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4713B1 - 전송 회선 구성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전송 회선 구성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4713B1
KR101064713B1 KR1020080130559A KR20080130559A KR101064713B1 KR 101064713 B1 KR101064713 B1 KR 101064713B1 KR 1020080130559 A KR1020080130559 A KR 1020080130559A KR 20080130559 A KR20080130559 A KR 20080130559A KR 101064713 B1 KR101064713 B1 KR 1010647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ssion
local
transmission line
operator
resu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05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71741A (ko
Inventor
이동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801305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4713B1/ko
Publication of KR201000717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17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47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47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03Configuration setting
    • H04L41/0823Configuration setting characterised by the purposes of a change of settings, e.g. optimising configuration for enhancing relia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54Wide area networks, e.g. public data networks
    • H04L12/2856Access arrangements, e.g. Internet access
    • H04L12/2858Access network architec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66Checking the configu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5/12Shortest path evaluation

Abstract

본 발명은 전송 회선 구성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전송 회선 구성 장치는 운용자로부터 시작 국소 및 종단 국소 간의 회선을 구성하기 위한 회선 요청 정보를 입력받고, 시작 국소로부터 종단 국소까지의 직접 경로를 검색한다. 그리고 검색된 직접 경로 수가 설정된 수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 결과, 직접 경로 수가 설정된 수 이상이 아닌 경우에, 복수의 망 내 국소들 중 선정된 적어도 하나의 경우 국소를 이용하여 전송 회선을 구성한다. 상기 판단 결과, 직접 경로 수가 설정된 수 이상인 경우에, 직접 경로를 운용자에게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자동으로 최단, 최적 전송 회선을 제공하고, 운용자에 의해 선택된 회선에 대하여 회선구성 제어 명령을 전송 장치로 전송함으로써, 전송 회선 구성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Figure R1020080130559
전송, 회선, 제어, 경로, 링크, 국소, 전송망

Description

전송 회선 구성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FOR PROVISIONING TRANSMISSION LINK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전송 회선 구성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복수의 전송망 환경에서 두 국소간의 전송 회선을 구성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전송 회선을 구성하는 대표적인 시스템으로, NE(Network Element) 기반의 회선 구성 시스템, EMS(Element Managment System) 기반의 회선 구성 시스템, OCP(Optical Control Plane)기반의 회선 구성 시스템이 있다.
NE기반의 회선 구성 시스템은 운용자로부터 입력받은 각 장치들의 정보를 이용하여 회선을 설계한 후 각 전송 장치에 접속된 운용터미널(CIT: Craft Interface Terminal)을 이용하여 망 내 전송 장치들 각각 제어하여 전송 회선을 구성한다.
EMS 기반의 회선 구성 시스템은 제작사에서 제공하는 EMS(Element Management System)를 활용하여 전송 장치를 운용하는 장치로, 운용자로부터 입력받은 각 장치들의 정보들을 기초로 회선 구성을 위한 두 지점간의 전송로를 활성화하도록 제어명령을 전달하여 전송 회선을 구성한다.
OCP 기반의 회선 구성 시스템은 자동 교환 광 네트워크 장치(ASON; Automatically Switched Optical Network)인 회선 구성을 위해 광 제어 평면(Optical Control Plane)을 전송 장치 또는 EMS에 구현하고, 구현된 광 제어 평면을 이용하여 전송 회선을 구성한다.
이러한, 회선 구성 시스템은 각 망에 한정되어 이용되었다. 하지만, 현재 망 구성은 망 내 장치들의 노후화에 의한 전송 장치의 대개체, 새로운 서비스를 하기 위한 통합형 장치의 도입 등에 의해 다양한 장치들이 혼재된 망이 많아지고 있다. 즉, 기 운용되고 있는 전송 장치를 새로운 방식의 전송 장치로 대체하는 과정에서 NE 기반의 회선 구성 시스템, EMS 기반의 회선 구성 시스템, OCP 기반의 회선 구성 시스템들이 망에 혼용되어 사용된다. 또한, 이러한 다양한 기술을 구비한 다양한 장치들을 관리하기 위한 통신 프로토콜 역시, 제작사 또는 장치 관리 기술에 따라 Q3(ITU-T에서 권고하는 통신인터페이스), TL1(Transaction Language 1), CORBA(Common Object Request Broker Architecture), UNI/NNI(User to Network Interface/ Network to Network Interface)등 다양하게 정의되어 사용된다.
따라서, 복잡한 통신망 운용 환경에서 망으로부터 자동 수집된 정보가 아닌 운용자의 입력에 의한 정보로부터 회선을 설계하는 경우 입력된 정보와 실제 망을 구성하는 전송장치의 형상정보간 데이터 불일치가 생길 수 있으며, 이러한 데이터 베이스와 전송장치간 데이터 불일치는 회선구성의 효율성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다.
또한, 복잡한 통신망 운용환경에서 전송 회선을 설계하고 설계된 전송장치를 제어하여 전송 회선을 구성하는 작업은 다수의 운용자의 협업이 필요하며 협업에 따른 시간 소요가 불가피하다. 그리고, 각 장치별 또는 EMS별 운용 명령을 사용하여 각 전송장치를 제어하는 경우 각 장치의 운용 터미널, EMS 사용법 등 운용자의 경험이 매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망으로부터 자동으로 형상정보를 수집하여 유휴 자원을 파악하고 저장 관리하며, 이를 바탕으로 전송 회선 설계가 이루어져야 데이터의 정확성을 유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다양한 기술 및 장치가 혼재한 복잡한 전송망에서 운용자의 경험을 시스템화하여 자동으로 통신 프로토콜 선택 및 제어 명령을 생성하여 실행함으로써 회선구성 시간을 단축하고 신속한 서비스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전송 회선 구성 시스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복수의 전송망 환경에서 정확도 높게 두 국소간의 전송 회선을 구성하기 위한 전송 회선 구성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서, 복수의 전송망 환경에서 서로 다른 망의 두 국소간 전송 회선을 구성하는 전송 회선 구성 장치는,
복수의 전송망에 속한 전송 장치들에 대한 장치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장치 정보를 기초로 형상 정보를 생성하는 형상 정보 수집부; 상기 형상 정보 수집부 에 의해 생성된 형상 정보를 이용하여 운용자로부터 회선 연결을 요청받은 두 국소간의 전송 회선을 구성하는 전송 회선 설계부; 및 상기 전송 회선 설계부에 의해 구성된 전송 회선을 기초로 상기 복수의 전송망의 전송 장치 각각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생성하여 상기 복수의 전송망의 전송 장치를 제어하는 명령 처리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명령 처리부는 상기 복수의 전송망에 대응하는 프로토콜 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저장된 프로토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전송 회선에 대응하는 상기 복수의 전송망의 전송 장치 각각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생성하고, 생성된 제어 명령을 상기 복수의 전송망의 전송 장치를 제어한다.
여기서, 전송 회선 구성 장치는, 운용자로부터 상기 두 국소간의 회선 연결을 위한 회선 요청 정보를 입력받고, 입력 받은 회선 요청 정보를 상기 전송 회선 설계부로 제공하며, 상기 명령 처리부로부터 상기 제어 명령에 대응하는 처리 결과를 수신하여 운용자에게 제공하는 운용자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서, 복수의 전송망 환경에서 서로 다른 망의 두 국소간 전송 회선을 구성하는 장치의 전송 회선 구성 방법은,
운용자로부터 상기 시작 국소 및 종단 국소 간의 회선을 구성하기 위한 회선 요청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시작 국소로부터 상기 종단 국소까지의 직접 경로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검색된 직접 경로 수가 설정된 수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 직접 경로 수가 설정된 수 이상이 아닌 경우에, 상기 복수의 망 내 국소들 중 선정된 적어도 하나의 경우 국소를 이용하여 전송 회선을 구성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 직접 경로 수가 설정된 수 이상인 경우에, 상기 직접 경로를 운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경우 국소의 개수를 이용하여 전송 회선을 구성하는 단계는,
상기 경유 국소를 설정된 수만큼 선정하는 단계; 상기 선정된 경유 국소의 개수에 대응하여 경우 국소 수를 증가시키는 단계; 상기 시작 국소, 상기 경유 국소 및 상기 종단 국소를 통과하는 통과 경로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통과 경로의 수가 설정된 수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통과 경로를 운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통과 경로를 운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통과 경로의 수가 설정된 수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통과 경로의 수가 설정된 수 이상인지 여부 판단 결과, 설정된 수 이상인 경우에, 상기 통과 경로를 운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통과 경로의 수가 설정된 수 이상인지 여부 판단 결과, 설정된 수 이상이 아닌 경우에, 상기 경유 국소 수가 한계값을 초과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통과 경로를 운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수의 기술, 다수의 제작사, 다수의 장비로 구성된 전송망으로부터 회선 구성을 위한 정보 수집을 자동화함으로써, 형상 정보 데이터 베이스와 전송 장치간 데이터 불일치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수집된 형상 정보를 활용하여 자동으로 최단, 최적 전송 회선을 제공 하고, 운용자에 의해 선택된 회선에 대하여 회선구성 제어 명령을 전송 장치로 전송함으로써, 전송 회선 구성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서비스 개통 등의 업무 시에 업무 효과를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제 도면을 통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송 회선 구성 장치 및 그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송 회선 구성 장치가 적용된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은 NE(Network Element; 이하, "NE"라 함) 기반 회선 구성 구간, OCP(Optical Control Plane; 이하, "OCP"라 함) 기반 회선 구성 구간, EMS(Element Management System; 이하, "EMS"라 함) 기반 회선 구성 구간을 갖는 복수의 망과 서로 다른 망에 속한 두 국소(500, 510)간의 전송 회선을 구성하는 전송 회선 구성 장치(100)를 포함한다.
전송 회선 구성 장치(100)는 운용자 인터페이스부(110), 형상 정보 수집부(120), 전송 회선 설계부(130), 명령 처리부(140) 및 데이터 베이스(150)를 포함한다.
이러한, 전송 회선 구성 장치(100)는 망 내 전송 장치들의 유휴 자원을 관리하고, 전송 장치들의 유휴 자원을 이용하여 전송 회선을 설계하는 장치로, 두 지점 간의 전송 회선을 구성하는 경우에, 두 지점간 전송 회선이 거쳐가는 모든 전송장치의 포트 및 상호접속(cross-connect)의 운용상태를 수집하여 두 지점간의 최단 또는 최적의 회선을 구성한다.
운용자 인터페이스부(110)는 운용자로부터 입력 정보를 수신하여 형상 정보 수집부(120), 전송 회선 설계부(130) 및 명령 처리부(140)로 제공하며, 각 부(120, 130, 140)로부터 수신된 처리 결과 정보를 운용자에게 제공한다.
형상 정보 수집부(120)는 주기적으로 NE 기반 회선 구성 구간망의 전송 장치(210, 220, 230), OCP 기반의 회선 구성 구간망의 EMS(이하, "망 관리 장치"라고도 함)(310), EMS 기반의 회선 구성 구간망의 EMS(410)로 망 내 각 장치들의 장치 정보들을 요청하고, 요청에 의해 수집된 장치 정보들을 기초로 형상 정보를 생성하여 데이터 베이스(150)에 저장한다. 여기서, 장치 정보는 해당 장치의 유니트 상태, 포트 상태, 연결 상태 등을 포함한다.
전송 회선 설계부(130)는 운용자 인터페이스부(110), 형상 정보 수집부(120) 및 명령 처리부(14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데이터 베이스(150)에 저장된 형상 정보를 기초로 운용자의 회선 구성 요청에 대응하여 두 국소간의 전송 회선을 구성한다. 그리고, 구성된 전송 회선 정보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을 전송 장치(210, 220, 230) 및 각 망의 EMS(310, 410)로 전송하도록 명령 처리부(140)로 전송 회선 정보를 전송한다.
명령 처리부(140)는 전송 회선 설계부(130)로부터 전송 회선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전송 회선 정보를 분석하여 전송 장치(210, 220, 230) 및 각 망의 EMS(310, 410)가 이용하는 통신 프로토콜을 기초로 각각 제어 명령을 생성한다. 그리고, 생성된 제어 명령을 각 망의 장치(210, 220, 230, 310, 410)들로 송신한다. 그리고 제어 명령에 대응하는 응답을 수신하여 데이터 베이스(150)에 저장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명령 처리부를 상세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명령 처리부(140)는 전송 회선 프로비져닝 요청 수신 모듈(141), 프로토콜별 통신 인터페이스 연동모듈(142), 프로비져닝 결과 처리 모듈(143), TL1(Transaction Language 1; 이하, "TL1"이라 함) 인터페이스 처리모듈(144), OCP 시그널링 트리거모듈(145) 및 CORBA(Common Object Request Broker Architecture; 이하, "CORBA"라 함) 인터페이스 처리 모듈(146)을 포함한다.
전송 회선 프로비져닝 요청 수신 모듈(141)은 전송 회선 설계부(130)로부터 전송 회선 정보를 수신하며, 수신된 전송 회선 정보를 분석하여 회선 경로를 조회하고, 두 국소간의 회선 연결을 위해 이용할 전송 장치들(210, 220, 230, 320, 330, 340, 350, 420, 430, 440, 450), 각 전송 장치들의 물리 포트, 논리 포트를 산출한다. 그리고, 전송 회선 프로비져닝 요청 수신 모듈(141)은 전송 장치들(210, 220, 230, 320, 330, 340, 350, 420, 430, 440, 450), 각 전송 장치들(210, 220, 230, 320, 330, 340, 350, 420, 430, 440, 450)의 물리 포트, 논리 포트 등의 정보를 포함하는 전송 회선 구성 정보를 생성하여 프로토콜별 통신 인터페이스 연동 모듈(142)로 전송한다.
프로토콜별 통신 인터페이스 연동 모듈(142)은 전송 회선 프로비져닝 요청 수신 모듈(141)로부터 수신한 전송 회선 구성 정보를 기초로 각 전송 장치가 이용하는 통신 프로토콜별로 분류하고, 분류된 전송 장치별 회선 구성 정보들을 TL1 인터페이스 처리 모듈(144), OCP 시그널링 트리거 모듈(145) 또는 CORBA 인터페이스 처리 모듈(146)로 각각 전송한다.
TL1인터페이스 처리 모듈(144)은 NE 기반 회선 구성 구간망(200) 내 전송 장치들(210, 220, 230)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프로토콜별 통신 인터페이스 연동 모듈(142)로부터 수신한 전송 장치별 회선 구성 정보를 기초로 전송 회선을 구성하기 위한 TL1 제어 명령을 생성하고, 생성된 TL1 제어 명령을 각 전송 장치들(210, 220, 230)로 전송한다. 이때, TL1 인터페이스 처리 모듈(144)은 시작 국소(500)와 최초 연결되는 전송 장치(NE)(220)에 대해서는 포트 활성화, 시작 국소와의 상호 접속을 위한 제어 명령을 생성하여 전송하고, 전송 장치(220)과 연결된 다른 전송 장치들(230, 240)에 대해서는 전송 장치(220)과의 상호 접속을 위한 제어 명령을 생성하여 전송한다.
그리고, TL1 인터페이스 처리 모듈(144)은 각 전송 장치들(210, 220, 230)로부터 TL1 제어 명령에 대응하는 응답을 수신하여 프로토콜별 통신 인터페이스 연동 모듈(142)로 전송한다.
OCP 시그널링 트리거 모듈(145)은 OCP 기반 회선 구성 구간망(300) 내 전송 장치들(320, 330, 340)을 관리하는 EMS(41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프로토콜별 통신 인터페이스 연동 모듈(142)로부터 수신한 전송 장치별 회선 구성 정보를 기초로 구간망 내의 경로 시작 위치, 경로 종단 위치, 신호 계위 등의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요청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어 요청 정보를 기초로 제어 평면(Control Plane)을 관리하는 EMS(310)로 회선 연결 요청을 한다. 그리고, EMS(310)로부터 회선 연결 요청에 대한 처리 결과를 수신하여 프로토콜별 통신 인터페이스 연동 모듈(142)로 제공한다.
CORBA 인터페이스 처리 모듈(146)은 EMS 기반 회선 구성 구간망(400) 내 전송 장치들(420, 430, 440)을 관리하는 EMS(41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프로토콜별 통신 인터페이스 연동 모듈(142)로부터 수신한 전송 장치별 회선 구성 정보를 기초로 구간 망 내의 경로 시작 위치, 경로 종단 위치, 신호 계위 등의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요청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어 요청 정보를 기초로 EMS(410)로 회선 연결을 요청한다. 그리고, EMS로부터 회선 연결 요청에 대한 처리 결과를 수신하여 프로토콜별 통신 인터페이스 연동 모듈(142)로 제공한다.
프로비져닝 결과 처리 모듈(143)은 프로토콜별 통신 인터페이스 연동 모듈(142)로부터 각 전송 장치별 회선 구성 정보에 기초한 회선 연결 설정에 대응하는 처리 결과를 수신하여 데이터 베이스(150)에 저장하고, 처리 결과를 운용자 인터페이스부(110)로 제공한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송 회선 구성 장치의 전송 회선 구성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3a 및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송 회선 구성 장치(100)는 운용자로부터 전송 회선을 구성하기 위한 시작과 종단 국소(이하, 시작 국소를 "제1 국소", 종단 국소를 "제2 국소"라고도 함)(500, 510), 회선의 신호 계위가 포함된 회선 요청 정보를 입력받고(S100), 수집한 형상정보를 이용하여 입력받은 회선 요청 정보에 포함된 신호 계위에 해당하는 유휴 자원이 시작 국소(500)에 있는지 여부를 검색한다(S102). 즉, 전송 회선 구성 장치(100)는 회선 연결을 위해 회선 요청 정보에 포함된 신호 계위에 해당하는 유휴 자원이 시작 국소(500)에 있는지 여부를 검색한다.
그리고, 전송 회선 구성 장치(100)는 유휴 자원이 시작 국소(500)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04)
상기 S104 단계의 판단 결과, 유휴 자원이 없는 경우에, 전송 회선 구성 장치(100)는 해당 회선이 없음을 표시하여 운용자에게 알린다(S106).
상기 S104 단계의 판단 결과, 유휴 자원이 있는 경우에, 전송 회선 구성 장치(100)는 입력받은 회선 요청 정보에 포함된 신호 계위에 해당하는 유휴 자원이 종단 국소(510)에 있는지 여부를 검색한다(S108).
그리고, 전송 회선 구성 장치(100)는 유휴 자원이 종단 국소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10).
상기 S110 단계의 판단 결과, 유휴 자원이 없는 경우에, 전송 회선 구성 장치(100)는 해당 회선이 없음을 표시하여 운용자에게 알린다(S106).
상기 S110 단계의 판단 결과, 유휴 자원이 있는 경우에, 전송 회선 구성 장치(100)는 시작 국소(500)에서 종단 국소(510)로 직접 경로가 존재하는지 검색하여 직접 경로를 찾는다(S112). 그리고 전송 회선 구성 장치(100)는 찾아진 총 경로의 수가 5개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14). 여기서, 직접 경로는 회선 설계시 중간에 거쳐가는 장비가 없이 존재하는 시작 국소와 종료 국소간 경로를 말한다.
상기 S114 단계의 판단 결과, 찾아진 총 경로의 수가 5개 이상인 경우에, 전송 회선 구성 장치(100)는 운용자에 의해 설정된 옵션을 확인하고, 옵션이 최단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26). 여기서, 전송 회선 구성 장치(100)는 설정된 옵션이, 최단 옵션이 설정되었다고 가정하며, 최적 옵션을 선택할 수도 있다.
상기 S126 단계의 판단 결과, 옵션이 최단인 경우에, 전송 회선 구성 장치(100)는 경유국소 수 순으로(경유국소 수가 적은 순서대로) 찾아진 경로 목록을 운용자에게 제공한다(S128).
상기 S126 단계의 판단 결과, 옵션이 최단이 아닌 경우에(옵션이 최적인 경 우에), 전송 회선 구성 장치(100)는 최단 경로를 구성하는 최상위 시스템의 용량(400G, 100G, 80G, 40G, 20G, STM(Synchronous Transfer Mode)64, STM16, STM4, STM1)에 따라 하기 표 1에 정의된 가중치의 합 순으로 목록을 정렬하고(S130), 최상위 시스템의 용량이 동일한 경우 목록 내에서 시스템 내의 전체 포트 수 대비 유휴 포트 수 비율을 회선 가용율로 결정한다. 그리고, 전송 회선 구성 장치(100)는 동일 용량 목록을 회선 가용율 순으로 정렬하고(S132), 정렬된 최적 경로 목록을 운용자에게 제공한다(S134).
전송장치 종류 시스템용량 가중치 비고
DWDM(Dense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equipment) 400G 400G 400 IWDM(Intelligence WDM) 320G, MSPP(Multi Service Provisional Platform) 320G 포함
OADM(Optical Add Drop Multiplexing equipment) 100G 100G 100
MWDM(Metro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equipment) 80G 80G 80
DWDM 40G 40G 40
SWDM(Simple WDM) 20G 20G 20
SDH(Synchronous Digital Heierachy)10G, MSPP 10G 10G 10 OXC 포함
SDH 2.5G 2.5G 2.5
SDH 622M 0.622G 0.6
SDH 155M 0.155G 0.2
상기 S114 단계의 판단 결과, 찾아진 총 경로의 수가 5개 미만인 경우에, 전송 회선 구성 장치(100)는 임의의 경우 국소를 하나 선정하고, 경유 국소 수를 1 증가시킨다(S116). 여기서, 초기 경유 국소 수는 0의 값을 갖는다. 이때, 전송 회선 구성 장치(100)는 임의의 경우 국소를 둘 이상 선정할 수 도 있으며, 선정된 경유 국소의 수에 대응하여 경유 국소 수를 증가시킨다.
그리고, 전송 회선 구성 장치(100)는 시작 국소(500), 종단 국소(510)와 임의로 선정한 경우 국소를 포함하는 통과 경로를 검색한다(S118).
전송 회선 구성 장치(100)는 찾아진 총 통과 경로의 수가 5개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20).
상기 S120 단계의 판단 결과, 총 찾아진 통과 경로의 수가 5개 이상이 아닌 경우에, 전송 회선 구성 장치(100)는 경유 국소 수가 설정된 한계값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한다(S122).
상기 S122 단계의 판단 결과, 경유 국소 수가 설정된 한계값보다 크지 않은 경우에, 전송 회선 구성 장치(100)는 상기 S116 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S122 단계의 판단 결과, 경유 국소 수가 설정된 한계값보다 큰 경우에, 전송 회선 구성 장치(100)는 총 찾아진 경로의 수가 0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한다(S124).
상기 S124 단계의 판단 결과, 총 찾아진 경로의 수가 0인 경우에, 전송 회선 구성 장치(100)는 상기 S106 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S124 단계의 판단 결과, 총 찾아진 경로의 수가 0보다 큰 경우에, 전송 회선 구성 장치(100)는 상기 S126 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S120 단계의 판단 결과, 총 찾아진 경로의 수가 5개 이상인 경우에, 전송 회선 구성 장치(100)는 상기 S126 단계를 수행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송 회선 구성 장치가 적용된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명령 처리부를 상세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송 회선 구성 장치의 전송 회선 구성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Claims (10)

  1. 복수의 전송망 환경에서 서로 다른 망의 두 국소간 전송 회선을 구성하는 전송 회선 구성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전송망에 속한 전송 장치들에 대한 장치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장치 정보를 기초로 형상 정보를 생성하는 형상 정보 수집부;
    상기 형상 정보 수집부에 의해 생성된 형상 정보를 이용하여 운용자로부터 회선 연결을 요청받은 두 국소간의 전송 회선을 구성하는 전송 회선 설계부; 및
    상기 전송 회선 설계부에 의해 구성된 전송 회선을 기초로 상기 복수의 전송망의 전송 장치 각각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생성하여 상기 복수의 전송망의 전송 장치를 제어하는 명령 처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송 회선 구성 장치는 상기 두 국소간에 형성되는 직접 경로를 검색하고, 검색되는 직접 경로가 설정된 수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직접 경로를 상기 운용자에게 제공하지만, 검색되는 직접 경로가 설정된 수 이상이 아닌 경우에는 상기 복수의 전송망 내 국소들 중 선정된 적어도 하나의 경우 국소를 이용하여 전송 회선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회선 구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 처리부는,
    상기 복수의 전송망에 대응하는 프로토콜 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저장된 프로토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전송 회선에 대응하는 상기 복수의 전송망의 전송 장치 각각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생성하고, 생성된 제어 명령을 상기 복수의 전송망의 전송 장치를 제어하는 전송 회선 구성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운용자로부터 상기 두 국소간의 회선 연결을 위한 회선 요청 정보를 입력받고, 입력 받은 회선 요청 정보를 상기 전송 회선 설계부로 제공하며, 상기 명령 처리부로부터 상기 제어 명령에 대응하는 처리 결과를 수신하여 운용자에게 제공하는 운용자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는 전송 회선 구성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 처리부는,
    상기 복수의 전송망의 전송 장치들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복수의 전송망 각각에 대응하는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복수의 모듈을 포함하는 전송 회선 구성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운용자로부터 수신한 회선 연결을 위한 회선 요청 정보와 상기 회선 요청 정보에 대응한 처리 결과를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를 더 포함하는 전송 회선 구성 장치.
  6. 복수의 전송망 환경에서 서로 다른 망의 두 국소간 전송 회선을 구성하는 장치의 전송 회선 구성 방법에 있어서,
    운용자로부터 상기 시작 국소 및 종단 국소 간의 회선을 구성하기 위한 회선 요청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시작 국소로부터 상기 종단 국소까지의 직접 경로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검색된 직접 경로 수가 설정된 수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 직접 경로 수가 설정된 수 이상이 아닌 경우에, 상기 복수의 망 내 국소들 중 선정된 적어도 하나의 경우 국소를 이용하여 전송 회선을 구성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 직접 경로 수가 설정된 수 이상인 경우에, 상기 직접 경로를 운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송 회선 구성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경우 국소의 개수를 이용하여 전송 회선을 구성하는 단계는,
    상기 경유 국소를 설정된 수만큼 선정하는 단계;
    상기 선정된 경유 국소의 개수에 대응하여 경우 국소 수를 증가시키는 단계;
    상기 시작 국소, 상기 경유 국소 및 상기 종단 국소를 통과하는 통과 경로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통과 경로의 수가 설정된 수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통과 경로를 운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송 회선 구성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통과 경로를 운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통과 경로의 수가 설정된 수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통과 경로의 수가 설정된 수 이상인지 여부 판단 결과, 설정된 수 이상인 경우에, 상기 통과 경로를 운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통과 경로의 수가 설정된 수 이상인지 여부 판단 결과, 설정된 수 이상이 아닌 경우에, 상기 경유 국소 수가 한계값을 초과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통과 경로를 운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송 회선 구성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회선 요청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이후에,
    상기 회선 요청 정보를 기초로 상기 시작 국소에 상기 종단 국소와 회선 연결을 위한 자원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시작 국소의 자원 여부 판단 결과, 자원이 있는 경우에, 상기 종단 국소에 상기 시작 국소와 회선 연결을 위한 자원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시작 국소의 자원 여부 판단 결과, 자원이 없는 경우에, 회선이 없음을 운용자에게 알리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송 회선 구성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종단 국소의 자원 여부 판단 결과, 자원이 있는 경우에, 상기 시작 국소에서 상기 종단 국소간 직접 경로를 탐색하는 단계; 및
    상기 종단 국소의 자원 여부 판단 결과, 자원이 없는 경우에, 회선이 없음을 운용자에게 알리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송 회선 구성 방법.
KR1020080130559A 2008-12-19 2008-12-19 전송 회선 구성 장치 및 그 방법 KR1010647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0559A KR101064713B1 (ko) 2008-12-19 2008-12-19 전송 회선 구성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0559A KR101064713B1 (ko) 2008-12-19 2008-12-19 전송 회선 구성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1741A KR20100071741A (ko) 2010-06-29
KR101064713B1 true KR101064713B1 (ko) 2011-09-14

Family

ID=42369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0559A KR101064713B1 (ko) 2008-12-19 2008-12-19 전송 회선 구성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471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1540B1 (ko) * 2020-08-13 2023-04-12 주식회사 케이티 전송망의 투자 비용 자동 산출 시스템 및 그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8417A (ko) * 1999-10-25 2001-05-15 정선종 이더넷 망을 연동 망으로 하는 망정합장치들의 연동장치 및 연동방법
KR20020023482A (ko) * 2000-09-22 2002-03-29 이계철 비동기 전송 모드 통신망에서의 라우팅 방법 및 장치
KR20030052599A (ko) * 2001-12-21 2003-06-2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비동기 전송방식 교환기에서 프로세서간 통신 경로 정보를동적으로 설정하는 방법
KR20040072003A (ko) * 2003-02-07 2004-08-16 삼성전자주식회사 브이 5.2 프로토콜 서비스를 제공하는 로컬 교환기와 그형상 정보 관리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8417A (ko) * 1999-10-25 2001-05-15 정선종 이더넷 망을 연동 망으로 하는 망정합장치들의 연동장치 및 연동방법
KR20020023482A (ko) * 2000-09-22 2002-03-29 이계철 비동기 전송 모드 통신망에서의 라우팅 방법 및 장치
KR20030052599A (ko) * 2001-12-21 2003-06-2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비동기 전송방식 교환기에서 프로세서간 통신 경로 정보를동적으로 설정하는 방법
KR20040072003A (ko) * 2003-02-07 2004-08-16 삼성전자주식회사 브이 5.2 프로토콜 서비스를 제공하는 로컬 교환기와 그형상 정보 관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1741A (ko) 2010-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60392B2 (en) Optical network topology databases based on a set of connectivity constraints
JP4380895B2 (ja) 光スイッチおよびそこで用いるプロトコル
CN103338163B (zh) 支持动态弹性资源调度的软件定义网络控制器
US7283741B2 (en) Optical reroutable redundancy scheme
US20060013149A1 (en) Suprvisory channel in an optical network system
EP1093261A2 (en) Architectures for communication networks
Patel et al. Qos-aware optical burst switching in openflow based software-defined optical networks
EP1639734A2 (en) Optical network topology databases and optical network operations
US8406622B2 (en) 1:N sparing of router resources at geographically dispersed locations
CN103931123A (zh) Wson复原
US7414985B1 (en) Link aggregation
KR101674177B1 (ko) 멀티노드간 이더넷 가상연결서비스를 제공하는 트랜스포트 sdn 컨트롤러 및 멀티노드간 이더넷 가상연결서비스 제공 방법
CA2557733A1 (en) Packet communication network and packet communication method
EP1502474B1 (en) Hierarchical switch architecture for core optical networks
EP2461521B1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automatically discovering optical fiber connections within network element
US733042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manent sub-network connections in a communication network
US2004024731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 network database in an optical network
US11664890B2 (en) Service processing method, control device, and storage medium
KR101064713B1 (ko) 전송 회선 구성 장치 및 그 방법
US20170012866A1 (en)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for forwarding a data flow
EP1442547A2 (en) Architectural arrangement for core optical networks
US20150304239A1 (en) Telecommunication network node supporting hybrid management using a hardware abstraction and management protocol cross-connect function
TWI707552B (zh) 保護光纖通道電路供裝方法及伺服器
Cortez The emerging intelligent optical network: Now a reality
KR100270664B1 (ko) 사설망 노드 인터페이스 라우팅 기능을 분산시키는 방버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7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