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3835B1 - 화장실용 휴지 자동처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화장실용 휴지 자동처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3835B1
KR101063835B1 KR1020100110934A KR20100110934A KR101063835B1 KR 101063835 B1 KR101063835 B1 KR 101063835B1 KR 1020100110934 A KR1020100110934 A KR 1020100110934A KR 20100110934 A KR20100110934 A KR 20100110934A KR 101063835 B1 KR101063835 B1 KR 1010638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transfer pipe
collecting
recovery device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09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종갑
강봉호
Original Assignee
강봉호
서종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봉호, 서종갑 filed Critical 강봉호
Priority to KR10201001109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38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38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38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5/00Gathering or removal of refuse otherwise than by receptacles or vehicles
    • B65F5/005Gathering or removal of refuse otherwise than by receptacles or vehicles by pneumatic means, e.g. by suction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02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for warehouses, storage areas or other installations for storing good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4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for dust or loosely-baled or loosely-piled materials, e.g. in silos, in chimney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4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with electrically-controlled relea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 B09B5/00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by a single other group in this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6Lids or covers
    • B65F1/1623Lids or covers with means for assisting the opening or closing thereof, e.g. springs
    • B65F1/163Pedal-operated l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04Conveying materials in bulk pneumatically through pipes or tubes; Air sl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34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68Sensing means

Abstract

본 발명은 화장실에서 버려지는 휴지를 자동으로 회수하여 처리할 수 있도록 한 화장실용 휴지 자동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화장실 내에 설치되는 다수 개의 휴지 수거통; 상기 각 휴지 수거통으로 지관이 연결되는 이송관; 상기 이송관의 일측 끝단에 연결되는 회수장치; 상기 회수장치에 연결 설치되는 흡입장치; 및 상기 이송관의 타측 끝단에 연결되는 압력조절장치;로 구성됨에 따라, 화장실을 더욱 쾌적하고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청소를 위한 인력을 줄일 수 있는 화장실용 휴지 자동처리 시스템을 제공하게 된다.

Description

화장실용 휴지 자동처리 시스템{Filth automatic treatment system for toilet}
본 발명은 화장실에서 버려지는 휴지를 자동으로 회수하여 처리할 수 있도록 한 화장실용 휴지 자동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실에서는 많은 량의 휴지가 사용되기 때문에 사용된 휴지를 모아서 버리기 위한 휴지통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종래 휴지통을 사용하는 화장실에서는 휴지통에 사용된 휴지가 항상 채워져 있으므로 미관상 나쁘고 냄새가 발생하는데, 특히 여자 화장실의 경우 휴지통에는 휴지와 함께 생리대(이하, 휴지로 통칭함.)가 버려지기 때문에 미관상 더욱 나쁘고 냄새도 더 많이 난다.
더구나, 휴게소나 영화관과 같은 곳의 화장실은 많은 사람이 사용하기 때문에 그만큼 사용량이 많고, 그로 인해 구비된 각각의 휴지통에 휴지가 쉽게 차 넘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 경우 휴지가 바닥에 떨어져 매우 불결하고 비 위생적일 뿐만 아니라, 이를 자주 청소해야 하기 때문에 관리자뿐만 아니라 이를 이용하는 모든 사람들에게 불편을 초래하고 있다.
본 발명은 화장실 내에 구비된 휴지통에 항상 휴지가 채워져 있고, 더욱이 많은 사람이 사용하는 화장실에서는 구비된 휴지통에 휴지가 차고 넘쳐 바닥에 쉽게 떨어지기 때문에 불결하고 비 위생적인 종래 문제점뿐만 아니라, 이를 수시로 청소하기 위해서 많은 인력이 필요해지는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화장실용 휴지 자동처리 시스템은 화장실 내에 설치되고, 덮개를 개폐하면서 사용된 휴지를 버리도록 형성된 다수 개의 휴지 수거통; 상기 각 휴지 수거통으로 지관이 연결되고, 상기 지관을 통해 유입되는 휴지를 이송하도록 형성된 이송관; 상기 이송관의 일측 끝단에 연결되고, 상기 이송관을 통해 이송되는 휴지를 모아 저장한 상태에서 방출구를 통해 저장된 휴지를 배출하도록 형성된 회수장치; 상기 회수장치에 연결 설치되고, 상기 휴지 수거통으로부터 회수장치로 휴지를 이송시키기 위해 공기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하도록 형성된 흡입장치; 및 상기 이송관의 타측 끝단에 연결되고, 상기 흡입장치가 작동 시 외부 공기를 공급하면서 상기 각 휴지 수거통과 이송관에서 작용하는 압력을 조절하도록 형성된 압력조절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휴지 수거통은 발로 밟을 수 있도록 외부로 돌출되는 페달; 및 상기 페달과 덮개 사이에 연결 설치되고, 상기 페달을 밟으면 상기 덮개가 열리도록 하는 링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휴지 수거통은 상기 휴지를 제외한 재활용품을 수거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보조 수거통;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회수장치는 상기 이송관이 연결되는 흡입구 측의 제1 포집부와 상기 송풍장치가 연결되는 배출구 측의 제2 포집부로 구획한 상태에서 상기 제1 포집부와 제2 포집부 하부에 각각 방출구를 형성하되, 상기 제1 포집부와 제2 포집부 사이의 상측에 설치되고, 일정 크기 이하의 휴지가 통과하도록 형성된 제1 필터; 상기 제2 포집부와 상기 흡입장치 사이에 설치되고, 휴지가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형성된 제2 필터; 및 상기 제1,2 포집부 하부의 방출구에 각각 설치되고, 휴지의 배출을 개폐하도록 형성된 배출조절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회수장치는 화재를 감지하기 위한 화재 감지센서; 및 화재 감지시 작동하는 스프링클러(sprinkler);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회수장치는 소독액 분사 노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회수장치는 내부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점검 창; 및 조명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흡입장치는 상기 회수장치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량을 조절하기 위한 풍량조절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회수장치와 흡입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압력조절장치는 상기 이송관으로 외부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기 흡입구; 및 상기 공기 흡입구와 이송관 사이에 설치되고,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개폐되는 개폐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화장실용 휴지 자동처리 시스템에 의하면 화장실 내에 구비되는 각 휴지통을 통해 버려지는 휴지를 자동으로 회수하여 처리하도록 함으로써, 화장실을 더욱 쾌적하고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와 아울러, 청소를 위한 인력을 줄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화장실용 휴지 자동처리 시스템을 도시한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화장실용 휴지 자동처리 시스템 중 휴지수거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화장실용 휴지 자동처리 시스템 중 휴지수거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4는 도 3의 평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된 화장실용 휴지 자동처리 시스템 중 흡입회수장치의 작용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이 적용된 화장실용 휴지 자동처리 시스템 중 진공해소장치 및 그 작용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이 적용된 화장실용 휴지 자동처리 시스템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전체 구성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본 발명의 화장실용 휴지 자동처리 시스템은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장실 내에 설치되는 다수 개의 휴지 수거통(100), 상기 각 휴지 수거통으로 지관이 연결되는 이송관(200), 상기 이송관의 일측 끝단에 연결되는 회수장치(300), 상기 회수장치에 연결 설치되는 흡입장치(400) 및 상기 이송관의 타측 끝단에 연결되는 압력조절장치(500)로 구성된다.
상기 휴지 수거통(100)은 화장실 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평상시 외부 공기가 상기 이송관(200)으로 유입되어 흡입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고, 휴지를 버릴 때 간편하게 열 수 있도록 개폐 가능한 덮개(110)가 설치된다. 상기 휴지 수거통(100)은 예를 들어 좌변기가 설치된 각 칸막이 내에 설치되는 것은 물론이고, 세면대 일측에도 설치할 수 있다. 상기 덮개(1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지 수거통(100) 상단에 축 결합된다.
상기 휴지 수거통(100)은 실시 예로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덮개(110)를 열기 위해서 간편하게 발로 밟을 수 있도록 외부로 돌출되는 페달(120) 및 상기 페달(120)과 덮개(110) 사이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페달(120)을 밟으면 상기 덮개(110)가 열리도록 하는 링크(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페달(120)의 축에는 토션 스프링을 결합하여 페달(120)을 밟은 발을 떼면 아래로 기울었던 페달(120)의 전방이 쉽게 올라가도록 한다. 상기 링크(130)는 롤러와 와이어로 이루어지는 구성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상기 페달(120)을 밟으면 상기 덮개(110)의 후단이 당겨지면서 열리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휴지 수거통(100)은 상기 휴지를 제외한 재활용품을 수거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보조 수거통(1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보조 수거통(140)은 예를 들어 각종 비닐, 플라스틱, 유리 및 금속 재질 등의 각종 쓰레기를 버릴 수 있도록 구비한 것으로서, 이와 같이 재활용 가능한 쓰레기가 휴지와 함께 버려져 소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이송관(200)은 상기 각 휴지 수거통(100)으로 지관(210)이 연결되고, 상기 지관(210)을 통해 유입되는 휴지를 이송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이송관(200)을 전후로 연결할 때 이음매를 처리함에 있어서도 이송되는 휴지가 걸리지 않도록 형성해야 한다.
상기 이송관(200)은 도면에 하나만 도시되어 있으나, 필요에 따라 남자화장실 방향과 여자화장실 방향으로 설치되는 2개 또는 그 이상을 연결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송관(200)은 화장실 아래로 설치될 때에는 바닥에 매설되나 화장실을 벗어나서 지상에 설치된 회수장치(300)로 연결될 때에는 지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회수장치(300)는 상기 이송관(200)의 일측 끝단에 연결되는 것으로서, 상기 이송관(200)을 통해 이송되는 휴지를 모아 저장한 상태에서 방출구(310)를 통해 저장된 휴지를 배출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회수장치(300)는 실시 예로서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송관(200)이 연결되는 흡입구 측의 제1 포집부(300a)와 상기 송풍장치(400)가 연결되는 배출구 측의 제2 포집부(300b)로 구획한 상태에서 상기 제1 포집부(300a)와 제2 포집부(300b) 하부에 각각 방출구(310)를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포집부(300a)와 제2 포집부(300b) 사이의 상측에는 일정 크기 이하의 휴지가 통과하도록 형성된 제1 필터(320)가 설치되고, 상기 제2 포집부(300b)와 상기 흡입장치(400) 사이에는 휴지가 상기 흡입장치(40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형성된 제2 필터(330)가 설치되며, 상기 제1,2 포집부(300a, 300b) 하부의 방출구(310)에는 내부에 저장된 휴지를 배출할 때 개폐하도록 형성된 배출조절부재(340)가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회수장치(300)에서 제1 포집부(300a)에는 생리대와 같이 무게가 무겁거나 비중이 큰 휴지들이 쌓이게 되고, 상기 제2 포집부(300b)에는 작고 가벼운 휴지들만 쌓이도록 하여 분리나 소강이 좀 더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회수장치(300)가 지상에 설치될 경우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수장치(300) 하부로 대차가 이동하도록 하고, 회수장치(300) 하부에 방출구(310)를 형성하여 상기 대차에 저장된 휴지를 부을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회수장치(300)는 다른 실시 예로서 화재를 감지하기 위한 화재 감지센서(350)와 화재 감지시 작동하는 스프링클러(sprinkler; 360)가 설치된다. 이와 같은 구성은 예를 들어 휴지 수거통(100)으로 완전히 꺼지지 않은 담배 꽁초 등을 버렸을 때 발생할 수 있는 화재에 대처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화재 감지센서(350)는 휴지가 연소할 때 발생하는 연기를 감지하는 것과 휴지가 연소할 때 발생하는 열을 감지하는 것이 있다.
상기 회수장치(300)는 또 다른 실시 예로서 소독액 분사 노즐(370)을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소독액 분사 노즐(370)은 회수장치(300) 내부에서 발생할 수 있는 병원성 세균을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정한 주기로 분사하여 소독하도록 한다.
상기 회수장치(300)는 또 다른 실시 예로서 내부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점검 창(380)을 형성하고, 내부를 밝힐 수 있는 조명등(390)을 설치한다. 따라서 상기 조명등과 점검 창(380)을 통해 회수장치 내부에 휴지가 얼마나 채워졌는지를 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흡입장치(400)는 상기 회수장치(300)에 연결 설치되고, 상기 휴지 수거통(100)으로부터 회수장치(300)로 휴지를 이송시키기 위해 공기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흡입장치(400)가 작동하여 휴지 수거통(100), 이송관(200), 회수장치(300) 내부의 공기를 빨아들여 진공상태로 만들기 때문에 휴지 수거통(100)을 열어 그 내부로 휴지를 떨어뜨렸을 때 신속하게 회수장치(300)로 빨려들어가게 되는 것이다.
상기 흡입장치(400)는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 전동기와 송풍 팬으로 구성되고, 상기 송풍 팬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회수장치로 연결되는 흡입구와 송풍 팬으로부터 외부로 빨아들인 공기를 뿜어내기 위한 배출구가 형성된다.
상기 흡입장치(400)는 실시 예로서 상기 회수장치(300)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량을 조절하기 위한 풍량조절부재(410)가 설치된다. 상기 풍량조절부재(410)는 회수장치(300)로부터 빨아들이는 공기량을 조절하여 상기 휴지 수거통(100), 이송관(200), 회수장치(300)의 진공압을 직접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압력조절장치(500)는 상기 이송관(200)의 타측 끝단에 연결되고, 상기 흡입장치(400)가 작동 시 외부 공기를 공급하면서 상기 각 휴지 수거통(100)과 이송관(200)에서 작용하는 압력을 조절하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다수 개의 휴지 수거통(100) 중 1~2개의 덮개(110)를 열어 그 내부로 휴지를 버릴 경우 상기 열린 휴지 수거통(100)을 통해 외부의 공기가 이송관(200)으로 유입된다. 이 경우 상기 흡입장치(400)가 일정한 흡입력으로 작동하면 개방된 휴지 수거통(100)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의 양만큼 이송관(200)의 압력이 낮아지기 때문에 휴지의 원활한 이송이 어려워진다. 따라서 이때 상기 압력조절장치(500)가 상기 이송관(200)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줄여 이송관(200)에서 작용하는 흡입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다.
상기 압력조절장치(500)는 실시 예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송관(200)으로 외부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기 흡입구(510) 및 상기 공기 흡입구(510)와 이송관(200) 사이에 설치되면서 스프링(530)의 탄성력에 의해 개폐되는 개폐밸브(520)로 구성된다. 즉, 상기 흡입장치(400)의 흡입력이 동일한 상태에서 상기 휴지 수거통(100)의 덮개(110)가 모두 닫혀있으면 상기 이송관(200) 내부의 진공압력이 커지기 때문에 상기 스프링(530)이 수축하여 개폐밸브(520)가 크게 열리면서 공기 흡입구(510)를 통해 많은 량의 외부 공기가 유입된다. 이때, 상기 휴지 수거통(100)의 덮개(110)가 열리면 그만큼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가 늘어나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스프링(530)이 팽창하면서 개폐밸브(520)를 닫아 이송관(200) 내부의 흡입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수장치(300)와 흡입장치(4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장치(600)가 구성된다. 상기 제어장치(600)는 상기 회수장치(300)에서 배출조절부재(340), 회재 감지센서(350), 스프링클러(360), 소독액 분사 노즐(370) 및 조명등(390)의 작동을 제어함과 아울러, 상기 흡입장치(400)에서 모터 및 풍량조절부(410)의 작동을 제어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화장실 내에 구비되는 각 휴지 수거통을 통해 버려지는 휴지를 자동으로 회수하여 처리하도록 함으로써, 화장실을 더욱 쾌적하고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청소를 위한 인력을 줄여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100: 휴지 수거통 110: 덮개
120: 페달 130: 링크
140: 보조 수거통
200: 이송관 210: 지관
300: 회수장치 300a, 300b: 제1,2 포집부
310: 방출구 320: 제1 필터
330: 제2 필터 340: 배출조절부재
350: 화재 감지센서 360: 스프링클러
370: 소독액 분사 노즐 380: 점검창
390: 조명등
400: 흡입장치 410: 풍량조절부재
500: 압력조절장치 510: 흡입구
520: 개폐밸브 530: 스프링
600: 제어장치

Claims (10)

  1. 화장실 내에 설치되고, 덮개를 개폐하면서 사용된 휴지를 버리도록 발로 밟을 수 있도록 외부로 돌출되는 페달; 및 상기 페달과 덮개 사이에 연결 설치되고, 상기 페달을 밟으면 상기 덮개가 열리도록 하는 링크가 형성된 다수 개의 휴지 수거통;
    상기 각 휴지 수거통으로 지관이 연결되고, 지관을 통해 유입되는 휴지를 이송하도록 형성된 이송관;
    상기 이송관의 일측 끝단에 연결되고, 이송관을 통해 이송되는 휴지를 모아 저장한 상태에서 방출구를 통해 저장된 휴지를 배출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이송관이 연결되는 흡입구 측의 제1 포집부와 송풍장치가 연결되는 배출구 측의 제2 포집부로 구획한 상태에서 상기 제1 포집부와 제2 포집부 하부에 각각 방출구를 형성하되,
    상기 제1 포집부와 제2 포집부 사이의 상측에 설치되고, 일정 크기 이하의 휴지가 통과하도록 형성된 제1 필터;
    상기 제2 포집부와 흡입장치 사이에 설치되고, 휴지가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형성된 제2 필터; 및
    상기 제1,2 포집부 하부의 방출구에 각각 설치되고, 휴지의 배출을 개폐하도록 형성된 배출조절부재와 화재를 감지하기 위한 화재 감지센서;
    화재 감지시 작동하는 스프링클러(sprinkler);
    내부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점검 창; 및 조명등;를 포함하여 구성된 회수장치;
    상기 회수장치에 연결 설치되고, 상기 휴지 수거통으로부터 회수장치로 휴지를 이송시키기 위해 공기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회수장치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량을 조절하기 위한 풍량조절부재를 포함된 흡입장치; 상기 회수장치와 흡입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장치; 및
    이송관의 타측 끝단에 연결되고, 상기 흡입장치가 작동 시 외부 공기를 공급하면서 상기 각 휴지 수거통과 이송관에서 작용하는 압력을 조절하도록 상기 이송관으로 외부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기 흡입구; 및 상기 공기 흡입구와 이송관 사이에 설치되고,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개폐되는 개폐밸브로 형성된 압력조절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용 휴지 자동처리 시스템.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휴지 수거통은,
    휴지를 제외한 재활용품을 수거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보조 수거통;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용 휴지 자동처리 시스템.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수장치는,
    소독액 분사 노즐;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용 휴지 자동처리 시스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00110934A 2010-11-09 2010-11-09 화장실용 휴지 자동처리 시스템 KR1010638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0934A KR101063835B1 (ko) 2010-11-09 2010-11-09 화장실용 휴지 자동처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0934A KR101063835B1 (ko) 2010-11-09 2010-11-09 화장실용 휴지 자동처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63835B1 true KR101063835B1 (ko) 2011-09-08

Family

ID=44957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0934A KR101063835B1 (ko) 2010-11-09 2010-11-09 화장실용 휴지 자동처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383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04630A (zh) * 2017-09-12 2018-03-16 合肥富通环保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生活垃圾气力输送的报警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7174B1 (ko) 2006-08-08 2007-09-07 김재곤 쓰레기 자동 집하 시스템 및 그 가동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7174B1 (ko) 2006-08-08 2007-09-07 김재곤 쓰레기 자동 집하 시스템 및 그 가동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04630A (zh) * 2017-09-12 2018-03-16 合肥富通环保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生活垃圾气力输送的报警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3063B1 (ko) 냄새 차단 기능을 가지는 쓰레기통
CN210213567U (zh) 密封防臭自动垃圾桶
US8523051B2 (en) Refuse collection apparatus
KR101723616B1 (ko) 애완동물용 위생 변기
KR101063835B1 (ko) 화장실용 휴지 자동처리 시스템
US20080301865A1 (en) Toilet ventilation system and associated method
KR100763650B1 (ko) 공기 이송방식 세대별 음식물 쓰레기 자동 처리장치
EP1946691A1 (en) Automatic cleaning device for toilet seat
US20090000019A1 (en) Waste transport system and apparatus for use with low water or water free waste disposal devices
US20120233758A1 (en) On-demand waste transport system and apparatus for use with low water or water free waste disposal devices
KR20090000523A (ko) 진공이송방식과 송풍기이송방식을 혼합한 쓰레기 수거시스템
KR101168071B1 (ko) 음식쓰레기 자동 수거 시스템의 이물질 수거장치
KR20160001264A (ko) 세균 및 악취 차단 기능을 갖춘 비데
WO2019004403A1 (ja) 排泄物吸引装置
AU2015263995B2 (en) Toilet ventilation system
JP6885571B2 (ja) 便座装置、便器及び除菌・臭気対処方法
KR101683577B1 (ko) 배수 역류 방지장치
KR101853381B1 (ko) 변기 커버 부착용 소변기
EP3145380B1 (en) Toilet ventilation system
CN210593602U (zh) 一种防臭型城市垃圾桶
KR101544165B1 (ko) 암모니아 제거 기능을 가지는 소변기
US11149424B2 (en) Restroom system
KR102175283B1 (ko) 수처리를 통한 악취제거장치
CN107954119A (zh) 一种垃圾箱
KR20180009299A (ko) 양변기용 탈취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