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4450Y1 - 휴대 단말의 통화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의 통화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4450Y1
KR200474450Y1 KR2020130007554U KR20130007554U KR200474450Y1 KR 200474450 Y1 KR200474450 Y1 KR 200474450Y1 KR 2020130007554 U KR2020130007554 U KR 2020130007554U KR 20130007554 U KR20130007554 U KR 20130007554U KR 200474450 Y1 KR200474450 Y1 KR 2004744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call
portable terminal
function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75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지연
Original Assignee
장지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지연 filed Critical 장지연
Priority to KR20201300075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445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44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445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Abstract

휴대 단말의 통화 제어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은, 다른 휴대 단말과 통화가 연결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화면이 드래그되면, 미리 설정된 기능을 수행하고, 수행한 기능 동작 화면을 다른 휴대 단말과 동시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발신자와 수신자는 통화를 함과 동시에 서로 동일한 기능 동작 화면을 보면서 커뮤니케이션을 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 단말의 통화 제어 장치{Apparatus for controlling a call of a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 단말의 통화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른 휴대 단말과 통화가 연결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화면이 드래그되면, 미리 설정된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휴대 단말의 통화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휴대 단말을 사용하는 사용자는 음성 통화 기능, 영상 통화 기능, 데이터 전송 기능 등을 이용하려 할 때, 한번에 하나의 기능만을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음성 통화를 하면서 어플리케이션 등과 같은 데이터를 수신 단말로 전송할 수 없다. 또한, 음성 통화와 영상 통화의 전환이 어려운 문제도 있다. 이에 따라, 발신자는 수신자와 음성이나 영상을 통해 커뮤니케이션을 하게 되고, 다른 자료 등을 공유하면서 커뮤니케이션을 할 수 없는 불편함이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10003(2013.01.24.) 전화통화중의 화상회의 설정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다른 휴대 단말과 통화가 연결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화면이 드래그되면, 미리 설정된 기능을 수행하고, 수행한 기능 동작 화면을 다른 휴대 단말과 동시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휴대 단말의 통화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의 통화 제어 장치는, 다른 휴대 단말과 호 연결이 가능한 휴대 단말의 통화 제어 장치로서, 무선 통신부; 영상 출력부; 및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상기 다른 휴대 단말과 통화가 연결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화면이 드래그되면, 미리 설정된 기능을 수행하고, 수행한 기능 동작 화면을 상기 다른 휴대 단말과 동시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무선 통신부와 상기 영상 출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다른 휴대 단말과 통화가 연결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화면이 드래그되면, 영상 통화 기능, 선택된 아이템 전송 기능 및 현재 화면 전송 기능 중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 출력부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전체 화면 영역을 논리적으로 복수 개의 화면 영역으로 분할하고, 분할된 하나의 화면 영역에 상기 수행한 기능 동작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행한 기능 동작 화면을 PIP(Picture In Picture) 형태로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다른 휴대 단말과 통화가 연결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화면이 드래그되면, 화면 드래그 방향에 따라 서로 다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의 통화 제어 방법은, 다른 휴대 단말과 호 연결이 가능한 휴대 단말의 통화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다른 휴대 단말과 통화가 연결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화면이 드래그되면, 미리 설정된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 및 수행한 기능 동작 화면을 상기 다른 휴대 단말과 동시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기능 수행 단계는 상기 다른 휴대 단말과 통화가 연결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화면이 드래그되면, 영상 통화 기능, 선택된 아이템 전송 기능 및 현재 화면 전송 기능 중 하나를 수행하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 단계는 상기 휴대 단말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전체 화면 영역을 논리적으로 복수 개의 화면 영역으로 분할하고, 분할된 하나의 화면 영역에 상기 수행한 기능 동작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 단계는 상기 수행한 기능 동작 화면을 PIP 형태로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기능 수행 단계는 상기 다른 휴대 단말과 통화가 연결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화면이 드래그되면, 화면 드래그 방향에 따라 서로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상기한 휴대 단말의 통화 제어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기록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른 휴대 단말과 통화가 연결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화면이 드래그되면, 미리 설정된 기능을 수행하고, 수행한 기능 동작 화면을 다른 휴대 단말과 동시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함으로써, 발신자와 수신자는 통화를 함과 동시에 서로 동일한 기능 동작 화면을 보면서 커뮤니케이션을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의 통화 제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른 휴대 단말과 통화가 연결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화면이 드래그되면 수행되는 기능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른 휴대 단말과 통화가 연결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화면이 드래그되면 수행되는 기능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의 통화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의 통화 제어 장치 및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의 통화 제어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의 통화 제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의 통화 제어 장치(100)(이하 '통화 제어 장치'라 한다)는 다른 휴대 단말과 통화가 연결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화면이 드래그되면, 미리 설정된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통화 제어 장치(100)는 수행한 기능 동작 화면을 다른 휴대 단말과 동시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한다. 이를 위해, 통화 제어 장치(100)는 무선 통신부(110), 입력부(130), 저장부(150), 출력부(170) 및 제어부(190)를 구비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10)는 외부 장치와 각종 신호, 데이터 등을 통신망(도시하지 않음)을 통해 송수신한다. 이를 위해,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통신 모듈(도시하지 않음), 무선 인터넷 모듈(도시하지 않음), 방송 송수신 모듈(도시하지 않음), 근거리 통신 모듈(도시하지 않음)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이동 통신 모듈은 무선 통신망 상에서 이동통신 시스템(도시하지 않음)과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이동 통신 모듈을 통해 휴대 단말(100)은 다른 휴대 단말(100)과 호 연결을 하거나 문자, 멀티미디어 메시지 등을 주고 받을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은 무선 인터넷에 접속하여 정보를 획득하거나 전송한다. 여기서, 무선 인터넷에는 WLAN(Wireless LAN),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등이 있다.
방송 송수신 모듈은 각종 방송 시스템(도시하지 않음)을 통해 방송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서, 방송 시스템에는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 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 Terrestrial) 등이 있다. 방송 송수신 모듈을 통해 송수신되는 방송 신호는, 교통 정보, 생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은 다른 장치와 근거리 통신을 통해 각종 신호, 데이터 등을 송수신한다. 근거리 통신 모듈은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의 통신 방식을 통해 다른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입력부(130)는 통화 제어 장치(100)의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물리적 입력을 특정한 전기 신호로 변환한다. 이를 위해,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푸쉬 동작 등에 의해 조작되는 키 입력 모듈(도시하지 않음), 사용자의 음성, 주변에서 발생된 음향 등을 수신할 수 있는 마이크 모듈(도시하지 않음)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저장부(150)는 통화 제어 장치(100)의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이나 데이터, 동작에 의해 생성된 데이터 등을 저장한다. 저장부(150)는 통화 제어 장치(100)의 내부에 내장된 저장 매체이거나, 탈부착 가능한 저장 매체일 수 있다. 여기서, 저장 매체에는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hard disk),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컨대, SD 메모리,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 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 디스크 등이 있다.
출력부(170)는 각종 신호, 데이터 등을 출력한다. 이를 위해, 출력부(170)는 영상 출력부(171) 및 음성 출력부(173)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 출력부(171)는 디스플레이 모듈(도시하지 않음)을 구비하며, 시각적으로 인식될 수 있는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해 출력한다. 디스플레이 모듈은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 Liquid Crystal Display, TFT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모듈과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터치 센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에는, 디스플레이 모듈은 데이터의 출력부(170)인 동시에 입력부(130)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음성 출력부(173)는 오디오 출력 모듈(도시하지 않음)을 구비하며, 청각적으로 인식될 수 있는 데이터를 출력한다. 오디오 출력 모듈은 스피커(speaker) 등을 통해 데이터를 소리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출력 모듈은 통화 제어 장치(100)와 유무선으로 연결된 이어폰/헤드셋 등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이후, 이어폰/헤드셋은 수신한 데이터를 소리로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90)는 통화 제어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190)는 다른 휴대 단말과 통화가 연결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화면이 드래그되면, 미리 설정된 기능을 수행한다.
즉, 제어부(190)는 다른 휴대 단말과 통화가 연결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화면이 드래그되면, 영상 통화 기능, 선택된 아이템 전송 기능 및 현재 화면 전송 기능 중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영상 통화 기능은 통화 제어 장치(100)의 전면에 구비된 카메라 모듈(도시하지 않음)을 통해 촬영한 영상을 실시간으로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다른 휴대 단말로 제공하고, 다른 휴대 단말로부터 실시간으로 제공받은 영상을 영상 출력부(171)를 통해 디스플레이하는 기능을 말한다.
선택된 아이템 전송 기능은 통화가 연결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아이템이나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아이템을 통화가 연결된 다른 휴대 단말로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제공하는 기능을 말한다. 아이템에는 연락처, 어플리케이션, 음악, 동영상 등이 있다.
현재 화면 전송 기능은 영상 출력부(171)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현재 화면을 통화가 연결된 다른 휴대 단말로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제공하는 기능을 말한다. 이를 통해, 발신자와 수신자는 각자 자신의 단말을 통해 서로 동일한 화면을 보면서 커뮤니케이션을 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90)는 다른 휴대 단말과 통화가 연결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화면이 드래그되면, 화면 드래그 방향에 따라 서로 다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화면이 위쪽 방향으로 드래그되면 현재 화면 전송 기능을 수행하고, 화면이 왼쪽 방향으로 드래그되면 영상 통화 기능을 수행하며, 화면이 왼쪽 방향으로 드래그되면 선택된 아이템 전송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물론, 화면 드래그 방향에 따라 수행되는 기능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아울러, 제어부(190)는 다른 휴대 단말과 통화가 연결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화면이 드래그되면, 화면 드래그 횟수에 따라 서로 다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물론, 제어부(190)는 화면 드래그 방향과 횟수에 따라 서로 다른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어부(190)는 수행한 기능 동작 화면을 다른 휴대 단말과 동시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한다.
즉, 제어부(190)는 영상 출력부(171)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전체 화면 영역을 논리적으로 복수 개의 화면 영역으로 분할하고, 분할된 하나의 화면 영역에 수행한 기능 동작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물론, 제어부(190)는 수행한 기능 동작 화면을 PIP(Picture In Picture) 형태로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그러면,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의 통화 제어 장치의 통화 제어 과정의 일례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른 휴대 단말과 통화가 연결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화면이 드래그되면 수행되는 기능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른 휴대 단말과 통화가 연결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화면이 드래그되면 수행되는 기능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의 (a)를 참조하면, 제어부(190)는 다른 휴대 단말과 통화가 연결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화면이 드래그되면, 영상 통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제어부(190)는 전면에 구비된 카메라 모듈을 통해 촬영한 영상을 실시간으로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다른 휴대 단말로 제공하고, 다른 휴대 단말로부터 실시간으로 제공받은 영상을 영상 출력부(171)를 통해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90)는 영상 통화 기능 동작 화면(ICS)을 PIP 형태로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 2의 (b)를 참조하면, 제어부(190)는 영상 출력부(171)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전체 화면 영역을 논리적으로 복수 개의 화면 영역으로 분할하고, 분할된 하나의 화면 영역에 영상 통화 기능 동작 동작 화면(ICS)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제어부(190)는 다른 휴대 단말과 통화가 연결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화면이 드래그되면, 선택된 아이템 전송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제어부(190)는 통화가 연결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아이템이나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아이템을 통화가 연결된 다른 휴대 단말로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선택된 아이템 전송이 완료되면, 제어부(190)는 전송 완료 메시지(TW)를 영상 출력부(171)를 통해 디스플레이하고, 이후 선택된 아이템 관련 화면을 영상 출력부(171)를 통해 디스플레이함과 동시에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다른 휴대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아이템 관련 화면에는 연락처의 상세 내용 화면,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동영상 재생 화면 등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통화 제어 장치(100)가 독립적인 하나의 장치인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실시예에 따라 통화 제어 장치(100)는 종래의 휴대 단말(도시하지 않음)과 일체의 형태로 제조되거나 소프트웨어 형태로 휴대 단말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종래의 휴대 단말에는 휴대용 컴퓨터(laptop), 태블릿(tablet) PC,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휴대 멀티미디어 재생기(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휴대폰, 스마트폰(smart phone) 등이 있다.
그러면,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의 토화 제어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의 통화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통화 제어 장치(100)는 다른 휴대 단말과 통화중인 상태에서(S410-Y), 사용자에 의해 화면이 드래그되면(S430-Y), 기 설정된 기능을 수행한다(S450). 즉, 통화 제어 장치(100)는 다른 휴대 단말과 통화가 연결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화면이 드래그되면, 영상 통화 기능, 선택된 아이템 전송 기능 및 현재 화면 전송 기능 중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통화 제어 장치(100)는 화면 드래그 방향에 따라 서로 다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물론, 화면 드래그 방향에 따라 수행되는 기능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아울러, 통화 제어 장치(100)는 화면 드래그 횟수에 따라 서로 다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물론, 통화 제어 장치(100)는 화면 드래그 방향과 횟수에 따라 서로 다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 있다.
그리고, 통화 제어 장치(100)는 수행한 기능 동작 화면을 다른 휴대 단말과 동시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한다. 즉, 통화 제어 장치(100)는 전체 화면 영역을 논리적으로 복수 개의 화면 영역으로 분할하고, 분할된 하나의 화면 영역에 수행한 기능 동작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물론, 통화 제어 장치(100)는 수행한 기능 동작 화면을 PIP 형태로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장치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롬(ROM), 램(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유무선 통신망으로 연결된 컴퓨터 장치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 휴대 단말의 통화 제어 장치,
110 : 무선 통신부, 130 : 입력부,
150 : 저장부, 170 : 출력부,
190 : 제어부

Claims (11)

  1. 다른 휴대 단말과 호 연결이 가능한 휴대 단말의 통화 제어 장치로서,
    무선 통신부;
    영상 출력부; 및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상기 다른 휴대 단말과 통화가 연결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화면이 드래그되면, 미리 설정된 기능을 수행하고, 수행한 기능 동작 화면을 상기 다른 휴대 단말과 동시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무선 통신부와 상기 영상 출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다른 휴대 단말과 통화가 연결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화면이 드래그되면, 영상 통화 기능, 선택된 아이템 전송 기능 및 현재 화면 전송 기능 중 하나를 수행하는 휴대 단말의 통화 제어 장치.
  2. 삭제
  3. 제1항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 출력부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전체 화면 영역을 논리적으로 복수 개의 화면 영역으로 분할하고, 분할된 하나의 화면 영역에 상기 수행한 기능 동작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휴대 단말의 통화 제어 장치.
  4. 제1항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행한 기능 동작 화면을 PIP(Picture In Picture) 형태로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휴대 단말의 통화 제어 장치.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2020130007554U 2013-09-09 2013-09-09 휴대 단말의 통화 제어 장치 KR2004744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7554U KR200474450Y1 (ko) 2013-09-09 2013-09-09 휴대 단말의 통화 제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7554U KR200474450Y1 (ko) 2013-09-09 2013-09-09 휴대 단말의 통화 제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4450Y1 true KR200474450Y1 (ko) 2014-09-17

Family

ID=52000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7554U KR200474450Y1 (ko) 2013-09-09 2013-09-09 휴대 단말의 통화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4450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2352B1 (ko) * 2009-06-17 2011-09-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251391B1 (ko) * 2009-12-18 2013-04-05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복수의 단말기간 영상공유시스템 및 방법, 그 단말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2352B1 (ko) * 2009-06-17 2011-09-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251391B1 (ko) * 2009-12-18 2013-04-05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복수의 단말기간 영상공유시스템 및 방법, 그 단말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1188B1 (ko) 휴대 전자기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101952170B1 (ko) 검색 방법을 채용한 휴대 전자 기기
CN113360238A (zh) 消息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US11284398B2 (en) Communication link configuration method and device
US11221634B2 (en) Unmanned aerial vehicle control method and device, unmanned aerial vehicle and remote control device
EP359958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a commodity
CN105354017B (zh) 信息处理方法及装置
US20220256497A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receiving paging signaling, and methods and apparatuses for transmitting paging signaling
EP3048508A1 (en) Methods, apparatuses and devices for transmitting data
CN105391621A (zh) 信息通信方法和装置
CN104767857A (zh) 基于云名片的电话呼叫方法及装置
CN113365153A (zh) 数据分享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CN103870198B (zh) 一种电子页面的浏览翻页方法及装置
CN105677164A (zh) 页面选择方法和装置
CN105407160A (zh) 界面显示方法和装置
JP6310159B2 (ja) アプリケーションインストール方法、装置、スマートデバイス、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CN105630447B (zh) 调整文字显示的方法及装置
US2021041008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roadcast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f synchronizing signal block,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f synchronizing signal block
US20210352600A1 (en) Vehicle-to-everything synchronization method and device
CN105657325A (zh) 一种视频通信的方法、装置和系统
JP6634434B2 (ja) デバイスの標識方法、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EP414918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ing and sending system information, user equipment and base station
CN112115321A (zh) 内容推荐模型的训练方法及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CN105451321A (zh) 提升wifi信号强度的方法、装置及设备
KR200474450Y1 (ko) 휴대 단말의 통화 제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