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5009B1 - 플라이 리일용 스풀 - Google Patents

플라이 리일용 스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5009B1
KR101065009B1 KR1020090032682A KR20090032682A KR101065009B1 KR 101065009 B1 KR101065009 B1 KR 101065009B1 KR 1020090032682 A KR1020090032682 A KR 1020090032682A KR 20090032682 A KR20090032682 A KR 20090032682A KR 101065009 B1 KR101065009 B1 KR 1010650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on frame
locking
frame
winding drum
f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26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86403A (ko
Inventor
강석운
강석영
Original Assignee
강석영
강석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석영, 강석운 filed Critical 강석영
Publication of KR201000864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64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50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50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6Fly reels, i.e. with a stub shaft suppor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92Frame detai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라이 리일용 스풀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성은 낚시대에 장착되는 프레임(1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낚시줄을 와인딩되도록 하는 플라이 리일용 스풀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1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로테이션 프레임(120)과, 상기 로테이션 프레임(120)에 결합되는 부분의 내주면에 한 쌍의 서로 나란한 록킹 걸림홈()이 형성되며 외주면에는 낚시줄이 감겨지거나 풀어지도록 된 와인딩 드럼(150)과, 상기 로테이션 프레임(120)에 구비되어 상기 로테이션 프레임(120)의 외주면으로 일부가 출몰되는 록킹볼(130)과, 상기 로테이션 프레임(120)의 내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록킹볼(130)을 상기 로테이션 프레임(120)의 외주면으로 탄성적으로 돌출되도록 작동시키는 탄지수단을 포함하며, 와인딩 드럼의 내측면에 나란하게 형성된 두 개의 록킹 걸림홈에 의해 와인딩 드럼의 내외측단 위치를 바꾸어 로테이션 프레임에 결합함으로써, 낚시줄의 권취 방향에 대응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이 주요 효과라 할 수 있다.
로테이션 프레임, 와인딩 드럼, 록킹 걸림홈, 탄성시트, 록킹볼

Description

플라이 리일용 스풀{Fly reel spool}
본 발명은 플라이 리일용 스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낚시줄이 감겨지거나 풀어지는 주요 부분이 로테이션 프레임과 와인딩 드럼으로 분리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 비용 절감 등의 측면에서 유리하고 사용시에도 편리성을 기할 수 있으며, 특히, 낚시줄의 권취 방향에 대응하여 와인딩 드럼의 내외측단 위치를 자유롭게 바꿔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성이 보다 우수한 플라이 리일용 스풀에 관한 것이다.
플라이 낚시는 수중 곤충들의 모양을 새의 깃털, 동물의 털 등을 사용해서 실제와 같이 플라이 훅을 만들어 물고기가 진짜 먹이로 착각하여 입질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낚시 방법으로서, 물속에 서식하고 있는 물벌레나 작은 물고기 등을 먹이로 하는 어종인 베스나 송어 등을 낚게 된다.
플라이 낚시대의 구성을 이루는 플라이 리일은 낚시줄을 감거나 풀기 위한 스풀과, 이러한 스풀을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프레임과, 스풀의 회전 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베어링 셋트(일방향 베어링을 포함하는 것)를 주요 구성으로 하는 것으로, 스풀의 일측에 부착된 손잡이를 회전시킴에 의해서 낚시줄을 스풀에 신속하게 감을 수도 있고, 반대로 낚시줄이 스풀에서 풀리는 속도는 베어링 셋트의 일방향 베어링에 의해 가감시키게 되는 것이다.
한편, 플라이 리일에서 낚시줄을 감기 위한 스풀 부분은 레버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레버리임과 낚시줄이 직접 와인딩되는 권취 드럼 부분이 일체화된 형태로 제작 보급되는데, 플라이 리일은 고가에 속하는 제품으로서 플라이 낚시를 즐기는 소비자 입장에서는 기존에 구입하여 사용하고 있는 플라이 리일에서 낚시줄이 직접 권취되는 드럼 부분만을 사다 쓸 수 있으면 구입 비용을 보다 아낄 수 있으므로, 비용적인 측면에서 소비자들에게는 바람직할 것이나, 지금까지는 이러한 요구를 충족시켜 주는 제품은 출시되어 있지 못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플라이 낚시를 즐기는 소비자가 기존에 구입하여 사용하고 있는 플라이 리일에서 낚시줄이 직접 권취되는 드럼 부분만을 교체할 수 있으므로, 비용적인 측면에서 소비자들에게는 바람직하고, 나아가, 사용시에 편리성 등도 도모할 수 있도록 된 플라이 리일용 스풀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로테이션 프레임과 와인딩 드럼을 탈부착 가능하게 지지하는 주요 부분의 조립이 보다 용이하고 구조도 견고하여 작동이 원활하고 제품 신뢰성도 높일 수 있도록 된 플라이 리일용 스풀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낚시줄의 권취 방향에 대응하여 와인딩 드럼의 내외측단 위치를 자유롭게 바꿔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성이 보다 우수하고, 나아가, 소비자가 구입 비용을 절감하는데 기여할 수 있는 등의 바람직한 결과를 기대할 수 있도록 설계된 플라이 리일용 스풀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낚시대에 장착되는 프레임(1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낚시줄을 와인딩되도록 하는 플라이 리일용 스풀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1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로테이션 프레임(120)과, 상기 로테이션 프레임(120)에 결합되는 부분의 내주면에 한 쌍의 서로 나란한 록킹 걸림홈()이 형성되며 외주면에는 낚시줄이 감겨지거나 풀어지도록 된 와인딩 드럼(150)과, 상기 로테이션 프레임(120)에 구비되어 상기 로테이션 프레임(120)의 외주면으로 일부가 출몰되는 록킹볼(130)과, 상기 로테이션 프레임(120)의 내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록킹볼(130)을 상기 로테이션 프레임(120)의 외주면으로 탄성적으로 돌출되도록 작동시키는 탄지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이 리일용 스풀이 제공된다.
상기 한 쌍의 록킹 걸림홈()은 상기 와인딩 드럼(150)의 내외측단과 인접된 위치의 내주면에 서로 나란하게 형성되고, 상기 록킹볼(130)은 상기 로테이션 프레임 내측단의 플랜지부와 인접된 내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로테이션 프레임의 외측면으로 출몰되도록 구성되어, 낚시줄의 권취 방향에 대응하여 와인딩 드럼의 내외측단 위치를 바꿔서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지수단은 상기 록킹볼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부 사이에 개재된 탄성 복원력 있는 탄성시트 또는 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플라이 리일의 주요부로서 낚시줄이 감기거나 풀어지는 부분을 상호 원터치식으로 결합 및 분리되는 로테이션 프레임과 와인딩 드럼으로 구성하여, 플라이 리일에서 낚시줄이 직접 권취되는 부분(즉, 와인등 드럼 부분)만을 교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소비자의 구입 비용을 보다 아낄 수 있으므로, 비용적인 측면에서 소비자들에게는 매우 바람직한 효과가 있다. 플라이 리일은 고급 레저 용품에 속하여 그 가격도 고가에 속하는데, 낚시줄이 직접 권취되는 부분만을 사다 쓸 수 있는 본 발명의 경우 소비자들의 입장에서 상당한 비용의 절감 효과를 줄 수 있으며, 이러한 점에서 본 발명은 일반 소비자들에게 상당한 호응을 얻을 수 있는 제품이라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로테이션 프레임과 와인딩 드럼이 록킹볼에 의해 걸려져 이탈되지 않도록 결합되고, 록킹볼이 출몰 가능하게 설치된 하우징에 실리콘 재질과 같이 자체 탄성을 갖는 탄성시트나 스프링이 내장되어, 이러한 탄성시트나 스프링에 의해 록킹볼을 탄지하도록 구성되므로, 로테이션 프레임과 와인딩 드럼이 서로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주요 부분의 조립이 보다 용이하고 구조도 견고하여 작동이 원활하고 제품 신뢰성도 높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낚시줄이 권취되는 와인딩 드럼 내주면에 한 쌍의 나란한 록킹 걸림홈()이 형성되고, 록킹볼(130)은 로테이션 프레임 내측단의 플랜지부와 인접된 내측면에 구비되어, 낚시줄의 권취 방향에 대응하여 와인딩 드럼의 내외측단 위치를 자유롭게 바꾸어서 사용할 수 있으므로, 현장에서의 사용성이 더욱 우수한 등의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스풀을 채용한 플라이 리일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주요부인 록킹볼과 탄성시트 및 하우징을 로테이션 프레임 에서 분해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주요부를 로테이션 프레임에 조립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로테이션 프레임과 와인딩 드럼의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5와 도 6은 도 3에 도시된 로테이션 프레임에 와인딩 드럼을 결합하는 상태의 주요부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단면도, 도 7은 도 5와 도 6에 도시된 와인딩 드럼의 내외측단 위치를 바꾸어서 결합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주요부인 드래그 유닛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주요부인 록킹볼과 탄성시트 및 하우징을 로테이션 프레임에서 분해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주요부를 로테이션 프레임에 조립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주요부인 록킹볼과 탄성시트 및 하우징을 로테이션 프레임에서 분해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로테이션 프레임과 와인딩 드럼의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로테이션 프레임과 와인딩 드럼의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4와 도 15는 도 12에 도시된 로테이션 프레임에 와인딩 드럼을 결합하는 상태의 주요부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단면도, 도 16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중앙부에 축부재(112)가 구비된 원통 형상의 프레임(110)의 내부에 드래그 유닛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로테이션 프레임(120)과, 이 로테이션 프레임(120)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와인딩 드럼(150)과, 이 와인딩 드럼(150)을 로테이션 프레임(12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록킹볼(130)과, 이 록킹볼(130)을 탄발력으로 밀어주는 탄지수단을 갖는다. 이때,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서는 낚시줄이 권취되는 와인딩 드럼의 내주면 내외측단에 한 쌍의 나란한 록킹 걸림홈이 형성되어 와인등 드럼의 내외측단 위치를 바꾸어서 로테이션 프레임에 결합할 수 있다. 도 1의 부호 114와 116은 각각 외부 링체와 내부 링체이다.
상기 로테이션 프레임(120)은 원통부(122)의 외측단에 반경 방향 외측으로 플랜지부(124)를 갖는 형상으로 구성된다. 또한, 로테이션 프레임(120)의 원통부(122) 내주면에는 방사 방향으로 복수개의 스포크(126)가 구비되며, 스포크(126)의 중앙부에는 드래그 하우징(170)이 일체화된 형상을 이룬다. 즉, 로테이션 프레임(120)은 내주면에 스포크(126)를 매개로 드래그 하우징(170)이 일체로 성형된 구조를 취하고 있다.
상기 드래그 유닛은 로테이션 프레임(120)의 내주면에 스포크(126)를 매개로 일체화되며 내주면에는 내측단에서 외측단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제1베어링홈(172)과 제2베어링홈(174) 및 제3베어링홈(176)이 형성된 드래그 하우징(170)과, 드래그 하우징(170) 내부의 제1베어링홈(172)과 제2베어링홈(174) 및 제3베어링홈(176)에 각각 내장된 일방향 베어링(180)과 메인 베어링(182) 및 보조 베어링(184)를 갖는 형상으로 구성된다. 또한, 드래그 하우징(170)은 상기 프레임(110) 중앙부의 축부재(112) 선단부에 결합되는 캡너트(186)에 의해 지지되어 로테이션 프레임(120)이 프레임(110)의 축부재(112)에서 외부로 이탈되지 않게 된다. 이때, 캡너트(186)는 프레임(110)의 축부재(112) 선단부에 나사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리테이너(188)는 드래그 하우징(170)의 내측단 둘레부에 형성된 나사부에 결합되어, 리테이너(188)에 에 의해 일방향 베어링(180)과 메인 베어링(182)이 드래그 하우 징(170)에서 후단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되는 구조를 이룬다.
또한, 드래그 하우징(170)의 외측면에는 별도의 스풀캡(192)이 결합될 수 있다. 드래그 하우징(170)의 외측단 외주면과 스풀캡(192) 사이는 패킹(171)에 의해 밀봉되어, 이러한 패킹(171)이 스풀캡(192)과 드래그 하우징(170) 사이로 외부의 물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방수 기능을 하게 된다. 이때, 스풀캡(192)은 로테이션 프레임(120)에 일체화된 드래그 하우징(170)의 외주면에 나사 결합 방식 등에 의해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의 드래그 유닛은 바람직한 실시예이며, 이러한 구조의 드래그 유닛 외에 다른 통상의 드래그 유닛을 채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로테이션 프레임(120)의 외측단에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 형성된 플랜지부(124)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스톱홀(124a)이 구비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부호 120a는 플라이 낚시중에 사용자가 손으로 잡는 레버이다.
또한, 로테이션 프레임(120)은 원통부(122) 외측단의 플랜지부(124)가 형성된 일단부와 반대되는 타단부측(즉, 내측단측)에 원주 방향으로 연장된 록킹볼 결합부(122a)가 형성되고, 이러한 록킹볼 결합부(122a)의 두께는 단차부를 경계로 다른 부분의 두께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작게 이루어진다. 그리고, 로테이션 프레임(120)의 내주면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의 하우징 지지부(123)가 구비되고, 이러한 하우징 지지부(123)에 하우징(160)을 끼워서 결합하기 위한 통공(123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로테이션 프레임(120)의 하우징 지지부(123)에 형성된 통공(123a)에는 상단부에 볼출몰공(162)이 형성된 하우징(160)이 끼워져 결합된다. 이때, 하우징(160)의 외경에 비하여 하우징 지지부(123)의 통공(123a) 직경이 작으므로, 하우징(160)이 통공(123a)에 억지 끼움식으로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하우징(160)의 외주면은 별도의 접착제와 같은 고착수단에 의해 통공(123a)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구성한다. 또한, 하우징(160)의 외주면에는 반경 방향 외측으로 걸림단턱(164)이 구비되어, 이러한 걸림단턱(164)이 로테이션 프레임(120)의 하우징 지지부(123)에 형성된 통공(123a) 주위의 둘레벽에 걸려지므로, 하우징(160)이 로테이션 프레임(120)의 내주면 방향으로 빠지지 않고 걸려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하우징(160)의 내부에는 볼출몰공(162) 방향에서 순차적으로 록킹볼(130)과 탄성시트(140)가 내장된다. 볼출몰공(162)에 록킹볼(130)의 일부가 걸려져서 하우징(160)의 외부로 빠지지 않도록 지지된다. 즉, 로테이션 프레임(120)의 하우징 지지부(123)에 형성된 통공(123a)에 하우징(160)을 끼우면 걸림단턱(164)이 하우징 지지부(123)의 통공(123a) 상단부측 둘레벽에 걸려지고, 이러한 상태에서 하우징(160)의 내부에는 실리콘과 같이 자체 복원 탄성력을 갖는 탄성시트(140)와 록킹볼(130)을 내장시킨 상태에서 치공구로 하우징(160)의 상단 부분을 눌러주면, 중앙부에 볼출몰공(162)을 갖는 돔형상의 볼지지턱(166)이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볼지지턱(166)에 록킹볼(130)이 지지되므로, 록킹볼(130)이 하우징(160)의 외부로 이탈되지 않는 한편, 록킹볼(130)의 일부는 로테이션 프레임(120)의 외주면으로 돌출된 구조가 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록킹볼(130)과 하우징(160)의 내부 공간과 사이에는 실리콘과 같이 자체 탄성을 갖는 탄성시트(140)가 개재되는데, 록킹볼(130)이 눌려질 때, 탄성시트(140)가 눌려지면서 자체로 탄성 복원되려는 힘을 보지하므로, 록킹볼(130)을 누르는 힘이 해제될 때, 탄성시트(140)에 의해 록킹볼(130)이 탄발되어 로테이션 프레임(120)의 외주면으로 록킹볼(130)의 일부가 탄성적으로 돌출된 상태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160)은 록킹볼(130)이 출몰되는 일단부와 반대되는 타단부에 별도의 에어공(168)이 더 형성되어, 탄성시트(140)가 록킹볼(130)에 의해 눌려질 때, 하우징(160) 내부의 에어가 에어공(168)을 통해 외부로 빠지므로, 탄성시트(140)의 눌려지는 작동과 록킹볼(130)을 후퇴되는 작동을 보다 원할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와인딩 드럼(150)은 원통형 리임(154)의 내측단과 외측단에 반경 방향 외측으로 각각 내측단 플랜지부(156)와 외측단 플랜지부(158)를 갖는 형상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와인딩 드럼(150)의 원통형 리임(154)이 로테이션 프레임(120)의 원통부(122) 외주면에 결합되어, 로테이션 프레임(120)과 와인딩 드럼(150)이 상호 결합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와인딩 드럼(150)은 록킹볼(130)이 걸려지기 위한 록킹 걸림홈(152)을 갖는다. 이때,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경우, 록킹 걸림홈(152)이 로테이션 프레임(120)에 결합되는 와이딩 드럼(150)의 원통형 리임(154) 내주면에 한 쌍으로 서로 나란하게 구비된 점이 구성상의 특징을 이룬다.
다시 말해, 한 쌍의 록킹 걸림홈(152)은 와인딩 드럼(150)의 원통형 리임의 내외측단과 인접된 위치의 내주면에 서로 나란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록킹볼(130)은 로테이션 프레임 내측단의 플랜지부와 인접된 내측면에 구비되어 로테이션 프레임의 외측면으로 출몰된다.
이러한 록킹 걸림홈(152)은 후술할 록킹볼(130)이 진입시 접촉되는 면에 걸림 가이드부(152a)가 더 구비된 구조를 취한다. 이러한 걸림 가이드부(152a)는 내측단 방향(낚싯대에 설치된 프레임(110)의 간살부(115)와 마주하는 방향)으로 경사진 형태를 이루고 있다. 그리고, 록킹 걸림홈(152)의 일측 위치(즉, 상기 걸림 가이드부(152a)가 형성된 위치와 반대되는 위치)에 오목한 록킹홈(152b)이 더 형성되어, 이러한 록킹홈(152b)에 록킹볼(130)이 삽입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와인딩 드럼(150)의 내측단 플랜지부(156)와 외측단 플랜지부(158)에 스톱홀(124a)을 형성하고, 로테이션 프레임(120)의 플랜지부(124)에 레버(120a)를 고정하는 볼트와 밸런스 웨이트(bw)를 고정하는 볼트를 스톱돌기(158a)로 하였다. 후술할 본 발명의 제2실시예도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와인딩 드럼(150)은 스톱홀(124a)과 스톱돌기(158a)에 의해 로테이션 프레임(120)과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즉, 와인딩 드럼(150)을 로테이션 프레임(120)에 결합하였을 때, 스톱홀(124a)과 스톱돌기(158a)가 서로 맞물림 결합되므로, 와인딩 드럼(150)이 로테이션 프레임(120)에 대해 공회전하지 않고 로테이션 프레임(120) 회전시 와인딩 드럼(150)이 함께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로테이션 프레임(120)의 원통부(122)에 와인딩 드럼(150)의 원통형 리임(154)을 맞추어 밀어넣으면, 와인딩 드럼(150) 의 리임(154) 내주면에 돌출된 록킹 걸림홈(152)에 의해 로테이션 프레임(120)의 원통부(122) 외주면으로 돌출되어 있는 록킹볼(130)이 눌려지면서 하우징(160) 안쪽으로 후퇴하고 동시에 실리콘 재질로 된 탄성시트(140)는 압축되면서 자체 탄발력을 보유한 상태로 된다. 와인딩 드럼(150)을 계속해서 밀어넣어 록킹 걸림홈(152) 부분이 록킹볼(130)을 완전히 넘어가면 탄성시트(140)의 자체 복원하려는 탄성력에 의해 록킹볼(130)이 탄발되어 원위치로 복귀하면서 와인딩 드럼(150)의 록킹 걸림홈(152)에 걸려지므로, 와인딩 드럼(150)이 로테이션 프레임(120)에 이탈되지 않도록 결합된다. 이를테면, 로테이션 프레임(120)에 구비된 구형상 록킹볼(130)이 와인딩 드럼(150)에 구비된 록킹 걸림홈(152)에 원터치식으로 걸려지므로, 와인딩 드럼(150)을 로테이션 프레임(120)에 원터치식으로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로테이션 프레임(120)에 와인딩 드럼(150)이 결합된 구조의 본 발명에 의한 스풀을 낚싯대에 장착되는 프레임(110) 중앙부의 축부재(112)에 상기한 드래그 유닛을 매개로 결합함으로써, 플라이 리일을 만들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렇게 만들어진 플라이 리일을 낚싯대에 달아서 플라이 낚시를 즐기면 되는 것이다. 플라이 낚시 도중에는 와인딩 드럼(150)의 원통형 리임(154) 둘레부에 낚싯줄이 감기거나 풀어지게 되는 것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플라이 리일에서 낚시줄이 감기거나 풀어지는 부분을 상호 원터치식으로 결합 및 분리되는 로테이션 프레임(120)과 와인딩 드럼(150)으로 구성하여, 플라이 리일에서 낚시줄이 직접 권취되는 부분인 와인딩 드럼(150) 부분 만을 사다 쓸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소비자의 구입 비용을 보다 아낄 수 있으므로, 비용적인 측면에서 소비자들에게는 매우 바람직한 효과가 있다. 플라이 리일은 고급 레저 용품에 속하는 만큼 가격도 고가에 속하는데, 낚시줄이 직접 권취되는 와인딩 드럼(150) 부분만을 사다 쓸 수 있는 본 발명의 경우 소비자들의 입장에서 상당한 비용의 절감 효과를 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는 와인딩 드럼(150)의 원통형 리임(154)의 내주면에 한 쌍의 록킹 걸림홈(152)이 내외측단과 인접된 위치에 서로 나란하게 형성되고, 록킹볼(130)은 로테이션 프레임 내측단의 플랜지부와 인접된 내측면에 구비되어 로테이션 프레임의 외측면으로 출몰된다.
따라서, 낚시줄의 권취 방향에 대응하여 와인딩 드럼의 내외측단 위치를 자유롭게 바꾸어서 사용할 수 있으므로, 현장에서의 사용성이 더욱 우수한 등의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와인딩 드럼(150)의 원통형 리임(154) 내주면에 형성된 록킹 걸림홈(152)은 걸림 가이드부(152a)를 더 구비한 구조를 이루고 있어서, 와인딩 드럼(150)을 로테이션 프레임(120)에 밀어넣어 결함하는 순간 록킹 걸림홈(152)의 경사진 걸림 가이드부(152a)가 구형볼 형상의 록킹볼(130)을 보다 원활하게 타고 넘어가므로, 와인딩 드럼(150)의 결합 동작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록킹 걸림홈(152)의 일측 위치(즉, 상기 걸림 가이드부(152a)가 형성된 위치와 반대되는 위치)에 오목한 록킹홈(152b)이 더 형성되어, 구형상의 록킹볼(130)이 와인딩 드럼(150의 오목한 록킹홈(152b)에 삽입되므로, 와인딩 드 럼(150)과 로테이션 프레임(120) 사이의 결합력을 보다 높이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록킹볼(130)을 와인딩 드럼(150)의 록킹 걸림홈(152)에 걸려지도록 탄지하는 주요부를 실리콘 재질의 탄성시트(140)으로 구성하는데, 이러한 탄성시트(140)으로 록킹볼(130)을 탄지하도록 구성하면 장점이 크다. 즉, 코일 스프링에 의해 록킹볼(130)을 탄지하는 구조를 취한 것이 있는데, 이러한 코일 스프링으로 록킹볼(130)을 탄지하는 것은 코일 스프링 자체가 퍼지면서 스탁(stock)되므로, 작동상의 신뢰도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음은 물론, 코일 스프링의 자체의 사이즈가 매우 작으므로, 가공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그런데, 본 발명의 주요부인 탄성시트(140)는 실리콘과 같이 자체 탄성을 갖는 재료를 재단하기만 하면 되므로, 가공하기가 코일 스프링에 비하여 매우 용이한 장점이 있고, 작동중에도 코일 스프링이 옆으로 퍼져서 스탁(stock)되는 현상이 없으므로, 작동상의 신뢰도 역시 보다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로테이션 프레임(120)의 하우징 지지부(123)에 형성된 통공(123a)의 직경은 하우징(160)의 외경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구성되어, 하우징(160)이 로테이션 프레임(120)의 통공(123a)에 억지 끼움식으로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게 된다. 또한, 하우징(160)은 기단부측 외주면에 테이퍼진 결합 가이드부가 더 형성되어, 이러한 테이퍼진 결합 가이드부에 의해 하우징(160)이 통공(123a)에 보다 쉽게 끼워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로테이션 프레임(120)은 내주면에 복수개의 스포크(126)가 일체화되 고, 스포크(126)의 내측단에는 드래그 하우징(170)이 일체화된 형상으로 구성되며, 로테이션 프레임(120)의 내주면에 일체화된 드래그 하우징(170)의 내부에 내측단에서 외측단으로 순차적으로 일방향 베어링(180), 메인 베어링(182) 및 보조 베어링(184)이 내장된 구조를 취한다. 그리고, 드래그 하우징(170)의 제3베어링홈(176)의 선단부측 내주면에는 단턱(176a)이 구비되고, 이러한 단턱(176a)에는 스냅링(189)에 지지되며, 이 스냅링(189)에 의해 보조 베어링(184)이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주요부인 드래그 유닛의 구조를 보다 심플하게 구현할 수 있으며, 아울러, 구조적인 견고성도 더욱 높임은 물론 드래그 유닛의 주요부인 드래그 하우징(170)을 로테이션 프레임(120)에 일체화시켜 구성하므로, 제조 코스트를 절감 가능한 장점도 기대할 수 있다.
한편, 도 9와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보여주는데,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다른 구성은 제1실시예의 그것과 동일 유사하고, 상기 탄성시트 대신에 코일 형태의 스프링을 채용하였다.
도 11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도 11 내지 도 15에 의한 본 발명의 제3실시예는 낚시대에 장착되는 프레임(1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낚시줄을 와인딩되도록 하는 플라이 리일용 스풀에 있어서, 프레임(11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로테이션 프레임(120)과, 로테이션 프레임(120)에 결합되어 로테이션 프레임(120)의 외주면으로 일부가 출몰되는 록킹볼(130)과, 로테이션 프레임(120)의 내측면에 구비되어 록킹볼(130)을 로테이션 프레임(120)의 외주면으로 탄성적으로 돌출되도록 작동시키는 탄지수단과, 로테이션 프레임(120)에 결합되는 부분의 내주면에 록킹 걸림홈(152)이 형성되어 로테이션 프레임(120)의 외주면으로 돌출된 록킹볼(130)이 록킹 걸림홈(152)에 걸려지도록 된 와인딩 드럼(150)을 포함한다. 이때, 탄지수단은 실리콘 재질의 탄성시트(140)로 구성된다.
상기 로테이션 프레임(120)의 외측단에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 형성된 플랜지(124)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스톱홀(124a)이 구비되어 있다. 부호 120a는 플라이 낚시중에 사용자가 손으로 잡는 레버이다.
또한, 로테이션 프레임(120)은 원통부(122) 외측단의 플랜지부(124)가 형성된 일단부와 반대되는 타단부측(즉, 내측단측)에 원주 방향으로 연장된 록킹볼 결합부(122a)가 형성되고, 이러한 록킹볼 결합부(122a)의 두께는 단차부를 경계로 다른 부분의 두께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작게 이루어진다. 그리고, 록킹볼 결합부(122a)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하우징 삽입공(123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와인딩 드럼(150)은 원통형 리임(154)의 내측단과 외측단에 반경 방향 외측으로 각각 내측단 플랜지부(158)와 외측단 플랜지부(156)를 갖는 형상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와인딩 드럼(150)의 원통형 리임(154)이 로테이션 프레임(120)의 원통부(122) 외주면에 결합되어, 로테이션 프레임(120)과 와인딩 드럼(150)이 상호 결합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와인딩 드럼(150)의 원통형 리임(154)은 내측단 플랜지부(156)와 인접된 위치의 내주면에 원주 방향으로 연장된 환형의 록킹 걸림홈(152)이 돌출 형성된 구조를 이룬다. 도 14와 도 15에 록킹 걸림홈(152)이 확대된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 는데, 이러한 록킹 걸림홈(152)은 후술할 록킹볼(130)이 진입시 접촉되는 면에 걸림 가이드부(152a)가 더 구비된 구조를 취한다. 이러한 걸림 가이드부(152a)는 내측단 방향(낚싯대에 설치된 프레임(110)의 간살부와 마주하는 방향)으로 경사진 형태를 이루고 있다.
또한, 와인딩 드럼(150)의 원통형 리임(154)에 구비된 내측단 플랜지부(156)와 외측단 플랜지부(158) 중에서 로테이션 프레임(120)의 플랜지부(124)와 마주하는 외측단 플랜지부(158)에는 원주 방향으로 복수개의 스톱돌기(158a) 또는 스톱홀(124a)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은 와인딩 드럼(150)의 외측단 플랜지부(158)에 복수개의 링형상 스톱돌기(158a)가 구비된 구조를 취하고 있다.
상기 와인딩 드럼(150)은 록킹볼(130)에 의해 로테이션 프레임(120)에 원터치식으로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 14와 도 15를 참조하면, 로테이션 프레임(120)의 록킹볼 결합부(122a)에 형성된 하우징 삽입공(123a)에는 하우징(160)이 끼워지고, 하우징(160)의 내부에는 록킹볼(130)이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발명에서 록킹볼(130)은 하우징(160)의 상단부로 출몰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록킹볼(130)은 탄지수단에 의해 하우징(160)의 상단부로 탄지되어 로테이션 프레임(120)의 외주면으로 돌출된다. 본 발명에서 탄지수단은 실리콘 재질의 탄성시트(140)를 채용하였으며, 이러한 탄성시트(140)가 록킹볼(130)과 하우징(160)의 내부 공간 사이에 개재되어 평상시에 록킹볼(130)을 로테이션 프레임(120)의 원통부(122) 외주면으로 탄성적으로 돌출되도록 탄지한다. 이때, 로테이션 프레임(120)의 록킹볼 결합부(122a)의 두께는 다른 부분의 두께에 비하여 상대 적으로 작게 이루어지므로, 하우징(160)의 상단부로 돌출되어 있는 록킹볼(130)의 상단 높이가 록킹볼 결합부(122a) 이외 부분의 상면 높이와 동일 높이에 위치된 구조가 된다.
또한, 하우징(160)의 직경은 로테이션 프레임(120)의 하우징 삽입공(123a)의 직경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크게 이루어지므로, 하우징(160)이 로테이션 프레임(120)의 하우징 삽입공(123a)에 억지 끼움식으로 결합되어 쉽게 이탈되지 않게 된다. 바람직하게, 하우징(160)은 로테이션 프레임(20)의 하우징 삽입공(123a)에 별도의 고착수단에 의해 고정 설치된다. 이러한 고착수단으로는 접착제 등을 채용할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160)의 둘레부에 형성된 걸림단턱(164)은 로테이션 프레임(120)의 하우징 삽입공(123a) 둘레벽에 걸려지므로, 하우징(160)이 로테이션 프레임(120)의 안쪽으로 이탈되지 않게 된다. 아울러, 하우징(160)의 하단부에는 구멍(168)이 더 형성되어, 탄성시트(140)의 눌림 작동시 하우징(160) 내부의 에어가 구멍(168)을 통해 빠지게 된다.
상기 와인딩 드럼(150)은 전술한 스톱홀(124a)과 스톱돌기(158a)의 맞물림 결합에 의해 공회전하지 않고 로테이션 프레임(120)과 함께 회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스톱홀(124a)과 스톱돌기(158a) 중에서 적어도 하나는 둘레부에 가이드 경사면이 더 형성되어, 로테이션 프레임(120)에 와인딩 드럼(150)을 결합할 때, 가이드 경사면에 의해 스톱돌기(158a)가 스톱홀(124a)에 보다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로테이션 프레임(120)에 와인딩 드럼(150)을 보다 쉽게 결합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로테이션 프레임(120)의 원통부(122)에 와인딩 드럼(150)의 원통형 리임(154)을 맞추어 밀어넣으면, 와인딩 드럼(150)의 리임(154) 내주면에 돌출된 록킹 걸림홈(152)에 의해 로테이션 프레임(120)의 원통부(122) 외주면으로 돌출되어 있는 록킹볼(130)이 눌려지면서 하우징(160) 안쪽으로 후퇴하고 동시에 탄지수단인 실리콘 재질의 탄성시트(140)는 압축된다. 와인딩 드럼(150)을 계속해서 밀어넣어 록킹 걸림홈(152) 부분이 록킹볼(130)을 완전히 넘어가면 탄성시트(140)의 탄발력에 의해 록킹볼(130)이 원위치로 복귀하면서 와인딩 드럼(150)의 록킹 걸림홈(152)에 걸려지므로, 와인딩 드럼(150)이 로테이션 프레임(120)에 이탈되지 않도록 결합된다.
상기와 같이 로테이션 프레임(120)에 와인딩 드럼(150)이 결합된 구조의 본 발명에 의한 스풀을 낚싯대에 장착되는 프레임(110) 중앙부의 축부재에 드래그 유닛을 매개로 결합함으로써, 플라이 리일을 만들 수 있게 된다.
도 16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로서, 다른 구성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와 동일하고, 상기 탄지수단으로는 코일 스프링(200)을 채용하였으며, 이러한 코일 스프링(200)은 제3실시예의 탄성시트(140)와 마찬가지의 기능을 한다.
한편, 도 19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와인딩 드럼(150)의 각 플랜지(156 및 158)에 모두 스톱돌기(158a)가 구비된 것을 보여주고 있으며, 스톱돌기(158a)를 플랜지(156 및 158) 중에서 하나만 형성할 수도 있고, 이처럼 스톱돌기(158a)를 와인딩 드럼(150)의 모든 플랜지(156 및 158)에 형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점이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스풀을 채용한 플라이 리일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주요부인 록킹볼과 탄성시트 및 하우징을 로테이션 프레임에서 분해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주요부를 로테이션 프레임에 조립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로테이션 프레임과 와인딩 드럼의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5와 도 6은 도 3에 도시된 로테이션 프레임에 와인딩 드럼을 결합하는 상태의 주요부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단면도
도 7은 도 5와 도 6에 도시된 와인딩 드럼의 내외측단 위치를 바꾸어서 결합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주요부인 드래그 유닛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주요부인 록킹볼과 탄성시트 및 하우징을 로테이션 프레임에서 분해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주요부를 로테이션 프레임에 조립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주요부인 록킹볼과 탄성시트 및 하우징을 로테이션 프레임에서 분해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로테이션 프레임과 와인딩 드럼의 결합된 상태를 보 여주는 사시도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로테이션 프레임과 와인딩 드럼의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4와 도 15는 도 12에 도시된 로테이션 프레임에 와인딩 드럼을 결합하는 상태의 주요부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단면도
도 16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19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와인딩 드럼의 양측 플랜지에 스톱돌기가 구비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Claims (10)

  1. 낚시대에 장착되는 프레임(1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낚시줄을 와인딩되도록 하는 플라이 리일용 스풀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1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로테이션 프레임(120)과, 상기 로테이션 프레임(120)에 결합되는 부분의 내주면에 한 쌍의 서로 나란한 록킹 걸림홈(152)이 형성되며 외주면에는 낚시줄이 감겨지거나 풀어지도록 된 와인딩 드럼(150)과, 상기 로테이션 프레임(120)에 구비되어 상기 로테이션 프레임(120)의 외주면으로 일부가 출몰되는 록킹볼(130)과, 상기 로테이션 프레임(120)의 내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록킹볼(130)을 상기 로테이션 프레임(120)의 외주면으로 탄성적으로 돌출되도록 작동시키는 탄지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로테이션 프레임(120)은 내주면에서 외주면으로 관통되는 복수개의 통공(123a)이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로테이션 프레임(120)의 상기 통공(123a)에는 상단부에 볼출몰공(162)이 구비된 하우징(160)이 결합되고, 상기 록킹볼(130)은 상기 하우징(160)에 내장되어 상기 볼출몰공(162)으로 출몰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록킹볼(130)과 상기 하우징(160)의 내부 공간과 사이에 상기 탄지수단이 개재되어 상기 록킹볼(130)을 상기 하우징(160)의 상단부의 상기 볼출몰공(162)으로 돌출되도록 탄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이 리일용 스풀.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지수단은 상기 록킹볼(130)과 상기 하우징(160)의 내부 공간부 사이에 개재된 탄성 복원력 있는 탄성시트(140) 또는 스프링(20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이 리일용 스풀.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록킹 걸림홈(152)은 상기 와인딩 드럼(150)의 내외측단과 인접된 위치의 내주면에 서로 나란하게 형성되고, 상기 록킹볼(130)은 상기 로테이션 프레임(120) 내측단의 플랜지부(124)와 인접된 내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로테이션 프레임(120)의 외측면으로 출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이 리일용 스풀.
  5.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로테이션 프레임(120)의 플랜지부(124)에 형성된 스톱홀(124a) 또는 스톱돌기(158a)와, 상기 와인딩 드럼(150)의 플랜지부(156 또는 158)에 형성된 스톱돌기(158a) 또는 스톱홀(124a)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이 리일용 스풀.
  6.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로테이션 프레임(120)의 플랜지부(124)에 스톱홀(124a)이 형성되고, 상기 와인딩 드럼(150)은 일측단의 플랜지부(156)과 타측단의 플랜지부(158)에 스톱돌기(158a)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이 리일용 스풀.
  7. 낚시대에 장착되는 프레임(1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낚시줄을 와인딩되도록 하는 플라이 리일용 스풀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1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로테이션 프레임(120)과, 상기 로테이션 프레임(120)에 결합되어 상기 로테이션 프레임(120)의 외주면으로 일부가 출몰되는 록킹볼(130)과, 상기 로테이션 프레임(120)의 내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록킹볼(130)을 상기 로테이션 프레임(120)의 외주면으로 탄성적으로 돌출되도록 작동시키는 탄지수단과, 상기 로테이션 프레임(120)에 결합되는 부분의 내주면에 록킹 걸림홈(152)이 형성되어 상기 로테이션 프레임(120)의 외주면으로 돌출된 상기 록킹볼(130)이 상기 록킹 걸림홈(152)에 걸려지도록 된 와인딩 드럼(15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이 리일용 스풀.
  8. 제 7 항 있어서, 상기 탄지수단은 상기 록킹볼(130)과 하우징(160)의 내부 공간부 사이에 개재된 탄성 복원력 있는 탄성시트(140) 또는 스프링(20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이 리일용 스풀.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로테이션 프레임(120)의 플랜지부(124)에 형성된 스톱홀(124a) 또는 스톱돌기(158a)와, 상기 와인딩 드럼(150)의 플랜지부(156,158)에 형성된 스톱돌기(158a) 또는 스톱홀(124a)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이 리일용 스풀.
  10.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로테이션 프레임(120)의 플랜지부(124)에 스톱홀(124a)이 형성되고, 상기 와인딩 드럼(150)은 일측단의 플랜지부(156)과 타측단의 플랜지부(158)에 스톱돌기(158a)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이 리일용 스풀.
KR1020090032682A 2009-01-22 2009-04-15 플라이 리일용 스풀 KR1010650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05635 2009-01-22
KR1020090005635 2009-01-22
KR1020090022646 2009-03-17
KR20090022646 2009-03-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6403A KR20100086403A (ko) 2010-07-30
KR101065009B1 true KR101065009B1 (ko) 2011-09-19

Family

ID=426449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2682A KR101065009B1 (ko) 2009-01-22 2009-04-15 플라이 리일용 스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500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51637B2 (en) 2002-10-01 2005-02-08 David F. Gilmore Variable use fly-fishing reel
US20080302900A1 (en) 2007-06-11 2008-12-11 Ignacio Ordonez Fly-fishing reel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51637B2 (en) 2002-10-01 2005-02-08 David F. Gilmore Variable use fly-fishing reel
US20080302900A1 (en) 2007-06-11 2008-12-11 Ignacio Ordonez Fly-fishing re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6403A (ko) 2010-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9338244B2 (en) Spool for a fly reel
KR910000194B1 (ko) 스피닝 낚시리일의 드래그
TW518203B (en) Spool of spinning reel
US7125310B1 (en) Yo-yo having replaceable disks
US20070029427A1 (en) Fishing reel component
US6845737B1 (en) Combination ball and dog leash
JP2008283931A5 (ko)
US7077350B2 (en) Modular fly fishing reel
AU2003205305A1 (en) Modular fly fishing reel
KR100890229B1 (ko) 플라이 리일
EP1425966B1 (en) Fishing reel component
US20040140385A1 (en) Handle assembly for a spinning reel
CN101228857B (zh) 单轴承渔线轮
KR101065009B1 (ko) 플라이 리일용 스풀
US20100038463A1 (en) Fly reel
JP3582687B2 (ja) 魚釣用リ−ルの釣糸案内装置
KR101102528B1 (ko) 플라이 리일용 스풀
KR101065008B1 (ko) 플라이 리일용 스풀
JP2008005793A (ja) 釣り用リールのハンドル把手
JP2006217849A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発音機構
US20030146321A1 (en) One-way clutch for a fishing spool
JP3813888B2 (ja) リコイルスタータ装置
KR101572142B1 (ko) 플라이 리일용 스풀 및 이를 이용한 플라이 리일
JPS6222531A (ja) キヤステイング用魚釣りリ−ル
KR100934359B1 (ko) 스풀의 회전력 조절 기능을 구비한 플라이 리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