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2352B1 -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2352B1
KR101062352B1 KR1020090053946A KR20090053946A KR101062352B1 KR 101062352 B1 KR101062352 B1 KR 101062352B1 KR 1020090053946 A KR1020090053946 A KR 1020090053946A KR 20090053946 A KR20090053946 A KR 20090053946A KR 101062352 B1 KR101062352 B1 KR 1010623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screen
information
content information
external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39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35519A (ko
Inventor
장재영
김민정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539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2352B1/ko
Priority to US12/545,376 priority patent/US8914462B2/en
Priority to US12/545,365 priority patent/US20100259464A1/en
Priority to EP09014406A priority patent/EP2242240A1/en
Priority to EP17209924.4A priority patent/EP3337147A1/en
Priority to EP15002140.0A priority patent/EP2958305B1/en
Priority to DE202009019049.8U priority patent/DE202009019049U1/de
Priority to EP09014464.3A priority patent/EP2242241B1/en
Priority to US12/816,270 priority patent/US20100261507A1/en
Priority to US12/816,318 priority patent/US20100261508A1/en
Publication of KR201001355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55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23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2352B1/ko
Priority to US14/543,722 priority patent/US20150072675A1/en
Priority to US14/801,628 priority patent/US9413820B2/en
Priority to US14/831,604 priority patent/US9456028B2/en
Priority to US15/241,628 priority patent/US9753629B2/en
Priority to US15/241,700 priority patent/US9792028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04Q9/02Automatically-operated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5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for image manipulation, e.g. dragging, rotation, expansion or change of colou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20Services signaling; Auxiliary data signalling, i.e. transmitting data via a non-traffic channel
    • H04W4/21Services signaling; Auxiliary data signalling, i.e. transmitting data via a non-traffic channel for social networking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 이상의 단말기들이 무선 통신이 연결된 상태에서, 제1 및 제2 단말기 각각의 화면 상에 포함된 컨텐트 정보를 서로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Terminal and Method for co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단말기들 간에 데이터 통신 동작을 제어하는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개인용 컴퓨터, 노트북, 휴대폰 등과 같은 단말기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다양한 기능들의 예로 데이터 및 음성 통신 기능, 카메라를 통해 사진이나 동영상을 촬영하는 기능, 음성 저장 기능, 스피커를 통한 음악 파일의 재생 기능, 이미지 및 비디오의 디스플레이 기능 등이 있다.
일부 단말기는 게임을 실행할 수 있는 추가적 기능을 포함하고, 다른 일부 단말기는 멀티미디어 기기로서 구현되기도 한다.
더욱이 최근의 단말기는 방송이나 멀티캐스트(multicast) 신호를 수신하여 비디오나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시청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단말기는 이동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고,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가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또는 휴대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한 노력들이 계속되고 있다. 상술한 노력은 단말기를 형성하는 구조적인 구성요소의 변화 및 개량뿐만 아니라 소프트웨어나 하드웨어의 개량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이동 단말기는 유/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노트북, 퍼스널 컴퓨터 및 PDA 등의 디스플레이부와 입력부를 구비한 외부의 장치와 통신을 연결하여, 서로 간에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 이상의 단말기들이 무선 통신이 연결된 상태에서, 제1 및 제2 단말기 각각의 화면 상에 포함된 컨텐트 정보를 서로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근거리 통신 방식과 이동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제1 내지 제3 단말기들에게 삼자간의 이종(異種) 통신 기능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는, 외부 단말기와 통신 연결되어 상기 외부 단말기에서 표시되는 화면 정보를 수신하는 무선 통신부와; 화면 상의 제1 영역에 상기 수신된 외부 단말기의 화면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제1 영역에 표시된 외부 단말기 화면 내의 컨텐트 정보가 선택되면, 상기 제1 영역 내에서 상기 컨텐트 정보의 위치를 파악하고, 상기 파악된 위치 정보를 상기 외부 단말기로 송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제어 방법은, 외부의 단말기와 통신 연결되어, 상기 외부 단말기에서 표시되는 화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화면 상의 제1 영역에 상기 수신된 외부 단말기의 화면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영역에 표시된 외부 단말기 화면 내의 컨텐트 정보가 선택되는 단계와; 상기 제1 영역 내에서 상기 컨텐트 정보의 위치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확인된 컨 텐트 정보의 위치 정보를 상기 외부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트 정보가 포함된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외부의 단말기와 통신 연결되면, 상기 외부 단말기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표시되는 화면 정보를 송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외부 단말기로부터 위치 정보가 포함된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화면 상에서 상기 수신된 위치에 해당하는 기능을 실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제어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컨텐트 정보가 포함된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와; 외부의 단말기와 통신 연결하는 단계와; 상기 외부 단말기로 상기 표시되는 화면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외부 단말기로부터 위치 정보가 포함된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화면 상에서 상기 수신된 위치에 해당하는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는, 복수 이상의 제1 및 제2 외부 단말기와 통신 연결되고, 제1 및 제2 외부 단말기에서 각각 표시되는 제1 및 제2 화면 정보를 수신하는 무선 통신부와; 화면 상의 제1 및 제2 영역에 상기 제1 및 제2 화면 정보를 각각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제1 화면 내의 컨텐츠 정보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컨텐츠 정보를 제2 외부 단말기로 전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제어 방법은, 복수 이상의 제1 및 제2 외부 단말기와 통신 연결하는 단계와; 제1 외부 단말기에서 표시되는 제1 화면 정보 및 제2 외부 단말기에서 표시되는 제2 화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화면 상의 제1 및 제2 영역에 상기 제1 및 제2 화면 정보를 각각 표시하는 단계와; 제1 화면 내의 컨텐트 정보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컨텐트 정보를 제2 외부 단말기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는, 제1 단말기와 제1 통신 방식으로 연결되고, 제2 단말기와 제2 통신 방식으로 연결되어, 제1 및 제2 단말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무선 통신부와; 제1 통신 방식을 통해 수신된 제1 단말기의 데이터를 제2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제2 단말기로 송신하고, 제2 통신 방식을 통해 수신된 제2 단말기의 데이터를 제1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제1 단말기로 송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제어 방법은, 제1 외부 단말기와 제1 통신 방식으로 연결되는 단계와; 제1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제1 외부 단말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단계와; 제1 외부 단말기와 제1 통신 방식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제2 외부 단말기와 제2 통신 방식으로 연결되는 단계와; 제1 외부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제2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제2 외부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와; 제2 통신 방식을 통해 제2 외부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제1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제1 외부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은 이하와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복수의 제1 및 제2 단말기가 서로 무선 통신 연결된 상태에서, 단말기들 각각의 화면 상에 포함된 컨텐트 정보를 서로 공유하고, 상기 공유된 컨텐트 정보를 저장, 실행 및 편집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둘째, 근거리 통신 방식과 이동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제1 내지 제3 단말기들에게 삼자간의 이종(異種) 통신 기능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 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음을 유념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단말기는, 통신이 가능한 이동 단말기(mobile phone), 스마트 폰(smart phone),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노트북, PC 등의 통신과, 화면 및 오디오 출력이 가능한 단말기는 모두 포함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제1 단말기는 "이동 단말기"이고, 제2 단말기는 "PC"인 것으로 가정 하에 설명한다. 물론, 본 발명에 따른 제1 및 제2 단말기를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도면 1을 참조하여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제1 단말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 형태의 제1 단말기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1 단말기(100)는, 이동 단말기이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 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 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통신부(110)는 제1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또는 제1 단말기(100)와 제1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또는 본 발명에 따라 제1 단말기(100)와 제2 단말기(200) 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 신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동통신 모듈(112)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단말기(200)와 통신 연결되고,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제1 단말기(100)의 모든 데이터를 제2 단말기(200)로 송신할 수 있다. 그 일 예로, 이동통신 모듈(112)은 디스플레이 모듈(151)에서 표시되는 모든 화면 정보를 제2 단말기(200)로 송신할 수 있고, 음향 출력 모듈(152)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정보를 제2 단말기(200)로 송신할 수 있고, 사용자 입력부(130)에서 입력되는 키 신호 또는 터치 스크린 방식의 디스플레이 모듈(151)에서 입력되는 터치 신호를 제2 단말기(200)로 송신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제1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단말기(200)와 인터넷 통신 연결되고,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제1 단말기(100)의 모든 데이터를 제2 단말기(200)로 송신할 수 있다. 그 일 예로,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디스플레이 모듈(151)에서 표시되는 모든 화면 정보를 제2 단말기(200)로 송신할 수 있고, 음향 출력 모듈(152)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정보를 제2 단말기(200)로 송신할 수 있고, 사용자 입력부(130)에서 입력되는 키 신호 또는 터치 스크린 방식의 디스플레 이 모듈(151)에서 입력되는 터치 신호를 제2 단말기(200)로 송신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Wi-Fi(Wireless-Fidelity), RFB(Remote Frame Buffer)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단말기(200)와 통신 연결되고,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제1 단말기(100)의 모든 데이터를 제2 단말기(200)로 송신할 수 있다. 그 일 예로,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디스플레이 모듈(151)에서 표시되는 모든 화면 정보를 제2 단말기(200)로 송신할 수 있고, 음향 출력 모듈(152)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정보를 제2 단말기(200)로 송신할 수 있고, 사용자 입력부(130)에서 입력되는 키 신호 또는 터치 스크린 방식의 디스플레이 모듈(151)에서 입력되는 터치 신호를 제2 단말기(200)로 송신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제1 단말기(100)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 모듈(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고,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통신부(110)를 통해 제2 단말기(200)로 송신될 수 있다.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상기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제1 단말기(10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입력부(130)의 밑면에는 사용자가 어두운 환경에서 상기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조그 휠, 조그 스위치를 식별하기 위해 광을 발생하는 백라이트 유닛(backlight unit)이 구비된다.
센싱부(140)는 제1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제1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제1 단말기(100)의 방위, 제1 단말기(100)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제1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제1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한편,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 모듈(151),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 출력 모듈(153), 및 햅틱 모듈(154)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51)은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151)이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모듈(151)과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 모듈(151)은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 모듈(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 모듈(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근접 센서(141)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상기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 신호 수신, 통화 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 인식 모드, 방송 수신 모드 등에서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제1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 신호 수신 음, 메시지 수신 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 출력 모듈(153)은 제1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제1 단말기(100)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 이 있다. 햅택 모듈(1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60)는 상기 터치 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60)는 제1 단말기(100)의 구성 요소들의 동작 제어를 위한 운영체제(OS) 프로그램이 구비되고, 제1 단말기(100)에서 실행되는 컨텐트 정보의 실행을 위한 다수개의 애플리케이션들이 구비된다.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일 예로는, 문서 작성기, 이미지 뷰어, 동영상 재생기, 오디오 재생기, 인터넷 접속기 등이 있다. 상기와 같은 운영체제 프로그램 및 애플리케이션들은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구동 및 실행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운영체제 프로그램이나 애플리케이션들은 상기와 같이 소프트웨어 형태로 상기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도 있고, "모듈"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인터페이스부(170)는 제1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상기와 같은, 인터페이스부(17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USB(Universal Serial Bus) 포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즉, 인터페이스부(170)는 데이터 케이블 등을 통해 제2 단말기(200)와 유선 연결되어, 제1 단말기(100)의 모든 데이터를 제2 단말기(200)로 송신할 수 있다. 그 일 예로, 인터페이스부(170)는 디스플레이 모듈(151)에서 표시되는 모든 화면 정보를 제2 단말기(200)로 송신할 수 있고, 음향 출력 모듈(152)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정보를 제2 단말기(200)로 송신할 수 있고, 사용자 입력부(130)에서 입력되는 키 신호 또는 터치 스크린 방식의 디스플레이 모듈(151)에서 입력되는 터치 신호를 제2 단말기(200)로 송신할 수 있다.
제어부(controller, 180)는 통상적으로 제1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80)의 제어 동작 과정은 이하에서 상세히 후술한다.
음성 문자 변환부(181)는 마이크(122)로부터 입력된 음성 신호를 문자 신호로 변환하거나, 또는,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된 통화 음성 신호를 문자 신호로 변환한다.
또한, 음성 문자 변환부(181)는 사용자 입력부(130) 또는 터치 스크린 타입의 디스플레이부(151)로부터 입력된 문자 신호를 음성 신호로 변환하거나, 또는,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된 메시지 내용을 음성 신호로 변환한다.
상기와 같은, 음성 문자 변환부(181)는 TTS(Text To Speech) 모듈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그러한 실시예들이 제어부(18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절차나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작동을 수행하게 하는 별개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이상,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1 단말기(10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2 단말기(20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단말기(200)가 PC인 것을 도시하고 있다. 그러나, 고정 단말기(2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PC 뿐만 아니라, 제1 단말기(100)와 통신이 가능하고, 화면 표시 및 오디오 출력이 가능한 장치는 모두 포함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PC 형태의 제2 단말기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2 단말기(200)는 통신부(210)와, 입력부(220)와, 메모리(230)와, 스피커(240)와, 마이크(250)와, 디스플레이부(260)와, 제어부(2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물론, 상술한 구성 요소 이외에, 제1 단말기(100)에서 언급된 구성 요소(일 예로, 카메라, 인터페이스부 등등)가 추가로 탑재될 수 있다.
통신부(210)는 제어부(270)의 제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라 제1 단말기(100)와 통신 연결되고, 제1 단말기(100)로부터 제1 단말기(100)에서 표시되는 화면 정보와, 오디오 정보 및 키 입력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와 같은 통신부(210)는 도 1의 제1 단말기(100)의 통신부(110)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와 고정 단말기(200) 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이동통신 모듈, 무선 인터넷 모듈 및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입력부(220)는 제2 단말기(200)의 동작 제어 또는 제1 단말기(100)의 동작 제어를 위한 키 신호를 발생시킨다. 입력부(220)는 경우에 따라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마우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30)는 제2 단말기(20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가 저장된다.
또한, 메모리(230)는 제2 단말기(200)의 구성 요소들의 동작 제어를 위한 운영체제(OS) 프로그램이 구비되고, 제2 단말기(200)에서 실행되는 컨텐트 정보의 실행을 위한 다수개의 어플리케이션들이 구비된다.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일 예로는, 문서 작성기, 이미지 뷰어, 동영상 재생기, 오디오 재생기, 인터넷 접속기 등이 있다. 상기와 같은 운영체제 프로그램 및 어플리케이션들은 제어부(270)의 제어에 따라, 구동 및 실행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운영체제 프로그램이나 어플리케이션들은 상기와 같이 소프트웨어 형태로 메모리(230)에 저장될 수도 있고, "모듈"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메모리(23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 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240)는 메모리(230)에 저장된 음향이 포함된 데이터 및 각종 제2 단말기(200)에서 발생되는 음향을 출력하고, 마이크(250)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디스플레이부(260)는 제2 단말기(2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한다. 상기와 같은, 디스플레이부(26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260)는 터치 센서가 결합되어 터치 스크린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어부(270)는 제2 단말기(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본 발명에 따라, 제1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되는 화면 정보를 디스플레이부(260)에 표시하고, 입력부(220)를 통해 입력된 키 신호를 통신부(210)를 통해 제1 단말기(100)로 송신한다.
음성 문자 변환부(271)는 마이크(250)로부터 입력된 음성 신호를 문자 신호로 변환하거나, 또는, 통신부(210)로부터 수신된 통화 음성 신호를 문자 신호로 변환한다.
또한, 음성 문자 변환부(271)는 입력부(220) 또는 터치 스크린 타입의 디스플레이부(260)로부터 입력된 문자 신호를 음성 신호로 변환하거나, 또는, 통신 부(210)로부터 수신된 메시지 내용을 음성 신호로 변환한다.
상기와 같은, 음성 문자 변환부(271)는 TTS(Text To Speech) 모듈로 형성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제2 단말기(20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1 단말기(100)와 제2 단말기(200)간의 데이터(화면 정보, 오디오 정보 및 키 입력 정보) 송신 및 수신 과정과 관련된 실시예들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후술되는 실시예들은 단독으로 또는 서로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및 제2 단말기(100, 200)로 구성된 무선 통신 제어 시스템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단말기(100)의 모든 데이터(화면 정보, 음향 정보 및 키 입력 정보)는 제2 단말기(200)로 전송될 수 있고, 제2 단말기(200)는 제1 단말기(100)의 동작을 무선 통신으로 제어할 수 있다.
즉, 제1 단말기(100)는 제2 단말기(200)와 무선 통신이 연결되면,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는 화면 정보를 제2 단말기(200)로 송신한다.
이때, 상기 무선 통신은,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Wi-Fi(Wireless-Fidelity), RFB(Remote Frame Buffer)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 중 적어도 하나가 될 수 있다.
한편, 제2 단말기(200)는 제1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된 화면 정보를 화면 상의 일 영역에 표시하고, 키패드 및 마우스 등의 입력부(220)를 통해 제1 단말기(100)의 모든 메뉴 기능을 무선 통신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2 단말기(200)에서 표시되는 제1 단말기(100)의 화면 정보의 표시 크기는 제1 단말기(100)에서 실제 표시되는 화면의 크기와 동일하게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2 단말기(200)는 제1 단말기(100)에서 화면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화면 정보와, 사용자가 제1 단말기(100)의 모든 기능을 조작할 수 있는 조작부를 함께 표시한다. 이때, 상기 조작부는 제1 단말기(100)의 본체에 구비된 메뉴 키, 통화 키, 방향키, 키패드 등의 형상과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3에서는 제1 단말기(100)가 터치 스크린 타입의 조작부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로 도시되어 있고, 제1 단말기(100)의 조작부 내에는 제1 단말기(100)의 화면 정보 및 폰북(1)과, 메시지(2)와, 카메라(3)와, 이미지(4) 등의 메뉴 실행 아이콘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면, 제2 단말기(200)는 상기 조작부 내에 폰북(1)과, 메시지(2)와, 카메라(3) 및 이미지(4) 등의 메뉴 실행 아이콘을 제1 단말기(100)와 똑같이 표시하는 것이다.
이하,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제2 단말기(200)가 상기 조작부를 통해 제1 단말기(100)의 동작을 무선 통신으로 제어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제2 단말기가 제1 단말기의 폰북 메뉴 기능을 무선 통신으로 제어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상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2 단말기(200)의 제어부(270)는 입력부(220)를 통해 도 3의 화면 상에서 폰북 메뉴 실행 아이콘(1)이 선택되면, 도 3의 화면 상에서 상기 선택된 폰북 메뉴 실행 아이콘(1)의 위치를 파악하고, 상기 파악된 위치 정보를 포함한 신호를 제1 단말기(100)로 송신한다.
일 예로, 제2 단말기(200)의 화면 상에 표시되는 제1 단말기(100)의 화면 해상도가 600×400 (가로 세로) 픽셀이고, 상기 600×400에서 폰북 메뉴 실행 아이콘(1)의 위치가 가로 531~534 및 세로 96~100 이면, 제어부(270)는 상기 폰북 메뉴 실행 아이콘(1)의 위치 정보인 가로 531~534 및 세로 96~100을 제1 단말기(100)로 송신한다.
제1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제2 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된 신호 내에 포함된 위치 정보를 파악하고, 도 3의 화면 상에서 상기 파악된 위치에 존재하는 폰북 메뉴를 실행하고, 상기 폰북 메뉴에 속한 서브 메뉴들을 표시하는 것이다.
한편, 제2 단말기(200)의 제어부(270)는 제1 단말기(100)로부터 도 4의 (a)에 도시된 화면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한다. 또한, 제2 단말기(200)의 제어부(270)는 입력부(220)를 통해 도 4의 (a)의 화면 정보 내에 표시된 서브 메뉴들 중 "1. 전화번호 검색"(1a) 메뉴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1. 전화번호 검색"(1a) 메뉴의 위치 정보를 포함한 신호를 제1 단말기(100)로 송신한다.
제1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제2 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된 신호 내의 위치 정보를 파악하고, 도 4의 (a) 화면 상에서 상기 파악된 위치에 존재하는 "1. 전화번호 검색"(1a) 메뉴를 실행하고,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시된 폰 북 내에 등록된 연락처 정보 리스트를 표시한다. 또한, 제1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도 4의 (b)에 도시된 화면 정보를 제2 단말기(200)로 송신한다.
제2 단말기(200)의 제어부(270)는 제1 단말기(200)로부터 도 4의 (b)에 도시된 화면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한다.
제2 단말기(200)의 제어부(270)는 입력부(220)를 통해 도 4의 (b)의 화면 정보 내에 표시된 연락처 정보 리스트에서 "1. kim"(1b)가 선택되고, "1. kim"(1b)의 통화 연결 키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1. kim"(1b)의 위치 정보 및 통화 연결 키의 위치 정보를 순차적으로 제2 단말기(200)에 송신한다.
제1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제2 단말기(200)로부터 "1. kim"(1b)의 위치 정보 및 통화 연결 키의 위치 정보가 순차적으로 수신되면, 도 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부(110)를 제어하여 상기 "1. kim"(1b)으로 통화 연결을 시도하고, 도 4의 (c)에 도시된 화면 정보를 제2 단말기(200)로 송신한다.
도 5는 제2 단말기가 제1 단말기의 메시지 메뉴 기능을 무선 통신으로 제어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상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2 단말기(200)의 사용자는 마우스 또는 키패드 등의 입력부(220)를 조작하여 상기 조작부 내의 메시지 메뉴 실행 아이콘(2)을 선택하면, 제어부(270)는 상기 선택된 메뉴 실행 아이콘(2)의 위치 정보를 제1 단말기(100)로 송신한다.
제1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된 위치에 존재하는 메시지 메뉴를 실행하고, 상기 메시지 메뉴에 속한 서브 메뉴들을 표시한다. 또한, 제1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상기 도 5의 (a)에 도시된 화면 정보를 제2 단말기(200)로 송신한다.
제2 단말기(200)의 제어부(270)는 제1 단말기(200)로부터 도 5의 (a)에 도시된 화면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한다. 또한, 제2 단말기(200)의 제어부(270)는 입력부(220)를 통해 도 5의 (a)의 화면 정보 내에 표시된 서브 메뉴들 중 "1. 메시지 송신"(2a) 메뉴가 선택되면, 제1 단말기(100)로 "1. 메시지 송신"(2a) 메뉴의 위치 정보를 송신한다.
제1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신된 위치에 존재하는 "1. 메시지 송신"(2a) 메뉴를 실행하고, 폰북 내에 등록된 연락처 정보 리스트를 표시한다. 또한, 제1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도 5의 (b)에 도시된 화면 정보를 제2 단말기(200)로 송신한다.
제2 단말기(200)의 제어부(270)는 제1 단말기(200)로부터 도 5의 (b)에 도시된 화면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한다. 제2 단말기(200)의 제어부(270)는 입력부(220)를 통해 도 5의 (b)의 화면 정보 내에 표시된 연락처 정보 리스트에서 "1. kim"(2b)가 선택되면, 제1 단말기(100)로 "1. kim"(2b) 연락처 정보의 위치 정보를 송신한다.
제1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제2 단말기(200)로부터 "1. kim"(2b) 연락처 정보의 위치 정보가 수신되면,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시지 작성창을 표시하고, 도 5의 (c)에 도시된 화면 정보를 제2 단말기(200)로 송신한다. 이때, 상기 메시지 작성창은 메시지의 내용 입력을 위한 키패드(2c) 및 상기 키패 드(2d)에서 입력된 메시지의 내용이 표시되는 메시지 내용 창(2d)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2 단말기(200)의 제어부(270)는 제1 단말기(200)로부터 도 5의 (c)에 도시된 화면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한다.
이때, 제2 단말기(200)의 제어부(270)는 입력부(220)를 통해 키패드(2c) 상에 다수개의 문자들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문자들의 위치 정보들을 순차적으로 제1 단말기(100)로 송신한다.
제1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상기 순차적으로 수신되는 위치 정보들에 각각 존재하는 문자들을 메시지 내용 창(2d)에 표시하고, 상기 문자들이 메시지 내용 창(2d)에 반영된 화면 정보를 제2 단말기(200)로 송신한다.
제2 단말기(200)는 제1 단말기(100)로부터 상기 입력된 문자들이 메시지 내용 창(2d)에 반영된 화면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하고, 입력부(220)로부터 상기 메시지 내용 창(2d)에 작성된 메시지를 "1. kim"(2b)으로 송신하기 위한 키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키의 위치 정보를 제1 단말기(100)로 송신한다.
제1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제1 단말기(100)로부터 상기 선택된 키의 위치 정보가 수신되면, 통신부(110)를 제어하여 상기 메시지 내용 창(2d)에 작성된 메시지를 "1. kim"(2b)에게 송신하고, 도 5의 (d)에 도시된 화면 정보를 제2 단말기(200)로 송신한다.
도 6은 제2 단말기가 제1 단말기의 카메라 메뉴 기능을 무선 통신으로 동작 제어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상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2 단말기(200)의 사용자는 마우스 또는 키패드 등의 입력부(220)를 조작하여 상기 조작부 내의 카메라 메뉴 실행 아이콘(3)을 선택하면, 제어부(270)는 제1 단말기(100)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카메라 메뉴 실행을 명령하는 신호를 송신한다.
이때, 상기 명령 신호는 도 4 및 도 5에 제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카메라 메뉴 실행 아이콘(3)의 위치 정보가 포함될 수 있고, 상기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제1 단말기(100)의 동작을 명령할 수 있다.
제1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상기 수신된 명령 신호에 따라,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카메라 메뉴를 실행하고, 상기 카메라 메뉴에 속한 서브 메뉴들을 표시한다. 또한, 제1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상기 도 6의 (a)에 도시된 화면 정보를 제2 단말기(200)로 송신한다.
제2 단말기(200)의 제어부(270)는 제1 단말기(100)로부터 도 6의 (a)에 도시된 화면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한다. 또한, 제2 단말기(200)의 제어부(270)는 입력부(220)를 통해 상기 카메라(121)로부터 입사되는 프리뷰 영상의 촬영을 위한 키 신호가 입력되면, 제1 단말기(100)로 촬영을 명령하는 신호를 송신한다.
제1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상기 수신된 명령 신호에 따라, 도 6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카메라(121)에서 입사되는 프리뷰 영상을 촬영하고, 도 6의 (c)에 도시된 화면 정보를 제2 단말기(200)로 송신한다.
도 7은 제2 단말기가 제1 단말기의 이미지 메뉴 기능을 무선 통신으로 동작 제어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상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2 단말기(200)의 사용자는 마우스 또는 키패드 등의 입력부(220)를 조작하여 상기 조작부 내의 이미지 메뉴 실행 아이콘(4)을 선택하면, 제어부(270)는 제1 단말기(100)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이미지 메뉴 실행을 명령하는 신호를 송신한다.
이때, 상기 명령 신호는 도 4 및 도 5에 제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미지 메뉴 실행 아이콘(4)의 위치 정보가 포함될 수 있고, 상기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제1 단말기(100)의 동작을 명령할 수 있다.
제1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상기 수신된 명령 신호에 따라,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미지 메뉴를 실행하고, 상기 이미지 메뉴 내에 저장된 이미지들의 리스트를 표시한다. 또한, 제1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상기 도 7의 (a)에 도시된 화면 정보를 제2 단말기(200)로 송신한다.
제2 단말기(200)의 제어부(270)는 제1 단말기(100)로부터 도 7의 (a)에 도시된 화면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한다. 또한, 제2 단말기(200)의 제어부(270)는 입력부(220)를 통해 표시할 "1. a.jpg"(4a)가 선택되면, 제1 단말기(100)로 "1. a.jpg"(4a)의 표시를 명령하는 신호를 송신한다.
제1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상기 수신된 명령 신호에 따라, 이미지 표시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고,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1. a.jpg"를 화면 상에 표시한다. 또한, 제1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도 7의 (b)에 도시된 화면 정보를 제2 단말기(200)로 송신한다.
이상,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제2 단말기(200)에서 제1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였다.
물론, 도 4 내지 도 7에서는 제2 단말기(200)가 제1 단말기(100)의 폰북 메뉴(1), 메시지 메뉴(2), 카메라 메뉴(3), 이미지 메뉴(4)에 대한 동작 제어 과정만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을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제2 단말기(200)는 제1 단말기(100)의 모든 메뉴 기능 상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동작 제어 시스템은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 형태의 제1 단말기(100)와 PC 형태의 제2 단말기(200)로 구성될 수도 있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 형태의 제1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 형태의 제3 단말기(300)로 구성될 수도 있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PC 형태의 제2 단말기(200)와 복수의 이동 단말기 형태의 제1 및 제3 단말기(100, 300)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하,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동작 제어 시스템에서 제1 단말기(100)와 제2 단말기(200)간의 통신 접속 과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동작 제어 시스템에서 제2 단말기가 제1 단말기와 통신을 접속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1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통신부(110)를 통해 제2 단말기(200)로부터 통신 접속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S41], 제1 단말기(200)가 이미 인증되어 접속 가능한 장치인지를 검사한다[S42].
즉, 제어부(180)는 메모리(160)에 저장된 접속 인증 장치 정보 리스트 상에 제2 단말기(200)에 대한 장치 정보가 존재하는지 검사하고, 만약 상기 접속 인증 장치 정보 리스트 상에 제2 단말기(200)에 대한 장치 정보가 존재하면[S43], 통신부(110)를 통해 제2 단말기(200)로 통신 접속을 허가하는 신호를 송신하여 제2 단말기(200)와 통신 접속을 한다[S44].
제어부(180)는 제2 단말기(200)와 통신이 연결되면, 현재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는 화면 정보를 제2 단말기(200)로 송신한다.
한편, 제어부(180)는 제2 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된 장치 정보와 상기 접속 인증 장치 정보 목록 상에서 제2 단말기(200)에 해당하는 장치 정보를 비교하여, 서로 차이가 있으면, 제2 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된 장치 정보를 상기 접속 인증 장치 목록 상에 업데이트한다[S45].
그러나, 제어부(180)는 상기 S42 단계의 검사 결과, 상기 접속 인증 장치 정보 목록 상에 제2 단말기(200)의 장치 정보가 존재하지 않으면, 제2 단말기(200)의 접속 허가 여부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창을 디스플레이부(151) 화면 상에 표시한다.
제어부(180)는 상기 선택창에서 "접속 불가"가 선택되면, 제2 단말기(200)의 접속을 차단하고, 상기 선택창에서 "접속 허가"가 선택되면[S46], 사용자에게 제2 단말기(200)의 접속에 대한 인증 과정을 제공하고[S47], 사용자로부터 제2 단말기(200)에 대한 인증이 허가되면[S48], S44 및 S45 단계의 동작을 수행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동작 제어 시스템에서 제1 단말기가 제2 단말기와 통신을 접속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2 단말기(200)의 제어부(270)는 입력부(22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제1 단말기(100)의 원격 제어를 위해 제1 단말기(100)와의 통신 접속 명령이 입력되면, 통신부(210)를 제어하여 주변의 제1 단말기(100)를 검색한다[S51].
이때, 제어부(270)는 무선 네트워크 기술이 제공하는 다양한 검색 방법(예: 블루투스의 Device Inquiry, Service Discovery 등)을 이용하여 주변의 제1 단말기(100)를 검색할 수 있고, TCP/IP 기반의 SSDP를 이용하여 제1 단말기(100)를 검색할 수도 있다.
제어부(270)는 상기 검색 결과, 제1 단말기(100)가 검색되면, 상기 제1 단말기(100)가 접속이 인증된 장치인지를 검사한다[S52].
만약, 제1 단말기(100)가 접속이 가능한 장치이면[S53], 제어부(270)는 통신부(210)를 통해 제1 단말기(100)로 통신 접속을 요청하는 신호를 송신하고[S54], 통신부(210)를 통해 제1 단말기(100)로부터 접속을 허가하는 신호가 수신되면[S55], 제1 단말기(100)와 통신을 연결한다[S56].
그러나, 제어부(270)는 S52 단계에서 제1 단말기(100)가 접속이 인증되지 않는 장치이면, 사용자에게 제1 단말기(100)의 접속에 대한 인증 과정을 제공하고[S57], 사용자로부터 제1 단말기(100)에 대한 인증이 허가되면[S58], 제1 단말기(100)와 통신을 연결한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제1 단말기(100)와 제2 단말기(200) 간의 통신 접속 과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각 실시예별로 본 발명에 따른 동작 제어 시스템에서 제1 단말기(100)와 제2 단말기(200) 간의 데이터 송신 및 수신 동작 과정 및 통신 연결 동 작 과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제1 실시예>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는, 제1 단말기의 화면 정보가 제2 단말기에서 표시될 경우, 제1 단말기의 화면 정보 내에 포함된 컨텐트 정보를 제2 단말기에서 쉽게 인지할 수 있고, 제1 단말기의 컨텐트 정보를 제2 단말기에서 자유롭게 사용 및 편집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의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3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단말기가 이동 단말기 형태이고, 상기 제2 단말기가 PC 형태인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물론,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3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1 단말기가 이동 단말기 형태이고, 상기 제2 단말기가 PC 형태인 것으로 가정하였을 뿐,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3 실시예에 따른 제1 및 제2 단말기는 "이동 단말기 대 이동 단말기" 형태가 될 수 있고, "고정 단말기 대 고정 단말기"가 될 수도 있다.
결론적으로,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3 실시예에 따른 제1 및 제2 단말기는, 통신이 가능하고, 화면 표시 장치 및 입력 장치가 구비된 단말기는 모두 포함된다.
먼저, 이하의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에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 제어 시스템에서 제1 단말기(100)과 제2 단말기(200)간의 데이터 송신 및 수신 과정을 나타낸 제1 실시예 신호 처리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제1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초기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표시할 화면 정보 내에 적어도 하나의 컨텐트 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사한다[S111].
이때, 상기 컨텐트 정보는 텍스트와, 이미지와, 수신된 메시지와, 폰북 내의 연락처 정보와, 오디오 파일과, 사진 파일과, 동영상 파일과, 게임 파일과, 스케줄 정보와, 문서 파일과, 전자 사전 파일과, 계산기 파일과, 웹페이지 주소 정보들이 포함될 수 있다. 즉, 상기 컨텐트 정보는 제1 단말기(100)의 메뉴 기능 내에 존재하는 모든 데이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연락처 정보는, 상대방의 휴대 전화 번호, 성명, 집 전화 번호, 이메일 주소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80)는 상기 표시할 화면 정보 내에 적어도 하나의 컨텐트 정보가 존재하면[S112], 상기 컨텐트 정보를 상기 화면 정보 상에서 알리는 제1 알림 정보를 생성하고[S113], 통신부(110)를 통해 상기 생성된 제1 알림 정보를 상기 표시할 화면 정보에 포함시켜 제2 단말기(200)로 송신한다[S114].
상기 제1 알림 정보는 상기 컨텐트 정보를 알리는 텍스트와, 2차원 및 3차원이미지와, 아이콘과, 애니메이션과, 워터마크와, 바코드 형태로 생성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80)는 상기 제1 알림 정보가 포함된 화면 정보를 이하의 과정에 의해 압축하여 제2 단말기(200)로 송신할 수 있다.
즉, 제어부(180)는 동영상이나 정지 영상 압축 기법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알림 정보가 포함된 화면 정보를 압축할 수 있다. 상기 영상 압축 기법의 일 예로, JPEG, PNP, MPEG, H.264 등의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화면 정보를 압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음향 출력 모듈(152)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정보를 고정 단말기(200)로 송신할 경우, 음성 압축 기법을 이용하여 상기 오디오 정보를 압축할 수 있다. 상기 음성 압축 기법의 일 예로, MP3, MP4, SBC, ADPCM, Ogg Vorbis 등의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오디오 정보를 압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상기 과정에 의해 압축된 제1 알림 정보가 포함된 화면 정보를 근거리 통신 모듈(114)을 이용하여 제2 단말기(200)로 전송 시, 블루투스의 VDP 표준 프로토콜(영상)과, A2DP 표준 프로토콜(음성)을 이용하여 전송할 수 있다.
이하,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여, 상기 제어부(180)의 제1 알림 정보 생성 과정 및 전송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단말기가 제1 알림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제1 실시예 화면 설명도이다.
먼저, 도 13의 (a)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표시할 화면 내에 스케줄 컨텐트 정보(10)가 존재하면, 도 1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케줄 컨텐트 정보(10)를 알리는 제1 알림 정보(10a)를 텍스트 형태로 생성하고, 상기 텍스트 형태의 제1 알림 정보(10a)를 상기 표시할 화면 정보에 포함시켜 제2 단말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도 13의 (b)는 제2 단말기(200)가 제1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된 텍스트 형태의 제1 알림 정보(10a)가 포함된 화면 정보가 표시된 것을 도시하고 있다.
이때, 제1 단말기의 제어부(180)는 상기 제1 알림 정보(10a)를 상기 스케줄 정보(10)가 표시된 영역 주위에 합성 또는 오버랩하여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1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상기 스케줄 정보(10)를 표시하지 않고, 상기 스케줄 정보(10)가 위치한 영역에 상기 제1 알림 정보(10a)만을 합성 또는 오버랩하여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제1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상기 제1 알림 정보(10a)를 상기 화면 정보의 인디케이터 영역 내에 합성 또는 오버랩하여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제1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도 13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케줄 정보(10)를 알리는 제1 알림 정보(10b)를 아이콘 형태로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아이콘 형태의 제1 알림 정보(10b)를 상기 표시할 화면 정보에 포함시켜 제2 단말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도 13의 (c)는 제2 단말기(200)가 제1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된 아이콘 형태의 제1 알림 정보(10b)가 포함된 화면 정보가 표시된 것을 도시하고 있다.
또한, 제1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도 13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케줄 정보(10)를 알리는 제1 알림 정보(10c)를 바코드 형태로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바코드 형태의 제1 알림 정보(10c)를 상기 화면 정보에 포함시켜 제2 단말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도 14의 (a)를 참조하면, 제1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표시할 화면 내에 웹페이지 주소 컨텐츠 정보(20)가 존재하면, 도 1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웹페이지 주소 컨텐츠 정보(20)를 알리는 제1 알림 정보(20a)를 텍스트 형태로 생성하고, 상기 텍스트 형태의 제2 알림 정보(20a)를 상기 표시할 화면 정보에 포함시켜 제2 단말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도 14의 (b)는 제2 단말기(200)가 제1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된 텍스트 형태의 제1 알림 정보(20a)가 포함된 화면 정보가 표시된 것을 도시하고 있다.
이때, 제1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상기 제1 알림 정보(20a)를 상기 웹페이지 주소 컨텐트 정보(20)가 표시된 영역 주위에 합성 또는 오버랩하여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1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상기 웹페이지 주소 정보(20)를 표시하지 않고, 상기 웹페이지 주소 컨텐트 정보(20)가 위치한 영역에 상기 제1 알림 정보(20a)만을 합성 또는 오버랩하여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제1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상기 제1 알림 정보(20a)를 상기 표시할 화면의 인디케이터 영역 내에 합성 또는 오버랩하여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제1 단말기의 제어부(180)는 도 1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웹페이지 주소 컨텐트 정보(20)를 알리는 제1 알림 정보(20b)를 아이콘 형태로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아이콘 형태의 제1 알림 정보(20b)를 상기 표시할 화면 정보에 포함시켜 제2 단말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도 14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웹페이지 주소 컨텐트 정보(20)를 알리는 제1 알림 정보(20c)를 바코드 형태로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바코드 형태의 제1 알림 정보(20c)를 상기 표시할 화면 정보에 포함시켜 제2 단말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제2 단말기(200)의 제어부(270)는 통신부(210)를 통해 제1 단말 기(100)로부터 상기 제1 알림 정보가 포함된 화면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화면 정보를 디스플레이부(260)에 표시한다[S115].
즉, 제2 단말기(200)의 제어부(270)는 상기 제1 알림 정보가 포함된 화면 정보를 이하의 과정에 의해 복호하여 디스플레이부(260)에 표시할 수 있다.
즉, 제2 단말기(200)의 제어부(270)는 동영상이나 정지 영상 복호 기법을 이용하여 상기 수신된 화면 정보의 압축을 해제할 수 있다.
상기 영상 복호 기법의 일 예로, JPEG, PNP, MPEG, H.264 등의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화면 정보의 압축을 해제하고, 상기 압축 해제된 화면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260)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2 단말기(200)의 제어부(270)는 제1 단말기(100)로부터 오디오 정보가 수신될 경우 음성 복호 기법을 이용하여 상기 수신된 오디오 정보의 압축을 해제할 수 있다.
상기 음성 복호 기법의 일 예로, MP3, MP4, SBC, ADPCM, Ogg Vorbis 등의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오디오 정보의 압축을 해제하고, 상기 압축 해제된 오디오 정보는 스피커(240)로 출력되고, 상기 압축 해제된 화면 정보는 상기 디스플레이부(260)에 표시된다.
이때, 제2 단말기(200)의 제어부(270)는 입력부(220) 또는 터치 스크린 타입의 디스플레이부(260)를 통해 상기 화면 정보상에서 제1 알림 정보가 선택되면[S116], 상기 제1 알림 정보에 해당하는 컨텐트 정보의 기능을 실행한다[S117].
이하, 제2 단말기(200)의 제어부(270)의 제1 알림 정보에 해당하는 컨텐트 정보의 기능 실행 과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즉, 제2 단말기(200)의 제어부(270)는 상기 화면상에서 제1 알림 정보가 선택되면, 상기 제1 알림 정보에 해당하는 컨텐트의 실행을 요청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하고, 통신부(210)를 통해 상기 생성된 요청 신호를 제1 단말기(100)의 통신부(110)로 송신한다.
제1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상기 통신부(110)로부터 상기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애플리케이션을 구동시켜 상기 제1 알림 정보에 해당하는 컨텐트 정보를 실행하고, 통신부(110)를 통해 상기 컨텐트 정보의 실행 화면 정보를 제2 단말기(200)로 송신한다.
제2 단말기(200)의 제어부(270)는 제1 단말기(100)로부터 상기 컨텐트 정보의 실행 화면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실행 화면 정보를 디스플레이부(260) 화면에 표시한다.
예를 들어, 제2 단말기(200)에서 도 13의 (d)에 도시된 바코드 형태의 제1 알림 정보(10c)가 선택되면, 제1 단말기(100)는 메모리(160)에서 제1 알림 정보(10c)에 해당하는 스케줄을 검색하여 디스플레이부(151) 화면에 실행하고, 상기 스케줄 화면을 제2 단말기(200)로 송신하는 것이다.
또한, 제2 단말기(200)에서 도 14의 (c)에 도시된 아이콘 형태의 제1 알림 정보(20b)가 선택되면, 제1 단말기(100)는 제1 알림 정보(20b)에 해당하는 웹페이지 주소에 접속하고, 상기 접속된 웹페이지 화면을 제2 단말기(200)로 송신하는 것이다.
한편, 제1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상기 통신부(110)로부터 상기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1 알림 정보에 해당하는 컨텐트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51) 화면상에 실행하지 않고, 상기 제1 알림 정보에 해당하는 컨텐트 정보를 직접 제2 단말기(200)로 송신할 수도 있다.
또한, 제1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 상기 제1 알림 정보가 포함된 화면 정보를 표시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상기 제1 알림 정보가 선택되면, 제2 단말기(200)의 요청이 없이도 상기 제1 알림 정보에 해당하는 컨텐트 정보를 제2 단말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제1 실시예에서 제2 단말기(200)의 사용자가 제1 알림 정보가 포함된 화면 정보를 이용 중에, 제1 단말기(100)에서 통화 또는 메시지 수신 등의 이벤트가 발생되면, 제2 단말기(200)의 사용자 의도와는 무관하게 제1 알림 정보가 포함된 화면이 제1 단말기(100)에서 발생된 이벤트 화면으로 전환이 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제2 단말기(200)의 사용자가 상기 화면 정보를 이용 중에 제1 단말기(100)에서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발생된 이벤트를 알리는 제2 알림 정보를 이용하여 제2 단말기(200)의 화면상에 제1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 사실을 알리고, 제2 단말기(200)의 사용자가 상기 화면 정보의 이용을 마친 후에 이벤트 관련 화면을 표시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동작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단말기와 제2 단말기간의 데이터 송신 및 수신 과정을 나타낸 제2 실시예 신호 처리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S114 내지 S117 단계의 동작 과정은 도 12와 동일하고, 제1 단말기(100)에서 특정 이벤트가 발생되면[S118], 제1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상기 발생된 이벤트에 해당하는 화면 정보를 제2 단말기(200)로 송신하지 않고, 통신부(110)를 통해 상기 발생된 이벤트를 알리는 제2 알림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제2 알림 정보를 제2 단말기(200)로 송신한다[S119]. 이때, 상기 이벤트는 통화, 메시지 수신, 알람 출력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알림 정보는 상기 발생된 이벤트를 알리는 텍스트와, 이미지와, 아이콘과, 애니메이션과, 워터마크와, 바코드 형태 등으로 생성될 수도 있다.
한편, 제2 단말기(200)의 제어부(270)는 제1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된 제2 알림 정보를 제1 알림 정보가 포함된 화면 상에 표시한다[S120].
이때, 제2 단말기(200)의 제어부(270)는 상기 제2 알림 정보를 상기 제1 알림 정보가 포함된 화면 내에 합성하거나, 또는 오버랩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2 단말기(200)의 제어부(270)는 상기 제2 알림 정보를 제1 알림 정보가 포함된 화면의 인디케이터 영역 내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제2 단말기(200)의 사용자가 입력부(220)를 조작하여 상기 제2 알림 정보를 선택하면[S121], 상기 선택된 제2 알림 정보에 해당하는 이벤트 관련 화면 을 요청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하고, 통신부(210)를 통해 상기 생성된 이벤트 관련 화면 요청 신호를 제1 단말기(100)로 송신한다[S122].
제1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제2 단말기(200)로부터 상기 이벤트 관련 화면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현재의 디스플레이 모듈(151)의 화면을 상기 발생된 이벤트 관련 화면으로 전환하고, 상기 이벤트 관련 화면 정보를 제2 단말기(200)로 송신한다[S123].
제2 단말기(200)의 제어부(270)는 제1 단말기(100)로부터 상기 이벤트 관련 화면 정보가 수신되면, 제1 알림 정보가 포함된 화면을 상기 수신된 이벤트 관련 화면으로 전환한다[S124].
또한, 제1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상기 이벤트가 종료되면, 통신부(110)를 통해 상기 이벤트 발생 이전의 화면 정보를 제2 단말기(200)로 송신하고, 제2 단말기(200)는 상기 이벤트 관련 화면을 상기 이벤트 발생 이전의 화면으로 복귀할 수도 있다.
이하,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여, S118 내지 S124 단계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단말기가 이벤트 발생 사실을 알리는 제2 알림 정보의 생성 및 표시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제2 실시예 화면 설명도이다.
먼저, 도 16의 (a)는 S118 단계의 발생된 이벤트가 통화 이벤트(30)인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제1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상기 통화 이벤트(30)가 발생되면, 상기 통화 이벤트(30)를 알리는 제2 알림 정보를 아이콘 형태(30a)로 생성하고, 도 1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생성된 아이콘 형태(30a)의 제2 알림 정보를 제2 단말기(200)로 송신한다.
제2 단말기(200)는 제1 알림 정보(10a)가 포함된 화면을 표시한 상태에서, 제1 단말기(100)로부터 통화 이벤트(30)를 나타내는 제2 알림 정보(30a)가 수신되면, 상기 화면상에 상기 수신된 제2 알림 정보(30a)를 표시한다.
이때, 제2 단말기(200)의 제어부(270)는 입력부(220)를 통해 제2 알림 정보(30a)가 선택되면, 제2 알림 정보(30a)에 해당하는 통화 이벤트(30) 관련 화면을 요청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하고, 통신부(210)를 통해 상기 생성된 요청 신호를 제1 단말기(100)로 송신한다.
제1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제2 단말기(200)로부터 상기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현재의 디스플레이부(151) 화면을 통화 이벤트(30) 관련 화면으로 전환하고, 통화 이벤트(30) 관련 화면 정보를 제2 단말기(200)로 송신한다.
제2 단말기(200)의 제어부(270)는 통신부(210)로부터 상기 통화 이벤트(30) 관련 화면 정보가 수신되면, 도 16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260)에 표시된 제1 알림 정보(10b)가 포함된 화면을 상기 통화 이벤트(30) 관련 화면(30b)으로 전환한다.
그 다음으로, 도 17의 (a)는 S118 단계의 발생된 이벤트가 메시지 수신 이벤트(40)인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제1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메시지 수신 이벤트(40)가 발생되면, 메시 지 수신 이벤트(40)를 알리는 제2 알림 정보를 아이콘 형태(40a)로 생성하고, 도 1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생성된 아이콘 형태(40a)의 제2 알림 정보를 제2 단말기(200)로 송신할 수 있다.
제2 단말기(200)는 제1 알림 정보(20a)가 포함된 화면을 표시된 상태에서, 제1 단말기(100)로부터 메시지 수신 이벤트(40)를 알리는 제2 알림 정보(40a)가 수신되면, 상기 제1 알림 정보(20a)가 포함된 화면상에 상기 수신된 제2 알림 정보(40a)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제2 단말기(200)의 제어부(270)는 입력부(220)를 통해 상기 제2 알림 정보(40a)가 선택되면, 상기 제2 알림 정보(40a)에 해당하는 메시지 수신 이벤트(40) 관련 화면을 요청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하고, 통신부(210)를 통해 상기 생성된 메시지 수신 이벤트(40) 관련 화면 요청 신호를 제1 단말기(100)로 송신한다.
제1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제2 단말기(200)로부터 상기 메시지 수신 이벤트(40) 관련 화면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현재의 디스플레이부(151) 화면을 상기 메시지 수신 이벤트(40) 관련 화면으로 전환하고, 상기 메시지 수신 이벤트(40) 관련 화면 정보를 제2 단말기(200)로 송신한다.
제2 단말기(200)의 제어부(270)는 통신부(210)로부터 메시지 수신 이벤트(40) 관련 화면 정보가 수신되면, 도 17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260)의 제1 알림 정보(20a)가 포함된 화면을 상기 메시지 수신 이벤트(40) 관련 화면(40b)으로 전환한다.
<제3 실시예>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는, 제1 단말기(100)의 표시할 화면 내에 동종(同種) 또는 타종(他種)의 컨텐트 정보가 다수개 존재할 경우, 상기 컨텐트 정보들 각각을 제2 단말기(200)에서 조작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단말기에서 제1 단말기의 동종의 컨텐트 정보들을 엑세스하는 과정을 나타낸 제3 실시예 신호 처리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단말기에서 제1 단말기의 동종의 컨텐트 정보들을 엑세스하는 과정을 나타낸 제3 실시예 화면 설명도이다.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면, 제1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표시할 화면 내에 동종의 제1 및 제2 컨텐트 정보(51a, 52a)가 존재하면, 상기 동종의 제1 및 제2 컨텐트 정보(51a, 52a)를 알리는 제1 및 제2 알림 정보(51b, 52b)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제1 및 제2 알림 정보(51b, 52b)를 상기 표시할 화면 정보에 포함시켜 제2 단말기(200)로 전송한다[S211][도 19의 (a)].
이때, 도 19의 (a)에서는 상기 동종의 제1 및 제2 컨텐트 정보(51a, 52a)가 인터넷 접속 가능한 웹페이지 주소들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고, 상기 웹페이지 주소들을 알리는 제1 및 제2 알림 정보(51b, 52b)가 아이콘 형상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제1 및 제2 컨텐츠 정보(51a, 52a)의 종류 및 제1 및 제2 알림 정보(51b, 52b)의 형상을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제2 단말기(200)의 제어부(270)는 통신부(210)를 통해 제1 단말기(100)로부 터 수신된 제1 및 제2 알림 정보(51b, 52b)가 포함된 화면 정보를 디스플레이부(260)에 표시한다[S212][도 19의 (b)].
이때, 제2 단말기(200)의 사용자가 제1 및 제2 알림 정보(51b, 52b) 중 제1 알림 정보(51b)를 선택하면[S213], 도 19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단말기(200)의 제어부(270)는 상기 선택된 제1 알림 정보(51b)에 해당하는 제1 컨텐트 정보(51a)의 기능 실행을 위한 메뉴들(53a, 53b, 53c, 53d)을 디스플레이부(260)에 표시한다[S214].
도 19의 (c)에 도시된 상기 메뉴들(53a, 53b, 53c, 53d) 중에서 제1 메뉴(53a)("e1 접속")가 선택되면[S215], 제2 단말기(200)의 제어부(270)는 제1 메뉴(53a)("e1 접속")에 해당하는◎제1 컨텐트 정보(51a)의 기능 실행 화면 요청을 위한 신호를 생성하고, 통신부(210)를 통해 상기 생성된 요청 신호를 제1 단말기(100)로 송신한다[S216].
제1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고정 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된 요청 신호에 따라, 통신부(110)를 제어하여 제1 컨텐트 정보(51a), 즉, "http:// www.abc.com"에 해당하는 웹페이지 주소에 접속하고, 상기 접속된 웹페이지의 화면 정보(54)를 제2 단말기(200)로 송신하고[S217], 제2 단말기(200)의 제어부(270)는 제1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된 웹페이지 화면 정보(54)를 디스플레이부(260)에 표시한다[S218].
이때, 제2 단말기(200)의 제어부(270)는 상기 S218 단계의 웹페이지 화면 정 보(54)를 표시한 상태에서, 도 19의 (c)에 도시된 메뉴들(53a, 53b, 53c, 53d) 중에서 제2 메뉴(53b)("e1 접속 해제")가 선택되면, 상기 웹페이지 화면 정보(54)의 표시를 중단하고, 현재의 화면을 도 19의 (b)에 따른 화면으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제2 단말기(200)의 제어부(270)는 상기 S218 단계의 웹페이지 화면 정보(54)를 표시한 상태에서, 도 19의 (c)에 도시된 메뉴들(53a, 53b, 53c, 53d) 중에서 제3 메뉴(53c)("저장")가 선택되면, 상기 웹페이지 화면 정보(54)를 이미지 형태로 메모리(240)에 저장할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단말기에서 제1 단말기의 타종의 정보들을 엑세스하는 과정을 나타낸 제3 실시예 신호 처리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단말기에서 제1 단말기의 타종의 정보들을 엑세스하는 과정을 나타낸 제3 실시예 화면 설명도이다.
도 20 및 도 21을 참조하면, 제1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표시할 화면 내에 서로 다른 종류인 타종의 제1 내지 제3 컨텐트 정보(61a, 62a, 63a)가 존재하면, 상기 타종의 제1 내지 제3 컨텐트 정보(61a, 62a, 63a)를 알리는 제1 내지 제3 알림 정보(61b, 62b, 63b)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제1 내지 제3 알림 정보(61b, 62b, 63b)를 상기 표시할 화면 정보에 포함시켜 제2 단말기(200)로 전송한다[S301][도 21의 (a)].
이때, 도 21의 (a)에서는 상기 타종의 제1 컨텐트 정보(61a)가 이미지 파일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고, 제2 컨텐트 정보(62a)가 문서 파일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고, 제3 컨텐트 정보(62c)가 폰북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고, 상기 제1 내지 제3 컨텐트 정보(61a, 62a, 63a)를 알리는 제1 내지 제3 알림 정보(61b, 62b, 63b)가 아이콘 형상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제1 내지 제3 컨텐트 정보(61a, 62a, 63a)의 종류 및 제1 내지 제3 알림 정보(61b, 62b, 63b)의 형상을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제2 단말기(200)의 제어부(270)는 통신부(210)를 통해 제1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된 제1 내지 제3 알림 정보(61b, 62b, 63b)가 포함된 화면 정보를 디스플레이부(260)에 표시한다[S302][도 21의 (b)].
이때, 제2 단말기(200)의 제어부(270)는 도 2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3 알림 정보(61b, 62b, 63b)에 해당하는 제1 내지 제3 컨텐트 정보(61a, 62a, 63a)의 기능 실행을 위한 메뉴들(64)을 디스플레이부(260)에 표시한다[S303].
이때, 제2 단말기(200)의 사용자가 상기 메뉴들(64) 중에서 제3 메뉴(64c)("폰북 열람")가 선택되면[S304], 제2 단말기(200)의 제어부(270)는 상기 제3 메뉴(64c)("폰북 열람")에 해당하는 제3 컨텐츠 정보(63a)의 기능 실행 화면을 요청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하고, 통신부(210)를 통해 상기 생성된 요청 신호를 제1 단말기(100)로 송신한다[S305].
제1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제2 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된 요청 신호에 따라, 통신부(110)를 제어하여 상기 제3 컨텐트 정보(63a), 즉, "폰북"을 실행하고, 상기 실행된 폰북(63a)의 화면 정보(63c)를 제2 단말기(200)로 송신한 다[S306].
제2 단말기(200)의 제어부(270)는 제1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된 폰북 화면 정보(63c)를 디스플레이부(260)에 표시한다[S307].
이때, 제2 단말기(200)의 제어부(270)는 상기 S307 단계의 폰북 화면 정보(63c)가 표시되면, 도 21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폰북"의 기능 실행을 위한 서브 메뉴들(64c1, 64c2, 64c3, 64c4)을 상기 폰북 화면 정보(63c)의 일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만약, 제2 단말기(200)의 사용자가 상기 "폰북" 화면 정보(63c) 상에서 연락처 정보("1. TOM")를 선택한 후, 상기 서브 메뉴들(64c1, 64c2, 64c3, 64c4) 중에서 제1 서브 메뉴(64c1)("통화 연결")를 선택하면, 제2 단말기(200)의 제어부(270)는 상기 연락처 정보("1. TOM") 및 제1 서브 메뉴(64c1)("통화 연결")가 선택됨을 알리는 신호를 생성하고, 통신부(210)를 통해 상기 생성된 신호를 제1 단말기(100)로 송신한다.
그러면, 제1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제2 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따라, 통신부(110)를 제어하여 상기 선택된 연락처 정보("1. TOM")의 전화번호로 통화를 연결하고, 상기 통화 연결 상태 화면을 제2 단말기(200)로 송신한다.
또한, 제2 단말기(200)의 사용자가 상기 "폰북" 화면 정보(63c) 상에서 연락처 정보("1. TOM")를 선택한 후, 상기 서브 메뉴들(64c1, 64c2, 64c3, 64c4) 중에서 제2 서브 메뉴(64c2)("메시지 송신")를 선택하면, 제어부(270)는 상기 연락처 정보("1. TOM") 및 제2 서브 메뉴(64c2)("메시지 송신")가 선택됨을 알리는 신호를 생성하고, 통신부(210)를 통해 상기 생성된 신호를 제1 단말기(100)로 송신한다.
그러면, 제1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제2 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따라, 통신부(110)를 제어하여 상기 선택된 연락처 정보("1. TOM")의 전화번호로 전송할 메시지 입력창을 제2 단말기(200)로 송신한다.
제2 단말기(200)는 제1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된 메시지 입력창을 표시하고, 상기 메시지 입력창을 통해 작성된 메시지 내용을 제1 단말기(100)로 송신한다.
제1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제2 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된 메시지 내용을 상기 선택된 연락처 정보("1. TOM")로 송신한다.
또한, 제2 단말기(200)는 상기 서브 메뉴들(64c1, 64c2, 64c3, 64c4) 중에서 제3 또는 제4 서브 메뉴(64c3, 64c4)를 선택하여, 상기 폰북 내의 전화번호 편집 및 상기 폰북 내의 전화번호 등을 삭제할 수도 있다.
<제4 실시예>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는, 제1 단말기와 제2 단말기가 RFB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서로 간에 통신을 연결할 경우, 별도의 사용자의 조작없이 자동으로 통신을 연결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의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서는 제1 단말기는 이동 단말기의 형태이고, 제2 단말기는 PC 형태인 것으로 가정하고, 상기 제2 단말기가 상기 제1 단말기를 자동 검색하여 통신 연결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이하,도 22 및 도 2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4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단말기가 제1 단말기와 자동 통신 연결을 위한 제어 동작을 나타낸 제4 실시예 흐름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단말기가 제1 단말기를 주기적으로 검색하기 위한 시간 주기를 설정하는 과정을 나타낸 제4 실시예 화면 설명도이다.
도 22 및 도 23을 참조하면, 제2 단말기(200)의 제어부(270)는 사용자로부터 제2 단말기(200) 주위의 이동 단말기(100)를 자동 검색 및 통신 연결하기 위한 기능이 선택되면, 메모리(230)에 기 구비된 접속 인증 장치 정보 목록(410)을 디스플레이부(260)에 표시한다[S401][도 17의 (a)].
상기 접속 인증 장치 정보 목록은, 제2 단말기(200)와 이미 인증 과정을 거쳐서 통신이 연결되었던 외부 장치들의 장치 정보 목록을 뜻한다.
제2 단말기(200)의 제어부(270)는 상기 접속 인증 장치 정보 목록(410)에서 자동 접속할 제1 단말기(411)("TX0015")가 선택되면[S402][도 23의 (a)], 상기 선택된 제1 단말기(411)("TX0015")를 주기적으로 검색하기 위한 시간 주기를 설정하기 위한 창(420)을 디스플레이부(260)에 표시한다[S403][도 23의 (b)].
제2 단말기(200)의 제어부(270)는 상기 시간 주기 설정창(420)을 통해 사용 자로부터 시간 주기("5분")가 설정되면[S404][도 23의 (b)], 통신부(210)를 제어하여 상기 설정된 시간 주기("5분")마다 제1 단말기(411)("TX0015")를 검색 및 접속을 시도한다[S405][도 21의 (c)].
이때, 제2 단말기(200)의 제어부(270)는 제1 단말기(411)("TX0015")와 접속 성공하면[S406], 제1 단말기(411)("TX0015")와 통신 연결하여 제1 장치(411)("TX0015")로부터 상술한 제1 내지 제3 실시예에 따른 화면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한다[S407].
반면에, 제2 단말기(200)의 제어부(270)는 제1 단말기(411)("TX0015")와 접속이 실패되면, 상기 설정된 시간 주기만큼 대기한 후, 다시 접속을 시도한다[S408].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단말기가 제1 단말기를 주기적으로 검색하기 위한 시간 주기를 재 설정하는 과정을 나타낸 제4 실시예 화면 설명도이다.
도 24를 참조하면, 제2 단말기(200)는 도 22 및 도 23의 과정에 의해 제1 단말기(411)("TX0015")와 통신이 연결되면, 제1 단말기(411)("TX0015")로부터 상술한 제1 내지 제3 실시예에 따른 화면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하고, 상기 화면 정보 상에 도 22 및 도 23에서 설정된 시간 주기를 알림 정보(430)를 표시한다[도 24의 (a)].
이때, 제2 단말기(200)의 제어부(270)는 사용자에 의해 알림 정보(430)가 선택되면, 도 22 및 도 23에서 설정된 시간 주기를 변경하기 위한 것으로 인식하고, 도 23의 (b)에 도시된 시간 주기 설정창(420)을 다시 표시한다[도 24의 (b)].
제2 단말기(200)의 제어부(270)는 상기 시간 주기 설정창(420)을 통해 사용 자로부터 시간 주기("10분")가 변경되면[도 24의 (b)], 통신부(210)를 제어하여 상기 변경된 시간 주기("10분")마다 제1 단말기(411)("TX0015")를 검색 및 접속을 시도한다[도 24의 (c)].
<제5 실시예>
본 발명의 제5 실시예는, 제1 단말기 및 제2 단말기가 통신 연결된 상태에서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화면, 오디오 및 키 입력 등의 동작 상태가 변화되지 않으면, 제1 단말기 및 제2 단말기 간에 통신 연결을 해제함으로써,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방지하여 단말기의 사용 시간을 늘일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의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서는 제1 단말기는 이동 단말기의 형태이고, 제2 단말기는 PC 형태인 것으로 가정하고, 상기 제2 단말기가 상기 제1 단말기를 자동 검색하여 통신 연결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이하, 도 25 내지 도 29에서는 제2 단말기가 제1 단말기와 통신 연결 해제 및 통신 재 연결 동작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단말기가 제1 단말기와 통신 연결 해제 및 통신 재 연결 동작을 나타낸 제5 실시예 흐름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단말기가 제1 단말기와 통신 연결 해제 및 통신 재 연결 동작을 나타낸 제5 실시예 화면 설명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단말기에서 제1 단말기와의 통신 연결 해제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제5 실시예 화면 설명도이다.
도 28 및 도 29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단말기에서 제1 단말기와의 통신 연결 해제 및 통신 재 연결 상태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것을 나타낸 제5 실시예 화면 설명도이다.
먼저, 도 25 및 도 26을 참조하면, 제2 단말기(200)의 제어부(270)는 상술한 제4 실시예에 따라 제1 단말기(100)와 통신이 연결되면[S501], 통신부(210)를 제1 단말기(100)로부터 화면 정보(510)가 포함된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화면 정보(510)를 디스플레이부(260) 화면 상에 표시한다[S502][도 26의 (a)].
이때, 제1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 내에는 화면 정보(510) 뿐만 아니라, 오디오 정보 및 제1 단말기(100)에서 입력된 키 신호도 포함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제2 단말기(200)의 제어부(270)는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제2 단말기(200)의 동작 상태가 변화되지 않는지를 감지한다[S503].
즉, 제어부(270)는 상기 설정된 시간 동안 제2 단말기(200)의 동작 상태가 비활성(inactive) 상태를 유지하는지를 감지한다.
이때, 비활성(inactive) 상태는, 제2 단말기(200)가 제1 단말기(100)로부터 새로운 화면 정보 또는 오디오 정보가 수신되지 않은 상태이거나, 또는 제2 단말기(200)가 제1 단말기(100)의 동작을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키 신호를 제1 단말기(100)로 송신하지 않은 상태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작 상태 변화를 감지하기 위한 시간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 변경이 가능하다. 즉, 제어부(270)는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의 설정 변경이 가능한 메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는 상기 메뉴를 통해 상기 시간을 변경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270)는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제2 단말기(200)의 동작 상태가 변화되지 않으면[S504], 사용자가 제1 단말기(100)와 본 발명에 따른 원격 제어 통신을 이용하지 않는 것을 인지하고, 통신부(210)를 제어하여 제1 단말기(100)와 통신 연결을 해제한다[S505][도 20의 (b)].
즉, 제어부(270)는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제1 단말기(100)로부터 새로운 화면 정보 또는 오디오 정보가 수신되지 않거나, 또는 제1 단말기(100)의 동작을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키 신호를 송신되지 않으면, 통신부(210)를 제어하여 제1 단말기(100)와 통신 연결을 해제하는 것이다.
이때, 제어부(270)는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제2 단말기(200)의 동작 상태 변화가 없으면, 제1 단말기(100)와의 통신 연결 해제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창(520)을 디스플레이부(260)에 표시하고[도 27의 (a)], 상기 선택창(520)에서 제1 단말기(100)와의 통신 연결 해제(521)가 선택되면, 제1 단말기(100)와 통신 연결을 해제할 수 있다[도 28의 (b)].
또한, 제어부(270)는 도 2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단말기(100)와 통신 연결이 해제되면, 상기 통신 연결 해제 사실을 알리기 위한 음성 데이터(531)를 스피커(240)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70)는 도 2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단말기(100)와 통신 연결이 해제되면, 상기 통신 연결 해제 사실을 알리기 위한 알림 정보(541)를 디스플레이부(260)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270)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알림 정보(541)가 선택되면, 도 2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부(210)를 제어하여 제1 단말기(100)와 통신을 재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70)는 제1 단말기(100)와 통신 연결이 해제되면, 사용자가 제1 단말기(100)를 원격 제어할 수 없는 상태이므로, 제2 단말기(200)의 전력을 세이브하기 위해 디스플레이부(260)의 화면 밝기를 기 설정된 밝기 레벨 이하로 하향 변환하거나, 또는, 아예 디스플레이부(260)의 구동을 오프시킬 수 있다.
한편, 제어부(270)는 제1 단말기(100)와 통신 연결을 해제한 상태에서, 제2 단말기(200)의 동작 상태가 변화되는지를 재 감지한다[S506].
제어부(270)는 제1 단말기(100)와 통신 연결을 해제한 상태에서, 제2 단말기(200)의 동작 상태가 변화되면[S507], 통신부(210)를 통해 제1 단말기(100)로 통신 재 연결을 요청하여 제1 단말기(100)와 통신을 재 연결한다[S508][도 26의 (c)].
즉, 제어부(270)는 상기 통신 연결이 해제된 상태에서, 제1 단말기(100)로부터 새로운 화면 정보 또는 오디오 정보가 수신되거나, 또는 제1 단말기(100)의 동작을 원격으로 제어를 위한 키 신호가 송신되면, 통신부(210)를 제어하여 제1 단말기(100)와 통신을 재 연결하는 것이다.
이때, 제어부(270)는 도 2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단말기(100)와 통신이 재 연결되면, 상기 통신 재 연결 사실을 알리기 위한 음성 데이터(532)를 스피커(240)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70)는 도 2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단말기(100)와 통신이 재 연결되면, 상기 통신 재 연결 사실을 알리기 위한 알림 정보(542)를 디스플레이부(260)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70)는 제1 단말기(100)와 통신 연결이 재 연결되면, 디스플레이부(260)를 구동시키거나 또는 상기 하향 변환된 디스플레이부(260)의 표시 밝기를 최초의 밝기 레벨로 복원한다.
도 30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단말기가 제2 단말기와 통신 연결 해제 및 통신 재 연결 동작을 나타낸 제5 실시예 흐름도이다.
도 30을 참조하면, 제1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제2 단말기(100)와 통신이 연결되면[S601], 통신부(110)를 통해 제2 단말기(200)로 화면 정보가 포함된 데이터를 송신한다[S602].
또한, 제1 단말기(100)와 제2 단말기(100)와 통신이 연결되면, 제1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 표시 화면과, 제2 단말기(200)의 디스플레이부(260) 표시 화면은 같고, 제1 단말기(100)의 사용자는 제2 단말기(200)의 디스플레이부(260) 화면을 통해 제1 단말기(100)의 표시 화면을 시청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서는 제1 단말기(100)의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방지하기 위해, 제1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제2 단말기(100)와 통신이 연결되면, 디스플레이부(151)의 화면 밝기를 기 설정된 밝기 레벨 이하로 하향 변환하거나 또는 아예 디스플레이부(151)의 구동을 오프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서는 제1 단말기(100)는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방지하기 위해, 제1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제2 단말기(100)와 통신이 연결되면, 사용자 입력부(130)에 빛을 조사하는 백라이트 유닛의 빛 밝기를 기 설정된 밝기 레벨 이하로 하향 변환하거나 또는 아예 백라이트 유닛의 구동을 오프시킬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제1 단말기(100)의 동작 상태가 변화되지 않는지를 감지한다[S603].
즉, 제1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상기 설정된 시간 동안 제1 단말기(100)의 동작 상태가 비활성(inactive) 상태를 유지하는지를 감지한다.
이때, 비활성(inactive) 상태는, 제1 단말기(100)가 제2 단말기(200)로 새로운 화면 정보 또는 오디오 정보를 송신하지 않는 상태이거나, 또는 제1 단말기(100)가 제2 단말기(200)로부터 제1 단말기(100)의 무선 통신 동작 제어를 위한 키 신호가 수신되지 않은 상태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작 상태 변화를 감지하기 위한 시간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 변경이 가능하다. 즉, 제어부(180)는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의 설정 변경이 가능한 메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는 상기 메뉴를 통해 상기 시간을 변경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제1 단말기(100)의 동작 상태가 변화되지 않으면[S604], 사용자가 제2 단말기(200)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 제어 기능을 이용하지 않는 것을 인지하고, 통신부(110)를 제어하여 제2 단말기(200)와 통신 연결을 해제한다[S605].
이때, 제어부(180)는 상술한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제1 단말기(100)의 동작 상태 변화가 없으면, 제2 단말기(200)와의 통신 연결 해제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창을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하고, 상기 선택창에서 제2 단말기(200)와의 통신 연결 해제가 선택되면, 제2 단말기(200)와 통신 연결을 해제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도 2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단말기(200)와 통신 연결이 해제되면, 상기 통신 연결 해제 사실을 알리기 위한 음성 데이터를 음향 출력 모듈(152)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도 2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단말기(200)와 통신 연결이 해제되면, 상기 통신 연결 해제 사실을 알리기 위한 알림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51)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사용자로부터 제2 단말기(200)와 통신 연결이 해제된 사실을 알리는 알림 정보가 선택되면, 도 2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부(110)를 제어하여 제2 단말기(200)와 통신을 재 연결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제2 단말기(200)와 통신 연결을 해제한 상태에서, 제1 단말기(100)의 동작 상태가 변화되는지를 재 감지한다[S606].
즉, 제어부(180)는 제2 단말기(200)로부터 제1 단말기(100)의 동작을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키 신호가 수신되거나, 또는 제2 단말기(200)로 새로운 화면 정보 또는 오디오 정보를 송신하는지를 감지한다.
제어부(180)는 제2 단말기(200)와 통신 연결을 해제한 상태에서, 제1 단말 기(100)의 동작 상태가 변화되면[S607], 통신부(110)를 제어하여 제2 단말기(200)와 통신을 재 연결한다[S608].
즉, 제어부(180)는 메모리(160)에 구비된 접속 인증 장치 정보 목록상에서 제2 단말기(200)에 해당하는 장치 정보를 이용하여 통신을 재 연결한다.
한편, 제어부(180)는 도 2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단말기(200)와 통신이 재 연결되면, 상기 통신 재 연결 사실을 알리기 위한 음성 데이터를 음향 출력 모듈(152)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도 2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단말기(200)와 통신이 재 연결되면, 상기 통신 재 연결 사실을 알리기 위한 알림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51)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제2 단말기(100)와 통신 연결이 재 연결되면, 디스플레이부(151) 및 백라이트 유닛을 구동시키거나 또는 상기 하향 변환된 디스플레이부(260)의 표시 밝기 및 백라이트 유닛의 빛 밝기를 최초의 밝기 레벨로 복원한다.
<제6 실시예>
본 발명의 제6 실시예는, 제1 단말기와 제2 단말기가 통신 연결된 상태에서, 제1 및 제2 단말기 각각의 화면 상에 포함된 컨텐트 정보를 서로 송신 및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컨텐트 정보를 저장, 실행 및 편집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의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서는 제1 단말기가 이동 단말기의 형태이고, 상기 제2 단말기가 PC의 형태인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이하, 도 31 내지 도 4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6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31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단말기가 제1 단말기로부터 컨텐트 정보 수신, 저장, 편집 및 실행 과정을 나타낸 제6 실시예 흐름도이다.
도 32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단말기 화면 상에 제2 단말기의 화면 정보 및 제1 단말기의 화면 정보가 함께 표시되는 상태를 나타낸 제6 실시예 화면 상태도이다.
도 33 내지 37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단말기가 제1 단말기로부터 컨텐트 정보 수신 및 저장 과정을 나타낸 제6 실시예 화면 상태도이다.
도 38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단말기가 제1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컨텐트 정보를 분류하여 저장하는 과정을 나타낸 제6 실시예 화면 상태도이다.
도 39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단말기가 제1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컨텐트 정보의 실행 과정을 나타낸 제6 실시예 화면 상태도이다.
도 40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단말기가 제1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컨텐트 정보의 편집 과정을 나타낸 제6 실시예 화면 상태도이다.
도 31 내지 도 40을 참조하면, 제2 단말기(200)의 제어부(270)는 통신부(210)를 통해 제1 단말기(100)와 통신이 연결되면[S701], 제1 단말기(100)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컨텐트 정보가 포함된 화면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제1 단말기(100)의 화면 정보(620)를 디스플레이부(260)의 화면(600) 상에 표시한다[S702].
이때, 제2 단말기(200)의 제어부(270)는 도 3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260)의 화면(600)을 제1 및 제2 영역(610, 620)으로 분할하고, 제1 영역(610) 상에 제1 단말기(100)의 컨텐트 정보들(611, 612, 613)이 포함된 제1 화면 정보를 표시하고, 제2 영역(620) 상에 제2 단말기의 컨텐트 정보(625)가 포함된 제2 화면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2 단말기(200)의 제어부(270)는 도 32의 (b) 및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영역(610)을 제1 단말기(100)의 외형과 동일한 형태 및 이동 단말기(100)의 화면의 크기로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도 32의 (b)는 제1 단말기(100)가 터치 스크린 형태의 단말기인 것을 도시하고 있고, 도 32의 (c)는 제1 단말기(100)가 문자 입력키가 구비된 바 타입 형태의 단말기인 것을 도시하고 있다.
한편, 제2 단말기(200)의 제어부(270)는 제1 및 제2 영역(610, 620)에 제1 및 제2 화면 정보를 표시한 상태에서, 입력부(220) 또는 터치 스크린 타입의 디스플레이부(26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제1 영역(610) 내의 컨텐트 정보가 적어도 하나 선택되면[S703], 상기 선택된 컨텐트 정보를 제1 단말기(100)로 요청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요청 신호를 통신부(210)를 통해 제1 단말기(100)로 송신한다[S704].
이때, 제1 단말기(100)가 도 32의 (b)에 도시된 터치 스크린 타입이면, 제2 단말기(200)의 제어부(270)는 상술한 도 4 및 도 5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제1 영역(610) 내에서 상기 선택된 컨텐트 정보의 위치를 파악하고, 상기 파악된 컨텐트 정보의 위치 정보를 상기 컨텐트 정보 요청 신호에 포함하여 제1 단말기(100)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제1 단말기(100)가 도 32의 (c)에 바 타입이면, 제2 단말기(200)의 제어부(270)는 상기 컨텐트 정보의 선택을 위해 사용자가 입력한 키 값이 상기 컨텐트 정보 요청 신호에 포함될 수도 있다.
제1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제2 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된 요청 신호 내의 위치 정보를 파악하고, 현재 화면 상에서 상기 파악된 위치에 존재하는 컨텐트 정보를 제2 단말기(200)로 송신한다.
제어부(270)는 통신부(210)를 통해 제1 단말기(100)로부터 상기 요청한 컨텐트 정보를 수신한다[S705].
상기 외부 단말기로부터 상기 표시 위치에 해당하는 컨텐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이하, 도 33 내지 도 37을 참조하여, S703 단계의 컨텐트 정보 선택 과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33을 참조하면, 제어부(270)는 입력부(220)의 키패드와, 마우스 및 터치 스크린(260) 등을 통해 제1 단말기(100)로부터 다운로드할 "a.jpg" 컨텐트 정보(612)가 제1 영역(610)에서 제2 영역(620)으로 드래그 앤 드랍되면[도 33의 (a)], "a.jpg" 컨텐트 정보(622)를 제1 단말기(100)로 요청하고, 제1 단말기(100)로부터 상기 요청한 "a.jpg" 컨텐트 정보(622)를 수신한다[도 33의 (b)].
즉, 제2 단말기(200)의 사용자는 입력부(220)의 키패드 및 마우스 등을 조작하여, 화면(600) 상의 포인터를 제1 영역(610) 내의 "a.jpg" 컨텐츠 정보(612)에 위치시킨 후, "a.jpg" 컨텐트 정보(612)를 제2 영역(620) 내로 드래그 앤 드랍하면, 제어부(270)는 "a.jpg" 컨텐트 정보(612)를 제1 단말기(100)로 요청하여 수신한다.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제어부(270)는 "a.jpg" 컨텐트 정보(612)가 제1 영역(610)에서 제2 영역(620)으로 드래그 앤 드랍되면, 상기 "a.jpg" 컨텐트 정보(612)가 선택된 것으로 인식하고, 제1 영역(610) 내에서 상기 "a.jpg" 컨텐트 정보(612)의 표시 위치를 상기 요청 신호에 포함시켜 제1 단말기(100)로 전송한다.
제1 단말기(100)는 제2 단말기(200)로부터 "a.jpg" 컨텐트 정보(612)의 표시 위치가 포함된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현재 화면 상에서 상기 수신된 표시 위치에 존재하는 "a.jpg" 컨텐트 정보(612)를 제2 단말기(200)로 송신한다.
그 다음으로, 도 34를 참조하면, 제어부(270)는 "a.jpg" 컨텐트 정보(612)가 선택되면, "a.jpg" 컨텐트 정보(612)의 송신 요청을 위한 제1 창(631)과, 편집 요청을 위한 제2 창(632) 및 실행 요청을 위한 제3 창(633)을 표시한다[도 34의 (a)].
이때, 제어부(270)는 사용자로부터 "a.jpg" 컨텐트 정보(612)의 송신 명령을 위한 제1 창(631)이 선택되면, "a.jpg" 컨텐트 정보(612)를 제1 단말기(100)로 요청하고, 제1 단말기(100)로부터 상기 요청한 "a.jpg" 컨텐트 정보(612)를 수신한다[도 34의 (b)].
또한, 도 34의 (a)에서 제어부(270)는 사용자로부터 제2 창(632)이 선택되면, "a.jpg" 컨텐트 정보(612)의 편집 요청을 위한 신호를 제1 단말기(100)로 송신한다.
제1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상기 제2 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된 편집 요청 신호에 따라, 도 3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a.jpg" 컨텐트 정보(612)의 편집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고, 도 35의 (a)에 도시된 화면 정보를 제2 단말기(200)로 송신한다.
제2 단말기(200)의 제어부(270)는 도 35의 (a)에 도시된 화면 정보를 제1 영역(610)에 표시하고, 입력부(22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a.jpg" 컨텐트 정보(612)의 편집을 위한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입력부(220)로부터 입력된 편집 명령을 제1 단말기(100)로 송신한다.
제1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제2 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된 편집 명령에 따라 상기 "a.jpg" 컨텐트 정보(612)를 편집하고, 상기 "a.jpg" 컨텐트 정보(612)를 편집된 화면 정보를 제2 단말기(200)로 송신한다.
제2 단말기(200)의 제어부(270)는 제1 단말기(100)로부터 상기 "a.jpg" 컨텐트 정보(612)가 편집된 화면 정보를 수신하여 제1 영역(610)에 표시하고, 사용자에 의해 상기 편집된 "a.jpg" 컨텐트 정보(612)가 제1 영역(610)에서 제2 영역(620)으로 드래그 앤 드랍되면, 상기 편집된 "a.jpg" 컨텐트 정보(612)를 제1 단말기(100)로 요청하여 수신할 수 있다.
즉, 도 35에서는 제2 단말기(200)의 사용자가 다운로드할 데이터를 제1 단말 기(100)에서 직접 편집하여 다운로드를 할 수 있는 것이다.
제1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상기 제2 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된 편집 요청 신호에 따라, 도 3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a.jpg" 컨텐트 정보(612)의 편집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고, 도 35의 (a)에 도시된 화면 정보를 제2 단말기(200)로 송신한다.
제2 단말기(200)의 제어부(270)는 도 35의 (a)에 도시된 화면 정보를 제1 영역(610)에 표시하고, 입력부(22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a.jpg" 컨텐트 정보(612)의 편집을 위한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입력부(220)로부터 입력된 편집 명령을 제1 단말기(100)로 송신한다.
제1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제2 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된 편집 명령에 따라 상기 "a.jpg" 컨텐트 정보(612)를 편집하고, 상기 "a.jpg" 컨텐트 정보(612)를 편집된 화면 정보를 제2 단말기(200)로 송신한다.
제2 단말기(200)의 제어부(270)는 제1 단말기(100)로부터 상기 "a.jpg" 컨텐트 정보(612)가 편집된 화면 정보를 수신하여 제1 영역(610)에 표시하고, 사용자에 의해 상기 편집된 "a.jpg" 컨텐트 정보(612)가 제1 영역(610)에서 제2 영역(620)으로 드래그 앤 드랍되면, 상기 편집된 "a.jpg" 컨텐트 정보(612)를 제1 단말기(100)로 요청하여 수신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도 36을 참조하면, 제2 단말기(200)의 사용자가 입력부(220)의 키패드 및 마우스를 조작하여 제1 단말기(100)로부터 다운로드할 "a.jpg" 컨텐트 정보(612)를 선택(634)하고, 제2 영역(620)의 특정 지점(626)을 선택하면[도 36의 (a)], 제어부(270)는 "a.jpg" 컨텐트 정보(622)를 제1 단말기(100)로 요청하여 수신한다[도 36의 (b)].
그 다음으로 도 37을 참조하면, 제2 단말기(200)의 사용자가 입력부(220)의 키패드 및 마우스를 조작하여 제1 영역(610) 내에서 다운로드할 텍스트 컨텐트 정보(614)를 지정하면[도 37의 (a)], 제어부(270)는 상기 지정된 텍스트 컨텐트 정보(614)를 제1 단말기(100)로 요청하여 수신한다[도 37의 (b)].
한편, 제어부(270)는 이하의 S706 내지 S711 단계와, 도 38 내지 도 4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된 컨텐트 정보를 저장, 편집 및 실행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먼저, 도 3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270)는 사용자로부터 도 33의 (b)에서 수신된 "a.jpg" 컨텐트 정보(612)의 저장 명령이 입력되면[S706], 상기 수신된 "a.jpg" 컨텐트 정보(612)를 메모리(240)에 저장한다.
이때, 제어부(270)는 상기 "a.jpg" 컨텐트 정보(612)의 형식을 파악하고, 미리 분류된 컨텐트 정보 형식별 저장 공간들(621, 622, 623, 624) 중 상기 파악된 "a.jpg" 컨텐트 정보(612)의 형식에 해당하는 "이미지" 저장 공간(623) 내에 상기 "a.jpg" 컨텐츠 정보(612)를 저장할 수 있다[S707].
그 다음으로, 제어부(270)는 사용자로부터 도 33의 (b)에서 수신된 "a.jpg" 컨텐트 정보(612)의 편집 명령이 입력되면[S708], 도 3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모리(240)에 기 구비된 이미지 편집 관련 애플리케이션(650)을 구동시킨다.
이때, 상기 편집 애플리케이션(650) 내에는 상기 이미지를 다양하게 방식으 로 편집할 수 있는 다수개의 편집 툴(tool)이 구비되고, 제2 단말기(200)의 사용자는 상기 편집 툴(tool)들을 이용하여 상기 "a.jpg" 컨텐트 정보(612)의 편집을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70)는 상기 편집툴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편집된 "a.jpg" 컨텐트 정보(612)를 저장할 수 있다[S709].
그 다음으로, 도 4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270)는 사용자로부터 도 33의 (b)에서 수신된 "a.jpg" 컨텐트 정보(612)의 실행 명령이 입력되면[S710], 메모리(240)에 기 구비된 이미지 실행 관련 애플리케이션(660)을 구동시키고, 상기 이미지 실행 애플리케이션(660)을 통해 "a.jpg" 컨텐트 정보(612)를 실행한다[S711].
이때, 이미지 실행 애플리케이션(660)은 다양한 포맷의 이미지를 표시하는 이미지 뷰어 소프트웨어가 될 수 있고, 도 39의 이미지 편집 애플리케이션(650)과 같이 편집 기능을 같이 제공할 수 있다.
즉, 상기 이미지 실행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a.jpg" 컨텐트 정보(612)를 표시할 수 있고, "a.jpg" 컨텐트 정보(612)를 편집 및 저장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1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된 컨텐트 정보가 url 등의 "웹페이지 주소 정보"이면, 제2 단말기(200)의 제어부(270)는 상기 웹페이지 접속 애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키고, 상기 웹페이지 접속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제1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된 웹페이지 주소에 자동으로 접속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1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된 "연락처 정보"이면, 제2 단말기(200)의 제어부(270)는 폰북 애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키고, 상기 폰북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수신된 연락처 정보를 편집하여 메모리(230)에 구비된 폰북에 업데이트할 수 있다. 또한, 제2 단말기(200)의 제어부(270)는 상기 수신된 연락처 정보로 통화를 연결하거나, 또는 상기 수신된 연락처 정보로 송신할 메시지 작성창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제2 단말기(200)의 사용자가 상기 메시지 작성창을 통해 메시지 내용을 작성하면, 제어부(270)는 상기 작성된 메시지를 상기 수신된 연락처 정보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1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된 컨텐트 정보가 "이메일 주소"이면, 제2 단말기(200)의 제어부(270)는 이메일 관련 애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키고, 상기 수신된 "이메일 주소"로 전송할 이메일 작성창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제2 단말기(200)의 사용자가 상기 이메일 작성창을 통해 이메일 내용을 작성하면, 제어부(270)는 상기 작성된 이메일을 상기 수신된 이메일 주소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1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된 컨텐트 정보가 "스케줄 정보"이면, 제2 단말기(200)의 제어부(270)는 스케줄 관리 애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키고, 상기 구동된 스케줄 관리 애플리케이션에 상기 수신된 "스케줄 정보"를 편집하여 업데이트할 수 있고, 또한 상기 구동된 스케줄 관리 애플리케이션에 상기 수신된 "스케줄 정보"를 편집없이 바로 업데이트를 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제2 단말기(200)의 메모리(230)에는 제1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된 컨텐트 정보의 실행 및 편집을 위한 애플리케이션들이 모두 구비될 수 있으며, 제2 단말기(200)의 제어부(270)는 제1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되는 컨텐트 정보 형식을 파악하고, 상기 파악된 컨텐트 정보의 형식에 해당하는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실행 및 편집 기능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도 41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단말기의 컨텐트 정보를 제1 단말기로 송신하는 과정을 나타낸 제6 실시예 흐름도이다.
도 42 및 도 43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단말기의 컨텐트 정보를 제1 단말기로 송신하는 과정을 나타낸 제6 실시예 화면 상태도이다.
도 41 내지 도 43을 참조하면, 제2 단말기(200)의 제어부(270)는 통신부(210)를 통해 제1 단말기(100)와 통신이 연결되면[S801], 제1 단말기(100)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컨텐트 정보가 포함된 화면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제1 단말기(100)의 화면 정보(610)를 디스플레이부(260)의 화면(600) 상에 표시한다[S802].
이때, 제2 단말기(200)의 제어부(270)는 도 4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260)의 화면(600)을 제1 및 제2 영역(610, 620)으로 분할하고, 제1 영역(610) 상에 제1 단말기(100)의 컨텐트 정보들(611, 612, 613)이 포함된 제1 화면 정보를 표시하고, 제2 영역(620) 상에 제2 단말기의 컨텐트 정보(625)가 포함된 제2 화면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제2 단말기(200)의 제어부(270)는 제1 및 제2 영역(610, 620)에 제1 및 제2 화면 정보를 표시한 상태에서, 입력부(220) 또는 터치 스크린 타입의 디스플레이부(26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제2 영역(620) 내의 "작업 문서.xls" 컨텐트 정보(625)가 선택되면[S803], 통신부(210)를 제어하여 "작업 문서.xls" 컨텐트 정 보(625)를 제1 단말기(100)로 송신한다[S804].
즉, 도 42의 (a)를 참조하면, 제어부(270)는 입력부(220)의 키패드와, 마우스 및 터치 스크린(260) 등을 통해 제1 단말기(100)로 송신할 "작업 문서.xls" 컨텐트 정보(625)가 제2 영역(620)에서 제1 영역(610)으로 드래그 앤 드랍되면, "작업 문서.xls" 컨텐트 정보(625)를 제1 단말기(100)로 송신한다.
즉, 제1 단말기(200)의 사용자는 입력부(220)의 키패드 및 마우스 등을 조작하여, 화면(600) 상의 포인터를 제2 영역(620) 내의 "작업 문서.xls" 컨텐트 정보(625)에 위치시킨 후, "작업 문서.xls" 컨텐트 정보(625)를 제1 영역(610) 내로 드래그 앤 드랍하면, 제어부(270)는 "작업 문서.xls" 컨텐트 정보(625)를 제1 단말기(100)로 송신한다.
또한, 고정 단말기(200)의 사용자는 터치 스크린 타입의 디스플레이부(260)의 제2 영역(620) 내의 "작업 문서.xls" 컨텐트 정보(625)를 터치한 상태에서, "작업 문서.xls" 컨텐트 정보(625)를 제1 영역(610) 내로 드래그 앤 드랍하면, 제어부(270)는 "작업 문서.xls" 컨텐트 정보(625)를 제1 단말기(100)로 송신한다.
또한, 제2 단말기(200)의 사용자는 입력부(220)의 키패드 및 마우스를 조작하여, "작업 문서.xls" 컨텐트 정보(625)를 선택한 상태에서 제1 영역(610)을 선택하면, 제어부(270)는 "작업 문서.xls" 컨텐트 정보(625)를 제1 단말기(100)로 송신한다.
또한, 제2 단말기(200)의 사용자는 터치 스크린 타입의 디스플레이부(260)의 제2 영역(620) 내의 "작업 문서.xls" 컨텐트 정보(625)와 제1 영역(610)을 멀티-터 치하면, 제어부(270)는 "작업 문서.xls" 컨텐트 정보(625)를 제1 단말기(100)로 송신한다.
또한, 도 4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단말기(200)의 사용자가 입력부(220)의 키패드 및 마우스를 조작하여 제2 영역(620) 내에서 제1 단말기(100)로 송신할 텍스트 컨텐트 정보(670)를 지정하면, 도 4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270)는 상기 지정된 텍스트 컨텐트 정보(670)를 제1 단말기(100)로 송신한다.
제1 단말기(100)는 도 41 내지 도 43에 의해 제2 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된 "작업 문서.xls" 컨텐트 정보(625)를 상술한 도 38 내지 도 40에 제시된 저장, 편집 및 실행 과정을 수행할 수 있고, 상기 저장, 편집 및 실행 화면 정보를 제2 단말기(200)로 송신할 수 있다.
<제7 실시예>
본 발명의 제7 실시예는, 제2 단말기가 복수의 제1 및 제3 단말기와 통신이 연결된 상태에서, 제1 및 제3 단말기의 화면 정보들을 제2 단말기의 화면 내에 각각 표시하고, 제1 단말기 화면 정보 내의 컨텐트 정보가 제3 단말기의 화면 정보 내로 이동되면, 제2 단말기가 제1 단말기의 컨텐트 정보를 제3 단말기로 전달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서는 제2 단말기는 PC 형태의 단말기이고, 제1 및 제3 단말기는 이동 단말기 형태인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도 44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단말기가 제1 단말기의 컨텐트 정보를 제3 단말 기로 전달하는 과정을 나타낸 제7 실시예 흐름도이다.
도 45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단말기 화면 상에 제2 단말기의 화면 정보와, 제1 및 제3 단말기의 화면 정보들이 함께 표시되는 상태를 나타낸 제7 실시예 화면 설명도이다.
도 46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단말기가 제1 단말기의 컨텐트 정보를 제3 단말기로 전달하는 과정을 나타낸 제7 실시예 화면 설명도이다.
도 44 내지 도 46을 참조하면, 제2 단말기(200)의 제어부(270)는 통신부(210)를 통해 제1 및 제3 단말기(100, 300)와 통신이 연결되면[S901], 제1 및 제3 단말기(100, 300)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컨텐트 정보가 포함된 화면 정보들을 각각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제1 및 제3 단말기(100, 300)의 화면 정보들(710, 730)를 디스플레이부(260)의 화면(700) 상에 표시한다[S902].
이때, 제2 단말기(200)의 제어부(270)는 도 4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260)의 화면(600)을 제1 내지 제3 영역(710, 720, 730)으로 분할하고, 제1 영역(710) 상에 컨텐츠 정보들(711, 712)이 포함된 제1 단말기(100)의 제1 화면 정보를 표시하고, 제2 영역(720) 상에 제2 단말기(200)의 제2 화면 정보를 표시하고, 제3 영역(730) 상에 제3 단말기(300)의 컨텐츠 정보들(731, 732)이 포함된 제3 화면 정보를 표시한다.
한편, 제2 단말기(200)의 제어부(270)는 제1 및 제3 영역(710, 730)에 제1 및 제2 단말기(100, 300)의 화면 정보들을 표시한 상태에서, 입력부(220) 또는 터치 스크린 타입의 디스플레이부(26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제1 영역(710) 내의 컨 텐트 정보(712)와 제3 영역(730)이 선택되면[S903], 통신부(210)를 제어하여 상기 선택된 제1 단말기(100)의 컨텐트 정보(712)를 제3 단말기(300)로 전달한다[S904].
이하, 도 46을 참조하여, S903 단계의 제1 단말기(100)의 컨텐트 정보 선택 과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46을 참조하면, 제어부(270)는 입력부(220)의 키패드와, 마우스 및 터치 스크린(260) 등을 통해 제3 단말기(300)로 전달할 제1 단말기(100)의 "a.jpg" 컨텐츠 정보(712)가 제1 영역(710)에서 제3 영역(730)으로 드래그 앤 드랍되면[도 46의 (a)], "a.jpg" 컨텐트 정보(712)를 제3 단말기(300)로 전달한다[도 46의 (b)].
즉, 제2 단말기(200)의 사용자는 입력부(220)의 키패드 및 마우스 등을 조작하여, 화면(700) 상의 포인터를 제1 영역(710) 내의 "a.jpg" 컨텐트 정보(712)에 위치시킨 후, "a.jpg" 컨텐트 정보(712)를 제3 영역(730) 내로 드래그 앤 드랍하면[도 46의 (a)], 제어부(270)는 "a.jpg" 컨텐트 정보(712)를 제3 단말기(300)로 전달한다[도 46의 (b)].
또한, 제2 단말기(200)의 사용자는 입력부(220)의 키패드 및 마우스를 조작하여, "a.jpg" 컨텐트 정보(712)를 선택한 상태에서 제3 영역(730)을 선택하면, 제어부(270)는 "a.jpg" 컨텐트 정보(712)를 제3 단말기(300)로 전달한다.
또한, 제2 단말기(200)의 사용자는 터치 스크린(260)의 제1 영역(710) 내의 "a.jpg" 컨텐트 정보(712)와 제3 영역(730)을 멀티-터치하면, 제어부(270)는 "a.jpg" 컨텐트 정보(712)를 제3 단말기(300)로 전달한다.
제어부(270)는 도 46에서 선택된 컨텐트 정보(712)를 제3 단말기(300)로 전달할 경우, 상기 컨텐트 정보(712)를 제3 단말기(300)로 송신을 명령하는 신호를 생성하고, 통신부(210)를 통해 상기 생성된 송신 명령 신호를 제1 단말기(100)로 송신한다.
그러면, 제1 단말기(100)는 제2 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된 송신 명령 신호에 따라, 컨텐트 정보(712)를 제3 단말기(300)로 송신하는 것이다.
이때, 제어부(270)는 도 4 및 도 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 46의 (a)에서 제1 영역(710)의 컨텐트 정보(712)가 선택되면, 상기 제1 영역(710) 상에서 컨텐트 정보(712)의 표시 위치를 파악하고, 상기 송신 명령 신호 내에 상기 파악된 컨텐트 정보(712)의 표시 위치를 포함시켜 제1 단말기(100)로 송신할 수 있다. 그러면, 제1 단말기(100)는 현재 화면 내에서 상기 수신된 표시 위치에 존재하는 컨텐트 정보(712)를 제3 단말기(300)로 송신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제어부(270)는 통신부(210)를 통해 도 46에서 선택된 컨텐트 정보(712)를 제1 단말기(100)로 요청하여 수신하고, 제1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된 컨텐트 정보(712)를 제3 단말기(300)로 송신하여 전달할 수도 있다.
도 47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단말기가 제3 단말기의 컨텐트 정보를 제1 단말기로 전달하는 과정을 나타낸 제7 실시예 흐름도이다.
도 48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단말기가 제3 단말기의 컨텐트 정보를 제1 단말기로 전달하는 과정을 나타낸 제7 실시예 화면 상태도이다.
도 47 및 도 48을 참조하면, 제2 단말기(200)의 제어부(270)는 통신부(210) 를 통해 제1 및 제3 단말기(100, 300)와 통신이 연결되면[S1101], 제1 및 제3 단말기(100, 300)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컨텐트 정보가 포함된 화면 정보들을 각각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제1 및 제3 단말기(100, 300)의 화면 정보들(710, 730)를 디스플레이부(260)의 화면(700) 상에 표시한다[S1102].
제2 단말기(200)의 제어부(270)는 제1 및 제3 영역(710, 730)에 제1 및 제3 단말기(100, 300)의 화면 정보들을 표시한 상태에서, 입력부(220) 또는 터치 스크린 타입의 디스플레이부(26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제3 영역(730) 내의 컨텐트 정보(731)와 제1 영역(710)이 선택되면[S1103], 통신부(210)를 제어하여 상기 선택된 제3 단말기(300)의 컨텐트 정보(731)를 제1 단말기(100)로 전달한다[S1104].
즉, 도 48을 참조하면, 제어부(270)는 입력부(220)의 키패드와, 마우스 및 터치 스크린(260) 등을 통해 제1 단말기(100)로 전달할 제3 단말기(300)의 "d.avi" 컨텐트 정보(731)가 제3 영역(730)에서 제1 영역(710)으로 드래그 앤 드랍되면[도 48의 (a)], "d.avi" 컨텐트 정보(731)를 제1 단말기(100)로 전달한다[도 48의 (b)].
또한, 제2 단말기(200)의 사용자는 입력부(220)의 키패드 및 마우스를 조작하여, "d.avi" 컨텐츠 정보(721)를 선택한 상태에서 제1 영역(710)을 선택하면, 제어부(270)는 "d.avi" 컨텐츠 정보(731)를 제1 단말기(100)로 전달한다.
또한, 제2 단말기(200)의 사용자는 터치 스크린(260)의 제3 영역(730) 내의 "d.avi" 컨텐츠 정보(731)와 제1 영역(710)을 멀티-터치하면, 제어부(270)는 "d.avi" 컨텐츠 정보(731)를 제1 단말기(100)로 전달한다.
<제8 실시예>
본 발명의 제8 실시예는, 제1 단말기와 제2 단말기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동작 제어를 위한 근거리 통신이 연결된 상태에서, 제1 단말기가 외부의 제3 단말기와 이동 통신 연결되면, 제2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근거리 통신용 데이터를 이동 통신용 데이터로 변환하여 제3 단말기로 송신하고, 제3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이동 통신용 데이터를 근거리 통신용 데이터로 변환하여 제2 단말기로 송신함으로써, 삼자간의 이종 통신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서는 제2 단말기는 PC 형태의 단말기이고, 제1 및 제3 단말기는 이동 단말기 형태인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이하, 도 49 및 도 5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49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단말기와 제1 단말기 및 제3 단말기 간에 서로 다른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음성 통화 과정을 나타낸 제8 실시예 신호 처리도이다.
도 49를 참조하면, 제1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제2 단말기(200)와 원격 제어 통신이 연결되면[S1201], 상술한 제1 내지 제7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고, 또한, 상기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제2 단말기(200)와 음성 통화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제2 단말기(200)의 제어부(270)는 마이크(25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음성을 근거리 통신용 음성 신호로 변환하고, 통신부(210)를 통해 상기 변환된 그 거리 통신용 음성 신호를 제1 단말기(100)로 송신한다[S1202]. 또한, 제2 단말기(200)의 제어부(270)는 통신부(210)를 통해 수신된 제1 단말기(100)의 통화용 음성 신호를 스피커(240)로 출력한다.
제1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마이크(122)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음성을 근거리 통신용 음성 신호로 변환하고, 통신부(110)를 통해 상기 변환된 근거리 통신용 음성 신호를 제2 단말기(200)로 송신한다[S1203]. 또한, 제1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통신부(110)를 통해 수신된 제2 단말기(200)의 통화용 음성 신호를 음향 출력 모듈(152)로 출력한다.
상기와 같이, 제1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제2 단말기(200)와 근거리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음성 통화 중, 외부의 제3 단말기(300)와 이동 통신 연결되면[S1204], 제3 단말기(300)와 통신 연결 유무를 문의하는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문의 신호를 제2 단말기(200)로 송신한다[S1205].
이때, 상기 이동 통신은, 코드 분할 다중 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범용 이동통신 시스템(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s; 'UMTS'), 이동통신 글로벌 시스템(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SM'), 광대역 부호 분할 다중 접속(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 중 어느 하나의 이동 통신 방식이 될 수 있다.
제2 단말기(200)의 제어부(270)는 제1 단말기(100)로부터 상기 문의 신호가 수신되면, 디스플레이부(260)의 화면에 제3 단말기(300)와의 통신 연결 유무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창을 표시한다.
제어부(270)는 상기 선택창에서 제3 단말기(300)와의 통신 연결 수락이 선택되면[S1206], 상기 통신 연결 수락을 알리는 신호를 제1 단말기(100)로 송신하고, 마이크(250)로부터 입력된 사용자의 음성 신호를 제1 단말기(100)로 송신한다[S1207].
또한, 제2 단말기(200)의 제어부(270)는 상기 선택창에서 제3 단말기(300)와의 통신 연결 차단이 선택되면, 상기 통신 연결 차단을 알리는 신호를 제1 단말기(100)로 송신한다.
제1 단말기(100)는 제2 단말기(200)로부터 상기 통신 연결 차단을 알리는 신호가 수신되면, 제2 단말기(200)와 제3 단말기(300)간의 통신 연결을 차단시킨다[S1208].
한편, 제1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제2 단말기(200)로부터 근거리 통신용 음성 신호가 수신되면[S1207], 상기 수신된 근거리 통신용 음성 신호를 이동 통신용 음성 신호로 변환하고[S1209], 상기 변환된 이동 통신용 음성 신호를 제3 단말기(300)로 송신한다[S1210].
또한, 제1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제3 단말기(300)로부터 이동 통신용 음성 신호가 수신되면[S1211], 상기 수신된 이동 통신용 음성 신호를 근거리 통신용 음성 신호로 변환하고[S1212], 상기 변환된 근거리 통신용 음성 신호를 제2 단말기(200)로 송신한다[S1213].
도 50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단말기와 제1 단말기 및 제3 단말기 간에 메시지 및 음성을 이용한 통화 과정을 나타낸 제8 실시예 신호 처리도이다.
도 50을 참조하면, 제1 단말기(100)는 제2 단말기(200)와 근거리 통신 방식으로 연결되고[S1301], 제3 단말기(300)와는 이동 통신 방식으로 연결된다[S1302].
이때, 제1 단말기(100)는 근거리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제2 단말기(200)와 문자 메시지 통신을 수행하고, 제3 단말기(300)와는 이동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음성 통화를 수행한다.
제1 단말기(100)는 제2 단말기(200)로 제3 단말기(300)와 통신 연결 유무를 문의하는 신호를 송신한다[S1303].
제2 단말기(200)는 제1 단말기(100)로부터 상기 문의 신호가 수신되면, 디스플레이부(260)의 화면에 제3 단말기(300)와의 통신 연결 유무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창을 표시한다.
제2 단말기(200)는 상기 선택창에서 제3 단말기(300)와의 통신 연결 수락이 선택되면[S1304], 상기 통신 연결 수락을 알리는 신호를 제1 단말기(100)로 송신하고, 사용자로부터 메시지 내용을 입력받고[S1305],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메시지를 제1 단말기(100)로 송신한다[S1306].
또한, 제2 단말기(200)는 상기 선택창에서 제3 단말기(300)와의 통신 연결 차단이 선택되면, 상기 통신 연결 차단을 알리는 신호를 제1 단말기(100)로 송신한다.
제1 단말기(100)는 제2 단말기(200)로부터 상기 통신 연결 차단을 알리는 신호가 수신되면, 제2 단말기(200)와 제3 단말기(300)간의 통신 연결을 차단시킨다[S1307].
한편, 제1 단말기(100)는 제2 단말기(200)로부터 근거리 통신용 메시지가 수신되면[S1306], 문자 음성 변환부(181)를 이용하여 상기 메시지 내용을 이동 통신용 음성 신호로 변환하고[S1308], 상기 변환된 이동 통신용 음성 신호를 제3 단말기(300)로 송신한다[S1309].
즉, 제1 단말기(100)는 제2 단말기(200)의 메시지 내용을 음성 통화 내용으로 변환하여 제3 단말기(300)로 송신함으로써, 제3 단말기(300)의 사용자는 제1 단말기(100)를 통해 제3 단말기(200)와 음성으로 통화를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제1 단말기(100)는 제3 단말기(300)로부터 이동 통신용 음성 신호가 수신되면[S1310], 문자 음성 변환부(181)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된 이동 통신용 음성 신호를 근거리 통신용 메시지로 변환하고[S1311], 상기 변환된 근거리 통신용 메시지를 제2 단말기(200)로 송신한다[S1312].
즉, 제1 단말기(100)는 제3 단말기(300)의 음성 통화 내용을 문자 메시지로 변환하여 제2 단말기(200)로 송신함으로써, 제2 단말기(200)의 사용자는 제1 단말기(100)를 통해 제3 단말기(200)와 메시지 통신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S1308 단계에서 제1 단말기(100)가 제2 단말기(200)의 메시지를 이동 통신용 음성 신호로 변환하였으나, 제2 단말기(200)에서 문자 음성 변환부(271)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작성한 메시지 내용을 이동 통신용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제1 단말기(100)로 송신할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 형태의 제1 단말기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PC 형태의 제2 단말기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 형태의 제1 단말기와 PC 형태의 제2 단말기로 구성된 원격 제어 시스템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4는 제2 단말기가 제1 단말기의 폰북 메뉴 기능을 무선 통신으로 제어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상태도이다.
도 5는 제2 단말기가 제1 단말기의 메시지 메뉴 기능을 무선 통신으로 제어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상태도이다.
도 6은 제2 단말기가 제1 단말기의 카메라 메뉴 기능을 무선 통신으로 제어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상태도이다.
도 7은 제2 단말기가 제1 단말기의 이미지 메뉴 기능을 무선 통신으로 제어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상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 형태의 제1 및 제3 단말기로 구성된 동작 제어 시스템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PC 형태의 제2 단말기와, 이동 단말기 형태의 제1 및 제3 단말기로 구성된 동작 제어 시스템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동작 제어 시스템에서 제2 단말기가 제1 단말기와 통신을 접속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동작 제어 시스템에서 제1 단말기가 제2 단말기와 통신을 접속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 제어 시스템에서 제1 단말기(100)과 제2 단말기(200)간의 데이터 송신 및 수신 과정을 나타낸 제1 실시예 신호 처리도이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단말기가 제1 알림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제1 실시예 화면 설명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단말기와 제2 단말기간의 데이터 송신 및 수신 과정을 나타낸 제2 실시예 신호 처리도이다.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단말기가 이벤트 발생 사실을 알리는 제2 알림 정보의 생성 및 표시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제2 실시예 화면 설명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단말기에서 제1 단말기의 동종의 컨텐트 정보들을 엑세스하는 과정을 나타낸 제3 실시예 신호 처리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단말기에서 제1 단말기의 동종의 컨텐트 정보들을 엑세스하는 과정을 나타낸 제3 실시예 화면 설명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단말기에서 제1 단말기의 타종의 정보들을 엑세스하는 과정을 나타낸 제3 실시예 신호 처리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단말기에서 제1 단말기의 타종의 정보들을 엑세스하는 과정을 나타낸 제3 실시예 화면 설명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단말기가 제1 단말기와 자동 통신 연결을 위한 제어 동작을 나타낸 제4 실시예 흐름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단말기가 제1 단말기를 주기적으로 검색하기 위한 시간 주기를 설정하는 과정을 나타낸 제4 실시예 화면 설명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단말기가 제1 단말기를 주기적으로 검색하기 위한 시간 주기를 재 설정하는 과정을 나타낸 제4 실시예 화면 설명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단말기가 제1 단말기와 통신 연결 해제 및 통신 재 연결 동작을 나타낸 제5 실시예 흐름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단말기가 제1 단말기와 통신 연결 해제 및 통신 재 연결 동작을 나타낸 제5 실시예 화면 설명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단말기에서 제1 단말기와의 통신 연결 해제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제5 실시예 화면 설명도이다.
도 28 및 도 29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단말기에서 제1 단말기와의 통신 연결 해제 및 통신 재 연결 상태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것을 나타낸 제5 실시예 화면 설명도이다.
도 30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단말기가 제2 단말기와 통신 연결 해제 및 통신 재 연결 동작을 나타낸 제5 실시예 흐름도이다.
도 31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단말기가 제1 단말기로부터 컨텐트 정보 수신, 저장, 편집 및 실행 과정을 나타낸 제6 실시예 흐름도이다.
도 32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단말기 화면 상에 제2 단말기의 화면 정보 및 제1 단말기의 화면 정보가 함께 표시되는 상태를 나타낸 제6 실시예 화면 상태도이 다.
도 33 내지 37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단말기가 제1 단말기로부터 컨텐트 정보 수신 및 저장 과정을 나타낸 제6 실시예 화면 상태도이다.
도 38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단말기가 제1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컨텐트 정보를 분류하여 저장하는 과정을 나타낸 제6 실시예 화면 상태도이다.
도 39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단말기가 제1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컨텐트 정보의 실행 과정을 나타낸 제6 실시예 화면 상태도이다.
도 40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단말기가 제1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컨텐트 정보의 편집 과정을 나타낸 제6 실시예 화면 상태도이다.
도 41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단말기의 컨텐트 정보를 제1 단말기로 송신하는 과정을 나타낸 제6 실시예 흐름도이다.
도 42 및 도 43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단말기의 컨텐트 정보를 제1 단말기로 송신하는 과정을 나타낸 제6 실시예 화면 상태도이다.
도 44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단말기가 제1 단말기의 컨텐트 정보를 제3 단말기로 전달하는 과정을 나타낸 제7 실시예 흐름도이다.
도 45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단말기 화면 상에 제2 단말기의 화면 정보와, 제1 및 제3 단말기의 화면 정보들이 함께 표시되는 상태를 나타낸 제7 실시예 화면 설명도이다.
도 46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단말기가 제1 단말기의 컨텐트 정보를 제3 단말기로 전달하는 과정을 나타낸 제7 실시예 화면 설명도이다.
도 47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단말기가 제3 단말기의 컨텐트 정보를 제1 단말기로 전달하는 과정을 나타낸 제7 실시예 흐름도이다.
도 48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단말기가 제3 단말기의 컨텐트 정보를 제1 단말기로 전달하는 과정을 나타낸 제7 실시예 화면 상태도이다.
도 49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단말기와 제1 단말기 및 제3 단말기 간에 서로 다른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음성 통화 과정을 나타낸 제8 실시예 신호 처리도이다.
도 50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단말기와 제1 단말기 및 제3 단말기 간에 메시지 및 음성을 이용한 통화 과정을 나타낸 제8 실시예 신호 처리도이다.

Claims (23)

  1. 하우징의 전면에 하드웨어 키버튼이 구비되는 외부의 단말기와 통신 연결되어, 상기 외부 단말기에서 디스플레이되는 화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화면 상의 제1 영역에 상기 수신된 외부 단말기의 화면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외부 단말기의 화면 정보와 함께 상기 외부 단말기의 하우징의 전면을 상기 화면 상의 제1 영역에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제1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외부 단말기 화면 내의 컨텐트 정보가 선택되는 단계;
    상기 제1 영역 내에서 상기 컨텐트 정보의 디스플레이 위치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된 컨텐트 정보의 디스플레이 위치 정보를 상기 외부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단말기의 제어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단말기로부터 상기 위치 정보에 해당하는 컨텐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외부 단말기의 화면 정보와 함께, 상기 하우징의 전면의 하드웨어 키버튼에 대응되는 소프트웨어 키버튼을 상기 화면 상의 제1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고,
    상기 소프트웨어 키버튼은, 상기 외부 단말기의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형성된 것과 동일한 배치로 상기 화면 상의 제1 영역에서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제어 방법.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컨텐트 정보가 저장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단말기의 제어 방법.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단계는,
    상기 수신된 컨텐트 정보의 형식을 확인하는 단계; 및
    컨텐트 정보 형식 별로 분류된 저장 공간들 중 상기 확인된 컨텐트 정보 형식에 해당하는 저장 공간에 상기 수신된 컨텐트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단말기의 제어 방법.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컨텐트 정보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컨텐트 정보의 실행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는 단계; 및
    상기 구동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상기 컨텐트 정보를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단말기의 제어 방법.
  6.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컨텐트 정보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컨텐트 정보의 편집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는 단계; 및
    상기 구동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편집된 컨텐트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단말기의 제어 방법.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된 컨텐트 정보가 상기 제1 영역으로 드래그 앤 드랍(Drag and Drop)되면, 상기 저장된 컨텐트 정보를 상기 외부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단말기의 제어 방법.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트 정보 선택 단계는, 상기 컨텐트 정보가 상기 화면 상에서 제1 영역을 제외한 영역으로 드래그 앤 드랍(Drag and Drop)되어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제어 방법.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상에서 제1 영역 밖에 표시된 컨텐트 정보가 선택되면, 상기 외부 단말기로 상기 선택된 컨텐트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단말기의 제어 방법.
  10. 하우징의 전면에 하드웨어 키버튼이 구비되는 외부 단말기와 통신 연결되어 상기 외부 단말기에서 디스플레이되는 화면 정보를 수신하는 무선 통신부;
    화면 상의 제1 영역에 상기 수신된 외부 단말기의 화면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수신된 외부 단말기의 화면 정보와 함께 상기 외부 단말기의 하우징의 전면을 상기 화면 상의 제1 영역에서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1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외부 단말기 화면 내의 컨텐트 정보가 선택될 때 상기 제1 영역 내에서 상기 컨텐트 정보의 디스플레이 위치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컨텐트 정보의 디스플레이 위치 정보를 상기 외부 단말기로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단말기.
  11. 하우징의 전면에 하드웨어 키버튼을 구비하는 단말기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컨텐트 정보가 포함된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외부의 단말기와 통신 연결하는 단계;
    상기 외부 단말기로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화면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외부 단말기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에 관한 디스플레이 위치 정보가 포함된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화면 상에서 상기 수신된 디스플레이 위치에 해당하는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 및
    상기 외부 단말기에서 상기 송신된 화면 정보와 함께 상기 하우징의 전면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단말기의 제어 방법.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실행 단계는,
    상기 화면 상에서 상기 위치에 해당하는 컨텐트 정보를 실행하는 단계;
    상기 컨텐트 정보의 실행 화면 정보를 상기 외부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외부 단말기에서, 상기 송신된 화면 정보와 함께 상기 하우징의 전면의 하드웨어 키버튼에 대응되는 소프트웨어 키버튼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소프트웨어 키버튼이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형성된 것과 동일한 배치로 상기 외부 단말기에서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제어 방법.
  13.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실행 단계는,
    상기 화면 상에서 상기 위치에 해당하는 컨텐트 정보의 편집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는 단계; 및
    상기 구동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편집된 컨텐트 정보의 편집 화면 정보를 상기 외부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단말기의 제어 방법.
  14.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실행 단계는, 상기 화면 상에서 상기 위치에 해당하는 컨텐트 정보를 상기 외부 단말기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제어 방법.
  15. 전면에 하드웨어 키버튼을 구비하는 하우징;
    적어도 하나의 컨텐트 정보가 포함된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외부의 단말기와 통신 연결되면, 상기 외부 단말기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디스플레이되는 화면 정보를 송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외부 단말기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에 관한 디스플레이 위치 정보가 포함된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화면 상에서 상기 수신된 디스플레이 위치에 해당하는 기능을 실행하고, 상기 외부 단말기에서 상기 송신된 화면 정보와 함께 상기 하우징의 전면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단말기.
  16. 제1 외부 단말기와 제1 통신 방식으로 연결되는 단계;
    제1 외부 단말기와 제1 통신 방식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제2 외부 단말기와 제2 통신 방식으로 연결되는 단계;
    제1 외부 단말기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제1 화면 정보 및 제2 외부 단말기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제2 화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화면 상의 제1 및 제2 영역 각각에 상기 수신된 제1 및 제2 화면 정보를 동시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제1 화면 내의 컨텐트 정보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컨텐트 정보를 제1 통신 방식으로 제1 외부 단말기에서 수신하여 제2 통신 방식으로 변환하여 제2 외부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단말기의 제어 방법.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 단계는,
    제1 화면 내의 컨텐트 정보가 제2 화면 내로 드래그 앤 드랍되면, 상기 드래 그 앤 드랍된 컨텐트 정보를 제2 외부 단말기로 송신을 명령하는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송신 명령 신호를 제1 외부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단말기의 제어 방법.
  18.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 단계는,
    제1 화면 내의 컨텐트 정보가 제2 화면 내로 드래그 앤 드랍되면, 제1 외부 단말기로 상기 드래그 앤 드랍된 컨텐트 정보를 요청하여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컨텐트 정보를 제2 외부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단말기의 제어 방법.
  19. 제1 외부 단말기와 제1 통신 방식으로 연결되고, 제2 외부 단말기와 제2 통신 방식으로 연결되고, 제1 및 제2 외부 단말기에서 각각 디스플레이되는 제1 및 제2 화면 정보를 수신하는 무선 통신부;
    화면 상의 제1 및 제2 영역 각각에 상기 수신된 제1 및 제2 화면 정보를 동시에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제1 화면 내의 컨텐츠 정보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컨텐츠 정보를 제1 통신 방식으로 제1 외부 단말기에서 수신하여 제2 통신 방식으로 변환하여 제2 외부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단말기.
  20. 삭제
  21. 제16 항에 있어서,
    제1 통신 방식은, 근거리 통신 방식이고,
    제2 통신 방식은, 이동 통신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제어 방법.
  22.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외부 단말기와 송수신하는 데이터는, 메시지이고,
    상기 제2 외부 단말기와 송수신하는 데이터는, 통화용 음성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제어 방법.
  23. 삭제
KR1020090053946A 2009-04-14 2009-06-17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0623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3946A KR101062352B1 (ko) 2009-06-17 2009-06-17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US12/545,376 US8914462B2 (en) 2009-04-14 2009-08-21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12/545,365 US20100259464A1 (en) 2009-04-14 2009-08-21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EP09014406A EP2242240A1 (en) 2009-04-14 2009-11-18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EP09014464.3A EP2242241B1 (en) 2009-04-14 2009-11-19 Exchange of displayed content information between two terminals
EP15002140.0A EP2958305B1 (en) 2009-04-14 2009-11-19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EP17209924.4A EP3337147A1 (en) 2009-04-14 2009-11-19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DE202009019049.8U DE202009019049U1 (de) 2009-04-14 2009-11-19 Netzwerkkommunikationsvorrichtung mit einem ersten Gerät und einem zweiten Gerät
US12/816,270 US20100261507A1 (en) 2009-04-14 2010-06-15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12/816,318 US20100261508A1 (en) 2009-04-14 2010-06-15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14/543,722 US20150072675A1 (en) 2009-04-14 2014-11-17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14/801,628 US9413820B2 (en) 2009-04-14 2015-07-16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14/831,604 US9456028B2 (en) 2009-04-14 2015-08-20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15/241,628 US9753629B2 (en) 2009-04-14 2016-08-19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15/241,700 US9792028B2 (en) 2009-04-14 2016-08-19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3946A KR101062352B1 (ko) 2009-06-17 2009-06-17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5519A KR20100135519A (ko) 2010-12-27
KR101062352B1 true KR101062352B1 (ko) 2011-09-05

Family

ID=435099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3946A KR101062352B1 (ko) 2009-04-14 2009-06-17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235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4450Y1 (ko) * 2013-09-09 2014-09-17 장지연 휴대 단말의 통화 제어 장치
KR20160102834A (ko) * 2015-02-23 2016-08-31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70008576A (ko) * 2015-07-14 2017-01-2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및 전자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0403B1 (ko) 2011-05-13 2017-12-19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주변 디바이스의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EP2786293B1 (en) * 2011-11-29 2021-08-18 Spotify AB Content provider with multi-device secure application integration
US9306990B2 (en) * 2013-02-14 2016-04-05 Raytheon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map collaboration
KR102099176B1 (ko) * 2013-08-01 2020-04-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307485B1 (ko) * 2013-12-24 2021-09-30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외장형 동글을 이용한 다자간 컨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US20150245163A1 (en) * 2014-02-25 2015-08-27 Sony Corporation Proximity detection of candidate companion display device in same room as primary display using wi-fi or bluetooth signal strength
KR101649656B1 (ko) * 2014-09-25 2016-08-19 엘지전자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1061744B2 (en) * 2018-06-01 2021-07-13 Apple Inc. Direct input from a remote device
KR102288971B1 (ko) * 2019-12-18 2021-08-10 권오경 컨텐츠 월렛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기주권신원 및 저작권 인증 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4450Y1 (ko) * 2013-09-09 2014-09-17 장지연 휴대 단말의 통화 제어 장치
KR20160102834A (ko) * 2015-02-23 2016-08-31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330475B1 (ko) * 2015-02-23 2021-1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70008576A (ko) * 2015-07-14 2017-01-2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및 전자 장치
KR102390082B1 (ko) * 2015-07-14 2022-04-2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및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5519A (ko) 2010-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2352B1 (ko)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EP2242241B1 (en) Exchange of displayed content information between two terminals
KR102082417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204554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102225945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057898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26480A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CN110795007B (zh) 一种获取截图信息的方法及装置
KR20170016165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057196B1 (ko) 정보 전송 방법 및 시스템과 그 기기
KR101672215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101019485B1 (ko) 단말기 및 무선 통신을 이용한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101612301B1 (ko) 단말기 및 그 메뉴 편집 방법
KR101677643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80065692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55225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100219B1 (ko) 단말기 및 그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
KR20180004943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70047059A (ko) 정보 표시를 수행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14193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691805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20180057035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80013161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60115295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20150093356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