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3538B1 -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휴대 단말기 연동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휴대 단말기 연동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3538B1
KR101063538B1 KR1020090088612A KR20090088612A KR101063538B1 KR 101063538 B1 KR101063538 B1 KR 101063538B1 KR 1020090088612 A KR1020090088612 A KR 1020090088612A KR 20090088612 A KR20090088612 A KR 20090088612A KR 101063538 B1 KR101063538 B1 KR 1010635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me network
call
generation device
mobile terminal
bluetoo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86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30935A (ko
Inventor
이상민
Original Assignee
서울통신기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통신기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울통신기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886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3538B1/ko
Publication of KR201100309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09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35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35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 H04M1/72502Cordless telephones with one base station connected to a single li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Bluetooth inte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휴대 단말기 연동 시스템이 개시된다. 일 실시 예에서, 블루투스가 설정 등록된 휴대 단말기가 감지범위에 들어오면 상기 휴대 단말기를 자동으로 페어링하고, 페어링된 상기 휴대 단말기로부터 콜 착신 신호가 홈 네트워크 세대기기에 착신되면 콜 착신 신호를 서브폰으로 연동시켜 세대기기 및 서브폰에서 통화를 제공하는 홈 네트워크 세대기기; 및 상기 홈 네트워크 세대기기와 페어링되면, 콜 착신 신호를 블루투스를 통해 홈 네트워크 세대기기로 제공하고 콜 착신이 승인되면 상기 블루투스로 통화를 연동시키는 휴대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으로, 홈 네트워크 세대기기와 페어링된 휴대 단말기에 전화가 착신되면 홈 네트워크 세대기기 및 그와 연동된 서브폰에서 해당 전화를 수신할 수 있는 것입니다.

Description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휴대 단말기 연동 시스템 및 방법{Mobie terminal interlocking system and method in home network system}
본 발명은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휴대 단말기 연동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기존의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 블루투스 인터페이스를 추가하는 것으로 홈 네트워크 세대기에 불루투스 모듈을 추가하여 불루투스를 지원하는 휴대폰 단말기를 무선으로 연결하여 집안 어디에서나 휴대전화 통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휴대 단말기 연동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홈 네트워크 시스템은 집 전화(국선)는 공용 라인을 사용하기 때문에 전화 착신 시 거실 및 국선이 연결된 방에서 통화를 할 수 있었다.
또한 무선 전화기를 연결한 경우 집안 어느 곳에서나 통화가 가능하다.
하지만 휴대폰에 전화가 착신된 경우 자신의 휴대폰에서만 착신이 되기 때문에 인지를 못하는 경우 또는 휴대폰을 어디에 두었는지 찾아야 하는 경우가 빈번하 며, 특히 화장실 처럼 사람이 이동할 수 없는 상황에서 전화가 온 경우 휴대폰 통화를 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일반적으로 홈 네트워크 시스템은 거실 중 가장 좋은 자리에 설치되며 다양한 통화 인프라를 가지고 있고(각종 서브 폰) 항시 전원은 켜져 있으나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는 부분이 많지 않은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언급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홈 네트워크 세대기기와 휴대 단말기를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인터페이스함으로써 휴대 단말기에 전화가 착신된 경우 홈 네트워크에서 이를 인식하여 홈 네트워크에 연결된 세대기기, 서브존, 주방 TV, 욕실폰, 욕실 TV, 무선 전화기 등에서 해당 통화를 받을 수 있게 하여 통화가 가능하도록 해주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휴대 단말기 연동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대부분의 사용자들이 휴대 단말기를 사용하고 있으며, 그 휴대 단말기에는 블루투스 기능이 보편적으로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적용이 수월할 뿐만 아니라 홈 네트워크 세대기기의 관점에서도 기 설치되어 있는 통신 인프라를 이용한다는 점에서 사용자가 좀 더 홈 네트워크를 이용할 수 있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휴대 단말기 연동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휴대 단말기 연동 시스템에 따른 일 측면은 블루투스가 설정 등록된 휴대 단말기가 감지범위에 들어오면 상기 휴대 단말기를 자동으로 페어링하고, 페어링된 상기 휴대 단말기로부터 콜 착신 신호가 수신되면 콜 착신 신호를 홈 네트워크 세대기기 및 서브폰으로 연동시켜 통화를 제공하는 홈 네트워크 세대기기; 및 상기 홈 네트워크 세대기기와 페어링되면, 콜 착신 신호를 블루투스를 통해 홈 네트워크 세대기기로 제공하고 콜 착신이 승인되면 상기 블루투스로 통화를 연동시키는 휴대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휴대 단말기 연동 방법에 따른 일 측면은 홈 네트워크 세대기기가 블루투스 모듈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와의 블루투스 설정을 등록하여 핸즈프리 프로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홈 네트워크 세대기기가 감지범위에 등록된 휴대 단말기가 존재하면 핸즈프리 프로파일을 확인하여 등록된 휴대 단말기의 페어링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홈 네트워크 세대기기가 페어링된 휴대 단말기의 블루투스 모듈로부터 콜 착신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홈 네트워크 세대기기가 콜 착신 신호에 따라 세대기기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브폰을 통해 착신음을 울리는 단계; 및 상기 홈 네트워크 세대기기 및 서브폰을 통해 콜 착신을 승인하면 세대기기 및 다른 서브폰의 착신음을 종료하는 동시에 콜 착신을 승인한 세대기기 및 서브폰을 통해 통화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휴대 단말기 연동 시스템 및 방법은 홈 네트워크 세대기기와 페어링된 휴대 단말기에 전화가 착신되면 홈 네트워크 세대기기 및 그와 연동된 서브폰에서 해당 전화를 수신할 수 있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따라서, 휴대 단말기를 받기 위해 사용자가 동선을 크게 움직이지 않고도 가 까운 홈 네트워크 세대기기 및 서브폰을 통해 통화를 하여 휴대 단말기의 이동성을 보완하면서도 사용빈도가 작은 홈 네트워크 세대기기의 활용 범위를 높일 수 있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특정 실시예의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의 여러 설명을 제공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고 커버되는 다수의 여러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상세한 설명은 동일한 참조 번호가 동일하거나 기능적으로 유사한 요소를 나타내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본 명세서에서 제공되는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히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을 위해 사용된 것이기 때문에 본 발명을 특정 방법으로 제한하거나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전체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속성들을 나타내거나 본 명세서에 제공된 발명을 실시하는데 필수적인 여러 신규한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휴대 단말기 연동 시스템의 기능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휴대 단말기(200) 연동 시스템은 홈 네트워크 세대기기(100)와 휴대 단말기(200)로 구성되어 있다.
홈 네트워크 세대기기(100)는 블루투스가 설정 등록된 휴대 단말기(200)가 감지범위에 들어오면 휴대 단말기(200)를 자동으로 페어링하고, 페어링된 휴대 단 말기(200)로부터 콜 착신 신호가 수신되면 콜 착신 신호를 세대기기(100) 및 서브폰(101)으로 연동시켜 통화를 제공하며, 제 1 블루투스 모듈(110), 휴대 단말기 등록부(120), 자동 페어링부(130) 및 착신호 연동부(140)를 포함한다.
여기서, 홈 네트워크 세대기기(100)의 제 1 블루투스 모듈(110)은 다른 단말기와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한다.
그리고 홈 네트워크 세대기기(100)의 휴대 단말기 등록부(120)는 제 1 블루투스 모듈(110)을 통해 휴대 단말기(200)와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함과 동시에 핸즈프리 프로파일을 생성하여 휴대 단말기(200)의 블루투스 페어링 설정을 등록한다.
또한 홈 네트워크 세대기기(100)의 자동 페어링부(130)는 블루투스 페어링 설정이 등록된 휴대 단말기(200)가 감지범위에 들어오면 핸즈프리 프로파일을 확인한 후 휴대 단말기(200)를 페어링시킨다.
그리고, 홈 네트워크 세대기기(100)의 착신호 연동부(140)는 휴대 단말기(200)의 블루투스 모듈을 통해 콜 착신 신호가 수신되면 세대기기(100) 및 서브폰(101)을 통해 콜 착신에 따른 착신음을 울린다.
한편, 휴대 단말기(200)는 홈 네트워크 세대기기(100)와 페어링되면, 콜 착신 신호를 블루투스를 통해 홈 네트워크 세대기기(100)로 제공하고 콜 착신이 승인되면 블루투스로 통화를 연동시키며, 제 2 블루투스 모듈(210), 페어링 판단부(220) 및 콜 연동부(230)를 포함한다.
여기서, 휴대 단말기(200)의 제 2 블루투스 모듈(210)은 다른 단말기 또는 홈 네트워크 세대기기(100)와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200)의 페어링 판단부(220)는 홈 네트워크 세대기기(100)와 페어링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또한, 휴대 단말기(200)의 콜 연동부(230)는 콜 착신 시, 페어링 판단부(220)를 통해 홈 네트워크 세대기기(100)와 페어링되면 콜 착신 신호를 홈 네트워크 세대기기(100)의 제 1 블루투스 모듈(110)로 전송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휴대 단말기(200) 연동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홈 네트워크 세대기기(100)의 휴대 단말기 등록부(120)는 휴대 단말기(200)와 블루투스 설정을 등록하여 등록된 휴대 단말기(200)의 핸즈프리 프로파일을 생성하여 휴대 단말기(200)의 블루투스 페어링 설정을 등록한다.
이렇게 휴대 단말기(200)의 블루투스 페어링 설정을 등록한 후 홈 네트워크 세대기기(100)의 자동 페어링부(130)는 블루투스 페어링 설정이 등록된 휴대 단말기(200)가 감지범위에 들어오면 핸즈프리 프로파일을 확인한 후 휴대 단말기(200)를 페어링시킨다.
이렇게 페어링된 휴대 단말기(200)로부터 제 2 블루투스 모듈(210)을 통해 콜 착신 신호가 수신되면, 홈 네트워크 세대기기(100)의 착신호 연동부(140)는 세대기기(100) 및 서브폰(101)을 통해 콜 착신에 따른 착신음을 울린다.
이후, 서브폰(101)을 통해 사용자가 콜 착신을 승인하면 홈 네트워크 세대기기(100)의 제 1 블루투스 모듈(110)은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휴대 단말기(200)의 제 2 블루투스 모듈(210)로 콜 착신 승인 신호를 전송한다.
한편, 휴대 단말기(200)의 페어링 판단부(220)는 홈 네트워크 세대기기(100)와 페어링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만약, 상기 페어링 판단부(220)를 통해 홈 네트워크 세대기기(100)와 페어링되면, 휴대 단말기(200)의 콜 연동부(230)는 콜 착신 시, 콜 착신 신호를 홈 네트워크 세대기기(100)의 제 1 블루투스 모듈(110)로 전송한다.
반면에, 홈 네트워크 세대기기(100)와 페어링이 되지 않은 상태이면, 휴대 단말기(200)에서 콜 착신음을 울려 통화를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휴대 단말기 연동 방법에 대하여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홈 네트워크 세대기기(100)가 블루투스 모듈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200)와의 블루투스 설정을 등록하여 핸즈프리 프로파일을 생성한다(S1).
이어서, 홈 네트워크 세대기기(100)가 블루투스 설정이 등록된 휴대 단말기가 감지범위에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S2).
이어서, 홈 네트워크 세대기기(100)가 감지범위에 등록된 휴대 단말기(200)가 존재하면 핸즈프리 프로파일을 확인하여 등록된 휴대 단말기(200)의 페어링을 수행한다(S3).
이후, 홈 네트워크 세대기기(100)가 페어링된 휴대 단말기(200)의 블루투스 모듈로부터 콜 착신 신호를 수신한다(S4).
그러면, 홈 네트워크 세대기기(100)가 콜 착신 신호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브폰(101)을 통해 착신음을 울린다(S5).
이때, 홈 네트워크 세대기기(100) 및 서브폰(101)이 콜 착신을 승인하면 다른 서브폰(101)의 착신음을 종료하는 동시에 콜 착신을 승인한 세대기기(100) 및 서브폰(101)을 통해 통화를 수행한다(S6).
한편, 사용자가 세대기기(100) 및 서브폰(101)을 통해 통화를 종료하면, 블루투스 모듈을 통해 콜 종료 신호를 휴대 단말기(200)의 블루투스 모듈로 전송하여 모든 통화를 종료한다.
반면에,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휴대 단말기의 휴대 단말기 연동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먼저, 휴대 단말기(200)의 페어링 판단부(220)가 블루투스 모듈을 통해 홈 네트워크 세대기기(100)와 페어링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11).
만약, 상기 판단 단계(S11)에서 홈 네트워크 세대기기(100)와 페어링되면(YES), 휴대 단말기(200)의 콜 연동부(230)는 콜 착신 신호를 홈 네트워크 세대기기(100)의 블루투스 모듈로 전송하여 통화를 수행한다(S12).
한편, 상기 판단 단계(S11)에서 홈 네트워크 세대기기(100)와 페어링되지 않으면(NO), 휴대 단말기(200)는 콜 착신 신호에 따른 콜 착신음을 울려 통화를 수행 한다(S13).
전술된 상세한 설명이 여러 실시예에 적용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본적인 신규한 특징들을 도시하고 기술하고 언급하였지만, 예시된 시스템의 형태 및 상세 사항에 대해 본 발명의 의도를 벗어남이 없이 여러 생략, 교체 및 변경이 이 기술 분야에 숙련된 자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휴대 단말기 연동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기능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휴대 단말기 연동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휴대 단말기의 휴대 단말기 연동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홈 네트워크 세대기기 110 : 제 1 블루투스 모듈
120 : 휴대 단말기 등록부 130 : 자동 페어링부
140 : 착신호 연동부 200 : 휴대 단말기
210 : 제 2 블루투스 모듈 220 : 페어링 판단부
230 : 콜 연동부

Claims (6)

  1.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
    블루투스가 설정 등록된 휴대 단말기가 감지범위에 들어오면 상기 휴대 단말기를 자동으로 페어링하고, 페어링된 상기 휴대 단말기로부터 콜 착신 신호가 수신되면 콜 착신 신호를 세대기기 및 서브폰으로 연동시켜 통화를 제공하는 홈 네트워크 세대기기; 및
    상기 홈 네트워크 세대기기와 페어링되면, 콜 착신 신호를 블루투스를 통해 홈 네트워크 세대기기로 제공하고 콜 착신이 승인되면 상기 블루투스로 통화를 연동시키는 휴대 단말기를 포함하되,
    상기 홈 네트워크 세대기기는,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하는 제 1 블루투스 모듈;
    상기 제 1 블루투스 모듈을 통해 상기 휴대 단말기와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함과 동시에 핸즈프리 프로파일을 생성하여 휴대 단말기의 블루투스 페어링 설정을 등록하는 휴대 단말기 등록부;
    블루투스 페어링 설정이 등록된 휴대 단말기가 감지범위에 들어오면 핸즈프리 프로파일을 확인한 후 상기 휴대 단말기를 페어링시키는 자동 페어링부; 및
    상기 휴대 단말기의 블루투스 모듈을 통해 콜 착신 신호가 수신되면 세대기기 및 서브폰으로 콜 착신에 따른 착신음을 울리는 착신호 연동부를 포함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휴대 단말기 연동 시스템.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는,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하는 제 2 블루투스 모듈;
    상기 홈 네트워크 세대기기와 페어링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페어링 판단부; 및
    콜 착신 시, 상기 페어링 판단부를 통해 홈 네트워크 세대기기와 페어링되면 콜 착신 신호를 상기 홈 네트워크 세대기기의 제 1 블루투스 모듈로 전송하는 콜 연동부를 포함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휴대 단말기 연동 시스템.
  4. 홈 네트워크 세대기기가 블루투스 모듈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와의 블루투스 설정을 등록하여 핸즈프리 프로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홈 네트워크 세대기기가 감지범위에 등록된 휴대 단말기가 존재하면 핸즈프리 프로파일을 확인하여 등록된 휴대 단말기의 페어링을 수행하는 단계;
    휴대 단말기는 블루투스 모듈을 통해 상기 홈 네트워크 세대기기와 페어링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단계에서 상기 홈 네트워크 세대기기와 페어링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휴대 단말기는 콜 착신 신호를 상기 홈 네트워크 세대기기의 블루투스 모듈로 전송하여 통화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홈 네트워크 세대기기가 페어링된 휴대 단말기의 블루투스 모듈로부터 콜 착신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홈 네트워크 세대기기가 콜 착신 신호에 따라 세대기기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브폰을 통해 착신음을 울리는 단계; 및
    상기 홈 네트워크 세대기기 및 서브폰을 통해 콜 착신을 승인하면 다른 서브폰의 착신음을 종료하는 동시에 콜 착신을 승인한 세대기기 및 서브폰을 통해 통화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휴대 단말기 연동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사용자가 서브폰을 통해 통화를 종료하면, 블루투스 모듈을 통해 콜 종료 신호를 휴대 단말기의 블루투스 모듈로 전송하여 모든 통화를 종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휴대 단말기 연동 방법.
  6. 삭제
KR1020090088612A 2009-09-18 2009-09-18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휴대 단말기 연동 시스템 및 방법 KR1010635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8612A KR101063538B1 (ko) 2009-09-18 2009-09-18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휴대 단말기 연동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8612A KR101063538B1 (ko) 2009-09-18 2009-09-18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휴대 단말기 연동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0935A KR20110030935A (ko) 2011-03-24
KR101063538B1 true KR101063538B1 (ko) 2011-09-07

Family

ID=439363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8612A KR101063538B1 (ko) 2009-09-18 2009-09-18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휴대 단말기 연동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353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32500A1 (en) * 2003-01-03 2004-07-08 Gary Rogalski Systems and methods for exchanging data and audio between cellular telephones and landline telephon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32500A1 (en) * 2003-01-03 2004-07-08 Gary Rogalski Systems and methods for exchanging data and audio between cellular telephones and landline telephon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0935A (ko) 2011-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1135219A (ja) 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KR100763129B1 (ko) 통신망 정합 블루투스 액세스포인트 장치
KR101401745B1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유선 통화 시스템 및 그 방법과이를 위한 유선통화 중계장치
US9819774B2 (en) Mobile and landline call switching
KR101063538B1 (ko)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휴대 단말기 연동 시스템 및 방법
KR101094898B1 (ko) 메신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0566373B1 (ko) 인터넷 전화 및 전화망을 이용한 전화의 송수신이가능케하는 중계장치
KR100678108B1 (ko) 유선망/무선망을 선택하여 통신할 수 있는 이동통신시스템및 그 동작 방법
JP6340327B2 (ja) 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US8463257B1 (en) System for redirecting cellular phone calls to conventional landline handsets
JP2000332677A (ja) 移動体通信端末
KR100602277B1 (ko) 원폰 이동통신 단말기의 블루투스 액세스 포인트 접속 및해지 알림 방법
KR100996084B1 (ko) 전류 소비를 최소화하기 위한 블루투스모듈을 구비한휴대용 단말기와 블루투스 액세스 포인트 간의 통신 연결방법
KR20070007527A (ko) 바이너리 씨디엠에이 무선 통신을 이용한 통화 시스템 및방법
KR100925244B1 (ko) 인터넷 전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CN104363336A (zh) 一种接听电话的方法及通信系统
KR20020045927A (ko) 데이터통신과 음성통신을 지원해주는 블루투스 방식의전화기 세트와 이를 이용한 통신방법
KR100721253B1 (ko) 유선 전화 연동 장치
KR20160017268A (ko) 통신대행시스템, 통신단말기 및 그 통신방법, 통신대행단말기 및 그 통신대행방법, 통신중계단말기 및 통신중계방법
KR101397546B1 (ko) Lte 무선접속 모듈을 포함하는 트렁크게이트웨이 장치
KR200373759Y1 (ko) 무선랜 전화기 장치
JP2006157582A (ja) 通信情報変換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通信システム
KR20050068096A (ko) 무선랜 단말기의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70054951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원격 통화 연결 모듈, 원격 통화 연결 모듈의 원격 통화 연결 방법 및 이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그리고 원격 통화 연결 시스템
KR20000018228A (ko) 휴대용 이동 단말기의 단문 서비스를 이용한 벨소리 전송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