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4705B1 - 스페이서 댐퍼 - Google Patents

스페이서 댐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4705B1
KR101064705B1 KR1020090104657A KR20090104657A KR101064705B1 KR 101064705 B1 KR101064705 B1 KR 101064705B1 KR 1020090104657 A KR1020090104657 A KR 1020090104657A KR 20090104657 A KR20090104657 A KR 20090104657A KR 101064705 B1 KR101064705 B1 KR 1010647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r
power supply
aviation
lamp
current ind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46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47866A (ko
Inventor
이상윤
이동일
이원교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0901046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4705B1/ko
Publication of KR201100478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78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47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47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12Devices for maintaining distance between parallel conductors, e.g. spacer
    • H02G7/125Damping spac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4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intended only for mounting on a ceiling or the like overhead structur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2Devices for adjusting or maintaining mechanical tension, e.g. take-up devic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14Arrangements or devices for damping mechanical oscillations of lines, e.g. for reducing production of soun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20Spatial arrangements or dispositions of lines or cables on poles, posts or tow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ul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도체를 고정하는 복수의 클램프, 클램프 내부에 형성된 전류 유도부, 복수의 클램프가 연결되며, 복수의 클램프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스페이서, 전류 유도부와 연결되어 전류 유도부로부터 유도된 유도 전류를 제공받아 전원을 생성하는 전원부 및 전원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으로 점등하는 항공 장애 램프를 포함하는 스페이서 댐퍼에 관한 것이다.
스페이서, 항공 장애 램프

Description

스페이서 댐퍼{SPACER DAMPER}
본 발명은 송전 선로용 스페이서 댐퍼에 관한 것이다.
가공 송전 선로는 단도체 방식 및 다도체 방식으로 구분된다. 단도체 방식은 단일 소도체를 이용하여 송전하는 것으로 송전 용량에 제한을 받을 수 있다.
다도체 방식은 복수의 소도체를 이용하여 송전선로를 구성하는 것으로, 복도체(2도체), 4도체, 6도체 순으로 2N(N은 자연수)개의 소도체가 하나의 송전선로를 구성한다. 이때, 스페이서 댐퍼는 다도체 송전선로의 소도체들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스페이서와, 소도체를 고정하는 클램프와 스페이서를 연결하고, 진동을 방지하기 위한 댐퍼가 구비된다.
이러한 스페이서 댐퍼는 소도체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며, 일정한 구간에서 필수적으로 사용된다.
종래 항공 장애 램프는 송전탑에 설치되어 있어, 야간에 송전 선로를 식별하기 어려워 항공기, 작업자 또는 일반인들의 안전사고 위험이 상존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항공 장애 램프를 구비한 스페이서 댐퍼를 제공하는 데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목적은 송전선로로부터 유도된 유도 전압을 이용하여 항공 장애 램프를 점등하는 스페이서 댐퍼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송전 선로 주변의 작업자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스페이서 댐퍼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서지 보호 회로를 통해 외부 서지로부터 송전선로 및 항공 장애 램프를 보호하는 스페이서 댐퍼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항공 장애 램프의 점등 유무를 통해 송전선로의 가압을 확인할 수 있는 스페이서 댐퍼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소도체를 고정하는 복수의 클램프; 상기 클램프 내부에 형성된 전류 유도부; 상기 복수의 클램프가 연결되며, 상기 복수의 클램프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스페이서; 상기 전류 유도부와 연결되어 상기 전류 유도부로부터 유도된 유도 전류를 제공받아 전원을 생성하는 전원부; 및 상기 전원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으로 점등하는 항공 장애 램프를 포함하는 스페이서 댐퍼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원부는 상기 전류 유도부로부터 공급된 전압을 정류하는 정류장치; 및 상기 정류장치로부터 인가된 전압을 필터링하는 전압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원부는 상기 소도체로부터 인가되는 서지 전압으로부터 상기 전원부를 보호하는 서지 방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항공 장애 램프의 일단 또는 양단에 서지 전압으로부터 상기 항공 장애 램프를 보호하는 서지 방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류 유도부는 상기 소도체로부터 생성된 자계에 의해 상기 유도 전류가 생성되도록 상기 소도체와 적어도 나란하게 형성된 도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류 유도부는 로고스키 코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원부 및 상기 항공 장애 램프는 상기 스페이서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페이서 댐퍼는 항공 장애 램프를 구비하여 야간에도 송전선로를 식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페이서 댐퍼는 별도의 전원설비를 추가하지 않고 송전선로로부터의 유도 전압을 이용하여 항공 장애 램프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페이서 댐퍼는 송전선로 주변에서 발생되는 작업자 안전사 고를 예방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스페이서 댐퍼는 항공 장애 램프 양단에 서지 보호 회로가 부착되어 뇌써지, 개폐써지, 상용주파 과전압 등으로부터 송전선로 및 항공 장애 램프를 보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페이서 댐퍼는 항공 장애 램프의 점등 유무를 통해 육안으로 송전선로의 가압 여부를 판단하여 송전선로의 유지 및 보수에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 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 번호에 상관없이 동일한 수단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페이서 댐퍼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스페이서 댐퍼는 복수의 클램프(10), 클램프 암(20), 전류 유도부(100), 스페이서(30), 전원부(200) 및 항공 장애 램프(70)를 포함한다.
도 1은 4도체 방식의 스페이서 댐퍼를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2도체 또는 6도체 방식의 스페이서 댐퍼에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업자 입장에서 당연하다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2, 4, 6 도체 방식뿐만 아니라 다른 방식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클램프(10)는 4개를 구비한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다.
클램프(10)는 소도체(1)를 지지하고, 소도체(1)로부터 발생된 진동을 클램프 암(20)을 통해 스페이서(30)에 전달한다.
클램프(10) 내부에는 전류 유도부(100)가 내장된다. 이러한 클램프(10)는 클램프 암(20)의 끝단에 형성된다.
클램프 암(20)은 일측이 스페이서(30)에 연결된다. 이때, 클램프 암(20)과 스페이서(30)가 연결되는 연결부위 또는 스페이서(30)의 소정 영역에 소도체(1)로부터의 진동을 흡수할 수 있는 댐퍼가 구비될 수 있다.
스페이서(30)는 클램프 암(20)을 고정한다. 스페이서(30)는 2, 4, 6도체 방식에 따라 각각 다른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페이서(30)는 4도체 방식의 송전선로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사각형의 형태로 형성되어 4개의 도체를 서로 일정한 간격으로 유지시킨다. 또한, 스페이서(30)는 6도체 방식의 송전선로에서는 정육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전류 유도부(100)는 클램프(10) 내부에 내장된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류 유도부(100)는 소도체(1)와 나란하게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전류 유도부(100)는 소도체(1)에 흐르는 전류에 의해 생성된 자기장을 통해 발생된 유도 전압을 전원부(200)에 제공한다.
전류 유도부(100)는 예를 들면, 로고스키 코일 또는 다수의 도체를 이용할 수 있다. 전류 유도부(100)는 도 2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전원부(200)는 전류 유도부(100)로부터 유도된 유도 전압을 항공 장애 램프(70)를 구동시킬 수 있는 전원으로 변환한다. 이때, 전원부(200)는 전류 유도 부(100)로부터 유도된 전압을 정류하여 일정한 레벨의 전압을 갖도록 정류한다. 전원부(200)는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항공 장애 램프(70)는 상시 또는 점멸되는 등으로 야간 항공에 장애를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된다. 항공 장애 램프(70)는 스페이서(30)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항공 장애 램프(70)가 스페이서(30)의 중앙에 설치된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항공 장애 램프(70)는 클램프 암(20), 스페이서(30)의 외측부에 장착될 수도 있다.
항공 장애 램프(7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가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각각의 항공 장애 램프(70) 사이에 진동으로 인한 파손을 방지하며, 램프를 고정시키는 고정틀(75)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스페이서 댐퍼에 항공 장애 램프(70)를 설치하여 송전선로의 가압 유무를 확인 할 수 있으며, 야간에 작업자 또는 항공 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클램프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클램프의 일측면을 도시한 측면도며,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클램프의 상면을 도시한 상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클램프(10) 내부에는 전류 유도부(100)가 형성된다. 전류 유도부(100)는 내부에 코일 예를 들면, 로고스키 코일을 사용한다.
클램프(10)는 로고스키 코일이 내장되도록 홈(18)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의 클램프(10)는 일측이 오픈되어 소도체가 삽입된 후 다시 닫히는 구조이다. 따라서 전류 유도부(100)는 클램프(10)가 닫혔을 때, 폐루프가 되도록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점(12)이 마련된다.
클램프(10)는 일측이 오픈될 수 있도록 오픈되는 타측에 경첩(19)이 마련된다. 그리고 클램프(10)가 닫혔을 때, 이를 고정하기 위한 체결수단(13, 14)을 포함할 수 있다.
클램프(10)의 내측에는 로고스키 코일과 연결되는 연결선이 전원부(200)와 연결될 수 있도록 출력단자가 마련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클램프의 형상은 클램프 암(20)측으로 클램프의 오픈부가 형성되지만, 바깥쪽에 오픈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원부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원부(200)는 정류장치(210), 전압필터(220) 및 제1 서지 방지부(23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정류장치(210)는 전류 유도부(100)로부터 인가된 AC 전압을 DC 전압으로 변환한다. 이때, 정류장치(210)는 RC 회로, RL 회로, RLC 회로가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전압필터(220)는 정류장치(210)로부터 인가된 전압을 필터링하여 항공 장애 램프(70)에 인가한다. 이때, 전압필터(220)는 정류장치(210)에서 인가된 전압 중 항공 장애 램프(70)에 인가될 경우 항공 장애 램프(70)가 파손될 수 있는 이상 고 조파를 필터링한다.
예를 들면, 전압필터(220)는 정류장치(210)에서 정류된 DC 전압에 포함된 고조파 성분을 제거한다. 전류 유도부(100)로부터 인가된 전압은 소도체의 상태에 따라 고조파 성분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전 선로의 투입, 차단 또는 이상 전압 발생시 전류 유도부(100)로 유도되는 유도 전압에 고조파가 섞여서 정류장치(210)에 인가된다. 정류장치(210)는 AC 전압을 DC 전압으로 정류할 때, 고조파가 정류되지 않을 수 있고 이러한 이유로 항공 장애 램프(70)에 고조파 전압이 인가될 경우에 항공 장애 램프(70)가 파손될 수 있다.
제1 서지 방지부(230)는 전류 유도부(100)와 정류장치(210) 사이에 설치되어 송전 선로에 전압 투입, 차단 등의 이유로 발생된 서지 전압 또는 송전선로의 이상 현상으로 인한 서지 전압이 정류장치(210)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항공 장애 램프(70)의 일단에 제2 서지 방지부(8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제2 서지 방지부(80)는 송전탑에 낙뢰 등으로 인한 서지 전압이 인가되면 송전탑의 탑각 저항이 애자련의 저항보다 높을 경우 송전탑에 연결된 암으로부터 애자련을 타고 송전선로 방향으로 역섬락 전압이 흐른다. 이러한 경우 항공 장애 램프(70)에 서지 전압이 직접 인가되어 항공 장애 램프(70)가 파손될 수 있다. 따라서 항공 장애 램프(70)의 적어도 일단, 혹은 양단에 서지 방지부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송전 선로로부터 유도되는 유도 전류 또는 유도 전압을 이용하여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지 않고 항공 장애 램프를 점등할 수 있다. 따라서 유지 비용이 절감될 뿐만 아니라, 종래 송전탑에만 설치되던 항공 장애 램프를 송전선로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할 수 있어 항공 사고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항공 장애 램프가 송전 선로에 정상 전압이 인가되는 동안에는 정상적으로 점등하므로 송전 선로의 단선 등을 확인할 수도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페이서 댐퍼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클램프를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클램프의 일측면을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클램프의 상면을 도시한 상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전류 유도부 및 전원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면부호의 간단한 설명>
1: 소도체
10: 클램프
11: 로고스키 코일
12: 접촉점
13, 14: 체결수단
18: 홈
19: 경첩
20: 클램프 암
30: 스페이서
70: 항공 장애 램프
75: 고정틀
80: 제2 서지 방지부
100: 전류 유도부
200: 전원부
210: 정류장치
220: 전압필터
230: 제1 서지 방지부

Claims (7)

  1. 소도체를 고정하는 복수의 클램프;
    상기 클램프 내부에 형성된 전류 유도부;
    상기 복수의 클램프가 연결되며, 상기 복수의 클램프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스페이서;
    상기 전류 유도부와 연결되어 상기 전류 유도부로부터 유도된 유도 전류를 제공받아 전원을 생성하는 전원부; 및
    상기 전원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으로 점등하는 항공 장애 램프를 포함하는 스페이서 댐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는
    상기 전류 유도부로부터 공급된 전압을 정류하는 정류장치; 및
    상기 정류장치로부터 인가된 전압을 필터링하는 전압필터를 포함하는 스페이서 댐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는
    상기 소도체로부터 인가되는 서지 전압으로부터 상기 전원부를 보호하는 서지 방지부를 포함하는 스페이서 댐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항공 장애 램프의 일단 또는 양단에 서지 전압으로부터 상기 항공 장애 램프를 보호하는 서지 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하는 스페이서 댐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유도부는
    상기 소도체로부터 생성된 자계에 의해 상기 유도 전류가 생성되도록 상기소도체와 적어도 나란하게 형성된 도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페이서 댐퍼.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유도부는 로고스키 코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페이서 댐퍼.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 및 상기 항공 장애 램프는 상기 스페이서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페이서 댐퍼.
KR1020090104657A 2009-10-30 2009-10-30 스페이서 댐퍼 KR1010647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4657A KR101064705B1 (ko) 2009-10-30 2009-10-30 스페이서 댐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4657A KR101064705B1 (ko) 2009-10-30 2009-10-30 스페이서 댐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7866A KR20110047866A (ko) 2011-05-09
KR101064705B1 true KR101064705B1 (ko) 2011-09-14

Family

ID=442390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4657A KR101064705B1 (ko) 2009-10-30 2009-10-30 스페이서 댐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470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1462B1 (ko) 2019-01-25 2019-07-18 김점주 가공 송전선로의 복도체 연결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59998B (zh) * 2019-07-24 2021-08-20 国家电网有限公司 一种导线支撑金具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07215U (ko) * 1989-02-15 1990-08-27
JPH1098812A (ja) * 1996-09-24 1998-04-14 Hitachi Cable Ltd 電線挙動計測装置の取付方法
KR20030060149A (ko) * 2002-01-07 2003-07-16 주식회사 젤파워 항공장애등 장치
JP2009232496A (ja) 2008-03-19 2009-10-08 Viscas Corp 蓄光型送電線部品、蓄光型送電線部品を備える架空送電線および鉄塔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07215U (ko) * 1989-02-15 1990-08-27
JPH1098812A (ja) * 1996-09-24 1998-04-14 Hitachi Cable Ltd 電線挙動計測装置の取付方法
KR20030060149A (ko) * 2002-01-07 2003-07-16 주식회사 젤파워 항공장애등 장치
JP2009232496A (ja) 2008-03-19 2009-10-08 Viscas Corp 蓄光型送電線部品、蓄光型送電線部品を備える架空送電線および鉄塔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1462B1 (ko) 2019-01-25 2019-07-18 김점주 가공 송전선로의 복도체 연결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7866A (ko) 2011-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4705B1 (ko) 스페이서 댐퍼
EA023228B1 (ru) Птицезащит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линии электропередачи с подвесными изоляторами и линия электропередачи, снабженная такими устройствами
KR20200129807A (ko) 조류사고 방지 기능을 갖는 리드선 일체형 탈부착이 용이한 컷 아웃 형태의 피뢰장치
JP4784324B2 (ja) 架空電線路の雷被害防護設備及びその施工方法
CN2914443Y (zh) 交流电源浪涌保护器
CN106356758A (zh) 10kv线路绝缘杆间接旁路带电更换柱上开关作业方法
CN103618245A (zh) 一种配电网上带电开耐张作业方法
US5222010A (en) Railway track circuit surge suppression system
CN205385160U (zh) 一种便携式接地线带电报警装置
WO2018139784A1 (ko) 피뢰기 장착 컷 아웃 스위치
JP4425171B2 (ja) 光通信ケーブルの吊線の接地
KR20150114234A (ko) 서지 방지회로가 내장된 엘이디 램프
CN204216244U (zh) 10千伏台区接地挂环装置
JP6265800B2 (ja) 接地線端子箱
KR101915256B1 (ko) 가공배전을 위한 피뢰장치
CN202997329U (zh) 防雷配电柜
KR100953914B1 (ko) 전력케이블용 절연통 보호장치의 취부구조
CN206788304U (zh) 一种500kV氧化锌避雷器高压试验线跳线装置
CN2838113Y (zh) 高压电设备高空作业安全防护架
CN218482410U (zh) 一种输电线路架空地线用接地线夹
JP5968094B2 (ja) 既設航空障害灯の保護装置及びその設置方法
JP5613107B2 (ja) 過電圧/過電流保護システムおよび過電圧/過電流保護方法
CN219180960U (zh) 一种配电装置
CN206041461U (zh) 过压保护装置
CN108767802A (zh) 一种裸露电缆隔离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