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3779B1 - 엘리베이터의 방범운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방범운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3779B1
KR101063779B1 KR1020090099504A KR20090099504A KR101063779B1 KR 101063779 B1 KR101063779 B1 KR 101063779B1 KR 1020090099504 A KR1020090099504 A KR 1020090099504A KR 20090099504 A KR20090099504 A KR 20090099504A KR 101063779 B1 KR101063779 B1 KR 1010637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
elevator
alarm
interphone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95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42708A (ko
Inventor
김대영
Original Assignee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995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3779B1/ko
Publication of KR201100427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27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37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37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24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방범운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엘리베이터 카 내부에 진동이나 소음, 화상감지에 의한 범죄예측 감지센서를 설치한 후 이를 매개로 카내의 이상행동 여부를 감지하여 엘리베이터 카가 자동으로 방범운전으로 전환되도록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엘리베이터의 방범운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방범운전 시스템은, 엘리베이터 카 내부에는 소음이나 진동, 화상을 복합적으로 감지하기 위한 복합감지기와, 경고방송을 행하기 위한 스피커와, 카내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CCTV 카메라 및 인터폰이 구비되고; 건물의 관리실이나 방재실에는 상기 복합감지기와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어 그 감지신호를 받아 제어를 행하는 경보제어장치와, 상기 경보제어장치의 제어에 의해 동작되는 경보기와, 상기 카내의 CCTV 카메라 영상을 확대하여 디스플레이 시키는 모니터와, 상기 카내 인터폰과 연결되는 인터폰이 구비되어; 상기 복합감지기로부터 감지신호를 인가받은 경보제어장치는, 상기 경보기를 동작시키고, 영상기록장치를 통해 모니터에 CCTV 카메라 영상을 확대 디스플레이 시킴과 아울러 인터폰 라인을 자동으로 연결시키며, 상기 카내의 경고방송 스피커를 통해 경고음성을 출력시키고, 엘리베이터 제어부에 신호를 인가하여 엘리베이터 카가 방범운전으로 전환되도록 제어를 행하도록 구성된다.
엘리베이터, 방범운전, 복합감지기, 관리실, 인터폰, 경보기, 경보제어장치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방범운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CRIME PREVENTION SYSTEM OF ELEV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방범운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엘리베이터 카 내부에 진동이나 소음, 화상감지에 의한 범죄예측 감지센서를 설치한 후 이를 통해 카내 이상행동 여부를 감지하여 엘리베이터 카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 엘리베이터의 방범운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건물에는 승객의 수직방향으로의 이동을 위한 엘리베이터 장치가 설치되는데, 승객이 탑승하는 엘리베이터 카는 외부와 차단된 밀폐된 상태로 운행되므로, 탑승 중에 임의의 침입자로부터의 위험한 상황에 노출될 수 있게 된다.
이에, 종래에는 엘리베이터 카의 방범 기능을 구현하기 위하여, 엘리베이터 카 내부에 비상호출 버튼 및 CCTV 등을 설치하는 등의 방법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엘리베이터 카에 구비되는 방범 기능에 있어서는 카 내에 탑승한 범인이 비상호출 버튼과 인접한 지점에서 승객의 조작을 방해하는 경우에는 피해자가 비상호출 버튼을 누를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는 한편, 방재실이나 관리실 등에 위치한 관리자가 CCTV를 24시간 내내 연속적으로 감시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또, 엘리베이터 카 내부에서 이상행동이 발생하더라도 관리자가 해당 호기와 인터폰을 연결하지 않는 경우에는 카내의 소리를 들을 수가 없으므로, 비상상황을 정확히 파악하기가 어려운 문제점도 발생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되어진 것으로, 엘리베이터 카 내부에 진동이나 소음, 화상감지에 의한 범죄예측 감지센서를 설치한 후 이를 매개로 카내의 이상행동 여부를 감지하여 엘리베이터 카가 자동으로 방범운전으로 전환되도록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엘리베이터의 방범운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방범운전 시스템은, 엘리베이터 카 내부에는 소음이나 진동, 화상을 복합적으로 감지하기 위한 복합감지기와, 경고방송을 행하기 위한 스피커와, 카내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CCTV 카메라 및 인터폰이 구비되고; 건물의 관리실이나 방재실에는 상기 복합감지기와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어 그 감지신호를 받아 제어를 행하는 경보제어장치와, 상기 경보제어장치의 제어에 의해 동작되는 경보기와, 상기 카내의 CCTV 카메라 영상을 확대하여 디스플레이 시키는 모니터와, 상기 카내 인터폰과 연결되는 인터폰이 구비되어; 상기 복합감지기로부터 감지신호를 인가받은 경보제어장치는, 상기 경보기를 동작시키고, 영상기록장치를 통해 모니터에 CCTV 카메라 영상을 확대 디스플레이 시킴과 아울러 인터폰 라인을 자동으로 연결시키며, 상기 카내의 경고방송 스피커를 통해 경고음성을 출력시키고, 엘리베이터 제어부에 신호를 인가하여 엘리베이터 카가 방범운전으로 전환되도록 제어를 행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방범운전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엘리베이터 카에 구비된 복합감지기가 화상변화를 감지함과 아울러 기준치 이상의 진동이나 음성을 감지하는 이상상태 감지단계와; 상기 복합감지기로부터의 감지신호가 경보제어장치 측으로 인가되면, 상기 경보제어장치는 카내 스피커를 통해 경고 안내방송이 실시되도록 함과 아울러 관리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관리실이나 방재실의 경보기가 동작되도록 제어를 행하는 하는 경고음 출력단계와; 상기 경보제어장치가 관리실이나 방재실에 위치한 모니터에 해당 호기의 영상감시 분할화면이 자동으로 확대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를 행함과 아울러, 관리실이나 방재실의 인터폰과 해당 호기의 인터폰 라인이 자동으로 연결되도록 제어를 행하는 영상 디스플레이 및 인터폰 연결단계와; 상기 경보제어장치가 엘리베이터 제어부 측으로 신호를 인가함에 따라, 해당 엘리베이터 카가 인접 승강장으로 이동하여 도어를 개방하도록 제어가 이루어지는 도어 개방단계 및; 카내 이상상황이 종료되어 경보가 해제됨에 따라 방범운전을 종료하고 정상운전으로 복귀하는 방범운전 종료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르면, 엘리베이터 카 내부에 진동이나 소음, 화상감지에 의한 범죄예측 감지센서를 설치한 후 이를 매개로 카내의 이상행동 여부를 감지하여 엘리베이터 카가 자동으로 방범운전으로 전환되도록 하므로서, 카내에서 발생할 수 있는 폭력범죄를 예방하여 승객들이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엘리베이터 카 내에서 소란을 피우는 등의 승객에게는 자동 경고를 주어 엘리베이터의 기물 파손 및 고장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되며, 이에 따른 승강기의 정상적인 사용유도를 통해 장치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게 된다.
또, 관리자가 엘리베이터 카내 영상을 지속적으로 감시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경보를 통해 이상상황을 즉시 파악할 수 있게 되므로, 근로자의 피로도가 감소됨은 물론, 이상상황 발생 시에 보다 신속한 대처가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도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대해 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방범운전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방범운전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방범운전 시스템은, 엘리베이터 카(10) 내부에 주지된 바와 같이 카내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CCTV 카메라(16) 및 건물의 관리실이나 방재실(20) 등과 인터폰 라인(L1)을 매개로 연결되는 인터폰(18)이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엘리베이터 카(10) 내부의 천정 일정 지점에는 진동이나 소음, 화상의 변화 등을 복합적으로 감지할 수 있는 복합감지기(12)가 설치되며, 그 일측에는 소 정 경고방송을 행할 수 있도록 음성출력을 위한 경고방송 스피커(14)가 추가로 구비된다.
그리고, 건물 및 엘리베이터 카(10) 등의 감시를 행하는 관리자가 상주하는 관리실이나 방재실(20) 등에는 상기 카내의 복합감지기(12)와 동축 케이블 또는 UTP 케이블(L2) 등을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복합감지기(12)로부터 감지신호를 인가받아 소정 제어를 수행하는 경보제어장치(22)가 구비되고, 또한 상기 경보제어장치(22)에는 그 제어신호를 받아 동작되는 경보기(23)가 연결 설치된다.
또, 주지된 바와 같이, 상기 관리실이나 방재실(20) 등에는 상기 카내 영상을 촬영한 CCTV 카메라(16)로부터의 영상을 영상기록장치(24)를 매개로 디스플레이 시키기 위한 모니터(26) 및 상기 카내 인터폰(18)과 인터폰 라인(L1)을 통해 연결되는 인터폰(28) 등이 구비된다.
이에, 상기 경보제어장치(22)는 상기 엘리베이터 카(10) 내부에 설치된 복합감지기(12)로부터 소정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관리실 또는 방재실(20)에 구비된 관리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경보기(23)를 동작시키고, 영상기록장치(24)를 매개로 모니터(26)에 해당 호기의 CCTV 카메라(16) 영상을 자동으로 확대하여 디스플레이 시키는 한편, 상기 엘리베이터 카(10) 내부의 경고방송 스피커(14)를 통해 경고음성을 출력시키고, 관리실이나 방재실(20)과 해당 엘리베이터 카(10) 상호간에 인터폰(18,28)이 상호 연결되도록 제어를 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경보제어장치(22)는 엘리베이터 제어부(30) 측에 방범운전 제어를 위한 신호를 인가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카(10)가 근접층 승강장으로 이동한 후 도어를 개방시키도록 하게 된다.
즉,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부(30)는 승객의 버튼 조작에 따라 권상기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기계부를 제어하여 엘리베이터 카가 해당 층으로 운행되도록 엘리베이터 장치에 대한 전반적인 제어를 행하도록 구성되는데,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부(30)는 상기 경보제어장치(22)로부터 방범운전을 위한 제어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해당 엘리베이터 카(10)를 가장 근접한 층으로 자동으로 이동시킨 후 도어를 개방하고 대기하도록 하므로서 범죄상황 등에 원활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하게 되는 것이다.
이어,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방범운전 시스템에 의해 엘리베이터 카의 이상상황 발생에 따라 해당 엘리베이터 장치가 제어되는데 있어서는, 이상상태 감지단계와, 경고음 출력단계와, 영상 디스플레이 및 인터폰 연결단계와, 도어 개방단계 및, 방범운전 종료단계의 과정을 거쳐 제어가 이루어지게 된다.
먼저, 상기 이상상태 감지단계에서는 현재 운행중인 엘리베이터 카(10) 내에 구비된 복합감지기(12)로부터 화상의 변화나 기준치 이상의 진동, 음성 등이 감지되어 그에 따른 감지신호가 관리실이나 방재실(20) 등에 구비된 경보제어장치(22) 측으로 전송되게 되면, 상기 경보제어장치(22)가 엘리베이터 카(10)의 방범운전 제어를 위해 각 부분에 대한 제어를 실행하게 된다(단계 100 및 단계 110).
그리고, 상기 경고음 출력단계에서는 상기 경보제어장치(22)가 카내의 경고방송 스피커(14)를 통해 카내의 범죄자 등의 주위를 환기시킬 수 있도록 경고 안내방송이 실시되도록 제어를 행하고(단계 200), 상기 관리실이나 방재실(20)에 구비된 경보기(23)가 동작되도록 제어를 행하여 관리자가 이상상황 발생을 즉시 파악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단계 210).
상기 영상 디스플레이 및 인터폰 연결단계에서는, 상기 경보제어장치(22)가 관리실이나 방재실(20)에 위치한 영상기록장치(24)를 제어하므로서 상기 복합감지기(12)로부터 신호가 발생된 해당 호기의 CCTV 카메라(16) 영상이 상기 영상기록장치(24)와 연결된 모니터(26)에 자동으로 확대되어 디스플레이 되게 됨과 아울러(단계 300), 상기 관리실이나 방재실(20)의 인터폰(28)과 해당 호기의 인터폰(18)이 자동으로 연결되면서 통화로가 설정되도록 제어가 이루어지게 된다(단계 310).
그 후, 상기 도어 개방단계에서는 경보제어장치(22)가 엘리베이터 제어부(30) 측으로 해당 호기의 방범운전을 위하여 신호를 인가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부(30)는 단계 400에서 해당 엘리베이터 카(10)의 위치를 파악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카(10)가 승장레벨과 일치하는 지점에 위치한 경우에는 즉시 도어를 개방하도록 제어를 행하는 한편, 해당 엘리베이터 카(10)가 승강로 임의의 지점에 위치한 경우에는 가장 근접한 인접 승강장으로 이동한 후 도어를 개방하도록 제어를 행하게 된다(단계 410 및 단계 420).
또, 상기 방범운전 종료단계에서는 상기 비상상황이 발생된 해당 엘리베이터 카(10)의 카내 이상상황이 종료되어 경보가 해제됨에 따라 상술한 바와 같은 일련 의 방범운전 과정이 종료되면서 해당 엘리베이터 카(10)가 정상운전 모드로 복귀하게 된다(단계 500 및 단계 510).
이에 따라, 엘리베이터 카(10) 내부에 진동이나 소음, 화상의 변화 등에 의한 이상상황이 복합감지부(12)를 통해 감지되면, 이를 관리실이나 방재실(20)에 위치한 관리자가 즉시 인지할 수 있게 됨과 동시에 상술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카(10)가 방범운전으로 자동 전환되어 각종 범죄로부터 엘리베이터 탑승객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기재된 내용과 다른 변형된 실시 예들이 돌출 된다고 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본 발명에 첨부된 청구범위 내에 속하게 됨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방범운전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방범운전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엘리베이터 카, 12: 복합감지기,
14: 경고방송 스피커, 16: CCTV 카메라,
18: 인터폰(카측), 20: 관리실이나 방재실,
22: 경보제어장치, 23: 경보기,
24: 영상기록장치, 26: 모니터,
28: 인터폰(관리실측), 30: 엘리베이터 제어부.

Claims (2)

  1. 엘리베이터 카(10) 내부에 구비되어, 소음이나 진동 또는 화상 중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이상신호를 감지하기 위한 복합감지기(12)와;
    카 내 경고방송을 행하기 위한 경고방송 스피커(14)와;
    카 내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CCTV 카메라(16)와;
    카 내 인터폰(18) 및;
    건물의 관리실이나 방재실(20)에 구비되어, 상기 복합감지기(12)와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어 그 감지신호를 받아 제어를 행하는 경보제어장치(22)와;
    상기 경보제어장치의 제어에 의해 동작되는 경보기(23)와;
    상기 카 내의 CCTV 카메라 영상을 확대하여 디스플레이 시키는 모니터(26)와;
    상기 카 내 인터폰과 연결되는 관리실이나 방재실 인터폰(28)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복합감지기(12)로부터 감지신호를 인가받은 경보제어장치(22)는, 상기 경보기(23)를 동작시키고, 영상기록장치(24)를 통해 모니터(26)에 카 내 CCTV 카메라(16) 영상을 확대 디스플레이 시킴과 아울러 인터폰 라인을 자동으로 연결시키며, 상기 카 내의 경고방송 스피커(14)를 통해 경고음성을 출력시키고, 엘리베이터 제어부(30)에 신호를 인가하여 엘리베이터 카(10)가 방범운전으로 전환되도록 제어를 행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방범운전 시스템.
  2. 삭제
KR1020090099504A 2009-10-20 2009-10-20 엘리베이터의 방범운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0637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9504A KR101063779B1 (ko) 2009-10-20 2009-10-20 엘리베이터의 방범운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9504A KR101063779B1 (ko) 2009-10-20 2009-10-20 엘리베이터의 방범운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2708A KR20110042708A (ko) 2011-04-27
KR101063779B1 true KR101063779B1 (ko) 2011-09-08

Family

ID=44048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9504A KR101063779B1 (ko) 2009-10-20 2009-10-20 엘리베이터의 방범운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377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98074B2 (ja) * 2013-02-07 2016-09-2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の遠隔監視装置
KR101317885B1 (ko) * 2013-05-30 2013-10-18 코리아엘리베이터(주) 음성인식과 충격신호를 이용한 비상호출 제어기능을 갖는 승강기 및 승강기 제어방법
KR101654040B1 (ko) 2013-09-10 2016-09-05 주식회사 케이티 사용자의 스텝 패턴 입력을 이용하는 전자 기기의 자동 설정 장치, 자동 설정 시스템 및 전자 기기의 자동 설정 방법
CN103601045A (zh) * 2013-10-23 2014-02-26 安徽菲茵特电梯有限公司 智能gsm型电梯自动报警对讲装置
KR101580637B1 (ko) 2013-10-28 2015-12-28 주식회사 케이티 엘리베이터 보안 시스템
US10696517B2 (en) 2014-11-26 2020-06-30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security and control system based on passenger movement
CN106064767A (zh) * 2016-08-03 2016-11-02 成都恒胜达科技有限公司 一种电梯运行安全监控装置
CN107986129A (zh) * 2017-12-08 2018-05-04 谢孝波 一种安全电梯
CN107986123B (zh) * 2017-12-12 2024-02-06 广东广菱电梯有限公司 一种带报警功能的安全电梯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49287A (ja) * 2002-10-31 2004-05-27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の防犯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49287A (ja) * 2002-10-31 2004-05-27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の防犯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2708A (ko) 2011-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3779B1 (ko) 엘리베이터의 방범운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WO2006092854A1 (ja) エレベータの画像監視装置
JP2011011872A (ja) エレベータの故障検出装置
US20090314587A1 (en) Elevator control system
KR20090074103A (ko) 출입문 모니터링 스크린도어시스템 및 제어방법
JP2000351547A (ja) エレベータの防犯運転装置
JP4935014B2 (ja) エレベータの防犯運転装置及び防犯運転設定変更方法
JP2008195508A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2005263421A5 (ko)
JP2005263421A (ja) エレベータかご内監視カメラの点検装置
KR20080061034A (ko) 비상 개폐 제어 열차 승강장 스크린도어 시스템 및 그제어방법
JPH11209016A (ja) エレベータの防犯運転装置
JP2000118900A (ja) エレベータ監視装置
KR20070111741A (ko) 승강기 승객갇힘 검출시스템
KR20090076424A (ko) 열차 출입문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JP5682325B2 (ja) 防犯システム
KR20160125763A (ko) 엘리베이터용 보안 및 감시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EP1878684A1 (en) Annunciation device for elevator
KR20150093327A (ko) 엘리베이터의 비상상황 감시 시스템
JP2004359405A (ja) エレベータの地震時遠隔救出方法
JP5003060B2 (ja) エレベータの地震時救出運転方法
KR200389017Y1 (ko) 승강기 승객갇힘 검출시스템
JP2012030916A (ja) エレベータの地震救出運転装置
JP2008105845A (ja) エレベータの地震時管制運転システム
JP2001278559A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