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2678B1 - 슬리팅 직물, 직물의 슬리팅 방법 및 흡수제품 - Google Patents

슬리팅 직물, 직물의 슬리팅 방법 및 흡수제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2678B1
KR101062678B1 KR1020080094690A KR20080094690A KR101062678B1 KR 101062678 B1 KR101062678 B1 KR 101062678B1 KR 1020080094690 A KR1020080094690 A KR 1020080094690A KR 20080094690 A KR20080094690 A KR 20080094690A KR 101062678 B1 KR101062678 B1 KR 1010626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slitting
adhesive
applying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46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33112A (ko
Inventor
김동일
이일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ublication of KR200900331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31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26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26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25/00Treating selvedges or other edges, e.g. stiffen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HMARKING, INSPECTING, SEAMING OR SEVERING TEXTILE MATERIALS
    • D06H7/00Apparatus or processes for cutting, or otherwise severing, specially adapted for the cutting, or otherwise severing, of textile materials
    • D06H7/02Apparatus or processes for cutting, or otherwise severing, specially adapted for the cutting, or otherwise severing, of textile materials transversel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21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32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of unsaturated alcohols or esters thereof
    • D06M15/333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of unsaturated alcohols or esters thereof of vinyl acetate; Polyvinylalcoho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3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564Polyureas, polyurethanes or other polymers having ureide or urethane links; Precondensation products forming the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 Y02P70/62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related technologies for production or treatment of textile or flexible materials or products thereof, including footw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리팅 직물, 직물의 슬리팅 방법 및 흡수제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직물 원단을 제품의 가공에 적당한 사이즈로 슬리팅하는 과정에서, 슬리팅된 직물의 절단부(측면부)에 접착제를 도포(피착)함으로써, 직물 원사(실올)가 풀려 나오는 것을 방지한 슬리팅 직물 및 직물의 슬리팅 방법, 그리고 상기 슬리팅 직물을 포함하는 흡수제품을 제공한다.
슬리팅, 직물, 원사, 실올, 접착제

Description

슬리팅 직물, 직물의 슬리팅 방법 및 흡수제품 {SLITTING FABRIC, METHOD FOR SLITTING FABRIC, AND ABSORBENT PRODUCT}
본 발명은 슬리팅 직물, 직물의 슬리팅 방법 및 흡수제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직물 원단을 제품의 가공에 적당한 사이즈로 슬리팅하는 과정에서, 슬리팅된 직물의 절단부(측면부)에 접착제를 도포(피착)함으로써, 직물 원사(실올)가 풀려 나오는 것을 방지한 슬리팅 직물 및 직물의 슬리팅 방법, 그리고 상기 슬리팅 직물을 포함하는 흡수제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직물 제품의 가공을 위해서는 언와인드 롤(Unwind Roll)에 감겨있는 직물 원단을 제품의 가공에 적당한 사이즈로 슬리팅시키는 공정이 선행되어야 한다. 직물의 슬리팅 공정은 언와인드 롤로부터 풀려 나온 직물 원단을 칼날(나이프)로 베어 직물을 이루는 씨줄(칼날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짜인 실올)들을 연속적으로 잘라 내어 적당한 폭으로 나누어 주는 공정이다.
일례로, 아기 기저귀의 탑 시트(Top sheet)로 사용되는 면 소재의 직물을 슬 리팅시키는 과정을 설명하면, 언와인드 롤에 감긴 대략 2m 폭의 직물 원단을 핀칭롤에 걸어 슬리팅 장치에 피딩시키고, 상기 직물 원단을 칼날을 사용하여 대략 150mm 폭으로 슬리팅시킨다. 이후, 슬리팅된 직물들은 각각의 와인드 롤(Wind Roll)에 감은 다음 제품의 가공에 사용되고 있다.
위와 같이 칼날을 사용하는 슬리팅 공법은, 가위로 절단한 직물의 절단부와는 달리 씨줄에 짜인 날줄(칼날과 평행한 방향으로 짜인 실올)들이 풀려 나오는 문제점을 갖는다. 이와 같이, 직물의 절단부, 즉 슬리팅된 직물의 측면부에서 풀려 나온 실올들은 직물의 절단면을 지저분하게 하거나, 작업장을 오염시킨다. 또한, 칼날을 이용해 슬리팅된 직물을 아기 기저귀용의 탑 시트 등으로 사용하는 경우, 풀려 나온 날줄들이 아기의 피부를 자극하여 짓무름을 유발시키는 문제점을 갖게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칼날을 이용한 직물의 슬리팅 공정 시, 슬리팅된 직물의 절단부(측면부)에 접착제를 도포(피착)하여 실올들(씨줄 및 날줄)을 서로 접착시킴으로써, 실올들이 풀려 나오는 현상을 방지한 슬리팅 직물, 직물의 슬리팅 방법 및 흡수제품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슬리팅되어 형성된 절단부에 접착제가 도포된 슬리팅 직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직물 원단을 슬리팅하는 단계; 및
상기 슬리팅되어 형성된 직물의 절단부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직물의 슬리팅 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에 후속하여, 상기 절단부에 도포된 접착제를 건조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는 슬리팅된 직물을 와인드 롤에 감는 공정; 및
상기 와인드 롤에 감긴 직물의 절단부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접착제는 도포 영역에서 접착제와 실올의 중량을 합한 전체 중량을 100 중량부로 할 때 1 ~ 30 중량부로 도포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은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슬리팅 직물을 포함하는 흡수제품을 제공한다. 흡수제품은, 예를 들어 기저귀, 생리대, 팬티라이너 등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슬리팅 공정에서 직물의 절단부(측면부)에 접착제가 도포되어, 실올이 풀려 나오는 현상이 방지된다. 이에 따라, 직물의 절단부(측면부)가 깨끗하게 마감되어 작업장의 오염이 방지되고 취급이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슬리팅 직물(슬리팅된 측면부에 접착제가 도포된 것)을 아기 기저귀의 탑 시트 등과 같은 피부 접촉 소재로 사용할 경우 피부 자극이 방지되는 효과를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슬리팅 직물의 요부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슬리팅 장치의 일례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슬리팅 직물은, 슬리팅 공정에 의해 형성된 절단부(13)에 접착제(20)가 도포(피착)된 구조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직물의 슬리팅 방법은, 직물 원단(10)을 슬리팅하는 제1단계(슬리팅 단계); 및 상기 슬리팅되어 형성된 절단부(13)에 접착제(20)를 도포하는 제2단계(접착제 도포 단계)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언와인드 롤로부터 풀려 나온 직물 원단(10)을 기 설정된 폭(사이즈)으로 연속 절단(슬리팅)하는 과정에서, 슬리팅된 직물(15)의 측면부, 즉 절단부(13)에 접착제(20)를 도포(피착)하는 단계가 수행되어, 절단부(13)는 접착제(20)에 의해 마감된다.
상기 제1단계(슬리팅 단계)에서는 도 2에 보인 바와 같은 슬리팅 장치를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슬리팅 장치는 직물 원단(10)이 언와드인 롤(도시하지 않음); 상기 언와인드 롤로부터 풀려 나온 직물 원단(10)을 설정된 소정의 폭으로 절단하기 위한 버텀 나이프(50); 및 절단된 직물(15)이 감겨지는 와인드 롤(도시하지 않음)을 갖는다. 상기 버텀 나이프(50)는 직물 원단(10)이 감기도록 원통형의 롤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버텀 나이프(50)에는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슬리팅되는 직물(15)의 폭에 대응되는 간격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컷팅 홀(5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슬리팅 장치는 상기 컷팅 홀(51)에 배치된 탑 나이프(60)를 갖는다. 이때, 상기 탑 나이프(60)는 그 원주를 따라 직물 원단(10)을 실질적으로 슬리팅하는 원판형의 칼날(61)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버텀 나이프(50)와 탑 나이프(60)의 회전에 의해 직물 원단(10)은 소정의 폭을 갖도록 연속적으로 슬리팅된다. 이후, 슬리팅된 직물(15)은 각각의 와인드 롤(도시하지 않음)에 감겨진 다음, 제품의 가공에 사용된다.
상기 제2단계(접착제 도포 단계)는 슬리팅된 직물(15)의 절단면(측면)에 위치한 씨줄(11 ; 칼날(61)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짜인 실올) 및 날줄(12 ; 칼날(61)과 평행한 방향으로 짜인 실올)을 서로 접착시키는 공정으로서, 상기 접착제(20)는 함침(담지)에 의한 방법, 노즐에 의한 분사나 붓 바르기 등에 의한 코팅 방법 등으로 도포(피착)될 수 있다.
이때, 접착제(20)를 도포(피착)시키는 방법으로는, 직물 원단(10)을 슬리팅한 다음, 연속적인 공정으로 직물(15)의 절단부(13)에 접착제(20)를 도포시키고, 이후 와인드 롤에 권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직물 원단(10)을 슬리팅한 후에, 접착제(20)가 수용된 용기에 슬리팅된 직물(15)의 측면부분(절단면)을 함침(담지)시켜 도포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접착제(20)가 도포된 직물(15)을 와인드 롤에 감아 제품의 가공에 사용되게 할 수 있다. 이때, 직물(15)을 와인드 롤에 감기 전에 열풍을 가하거나 오븐에 통과되도록 하여 접착제(20)가 건조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건조는 접착제(20)의 도포량이 많은 경우, 예를 들어 함침(담지)에 의한 방법으로 도포되어 도포량이 많은 경우 실시하는 것이 좋다.
또한, 접착제(20)를 도포함에 있어서, 슬리팅 공정을 수행한 다음, 슬리팅된 직물(15)을 와인드 롤에 감은 다음, 상기 와인드 롤에 감긴 슬리팅된 직물(15)의 양측면(절단면)에 접착제(20)를 분사 코팅하거나 접착제(20)가 수용된 용기에 함침(담지)시킴으로써, 슬리팅된 직물(15)의 양측면(절단면) 부분에 접착제(20)가 도포되게 할 수 있다.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20)의 도포 방법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슬리팅된 직물(15)을 와인드 롤에 감은 다음, 접착제(20)를 도포한 경우, 직물(15)의 측면이 접착제(20)에 의해 서로 붙어 와인드 롤에서의 풀림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이때 사용되는 접착제(20)는 직물(15)의 인장강도(직물의 찢어짐이 발생하는 강도)보다 작은 접착강도를 가지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상기 접착제(20)는 접착력을 갖는 것이면 어떠한 것이든 사용 가능하며, 천연 접착제 및 합성 접착제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접착제(20)는 도포, 건조 후 연성을 가지면 좋다. 예를 들어, 상기 접착제(20)는 스타치(Starch), 덱스트린(Dextrin), 클로로프렌 고무(Chloroprene Rubber),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thylene Vinyl Acetate), 폴리우레탄(Poly Urethane), 폴리비닐아세테이트(Poly Vinyl Acetate), 폴리비닐클로라이드(Poly Vinyl Chloride), 폴리비닐알코올(Poly Vinyl Alcohol) 및 스티렌 블록 공중합체(Styrene Block Copolymer) 등으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접착제(20)의 종류는 상기에 한정되지 않고, 직물(15)의 절단부(13)에 도포할 시에 씨줄(11) 및/또는 날줄(12)의 실올들이 풀리지 않으면서, 접착제(20)가 도포된 후에 접착면들간에 접착력이 직물(15)의 인장강도보다 작은 접착력을 제공하는 것이라면 어느 것이든 상관 없다.
또한, 상기 접착제(20)는 절단부(13)에 1 ~ 30 중량부로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접착제(20)의 도포량이 1 중량부 미만이면, 접착제(20)의 양이 적어 슬리팅 절단부(13)의 씨줄(11) 및/또는 날줄(12)을 서로 접착시키기 위한 접착력이 부족하여 실올들이 풀릴 수 있다. 아울러, 접착제(20)의 도포량이 30 중량부를 초과하면, 접착제(20)가 직물(15)의 표면으로 배어나와 직물(15)의 면과 면사이의 접착으로 인하여, 와인드 롤에서 직물(15)이 풀려날 때 쉽게 풀리지 않아 직물(15)이 찢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접착제(20)가 도포(피착)된 영역, 즉 도 1에서 도면 부호 14로 표시한 부분에는 접착제(20)와 실올(11)(12)이 함께 존재하게 되는데, 본 발명에서 상기 접착제(20)의 도포량(1 ~ 30 중량부)이란, 상기 영역(14)에서 접착제(20)와 실올(11)(12)의 중량을 합한 전체 중량을 100 중량부로 할 때 접착제(20)가 차지하는 중량을 의미한다.
또한, 직물(15) 전체의 폭에 대하여, 접착제(20)는 절단부(13)의 말단(가장자리)으로부터 직물(15)의 폭 방향으로1 ~ 20mm의 길이로 도포될 수 있다. 즉, 도 1에서 접착제(20)가 도포된 영역(14)은 1 ~ 20mm의 길이가 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길이가 1mm 미만이면, 실올들의 풀림이 발생할 수 있고, 20mm를 초과하면 필요이상으로 접착제(20)가 도포되므로 경제적으로 바람직하지 않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슬리팅된 직물(15)의 절단부(13)에 접착제(20)가 도포되어 절단부(13)에서 실올들이 풀려 나오는 현상이 방지된다. 이에 따라, 종래 슬리팅 공정에서 발생되는 절단면의 지저분함과 작업장의 오염 문제가 개선된다. 또한, 피부 접촉 소재로 사용할 경우 피부 자극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흡수제품은 상기 본 발명의 슬리팅 직물(15)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흡수제품은 유아 또는 실금자가 사용하는 일회용 기저귀(Disposable Diaper), 여성용 생리대(Sanitary napkin), 팬티라이너(panty liner) 등으로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흡수제품은 액체 불투과성의 배면시트, 액체 투과성의 탑 시트, 및 상기 배면시트와 탑 시트의 사이에 개재된 흡수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배면시트 및/또는 탑 시트는 상기 본 발명의 슬리팅 직물(15)이 가공되어 구성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슬리팅 직물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슬리팅 장치의 일례를 보인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직물 원단 11 : 씨줄
12 : 날줄 13 : 절단부
14 : 접착제 도포 영역 15 : 직물
20 : 접착제 50 : 버텀 나이프
51 : 컷팅 홀 60 : 탑 나이프
61 : 칼날

Claims (11)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직물 원단을 슬리팅하는 단계; 및
    상기 슬리팅되어 형성된 직물의 절단부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는 슬리팅된 직물을 와인드 롤에 감는 공정; 및
    상기 와인드 롤에 감긴 직물의 절단부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의 슬리팅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절단부에 도포된 접착제를 건조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의 슬리팅 방법.
  7. 삭제
  8.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에서 접착제를 절단부에, 접착제와 직물 실올의 중량을 합한 전체 중량을 100 중량부로 할 때, 1 내지 30 중량부로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의 슬리팅 방법.
  9.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에서 절단부의 말단으로부터 직물의 폭 방향으로 1 내지 20 mm의 길이로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의 슬리팅 방법.
  10.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접착제는 스타치(Starch), 덱스트린(Dextrin), 클로로프렌 고무(Chloroprene Rubber),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thylene Vinyl Acetate), 폴리우레탄(Poly Urethane), 폴리비닐아세테이트(Poly Vinyl Acetate), 폴리비닐클로라이드(Poly Vinyl Chloride), 폴리비닐알코올(Poly Vinyl Alcohol) 및 스티렌 블록 공중합체(Styrene Block Copolymer)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의 슬리팅 방법.
  11.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직물은 흡수제품용 직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의 슬리팅 방법.
KR1020080094690A 2007-09-27 2008-09-26 슬리팅 직물, 직물의 슬리팅 방법 및 흡수제품 KR1010626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97492 2007-09-27
KR1020070097492 2007-09-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3112A KR20090033112A (ko) 2009-04-01
KR101062678B1 true KR101062678B1 (ko) 2011-09-06

Family

ID=407596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4690A KR101062678B1 (ko) 2007-09-27 2008-09-26 슬리팅 직물, 직물의 슬리팅 방법 및 흡수제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267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3232B1 (ko) * 2019-10-15 2020-03-25 주식회사 넥스벨 직물 시트 형상의 스피커-박스 시스템 흡기제 및 이의 제조방법, 이를 포함하는 스피커-박스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92962A (ja) * 2000-01-06 2001-07-17 Yoshimitsu Nakagawa ヒートカットされた織物の切断部の構造
KR100494196B1 (ko) 1996-09-12 2005-09-02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흡수성 제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4196B1 (ko) 1996-09-12 2005-09-02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흡수성 제품
JP2001192962A (ja) * 2000-01-06 2001-07-17 Yoshimitsu Nakagawa ヒートカットされた織物の切断部の構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3232B1 (ko) * 2019-10-15 2020-03-25 주식회사 넥스벨 직물 시트 형상의 스피커-박스 시스템 흡기제 및 이의 제조방법, 이를 포함하는 스피커-박스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3112A (ko) 2009-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1686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a batt of particulate material for use as a component in an absorbent core assembly
US6523595B1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separating discrete elements from pre-perforated web for placement on product web moving at different speed
JP4902885B2 (ja) おむつ主要部分と、これに接合された前側および後側のおむつ側方部分とを有する多数の失禁使い捨ておむつを製造する方法
US8496775B2 (en) Method for embossing an absorbent article
US9713558B2 (en) Absorbent article including laminat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JP6193328B2 (ja) シート状物及びシート状物の製造方法
US5552007A (en) Conveying continous web having cross-direction tension
CZ289045B6 (cs) Netkaná vloľka slipového typu, způsob její výroby a zařízení k provádění tohoto způsobu
CA2476272A1 (en) Dry formed composite with cut and place layers
CA2816409C (en) Embossed absorbent article
JP4791476B2 (ja) 使い捨て式吸収用品の製造方法
MXPA00006978A (es) Substratos que comprenden fibras aterciopeladas de polimero super absorbente.
KR101062678B1 (ko) 슬리팅 직물, 직물의 슬리팅 방법 및 흡수제품
EP2797564B1 (en) Process for making absorbent articles
US20170079848A1 (en) Method for making absorbent articles
US20040261939A1 (en) Cutting method and apparatus having a resilient insert
JP2021528159A (ja) 吸収性物品に用いるための成形透過性材料複合体
CZ173297A3 (en) Process for producing adaptable absorption article and the absorption article produced in such a manner
JP4433254B2 (ja) 連続構造体を個別の間隙を設けた要素に変換する工程及び個別の物品を製造する工程
SK283325B6 (sk) Netkaná vložka slipového typu, spôsob jej výroby a zariadenie na uskutočnenie tohto spôsobu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