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2419B1 - 투습방수 코팅 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투습방수 코팅 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2419B1
KR101062419B1 KR1020090073761A KR20090073761A KR101062419B1 KR 101062419 B1 KR101062419 B1 KR 101062419B1 KR 1020090073761 A KR1020090073761 A KR 1020090073761A KR 20090073761 A KR20090073761 A KR 20090073761A KR 101062419 B1 KR101062419 B1 KR 1010624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coating
water
micropores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37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6181A (ko
Inventor
지성대
정긍식
위다연
손정아
Original Assignee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737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2419B1/ko
Publication of KR201100161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61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24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24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3/00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 D06N3/12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gelatine proteins
    • D06N3/14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gelatine proteins with polyurethan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0/00Physical treatment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e.g. ultrasonic, corona discharge, irradiation,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Physical treatment combined with treatment with chemical compounds or elements
    • D06M10/001Treatment with visible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X-ray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3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564Polyureas, polyurethanes or other polymers having ureide or urethane links; Precondensation products forming them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2200/00Functionality of the treatment composition and/or properties imparted to the textile material
    • D06M2200/10Repellency against liquids
    • D06M2200/12Hydrophobic properti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2209/00Properties of the materials
    • D06N2209/14Properties of the materials having chemical properties
    • D06N2209/142Hydrophobic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2Moisture-responsive characteristics
    • D10B2401/021Moisture-responsive characteristics hydrophob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투습방수 코팅 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투습방수 코팅 직물에 있어서, 수분산 친수무공형 UV경화형 폴리우레탄 아크릴레이트 93 내지 99 중량%, 광개시제가 1 내지 7 중량%로 혼합된 코팅액을 직물 표면에 코팅하는 코팅단계; 상기 코팅된 직물을 건조하는 건조단계; 상기 건조된 직물의 코팅 막에 미세한 직경을 갖는 핀으로 미세기공을 형성하는 미세기공 형성단계; 상기 미세기공이 형성된 직물을 UV 경화시키는 경화단계를 포함하는 투습방수 코팅 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투습방수, 코팅 직물, 광개시제

Description

투습방수 코팅 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Permeable and waterproof coating fabric and prepairing thereof}
본 발명은 투습성이 향상된 투습방수 직물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수분산 친수무공형 타입의 UV경화형 폴리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코팅 막에 미세한 직경을 갖는 핀(Pin)을 이용, 표면에 미세기공 형성시킨 후 UV 광 조사방식을 통해 완전 경화시키고 미세 공극 내 얇아진 코팅 층을 통해 투습 성능이 보다 향상되고 내구성이 우수한 투습방수 코팅 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증가되고 있는 기능성 소재의 개발은 건강에 초점을 맞추고 진행되고 있다. 이는 합성섬유에 흡수, 흡습성을 부여하고 보다 천연섬유에 가깝게 만들려는 노력에서 시작되었고, 현재는 천연섬유 이상의 흡수, 흡습 성능을 갖는 합성섬유로의 개발이 주가 되고 있다. 그 중에서 고도의 투습, 방수, 방풍, 속건, 공기투과 등의 기능성을 발현시켜, 초경량으로 쾌적하고 착용감, 촉감이 개선된 원단의 개발 은 건강, 청량에 관한 의미가 강해지고 있다는 의미이고, 이에 대한 수요도 커지고 있다.
이러한 기능성 소재 중에서, 투습방수 원단은 직편물의 표면에 다공성 고분자 피막을 균일하게 형성시켜 물방울은 튀겨서 침투하지 못하게 하면서 몸에서 나는 땀은 수증기로 되어 바깥으로 배출시킴으로써 쾌적성을 부여하게 된다. 이러한 투습방수 코팅직물은 비나 눈과 같은 외부의 수분은 통과시키지 않고 인체에서 발생하는 수증기는 통과시키는 그 유용한 성질로 인하여 스포츠웨어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의복으로 착용시 입체적인 윤곽 등의 감성적인 성능을 만족시키기 위한 기술이 적용되기도 한다. 따라서, 투습방수 원단은 신체로부터 발생되는 수증기, 즉 직경이 약 0.0004㎛ 정도인 수증기는 통과하지만, 물방울은 통과되지 않도록 미세공, 즉 0.1 내지 10.0㎛ 정도의 무수히 많은 기공이 있는 피막을 직물 위에 형성시킴으로써 원활한 투습기능과 뛰어난 방수기능을 동시에 실현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투습방수원단은 주로 직물 원단상에 습식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을 플로팅 나이프(floating knife) 또는 나이프 오버 롤(knife over roll) 방식으로 직접 코팅하는 방식을 채택하였다. 이러한 종래 직접 코팅 방식에 의한 투습방수 직물 제조 방법에는 DMF(디메칠포름아마이드) 등의 유기용제에 용해된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을 도포한 후 물 속에서 유기용제를 회수하는 습식법 또는 다단 건조방식을 적용한 건식법 등을 통해 폴리우레탄 코팅 막에 미세다공을 형성함 으로써 투습방수 직물의 투습성을 향상하였다.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997-0062177호에서는 투습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평균 직경 3~5 미크론 정도로 미세하게 분쇄한 무기염을 첨가한 폴리우레탄용액을 이용하여 건식 코팅하고 따뜻한 물로 무기염을 녹여내서 미세한 기공을 형성시켜 내수압과 투습도 양쪽 모두 향상시킨 투습방수 직물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등록특허 제726936호에서는 수분산 폴리우레탄에 수용성 고분자를 블렌딩하여 코팅 처리 후 수세과정 중에 수용성 고분자가 용출되도록 하는 방법으로 높은 다공성을 부여함으로써 투습성이 향상된 투습방수포의 제조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상기에 개시된 발명들은 폴리우레탄 수지에 물에 용해되는 무기염이나 수용성 고분자를 블렌딩한 후 물 속에서 용출시키는 과정을 통해 미세다공을 형성하는 방법으로 유기용제의 배출이 없다는 점에서 친환경적인 방법이다. 그러나 균일한 분포의 미세다공을 갖는 투습방수포를 얻기 위해서는 상기 물질들을 균일하게 블렌딩하는 기술이 필요하나 이를 제어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폴리우레탄 수지 내 무기염이나 수용성 고분자의 분포가 불균일할 경우 투습방수포의 물성 측정 시 측정 위치에 따라 투습성 및 물성이 불균일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무기염이나 수용성 고분자를 100℃ 이하의 물속에서 용출하는 공정이 필요하고 이 공정에 30분~6시간 정도가 소요되므로 다량의 용출수가 발생되며 단위시간당 생산량이 현저히 낮아 실제 생산 적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투습 및 방수 특성이 우수하고 코팅 막의 내구성 및 생산성이 향상 된 투습방수 코팅 직물의 개발이 소망되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목적은 코팅직물에 있어서 수증기의 투습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투습방수 코팅 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코팅직물에 있어서 코팅 막의 내구성 및 생산 속도가 향상된 투습방수 코팅 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투습방수 코팅 직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수분산 친수무공형 UV경화형 폴리우레탄 아크릴레이트 93 내지 99 중량%, 광개시제가 1 내지 7 중량%로 혼합된 코팅액을 직물 표면에 코팅하는 코팅단계; 상기 코팅된 직물을 건조하는 건조단계; 상기 건조된 직물의 코팅 막을 미세한 직경을 갖는 핀으로 미세기공을 형성하는 미세기공 형성단계; 상기 미세기공이 형성된 직물을 UV 경화시키는 경화단계를 포함하는 투습방수 코팅 직물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UV경화형 폴리우레탄 아크릴레이트가 수분산 친수무공형 타입으로 고형분 45 내지 55 중량%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습방수 코팅 직물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광개시제가 1-하이드록시사이클로헥실페닐케톤(Igacure 184) 또는 1-하이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Darocur1173)이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상기 1-하이드록시사이클로헥실페닐케톤(Igacure 184)와 디메틸 2,4,6-트리메틸벤조일 포스핀옥사이드(Darocur TPO)가 8:2 내지 6:4 의 중량비율로 혼합되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습방수 코팅 직물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코팅단계에서 상기 코팅액이 직물 표면에 1 내지 4㎜ 나이프 코터를 이용하여 50 내지 200㎛의 두께로 코팅 막을 형성하고, 상기 건조단계에서 건조온도 100 내지 160℃로 1 내지 3분간 건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습방수 코팅 직물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미세기공 형성단계에서 상기 코팅 막에 핀이 여러 개 부착된 판의 상하 조절에 의해 미세기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습방수 코팅 직물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핀의 직경이 5 내지 8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습방수 코팅 직물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형성된 미세기공의 개수 및 투습성능이 단위면적당 장착된 핀(Pin)의 밀도로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습방수 코팅 직물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코팅 직물이 수은 또는 메탈할라이드 램프가 장착된 중고압식 UV 경화기로 0.6 내지 10J/㎠의 UV 에너지를 편면 조사하여 코팅 막을 경화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습방수 코팅 직물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투습방수 코팅 직물에 있어서, 수분산 친수무공형 UV경화형 폴리우레탄 아크릴레이트 93 내지 99 중량%, 광개시제가 1 내지 7 중량%로 혼합된 코팅액으로 코팅한 직물로서, 상기 직물은 발수 및 시레가공 된 직물이며, 상기 직물의 코팅 막은 미세한 직경을 갖는 핀으로 미세기공을 형성한 투습방수 코팅 직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코팅 막에 5 내지 80㎛의 직경을 갖는 핀(Pin)이 여러 개 부착된 판의 상하 조절에 의해 미세기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습방수 코팅 직물을 제공한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투습방수 코팅 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은 친수무공형 UV경화형 폴리우레탄을 적용하고 수~수십 마이크로의 미세한 직경을 갖는 핀(Pin)을 통해 코팅 막에 선택적으로 미세기공을 형성하고, 기공 내 코팅 막을 얇게 만듦으로써 수증기의 투습성을 보다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투습방수 코팅 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은 UV 광 조사경화 방식을 통해 코팅 막을 빠른 속도로 완전 경화시킴에 따라 코팅 막의 내구성 및 생산 속도가 향상된 투습방수 코팅 직물을 제조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투습방수 코팅 직물의 제조공정도를 나타낸 것으로 수분산 친수무공형 UV경화형 폴리우레탄 아크릴레이트 93 내지 99 중량%, 광개시제가 1 내지 7 중량%로 혼합된 코팅액을 직물 표면에 코팅하는 코팅단계; 상기 코팅된 직물을 건조하는 건조단계; 상기 건조된 직물의 코팅 막에 선택적으로 미세기공을 형성하는 미세기공 형성단계; 상기 미세기공이 형성된 직물을 UV 경화시키는 경화단계를 거쳐 투습방수 코팅 직물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직물은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등의 합성섬유 직물 또는 편물을 사용하며, 상기 직물은 코팅 가공액을 처리하는 직물의 이면에 수분 등이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테프론계 발수제로 발수 처리한 다음 시레가공하여 평활성을 부여한다. 상기 발수처리 방식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통상 발수 처리하는 방식으로 실시하고, 상기 시레가공은 130 내지 150℃의 온도와 50 내지 70kg/㎠의 압력 하에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되는 코팅액은 수분산 친수무공형 UV경화형 폴리우레탄 아크릴레이트 93 내지 99 중량%, 광개시제가 1 내지 7 중량%로 혼합된 코팅액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분산 친수무공형 UV경화형 폴리우레탄 아크릴레이트는 다관능성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의 반응으로 제조된 것으로 고형분 10 내지 8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며, 45 내지 55 중량%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광개시제는 자외선에 의해 광중합을 개시하거나 광중합을 일으키는 작용을 하는 것으로, 그 종류로는 1-하이드록시사이클로헥실페닐케톤(Igacure 184) 또는 1-하이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Darocur1173)이 단독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1-하이드록시사이클로헥실페닐케톤(Igacure 184)와 디메틸 2,4,6-트리메틸벤조일 포스핀옥사이드(Darocur TPO)가 8:2 내지 6:4 의 중량비율로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광개시제로 쓰인 물질들은 개시효율이 좋아 자외선에 의해 경화속도가 빨라진다.
상기 수분산 친수무공형 UV경화형 폴리우레탄 아크릴레이트와 광개시제가 혼합된 코팅액은 직물 표면에 코팅을 실시하는 데, 1 내지 4㎜ 나이프 코터를 이용하여 코팅을 실시하며, 코팅 막의 두께는 50 내지 20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 내로 코팅한 직물은 직물이 뻣뻣하지 않으면서도 투습성이 우수한 특성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건조단계에서는 상기 코팅액을 직물 표면에 두께 50 내지 200㎛로 코팅한 후에 100 내지 160℃로 온도에서 1 내지 3분간 건조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세기공 형성단계에서는 상기 건조된 직물의 코팅 막에 미세기공을 형성하는 데, 미세기공 형성하기 위해 핀(Pin)을 사용하며, 상기 핀은 형태안정성 및 반복 사용을 위해 가공액과의 마찰계수가 높고 핀이 부착된 판의 상하 움직임에 흔들림이 적은 재질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방수 기능을 위해서는 코팅 막에 형성되는 미세기공의 직경이 빗방울의 직경보다 작아야 하므로 핀의 직경은 안개비의 평균직경인 100㎛ 보다 작은 1 내지 90㎛가 바람직하며, 5 내지 80㎛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단위면적당 장착된 핀(Pin)의 밀도는 요구되는 투습성능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핀의 밀도가 높을 경우 코팅 막에 형성되는 기공의 수가 많아 직물과 코팅 막의 접착력 및 내구성을 저하시킬 수 있으며 반대로 핀의 밀도가 너무 낮을 경우에는 투습성능의 향상을 기대하기 어렵다.
상기 미세한 직경을 갖는 핀(Pin)은 판에 부착되는 데, 수백에서 수만개의 핀이 상기 판에 부착된다. 핀이 부착된 판을 코팅 막에 접촉시킨 후 코팅 막의 두께 이내로 판을 아래로 움직여 코팅 막을 핀으로 구멍을 낼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핀이 부착된 판을 상기 코팅 막과 분리시키면 코팅 막에 핀의 개수만큼의 미세기공이 코팅 막에 형성하게 된다.
다음으로 UV 경화단계에서는 상기 코팅 막에 미세기공이 형성된 직물을 수은 또는 메탈할라이드 램프가 장착된 중고압식 UV 경화기를 통과시켜 0.6 내지 10J/㎠의 UV 에너지를 편면 조사하여 코팅 막을 완전 경화시켜 미세기공이 형성된 투습방수 코팅 직물을 완성한다. 상기 범위내의 에너지로 경화시켰을 때 코팅 막이 잘 경 화되어 제품의 성능이 좋아진다. 자외선 경화 시 0.6J/㎠ 미만에서는 경화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10 J/㎠을 초과하는 경우 높은 자외선 에너지로 인하여 직물 표면에 황변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코팅 직물에서 미세기공이 형성된 투습방수 코팅 막의 단면 모식도이다. 미세기공은 핀의 직경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는 데, 상기 미세기공은 빗방울 크기보다 작기 때문에 외부의 수분이 침투하지 못하여 방수 기능을 갖게 되며, 핀(Pin)에 의해 미세기공이 생긴 부분은 코팅 막이 얇아지므로 직물 내부의 있던 수증기는 친수무공형 폴리우레탄 수지와 결합한 후 외부로 빠른 속도로 배출됨에 따라 투습성능이 보다 향상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투습방수 코팅 직물은 투습도가 우수하고 코팅 직물의 내구성이 향상되며, 제조시에 생산 속도가 향상된 투습방수 코팅 직물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경사, 위사 밀도가 187본, 98본이며, 75데니어/144필라멘트로 구성된 폴리에스테르 직물에 테프론계 발수제로 발수 처리한 후 140℃, 60kg/㎠의 압력 하에서 시레가공하여 직물을 완성한다. 코팅액으로는 고형분 45 중량%의 수분산 폴리우레탄 아크릴레이트 95 중량%와 광개시제 5 중량%로 혼합된 코팅액을 제조하는 데, 상기 광개시제로는 1-하이드록시사이클로헥실페닐케톤(Igacure 184)을 사용하여 코팅 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혼합된 코팅액을 3㎜의 나이프를 이용하여 직물의 표면에 150㎛의 코팅 막을 갖도록 코팅하였다. 상기 코팅된 직물을 120℃ 온도에서 1분간 건조하였다. 상기 건조된 직물을 코팅 막 상단에 직경 30㎛의 핀이 단위면적(1㎠) 당 10,000개 부착된 판을 접촉시킨 다음 코팅 막에 100㎛ 깊이로 미세기공이 만들어지도록 움직인 후 다시 분리하여 코팅 막에 폭 30㎛, 깊이 100㎛의 미세기공을 형성한다. 이후 메탈할라이드 램프가 장착된 UV 경화기에서 2.0J/㎠의 UV에너지 조사를 통해 코팅 막을 완전 경화시켜 코팅 직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고형분 45 중량%의 수분산 폴리우레탄 아크릴레이트 93 중량% 및 광개시제로 1-하이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Darocur1173) 7 중량%를 혼합하여 코팅액을 제조하여 코팅 직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고형분 45 중량%의 수분산 폴리우레탄 아크릴레이트 95 중량% 및 광개시제 5 중량%를 혼합하되, 상기 광개시제는 1-하이드록시사이클로헥실페닐케톤(Igacure 184)와 디메틸 2,4,6-트리메틸벤조일 포스핀옥사이드(Darocur TPO)가 8:2의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코팅액을 제조하여 코팅 직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코팅액을 3㎜의 나이프를 이용하여 직물의 표면에 100㎛의 코팅 막을 갖도록 코팅하였고, 직물의 코팅 막 상단에 직경 50㎛의 핀이 단위면적(1㎠) 당 10,000개 부착된 판을 접촉시킨 다음 코팅 막을 70㎛가 깊이로 미세기공이 만들어지도록 움직여서 코팅 직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내지 3
실시예 1 내지 3과 각각 동일하게 실시하되, 핀으로 미세기공을 형성하는 미세기공 형성단계 없이 코팅 직물을 제조하였다.
분석방법
1. 투습도
세탁 전 및 AATCC Test Method 135-1995에 의해 41℃에서 세탁, 텀블건조한 시료에 대해 ASTM E96(CaCl2)법에 의해 34℃, 습도 90%에서 24시간 동안 평가하였다.
2. 내수압
ISO 0811에 의해 상승속도 600mm/min으로 측정하였다.
상기의 방법으로 제조된 투습방수 코팅 직물의 물성은 [표 1]과 같다.
구 분
투습도(g/㎡/24hr) 내수압(㎜H2O)
세탁전 세탁후 세탁전 세탁후
실시예 1 6,200 5,350 5,100 4,510
실시예 2 5,980 5,060 5,200 4,570
실시예 3 6,280 5,390 5,150 4,480
실시예 4 6,040 5,180 4,950 4,390
비교예 1 4,120 3,070 5,000 4,460
비교예 2 4,360 3,590 5,150 4,610
비교예 3 4,250 3,160 4,950 4,480
실험결과 미세기공이 형성된 코팅 직물의 투습도는 미세기공이 형성되지 않은 코팅 직물에 비해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내수압 또한 기본적으로 우수하며 미세기공이 형성되지 않은 코팅 직물과 비슷한 내수압을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미세기공의 형성으로 내수압이 떨어지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투습방수 코팅직물의 제조 공정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투습방수 코팅직물 제조 공정의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투습방수 코팅 직물의 모식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발수 및 시레가공 된 직물
20 : 투습방수 코팅 막
30 : 나이프 코터
40 : 미세한 직경을 갖는 핀이 장착된 판
50 : UV 램프
60 : 코팅 막에 형성된 미세기공

Claims (10)

  1. 투습방수 코팅 직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수분산 친수무공형 UV경화형 폴리우레탄 아크릴레이트 93 내지 99 중량%, 광개시제가 1 내지 7 중량%로 혼합된 코팅액을 직물 표면에 코팅하는 코팅단계;
    상기 코팅된 직물을 건조하는 건조단계;
    상기 건조된 직물의 코팅 막을 미세한 직경을 갖는 핀으로 미세기공을 형성하는 미세기공 형성단계;
    상기 미세기공이 형성된 직물을 UV 경화시키는 경화단계를 포함하는 투습방수 코팅 직물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UV경화형 폴리우레탄 아크릴레이트는 수분산 친수무공형 타입으로 고형분 45 내지 55 중량%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습방수 코팅 직물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개시제는 1-하이드록시사이클로헥실페닐케톤(Igacure 184) 또는 1-하이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Darocur1173)이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상기 1-하이드록시사이클로헥실페닐케톤(Igacure 184)와 디메틸 2,4,6-트리메틸벤조일 포스핀옥사이드(Darocur TPO)가 8:2 내지 6:4 의 중량비율로 혼합되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습방수 코팅 직물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단계에서 상기 코팅액은 직물 표면에 1 내지 4㎜ 나이프 코터를 이용하여 50 내지 200㎛의 두께로 코팅 막을 형성하고, 상기 건조단계에서 건조온도 100 내지 160℃로 1 내지 3분간 건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습방수 코팅 직물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기공 형성단계에서 상기 코팅 막에 핀이 여러 개 부착된 판의 상하 조절에 의해 미세기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습방수 코팅 직물 제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핀의 직경은 5 내지 8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습방수 코팅 직물 제조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형성된 미세기공의 개수 및 투습성능은 단위면적당 장착된 핀(Pin)의 밀도로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습방수 코팅 직물 제조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 직물은 수은 또는 메탈할라이드 램프가 장착된 중고압식 UV 경화기로 0.6 내지 10J/㎠의 UV 에너지를 편면 조사하여 코팅 막을 경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습방수 코팅 직물 제조방법.
  9. 투습방수 코팅 직물에 있어서,
    수분산 친수무공형 UV경화형 폴리우레탄 아크릴레이트 93 내지 99 중량%, 광개시제가 1 내지 7 중량%로 혼합된 코팅액으로 코팅한 직물로서,
    상기 직물은 발수 및 시레가공 된 직물이며, 상기 직물의 코팅 막은 미세한 직경을 갖는 핀으로 미세기공을 형성한 투습방수 코팅 직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 막에 5 내지 80㎛의 직경을 갖는 핀(Pin)이 여러 개 부착된 판의 상하 조절에 의해 미세기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습방수 코팅 직물.
KR1020090073761A 2009-08-11 2009-08-11 투습방수 코팅 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0624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3761A KR101062419B1 (ko) 2009-08-11 2009-08-11 투습방수 코팅 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3761A KR101062419B1 (ko) 2009-08-11 2009-08-11 투습방수 코팅 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6181A KR20110016181A (ko) 2011-02-17
KR101062419B1 true KR101062419B1 (ko) 2011-09-06

Family

ID=437746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3761A KR101062419B1 (ko) 2009-08-11 2009-08-11 투습방수 코팅 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241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0162B1 (ko) * 2014-12-31 2017-03-27 도레이케미칼 주식회사 압축회복률 및 흡음특성이 우수한 극세사 흡음재 및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흡음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7716B1 (ko) 2008-04-17 2009-01-07 정성수 인조피혁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인조피혁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7716B1 (ko) 2008-04-17 2009-01-07 정성수 인조피혁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인조피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6181A (ko) 2011-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3170B1 (ko) 재료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KR101011245B1 (ko) 투습방수 원단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0126117A1 (ja) 透湿防水性布帛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234044B1 (ko) 투습성이 뛰어난 자외선 경화형 투습방수 원단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829459B1 (ko) 다공형 투습방수 원단 및 그 제조 방법
KR101850882B1 (ko) 자당을 포함하는 폴리우레탄 필름 및 이를 이용한 화장용 도포구의 제조방법
KR101482874B1 (ko) 미세다공형코팅막을 가지는 초경량 나일론 직물의 제조방법
KR100612294B1 (ko) 발포 투습 방습 방수포와 그 제조 방법
CN104499293A (zh) 一种防水透湿格栅印花织物及其制备方法
KR101638772B1 (ko) 표면처리된 나노실리카를 함유하는 고내수압 및 고투습성 폴리우레탄 수지조성물
KR101062419B1 (ko) 투습방수 코팅 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34043B1 (ko) 자외선 경화형 투습발수 기능을 갖는 코팅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34154B1 (ko) 고기능성의 라미네이팅 투습방수포 및 그 제조방법
KR101234048B1 (ko) 자외선 경화형 소취성 및 제전성을 가지는 투습방수 직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049257B1 (ko) 투습방수용 코팅조성물, 투습방수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131946B1 (ko) 투습방수용 코팅물, 코팅방법 및 투습방수 직물
KR100658095B1 (ko) 보온기능성이 우수한 투습방수원단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20132744A (ko) 극박막의 피막층을 구비한 투습방수포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투습방수포
KR101213036B1 (ko) 자외선 경화형 투습방수용 코팅물, 코팅방법 및 이를 이용한 투습방수 직물
KR101011247B1 (ko) 투습방수 원단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710865B1 (ko) 내수압이 우수한 이중 복합 투습 방수직물의 제조방법
KR102176215B1 (ko) 통기성과 신장회복율이 우수한 은면형 인조피혁의 제조방법
KR100822370B1 (ko) 투습방수 폴리우레탄 필름의 제조방법
KR100555214B1 (ko) 건식무공형 투습방수포의 제조방법
KR101744487B1 (ko) 표면 처리된 나노실리카 입자를 이용한 비팽윤성 투습 방수포용 폴리우레탄 수지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