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1996B1 - 메시지 생성 장치 - Google Patents

메시지 생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1996B1
KR101061996B1 KR1020097022879A KR20097022879A KR101061996B1 KR 101061996 B1 KR101061996 B1 KR 101061996B1 KR 1020097022879 A KR1020097022879 A KR 1020097022879A KR 20097022879 A KR20097022879 A KR 20097022879A KR 101061996 B1 KR101061996 B1 KR 1010619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pattern
layer
transmission pattern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228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30403A (ko
Inventor
송지연
Original Assignee
송지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지연 filed Critical 송지연
Publication of KR200901304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304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19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19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1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special optical effects
    • G09F19/18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special optical effects involving the use of optical projection means, e.g. projection of images on cloud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1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special optical effec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7/00Signs, name or number plates, letters, numerals, or symbols; Panels or boar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메시지 생성 장치가 개시된다. 이에 따르면, 1 모재 및 상기 제1 모재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광 투과성을 가지는 제1 투과 패턴을 포함하는 제1 레이어 및 제2 모재 및 상기 제2 모재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광 투과성을 가지는 제2 투과 패턴을 포함하는 제2 레이어를 포함하는 메시지 생성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메시지 생성 패널은 상기 제1 투과 패턴 및 상기 제2 투과 패턴을 동시에 통과한 빛에 의하여 메시지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 투과 패턴 및 상기 제2 투과 패턴은 상기 메시지 생성 패널에 입사하는 빛의 각도에 따라 복수 개의 메시지들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메시지 생성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메시지 생성 장치{APPARATUS OF GENERATING MESSAGES}
본 발명은 패턴이 형성된 패널을 이용한 메시지 생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패턴이 형성된 패널을 이용하여 메시지를 생성하는 구조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빛과 조명을 이용한 메시지의 전달은 어린이를 위한 그림자 놀이 장남감, 슬라이드 필름을 이용한 이미지의 투영에 적용되어 왔다. 이러한 메시지의 전달은 어떤 패턴에 빛을 비추어 생성되는 실루엣을 이용한다. 영화관에서 상영되는 영화 역시 필름에 조명을 비추어 스크린에 투영하는 방법으로 이미지를 전달한다.
하나의 슬라이드 필름 또는 영화 필름의 한 프레임은 각각 하나의 이미지에 대응된다. 따라서, 다른 이미지의 생성을 위해서는 슬라이드 필름의 교체가 필요하다. 또한 영화에서는 초당 여러 장의 프레임에 해당하는 영상을 투영함으로써 동영상을 형성한다. 이러한 영화 필름 등에 입사하는 빛의 각도는 그 영상이 투영되는 위치의 변화를 가져올 수 있지만 생성되는 이미지 자체의 본질적인 변화를 가져오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생성 장치는 조명을 받아 조명이 그 장치에 입사하는 방향에 따라서 다른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는 구조를 제안한다. 이 러한 구조는 복수개의 레이어의 조합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을 것이다.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조사된 빛을 형성된 패턴에 따라 부분적으로 투과시키는 제1 패널 및 제1 패널을 투과한 빛을 형성된 패턴에 따라 부분적으로 투과시키는 제2 패널을 포함하는 메시지 생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패널에 기울어진 투과 패턴을 형성함으로써 빛의 입사각에 따라 서로 다른 메시지를 투영하는 패널을 포함하는 메시지 생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의하면 커버 패널과 메시지 패턴 패널을 이용하여 두 패널의 상대적인 정렬 관계에 상응하는 메시지를 생성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기술적 해결방법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메시지 생성 장치는 메시지 생성 패널을 포함한다. 메시지 생성 패널은 제1 레이어 및 제2 레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레이어는 제1 모재 및 제1 모재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광 투과성을 가지는 제1 투과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레이어는 제2 모재 및 상기 제2 모재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광 투과성을 가지는 제2 투과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메시지 생성 패널은 제1 투과 패턴 및 제2 투과 패턴을 동시에 통과한 빛에 의하여 메시지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메시지 생성 패널은 그 메시지 생성 패널에 입사하는 빛의 각도에 상응하여 복수 개의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메시지 생성 패널의 제2 투과 패턴은 제1 메시지에 상응하는 제1 서브 투과 패턴 및 제2 메시지에 상응하는 제2 서브 투과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메시지 생성 패널은 상기 제1 레이어에 제1 방향으로 입사하여 상기 제1 투과 패턴을 투과한 빛 중에서 제1 서브 투과 패턴을 투과한 빛을 이용함으로써 상기 제1 메시지를 생성하고, 제1 레이어에 제2 방향으로 입사하여 상기 제1 투과 패턴을 투과한 빛 중에서 제2 서브 투과 패턴을 투과한 빛을 이용함으로써 상기 제2 메시지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메시지 생성 패널의 투영 메시지 형성은 제1 레이어의 투과 패턴과 제2 레이어의 투과 패턴 사이의 상대적인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메시지 생성 패널의 각 레이어는 판상의 모재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각 레이어가 반드시 평판의 형태를 가질 필요는 없으며, 곡면을 가지는 레이어가 메시지 생성 패널을 형성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메시지 생성 패널의 레이어에 형성되는 투과 패턴은 레이어를 관통하는 구멍들에 의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관통 구멍은 일반적으로 판상의 레이어 표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메시지 생성 패널의 레이어에 포함되는 관통 구멍이 판상의 레이어의 표면과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기울어져 형성되는 경우, 표면과 수직한 방향의 관통 구멍을 포함하는 레이어를 그 각도 만큼 기울이는 것에 상응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기울어진 관통 구멍을 포함하는 레이어가 적용된 메시지 생성 패널은 패널 자체의 기울기를 부여하기 힘든 환경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메시지 생성 장치는 복수 개의 메시지 생성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메시지 생성 패널은 서로 다른 조명 방향에 대응하기 위해 다른 자세를 가질 수 있다. 메시지 생성 장치가 야외에 설치되는 경우, 광원은 인공조명 또는 자연광원(태양 또는 달)이 될 수 있으며, 메시지 생성의 효율성을 재고하기 위해 메시지 생성 장치가 설치되는 지점에서의 경도 정보, 위도 정보 및 태양의 남중고도 정보가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의하면, 메시지 생성 장치는 커버 레이어와 베이스 레이어의 겹침에 의하여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베이스 레이어에는 복수 개의 메시지 패턴이 포함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메시지 패턴이 차지하는 영역, 즉, 각 메시지 패턴을 포함하는 폐곡선은 서로 겹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각 메시지 패턴들의 정보를 구분하여 판독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이와 같이 복수 개의 메시지 패턴이 형성된 베이스 레이어를 커버 레이어와 겹침으로써 개별 메시지 패턴에 상응하는 메시지가 판독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커버 레이어와 베이스 레이어는 복수 개의 겹침 모드에서 서로 다른 메시지를 표현할 수 있다. 복수 개의 겹침 모드는 두 레이어의 상대적인 위치를 변화 시킴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베이스 레이어는 제1 메시지 패턴 및 제2 메시지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메시지 패턴은 메시지 생성 패널의 제1 겹침 모드에서 커버 레이어의 제1 투과 패턴을 통하여 노출된다. 제2 메시지 패턴은 메시지 생성 패널의 제2 겹침 모드에서 커버 레이어의 제1 투과 패턴을 통하여 노출된다. 각 겹침모드는 커버 레이어 및 베이스 레이어와의 서로 다른 상대 위치에 대응된다.
복수 개의 메시지 생성 패널을 포함하는 메시지 생성 장치의 각 겹침 모드에서 표현되는 메시지는 하나의 대상 메시지 (문장 또는 구절)의 부분들일 수 있다. 메시지 생성 패널의 사용자는 메시지 생성 패널을 이동 시킴으로써 대상 메시지의 각 부분을 판독할 수 있다.
메시지 생성 패널의 겹침 모드 전환을 사용자에게 가이드 하기 위해서 메시지 생성 패널의 커버 레이어 및 베이스 레이어는 두 레이어의 상대적 위치 변화를 가이드 또는 제한하기 위한 가이드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 패턴을 두 레이어에서 관통 구멍의 형태로 포함될 수 있으며, 각 레이어의 가이드 패턴을 커플링하기 위한 결합수단이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모재 및 모재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광 투과성을 가지는 투과 패턴을 포함하는 메시지 생성 패널을 포함할 수 있고, 메시지 생성 패널은 투과 패턴을 통과한 빛에 의해 메시지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며, 입사하는 빛의 각도에 따라 복수 개의 메시지들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메시지 생성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투과 패턴은 투과 패턴이 형성되는 상기 모재를 관통하는 관통 구멍을 포함할 수 있다.
관통 구멍은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관통 구멍 중 일부 및 나머지 일부는 서로 다른 각도로 형성되어 입사하는 빛의 각도에 따라 복수 개의 메시지들을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생성 장치에 적용된 메시지 생성 패널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서 예시된 메시지 생성 패널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생성 패널에 서로 다른 방향으로 입사한 빛에 의한 메시지 투영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메시지 생성 패널의 단면과 입사각에 따른 빛의 투과 특성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생성 패널의 평면도 및 단면도이 다.
도 6은 도 5의 메시지 생성 패널의 조명 방향에 따른 투과 특성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서 예시된 조명 방향에 따라 도 5의 메시지 생성 패널을 투과한 빛에 의하여 형성된 메시지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야외에 설치된 메시지 생성 장치를 예시한 사진이다.
도 9는 도 8의 메시지 생성 장치와 그 그림자에 생성된 메시지를 예시한 사진이다.
도 10은 도 8 및 도 9에서 예시된 메시지 생성 장치의 정면도와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8 내지 10에서 예시된 메시지 생성 장치 내부에서 촬영된 메시지 생성 패널의 사진이다.
도 12는 도 8 내지 10에서 예시된 메시지 생성 장치 내부에서 촬영된 메시지 생성 패널의 사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생성 패널의 내부 레이어의 평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예시된 메시지 생성 패널의 내부 레이어에서 메시지를 생성하는 패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도 13 및 도 14에서 예시된 메시지 생성 패널에 의하여 투영되는 메시지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생성 장치가 설치 상태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라 기울어진 형태의 구멍을 포함하는 투과 패턴이 적용된 메시지 생성 패널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도 17에 예시된 메시지 생성 패널의 측면도이다.
도 19는 도 17에 예시된 메시지 생성 패널을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또 다른 측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기울어진 중심축을 가지는 관통 구멍들을 포함하는 메시지 생성 패널의 단면도이다.
도 21은 도 20에서 예시된 메시지 생성 패널이 서로 다른 조명 조건들 하에서 생성하는 메시지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생성 패널을 구성하는 커버 레이어와 베이스 레이어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23은 도 22에서 예시된 커버 레이어와 베이스 레이어의 4가지 겹침 형태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생성 패널을 구성하는 커버 레이어와 베이스 레이어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25는 도 24에서 예시된 커버 레이어와 베이스 레이어의 4가지 겹침 모드들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생성 패널을 구성하는 커버 레 이어와 베이스 레이어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27은 도 26에서 예시된 커버 레이어와 베이스 레이어의 4가지 겹침 모드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생성 패널의 베이스 레이어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 레이어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30 내지 도 3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28 및 도 29의 메시지 생성 패널의 4가지 겹침 모드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3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 레이어와 베이스 레이어의 결합 구조를 예시한 도면이다.
발명의 실시를 위한 형태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메시지 생성 장치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생성 장치에 적용된 메시지 생성 패널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서 예시된 메시지 생성 패널의 평면도이다.
메시지 생성 패널(100)에 조명을 비추는 경우, 메시지 생성 패널(100)을 투과한 빛은 메시지 생성 패널(100)의 그림자 내에서 상대적으로 밝은 패턴을 형성할 것이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패턴은 어떤 메시지를 표현할 수 있다. 그림자 내에서의 밝은 패턴의 형상은 메시지 생성 패널(100)의 투과 특성에 상응하여 변화할 수 있다. 메시지 생성 패널(100)의 투과 특성은 메시지 생성 패널(100)에 형성된 투과 패턴의 형상 및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제어될 수 있다. 따라서, 메시지 생성 패널(100)에 형성되는 투과 패턴을 조절함으로써 메시지 생성 패널(100)에 의해 생성되는 메시지를 변경할 수 있다.
제1 레이어(110) 및 제2 레이어(120)는 가시 광선의 파장 대에 속하는 빛에 대해 불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져 있다. 예를 들어 플라스틱, 목재, 종이, 금속 등의 재료가 제1 레이어(110) 및 제2 레이어(120)를 형성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제1 레이어(110) 및 제2 레이어(120)가 불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각 레이어에 입사한 빛의 일부만이 그 레이어를 통과할 수 있다. 한편, 유리 및 투명 플라스틱과 같은 재질에 불투명한 패턴을 인쇄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메시지 투과 패널을 형성할 수도 있다.
도 1에서, 메시지 생성 패널(100)은 제1 레이어(110)및 제2 레이어(120)를 포함한다. 제1 레이어(110)는 조명이 직접 비추어 지는 외측 레이어이다. 제1 레이어(110)는 그 레이어를 관통하는 관통 구멍들을 포함하는 제1 관통 패턴(112)을 포함한다. 제1 레이어(110) 상의 관통 구멍들는 5x5 형태의 그리드들을 형성하고 있 다. 제2 레이어(120) 역시 그 레이어를 관통하는 관통 구멍들을 포함하여, 제2 레이어(120)에 형성된 관통 구멍들(122)은 메시지 패턴들(130)을 형성한다. 제1 메시지 패턴(131), 제2 메시지 패턴(132), 제3 메시지 패턴(133)은 각각 영문자 A, B, C를 나타낸다.
도 2에서, 제2 레이어(120)는 제1 레이어(110)아래에 위치하므로, 제1 레이어 방향에서의 관찰만으로 제2 레이어(120) 상의 메시지 패턴을 직접적으로 판독하는 것은 힘들다.
도 2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메시지 패턴들(130)이 제2 레이어(120) 상에서 차지하는 영역이 서로 구분되는 형태를 예시하였다. 제2 레이어(120)상에서 각 메시지 패턴들(131, 132, 133)이 위치하는 영역이 서로 겹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영문자 A, B, C를 표현하는 메시지 패턴들(131, 132, 133)이 제2 레이어(120)상에서 서로 겹쳐질 수 있으며 제2 레이어(120)로부터의 직접적인 메시지 판독이 어렵게 된다.
더욱이, 제2 레이어(120) 상의 메시지 패턴들(130) 이외에 메시지를 생성하지 않는 더미 패턴(미도시)이 추가되는 경우 제2 레이어(120) 상의 메시지 패턴은 더욱 어려워 진다. 이와 같이, 더미 패턴을 이용하면 본 발명에 의한 메시지 생성 패널(100)은 그를 구성하는 개별 레이어 만으로는 그 생성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노출 시키지 않을 수 있다.
제2 레이어(120)는 제1 레이어(110)의 관통 구멍들을 통과한 빛이 도달하는 내부 레이어이다. 제2 레이어에 도달한 빛 중에서 일부는 차단되고 나머지 일부는 제2 레이어(120)의 관통 구멍들을 투과하여 메시지를 형성한다.
메시지 생성 패널(100)의 기하학적인 구조에 의한 투과 특성과 그에 따라 생성된 메시지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생성 패널에 서로 다른 방향으로 입사한 빛에 의한 메시지 투영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메시지 생성 패널의 단면과 입사각에 따른 빛의 투과 특성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서로 다른 3방향의 빛이 메시지 생성 패널(100)에 입사하며, 각 방향의 빛은 스크린(300)상에 제 2 레이어(120)의 메시지 패턴과 상응하는 3개의 영문자 메시지(311, 312, 313)를 표시한다. (a) 방향으로 입사한 빛은 제2 레이어(120)의 제1 메시지 패턴(131)에 속하는 관통구멍들을 투과한다. 제2 레이어(120)의 제1 메시지 패턴(131)의 관통 구멍들을 통과한 (a)방향 빛에 의하여 메시지 A (311)가 스크린(300)에 투영된다. (b) 방향의 빛은 제1 레이어(110) 및 제2 레이어(120)의 제2 메시지 패턴(132)을 투과한다. 이와 같이 (b)방향 빛에 의하여 메시지 B(312)가 스크린(300)에 투영된다. (c)방향의 빛은 제2 레이어(120)의 제3 메시지 패턴(133)을 투과한다. (c)방향의 빛에 의하여, 메시지 C(313)가 스크린(300)에 투영된다.
도 4를 참조하면, 도 2에서 표시된 기준면 (I-I')상에서의 메시지 생성 패널(100)의 단면이 예시된다.
메시지 생성 패널(100)의 제1 레이어(110)에 (a), (b), (c) 세 방향의 빛이 입사한다. 제1 레이어(110)의 제1 관통 구멍(112a)을 통과한 세 방향의 빛 중 (a)방향의 빛 만이 제2 레이어(120)의 제1 관통 구멍(122a)를 통과하여 스크린(300)에 도달한다. 제1 관통 구멍(112a)에 입사하는 세 방향의 빛 들 중에서 (b) 및 (c) 방향의 빛은 제2 레이어(120)에 의하여 차단된다. 제2 레이어(120)의 제1 관통 구멍(122a)은 세 방향의 빛 중에서 (a)방향의 빛을 투과시킨다. 이와 같이 제1 레이어(110)을 투과한 세 방향의 빛 중 (a)방향의 빛만이 제2 레이어(120)상에서 영문자 A에 상응하는 제1 메시지 패턴(131)의 관통구멍을 통과할 수 있다. 스크린 상에 투영된 영문자 A(311)는 (a)방향의 빛에 의하여 형성된다.
제1 레이어(110)의 제2 관통 구멍(112b)를 통과한 세 방향의 빛 중에서 (b)방향의 빛 만이 제2 레이어(120)의 제2 관통 구멍(122b)를 통과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레이어(120) 상의 제2 메시지 패턴(132)에 속하는 관통 구멍은 세 방향의 빛 중에서 (b)방향의 빛을 통과시키고, 그 통과된 (b)방향의 빛은 스크린(300) 상에서 영문자 B에 상응하는 메시지(312)를 형성한다.
제1 레이어(100)의 제3 관통 구멍(112c)를 통과한 세 방향의 빛 중에서 (c)방향의 빛 만이 제2 레이어(120)의 제3 관통 구멍(122c)을 통과한다. 이와 같이 제2 레이어(120)상의 제3 메시지 패턴(133)에 속하는 관통 구멍들은 메시지 생성 패널(100)에 입사하는 세 방향의 빛 중에서 (c)방향의 빛 만을 통과시킨다. 제3 메시지 패턴(133)을 통과한 (c)방향의 빛은 스크린(300)상에 영문자 C에 상응하는 메시지(313)를 형성한다.
이상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메시지 생성 패널(100)에 입사하는 빛의 입사각에 따라서, 메시지 생성 패널(100)에 의하여 형성되는 메시지가 달라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생성 패널(100)은 조명 조건에 따라서, 제2 레이어(120)상의 복수 개의 메시지 패턴들(131, 132, 133)에 상응하는 메시지들 중에서 하나를 선택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
메시지 생성 패널에 대해 햇빛에 의한 조명이 이루어지는 경우, 낮 동안의 태양의 움직임에 따라서 변화하는 햇빛의 입사각에 따라 서로 다른 메시지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a), (b), (c) 세 방향의 빛이 각각 오전, 정오, 오후의 햇빛에 대응하는 것이라면, 메시지 생성 패널(100)은 낮 시간 동안 A, B, C 세 메시지들을 순차적으로 형성할 것이다.
한편, 본 실시예의 메시지 패널에서 제2 레이어 상의 메시지 패턴들(130)은 세 방향의 빛 중 하나만을 통과시키도록 구성되었다. 그러나, 메시지 생성 패널의 어떤 메시지 패턴에 속하는 관통 구멍이 여러 방향의 빛을 통과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둘 이상의 방향의 빛을 투과시키는 메시지 패턴을 포함하는 경우 빛의 입사각 변화에 따라서 점진적으로 변화하는 메시지를 구현할 수 있다.
메시지 생성 패널의 구성은 메시지 생성 패널에서 관통 구멍의 지름, 관통 구멍의 형상, 메시지 생성 패널을 구성하는 레이어의 두께, 각 레이어 들 간의 상대적 위치 등을 제어함으로써 변경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생성 패널의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메시지 생성 패널의 조명 방향에 따른 투과 특성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서 예시된 조명 방향에 따라 도 5의 메시지 생성 패널을 투과한 빛에 의하여 형성된 메시지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메시지 생성 패널(500)은 제1 레이어(510) 및 제2 레이어(520)을 포함한다. 제1 레이어(510) 및 제2 레이어(520)는 불투명한 모재에 형성된 관통 구멍들을 포함한다. 제1 레이어(510) 상에 형성된 관통 구멍들은 그리드 형태의 관통 패턴(512)을 형성하여 그 패턴만으로는 특별한 메시지를 전달하지 않는다. 제2 레이어 상에 형성된 관통 구멍들 역시 관통 패턴(530)을 구성하고 있다. 관통 패턴(530)은 3개의 서브 패턴(531, 532, 533)을 포함한다. 각 서브 패턴들(530)은 제1 레이어(510)의 그리드 패턴(512)와 각각 다른 상대적 변위를 가진다. 제1 레이어(510)의 그리드 패턴(512)과의 상대적 변위의 차이는 각 서브 패턴에 의한 투과 특성의 차이로 귀결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메시지 생성 패널(500)의 투과 특성과 그 패널(500)에 의하여 스크린(700)상에 투영된 메시지들이 예시되어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메시지 생성 패널(500)에는 (d), (e), (f) 세가지 방향의 빛이 입사한다. 제2 레이어(520)의 제1 서브 패턴(531)에 속하는 관통 구멍(621)은 (d)방향 및 (e)방향으로 입사한 빛을 투과시키고 (f)방향의 빛은 투과 시키지 않는다. 제1 서브 패턴(531)에 속하는 관통 구멍(621)을 통과한 (d) 방향 및 (e)방향의 빛은 스크린(700)에 투영되어 밝은 점들(621d, 621e)을 형성한다.
제2 서브 패턴에 속하는 관통 구멍(622)은 제1 레이어의 그리드 패턴 상의 관통 구멍(612)와 동일한 중심축을 가진다. 제2 서브 패턴에 속하는 관통 구멍(622)의 지름은 제1 서브 패턴 및 제3 서브 패턴에 속하는 관통 구멍들(621, 623)의 지름보다 크다. 제2 서브 패턴은 (d), (e), (f) 세 방향의 빛을 모두 투과시킨 다. 관통 구멍(622)를 투과한 세 방향의 빛은 스크린에 투영되어 메시지 생성 패널의 그림자 속에서 밝은 점들(622d, 622e, 622f)을 형성할 것이다.
제3 서브 패턴에 속하는 관통 구멍(623)의 중심축은 그 관통 구멍(623)에 상응하는 제1 레이어의 그리드 패턴 상의 관통 구멍(613)의 중심축으로부터 왼쪽에 위치한다. 제3 서브 패턴에 속하는 관통 구멍(623)은 (e) 및 (f) 두 방향의 빛을 투과시키며 (d) 방향의 빛은 투과시키지 않는다. 관통 구멍(623)을 투과한 두 방향의 빛은 스크린에 투영되어 메시지 생성 패널의 그림자 속에서 밝은 점들(623e, 623f)을 형성할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d), (e), (f) 세 방향의 빛에 의하여 스크린 상에 투영된 메시지들이 예시되어 있다. (d) 방향 빛에 의한 메시지는 'ABC'이고 (f)방향 빛에 의한 메시지는 'DBH'이다. (e) 방향 빛에 의한 메시지는 메시지 'ABC'와 'DBH'를 조합한 형태의 메시지이다. 빛의 방향이 (d)로부터 (f)로 점진적으로 변화하는 경우 메시지의 변화 역시 점진적으로 일어날 것이다. 스크린(700)의 위치가 고정되어 있다면. 스크린 상에서 각 메시지들이 투영되는 위치 역시 점진적으로 변화한다. 이러한 점진적인 변화는 (d)방향 빛에 의한 메시지 'ABC'와 (f) 방향 빛에 의한 메시지 'DBH'의 공통된 부분을 담당하는 제2 서브 패턴을 적용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메시지 생성 패널의 관통 구멍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메시지 생성 패널에 의하여 투영되는 메시지의 밝기와 지속 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 (e), (f) 세 방향의 빛이 각각 오전, 정오, 오후의 햇빛에 상응하는 것이라면, 메 시지 생성 패널에 의하여 투영되는 메시지 중 제2 서브 패턴(532)에 의하여 투영되는 부분의 지속시간이 가장 길게 유지될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야외에 설치된 메시지 생성 장치를 예시한 사진이다. 도 9는 도 8의 메시지 생성 장치와 그 그림자에 생성된 메시지를 예시한 사진이다. 도 10은 도 8 및 도 9에서 예시된 메시지 생성 장치의 정면도와 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메시지 생성 장치는 12개의 패널들을 포함한다. 12개의 패널은 각각 6개의 패널을 포함하는 2개의 패널 밴드로 구분될 수 있다. 메시지 생성 장치를 구성하는 메시지 생성 패널의 외측 레이어에는 균일한 간격을 가지는 관통 구멍들에 의한 그리드가 형성되고 있다. 따라서, 도 8와 같이 외부에서의 관찰만으로 그 메시지 생성 장치에 의하여 제공될 메시지의 내용을 판독하기는 힘들다.
도 9을 참조하면, 메시지 생성 장치에 입사하는 햇빛에 의하여 메시지가 바닥에 투영된다. 도 9에서는 별도의 스크린이 제공되지 않으며 지면에 메시지가 투영된다. 각 시간대에 따라서 지면에 메시지를 생성하는 메시지 생성 패널이 달라질 수 있다. 오전에는 햇빛은 동쪽을 향하는 메시지 생성 패널에 입사하여 지면에 메시지를 생성한다. 오후에는 서쪽을 향하는 메시지 생성 패널에 의하여 메시지가 생성될 것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메시지 생성 장치는 두 개의 패널 밴드(810, 820)를 포함한다. 하나의 메시지 생성 패널이 유효하게 메시지를 투영할 수 있는 입사광의 입사각 범위가 어떤 범위로 제한될 수 있으므로, 야외에 설치된 메시지 생성 장치의 메시지 형성을 위해 여러 개의 메시지 생성패널이 사용될 수 있다.
제1 패널 밴드(810)는 6개의 패널들(811, 812, 813, 814, 815, 816)을 포함한다. 제1 패널 밴드(810)는 상대적으로 낮은 고도에 위치하는 태양으로부터의 빛을 받아 메시지를 생성한다. 겨울에는 태양의 남중고도가 상대적으로 낮으므로, 제1 패널 밴드는 겨울 동안 메시지를 유효하게 생성할 것이다.
제2 패널 밴드(820)는 6개의 패널들(821, 822, 823, 824, 825, 826)을 포함한다. 상대적으로 높은 고도에 위치하는 태양으로부터의 빛을 받아 메시지를 생성한다. 제2 패널 밴드는 태양이 상대적으로 높은 남중 고도를 가지는 여름 동안 유효하게 메시지를 생성할 것이다.
도 11 및 도 12는 도 8 내지 10에서 예시된 메시지 생성 장치 내부에서 촬영된 메시지 생성 패널의 사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메시지 생성 장치를 구성하는 메시지 생성 패널(812)의 내부레이어가 관측된다. 도 11은 그 메시지 생성 패널(812)에 의하여 빛이 투과되는 경로상의 특별한 촬영된 사진으로서, 메시지 생성 패널(812)에 의하여 생성될 메시지의 일부가 판독되지만, 일반적인 경우 도 12와 같이 메시지 생성 패널의 내부 레이어로 부터 메시지를 직접적으로 판독 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생성 패널의 내부 레이어의 평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예시된 메시지 생성 패널의 내부 레이어에서 메시지를 생성하는 패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도 13 및 도 14에서 예시된 메시지 생성 패널에 의하여 투영되는 메시지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메시지 생성 패널의 내부 레이어는 관통 구멍들을 포함한다. 도 13에 예시된 관통 구멍들로부터 어떠한 텍스트 메시지를 완벽하게 읽어내는 것은 매우 어렵다. 도 14의 경우 메시지를 형성하는 데 이용되는 관통 구멍들로 이루어진 메시지 패턴(813a)을 검은색으로 표시하였다. 이와 같이 메시지 생성 패널의 레이어에 메시지 생성을 위해 이용되는 관통 구멍뿐만이 아니라, 메시지를 생성하지 않는 관통 구멍들로 형성된 더미 패턴(813b)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도 13 및 도 14에서 예시된 메시지 생성 패널에 의하여 생성되는 메시지의 시간에 따른 변화가 예시되어 있다. 앞서 도 1 내지 7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메시지 생성 패널이 한 레이어에 생성된 관통 패턴에 상응하는 메시지의 표시 시간, 표시 밝기, 표시 위치 등은 메시지 생성 패널의 구성에 따라 제어될 수 있다. 메시지 생성 패널(813)의 메시지 패턴(813a)에 상응하는 텍스트 정보는 'LIFE SPPEDS BY LIKE A DREAM'이다. 이 전체 텍스트 정보에 포함된 각 단어들은 서로 다른 표시 기간을 가질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생성 장치가 설치 상태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16에 예시된 메시지 생성 장치는 야외에 설치된 라운드 벤치(round bench)의 형태를 가진다. 메시지 생성 장치의 메시지 생성 패널(910)은 나무의 잎을 닮아 있다. 메시지 생성 패널은 벤치 주위에 그늘(920)을 제공한다. 또한 메시지 생성 패널(910)을 투과한 햇빛에 의하여 라운드 벤치가 설치된 바닥에 그림자 메시지가 투영될 수 있다. 도 16를 참조하면 메시지 패널은 지면에 'LIFE SPPEDS BY LIKE A DREAM'이라는 메시지(930)를 생성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생성 패널은 빛의 입사각에 따라서 다양한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햇빛의 입사각은 낮 동안 연속적으로 변화하므로, 그 햇빛에 의한 메시지의 생성 위치 역시 연속적으로 달라질 수 있다. 또한, 메시지를 구성하는 각 단어들이 투영되는 햇빛의 입사각을 서로 다르게 설정함으로써, 예시된 메시지 'LIFE SPPEDS BY LIKE A DREAM'에 속하는 각 단어가 태양 빛의 입사각에 따라 순차적으로 나타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메시지 생성 장치에 포함된 여러 개의 메시지 생성 패널들은 각각 다른 자세로 설치될 수 있다. 하나의 메시지 생성 패널이 효과적으로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는 빛의 입사각이 제한적일 수 있다. 낮 동안 동에서 서로 이동하는 태양에 의한 넓은 범위의 입사각에 대응하기 위해 복수 개의 메시지 생성 패널이 채용될 수 있다. 또한, 서로 다른 자세를 가지는 여러 개의 메시지 생성 패널을 채용함으로써 계절 변화에 따른 태양의 남중 고도 변화에도 대응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기울어진 형태의 구멍을 포함하는 투과 패턴이 적용된 메시지 생성 패널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도 17에 예시된 메시지 생성 패널의 측면도이다. 도 19는 도 17에 예시된 메시지 생성 패널을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또 다른 측면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메시지 생성 패널(1000)에 포함된 4개의 관통 구멍들이 예시되어있다. 이 4개의 관통 구멍의 중심축은 패널 표면(x-y 평면)에 대하여 서로 다른 방향 벡터를 가지고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제1 관통구멍(1010)의 중심축은 x-z 평면상에 위치하며, 그 평면상에서 z축으로부터 반 시계방향으로 예각(acute angle)을 이룬다. 제2 관통구멍(1020)의 중심축은 x-z 평면상에 위치하며, 그 평면상에서 z축과 시계방향으로 예각을 이룬다. 제3 관통구멍(1030)의 중심축은 y-z 평면 상에 위치하며, 그 평면상에서 z축으로부터 시계방향으로 예각을 이룬다. 제4 관통 구멍(1040)의 중심축은 y-z 평면 상에 위치하며, 그 평면상에서 z축으로부터 반 시계방향으로 예각을 이룬다.
도 18에서, (g) 방향으로 조사되는 빛은 4개의 관통구멍 중에서 제2 관통 구멍(1020)만을 통과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관통 구멍(1020)과 같은 방향을 가지는 중심축을 가지는 관통 구멍들로 구성되는 관통 패턴이 제공된다면, (g) 방향의 빛에 의하여 그 관통 패턴에 상응하는 메시지가 투영될 수 있다.
도 19에서, (h) 방향으로 조사되는 빛은 4개의 서로 다른 중심축 방향을 가지는 관통 구멍들 중에서 제 3관통 구멍(1030)만을 투과한다. 따라서, 제3 관통 구멍(1030)과 같은 방향을 가지는 중심축을 가지는 관통 구멍들로 구성되는 관통 패턴이 제공된다면, 메시지 생성 패널(1000)은 (h) 방향의 빛에 의하여 그 관통 패턴에 상응하는 메시지가 투영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서로 다른 중심축 방향을 가지는 관통 구멍들을 포함하는 메시지 생성 패널(1000)은 빛의 입사 방향에 따라 선택적인 투과 특성을 가진다. 즉, 이와 같이 메시지 생성 패널에 기울어진 관통 구멍을 적용함으로써, 도 1 내지 도 4를 이용하여 예시된 2 레이어들의 조합에 의한 광 경로 제한을 구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소위 기울어진 관통 구멍을 포함하는 관통 패턴이 적용함으로써 메시지 생성 패널의 설치 각도가 제한되는 환경에서의 메시지 생성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된 설명된 돔(dome) 형태의 메시지 생성 장치 및 도 16에서 예시된 나무 형태의 메시지 생성 장치는 야외 환경에서의 조명인 태양 빛의 입사 각도 범위에 대응하기 위해 다양한 설치 방향을 가지는 메시지 생성 패널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건물의 외벽 등을 메시지 생성 패널로 활용하고자 할 경우, 그 패널의 설치 각도는 상당히 제한된다. 이러한 환경에서는 메시지 생성 패널의 레이어 포함되는 관통 구멍의 기울기를 조절함으로써 그 레이어를 기울여서 설치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시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기울어진 관통 구멍을 가지는 패널은 그 관통 구멍의 기울기의 패널 및 그 기울어진 패널의 표면에 직각으로 형성된 관통 구멍에 대응될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기울어진 중심축을 가지는 관통 구멍들을 포함하는 메시지 생성 패널의 단면도이다. 동일한 중심축 방향을 가지는 관통 구멍들은 동일한 단면 형상을 가진다.
메시지 생성 패널(1300)은 4개의 메시지 패턴들(1350)을 포함하고 있다. 각 메시지 패턴은 동일한 중심축 방향을 가지는 관통 구멍들로 구성된다.
제1 메시지 패턴(1310)을 구성하는, 원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는, 관통 구멍들의 중심축들은 z-x 평면상에서 z축과 시계방향으로 예각을 이루고 있다. 제2 메시지 패턴(1320)을 구성하는, 삼각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는, 관통 구멍들의 중심축들은 z-x 평면상에서 z축과 반 시계방향으로 예각을 이루고 있다. 제3 메시지 패턴(1330)을 구성하는, 정사각형 단면 형상의, 관통 구멍들의 중심축들은 y-z 평면상에서 z축과 시계방향으로 예각을 이루고 있다. 제4 메시지 패턴(1340)을 구성하는, 마름모 단면 형상의, 관통 구멍들의 중심축들은 y-z 평면상에서 z축과 반시계 방향으로 예각을 이루고 있다.
각 메시지 패턴은 그 메시지 패턴을 구성하는 관통 구멍들의 중심축과 유사한 방향성을 가지는 빛들을 투과시킴으로써, 그 메시지 패턴에 상응하는 메시지를 투영할 수 있다. 기울어진 관통 구멍에 의한 투과 특성은 도 17 내지 도 19를 참조하여 이미 설명된 바와 같다.
도 21은 도 20에서 예시된 메시지 생성 패널이 서로 다른 조명 조건들 하에서 생성하는 메시지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광원이 제1 위치(1410)에 있을 경우 광원으로부터의 빛은 메시지 생성 패널(1300)의 제1 메시지 패턴(1310)만을 투과하고 다른 메시지 패턴들(1320, 1330, 1340)은 통과하지 못한다. 제1 메시지 패턴(1310)을 투과한 빛은 제1 메시지(1412)를 스크린 상에 (1400)에 형성한다. 제1 메시지(1412)는 제1 메시지 패턴(1310)의 단면 형상과 같은 원형의 표식들로 표현된다.
광원이 제2 위치(1420)에 있을 경우, 메시지 생성 패널(1300)의 제2 메시지 패턴(1320)이 빛을 투과시킴으로써, 제2 메시지(1422)가 형성된다. 광원이 제3 위치(1430)에 있을 경우, 메시지 생성 패널(1300)의 제3 메시지 패턴(1330)이 빛을 투과시킴으로써, 제3 메시지(1432)가 스크린(1400)에 투영된다. 광원이 제4 위치(1440)에 있을 경우 제4 메시지 패턴(1430)이 빛을 투과시킴으로써 제4 메시지 (1442)가 스크린 (1400)에 투영된다. 투영된 메시지들은 상응하는 메시지 패턴들의 단면 형상들과 같은 형상의 표식들로 표현된다.
도20 및 도 21을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메시지 생성 패널의 표면의 법선 벡터로부터 기울어진 중심축을 가지는 관통 구멍을 이용함으로써, 광원의 위치 변화에 따라서 서로 다른 투영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기울어진 관통 구멍을 포함하는 메시지 생성 패널을 이용함으로써 메시지 생성 패널 자체를 기울인 것과 유사한 효과를 거둘 수 있음은 이미 설명된 바와 같다.
기울어진 관통 구멍을 포함하는 하나의 레이어를 이용함으로써, 도 1 내지 도 4에서 설명된 것과 같은, 복수 레이어 메시지 생성 패널의 효과를 구현할 수도 있다. 또한, 기울어진 관통 구멍을 포함하는 레이어와 또 다른 레이어와의 조합을 통해 보다 다양한 형태의 메시지 생성 기능을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생성 패널을 구성하는 커버 레이어와 베이스 레이어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23은 도 22에서 예시된 커버 레이어와 베이스 레이어의 4가지 겹침 형태를 예시한 도면이다.
메시지 생성 패널의 커버 레이어(1510)는 관통 패턴(1512)을 포함한다. 관통 패턴(1512)은 커버 레이어(1510)의 25개의 관통 구멍들로 구성된다. 형성된 관통 패턴(1512)은 그리드 형태이다.
메시지 생성 패널의 베이스 레이어(1520) 상에는 4개의 메시지 패턴들(1530)이 형성되어 있다. 메시지 패턴(1530)들은 정방형 그리드(square grid) 상에서 정렬될 수 있는 원형 표식(circular mark)들로 이루어져 있다. 하나의 메시지 패턴에 속하는 원형 표식들은 커버 레이어(1510)의 관통 패턴(1512)과 상응하는 그리드 상에 위치한다. 하나의 메시지 패턴 내에서 이웃하는 두 원형 표식들간의 거리(2L)는 관통 패턴(1512)에서 이웃하는 각 관통 구멍들 사이의 거리(2L)와 같다.
제1 메시지 패턴(1531), 제2 메시지 패턴(1532), 제3 메시지 패턴(1533) 및 제4 메시지 패턴(1534)은 각각 영문자 A, B, C, D를 나타낸다. 베이스 레이어(1520)상에 이러한 4가지 패턴들(1530)이 인쇄되어 있는 경우, 그 패턴들(1530)이 의미하는 메시지들을 구분하여 파악하는 것은 쉽지 않다. 특히, 제1 내지 제4 메시지 패턴들이 한 눈에 파악하기는 힘들다.
이와 같이 복수 개의 메시지 패턴을 포함하는 베이스 레이어(1520) 상에 커버 레이어(1510)가 겹치도록 함으로써, 각각의 메시지 패턴(1531, 1532, 1533, 1534)가 표현하는 메시지가 구분되어 판독 가능하게 된다. 커버 레이어(1510)와 베이스 레이어(1520)의 겹침 형태들에 대하여는 도 23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23에서 예시된 겹침 모드 (a)를 참조하면, 커버 레이어(1510)의 관통 패턴(1512)은 베이스 레이어(1520)상의 제1 메시지 패턴(1531)에 겹쳐져 있다. 제1 메시지 패턴(1531)에 의하여 메시지 A가 표현된다. 다른 메시지 패턴들에 속하는 표식은 노출되지 않는다.
겹침 모드 (a)에서 커버 레이어(1510)을 우측으로 관통 패턴 그리드의 절반 간격만큼 이동할 경우, 관통 패턴(1512)는 제2 메시지 패턴(1532)과 겹치게 된다. 이러한 겹침 모드 (b)에서 메시지 생성 패널은 커버 레이어(1510)과 베이스 레이어 (1520)의 겹침에 의하여 메시지 B를 표현한다.
겹침 모드 (a)에서 커버 레이어(1510)를 아래쪽으로 이동할 경우, 관통 패턴(1512)는 제3 메시지 패턴(1533)과 겹치게 된다. 이러한 겹침 모드 (c)에서 메시지 생성 패널은 메시지 C를 표현한다.
겹침 모드 (c)에서 커버 레이어(1510)을 우측으로 이동할 경우, 관통 패턴(1512)는 제4 메시지 패턴(1534)와 겹치게 된다. 이러한 겹침 모드 (d)에서 메시지 생성 패널은 메시지 D를 표현한다.
본 실시예에서 베이스 레이어(1520)상의 메시지 패턴들(1530)은 커버 레이어(1510)의 관통 패턴(1512)을 구성하는 관통 구멍들에 상응하는 크기의 원형 표식들로 구성된다. 그러나, 메시지 패턴을 구성하는 표식들이 반드시 관통 구멍들의 크기와 동일한 크기와 형상을 가질 필요는 없다. 커버 레이어의 관통 패턴(1512)과의 겹침으로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는 어떤 형태의 표식들이 베이스 레이어의 메시지 패턴을 구성할 수 있다.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생성 패널을 구성하는 커버 레이어와 베이스 레이어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25는 도 24에서 예시된 커버 레이어와 베이스 레이어의 4가지 겹침 모드들을 예시한 도면이다.
커버 레이어(1710)는 25개의 관통 구멍들을 포함한다. 이들 관통 구멍들은 그리드 형태의 관통 패턴(1712)을 형성한다. 베이스 레이어(1720)에는 나선 모양의 메시지 패턴(1722)이 형성되어 있다. 나선 모양의 메시지 패턴(1722)은 여러 개의 메시지에 상응하는 관통 구멍들의 집합이다.
메시지 패턴(1722)에 포함된 각각의 메시지들은 커버 레이어(1710)를 베이스 레이어(1720)와 겹침으로써 독립적으로 표현될 수 있다. 커버 레이어(1710)와 베이스 레이어(1720)의 겹침에 의하여 표현되는 메시지들은 도 25에 예시되어 있다.
도 25의 겹침 모드(a)를 참조하면, 두 패널은 완전히 겹쳐져 있다. 이 경우, 관통 패턴(1712) 및 메시지 패턴(1722)가 겹쳐지는 부분은 패널들에 의하여 차단되지 않는다. 이 차단되지 않는 영역(1730)은 그 자체로서, 그 차단 되지 않는 부분을 이용한 투영 메시지로서, 또는 그 차단되지 않는 배경색에 의하여 메시지를 표현할 수 있다. 겹침 모드(a)에서 메시지 생성 패널이 표현하는 메시지는 오른쪽 방향 화살표이다.
겹침 모드(a)에서 표현된 메시지에 따라서 커버 레이어(1710)를 오른쪽으로 L2 만큼 이동하면, 메시지 생성 패널은 겹침 모드(b)로 이동된다. 겹침 모드(b)에서 메시지 생성 패널이 표현하는 메시지는 아래 방향 화살표이다.
겹침 모드(b)에서 표현된 메시지에 따라서 커버 레이어(1710)를 아래쪽으로 L2 만큼 이동하면, 메시지 생성 패널은 겹침 모드(c)로 이동한다. 겹침 모드(c)에서 메시지 생성 패널이 표현하는 메시지는 왼쪽 방향 화살표이다.
겹침 모드(c)에서 표현된 메시지에 따라서 커버 레이어(1710)를 왼쪽으로 L2만큼 이동하면 메시지 생성 패널은 겹침 모드(d)로 이동한다. 겹침 모드(d)에서 메시지 생성 패널이 표현하는 메시지는 윗방향 화살표이다. 이를 따라 커버 레이어(1710)를 위쪽으로 이동하면 메시지 생성 패널은 겹침 모드(a)로 복귀한다.
이와 같이, 두 레이어의 겹침을 이용하여 복수의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는 메시지 생성 패널에 있어서, 메시지를 표시하기 위한 레이어의 이동 방향을 알림으로써 메시지 생성 패널이 표현할 수 있는 메시지들이 보다 편리하게 탐색될 수 있다.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생성 패널을 구성하는 커버 레이어와 베이스 레이어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27은 도 26에서 예시된 커버 레이어와 베이스 레이어의 4가지 겹침 모드를 예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 메시지 생성 패널은 커버 레이어(1910) 및 베이스 레이어(1920)를 포함한다. 커버 레이어(1910) 및 베이스 레이어(1920)는 각각 화살표 패턴(1912)과 원형 패턴(1922)를 포함한다. 도 27의 겹침 모드 (a)에서 두 레이어는 완전히 겹치고 있다. 겹침 모드 (a)에서 메시지 생성 패널에 의하여 표현되는 메시지는 좌측방향 화살표이다.
겹침 모드 (a)에서 표현된 메시지에 따라서 베이스 레이어(1920)를 좌측으로 L3만큼 이동하면 메시지 생성 패널은 겹침 모드 (b)로 이동한다. 이 경우, 두 레이어의 겹침에 의하여 나타나는 메시지는 윗방향 화살표이다. 이 메시지에 따라서 베이스 레이어(1920)을 위로 L3 만큼 이동하면 메시지 생성 패널은 겹침 모드 (c)로 변형된다.
겹침 모드 (c)에서 표현되는 메시지는 우측 방향 화살표이다. 이 메시지에 따라서 베이스 레이어를 우측으로 L3 만큼 이동하면 메시지 생성 패널은 겹침 모드 (d)로 변형된다. 겹침 모드 (d)에서 표현되는 메시지(아래방향 화살표)에 따라서, 베이스 레이어를 이동할 경우 메시지 생성 패널은 다시 겹침 모드(a)로 복귀한다.
본 실시예의 메시지 생성 패널에서 겹침 모드들에서 표현되는 메시지의 패턴은 커버 레이어(1910)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표현되는 메시지는 다음 겹침 모드로 이동하기 위한 베이스 레이어(1920)의 이동 방향을 나타낸다.
도 27의 겹침 모드는 커버 패널 측에서 바라본 메시지 생성 패널을 예시한다. 한편, 이 메시지 생성 패널을 베이스 레이어 방향에서 바라 볼 경우, 그 표현되는 메시지와 레이어의 이동 방향은 도 25에서 설명된 바와 유사하다. 즉, 이 경우 표현되는 메시지는 메시지 생성 패널을 바라보는 측의 레이어를 움직일 방향을 말해준다.
도 2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생성 패널의 베이스 레이어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 레이어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28의 베이스 레이어(2100)에는 관통 구멍들로 구성된 제1 메시지 패턴(2110) 및 제2 메시지 패턴(2112)가 형성되어 있다. 제1 메시지 패턴(2110)은 여러 단어들이 혼재되어 있는 관통 구멍들의 집합이다. 제2 메시지 패턴(2112)은 도 24에서 4 방향 화살표를 메시지로서 포함하는 메시지 패턴(1722)과 유사한 유형의 패턴이다. 베이스 레이어(2100)는 도 26에서 설명한 원형 패턴(1922)과 동일한 유형의 원형 패턴(2130)을 포함한다.
베이스 레이어(2100)는 커버 레이어(2200)와의 결합을 위한 제1 가이드 패턴들(2140)을 포함한다. 베이스 레이어(2100)의 좌측 가이드 패턴(2142) 및 우측 가이드 패턴(2144)는 각각 커버 레이어(2200)의 좌측 가이드 패턴(2242) 및 우측 가이드 패턴(2244)에 겹쳐져서 메시지 표현을 위한 두 레이어의 상대 위치 변화를 가이드 할 수 있다.
도 29의 커버 레이어(2200) 역시 관통 구멍(들)로 구성된 몇 가지 패턴을 포함한다. 제1 그리드 패턴(2210)은 베이스 레이어(2100)에서 제1 메시지 패턴(2110)이 차지하는 영역과 겹쳐짐으로써 메시지를 표현할 수 있다. 제2 그리드 패턴(2220)은 베이스 레이어(2100)의 제2 메시지 패턴(2112)가 차지하는 영역에 겹쳐짐으로써, 화살표 유형의 메시지를 구현할 수 있다. 커버 레이어(2200)상의 화살표 패턴(2230)는 도 26에서 설명된 화살표 패턴(1912)와 동일한 유형의 패턴이다. 이 화살표 패턴(2230)는 베이스 레이어(2100)의 원형 패턴(2130)과 겹쳐짐으로써, 도 27에서 설명된 바와 유사하게, 방향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커버 레이어(2200)는 또한 제2 가이드 패턴(2240)을 포함한다.
커버 레이어(2200) 및 베이스 레이어(2100)의 겹침에 의해 표현되는 메시지들은 도 23 내지 도 26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30 내지 도 3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28 및 도 29의 메시지 생성 패널의 4가지 겹침 모드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30의 제1 겹침 모드에서는, 동일한 크기의 커버 레이어(2200)와 베이스 레이어(2100)가 완전히 겹쳐져 있다. 베이스 레이어(2100)의 제1 가이드 패턴들(2140)들은 커버 레이어(2200)의 제2 가이드 패턴(2240)의 오른쪽 아래 코너 부에 위치한다. 제2 가이드 패턴(2240)의 네 코너부는 도30 내지 도 33의 4가지 겹침 모드에서 제1 가이드 패턴의 위치들에 상응한다.
도 30의 제1 겹침 모드에서, 제1 메시지 패턴(2110)에 포함된 여러 개의 서브 메시지 패턴들 중에서 'THANKS'에 상응하는 관통 구멍들이 커버 레이어(2200)의 제1 그리드 패턴(2210)과 겹쳐진다. 따라서, 커버 레이어(2200)의 회색 패널 부분에 의하여 차단되지 않는 관통 구멍들(3010)이 메시지 'THANKS'를 표현한다. 제2 메시지 패턴(2112)중 커버 레이어(2200)에 의하여 차단되지 않는 부분은 왼쪽 방향 화살표를 표현한다. 커버 레이어(2200)의 화살표 패턴(2230)은 베이스 레이어(2100)의 원형 패턴(2130)과 겹쳐져서 왼쪽 방향 화살표를 표현한다. 도 30의 제1 겹침 모드에서 표현된 왼쪽 화살표 메시지(3012)에 따라서 베이스 레이어(2100)를 L4 만큼 이동하면 도 31의 제2 겹침 모드가 구현된다.
도 31의 제2 겹침 모드에서, 제1 가이드 패턴들(2140)은 제2 가이드 패턴들(2240)의 왼쪽 아래 모서리에 들어 맞는다. 제2 겹침 모드에서 제1 메시지 패턴(2110)중 커버 레이어(2200)에 의하여 차단되지 않은 부분(3110)은 메시지 'SO'를 표현한다. 제2 겹침 모드에서, 커버 레이어(2200)에 의하여 차단되지 않은 제2 메시지 패턴(2112)은 위쪽 방향 화살표를 나타낸다. 도 31의 제2 겹침 모드에서 표현된 위쪽 방향 화살표 메시지(3112)에 따라서 베이스 레이어(2100)를 이동하면 도 33의 제3 겹침 모드가 구현된다.
도 32에 예시된 제3 겹침 모드에서, 제1 가이드 패턴들(2140)은 제2 가이드 패턴들(2240)의 왼쪽 윗부분 모서리에 들어 맞는다. 제3 겹침 모드에서 제1 메시지 패턴(2110)중 커버 레이어(2200)에 의하여 차단되지 않는 부분(3210)은 메시지 'MUCH'를 표현한다. 제2 겹침 모드에서, 제2 메시지 패턴(2112)중 커버 레이어(2200)에 의하여 차단되지 않는 부분(3212)은 오른쪽 방향 화살표를 나타낸다. 도 32의 제3 겹침 모드에서 표현된 오른쪽 방향 화살표 메시지(3212)에 따라서 베이스 레이어(2100)를 이동하면 도 33의 제4 겹침 모드가 구현된다.
도 33에 예시된 제4 겹침 모드에서, 제1 가이드 패턴들(2140)은 제2 가이드 패턴들(2240)의 오른쪽 윗부분 모서리에 들어 맞는다. 제4 겹침 모드에서 제1 메시지 패턴(2110)를 구성하는 관통 구멍들 중에서 커버 레이어(2200)에 의하여 차단되지 않은 관통 구멍들(3310)은 메시지 ' TIM'을 표현한다. 제2 겹침 모드에서, 제2 메시지 패턴(2112)의 커버 레이어(2200)에 의하여 차단되지 않은 부분(3312) 은 아래 방향 화살표를 나타낸다. 도 2의 제2 겹침 모드에서 표현된 아래 방향 화살표 메시지에 따라서 베이스 레이어(2100)를 이동할 경우, 메시지 생성 패널은 도 23의 제1 겹침 모드로 복귀한다.
이상과 같이 4가지 겹침 모드에 따라서 표현되는 텍스트 메시지는 'THANKS SO MUCH TIM'이다. 베이스 레이어(2100)만을 소지한 사람이 그 텍스트 메시지를 판독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커버 레이어(2200)를 베이스 레이어(2100)에 겹침으로써, 숨겨진 메시지들이 판독 가능하게 된다. 또한, 각 겹침 모드에서 다음 겹침 모드로의 전환을 위한 레이어의 이동 방향을 화살표 메시지로 제공함으로써 숨겨진 메시지의 판독에 위한 가이드를 제공할 수 있다.
도 3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 레이어(2200)와 베이스 레이어(2100)의 결합 구조를 예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생성 패널의 두 레이어들(2100, 2200)은 각각의 가이드 패턴(2142, 2242)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레이어 결합 수단(2700)은 2개의 리벳(2710. 2720)과 브러쉬(2710)를 포함할 수 있다. 두 리벳의 결합축은 베이스 패널의 가이드 패턴(2142)와 상응하는 지름을 가진다. 이러한 결합 수단을 통해 메시지 생성 패널의 상대적인 변위를 제한함으로써 메시지 생성 패널이 표현하는 메시지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설명된 메시지 생성 패널은 숨김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한 카드 쌍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도 21의 베이스 레이어에 상응하는 형상의 카드 또는 도 22의 커버 레이어에 상응하는 형상의 카드 하나만으로는 숨김 메시지를 판독하기 힘들다. 이러한 두 장의 카드는 가이드 패턴들을 기준으로 적절하게 겹쳐지는 경우에 한해 숨김 메시지를 표현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메시지 생성 패널들의 각 레이어들은 불투명한 모재를 기반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메시지 생성 패널의 각 레이어가 반드시 불투명한 물질에 기반하여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각 레이어에 형성되는 관통 구멍과 투과 정도의 차이로서 구별될 수 있다면, 반 투명한 패널 역시 사용가능하다. 예를 들어, 유색의 아크릴 판 등에 구멍을 형성하여 커버 레이어 또는 베이스 레이어를 형성할 수 도 있다.
일반적으로 관통 구멍이라는 용어는 메시지 생성 패널의 각 레이어를 관통하는 구멍 또는 개구부를 의마하는 용어로 이해될 수 있다. 그러나 관통 구멍의 구성 역시 변경가능하다. 예를 들어, 불투명한 패널 레이어에 유색의 아크릴 수지를 이용하여 관통 패턴을 형성할 수도 있다. 즉, 관통 패턴이라는 용어는 상대적으로 낮은 투과성을 가지는 레이어의 모재에 형성된 보다 높은 투과성을 가지는 부분을 지 칭하는 용어로서 이해될 수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관통 구멍이라는 용어는 투과 또는 투시 구멍이라는 용어로, 관통 패턴이라는 용어는 투과 패턴 또는 투시 패턴으로 교체되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실시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전술한 실시예 외의 많은 실시예 들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존재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는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 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조사된 빛을 형성된 패턴에 따라 부분적으로 투과시키는 제1 패널 및 제1 패널을 투과한 빛을 부분적으로 투과시키는 제2 패널을 포함하는 메시지 생성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메시지 생성 장치를 이용하면 조명 조건에 따라서 투영되는 메시지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시지 생성 패널의 표면에 대하여 기울어진 관통 구멍을 포함하는 레이어를 이용함으로써, 조명 각도에 따라 서로 다른 메시지를 투영할 수 있는 메시지 생성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관통 구멍이 형성된 커버 레이어를 베이스 레이어에 겹침으로써, 베이스 레이어 중에서 커버 레이어에 의하여 차단되지 않는 부분에서 메시지를 표현하는 메시지 생성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메시지 생성 장치를 이용하면, 하나의 레이어 만으로는 판독이 힘든 숨김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Claims (12)

  1. 제1 모재 및 상기 제1 모재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광 투과성을 가지는 제1 투과 패턴을 포함하는 제1 레이어 및
    제2 모재 및 상기 제2 모재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광 투과성을 가지는 제2 투과 패턴을 포함하는 제2 레이어를 포함하는 메시지 생성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메시지 생성 패널은 상기 제1 투과 패턴 및 상기 제2 투과 패턴을 동시에 통과한 빛에 의하여 메시지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 투과 패턴 및 상기 제2 투과 패턴은 상기 메시지 생성 패널에 입사하는 빛의 각도에 따라 복수 개의 메시지들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메시지 생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레이어의 상기 제2 투과 패턴은 제1 메시지에 상응하는 제1 서브 투과 패턴 및 제2 메시지에 상응하는 제2 서브 투과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메시지 생성 패널은
    상기 제1 레이어에 제1 방향으로 입사하여 상기 제1 투과 패턴을 투과한 빛 중에서 제1 서브 투과 패턴을 투과한 빛을 이용함으로써 상기 제1 메시지를 생성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레이어에 제2 방향으로 입사하여 상기 제1 투과 패턴을 투과한 빛 중에서 제2 서브 투과 패턴을 투과한 빛을 이용함으로써 상기 제2 메시지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메시지 생성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투과 패턴 및 상기 제2 투과 패턴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각 투과 패턴이 형성되는 제1 모재 또는 제2 모재를 관통하는 구멍을 포함하는
    메시지 생성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레이어에 형성된 상기 제1 투과 패턴은
    상기 제1 레이어에 대하여 기울어진 중심축을 가지는 제1 서브 투과 패턴을 포함하는
    메시지 생성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레이어에 형성된 상기 제1 투과 패턴은
    상기 제1 서브 투과 패턴의 중심축 기울기와 다른 방향의 중심축 기울기를 가지는 제2 서브 투과 패턴을 포함하는
    메시지 생성 장치.
  6. 커버 레이어 및 베이스 레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 레이어 및 상기 베이스 레이어의 겹침에 의하며 2 이상의 메시지를 표현할 수 있는 메시지 생성 장치로서,
    상기 커버 레이어는 상기 커버 레이어의 모재에 비해 큰 광투과성을 가지는 제1 투과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레이어는
    상기 커버 레이어와의 제1 겹침 모드에서 상기 제1 투과 패턴을 통하여 노출됨으로써 제1 메시지를 표현하는 제1 메시지 패턴 및
    상기 커버 레이어와의 제2 겹침 모드에서 상기 제1 투과 패턴을 통하여 노출되는 제2 메시지 패턴을 포함하는 메시지 생성 패널을 포함하는
    메시지 생성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레이어에 형성된 제1 메시지 패턴은 상기 베이스 레이어의 모재보다 높은 광투과성을 가지는 투과 패턴을 포함하는
    메시지 생성 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레이어에 형성된 제1 메시지 패턴은 상기 베이스 레이어의 모재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구멍을 포함하는
    메시지 생성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레이어의 상기 제1 메시지 패턴 및 상기 제2 메시지 패턴은하나의 대상 메시지에 속하는 제1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에 뒤이은 제2 부분에 각각에 상응하고,
    상기 제1 메시지 패턴은 상기 메시지 생성 패널이 상기 베이스 레이어가 상기 제1 겹침 모드에서 상기 제2 겹침 모드로 전환하기 위해 요구되는 상기 베이스 레이어 및/또는 상기 커버 레이어의 이동에 대한 안내 메시지를 표시하는 패턴을 포함하는
    메시지 생성 장치.
  10. 모재 및 상기 모재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광 투과성을 가지는 투과 패턴을 포함하는 메시지 생성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메시지 생성 패널은 상기 투과 패턴을 통과한 빛에 의해 메시지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며,
    입사하는 빛의 각도에 따라 복수 개의 메시지들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메시지 생성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투과 패턴은 상기 투과 패턴이 형성되는 상기 모재를 관통하는 관통 구멍을 포함하는
    메시지 생성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 구멍은 복수 개로 형성되며,
    상기 복수 개의 관통 구멍 중 일부 및 나머지 일부는 서로 다른 각도로 형성되어 입사하는 빛의 각도에 따라 복수 개의 메시지들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메시지 생성 장치.
KR1020097022879A 2007-10-29 2008-10-29 메시지 생성 장치 KR1010619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1207P 2007-10-29 2007-10-29
US61/000,812 2007-10-29
PCT/KR2008/006376 WO2009057942A2 (en) 2007-10-29 2008-10-29 Apparatus of generating messag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30403A KR20090130403A (ko) 2009-12-23
KR101061996B1 true KR101061996B1 (ko) 2011-09-05

Family

ID=405916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22879A KR101061996B1 (ko) 2007-10-29 2008-10-29 메시지 생성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161672B2 (ko)
KR (1) KR101061996B1 (ko)
WO (1) WO2009057942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034711A (ja) * 2018-08-30 2020-03-05 真一 福重 視点依存画像表示システム、視点依存画像表示物およびプログラム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86794A1 (en) 1999-06-07 2006-04-27 Metrologic Instruments, Inc.. X-radiation scanning system having an automatic object identification and attribute information acquisition and linking mechanism integrated therein
US20060239001A1 (en) 2002-08-28 2006-10-26 Adaptive Micro Systems, Llc Display device with molded light guid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51410A (en) * 1961-08-18 1964-10-06 Stinis Anthony Sky writing apparatus
US3184872A (en) * 1962-12-31 1965-05-25 Mobilcolor Inc Moving pattern simulator
GB9600247D0 (en) * 1996-01-06 1996-03-06 Contra Vision Ltd Panel with light permeable images
JP3541731B2 (ja) * 1999-06-18 2004-07-14 株式会社デンソー 偽造判定方法、偽造判定装置及び記録媒体
WO2004102464A2 (en) * 2003-05-08 2004-11-25 Digimarc Corporation Reversible watermarking and related application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86794A1 (en) 1999-06-07 2006-04-27 Metrologic Instruments, Inc.. X-radiation scanning system having an automatic object identification and attribute information acquisition and linking mechanism integrated therein
US20060239001A1 (en) 2002-08-28 2006-10-26 Adaptive Micro Systems, Llc Display device with molded light guid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9057942A2 (en) 2009-05-07
US20100257764A1 (en) 2010-10-14
US8161672B2 (en) 2012-04-24
KR20090130403A (ko) 2009-12-23
WO2009057942A3 (en) 2009-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3616B1 (ko) 조명과 형상 영상 형성의 이중 기능 광학 장치
JP7023560B2 (ja) 星空再現装置
CN101688978B (zh) 视觉图像显示装置以及使用该装置形成期望图像的方法
US6450540B1 (en) Printed matter displaying various colors according to view angle
CA2632346A1 (en) Three-dimensional internal back-projection system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US5030100A (en) Environmental display system
TW201346471A (zh) 顯示裝置
JP6115998B2 (ja) 展示装置
KR101061996B1 (ko) 메시지 생성 장치
US20200118467A1 (en) Starry sky reproducing sheet and device
US20180003997A1 (en) Exhibition device and video picture exhibition method
AU777830B2 (en) Projection system
JP2010091887A (ja) パララックスバリア、裸眼立体映像表示装置
JP5103612B2 (ja) 投影装置および演出装置
CN110792288A (zh) 一种多维空间技术展示装置
US6000803A (en) Image generating method and apparatus
US11422454B1 (en) Individually angled mirror array system specialty effects
Selmke Artificial halos
US10895804B1 (en) Individually angled mirror array system specialty effects
US9576377B1 (en) Individually angled mirror array system specialty effects
KR102370866B1 (ko) 빛의 지향성 교육을 위한 체험학습기와 그의 사용방법
JP2018205602A (ja) プロジェクションシート及び表示方法
KR100901104B1 (ko) 인쇄 표시기능을 갖는 스크린 장치
CN211524212U (zh) 一种多维空间技术展示装置
Lescop The fabulous history of immersive dev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