) 각각에 스캔 제어 신호와 데이터 제어 신호를 제공한다. 메모리(500)는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데이터 신호를 저장하였다가 신호 제어부(400)로 전달한다. 전기 영동 패널은 데이터 구동부(200)로부터의 구동 신호에 의해 실질적으로 구동된다.
위변조를 판정하고자 하는 경우, 먼저 도 5에 도시된 장치를 이용하여 상술한 전기 영동 패널을 구동시켜 전기 영동 패널에 식별 부호를 표시한다. 표시되는 식별 부호는 전기 영동 패널에 따라 바코드, 문자, 기호, 컬러의 조합 등의 다양한 형태일 수 있다(도 1 내지 도 4 참조).
한편, 위변조 판정을 위해서는 이미 알고 있는 원본 식별 부호가 필요하며, 따라서 전기 영동 패널에 표시되는 식별 부호와 원본 식별 부호를 비교하여 위변조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0: 전기 영동 패널 200: 데이터 구동부
300: 스캔 구동부 400: 신호 제어부
500: 메모리

Claims (22)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2 이상의 서브 영역들로 분할되는 위변조 방조용 전기 영동 패널로서, 상기 2 이상의 서브 영역들에는 서브 영역에 대응하는 컬러 특성을 갖는 대전 입자들이 주입되며, 구동 시 상기 대전 입자들의 특성에 따라 식별 부호가 표시되며,
    상기 서브 영역들 각각에는 서로 다른 컬러 특성을 갖는 대전 입자들과 비대전 입자들이 주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변조 방지용 전기 영동 패널.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영동 패널이 구동되지 않는 경우, 상기 서브 영역들 각각은 주입된 대전 입자들과 비대전 입자들의 혼합 컬러 특성에 대응하는 컬러로 표시되며,
    상기 전기 영동 패널이 구동되는 경우, 상기 서브 영역들 각각은 주입된 대전 입자들의 컬러 특성에 대응하는 컬러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변조 방지용 전기 영동 패널.
  8. 2 이상의 서브 픽셀들로 분할되는 위변조 방조용 전기 영동 패널로서, 상기 2 이상의 서브 픽셀들에는 서브 픽셀에 대응하는 컬러 특성을 갖는 대전 입자들 또는 비대전 입자들이 주입되며, 구동 시 상기 대전 입자들의 특성에 따라 식별 부호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변조 방지용 전기 영동 패널.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2 이상의 서브 픽셀들은 대전 입자들이 주입되는 제 1 서브 픽셀들과 비대전 입자들이 주입되는 제 2 서브 픽셀들로 분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변조 방지용 전기 영동 패널.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영동 패널이 구동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 1 및 제 2 서브 픽셀들 모두는 같은 컬러로 표시되고,
    상기 전기 영동 패널이 구동되는 경우, 상기 대전 입자들의 컬러 특성에 대응되는 컬러가 표시되어 상기 제 1 서브 픽셀들에 의해 상기 식별 부호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변조 방지용 전기 영동 패널.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영동 패널이 구동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 1 및 제 2 서브 픽셀들 모두는 같은 컬러로 표시되고,
    상기 전기 영동 패널이 구동되는 경우, 상기 대전 입자들의 컬러 특성에 대응되는 컬러가 표시되어 상기 제 2 서브 픽셀들에 의해 상기 식별 부호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변조 방지용 전기 영동 패널.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서브 영역에 대응하는 컬러 특성을 갖는 대전 입자들이 주입된 2 이상의 서브 영역들을 포함하는 전기 영동 패널을 이용하여 위변조를 방지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기 영동 패널을 구동하여 상기 대전 입자들의 특성에 따라 식별 부호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표시된 식별 부호와 원본 식별 부호를 비교하여 위변조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서브 영역들 각각에는 서로 다른 컬러 특성을 갖는 대전 입자들과 비대전 입자들이 주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변조 방지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영동 패널이 구동되지 않는 경우, 상기 서브 영역들 각각은 주입된 대전 입자들과 비대전 입자들의 혼합 컬러 특성에 대응하는 컬러로 표시되며,
    상기 전기 영동 패널이 구동되는 경우, 상기 서브 영역들 각각은 주입된 대전 입자들의 컬러 특성에 대응하는 컬러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변조 방지 방법.
  19. 서브 픽셀에 대응하는 컬러 특성을 갖는 대전 입자들 또는 비대전 입자들이 주입된 2 이상의 서브 픽셀들을 포함하는 전기 영동 패널을 이용하여 위변조를 방지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기 영동 패널을 구동하여 상기 대전 입자들의 특성에 따라 식별 부호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표시된 식별 부호와 원본 식별 부호를 비교하여 위변조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변조 방지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2 이상의 서브 픽셀들은 대전 입자들이 주입되는 제 1 서브 픽셀들과 비대전 입자들이 주입되는 제 2 서브 픽셀들로 분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변조 방지 방법.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영동 패널이 구동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 1 및 제 2 서브 픽셀들 모두는 같은 컬러로 표시되고,
    상기 전기 영동 패널이 구동되는 경우, 상기 대전 입자들의 컬러 특성에 대응되는 컬러가 표시되어 상기 제 1 서브 픽셀들에 의해 상기 식별 부호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변조 방지 방법.
  22.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영동 패널이 구동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 1 및 제 2 서브 픽셀들 모두는 같은 컬러로 표시되고,
    상기 전기 영동 패널이 구동되는 경우, 상기 대전 입자들의 컬러 특성에 대응되는 컬러가 표시되어 상기 제 2 서브 픽셀들에 의해 상기 식별 부호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변조 방지 방법.
KR1020100003225A 2010-01-13 2010-01-13 위변조 방지를 위한 전기 영동 패널 및 이를 이용한 위변조 방지 방법 KR1010653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3225A KR101065369B1 (ko) 2010-01-13 2010-01-13 위변조 방지를 위한 전기 영동 패널 및 이를 이용한 위변조 방지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3225A KR101065369B1 (ko) 2010-01-13 2010-01-13 위변조 방지를 위한 전기 영동 패널 및 이를 이용한 위변조 방지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0205A Division KR20110105741A (ko) 2011-08-11 2011-08-11 위변조 방지를 위한 전기 영동 패널 및 이를 이용한 위변조 방지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3157A KR20110083157A (ko) 2011-07-20
KR101065369B1 true KR101065369B1 (ko) 2011-09-19

Family

ID=449209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3225A KR101065369B1 (ko) 2010-01-13 2010-01-13 위변조 방지를 위한 전기 영동 패널 및 이를 이용한 위변조 방지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536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84316A (ja) * 2001-09-12 2003-03-19 Toppan Printing Co Ltd 識別コード表示体
JP2005527405A (ja) 2002-04-19 2005-09-15 ギーゼッケ ウント デフリエント ゲーエムベーハー セキュリティー・ドキュメント
JP2008224838A (ja) 2007-03-09 2008-09-25 Toppan Printing Co Ltd 識別コード表示パネ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識別コード表示体
KR20090026160A (ko) * 2006-06-29 2009-03-11 분데스드룩커라이 게엠베하 적어도 2개의 표시장치를 구비한 보안문서 또는 중요문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84316A (ja) * 2001-09-12 2003-03-19 Toppan Printing Co Ltd 識別コード表示体
JP2005527405A (ja) 2002-04-19 2005-09-15 ギーゼッケ ウント デフリエント ゲーエムベーハー セキュリティー・ドキュメント
KR20090026160A (ko) * 2006-06-29 2009-03-11 분데스드룩커라이 게엠베하 적어도 2개의 표시장치를 구비한 보안문서 또는 중요문서
JP2008224838A (ja) 2007-03-09 2008-09-25 Toppan Printing Co Ltd 識別コード表示パネ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識別コード表示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3157A (ko) 2011-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489607C (zh) 显示装置和液晶显示面板
US8314828B2 (en) Personalization of physical media by selectively revealing and hiding pre-printed color pixels
EP2108168B1 (de) Dokument mit einem optischen sender
WO2009019038A1 (de) Verifikation von sicherheitselementen mit fenster
US20190171071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EP2220643B1 (de) Dokument mit einer integrierten anzeigevorrichtung
EP2123470A1 (en) Optically variable security element and identification document with such element
BR102013028950A2 (pt) Disposição de pixels a ser personalizada para a elaboração de uma imagem e método de personalização de uma disposição de pixels
JP2021518282A (ja) カラー画像生成可能文書
DE102007000886B4 (de) Dokument mit einer integrierten Anzeigevorrichtung, sowie Lesegerät für ein derartiges Dokument
KR101065369B1 (ko) 위변조 방지를 위한 전기 영동 패널 및 이를 이용한 위변조 방지 방법
EP3581396B1 (de) Dokument mit einer integrierten anzeigevorrichtung
KR20110105741A (ko) 위변조 방지를 위한 전기 영동 패널 및 이를 이용한 위변조 방지 방법
EP2838055B1 (de) Dokument mit einer integrierten Anzeigevorrichtun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Dokuments und Lesegerät
KR101534466B1 (ko) 통합형 디스플레이 소자를 구비하는 문서
WO2010070089A1 (en) Anti-conterfeiting element for identification document, method for manufacturing such element, and secure identification document
JP2003233074A (ja) 液晶表示装置
JP2005523470A (ja) 電気光学的表示装置
US11409917B2 (en) Un-photographable screens and displays
DE102007000890B4 (de) Dokument mit einer integrierten Anzeigevorrichtung
KR102266337B1 (ko) 잠복 이미지를 포함하는 신분증을 시각적으로 맞춤화하기 위한 방법
RU2731962C2 (ru) Защищенное изделие, содержащее выявляющий растр и комбинированное изображение
RU2017130790A (ru) Способ контроля подлинности продукции и защиты от контрафакта и фальсификации
AU2015100393B4 (en) Modulated Surface Relief Structure
JP2007299189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印刷物の真偽判別装置および印刷物の真偽判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