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2367B1 - 배뇨 채취 장치 - Google Patents

배뇨 채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2367B1
KR101062367B1 KR1020090021067A KR20090021067A KR101062367B1 KR 101062367 B1 KR101062367 B1 KR 101062367B1 KR 1020090021067 A KR1020090021067 A KR 1020090021067A KR 20090021067 A KR20090021067 A KR 20090021067A KR 101062367 B1 KR101062367 B1 KR 1010623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rination
urine
unit
gear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10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02816A (ko
Inventor
장정규
강태호
정현욱
원량진
Original Assignee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웅진코웨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09/001235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0104223A1/ko
Priority to KR1020090021067A priority patent/KR101062367B1/ko
Publication of KR201001028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28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23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23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24Parts or details not covered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A47K13/02 - A47K13/22, e.g. devices imparting a swinging or vibrating motion to the sea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1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04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ody liquids
    • A61B10/007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ody liquids for taking urine samp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for measuring urological functions restricted to the evaluation of the urinary system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483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 G01N33/487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of liquid biological material
    • G01N33/493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of liquid biological material uri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Hematology (AREA)
  • Immu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hysiolog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뇨 채취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배뇨 채취 장치는 인체의 둔부가 착석되는 착좌부가 마련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외부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전송 받아 인체로부터 배출되는 배뇨를 채취하기 위한 설정 위치로 위치되는 배뇨 채취부와; 상기 배뇨 채취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배뇨 채취부로 전기적 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설정 위치에서 배뇨를 일정량 채취하도록 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인체로부터 배뇨를 일정량 채취하여 상기 채취된 배뇨에 대한 검사를 실시할 수 있고, 배뇨 채취관을 변기의 배출구 내에서 좌우로 회전 구동시킴과 아울러, 상하로의 회전 구동을 실시함으로써, 배뇨 채취를 위한 설정 위치를 제어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설정 위치를 제어하여 효율적으로 배뇨를 채취할 수 있다.

Description

배뇨 채취 장치{GATHERING APPARATUS OF URINATION}
본 발명은 배뇨 채취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인체로부터 배뇨를 일정량 채취 하여 상기 채취된 배뇨에 대한 검사를 실시할 수 있는 배뇨 채취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형적으로, BIDET(비데)는 사용자의 인체 국부를 세정할 수 있도록 개발된 장치로서, 세정 및 난방 등 다수의 기능이 결합된 기능성 변기를 말한다.
상기 비데는 크게 기계식, 전기식, 전자식으로 분류되고, 근래에 들어 전자 회로 및 프로그램이 내장되어 난방 기능, 온풍 건조 기능, 무브 기능, 온도 조절기능 등의 다양한 기능이 추가된 전자식 비데가 널리 보급되고 있다.
종래의 인체 세정장치인 비데는 사용자의 신체 조건과 환경에 관계없이 단순한 세정기로써의 기능으로 구성됨으로써, 깨끗한 화장실 문화와 개인 위생에 보편적 기능을 두었던 반면에 기능에 비해서 비데 제품의 높은 가격과 단순한 비데기 기능으로 제한된 사용자를 발생함으로 인하여 비데를 통하여 사용자를 위한 개인 위생과 건강 진단을 통한 개개인의 질병예방을 할 수 없는 문제점을 갖는다.
또한, 상기와 같은 진료 및 치료를 위하여 미리 실시하는 임상 검사 중에 뇨 검사는 필수적인 검사이나, 이에 사용되는 장치는 일반인이 사용하기에는 고가(高價)이며, 사용 방법과 구입하기가 용이하지 않을 뿐 아니라 뇨의 색깔 변화에 의한 신체의 이상 징후 및 건강상태를 진단할 수 있는 의학적 지식이 부족하여 활용도가 현저히 떨어질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인체로부터 배뇨를 일정량 채취하여 상기 채취된 배뇨에 대한 검사를 실시할 수 있는 배뇨 채취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배뇨 채취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배뇨 채취 장치는 인체의 둔부가 착석되는 착좌부가 마련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외부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전송 받아 인체로부터 배출되는 배뇨를 채취하기 위한 설정 위치로 위치되는 배뇨 채취부와; 상기 배뇨 채취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배뇨 채취부로 전기적 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설정 위치에서 배뇨를 일정량 채취하도록 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배뇨 채취부는, 중심부에서 외측방향으로 형성되고 단부가 둘레방향으로 더 연장되는 가이드 경로를 지닌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의 둘레를 따라서 회전하도록 배치되며 내측에 기어돌기물이 형성되는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와 함께 하우징을 회전하도록 배치되며 가이드 경로에 삽입될 수 있는 이동돌기가 일측에 형성되는 이동체와,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회전되도록 배치되고 이동체를 가이드 경로를 따라서 밀거나 당길 수 있는 가동로드가 단부에 배치되는 가동체와, 둘레의 일정구간에 기어가 형성되어 기어돌기물 및 가동체와 선택적으로 기어 연결되는 연결기어와, 상기 연결기어를 선택적으로 정역회전시키는 회전모터와, 상기 회전체를 회전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 스프링과, 상기 이동체에 연결되어 배뇨를 채취하는 배뇨 채취관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배뇨 채취부는, 상기 하우징의 하단에 힌지 연결되며, 상기 이동체와 기어 연결되는 기어 회전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배뇨 채취부는, 상기 연결기어의 기어가 회전체의 기어돌기물과 물려있는 초기상태에서 회전모터에 의해 설정된 만큼 회전하면, 상기 연결기어에 의해서 회전체가 회전하고, 상기 이동돌기가 가이드 경로에서 회전체의 회전방향으로 움직이며, 상기 이동체와 상기 배뇨 채취관이 상기 착좌부의 하부 가장자리에서 설정된 위치로 움직이고, 상기 연결기어가 더 회전하면 상기 기어는 회전체의 기어돌기물과 분리되고, 상기 회전체는 더 이상 회전하지 않되, 상기 연결기어의 기어는 가동체와 기어 연결되어 상기 가동체가 회전하며, 상기 가동로드가 이동체를 가이드 경로를 따라서 중심방향으로 움직여서 상기 배뇨채취관이 설정된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배뇨 채취관은 상기 착좌부의 중심을 향하도록 벤딩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배뇨 채취관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힌지단을 구비하여 서로 접철되도록 구성되도록 다수개의 채취관들을 구비하고, 상기 힌지단에는 상기 채취관들을 서로 직각을 이루어 접철되도록 제한하는 제한 부재가 더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배뇨 채취관과 연결되는 보조 배뇨 채취관과, 상기 보조 배뇨 채취관으로부터 분기되며 상기 채취되는 배뇨가 저장되는 배뇨 저장 용기와, 상기 배뇨 저장 용기 내에 저장되는 배뇨의 양을 측정하는 수위 측정부와, 상기 배뇨 저장 용기와 연결되는 배출관과, 상기 배출관 상에 설치되는 흡입 펌프와, 상기 흡입 펌프 와 상기 수위 측정부 및 상기 회전 모터와 전기적으로 연 결되며 상기 수위 측정부로부터 측정되는 배뇨의 양이 기설정된 양에 이르도록 상기 흡입 펌프의 동작을 제어하고, 외부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회전 모터의 회전각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배뇨에 대한 화학적인 검사를 수행하는 배뇨 검사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배뇨 검사부는 상기 배뇨 저장 용기와 연결되며 상기 배뇨 저장 용기에 저장되는 배뇨에 대한 화학적인 검사를 수행하는 검사부와, 상기 배뇨 저장 용기와 상기 검사부를 연결하는 관과, 상기 관 상에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관을 개폐하는 제 1 개폐 밸브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세정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세정부는 상기 배출관으로부터 분기되는 세정관과, 상기 세정관으로 세정액을 공급하는 세정액 공급부와, 상기 세정관 상에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전송 받아 상기 세정관을 개폐하는 제 2개폐 밸브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모드 선택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모드 선택부는 배뇨 채취 모드와, 배뇨 검사 모드와, 배출 모드와, 세정 모드로 구성되는 것이 좋다.
상기 배뇨 채취 모드가 선택되는 경우에,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회전 모터를 작동시키어 상기 배뇨 채취관을 설정 위치로 이동시키고, 상기 배뇨 채취관을 통하여 흡입되는 배뇨를 상기 배뇨 저장 용기에 일정량 수용하고, 상기 배뇨 검사 모드가 선택되는 경우에,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뇨 검사부를 통하여 상기 배뇨 저장 용기에 저장된 배뇨에 대한 화학적인 검사를 수행하고, 상기 배출 모드가 선택되는 경우에, 상기 제어부는 상기 흡입 펌프를 작동시키어 상기 배뇨 저장 용기에 저장되는 배뇨를 외부로 배출하고, 상기 세정 모드가 선택되는 경우에,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정액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세정액을 상기 배뇨 저장 용기 및 상기 배뇨 채취관의 내부로 공급하여 세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의 인체로부터 배뇨를 일정량 채취 하여 상기 채취된 배뇨에 대한 검사를 실시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배뇨 채취관을 변기의 배출구 내에서 좌우로 회전 구동시킴과 아울러, 상하로의 회전 구동을 실시함으로써, 배뇨 채취를 위한 설정 위치를 제어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설정 위치를 제어하여 효율적으로 배뇨를 채취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배뇨 채취 장치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배뇨 채취 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르는 배뇨 채취부의 작동 전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따르는 배뇨 채취부의 작동 전 상태를 보여주는 저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르는 배뇨 채취부의 작동 후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따르는 배뇨 채취부의 작동 후 상태를 보여주는 저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르는 배뇨 채취관의 접철에 대한 일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르는 배뇨 채취관의 작동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르는 배뇨 채취관의 작동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르는 제어 모듈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르는 배뇨 채취부와 제어 모듈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배뇨 채취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을 참조 하면, 본 발명의 배뇨 채취 장치는 인체의 둔부가 착석되는 착좌부(110)가 마련되는 본체(100)를 갖는다. 여기서, 상기 본체(100)는 좌식 변기의 일단측에 결합되는 장치이고, 상기 착좌부(110)에는 좌식 변기의 배출구 측으로 노출되는 홀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홀은 인체의 둔부의 중앙부가 상기 배출구 측으로 노출되는 공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 하면, 상기 본체(100)에는 외부로부터 전기적 신호, 즉 하기에 기술되는 제어부(360)로부터 전송 받아 인체로부터 배출되는 배뇨를 채취하기 위한 설정 위치로 위치되는 배뇨 채취부(200)가 설치된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 하면, 상기 배뇨 채취부(200)는 중심부에서 외측방향으로 형성되고 단부가 둘레방향으로 더 연장되는 가이드 경로(213)를 지닌 하우징(210)과, 하우징(210) 내부의 둘레를 따라서 회전하도록 배치되며 내측에 기어돌기물(221)이 형성되는 회전체(220)와, 회전체(220)와 함께 하우징(210)을 회전하도록 배치되며 가이드 경로(213)에 삽입될 수 있는 이동돌기(261)가 일측에 형성되는 이동체(260)와, 하우징(210) 내부에서 회전되도록 배치되고 이동체(260)를 가이드 경로(213)를 따라서 밀거나 당길 수 있는 가동로드(251)가 단부에 배치되는 가동체(250)와, 둘레의 일정구간에 기어(231)가 형성되어 기어돌기물(221) 및 가동체(250)와 선택적으로 기어 연결되는 연결기어(230)와, 연결기어(230)를 선택적으로 정역회전시키는 회전모터(240)와, 회전체(220)를 회전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 스프링(290)과, 이동체(260)에 연결되어 배뇨를 채취하는 배뇨 채취관(280)을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배뇨 채취부(200)는 하우징(210)의 하단에 힌지 연결되며 이동체(260)의 이동돌기(261)와 기어 연결되는 기어 회전구(270)를 더 포함하고 있다.
이 경우, 상기 배뇨 채취관(280)은 기어 회전구(270)에 연결되며 그 기어 회전구(270)의 회전에 따라 설정 위치로 이동되는 것으로, 인체의 배뇨가 유동되는 유동홀(28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가동체(250)의 상면 중앙부에는 일정 길이의 판 스프링(291)이 설치되고, 그 판 스프링(291)의 끝단은 가동체(250)의 상면 외측에 돌출되는 돌기(292)에 걸치어 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배뇨 채취부(200)에서 연결기어(230)의 기어(231)가 회전체(220)의 기어돌기물(221)과 물려있는 초기 상태에서, 회전모터(240)에 의해 설정된 만큼 회전하면, 상기 연결기어(230)에 의해서 회전체(220)가 회전하고, 이동체(260)의 이동돌기(261)가 가이드 경로(213)에서 회전체(220)의 회전방향으로 움직이며, 이동체(260)와 배뇨 채취관(280)이 상기 착좌부(110)의 하부 가장자리에서 설정된 위치로 움직인다.
그리고, 상기 연결기어(230)가 회전모터(240)에 의해 더 회전하면, 그 연결기어(230)의 기어(231)는 회전체(220)의 기어돌기물(221)과 분리되고, 회전체(220)는 더 이상 회전하지 않되, 연결기어(230)의 기어(231)는 가동체(250)와 기어 연결되어 그 가동체(250)가 회전하며, 가동로드(251)가 이동체(260)를 가이드 경로(213)를 따라서 중심방향으로 움직여서 배뇨채취관(280)이 설정된 위치로 이동한다.
여기서, 상기 배뇨채취관(280)은 초기에 상기 착좌부(110)의 가장자리 하부에 위치하고, 회전모터(240)에 의해 연결기어(230)가 더 회전하면, 착좌부(110)의 가장자리에서 중심부로 이동한다.
그리고, 상기 배뇨채취관(280)은 초기에 착좌부(110)의 바로 밑에 위치하지만, 회전모터(240)에 의해 하부로 더 내려가서 배뇨를 용이하게 채취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배뇨채취관(280)은 배뇨 채취를 위해 가장자리에서 중심부로 먼저 이동하고, 그 다음 기어 회전구(270)에 의해서 하부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상기 배뇨 채취관(280)은 도 1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착좌부(110)의 중심을 향하도록 벤딩되어 형성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배뇨 채취관(28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힌지단(282)을 구비하여 서로 접철되도록 구성되도록 다수개의 채취관들(280a,280b)을 구비한다. 상기 힌지단(282)에는 상기 채취관들(280a,280b)을 서로 직각을 이루어 접철되도록 제한 하는 제한 부재(283)가 더 마련된다.
예컨대. 상기 배뇨 채취관(280)은 상기 기어 회전구(270)에 연결되는 제 1배뇨 채취관(280a)과, 상기 제 1배뇨 채취관(280a)의 단부에 마련되는 힌지단(282)과, 상기 힌지단(282)에 연결되는 제 2배뇨 채취관(280b)으로 구성되며, 상기 힌지단(282)에는 상기 제 1,2배뇨 채취관(280a,280b)의 접철 각도를 직각으로 제한 할 수 있는 제한 부재(283)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제한 부재(283)는 상기 제 1,2배뇨 채취관(280a,280b)의 접철 각도를 예각 또는 둔각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9 및 도 10을 참조 하면, 상기 배뇨 채취부(280)는 제어 모듈(3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어 모듈(300)은 상기 배뇨 채취부(200)로 전기적 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설정 위치에서 배뇨를 일정량 채취하도록 하는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하기의 제어부(360)는 상기 회전 모터(240)의 회전각을 외부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전송받아 조절할 수도 있다. 따라서, 회전체(220)의 회전 정도 및 제 1,2배뇨 채취관(280a,280b)의 상하로의 회전 동작 정도가 조절되어 상기 설정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여기서, 도 9 및 도 10을 참조 하면, 상기 제어 모듈(300)은 상기 배뇨 채취관(280)과 연결되는 보조 배뇨 채취관(310)과, 상기 보조 배뇨 채취관(310)으로부터 분기되며 상기 채취되는 배뇨가 저장되는 배뇨 저장 용기(320)와, 상기 배뇨 저장 용기(320) 내에 저장되는 배뇨의 양을 측정하는 수위 측정부(330)와, 상기 배뇨 저장 용기(330)와 연결되는 배출관(340)과, 상기 배출관(340) 상에 설치되는 흡입 펌프(350)와, 상기 흡입 펌프(350)와 상기 수위 측정부(330) 및 상기 회전 모터(2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수위 측정부(330)로부터 측정되는 배뇨의 양이 기설정된 양에 이르도록 상기 흡입 펌프(35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36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배출관(340)은 변기통과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수위 측정부(330)는 통상의 수위 센서를 사용할 수도 있고, 발광부(331)와 수광부(332)로 구성되는 센서 모듈을 사용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에, 발광부(331)는 광을 발광하고 이 발광된 광은 수광부(332)에서 수광된다. 그리고, 상기 광의 발광 경로는 설정되고자 하는 수위 또는 배뇨의 수위의 액면을 따르는 것이 좋다. 여기서, 상기 발광부(331)와 수광부(332)는 배뇨 저장 용기(320)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 모듈(300)은 상기 제어부(3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배뇨에 대한 화학적인 검사를 수행하는 배뇨 검사부(370)를 더 구비한다.
상기 배뇨 검사부(370)는 상기 배뇨 저장 용기(320)와 연결되며 상기 배뇨 저장 용기(320)에 저장되는 배뇨에 대한 화학적인 검사를 수행하는 검사부(371)와, 상기 배뇨 저장 용기(320)와 상기 검사부(371)를 연결하는 관(372)과, 상기 관(372) 상에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360)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관(372)을 개폐하는 제 1개폐 밸브(373)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 모듈(300)은 상기 제어부(3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세정부(380)를 더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세정부(380)는 상기 배출관(340)으로부터 분기되는 세정 관(381)과, 상기 세정관(381)으로 세정액을 공급하는 세정액 공급부(382)와, 상기 세정관(381) 상에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360)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전송 받아 상기 세정관(381)을 개폐하는 제 2개폐 밸브(383)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 모듈(300)은 상기 제어부(3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모드 선택부(390)를 더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모드 선택부(390)는 배뇨 채취 모드와, 배뇨 검사 모드와, 배출 모드와, 세정 모드로 구성되는 것이 좋다.
상기 배뇨 채취 모드가 선택되는 경우에, 상기 제어부(360)는 상기 회전 모터(240)를 작동시키어 상기 배뇨 채취관(280)을 설정 위치로 이동시키고, 상기 배뇨 채취관(280)을 통하여 흡입되는 배뇨를 상기 배뇨 저장 용기(320)에 일정량 수용하고, 상기 배뇨 검사 모드가 선택되는 경우에, 상기 제어부(360)는 상기 배뇨 검사부(370)를 통하여 상기 배뇨 저장 용기(320)에 저장된 배뇨에 대한 화학적인 검사를 수행하고, 상기 배출 모드가 선택되는 경우에, 상기 제어부(360)는 상기 흡입 펌프(350)를 작동시키어 상기 배뇨 저장 용기(320)에 저장되는 배뇨를 외부로 배출하고, 상기 세정 모드가 선택되는 경우에, 상기 제어부(360)는 상기 세정액 공급부(382)로부터 공급되는 세정액을 상기 배뇨 저장 용기(320) 및 상기 배뇨 채취관(280)의 내부로 공급하여 세정할 수 있다.
다음은,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배뇨 채취 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및 도 9, 도 10을 참조 하면, 모드 선택부(390)는 배뇨 채취 모드를 선택함에 대한 전기적 신호를 제어부(36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60)는 제 1,2개폐 밸브(373,383)를 폐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360)는 회전 모터(240)로 전기적 신호를 전송하여 작동시킨다.
이어, 회전체(22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상태로 회전된다.
상세하게는, 상기 회전 모터(240)의 회전에 의하여, 하우징(210)의 가이드 홈(212)에 끼워진 회전체(220)는 일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체(220)에 마련되는 기어 돌기물(221) 역시 회전된다. 이때, 상기 기어 돌기물(221)은 다수의 연결 기어들(230)을 회전시킨다. 그리고, 상기 연결 기어들(230) 중 어느 하나에 기어 연결되는 가동체(250)는 상기 연결 기어들(230)의 회전에 연동되어 회전된다. 그리고, 상기 가동체(250)에 돌출 형성되는 가동 로드(251) 역시 회전 동작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되는 가동 로드(251)는 이동체(260)의 측부를 일정의 힘으로 밀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동체(260)의 이동 돌기(261)는 가이드 경로(213)에서 활주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이동체(260)는 가이드 경로(213)를 따라 하우징(210)의 개구 측으로 이동된다. 이어, 상기 이동체(260)의 이동 돌기(261)는 가이드 경로(213)의 끝단에 직각으로 벤딩되는 부분으로 인입된다. 따라서, 회전체(220)가 회전되면서 상기 이동체(260) 역시 일정 각도로 회전되어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이동체(260)에 연결되는 배뇨 채취관(280)의 끝단은 착좌부(110)의 중앙부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체(260)에 기어 연결되는 기어 회전구(270) 역시 회전된다. 또한, 상기 기어 회전구(270)에 연결되는 제 1배뇨 채취관(280a)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방으로 회전되고, 상기 제 1배뇨 채취관(280a)의 끝단에 설치되는 힌지단(282)에 연결되는 제 2배뇨 채취관(280b) 역시 상방으로 회전되며, 상기 제 1,2배뇨 채취관(280a,280b)은 서로 평행한 상태를 이룰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힌지단(282)에 설치되는 제한 부재(283)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부재(283a,283b)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 두 개의 부재(283a,283b)는 서로 힌지 연결되되, 판 스프링(283c)이 개재되어 직각 이내의 범위에서만 접철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두 개의 부재(283a,283b) 중 하나는 제 1배뇨 채취관(280a)에 고정되고 다른 하나는 제 2배뇨 채취관(280b)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2배뇨 채취관(280a,280b)의 접철 각도는 0도에서 90의 사이에서 이루어 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이동체(260)의 회전 및 제 2배뇨 채취관(280b)의 상방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제 2배뇨 채취관(280b)은 배뇨를 채취하기 위한 설정 위치에 대기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60)는 상기 회전 모터(240)의 회전각을 외부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전송받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회전체(220)의 회전 정도 및 제 1,2배뇨 채취관(280a,280b)의 상하로의 회전 동작 정도가 조절되어 상기 설정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배뇨 채취관(280)을 변기의 배출구 내에서 좌우로 회전 구동 시킴과 아울러, 상하로의 회전 구동을 실시함으로써, 배뇨 채취를 위한 설정 위치를 제어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설정 위치를 제어하여 효율적으로 배뇨를 채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 2배뇨 채취관(280b)이 설정 위치에 대기되면, 제어부(360)는 흡입 펌프(350)를 작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 1,2배뇨 채취관(280a,280b) 및 보조 배뇨 채취관(310)의 내부 유동홀에는 일정의 흡입력이 작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인체의 배뇨는 제 2 배뇨 채취관(280b)의 유동홀(281)로 흡입되고, 이 흡입되는 배뇨는 유동홀(281)을 따라 보조 배뇨 채취관(310)과 연결되는 배뇨 저장 용기(320)의 내부에 저장된다.
그리고, 상기 배뇨 저장 용기(320)에 설치되는 수위 측정부(330)는 상기 저장되는 배뇨의 수위를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다. 즉, 발광부(331)로부터 발광되는 광이 수광부(332)에서 수광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수광부(332)는 제어부(360)로 전기적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는 배뇨 저장 용기(320)에 설정된 배뇨가 저장된 상태이다. 따라서, 제어부(360)는 흡입 펌프(350)의 동작을 중지시키고, 회전체(220) 및 이동체(260), 배뇨 채취관(280)을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위치로 위치시킬 수 있다.
이어, 상기 제어부(360)는 배뇨 검사부(370)를 작동시킨다. 즉, 제어부(360)는 제 1개폐 밸브(373)를 개방한다. 따라서, 배뇨는 배뇨 저장 용기(320)로부터 관(372)을 따라 검사부(371)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검사부(371)는 상기 유입된 배뇨에 대한 미리 설정된 당뇨 수치등을 기준으로 배뇨에 대한 건강 테스트를 수행하고, 이에 대한 결과를 제어부(360)로 송신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360)는 상기 건강 테스트 결과를 표시부(361)를 통하여 가시적으로 표시하여 줄 수 있다.
이상에서는 배뇨 채취 모드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다음은, 도 1 및 도 9, 도 10을 참조 하면, 모드 선택부(390)는 배출 모드를 선택함에 대한 전기적 신호를 제어부(360)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360)는 흡입 펌프(350)를 작동시킨다. 이에 따라, 배뇨 채취관(280)의 유동홀(281) 및 보조 배뇨 채취관(310)의 내부 및 배뇨 저장 용기(320)에는 일정의 흡입력이 작용된다. 그리고, 배뇨 저장 용기(320)에 잔류되는 배뇨는 상기 흡입력으로 인하여 배출관(340)을 따라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
다음은, 도 1 및 도 9, 도 10을 참조 하면, 모드 선택부(390)는 세정 모드를 선택함에 대한 전기적 신호를 제어부(36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60)는 제 2개폐 밸브(383)를 개방한다. 따라서, 세정관(381)과 세정액 공급부(382)는 서로 연통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360)는 상기 세정액 공급부(382)를 작동시킨다. 따라서, 상기 세정액 공급부(382)는 세정액을 세정관(381)을 통하여 배뇨 저장 용기(320) 및 배뇨 채취관(280), 보조 배뇨 채취관(310)으로 공급한다. 이와 같이 공급되는 세정액은 상기 용기(320) 및 관들 내부를 세정한 이후에 배뇨 채취관(280)의 단부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와 같은 다수의 모드를 사용함으로써, 배 뇨의 배출 및 세정을 실시할 수 있음과 아울러, 배뇨 채취 모드 및 배뇨 검사 모드를 사용하는 경우에, 사용자가 국부 세정을 함과 아울러, 남녀노소의 사용자의 인체로부터 일정량의 배뇨를 채취 하여 상기 채취된 배뇨에 대한 검사를 실시하고 이에 대한 개인적인 건강 테스트 결과를 표시부(361)를 통하여 표시하여 줌으로써, 개인의 건강 정보를 실시간으로 알려 줄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 청구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배뇨 채취 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르는 배뇨 채취부의 작동 전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 다.
도 3은 도 2에 따르는 배뇨 채취부의 작동 전 상태를 보여주는 저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르는 배뇨 채취부의 작동 후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따르는 배뇨 채취부의 작동 후 상태를 보여주는 저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르는 배뇨 채취관의 접철에 대한 일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르는 배뇨 채취관의 작동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르는 배뇨 채취관의 작동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르는 제어 모듈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르는 배뇨 채취부와 제어 모듈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주요부분에 대한 도면 설명
100 : 본체
200 : 배뇨 채취부
210 : 하우징
220 :회전체
230 : 연결 기어들
240 : 회전 모터
250 : 가동체
260 : 이동체
280 : 배뇨 채취관
300 : 제어 모듈
310 : 보조 채취관
320 : 배뇨 저장 용기
330 : 수위 측정부
340 : 배출관
350 : 흡입 펌프
370 : 배뇨 검사부
380 : 세정부
390 : 모드 선택부

Claims (9)

  1. 인체의 둔부가 착석되는 착좌부가 마련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외부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전송 받아 인체로부터 배출되는 배뇨를 채취하기 위한 설정 위치로 위치되는 배뇨 채취부; 및
    상기 배뇨 채취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배뇨 채취부로 전기적 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설정 위치에서 배뇨를 일정량 채취하도록 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배뇨 채취부는, 중심부에서 외측방향으로 형성되고 단부가 둘레방향으로 더 연장되는 가이드 경로를 지닌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의 둘레를 따라서 회전하도록 배치되며 내측에 기어돌기물이 형성되는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와 함께 하우징을 회전하도록 배치되며 가이드 경로에 삽입될 수 있는 이동돌기가 일측에 형성되는 이동체와,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회전되도록 배치되고 이동체를 가이드 경로를 따라서 밀거나 당길 수 있는 가동로드가 단부에 배치되는 가동체와, 둘레의 일정구간에 기어가 형성되어 기어돌기물 및 가동체와 선택적으로 기어 연결되는 연결기어와, 상기 연결기어를 선택적으로 정역회전시키는 회전모터와, 상기 회전체를 회전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 스프링과, 상기 이동체에 연결되어 배뇨를 채취하는 배뇨 채취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뇨 채취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뇨 채취부는,
    상기 연결기어의 기어가 회전체의 기어돌기물과 물려있는 초기상태에서 회전모터에 의해 설정된 만큼 회전하면,
    상기 연결기어에 의해서 회전체가 회전하고, 상기 이동돌기가 가이드 경로에서 회전체의 회전방향으로 움직이며, 상기 이동체와 상기 배뇨 채취관이 상기 착좌부의 하부 가장자리에서 설정된 위치로 움직이고,
    상기 연결기어가 더 회전하면 상기 기어는 회전체의 기어돌기물과 분리되고, 상기 회전체는 더 이상 회전하지 않되,
    상기 연결기어의 기어는 가동체와 기어 연결되어 상기 가동체가 회전하며, 상기 가동로드가 이동체를 가이드 경로를 따라서 중심방향으로 움직여서 상기 배뇨채취관이 설정된 위치로 이동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뇨 채취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뇨 채취관은 상기 착좌부의 중심을 향하도록 벤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뇨 채취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뇨 채취관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힌지단을 구비하여 서로 접철되도록 구성되도록 다수개의 채취관들을 구비하고,
    상기 힌지단에는 상기 채취관들을 서로 직각을 이루어 접철되도록 제한하는 제한 부재가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뇨 채취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배뇨 채취관과 연결되는 보조 배뇨 채취관과, 상기 보조 배뇨 채취관으로부터 분기되며 채취되는 배뇨가 저장되는 배뇨 저장 용기와, 상기 배뇨 저장 용기 내에 저장되는 배뇨의 양을 측정하는 수위 측정부와, 상기 배뇨 저장 용기와 연결되는 배출관과, 상기 배출관 상에 설치되는 흡입 펌프와, 상기 흡입 펌프와 상기 수위 측정부 및 상기 회전 모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수위 측정부로부터 측정되는 배뇨의 양이 기설정된 양에 이르도록 상기 흡입 펌프의 동작을 제어하고 외부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회전 모터의 회전각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뇨 채취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배뇨에 대한 화학적인 검사를 수행하는 배뇨 검사부를 더 구비하되,
    상기 배뇨 검사부는 상기 배뇨 저장 용기와 연결되며 상기 배뇨 저장 용기에 저장되는 배뇨에 대한 화학적인 검사를 수행하는 검사부와, 상기 배뇨 저장 용기와 상기 검사부를 연결하는 관과, 상기 관 상에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관을 개폐하는 제 1개폐 밸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뇨 채취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세정부를 더 구비하되,
    상기 세정부는 상기 배출관으로부터 분기되는 세정관과, 상기 세정관으로 세정액을 공급하는 세정액 공급부와, 상기 세정관 상에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전송 받아 상기 세정관을 개폐하는 제 2개폐 밸브를 구비하는 것읕 특징으로 하는 배뇨 채취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모드 선택부를 더 구비하되,
    상기 모드 선택부는 배뇨 채취 모드와, 배뇨 검사 모드와, 배출 모드와, 세정 모드로 구성되되,
    상기 배뇨 채취 모드가 선택되는 경우에,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회전 모터를 작동시키어 상기 배뇨 채취관을 설정 위치로 이동시키고, 상기 배뇨 채취관을 통하여 흡입되는 배뇨를 상기 배뇨 저장 용기에 일정량 수용하고,
    상기 배뇨 검사 모드가 선택되는 경우에,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뇨 검사부를 통하여 상기 배뇨 저장 용기에 저장된 배뇨에 대한 화학적인 검사를 수행하고,
    상기 배출 모드가 선택되는 경우에, 상기 제어부는 상기 흡입 펌프를 작동시키어 상기 배뇨 저장 용기에 저장되는 배뇨를 외부로 배출하고,
    상기 세정 모드가 선택되는 경우에,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정액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세정액을 상기 배뇨 저장 용기 및 상기 배뇨 채취관의 내부로 공급하여 세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뇨 채취 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뇨 채취부는,
    상기 하우징의 하단에 힌지 연결되며, 상기 이동체와 기어 연결되는 기어 회전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뇨 채취 장치.
KR1020090021067A 2009-03-12 2009-03-12 배뇨 채취 장치 KR1010623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09/001235 WO2010104223A1 (ko) 2009-03-12 2009-03-12 배뇨 채취 장치
KR1020090021067A KR101062367B1 (ko) 2009-03-12 2009-03-12 배뇨 채취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1067A KR101062367B1 (ko) 2009-03-12 2009-03-12 배뇨 채취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2816A KR20100102816A (ko) 2010-09-27
KR101062367B1 true KR101062367B1 (ko) 2011-09-05

Family

ID=427284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1067A KR101062367B1 (ko) 2009-03-12 2009-03-12 배뇨 채취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062367B1 (ko)
WO (1) WO201010422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0828B1 (ko) * 2010-12-08 2011-11-07 전인수 변좌 장착식 소변 분석 시스템용 소변 채취 장치
TWI614006B (zh) * 2016-12-23 2018-02-11 長庚學校財團法人長庚科技大學 尿液收集裝置
CN107435363B (zh) * 2017-07-31 2020-02-04 九牧厨卫股份有限公司 一种尿检小便斗
KR102527205B1 (ko) 2018-08-31 2023-05-03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신규한 HIF-1α 억제제,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신생혈관 관련 안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64624A (ja) 2004-03-19 2005-09-29 Toto Ltd 尿量測定大便器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13777B2 (ja) * 1989-08-25 1998-02-16 東陶機器株式会社 検尿便器
JP3546461B2 (ja) * 1994-03-17 2004-07-28 株式会社Inax 採尿装置を有する便器
JP3562033B2 (ja) * 1995-05-23 2004-09-08 東陶機器株式会社 尿サンプリング装置の洗浄機構
KR200310470Y1 (ko) * 2002-12-10 2003-04-18 영지전자(주) 요 분석 및 체지방 측정 기능이 부가된 비데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64624A (ja) 2004-03-19 2005-09-29 Toto Ltd 尿量測定大便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104223A1 (ko) 2010-09-16
KR20100102816A (ko) 2010-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0828B1 (ko) 변좌 장착식 소변 분석 시스템용 소변 채취 장치
US572005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ampling urine
US11927588B2 (en) Health seat for toilets and bidets
KR101864585B1 (ko) 자동 집뇨 및 검측 좌변기
KR100972622B1 (ko) 소변 검사장치
KR101062367B1 (ko) 배뇨 채취 장치
CN105954066A (zh) 一种家用尿液检测仪的自动取样装置及其取样方法
CN211368918U (zh) 智能坐便盖及智能坐便器
CN112343140A (zh) 智能马桶盖及智能马桶
JP3424310B2 (ja) 尿サンプリング装置
CN208350455U (zh) 一种智能尿样/粪便采集器
JP3562033B2 (ja) 尿サンプリング装置の洗浄機構
CN113465973A (zh) 一种样本采集稀释装置
CN212066748U (zh) 一种尿样采集装置
CN211200603U (zh) 智能马桶盖及智能马桶
JP2009018050A (ja) 内視鏡洗浄機
CN113331725B (zh) 一种大便采样检测马桶盖及其检测控制方法
CN213448741U (zh) 家庭用早期胃肠道肿瘤筛查智能马桶
CN109098250A (zh) 立式小便池集尿结构
CN215296704U (zh) 一种用于采集稀释样本的装置
CN219330942U (zh) 一种护理用擦洗装置
JP6810867B1 (ja) 尿液で妊娠をチェックする便器用生育計画ツール
CN211057956U (zh) 一种智能检测座便器
CN220158860U (zh) 一种胸腔引流装置
US20240183841A1 (en) Health seat for toilets and bide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