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3852B1 - 지면 밀착식 예초작업을 위한 접지용 캡 - Google Patents

지면 밀착식 예초작업을 위한 접지용 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3852B1
KR101063852B1 KR1020090094159A KR20090094159A KR101063852B1 KR 101063852 B1 KR101063852 B1 KR 101063852B1 KR 1020090094159 A KR1020090094159 A KR 1020090094159A KR 20090094159 A KR20090094159 A KR 20090094159A KR 101063852 B1 KR101063852 B1 KR 1010638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nd
grounding cap
cap
mowing
grou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41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36474A (ko
Inventor
임병준
Original Assignee
임병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병준 filed Critical 임병준
Priority to KR10200900941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3852B1/ko
Publication of KR201100364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64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38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38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01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6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A01D34/81Casings; Hous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6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A01D34/74Cutting-height adjustmen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6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A01D34/82Other details
    • A01D34/828Safety devi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칼날구동수단이 내장된 헤드부(A)의 회전축에 장착되는 예초칼날(B)을 보호하기 위해 상기 예초칼날(B) 하부에 형성되어 지되 상기 예초칼날(B)의 하부에 형성되는 베어링(C)에 결합되는 보호판(110)에 지면밀착식 예초작업을 위한 접지용 캡을 형성하되, 상기 접지용 캡은 제 1접지용 캡(120)과 제 2접지용 캡(13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접지용 캡(120)과 제 2접지용 캡(130)은 보호판(110)에 선택적으로 결합 되되 상기 제 1접지용 캡(120)의 중앙은 단면이 호(弧)형상의 슬라이드부(126)를 구비하고, 슬라이드부(126)에서 가장자리까지는 완만한 경사면(127)으로 이루어지며, 제 2접지용 캡(130)의 중앙은 편평한 지면밀착면(132)을 구비하고, 지면밀착면(132)에서 가장자리까지는 급경사면(133)이 연장되어지며, 상기 급경사면(127)의 가장자리에는 결합공(131a)이 천공된 플랜지부(131)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지면 밀착식 예초작업을 위한 접지용 캡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이처럼 본 발명은 작업자가 힘들여서 예취칼날을 지면으로 부터 들어올릴 필요가 없으며, 제 1접지용 캡(120) 또는 제 2접지용 캡(130)에 의존해서 예초작업을 할 수 있게 되어 작업자의 피로도를 줄이고, 장시간의 제초작업도 가능하게 되는 효과를 갖으며, 또 본 발명은 지면의 굴곡 상태에 따라 완만한 경사를 갖는 제 1접지용 캡(120)과 급격한 경사를 갖는 제 2접지용 캡(130)을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작업이 가능하므로 미관상 보기 좋으며, 지면과 예초칼날 사이의 간격을 이격시켜주어 예초칼날이 지면에 부딪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지면 밀착, 예초작업, 접지용 캡

Description

지면 밀착식 예초작업을 위한 접지용 캡{Ground surface slide cap for weeder}
본 발명은 지면 밀착식 예초작업을 위한 접지용 캡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보호커버 또는 예초칼날의 하부에 선택적으로 체결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굴곡이 완만한 지면이나 굴곡이 심한 지면이라도 작업자가 예초기를 지면 위에 올려놓고 예초칼날을 지면 상으로부터 일정높이 유지하면서 편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하는 지면 밀착식 예초작업을 위한 접지용 캡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예초기는 여러 종류의 예초칼날이 구동수단의 회전축에 장착되어 고속으로 회전하면서 잡초나 잡목 등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으며, 주로 벌초작업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예초기는 고속으로 회전하는 예초칼날에 의해 잡풀이나 잡목 등을 제거하는 것이어서 상기 예초칼날이 지면과 부딪치면 지표면이 깎이거나 돌조각들이 튀면서 안전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크므로 지면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시켜 작업하 게 된다. 그런데 예초기는 예초칼날과 예초칼날의 회전수단이 내장된 헤드부, 작업봉 등의 무게가 상당한 것이어서 작업자가 오랜 시간 들고 작업하기란 쉬운 일이 아니다.
따라서 종래에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국내특허출원 제10-2008-7025451호의 공개공보에서 개시된 바와 같이, 잔디깍기의 회전날(50)의 하면에 부착되어 회전날과 함께 회전하는 지면 활동 가이드(60)에 있어서, 잔디깍기는 회전구동되는 구동축(32)와, 상기 구동축과 함께 회전하는 날받이(40)을 구비하고, 지면 활동 가이드(60)은 합성수지로 형성된 수지본체(70)과, 상기 수지본체에 일체가 되어서 회전하도록 결합되는 금속제의 허브(80)를 구비하고, 상기 수지본체(70)은 통체(72)와 상기 통체의 하단의 전주(全周)에서 외상방향으로 연출(延出)하여 상기 회전날의 하면을 덮는 플랜지(74)로 구성되고, 상기 허브의 외주부에 상기 회전날의 하면으로 눌리는 날누름링(84)이 형성되고, 상기 날누름링이 상기 통체의 상단면으로 노출하고, 상기 통체의 안쪽에 지면 활동 가이드(60) 하면으로 개구하는 요소(凹所)(62)가 형성되고, 상기 허브(80)의 중앙에 상기의 구동축이 관통하는 설치구멍(82)이 형성되고, 상기 설치구멍을 관통하여 상기 요소 내에 넣을 수 있는 구동축의 선단에 나합하는 조임쇠(36)에 의해, 상기의 회전날이 상기의 날받이(40)과 날누름링(84)의 사이에 끼여서 상기 구동축으로 고정되고, 상기 통체의 하단부의 두께는 상기 플랜지의 두께보다도 크고, 상기 통체의 하단부가 지면에 접촉하는 접지면을 구비하는 구성으로, 회전날의 하면 측에 지면활동가이드를 설치하고, 풀베기 시에 지면 활동 가이드를 지면에 접촉시키는 것으로 풀베기 작업을 쾌적하게 수 행하는 잔디깍기의 지면 활동(滑動) 가이드 및 잔디깍기가 안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예초기는 지면에 밀착되는 지면활동가이드가 합성수지로 사출제작한 제품으로 지면과 밀착시 마모가 심해 내구성이 현저히 떨어지며, 특히 중앙부에는 오목 홈이 형성되어 있어 지면에 돌출된 턱이나 장애물에 걸려서 작업이 원활하지 않게 되며, 조작성 또한 현저히 나빠지게 된다.
또한 종래의 예초기는 동일한 반경을 갖는 하나의 지면활동가이드만을 사용하는 구조여서 지면의 상태, 즉 굴곡이 완만한 지면이나 굴곡이 심한 지면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없는 것이어서 작업이 곤란한 단점을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은 칼날구동수단이 내장된 헤드부의 회전축에 장착되는 예초칼날을 보호하기 위해 상기 예초칼날 하부에 형성되어 지되 상기 예초칼날의 회전반경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지며, 가장자리에는 안내돌기와 안내홈이 반복되도록 형성되고 중앙에는 베어링을 고정하기 위해 형성된 고정구멍이 천공된 보호판에 지면밀착식 예초작업을 위한 접지용 캡을 형성하되, 상기 접지용 캡은 제 1접지용 캡과 제 2접지용 캡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접지용 캡과 제 2접지용 캡은 보호판에 선택적으로 결합 되되 상기 제 1접지용 캡의 중앙은 단면이 호(弧)형상의 슬라이드부를 구비하고, 슬라이드부에서 가장자리까지는 완만한 경사면으로 이루어지며, 제 2접지용 캡의 중앙은 편평한 지면밀착면을 구비하고, 지면밀착면에서 가장자리까지는 급경사면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지면 밀착식 예초작업을 위한 접지용 캡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작업자가 힘들여서 예취칼날을 지면으로부터 들어올릴 필요가 없으며, 제 1접지용 캡(120) 또는 제 2접지용 캡(130)에 의존해서 예초작업을 할 수 있게 되어 작업자의 피로도를 줄이고, 장시간의 제초작업도 가능하게 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지면의 굴곡 상태에 따라 완만한 경사를 갖는 제 1접지용 캡(120)과 급격한 경사를 갖는 제 2접지용 캡(130)을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작업이 가능하므로 미관상 보기 좋으며, 지면과 예초칼날 사이의 간격을 이격시켜주어 예초칼날이 지면에 부딪히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지면 밀착식 예초작업을 위한 접지용 캡(100)은 칼날구동수 단이 내장된 헤드부(A)의 회전축에 장착되는 예초칼날(B)을 보호하기 위해 상기 예초칼날(B) 하부에 형성되어 지되 상기 예초칼날(B)의 하부에 형성되는 베어링(C)에 결합되는 보호판(110)에 지면밀착식 예초작업을 위한 접지용 캡을 형성하되, 상기 접지용 캡은 제 1접지용 캡(120)과 제 2접지용 캡(13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접지용 캡(120)과 제 2접지용 캡(130)은 보호판(110)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되 상기 제 1접지용 캡(120)의 중앙은 단면이 호(弧)형상의 슬라이드부(126)를 구비하고, 슬라이드부(126)에서 가장자리까지는 완만한 경사면(127)으로 이루어지며, 제 2접지용 캡(130)의 중앙은 편평한 지면밀착면(132)을 구비하고, 지면밀착면(132)에서 가장자리까지는 급경사면(133)이 연장되어지며, 상기 급경사면(133)의 가장자리에는 결합공(131a)이 천공된 플랜지부(131)로 이루어지는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제 1접지용 캡(120)을 보호판(110)에 결합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제 1접지용 캡(120)의 가장자리에 근접한 위치에 체결부(121)를 형성하여야 하며, 또한 상기 제 1접지용 캡(120)에 제 2접지용 캡(130)이 결합되도록 하기 위한 결합부(124)를 구비하여야 한다.
상기 슬라이드부(126)는 단면이 호(弧)형상이고 매끄러운 상태여서 지표면에 예초기를 올려놓고 예초작업을 할 때 슬라이딩을 용이하게 한다. 또 상기 제 1접지용 캡(120)은 슬라이드부(126)에서 가장자리까지는 완만한 경사면(127)을 이루고 있어 지표면의 굴곡이 완만한 경우 예초작업이 용이한 구조이다.
이때 제 1접지용 캡(120)의 슬라이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체결부(121)와 결합부(124)는 슬라이드부(126) 바깥 쪽에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슬라이드부(126)가 지면에 슬라이딩할 때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따라서 상기 슬라이드부(126)의 범위는 제 1접지용 캡(120)의 중심으로부터 제 1접지용 캡(120)를 기울여서 예초칼날(B)의 끝단이 지면과 닿는 지점에서의 제 1접지용 캡(120)이 지면과 닿는 지점까지가 될 것이다.
상기 체결부(121)는 볼트(122)와 너트(123)와 같은 체결수단에 의해 서로 결합된다.
상기 제 1접지용 캡(120)은 마치 바닥이 둥근 접시와 같은 형상을 갖는 것으로, 저부가 둥그렇게 돌출된 구조여서 중앙부분, 즉 슬라이드부(126)를 지표면에 얹기만 하면 예초칼날(B)과 지면 사이에는 약간의 이격 공간이 생기게 되고, 이로 인해 지면에 약간의 굴곡이 있더라도 예초칼날(B)이 지면에 부딪치지 않는 상태가 되며 작업자는 예초칼날(B)을 제 1접지용 캡(120)에 지탱한 상태로 밀고 당기기만 하더라도 예초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제 2접지용 캡(130)은 마치 밥그릇을 뒤집어 놓은 듯한 형상을 가지며, 중앙은 지표면에 밀착된 상태로 슬라이딩 되도록 하는 지면밀착면(132)을 구비하고 있으며, 지면밀착면(132)에서 가장자리까지는 급경사면(133)으로 이루어지게 되어 하부로 돌출된 부분이 제 1접지용 캡(120)에 비해 상당히 높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 2접지용 캡(130)을 지표면에 올려놓게 되면 예초칼날(B)과 지면 사이에는 상당한 이격 공간이 생기게 되고, 결국 지면에 상당한 굴곡이 있더라도 예초칼날(B)이 지면에 쉬 부딪치지 않게 된다. 이때 상기 제 1접지용 캡(120)의 경사면(127)의 경사각은 5~30°의 범위가 적당할 것이며, 제 2접지용 캡(130)의 급경사면(133)의 경사각은 31~85°의 범위가 적당할 것이다.
따라서 작업자는 완만한 굴곡의 지면상태에서는 제 1접지용 캡(120)으로 예초작업을 하다가, 굴국이 심한 지면에서는 제 1접지용 캡(120)의 하부면에 제 2접지용 캡(130)을 부착하여 지면과의 이격거리를 떨어뜨린 다음 예초작업을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제 1접지용 캡(120)과 제 2접지용 캡(130)은 마모를 줄이기 위해 금속재질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제 1접지용 캡(120)에 의해 직접 예초칼날(B)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판(110)의 기능을 가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는 제 1접지용 캡(120)이 보호판(110)처럼 직접 베어링(C)에 결합되는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제 1접지용 캡(120)의 가장자리의 직경은 예초칼날(B)의 회전직경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지도록 하고, 가장자리에는 안내돌기(112)와 안내홈(113)이 반복되도록 형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제 1접지용 캡(120)이 직접 베어링(C)에 결합되는 경우는 지면으로부터 베어링(C)을 보호하는 보호커버의 기능을 대신할 수도 있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상당한 굴곡이 있는 지표면이라 할지라도 제 2접지용 캡(130)를 지면에 올려놓고 예초칼날(B)을 지탱한 상태로 예초작업이 가능하게 되어 예초기의 무게를 감당하지 않는 상태에서도 예초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 1접지용 캡(120)와 제 2접지용 캡(130)은 보호판(110)에 선택적으로 분리 및 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이를 위해 상기 보호판(110)에는 상기 제 1접지용 캡(120)를 체결하기 위한 너트삽입공(115)이 일정간 격 다수 형성되고, 상기 너트삽입공(115)에 대응하도록 상기 제 1접지용 캡(120)에도 다수 체결부(121)가 다수 형성되며, 상기 너트삽입공(115)과 체결부(121)에 볼트(122)와 너트(123)를 체결하여 상기 제 1접지용 캡(120)를 상기 보호판(110)에 결합할 수 있게 된다.
또 상기 제 1접지용 캡(120)에는 무게를 최소화하기 위한 다수개의 통공(通孔)을 형성하되 작은 직경의 통공들을 다수개 형성함으로써 깨진 칼날이나 돌조각들이 쉽게 통공을 통과하지 못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1접지용 캡(120)와 제 2접지용 캡(130)는 각각 약간의 굴곡이 있는 지면과 심한 굴곡이 있는 지면의 돌이나 자갈에 부딪히는 경우 그 충격을 완화시키고 칼날(B)에 상기 돌이나 자갈 등이 부딪히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할 수도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도 1 - 본 발명 지면 밀착식 예초작업을 위한 접지용 캡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2 - 도 1의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3 ~ 도 4 - 본 발명의 사용상태 참고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본 발명 지면 밀착식 예초작업을 위한 접지용 캡
110: 보호판 112: 안내돌기
113: 안내홈 115: 너트삽입공
120: 제 1접지용 캡 121: 체결부
122: 볼트 123: 너트
126: 슬라이드부 127: 경사면
130: 제 2접지용 캡 131a: 결합공
131: 플랜지부 132: 지면밀착면
133: 급경사면 A: 헤드부
B: 예초칼날 C: 베어링

Claims (3)

  1. 칼날구동수단이 내장된 헤드부(A)의 회전축에 장착되는 예초칼날(B)을 보호하기 위해 상기 예초칼날(B) 하부에 형성되어 지되 상기 예초칼날(B)의 하부에 형성되는 베어링(C)에 결합되는 보호판(110)에 지면밀착식 예초작업을 위한 접지용 캡을 형성하되, 상기 접지용 캡은 제 1접지용 캡(120)과 제 2접지용 캡(13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접지용 캡(120) 또는 제 1접지용 캡(120)과 제 2접지용 캡(130)이 결합된 캡이 보호판(110)에 선택적으로 결합 되되 상기 제 1접지용 캡(120)의 중앙은 단면이 호(弧)형상의 슬라이드부(126)를 구비하고, 슬라이드부(126)에서 가장자리까지는 완만한 경사면(127)으로 이루어지며, 제 2접지용 캡(130)의 중앙은 편평한 지면밀착면(132)을 구비하고, 지면밀착면(132)에서 가장자리까지는 급경사면(133)이 연장되어지며, 상기 급경사면(133)의 가장자리에는 결합공(131a)이 천공된 플랜지부(131)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지면 밀착식 예초작업을 위한 접지용 캡.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접지용 캡(120)의 경사면(127)의 경사각은 5~30°이고, 제 2접지용 캡(130)의 급경사면(133)의 경사각은 31~85°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지면 밀착식 예초작업을 위한 접지용 캡.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접지용 캡(120)이 보호판(110)처럼 직접 베어링(C)에 결합되어지되 제 1접지용 캡(120)의 가장자리의 직경은 예초칼날(B)의 회전직경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지도록 하고, 가장자리에는 안내돌기(112)와 안내홈(113)이 반복되도록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지면 밀착식 예초작업을 위한 접지용 캡.
KR1020090094159A 2009-10-01 2009-10-01 지면 밀착식 예초작업을 위한 접지용 캡 KR1010638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4159A KR101063852B1 (ko) 2009-10-01 2009-10-01 지면 밀착식 예초작업을 위한 접지용 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4159A KR101063852B1 (ko) 2009-10-01 2009-10-01 지면 밀착식 예초작업을 위한 접지용 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6474A KR20110036474A (ko) 2011-04-07
KR101063852B1 true KR101063852B1 (ko) 2011-09-08

Family

ID=44044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4159A KR101063852B1 (ko) 2009-10-01 2009-10-01 지면 밀착식 예초작업을 위한 접지용 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385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57318U (ko) 1986-03-26 1987-10-06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57318U (ko) 1986-03-26 1987-10-06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6474A (ko) 2011-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10959B2 (en) Quick-change disc mower knives
EP2615903B1 (en) Lawn mower working head for garden work
US5385005A (en) Lawn trimmer/edge attachment
KR101583805B1 (ko) 충격 방지 기능을 갖는 예초기용 커터 구조
BG61827B1 (bg) Режещ инструмент
WO2005077144A1 (en) A knife protect cover of weed cuter
KR101050682B1 (ko) 휴대용 동력 예초기용 다기능 회전 절단날
KR101715860B1 (ko) 보호구가 장착된 충격흡수식 예초기 안전날 유닛
KR101618734B1 (ko) 안전커버를 일체로 구성한 예초기용 칼날세트
KR101718665B1 (ko) 반복사용이 가능한 예초기용 절첩칼날
US20060179663A1 (en) Trimmer head
KR101054726B1 (ko) 예초기용 가변식 안전커버
KR101063852B1 (ko) 지면 밀착식 예초작업을 위한 접지용 캡
US20110253399A1 (en) Soil and vegetation tool
JP3793178B2 (ja) 草刈機用保護カバーと草刈機
KR101864945B1 (ko) 가이드블레이드를 구비한 예초기 칼날
KR20130040443A (ko) 예초기용 안전기구
US11632909B2 (en) Direct surface contact vegetation trimmer
KR200403471Y1 (ko) 예초기칼날보호구
KR200440283Y1 (ko) 예초기용 칼날조립체
KR101881152B1 (ko) 보호구가 장착된 충격흡수식 예초기 안전날 유닛
KR200256445Y1 (ko) 예취기
KR20160035938A (ko) 예초기 사면칼날
CN219780938U (zh) 一种割草机刀盘组件及割草机
KR200354210Y1 (ko) 예취기용 칼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