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4806B1 - 먹이생물 배양장치가 구비된 갯벌생태수조 - Google Patents

먹이생물 배양장치가 구비된 갯벌생태수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4806B1
KR101064806B1 KR1020110024733A KR20110024733A KR101064806B1 KR 101064806 B1 KR101064806 B1 KR 101064806B1 KR 1020110024733 A KR1020110024733 A KR 1020110024733A KR 20110024733 A KR20110024733 A KR 20110024733A KR 101064806 B1 KR101064806 B1 KR 1010648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idal flat
food
tidal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47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현호
Original Assignee
전라남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라남도 filed Critical 전라남도
Priority to KR10201100247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48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48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48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03Aquaria; Terraria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6Arrangements for heating or lighting in, or attach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Abstract

본 발명의 먹이생물 배양장치가 구비된 갯벌생태수조는 자동조석장치가 구비된 갯벌생태수조에 있어서, 중앙부가 하향경사진 바닥판을 구비하는 수조; 상기 수조의 중앙하부에 구성되며, 먹이생물배양장치가 구비되어 물을 공급하는 급수관; 상기 수조의 중앙 하부에 구성되며, 출수구측 단부에 자동개폐밸브가 구성되는 배수관; 상기 수조의 급수관과 배수관의 상부에 구성되며, 상부에 여과부직포망이 형성된 타공판; 상기 타공판의 상부에 구성되는 규사토층; 상기 규사토층의 상부에 구성되는 갯벌층;로 구성되어, 갯벌을 장기간 교체하지 않고 갯벌의 먹이생물이 유지되도록 구성하여 해안 갯벌과 유사한 어패류의 서식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먹이생물 배양장치가 구비된 갯벌생태수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먹이생물 배양장치가 구비된 갯벌생태수조{mud flat ecology water tank with culture facilities}
본 발명은 먹이생물 배양장치가 구비된 갯벌생태수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조석장치가 구비된 갯벌생태수조에 있어서, 중앙부가 하향경사진 바닥판을 구비하는 수조; 상기 수조의 중앙하부에 구성되며, 먹이생물배양장치가 구비되어 물을 공급하는 급수관; 상기 수조의 중앙 하부에 구성되며, 출수구측 단부에 자동개폐밸브가 구성되는 배수관; 상기 수조의 급수관과 배수관의 상부에 구성되며, 상부에 여과부직포망이 형성된 타공판; 상기 타공판의 상부에 구성되는 규사토층; 상기 규사토층의 상부에 구성되는 갯벌층;로 구성되어, 갯벌을 장기간 교체하지 않고 갯벌의 먹이생물이 유지되도록 구성하여 해안 갯벌과 유사한 어패류의 서식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먹이생물 배양장치가 구비된 갯벌생태수조에 관한 것이다.
해안 갯벌에서 서식하는 다양한 어패류의 서식환경 및 생성과정, 변화, 자연정화 등의 과정을 어린이, 학생 등이 직접 체험하도록 하기 위하여는 직접 바닷가를 찾아가거나 일반수조에 넣어두고 체험하여야 하였으나, 바닷가를 직접 찾아가는 것은 관찰의 어려움뿐만 아니라, 날씨, 지리적 위치 등에 있어서 접근성이 많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어서, 일반수조에서는 어패류가 해안 갯벌의 서식환경과 달라 폐사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으며, 갯벌생물인 게류, 갯지렁이, 짱뚱어 등은 갯벌에서 자연증식되는 규조류 등의 미생물을 취해서 먹기 때문에 갯벌을 정기적으로 갈아주지 않으면 갯벌의 먹이생물이 없어져 생물이 살아갈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갯벌을 장기간 사용하기 위하여 먹이생물 배양장치와 식물조명등을 설치하여 미생물이 증식되도록 하고, 먹이생물 증식에 효과가 뛰어난 규조토여과기를 사용하여, 갯벌을 장기간 교체하지 않고 갯벌의 먹이생물이 유지되도록 하여, 해안 갯벌에서 서식하는 게류, 갯지렁이, 짱뚱어 및 어패류의 서식환경을 갯벌환경 그대로의 자연발생 원리로 수조내부에 적용함으로써, 수조 내부의 물과 내부의 유기물의 부패를 막을 수 있고, 갯벌 서식환경을 수조에 가장 유사하게 조성하여 갯벌에서 서식하는 어패류 및 갯벌 생물 등을 자연상태 그대로 사육할 수 있기 때문에, 어린이, 학생 등이 직접 체험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직접 바닷가를 찾아가는 등의 관찰의 어려움뿐만 아니라, 날씨, 지리적 위치 등에 있어서 접근성이 많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없어서 가까운 곳에서 갯벌의 생태교육을 직접 체험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는 먹이생물 배양장치가 구비된 갯벌생태수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자동조석장치가 구비된 갯벌생태수조에 있어서, 중앙부가 하향경사진 바닥판을 구비하는 수조; 상기 수조의 중앙하부에 구성되며, 먹이생물배양장치가 구비되어 물을 공급하는 급수관; 상기 수조의 중앙 하부에 구성되며, 출수구측 단부에 자동개폐밸브가 구성되는 배수관; 상기 수조의 급수관과 배수관의 상부에 구성되며, 상부에 여과부직포망이 형성된 타공판; 상기 타공판의 상부에 구성되는 규사토층; 상기 규사토층의 상부에 구성되는 갯벌층;로 구성된 먹이생물 배양장치가 구비된 갯벌생태수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상기 급수관의 단부는 원형 또는 타원형의 도넛 형상으로 상부에 다수개의 출수공이 형성된 급수분사파이프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먹이생물 배양장치가 구비된 갯벌생태수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상기 먹이생물배양장치는 저수탱크에 물을 채우고, 미생물부착용 인공조류를 거치봉에 거치하여 상기 저수탱크의 물에 잠기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먹이생물 배양장치가 구비된 갯벌생태수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상기 먹이생물배양장치는 규조토여과기가 추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먹이생물 배양장치가 구비된 갯벌생태수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상기 먹이생물배양장치는 상부에 식물조명등을 추가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먹이생물 배양장치가 구비된 갯벌생태수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상기 수조의 바닥판과 타공판의 사이의 공간에는 황토 86 ~ 94중량%, 목분 5 ~ 10중량%, 무기바인더 1 ~ 4중량%를 혼합하여 소정의 형태로 성형하고, 상기 성형된 성형체를 건조한 후, 800 ~ 1000℃의 온도에서 90 ~ 150분 동안 가열하여 소성하여 세라믹을 형성하고, 세라믹의 표면에 로도박터미생물농축액을 부착하여 이루어진 로도박터미생물세라믹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먹이생물 배양장치가 구비된 갯벌생태수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상기 로도박터미생물농축액은 로도박터(Rhodobactor) 미생물을 추출하여 배양하고, 배양된 로도박터(Rhodobactor) 미생물을 1g당 적어도 15억 ~ 25억 개체가 포함되도록 농축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먹이생물 배양장치가 구비된 갯벌생태수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먹이생물 배양장치가 구비된 갯벌생태수조에 따르면 갯벌을 장기간 사용하기 위하여 먹이생물 배양장치와 식물조명등을 설치하여 미생물이 증식되도록 하고, 먹이생물 증식에 효과가 뛰어난 규조토여과기를 사용하여, 갯벌을 장기간 교체하지 않고 갯벌의 먹이생물이 유지되도록 하여, 해안 갯벌에서 서식하는 게류, 갯지렁이, 짱뚱어 및 어패류의 서식환경을 갯벌환경 그대로의 자연발생 원리로 수조내부에 적용함으로써, 수조 내부의 물과 내부의 유기물의 부패를 막을 수 있고, 갯벌 서식환경을 수조에 가장 유사하게 조성하여 갯벌에서 서식하는 어패류 및 갯벌 생물 등을 자연상태 그대로 사육할 수 있기 때문에, 어린이, 학생 등이 직접 체험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직접 바닷가를 찾아가는 등의 관찰의 어려움뿐만 아니라, 날씨, 지리적 위치 등에 있어서 접근성이 많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없어서 가까운 곳에서 갯벌의 생태교육을 직접 체험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먹이생물 배양장치가 구비된 갯벌생태수조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먹이생물 배양장치가 구비된 갯벌생태수조의 급수분사파이프(210)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먹이생물 배양장치가 구비된 갯벌생태수조의 먹이생물배양장치(220)의 사시도.
본 발명을 첨부된 실시 예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먹이생물 배양장치가 구비된 갯벌생태수조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먹이생물 배양장치가 구비된 갯벌생태수조의 급수분사파이프(210)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먹이생물 배양장치가 구비된 갯벌생태수조의 먹이생물배양장치(220)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먹이생물 배양장치가 구비된 갯벌생태수조는 자동조석장치가 구비된 갯벌생태수조에 있어서, 중앙부가 하향경사진 바닥판(120)을 구비하는 수조(100); 상기 수조(100)의 중앙하부에 구성되며, 먹이생물배양장치(220)가 구비되어 물을 공급하는 급수관(200); 상기 수조(100)의 중앙 하부에 구성되며, 출수구측 단부에 자동개폐밸브(310)가 구성되는 배수관(300); 상기 수조(100)의 급수관(200)과 배수관(300)의 상부에 구성되며, 상부에 여과부직포망(420)이 형성된 타공판(400); 상기 타공판(400)의 상부에 구성되는 규사토층(500); 상기 규사토층(500)의 상부에 구성되는 갯벌층(6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조(100)는 내부 해수, 규사토층(500) 및 갯벌층(600)의 생태를 용이하게 볼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의 아크릴, 유리 등으로 구성되며, 상기 수조(100)의 바닥판(120)은 중앙에 구성된 급수관(200) 및 배수관(300)을 향해 하향경사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수조(100)의 급수관(200)과 배수관(300)의 상부에 구성되며, 상부에 여과부직포망(420)이 형성된 타공판(400); 상기 타공판(400)의 상부에 구성되는 규사토층(500); 상기 규사토층(500)의 상부에 구성되는 갯벌층(6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타공판(400)은 수조(100)의 급수관(200)과 배수관(300)의 상부에 구성되며, 상기 타공판(400)에는 급수관(200)과 배수관(300)을 통하여 해수를 급수 또는 배출시킬 수 있도록 다수의 타공(410)이 천공된다.
상기 타공판(400)은 상기 수조(100)의 급수관(200)과 배수관(300)의 상부에 구성된다.
상기 여과부직포망(420)은 바닥판(120)에 설치된 타공판(400)을 덮는 것으로, 이러한 여과부직포망(420)은 타공판(400)을 통해 공급되는 해수의 침전물을 걸러내는 동시에 규사토층(500)의 규사토가 배수관(300)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규사토층(500)은 상기 여과부직포망(420)의 상부에 적층되는 것으로, 이러한 규사토층(500)은 갯벌층(600)에서 유기물이 분해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갯벌층(600)은 규사토층(500)의 상부에 적층되는 것으로, 이러한 갯벌층(600)은 게류, 갯지렁이, 짱뚱어 및 어패류 등이 서식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한다. 이때, 상기 갯벌층(600)은 제 기능을 충분히 발휘하도록 생물종의 먹이생물, 염분, 유기물과 영양염, 용존산소, 해저퇴적물 등의 환경조건을 가지는 해안에서 가져온 자연 그대로의 것을 사용한다.
일반적인 자동조석장치가 적용된 본 발명의 먹이생물 배양장치가 구비된 갯벌생태수조의 일반적인 해수순환 시스템의 일실시예는 컨트롤러에 의해 하루 2~3회 바다조류 밀물 썰물 자연환경과 동일하게 급수, 배수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배수관(300)의 솔레노이드밸브를 잠근 상태에서 급수관(200)의 솔레노이드밸브를 개방시키면 자연 해수가 급수관(200)으로 공급되고, 급수관(200)으로 공급된 해수는 타공판(400)으로 배출되면서 규사토층(500) 및 갯벌층(600)을 거치면서 서서히 상승하게된다. 이때, 수조(100)내에 적정수위 이상으로 해수가 공급되면 배수관(300)으로 배출된다.
수조에 급수를 하는 과정에서 수조에 먹이가 공급되도록 먹이생물배양장치(220)의 하부에 에어 버블장치를 형성하거나 별도의 펌프를 설치하여 먹이생물배양장치(220)에 강한 흐름을 갖는 물을 보내 먹이생물배양장치(220)에 부착되어 있는 먹이를 먹이생물배양장치(220)로부터 탈락시켜 수조에 급수하는 과정에서 먹이생물배양장치(220)에서 배양된 먹이를 수조에 공급되도록 하였다.
수조(100)내에 적정수위로 해수가 채워지면 솔레노이드밸브는 컨트롤러에 의해 자동으로 정지되고, 이 상태에서 수조(100)내부에는 먹이생물배양장치(220)에서 배양된 미생물등의 먹이생물이 투입되기 때문에, 수조(100)내 갯벌층(600)은 부식되지 않고 자연상태의 갯벌과 유사한 환경을 조성하게 된다.
적정시간이 흘러 해수의 공급시간이 되면 상기와 같이 솔레노이드밸브가 개방되어 해수가 자동으로 공급됨과 동시에, 이때 수조(100)에 채워진 해수는 갯벌층(600), 규사토층(500)을 거치면서 타공판(400)을 통해 배수관(300)으로 서서히 배출되고, 또한 이 상태에서 배수관(300)의 솔레노이드밸브는 자동으로 개방되어 해수는 배수관(300)을 통해 배출된다.
또한, 상기 급수관(200)의 단부는 원형 또는 타원형의 도넛 형상으로 상부에 다수개의 출수공(211)이 형성된 급수분사파이프(210)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급수관(200)의 단부 즉 상기 수조(100)의 하부에 인입되어 급수를 하는 부분은 원형 또는 타원형의 도넛 형상으로 구성하여, 급수시에 상기 수조(100) 내부에 골고루 분사를 하기 위해서 형성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형성된 급수분사파이프(210)는 상부에 다수개의 출수공(211)이 형성되어, 급수된 물이 상기 급수관(200)에서 상기 급수분사파이프(210)로 이동시키고, 상기 급수분사파이프(210)의 상부에 형성된 출수공(211)에서 상기 수조(100)의 하부에서 상부로 고루 분사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먹이생물배양장치(220)는 저수탱크(221)에 물을 채우고, 미생물부착용 인공조류(222)를 거치봉(223)에 거치하여 상기 저수탱크(221)의 물에 잠기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먹이생물배양장치(220)는 갯벌생물인 게류, 갯지렁이, 짱뚱어 등은 갯벌에서 자연증식되는 규조류 등의 미생물을 취해서 먹기 때문에 갯벌을 장기간 사용하기 위하여 먹이생물 배양하여 상기 수조(100)에 공급하여 줌으로써, 미생물 등의 먹이생물이 증식되도록 하고, 갯벌을 장기간 교체하지 않고 갯벌의 먹이생물이 유지되도록 한다.
상기 먹이생물배양장치(220)는 저수탱크(221)에 물을 채우고, 미생물부착용 인공조류(222)를 거치봉(223)에 거치하여 상기 저수탱크(221)의 물에 잠기도록 구성함으로써, 자연스럽게 상기 인공조류(222)에 미생물 등의 먹이생물이 증식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상기와 같이 거치봉(223)에 다수개의 인공조류(222)를 동일한 간격으로 수직하방을 향하도록 거치하여 최대한 많은 양의 인공조류(222)를 거치시킬 수 있으며, 동일한 조건의 환경을 제공하여 준다.
또한, 상기 먹이생물배양장치(220)는 규조토여과기(230)가 추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먹이생물배양장치(220)는 상부에 식물조명등(240)을 추가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규조토여과기(230)는 기성제품으로서 미생물의 증식의 효과를 배가 시키기 위하여 구성된다.
부가적으로 규조토여과기[硅藻土濾過器, diatomaceous earth filter ]는 규조토의 성질을 이용한 여과기이다. 여재 표면에 규조토를 층 모양으로 부착시켜 여과하는 프리코트 여과법과 여과액에 규조토를 섞어 여과하는 보디피드 여과법이 있다. 규조토는 백색 또는 회백색으로 수㎛부터 수십㎛의 미세한 조류의 화석으로 규산이 주성분이다. 분말입자는 다수의 조그만 구멍이 있어 이런 성질을 이용하여 여과재, 흡착제 등으로 널리 쓰인다.
규조토 여과기는 이러한 규조토의 성질을 이용하여 금광과 여포 등의 여재 표면에 규조토를 층 모양으로 부착시켜서 여과하는 프리코트 여과법과, 여과하는 액에 소량의 규조토를 혼입해 여과하는 보디피드 여과법이 있는데 주로 가압식이다
상기 식물조명등(240)은 상기 먹이생물배양장치(220)의 상부에 구성되어, 미생물 등의 먹이생물의 증식이 잘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상기 수조(100)의 바닥판(120)과 타공판(400)의 사이의 공간에는 황토 86 ~ 94중량%, 목분 5 ~ 10중량%, 무기바인더 1 ~ 4중량%를 혼합하여 소정의 형태로 성형하고, 상기 성형된 성형체를 건조한 후, 800 ~ 1000℃의 온도에서 90 ~ 150분 동안 가열하여 소성하여 세라믹을 형성하고, 세라믹의 표면에 로도박터미생물농축액(710)(미도시)을 부착하여 이루어진 로도박터미생물세라믹(700)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로도박터미생물농축액(710)은 로도박터(Rhodobactor) 미생물을 추출하여 배양하고, 배양된 로도박터(Rhodobactor) 미생물을 1g당 적어도 15억 ~ 25억 개체가 포함되도록 농축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로도박터미생물세라믹(700)은 황토 86 ~ 94중량%, 목분 5 ~ 10중량%, 무기바인더 1 ~ 4중량%를 혼합하여 소정의 형태로 성형하고, 상기 성형된 성형체를 건조한 후, 800 ~ 1000℃의 온도에서 90 ~ 150분 동안 가열하여 소성하여 세라믹을 형성하고, 세라믹의 표면에 로도박터미생물농축액(710)을 부착하여 구성되며, 로도박터미생물농축액(710)에 기공이 형성된 세라믹을 대략20 ~ 30시간 동안 침전시켜 로도박터(Rhodobactor)미생물이 기공 사이에 집적되어 부착하도록 한다.
황토는 세라믹을 전체적인 구성을 위해 구비되며, 살균력이 강한 원적외선의 발산이 큰 특성상 세균의 살균은 물론 극히 미세한 여과공을 형성하여 유해물질의 제거를 완벽하게 할 수 있어, 수중생물의 어병 및 어충을 퇴치하고, 세균을 감소시키기 위해 구성된다. 상기 황토의 혼합량이 86중량% 미만으로 구비될 경우, 내구성이저하되며, 황토의 다양한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고, 94중량%를 초과하여 구비될 경우 기공의 형성이 러여워져 로도박터미생물농축액(710)의 집적이 어려워지므로 86 ~94중량%의 황토를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목분은 5 ~ 10중량% 구비되며, 세라믹에 기공을 형성하기 위한 구성으로, 5중량% 미만으로 혼합될 경우 기공이 적어져, 로도박터미생물농축액(710)의 집적이 어려워지고, 10중량%를 초과하여 혼합될 경우 강도가 낮아져 세라믹의 지속성이 저하되므로, 5 ~ 10중량%의 목분을 혼합하는 것이며, 상기 기공의 크기는 나노단위로 구비될 수 있다.
무기바인더는 상기 황토와 목분의 접착력을 부여하기 위한 구성으로, 1중량% 미만으로 혼합될 경우 결합력이 저하되고, 4중량%를 초과하여 혼합될 경우 제작단가가 상승하여 경제적이지 못하므로 1 ~4중량%의 무기바인더를 혼합하는 것이다.
또한, 가열온도는 800 ~ 1000℃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가열온도가 800℃ 미만일 경우, 소성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며, 1000℃를 초과하는 온도로 가열할 경우 황토의 성분이 변질되어 황토의 효능이 제대로 발휘되지 않으므로, 800 ~ 1000℃의 온도로 가열하는 것이며, 가열시간 또한, 90분 미만으로 이루어질 경우 소성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내구성이 견고하지 못하고, 150분을 초과하여 이루어질 경우 황토의 성분이 변질되어 황토의 효능이 제대로 발휘되지 않으므로 90 ~ 150분의 시간 동안 가열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로도박터미생물농축액(710)은 로도박터(Rhodobactor) 미생물을 추출하여 배양하고, 배양된 로도박터(Rhodobactor) 미생물을 1g당 적어도 15억 ~ 25억 개체가 포함되도록 농축하여 구비되는 구성이다. 상기 로도박터(Rhodobactor) 미생물의 개체수는 다량으로 구비될수록 효과적이지만, 그 효과가 15억 ~ 25억 개체를 전후로 하여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 않으므로 경제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1g당 15억 ~ 25억 개체가 포함되도록 농축 구성되는 것이다.
부가적으로 로도박터(Rhodobactor)는 광합성 세균으로 수중에서 질산성질소를 에너지원으로 사용하여 질소가스 형태로 대기중으로 방출시킴으로써 효과적으로 탈질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특성이 있으며, 동절기와 같이 수온이 낮아 미생물 활성이 저하될 경우 음이온 계열 광물질로 제조된 기능성 탈질세라믹에 의해 질산성질소나 아질산성질소에 결합되어 있는 산소를 광물질에 결합시킴으로써 질소제거가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한다.
10 : 해수 100 : 수조
120 : 바닥판 200 : 급수관
210 : 급수분사파이프 211 : 출수공
220 : 먹이생물배양장치 221 : 저수탱크
222 : 인공조류 223 : 거치봉
230 : 규조토여과기 240 : 식물조명등
300 : 배수관 310 : 자동개폐밸브
400 : 타공판 410 : 타공
420 : 여과부직포망 500 : 규사토층
600 : 갯벌층 700 : 로도박터미생물세라믹
710 : 로도박터미생물농축액

Claims (7)

  1. 자동조석장치가 구비된 갯벌생태수조에 있어서,
    중앙부가 하향경사진 바닥판(120)을 구비하는 수조(100);
    상기 수조(100)의 중앙하부에 구성되며, 먹이생물배양장치(220)가 구비되어 물을 공급하는 급수관(200);
    상기 수조(100)의 중앙 하부에 구성되며, 출수구측 단부에 자동개폐밸브(310)가 구성되는 배수관(300);
    상기 수조(100)의 급수관(200)과 배수관(300)의 상부에 구성되며, 상부에 여과부직포망(420)이 형성된 타공판(400);
    상기 타공판(400)의 상부에 구성되는 규사토층(500);
    상기 규사토층(500)의 상부에 구성되는 갯벌층(6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먹이생물 배양장치가 구비된 갯벌생태수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관(200)의 단부는 원형 또는 타원형의 도넛 형상으로 상부에 다수개의 출수공(211)이 형성된 급수분사파이프(210)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먹이생물 배양장치가 구비된 갯벌생태수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먹이생물배양장치(220)는 저수탱크(221)에 물을 채우고, 미생물부착용 인공조류(222)를 거치봉(223)에 거치하여 상기 저수탱크(221)의 물에 잠기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먹이생물 배양장치가 구비된 갯벌생태수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먹이생물배양장치(220)는 규조토여과기(230)가 추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먹이생물 배양장치가 구비된 갯벌생태수조.
  5. 제 3항 또는 4항에 있어서,
    상기 먹이생물배양장치(220)는 상부에 식물조명등(240)을 추가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먹이생물 배양장치가 구비된 갯벌생태수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100)의 바닥판(120)과 타공판(400)의 사이의 공간에는 황토 86 ~ 94중량%, 목분 5 ~ 10중량%, 무기바인더 1 ~ 4중량%를 혼합하여 소정의 형태로 성형하고, 상기 성형된 성형체를 건조한 후, 800 ~ 1000℃의 온도에서 90 ~ 150분 동안 가열하여 소성하여 세라믹을 형성하고, 세라믹의 표면에 로도박터미생물농축액(710)을 부착하여 이루어진 로도박터미생물세라믹(700)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먹이생물 배양장치가 구비된 갯벌생태수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로도박터미생물농축액(710)은 로도박터(Rhodobactor) 미생물을 추출하여 배양하고, 배양된 로도박터(Rhodobactor) 미생물을 1g당 적어도 15억 ~ 25억 개체가 포함되도록 농축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먹이생물 배양장치가 구비된 갯벌생태수조.
KR1020110024733A 2011-03-21 2011-03-21 먹이생물 배양장치가 구비된 갯벌생태수조 KR1010648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4733A KR101064806B1 (ko) 2011-03-21 2011-03-21 먹이생물 배양장치가 구비된 갯벌생태수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4733A KR101064806B1 (ko) 2011-03-21 2011-03-21 먹이생물 배양장치가 구비된 갯벌생태수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64806B1 true KR101064806B1 (ko) 2011-09-14

Family

ID=449573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4733A KR101064806B1 (ko) 2011-03-21 2011-03-21 먹이생물 배양장치가 구비된 갯벌생태수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480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31558A (zh) * 2014-05-13 2014-07-23 四川溪源水产养殖有限公司 一种大鲵工厂化养殖池
KR101508055B1 (ko) * 2013-06-08 2015-04-07 주식회사 네오엔비즈 생물학적 스키머를 이용한 바이오플락용 복합양식수조
KR20170011458A (ko) 2015-07-23 2017-02-02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다목적 갯벌 수족관
WO2019103867A1 (en) * 2017-11-22 2019-05-31 InnovaSea Systems, Inc. Submerged feed disperser for aquaculture system
USD891707S1 (en) 2018-11-13 2020-07-28 InnovaSea Systems, Inc. Attachment structure for a fish pen feed disperse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30773A (ko) * 1994-05-30 1995-12-18 송만호 어항의 물여과장치
KR100952879B1 (ko) 2009-10-23 2010-04-13 주식회사 해동오션 갯벌 체험수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30773A (ko) * 1994-05-30 1995-12-18 송만호 어항의 물여과장치
KR100952879B1 (ko) 2009-10-23 2010-04-13 주식회사 해동오션 갯벌 체험수조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8055B1 (ko) * 2013-06-08 2015-04-07 주식회사 네오엔비즈 생물학적 스키머를 이용한 바이오플락용 복합양식수조
CN103931558A (zh) * 2014-05-13 2014-07-23 四川溪源水产养殖有限公司 一种大鲵工厂化养殖池
KR20170011458A (ko) 2015-07-23 2017-02-02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다목적 갯벌 수족관
WO2019103867A1 (en) * 2017-11-22 2019-05-31 InnovaSea Systems, Inc. Submerged feed disperser for aquaculture system
JP2021503900A (ja) * 2017-11-22 2021-02-15 イノヴェイシー・システム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水産養殖システムのための水中飼料分散機
US10973211B2 (en) 2017-11-22 2021-04-13 InnovaSea Systems, Inc. Submerged feed disperser for aquaculture system
JP7152486B2 (ja) 2017-11-22 2022-10-12 イノヴェイシー・システム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水産養殖システムのための水中飼料分散機
USD891707S1 (en) 2018-11-13 2020-07-28 InnovaSea Systems, Inc. Attachment structure for a fish pen feed dispers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4806B1 (ko) 먹이생물 배양장치가 구비된 갯벌생태수조
CN104030446A (zh) 一种组合式生态浮床修复系统
CN103109763A (zh) 海水生态观赏水族箱的制作方法及海水生态观赏水族箱
CN104098187A (zh) 一种太阳能微动力自浇灌干式生态浮岛
CN102976492B (zh) 水体生态净化系统和水体生态净化方法
CN103964577B (zh) 一种室内小规模养殖水处理的藻屏系统
CN203661815U (zh) 一种室内海水养殖生态循环系统
CN207054517U (zh) 一种基于生物絮团和生物膜技术的水产循环水养殖系统
JP2015089348A (ja) アワビの養殖方法とその養殖システム
KR101710301B1 (ko) 제주도 용암 해수로부터 분리된 부착성 규조류를 이용한 해삼양식방법
KR200462881Y1 (ko) 수족관이 결합된 수경재배 정원
JP2009060830A (ja) 循環式水槽およびこれを用いた魚介類の飼育方法
CN113105070A (zh) 生态过滤水处理系统及其制造方法
JP2006217895A (ja) クルマエビの養殖方法および養殖システム
CN111357703A (zh) 一种水体养殖与种植的循环生态系统
CN204697752U (zh) 一种节能型育珠系统
CN217677008U (zh) 一种原位修复水生态系统的生物孵化净水平台
CN203999153U (zh) 一种太阳能微动力自浇灌干式生态浮岛
JP2016086800A (ja) アクアリウム水槽
KR101152430B1 (ko) 기능성세라믹 수질정화부도
CN212488004U (zh) 一种水体养殖与种植的循环生态系统
CN108975518B (zh) 高有机废物含量景观水体的净化装置
KR20120091902A (ko) 자연생태정원 및 자연생태정원의 시공방법
JP2011000530A (ja) 水質改善装置
CN115443941B (zh) 一种海星、珊瑚养殖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