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1690B1 - Deodorization system capable of supplying liquid fertilizer production strain and liquid fertilizer production facility comprising the deodorization system - Google Patents

Deodorization system capable of supplying liquid fertilizer production strain and liquid fertilizer production facility comprising the deodorization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1690B1
KR101061690B1 KR20110009441A KR20110009441A KR101061690B1 KR 101061690 B1 KR101061690 B1 KR 101061690B1 KR 20110009441 A KR20110009441 A KR 20110009441A KR 20110009441 A KR20110009441 A KR 20110009441A KR 101061690 B1 KR101061690 B1 KR 1010616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odor
tank
deodorization
str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1000944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송석오
김홍주
임재삼
김성복
최태영
임영봉
이환길
김을섭
김완주
오세현
용만복
성대용
장창순
이동은
천행수
Original Assignee
충청남도
(주)아미팜
주식회사 에코엔
논산계룡축산업협동조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청남도, (주)아미팜, 주식회사 에코엔, 논산계룡축산업협동조합 filed Critical 충청남도
Priority to KR201100094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169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16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169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84Biological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40Bio-organic fraction processing; Production of fertilisers from the organic fraction of waste or ref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Fertilizers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비 제조 균주 공급이 가능한 탈취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액비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탈취 시스템은 하부에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탈취탑, 상기 탈취탑 외부에 연통 설치되어 미생물 균주를 배양하는 미생물 균주 배양조, 상기 탈취탑의 상단에 구비되어 일단에 형성된 유입구를 통해 악취를 포집하는 악취 포집 박스, 상기 악취 포집 박스 내에 장착되어 악취를 흡입하는 흡입 팬, 상기 흡입 팬 전단에 설치되어 음이온을 방출하고 상기 포집된 악취에 충돌시켜 안정화시키는 음이온 발생기, 상기 탈취탑 내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처리된 악취에 상기 미생물 균주액을 살포시켜 용해시키는 노즐, 및 상기 탈취탑 하부에 설치되어 용해된 악취를 미생물과 접촉시킴으로써 산화분해시켜 무취화시키는 바이오 필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액비화 장치는 상기 탈취 시스템과 그 하부에 연통되어 일체화된 액비 제조 시스템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액비화 장치는 종래의 악취 처리 기술에 비해 처리할 수 있는 악취의 범위가 넓고, 악취물질의 농도에 관계없이 적용가능하며 다양한 악취물질의 복합물 제거에 효율적이다. 본 발명의 액비화 장치는 액비화시 발생되는 악취를 저감시킬 뿐 아니라 액비 제조 및 처리에 유용한 미생물을 배양하여 연중 공급할 수 있어 액비화를 촉진할 수 있고 처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어 경제성이 확보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odorization system capable of supplying a liquid fertilizer production strain and a liquid liquefaction apparatus provided with the same, the deodorization system is a microorganism strain for culturing the microbial strain is installed in communication with the deodorization tower, the deodorization tower is formed in the lower outlet, the deodorization tower Odor collection box provided at the top of the culture tank, the deodorization tower to collect the odor through the inlet formed at one end, a suction fan mounted in the odor collection box to suck the odor, installed in front of the suction fan to release anion An anion generator for colliding with the collected odors, a nozzle install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deodorization tower and spraying and dissolving the microbial strain solution to the treated odor, and a odor dissolved and installed under the deodorization tower with microorganisms; Biofilters oxidatively decomposed and odorless by contact . The liquefaction apparatus includes a liquid liquefaction manufacturing system in communication with the deodorization system and integrated therein. The liquid liquefac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wider range of odors that can be treated than conventional odor treatment techniques, is applicable regardless of concentration of odorous substances, and is effective for removing complexes of various odorous substances. The liquid liquefac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not only reduce the odor generated during liquid liquefaction, but also can be cultured and supplied microorganisms useful for liquid fertilizer production and processing throughout the year can promote the liquid liquefaction and can reduce the treatment cost, thereby securing economical efficiency.

Figure R1020110009441
Figure R1020110009441

Description

액비 제조 균주 공급이 가능한 탈취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액비화 장치{Deodorization System Capable of Supplying Liquid Fertilizer Production Strain and Liquid Fertilizer Production Facility Comprising the Deodorization System}Deodorization System Capable of Supplying Liquid Fertilizer Production Strain and Liquid Fertilizer Production Facility Comprising the Deodorization System

본 발명은 액비 제조 균주 공급이 가능한 탈취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액비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액비 제조 균주를 액비 제조 시스템으로 공급하여 액비화를 촉진하고 상기 액비 제조 시스템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음이온과 미생물을 이용하여 제거하거나 저감시킬 수 있는 탈취 시스템 및 상기 액비 제조 시스템과 탈취 시스템을 구비한 액비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odorization system capable of supplying liquid fertilizer strains and a liquid liquefaction apparatus having the same, and more specifically, to supply liquid fertilizer strains to the liquid fertilizer production system to promote the liquid liquefaction and odor generated in the liquid fertilizer production system with an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odorization system capable of removing or reducing microorganisms and a liquid liquefaction apparatus including the liquid fertilizer production system and the deodorization system.

가축분뇨 뿐 아니라 산업 발달로 인한 공장의 오폐수, 화석 연료 사용에 따른 발전소, 자동차의 배출 가스, 현대인의 생활 변화에 따른 각종 하수나 악취, 병원 등 특수 시설물로부터의 폐기물이 급증하면서 환경에 큰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또한 이러한 분뇨, 환경오염물질, 하수, 쓰레기 처리시설로부터 배출되는 악취는 그대로 대기 중에 방출되고 있어 주변 환경을 악화시키고 인체에 노출되어 심각한 신체적 질환을 유발할 우려가 매우 크다. 특히 휘발성 유기 화합물(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을 비롯한 악취성분은 인체의 건강에 큰 위협이 되고 있다. 휘발성 유기 화합물은 탄소와 수소의 유기적인 결합에 의하여 생성되는 화합물로서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며 휘발유 등 석유제품의 사용, 석유, 알코올, 기타 유기산 등의 불완전 연소시 생성된다. 이들 중 일부는 발암물질이며, 대부분의 자극적이며 냄새가 심하다. 이러한 악취성분에 의한 문제가 심각해지면서 이에 대한 대응책 마련이 시급한 실정에 있다. In addition to livestock manure, wastewater from factories' wastewater due to industrial development, fossil fuel use, power plant emissions, automobile emissions, and various sewage, odors, and hospitals caused by modern people's changes in life have a significant adverse effect on the environment. Is going crazy. In addition, the odor discharged from the manure, environmental pollutants, sewage, waste treatment facilities are released into the atmosphere as it is, there is a great risk of deteriorating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causing serious physical diseases. In particular, odorous components including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pose a serious threat to human health. Volatile organic compounds are compounds produced by organic bonding of carbon and hydrogen, and exist in various forms. They are produced when incomplete combustion of petroleum products such as gasoline, petroleum, alcohol, and other organic acids. Some of these are carcinogens and most are irritating and odorous. As the problem caused by the odor component is serious, it is urgent to prepare a countermeasure.

악취 중에 함유되어 있는 인체 유해성분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시설과 처리 방법이 이미 널리 알려져 있다. 이러한 처리 방법의 예로는 연소법, 흡수법, 흡착법, 미생물법 등이 있다. 연소법을 위한 설비에는 250-350℃의 저온에서 촉매를 이용하여 산화분해하는 촉매연소장치와 약 800℃에서 가열 연소시켜 분해시키는 직접연소장치가 있다. 촉매연소장치는 높은 제거효율에도 불구하고 설비가 복잡하여 설비비가 높고 대용량에 부적합하며 폭발 위험성이 있고 고가의 운전비로 인해 유지관리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직접연소장치는 제거효율이 낮고 촉매연소장치와 마찬가지로 설비가 복잡하여 설비비가 높으며 고가의 운전비로 인해 유지관리가 어려우나 다양한 유기용제를 제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흡수법을 위한 설비에는 물, 산, 알칼리, 산화제의 수용액에 의한 화학반응을 이용한 세정식 스크러버가 있다. 이 설비는 유지관리가 어렵고 약품 및 용수 사용이 많아 화학폐수가 다량으로 발생되며 설비 부식을 유발하고 제거효율 또한 만족스럽지 않다. 흡착법을 위한 설비에는 흡착제(예를 들면 활성탄)에 의한 물리적 흡착을 이용한 활성탄 흡착탑이 있다. 이 설비는 간단하고 실적이 많으며 다양한 화합물에 적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고농도에는 비경제적이고 흡착제 교체주기가 짧아 폐흡착제 처리 비용 및 교체 비용이 많이 들며 제거효율이 높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 미생물법을 위한 설비에는 미생물 담체를 이용한 바이오 필터가 있다. 이 설비는 미생물에 의한 산화분해를 이용하여 친환경적이고 운전이 간단하며 2차 오염물질 발생 위험이 없고 유지관리비가 적으며 제거효율 또한 높다는 장점이 있다. Various facilities and treatment methods for removing harmful substances contained in odors are already well known. Examples of such treatment methods include combustion, absorption, adsorption, and microbial methods. Facilities for the combustion method include a catalytic combustion device for oxidative decomposition using a catalyst at a low temperature of 250-350 ° C. and a direct combustion device for thermal combustion at about 800 ° C. for decomposition. Despite the high removal efficiency, catalytic combustion devices have the disadvantages of high facility cost due to complex equipment, unsuitable for large capacity, risk of explosion, and difficult maintenance due to expensive operation cost. The direct combustion device has the advantage of low removal efficiency and complex equipment like the catalytic combustion device, which is high in equipment cost and difficult to maintain due to expensive operation cost, but can remove various organic solvents. Facilities for absorption include scrubbers using chemical reactions with aqueous solutions of water, acids, alkalis and oxidants. This facility is difficult to maintain and uses a lot of chemicals and water, so a large amount of chemical waste water is generated, causing corrosion of the facility and unsatisfactory removal efficiency. Facilities for the adsorption method include an activated carbon adsorption tower using physical adsorption by an adsorbent (for example, activated carbon). This equipment has the advantage of being simple, high-performance, and applicable to various compounds, but it is disadvantageous in that it is uneconomical at high concentrations, and the adsorbent replacement cycle is short, so that the waste adsorbent treatment cost and replacement cost are high, and the removal efficiency is not high. Facilities for microbial methods include biofilters using microbial carriers. This facility has the advantages of eco-friendly, simple operation, low risk of secondary pollutants, low maintenance cost and high removal efficiency by using oxidative decomposition by microorganisms.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탈취 시스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점증하는 환경오염물질, 폐기물 등으로부터 발생하는 악취를 화학적, 생물학적 방법으로 제거하여 무취화하면서 액비 제조 시스템과 연계되어 액비 제조 균주를 상기 액비 제조 시스템으로 공급함으로써 액비화를 촉진하고 상기 액비 제조 시스템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음이온과 미생물을 이용하여 저감시킬 수 있는 탈취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deodorization system, in connection with the liquid fertilizer production system while removing the odor generated by increasing environmental pollutants, waste, etc. by chemical and biological methods to produce a liquid fertilizer strain It is to provide a deodorizing system that promotes liquid liquefaction by supplying to the liquid fertilizer production system and can reduce the odor generated in the liquid fertilizer production system using anions and microorganisms.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탈취 시스템 및 이에 연계되어 액비를 제조할 수 있는 액비 제조 시스템을 구비한 액비화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iquefaction apparatus having a deodorization system and a liquid fertilization manufacturing system capable of producing liquid fertilizers in connection with the deodorization system.

본 발명에 따르면, 하부에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탈취탑, 상기 탈취탑 외부에 연통 설치되어 미생물 균주를 배양하는 미생물 균주 배양조, 상기 탈취탑의 상단에 구비되어 일단에 형성된 유입구를 통해 악취를 포집하는 악취 포집 박스, 상기 악취 포집 박스 내에 장착되어 악취를 흡입하는 흡입 팬, 상기 흡입 팬 전단에 설치되어 음이온을 방출하고 상기 포집된 악취에 충돌시켜 안정화시키는 음이온 발생기, 상기 탈취탑 내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처리된 악취에 상기 미생물 균주액을 살포시켜 용해시키는 노즐, 및 상기 탈취탑 하부에 설치되어 용해된 악취를 미생물과 접촉시킴으로써 산화분해시켜 무취화시키는 바이오 필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탈취 시스템이 제공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deodorization tower having a discharge port formed at a lower portion thereof,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of the deodorization tower is installed in the microbial strain culture tank for culturing microbial strain, the deodorization tower is provided on the top of the odor trap through the inlet formed A odor collecting box, a suction fan mounted in the odor collecting box to suck odors, an anion generator installed at the front of the suction fan to release negative ions and collide with the collected odors, and installed above the deodorization tower. Provided is a deodorizing system comprising a nozzle for spraying and dissolving the microbial strain solution to the treated malodor, and a biofilter installed under the deodorizing tower to oxidize and deodorize the malodor by contacting the microorganism.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바이오 필터는 미생물 담체로서 그 표면에 악취물질이 부착되고 미생물이 성장 및 서식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바닥부의 폴링과, 그 위에 적층된 미생물 펠렛과 미생물의 탄소원으로서 우드칩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n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iofilter is a microbial carrier, a polluting at the bottom that provides a space where odorous substances adhere to the surface of the microorganisms, and provides a space for microorganisms to grow and inhabit, and microbial pellets stacked thereon and carbon sources of microorganisms. As a wood chip characterized in that.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미생물은 아질산 분해균, 질산화균, 황산화균, 아민류 분해균, 스티렌 분해균, 항진균성 물질 생성균 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icroorganism includes nitrite decomposition bacteria, nitrification bacteria, sulfated bacteria, amine degradation bacteria, styrene decomposition bacteria, antifungal substance producing bacteria and the like.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균주 배양조 내에 락토바실루스속을 배양하는 소형 반응기를 설치하여 상기 바이오 필터 내 pH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mall reactor for culturing Lactobacillus genus is installed in the strain culture tank to maintain the pH in the biofilter.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소형 반응기는 수분을 모으는 상부의 깔때기와 락토바실루스속을 배양하는 하부의 반응조로 구성되고, 상기 하부 반응조는 바닥에 유기산이 배출될 수 있도록 일정 크기의 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홀 위에는 그물망을 깔아 유기산만 배출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내부에는 일정 간격으로 타공관(유공관)을 설치하여 미생물 발효시 임의성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mall reactor is composed of a funnel at the top of collecting water and a lower reaction tank for culturing the genus Lactobacillus, the lower reaction tank is a hole of a predetermined size so that the organic acid can be discharged to the bottom It is formed and the net is laid on the hole so that only the organic acid can be discharged, and the inner perforated pipe (oil pipe) is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characterized in that it maintains a random state during fermentation of microorganisms.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탈취 시스템 및 상기 탈취 시스템의 하부와 연통되어 일체화된 액비 제조 시스템을 포함하는 액비화 장치가 제공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liquefaction apparatus comprising a liquid nutrient production system in communication with the deodorization system and a lower portion of the deodorization system.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액비 제조 시스템은 분뇨 등에 함유되어 있는 거대입자를 분리하는 고액분리기, 고액 분리된 여액을 저장하고 1차 가폭기를 이용하여 안정화시키며 효소분해가 이루어지는 유량 균등화조, 고속분쇄 탈기장치와 산소 공급을 하여 가속화시키는 고속 액비화조, 상기 탈취 시스템과 연결되어 미생물을 확보하고 공급하는 활성화 균주 배양조, 유기 화합물 분해, 악취제거 활성화 및 기능성 액비를 생산하는 액비 활성화조, 및 생산된 기능성 액비를 저장하고 반송된 미생물 균주를 확보하는 액비 숙성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n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iquid-liquid preparation system is a solid-liquid separator for separating the large particles contained in the manure, etc., the liquid-liquid separated filtrate is stored and stabilized by using a primary accelerator, the flow rate equalization is enzymatic decomposition Tank, high speed crushing degassing apparatus and high speed liquefaction tank for accelerating oxygen supply, activated strain culture tank connected with the deodorization system to secure and supply microorganisms, organic compound decomposition, odor removal activation and functional liquid fertilizer production tank And a liquid fermentation tank for storing the produced functional liquid fertilizer and securing the returned microbial strai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고속분쇄 탈기장치는 상기 액비 숙성조에 설치되어 있는 반송펌프 배관 내부에 장착되어 액비를 분쇄 탈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igh-speed pulverization degassing apparatus is mounted inside a conveying pump pipe installed in the liquid fermentation aging tank to pulverize the liquid ratio.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탈취탑 하부에서 균주 배양조로 연결되는 반송관을 설치하고 상기 반송관에 T자형 연결관을 이용하여 균주 공급(seeding)관을 연결 설치하며 상기 균주 배양조 내에는 반송관에 연결되는 플로트 스위치와 이보다 약간 높게 상수 공급관에 연결되는 플로트 스위치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플로트 스위치의 높이 조정에 의해 액비 제조 균주를 상기 액비 제조 시스템의 활성화 균주 배양조로 자동으로 정량 공급하고 플로트 스위치의 높이차에 해당하는 양만큼 균주 배양조에 용수를 자동 공급되도록 하며 펌프 정지시 상기 균주 배양조의 수위가 상승하여 범람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균주 배양조의 수위를 자동으로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port pipe is connected to the strain culture tank in the lower deodorizing tower and the strain supply pipe using a T-shaped connecting pipe is installed in the transport pipe and the strain culture tank By installing a float switch connected to the return pipe and a float switch connected to a constant supply pipe slightly higher than this, the fertilizer manufacturing strain is automatically quantitatively supplied to the activated strain culture tank of the liquid preparation system by adjusting the height of the float switch.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water is automatically supplied to the strain culture tank by the amount corresponding to the height difference of the float switch, and the level of the strain culture tank is automatically adjusted while preventing the flooding by raising the water level of the strain culture tank when the pump is stopped.

본 발명의 탈취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장점을 제공한다.The deodoriz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following advantages.

첫째, 종래의 악취 처리 기술에 비해 스티렌, 아세트알데히드, 이황화메틸, 황화수소, 메틸메르캅탄류, 황화메틸류, 아민류, 암모니아, 휘발성 지방산(volatile fatty acids, VFAs) 등을 포함하여 처리할 수 있는 악취의 범위가 넓다. First, odors that can be treated include styrene, acetaldehyde, methyl disulfide, hydrogen sulfide, methyl mercaptans, methyl sulfides, amines, ammonia, volatile fatty acids (VFAs) and the like compared to conventional odor treatment techniques. The range of is wide.

둘째, 악취물질의 농도에 관계없이 적용가능하며 다양한 악취물질의 복합물 제거에 특히 효율적이다.Second, it is applicable regardless of the concentration of odorous substances and is particularly effective for removing complexes of various odorous substances.

셋째, 화학약품을 사용하지 않고 미생물을 이용함으로써 소요 동력이 적어 운전 및 유지관리비가 저렴하다. Third, by using microorganisms without using chemicals, power consumption is low, and operation and maintenance costs are low.

넷째, 음이온 발생기 및 바이오 필터에 의한 화학적, 생물학적 이중 처리방식을 채용하여 부하변동이나 동절기 기온 하강시에도 처리효율의 저하가 적다.Fourth, the chemical and biological dual treatment method by anion generator and bio filter is adopted, so there is little deterioration in treatment efficiency even under load fluctuation or winter temperature drop.

다섯째, 탈취 뿐 아니라 가축분뇨 액비화 및 수처리에도 적용할 수 있는 미생물을 성장시킬 수 있다.Fifth, it is possible to grow microorganisms that can be applied to livestock manure liquefaction and water treatment as well as deodorization.

여섯째, 미생물에 의한 산화분해로 친환경적이며 2차 오염물질이 발생하지 않는다.Sixth, it is environmentally friendly and does not generate secondary pollutants by oxidative decomposition by microorganisms.

또한 본 발명의 액비화 장치는 다음과 같은 장점을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liquefac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following advantages.

첫째, 기존 탈취 시스템과 동등 이상의 탈취 성능 뿐만 아니라 액비 제조 및 처리에 유용한 미생물을 배양하여 연중 공급할 수 있고 일회성 생균제 투입이 없어 생균제 투입 비용과 같은 처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등 경제성이 확보된다.First, economical efficiency is secured such that the deodorizing performance equivalent to that of the existing deodorizing system can be cultivated and supplied throughout the year by cultivating microorganisms useful for the preparation and processing of liquid fertilizer.

둘째, 액비 제조 균주 공급으로 인해 액비화를 촉진할 수 있고 액비화시 발생되는 악취를 저감시킬 수 있다. Second, due to the supply of liquid fertilizer strains can promote liquid fertilization and can reduce the odor generated during liquid fertilization.

셋째, 농장에 적합한 바실루스속 균주를 탈취 시스템에서 배양하여 액비 제조 시스템으로 공급함으로써 액비화를 촉진하여 양질의 액비 생산을 가능하게 하며 미생물 확보가 가능하여 높은 처리효율이 확보된다. Third, the bacillus strain suitable for farms is cultured in a deodorizing system and supplied to the liquid fertilizer production system to promote liquid fertilization to enable the production of high-quality liquid fertilizers and microorganisms to secure high processing efficiency.

넷째, 자체적으로 미생물 공급이 확보되어 액비 제조 시스템 운전시 발생하는 악취를 탈취 시스템으로 보내 제거하고 다시 탈취 시스템에서 배양된 균주를 액비 제조 시스템에 유기적으로 순환 공급하여 액비화를 더욱 촉진할 수 있다. Fourth, the microbial supply itself is secured by sending the odor generated during operation of the liquid fertilizer production system to the deodorization system to remove and again circulating the strain cultured in the deodorization system to the liquid fertilizer production system to further promote the liquid liquefaction.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형태에 따른 액비화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는 도 1의 액비화 장치 중 탈취 시스템의 탈취탑을 일부 절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액비화 장치 중 탈취 시스템에 사용되는 음이온 발생기에 의해 공기 중에 부유하는 양이온성 유해물질에 음이온이 결합되어 낙하하는 모습을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도 4는 도 3의 음이온 발생기의 내부 구성도이다.
도 5는 도 1의 액비화 장치 중 탈취 시스템의 바이오 필터에 사용되는 폴링(담체)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6은 도 1의 액비화 장치 중 탈취 시스템의 바이오 필터에 사용되는 미생물 펠렛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7은 도 1의 액비화 장치 중 탈취 시스템의 바이오 필터에 사용되는 우드칩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8a 및 8b는 각각 도 1의 액비화 장치 중 탈취 시스템의 미생물 균주 배양조 내에 설치되는 소형 반응기의 분해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1의 액비화 장치의 액비 제조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액비 제조 시스템을 구성하는 반응조들의 블록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A" 부분에서의 유체 흐름도이다.
도 12는 도 9의 액비 제조 시스템의 반응조 간 연결 상태도이다.
도 13은 도 9의 액비 제조 시스템 중 액비 숙성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도 1의 액비화 장치를 이용하여 악취를 제거하고 액비를 제조하기 위한 공정 블록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It is a schematic diagram which shows the structure of the liquefaction apparatus which concerns on one preferable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part of the deodorizing tower of the deodorizing system of the liquefaction apparatus of FIG.
FIG. 3 is a conceptu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nions are combined and dropped to a cationic harmful substance suspended in air by an anion generator used in a deodorizing system of the liquefaction apparatus of FIG. 1.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negative ion generator of FIG. 3.
5 is a photograph showing polling (carrier) used in the biofilter of the deodorization system of the liquefaction apparatus of FIG.
6 is a photograph showing microbial pellets used in the biofilter of the deodorization system of the liquefaction apparatus of FIG.
7 is a photograph showing a wood chip used in the biofilter of the deodorization system of the liquefaction apparatus of FIG.
8A and 8B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and cross-sectional views of a small reactor installed in a microbial strain culture tank of a deodorization system of the liquefaction apparatus of FIG. 1, respectively.
It is a block diagram of the liquid rain manufacturing system of the liquefaction apparatus of FIG.
FIG. 10 is a block diagram of reactors constituting the liquid fertilization system of FIG. 9.
FIG. 11 is a flow chart at portion “A” of FIG. 10.
FIG. 12 is a connection state diagram between reaction tanks of the liquid fertilization preparation system of FIG. 9.
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structure of the liquid fermentation tank of the liquid fertilizer manufacturing system of FIG.
FIG. 14 is a process block diagram for removing odors and manufacturing a liquid ratio using the liquid liquefaction apparatus of FIG. 1.

이하,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탈취 시스템과 액비화 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deodorizing system and liquefac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액비화(또는 액비 제조)"는 돈 분뇨 슬러지와 같은 액체성 가축분뇨를 저장조에 저장하여 두고 호기적 또는 혐기적으로 발효시켜 경작지에 살포할 수 있도록 액체 비료 자원으로 만드는 것을 의미한다. As used herein, the term "liquid liquefaction (or liquid fertilization)" refers to liquid liquid manure, such as pig manure sludge, stored in a storage tank and made into a liquid fertilizer resource for aerobic or anaerobic fermentation to be applied to arable land. it mean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형태에 따른 액비화 장치(3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비화 장치(300)는 탈취 시스템(100)과 액비 제조 시스템(2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liquefaction apparatus 300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 the liquefaction apparatus 300 includes a deodorization system 100 and a liquid fertilization system 200.

도 2는 탈취 시스템(100)의 탈취탑(10)을 일부 절개한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탈취 시스템(100)은 하부에 배출구(11)가 형성되어 있는 탈취탑(10), 탈취탑(10) 외부에 연통 설치되어 미생물 균주를 배양하는 미생물 균주 배양조(20), 탈취탑(10)의 상단에 구비되어 일단에 형성된 유입구(31)를 통해 악취를 포집하는 악취 포집 박스(30), 악취 포집 박스(30) 내 장착되어 악취를 흡입하는 흡입 팬(40), 흡입 팬(40) 전단에 설치되어 음이온을 방출하고 상기 포집된 악취에 충돌시켜 안정화시키는 음이온 발생기(50), 탈취탑(10) 내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처리된 악취에 상기 미생물 균주액을 살포시켜 용해시키는 노즐(60), 및 탈취탑(10) 하부에 설치되어 용해된 악취를 미생물과 접촉시킴으로써 산화분해시켜 무취화시키는 바이오 필터(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part of the deodorization tower 10 of the deodorization system 100. As shown in Figure 2, the deodorizing system 100 is installed in the deodorizing tower 10, the deodorizing tower 10, the deodorizing tower 10 is formed in the lower outlet 11 in the bottom of the microbial strain culture tank for culturing the microbial strain ( 20), the odor collecting box 30, which is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deodorizing tower 10 and collects odor through the inlet 31 formed at one end, and the suction fan 40 installed in the odor collecting box 30 to suck odors. ), An anion generator 50 which is installed in front of the suction fan 40 to release anions and collides with the collected odors, and is installed on the inside of the deodorization tower 10 and the microbial strain solution to the treated odors. And a biofilter 70 installed under the deodorizing tower 10 to spray and dissolve the odor, and a biofilter 70 to oxidize and deodorize the odor by contacting the dissolved odor with microorganisms.

본 발명의 탈취 시스템(100)을 이용하여 제거하고자 하는 악취는 분뇨, 오폐수, 생활쓰레기, 공장, 병원 등 특수 시설물의 폐기물, 발전소, 자동차의 배출 가스, 휘발성 유기 화합물(VOCs) 등 각종 악취 유발 물질로부터 발생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들 악취의 대부분은 탄소(C), 질소(N), 황(S), 수소(H) 등으로 이루어진 유기 화합물로서 대표적인 예로는 암모니아(NH3), 아세트알데히드(CH3CHO), 스티렌(C8H8), 이황화메틸((CH3)2S2), 황화수소(H2S), 메틸메르캅탄(CH3SH), 황화메틸((CH3)2S), 트리메틸아민((CH3)3N), 디에틸아민(C4H11N) 및 디메틸아민(C2H7N) 등이 있다.The odor to be removed using the deodorization system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waste of special facilities such as manure, waste water, household garbage, factories, hospitals, power plants, automobile exhaust gases,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and various odor causing substances. It includes what happens from. Most of these odors are organic compounds composed of carbon (C), nitrogen (N), sulfur (S), hydrogen (H) and the like, and representative examples are ammonia (NH 3 ), acetaldehyde (CH 3 CHO), and styrene (C). 8 H 8 ), methyl disulfide ((CH 3 ) 2 S 2 ), hydrogen sulfide (H 2 S), methyl mercaptan (CH 3 SH), methyl sulfide ((CH 3 ) 2 S), trimethylamine ((CH 3 ) 3 N), diethylamine (C 4 H 11 N) and dimethylamine (C 2 H 7 N).

본 실시형태에서는 탈취 시스템(100)을 분뇨의 액비화 과정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저감시키기 위해 적용된다. 탈취 시스템(100)의 또 다른 역할은 액비 제조 균주를 액비 제조 시스템(200)에 공급하여 액비화를 촉진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In this embodiment, the deodorization system 100 is applied in order to reduce the odor generated in the liquefaction process of manure. Another role of the deodorization system 100 is to supply the liquid fertilizer production strain to the liquid fertilizer production system 200 serves to promote the liquid liquefaction.

유입구(31)는 처리하고자 하는 악취의 양에 따라 다수 개로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유입구(31)에 수에 따라 악취 포집 박스(30)와 그 내부에 장착되는 흡입 팬(40)과 음이온 발생기(50)의 수가 결정된다. Inlet 31 may be formed in plurality depending on the amount of odor to be treated. In this case, the number of the odor collecting box 30 and the suction fan 40 and the negative ion generator 50 mounted therein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number at the inlet 31.

도 3은 탈취 시스템(100)에 사용되는 음이온 발생기(50)에 의해 공기 중에 부유하는 양이온성 유해물질에 음이온이 결합되어 낙하하는 모습을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이온 발생기(50)는 음이온을 발생시켜 양이온으로 대전된 악취물질과 화학적으로 빠르게 중화반응시킴으로써 악취를 제거하는 화학적 탈취 작용을 한다. 이러한 중화반응은 악취물질의 성상을 변화시킨다. 음이온 발생기(50)에 의해 제거되는 양이온성 악취물질의 예로는 자동차 배기가스, 꽃가루, 세균, 요리시 발생하는 기름과 연기, 담배연기 등이 있다. 음이온 발생기(50)는 또한 양이온으로 대전된 곰팡이, 포자, 진드기 배설물, 포자, 세균, 바이러스와 같은 생물학적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제균 역할도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서, 음이온 발생기(50)는 액비 제조 시스템(200)으로부터 유입되는 양이온성 악취물질과 생물학적 오염물질을 중화시킨다. 이렇게 중화된 물질은 침전되어 악취 포집 박스(30) 바닥을 통해 탈취탑(10) 내부로 낙하하게 된다. 음이온 발생기(50)는 유입되는 악취의 양에 따라 발생되는 음이온의 수를 조절할 수 있으며, 1m 떨어진 거리에서 측정되는 음이온의 수가 약 10만개 이상으로 지속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FIG. 3 is a conceptu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nions are combined and drop by a negative ion generator 50 used in the deodorizing system 100 and floating in the air. As shown in FIG. 3, the negative ion generator 50 generates a negative ion and chemically deodorizes the odor by removing the odor by chemically rapidly neutralizing the odor substance charged with the cation. This neutralization reaction changes the appearance of odorous substances. Examples of cationic malodorous substances removed by the negative ion generator 50 include automobile exhaust, pollen, bacteria, oil and smoke generated during cooking, tobacco smoke, and the like. Negative ion generator 50 also acts as a bactericidal to remove biological contaminants such as fungi, spores, mite excretion, spores, bacteria and viruses charged with cations. In this embodiment, the anion generator 50 neutralizes cationic malodorous substances and biological contaminants introduced from the liquid fertilizer production system 200. The neutralized material is precipitated and falls into the deodorizing tower 10 through the odor collecting box 30. The negative ion generator 50 may adjust the number of negative ions generat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odor introduced, it is preferable that the number of negative ions measured at a distance of 1m can be continuously generated to about 100,000 or more.

탈취 시스템(100)은 제균 효과를 강화하기 위해 악취 포집 박스(30)에 유입된 악취 내 세균을 제거하기 위한 오존 발생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음이온 발생기(50)는 균일 효과를 위해 360°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것이면 그 구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모듈 타입으로 브러쉬를 통해 음이온을 방출하는 구성의 음이온 방출기를 사용한다. 도 4는 음이온 발생기(50)의 내부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Deodorization system 100 may further include an ozone generator (not shown) for removing bacteria in the odor introduced into the odor collection box 30 to enhance the bactericidal effect. The negative ion generator 50 is configured to be rotatable at 360 ° for uniformity, and the structure thereof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generally used. In this embodiment, an anion emitter having a configuration of emitting anions through a brush in a modular type is used.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negative ion generator 50.

본 발명에 따른 탈취 시스템(100)의 탈취탑(10) 내로 유입된 악취물질은 미생물 균주 배양조(20)로부터 공급되어 노즐(60)을 통해 분사되는 미생물 균주액에 의해 용해되어 바이오 필터(70)에 도달하게 된다. 이와 같이 1차 처리된 악취 및 미처리된 휘발성 유기 화합물과 같은 악취물질을 미생물 균주액에 용해시키는 이유는 바이오 필터(70)에서 생물학적 처리를 원활하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노즐(60)을 통해 분사함으로써 미생물 균주액에 용해된 악취물질을 바이오 필터(70)에 골고루 분산시킨다. 상기 미생물 균주액은 탈취탑(10) 외부에 설치된 미생물 균주 배양조(20)로부터 탈취탑(10) 상부로 공급된다. 노즐(60)의 개수는 탈취탑(10)의 용량, 악취물질의 유입량, 미생물의 투여량 등에 따라 달라지며, 실제 적용시 8개 내외의 노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The malodorous substance introduced into the deodorization tower 10 of the deodorization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upplied by the microbial strain culture tank 20 and dissolved by the microbial strain solution sprayed through the nozzle 60. ) Is reached. The reason for dissolving the malodorous substances such as the first treated malodor and untreated volatile organic compounds in the microbial strain liquid is to facilitate the biological treatment in the biofilter 70. In addition, by spraying through the nozzle 60, the odorous substance dissolved in the microbial strain solution is evenly dispersed in the biofilter 70. The microbial strain solution is supplied to the deodorization tower 10 from the microbial strain culture tank 20 installed outside the deodorization tower (10). The number of the nozzles 60 depends on the capacity of the deodorizing tower 10, the inflow of odorous substances, the dose of microorganisms, etc., but it is preferable to use about 8 nozzles in actual application, bu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음이온 발생기(50)에 의해 처리되어 탈취탑(10) 내부로 낙하되는 악취물질은 바이오 필터(70)에서 미생물과 접촉 반응하여 생분해됨으로써 무취물질로 변환된다. 바이오 필터(70)에 의해 생물학적인 방법으로 처리될 수 있는 악취물질에는 스티렌, 아세트알데히드, 이황화메틸, 황화수소, 메틸메르캅탄류, 황화메틸류, 아민류, 암모니아, 휘발성 지방산(VFAs) 등이 있으며, 이러한 생분해 결과 질소(N2), 황산(H2SO4), 이산화탄소(CO2), 물, 황산염, 질산염 등이 생성된다. The malodorous substance processed by the negative ion generator 50 and dropped into the deodorization tower 10 is biodegraded by contact with microorganisms in the biofilter 70 and is converted into an odorless substance. Odor substances that can be treated in a biological manner by the biofilter 70 include styrene, acetaldehyde, methyl disulfide, hydrogen sulfide, methyl mercaptans, methyl sulfides, amines, ammonia, volatile fatty acids (VFAs), and the like. The biodegradation results in nitrogen (N 2 ), sulfuric acid (H 2 SO 4 ), carbon dioxide (CO 2 ), water, sulfates, nitrates, and the like.

이들 악취물질의 대표적인 생분해 반응 기전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Representative biodegradation reaction mechanisms of these odorous substances are as follows.

암모니아ammonia

2NH3 + 3O2 → 2HNO2 + 2H2O2NH 3 + 3O 2 → 2HNO 2 + 2H 2 O

2HNO2 + O2 → 2HNO3 2HNO 2 + O 2 → 2HNO 3

2HNO3 + 분해미생물 → 미생물 + N2 2HNO 3 + Degrading microorganism → microorganism + N 2

황화수소Hydrogen sulfide

2H2S + 3O2 → 2H2O + 2S2 2H 2 S + 3 O 2 → 2H 2 O + 2S 2

2S + 3O2 + 2H2O → 2H2SO4 2S + 3O 2 + 2H 2 O → 2H 2 SO 4

메르캅탄, 아민류Mercaptans, amines

-SR'R", -NR'R" → CO2 + H2O + 무기염류(황산염, 질산염) -SR'R ", -NR'R" → CO 2 + H 2 O + Inorganic salts (sulphate, nitrate)

도 5, 6 및 7은 각각 탈취 시스템(100)의 바이오 필터(70)에 사용되는 폴링(71), 미생물 펠렛(72) 및 우드칩(73)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5, 6 and 7 are photographs showing polling 71, microbial pellet 72 and woodchip 73 used in the biofilter 70 of the deodorization system 100, respectively.

바이오 필터(70)는 바닥부의 폴링(71) 위에 미생물 펠렛(72)과 우드칩(73)을 적층시켜 구성된다. 폴링(71)은 미생물 담체로서 그 표면에 악취물질이 부착되고 미생물이 성장 및 서식하는 공간을 제공한다. 폴링(71)은 처리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해 표면적이 넓게 형성되며 공기 순환이 용이하도록 다수 개의 통공을 갖는 원형 또는 원통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폴링(71), 미생물 펠렛(72) 및 우드칩(73)의 공급량은 탈취하고자 하는 악취 유입량, 탈취탑(10)의 용량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폴링(71)은 특별히 손상되지 않는 한 반영구적이므로 별도로 교체할 필요가 없으며, 폴리프로필렌(PP) 등과 같은 재질로 제조된다. 우드칩(73)은 악취 제거용 미생물의 탄소원으로 제공되며 친환경적 재질로서 예를 들면 소나무 등을 사용한다. 우드칩(73)의 재료는 제재소와 같은 목재 가공업체를 통해 쉽게 입수할 수 있으며, 실제 교체 시기는 2년에 1회 정도로 미생물에 의한 소비량을 보충해 주는 정도이면 된다. 미생물(72)로는 아질산 분해균, 질산화균, 황산화균, 아민류 분해균, 스티렌 분해균, 항진균성 물질 생성균과 같은 악취 처리용 미생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아질산 분해균으로서 니트로소모나스(Nitrosomonas)속 니트로소모나스 유로파에아(Nitrosomonas europaea, ATCC 19718), 질산화균으로서 니트로박터(Nitrobacter)속 KCTC 12770, 황산화균으로서 티오바실루스(Thiobacillus)속 티오바실루스 티오옥시단스(Thiobacillus thiooxidans, KCTC 8929P), 아민류 분해균으로서 바실루스(Bacillus)속, 스티렌 분해균으로서 슈도모나스(Pseudomonas)속 슈도모나스(KCTC 1134), 항진균성 물질 생성균으로서 애시네토박터(Acinetobacter)속 KCTC 12247, 슈도모나스(Pseudomonas)속 KCTC 1066, 락토바실루스(Lactobacillus)속 KCTC 1058, KCTC 1120, 스트렙토마이세스(Streptomyces)속 KCTC 1079, 바실루스(Bacillus)속 바실루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KCTC 1022)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이들 미생물의 입수 경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ACTC나 KCTC로부터 분양받거나 활성오니 중의 수처리용 활성 미생물을 이용할 수 있다. 미생물의 실제 교체시기는 1년 1회 정도이다. 탈취탑(10) 내 미생물의 투여량은 탈취탑의 용량에 따라 다르다. The bio filter 70 is formed by stacking the microbial pellet 72 and the wood chip 73 on the polling 71 at the bottom. The polling 71 is a microbial carrier, which provides a space where odorous substances are attached to the surface and microorganisms grow and inhabit. The polling 71 is preferably formed in a circular or cylindrical shape having a large surface area in order to maximize processing efficiency and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to facilitate air circulation. Supply of polling 71, microbial pellet 72 and wood chips 73 may vary depending on the amount of odor inflow to be deodorized, the capacity of the deodorizing tower (10). The polling 71 is semi-permanent unless specifically damaged, so it does not need to be replaced separately, and is made of a material such as polypropylene (PP). The wood chip 73 is provided as a carbon source of microorganisms for removing odors and uses, for example, pine as an environmentally friendly material. The material of the wood chips 73 can be easily obtained through a wood processing company such as a sawmill, and the actual replacement time is enough to supplement the consumption by microorganisms about once every two years. As the microorganism 72, microorganisms for treating odors such as nitrite decomposition bacteria, nitrification bacteria, sulfated bacteria, amine decomposition bacteria, styrene decomposition bacteria and antifungal substance generating bacteria can be used. Nitrosomonas europaea (ATCC 19718), Nitrosomonas europaea (Nitrosomonas europaea, ATCC 19718) as the nitrite decomposition bacteria, Nitrobacter genus KCTC 12770 as the nitrifying bacteria, Thiobacillus (Thiobacillus) Thiobacillus thiooxidans (KCTC 8929P), Bacillus genus as amine-derived bacteria, Pseudomonas genus Pseudomonas (KCTC 1134) as styrene-degrading bacteria, and Acinetobacter genus KCTC 12247 as antifungal substances. , Pseudomonas genus KCTC 1066, Lactobacillus genus KCTC 1058, KCTC 1120, Streptomyces genus KCTC 1079, Bacillus genus Bacillus subtilis, KCTC 1022) Can be mentioned. The path for obtaining these microorganisms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for example, active microorganisms for water treatment in ACTC or KCTC or in sludge can be used. The actual microbial replacement time is about once a year. The dosage of microorganisms in the deodorizing tower 10 depends on the capacity of the deodorizing tower.

이와 같이 구성된 바이오 필터(70)의 기본원리는 다음과 같다. The basic principle of the bio filter 7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as follows.

음이온 발생기(50)로부터 방출된 음이온에 의해 안정화된 가스 형태의 악취물질과 휘발성 유기 화합물 등은 바이오 필터(70) 내로 유입되어 탈취탑(10) 상부로부터 살수되는 미생물 균주액에 용해되어 담체(71) 주위에 형성된 생물막(bio-film)의 경계면을 통과하게 된다. 이때 처리된 악취나 휘발성 유기 화합물은 생물막 속으로 흡수되고 미생물(72)로 확산되어 최종적으로 미생물(72)에 의해 분해된다. 따라서 바이오 필터(70)에 의한 분해 메커니즘은 크게 악취 및 휘발성 유기 화합물이 미생물(72)로 이루어진 생물막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수분막에 용해되는 용해반응, 상기 수분막에 용해된 악취 및 휘발성 유기 화합물 성분이 미생물(72) 표면에 흡착된 후 직접 또는 가수분해 단계를 거쳐 세포막으로 전달되는 미생물에 의한 흡수/흡착반응, 최종적으로 탄화수소물질은 탄산가스(CO2)와 물(H2O)로, 황화합물은 아황산이온(SO3 2 -) 및 황산이온(SO4 2 -)으로, 질소화합물은 아질산이온(NO2 -) 또는 질산이온(NO3 -)으로 전환되는 생물학적 산화반응 또는 환원반응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Odor substances and volatile organic compounds in gaseous form stabilized by anions released from the anion generator 50 are introduced into the biofilter 70 and dissolved in a microbial strain solution sprayed from the top of the deodorization tower 10 to support the carrier 71. Pass through the interface of the bio-film formed around. At this time, the treated odor or volatile organic compound is absorbed into the biofilm, diffused into the microorganism 72, and finally decomposed by the microorganism 72. Therefore, the decomposition mechanism by the biofilter 70 is largely a dissolution reaction in which the odor and volatile organic compounds are dissolved in the water film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biofilm composed of the microorganism 72, and the odor and volatile organic compound components dissolved in the water film are microorganisms. (72) Absorption / adsorption reaction by microorganisms adsorbed on the surface and then delivered to the cell membrane either directly or through hydrolysis. Finally, hydrocarbons are carbon dioxide (CO 2 ) and water (H 2 O), and sulfur compounds are sulfurous acid. ion (SO 3 2 -) and sulfate ions (SO 4 2 -), a nitrogen-containing compound is nitrite ions (NO 2 -) - can be divided into such a biological oxidation reaction is converted to, or reduction or nitrate ions (NO 3) .

우드칩(73)은 악취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과정에서 필요한 미생물(72)의 영양물질로서 탄소원을 공급한다. 우드칩(73)은 리그닌(Lignin, 섬유소)과 헤미셀룰로오스(Hemicellulose)로 구성되어 있다. 리그닌은 식물체 속에서 가장 분해하기 어려운 성분으로 단단한 식물일수록 그 함량이 많다. 리그닌과 헤미셀룰로오스 성분이 분해되지 않으면 그 안에 들어 있는 셀룰로오스 성분이 분해되지 않는다. 따라서 미생물로 하여금 우드칩(73)을 탄소원으로 이용하도록 하기 위해서 리그닌 분해효소인 리그닌 퍼옥시다아제(LIP), Mn-퍼옥시다아제(MNP) 및 라카아제(laccase)를 생성하는 리그닌 분해균 코리올루스 베르시콜러(Coriolus versicolor)와 헤미셀룰로오스 분해효소인 크실라나아제(xylanase)와 만나나아제(mannanase), 셀룰로오스 분해균인 예르시니아(Yersinia)와 바실루스속을 함침하여 코팅시킨다. 이때 우드칩(73)의 구성성분을 분해하기 위한 분해균과 분해효소는 질소원으로 악취 중에 있는 암모니아를 이용하므로 추가적인 탈취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The wood chip 73 supplies a carbon source as a nutrient for microorganisms 72 required in the process of removing odorous substances. The wood chip 73 is composed of lignin (fibrin) and hemicellulose (Hemicellulose). Lignin is the most difficult to break down in the plant, the harder the plant is more content. If the lignin and hemicellulose components are not degraded, the cellulose components in them will not be degraded. Therefore, lignin-degrading bacterium coriolis ber, which produces lignin degrading enzymes, lignin peroxidase (LIP), Mn-peroxidase (MNP), and laccase (laccase) in order to allow microorganisms to use wood chips 73 as carbon sources. Coriolus versicolor and hemicellulose degrading enzyme xylanase (xylanase) and mannanase (mannanase), cellulose degrading bacteria Yersinia (Yersinia) and Bacillus genus is coated by impregnation. At this time, the decomposing bacteria and the degrading enzymes for decomposing the components of the wood chip 73 use ammonia in the bad smell as a nitrogen source, thereby obtaining an additional deodorizing effect.

바이오 필터(70) 내 pH 환경은 아주 중요한 요소인데 악취 포집, 용해 과정에서 암모니아, 아민류 같은 알칼리성 가스 때문에 필연적으로 pH가 상승하여 수중에 녹아있는 암모니아가 가스 형태로 다시 대기 중에 휘산될 수 있다. 암모니아는 약 pH 9.25에서 암모늄 이온(NH4)과 암모니아 가스(NH3)가 50:50 비율로 존재하며 pH가 상승할수록 가스상 존재 비율이 높아지며 낮아질수록 수중에 용해된 이온 형태로 존재한다.The pH environment in the biofilter 70 is a very important factor. During the odor capture and dissolution process, due to alkaline gases such as ammonia and amines, the pH inevitably rises, so that ammonia dissolved in water can be volatilized back into the air in the form of a gas. Ammonia is present in the form of 50:50 ammonium ions (NH 4 ) and ammonia gas (NH 3 ) at a pH of about 9.25, and in the form of ions dissolved in water as the pH increases.

참고로, 바이오 필터(70) 내 pH에 따른 암모니아 가스와 암모늄 이온의 존재 비율을 표 1에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For reference, the presence ratio of ammonia gas and ammonium ions according to pH in the biofilter 70 is shown in Table 1 as follows.

NH4 + ↔ NH3 + H+ NH 4 + ↔ NH 3 + H +

NH3 (%) = NH3 × 100/(NH3 + NH4 +) = 100/(1 + NH4 +/NH3)NH 3 (%) = NH 3 × 100 / (NH 3 + NH 4 + ) = 100 / (1 + NH 4 + / NH 3 )

pHpH 암모니아 가스(%)Ammonia Gas (%) 암모늄 이온(%)Ammonium Ion (%) 5.55.5 0.01750.0175 99.982599.9825 6.06.0 0.0550.055 99.9499.94 6.56.5 0.1750.175 99.82599.825 7.07.0 0.5520.552 99.4499.44 7.57.5 1.7261.726 98.2798.27 9.259.25 5050 5050

탈취용 미생물은 보통 중성 영역에서 활성이 좋고 pH가 상승할수록 암모니아가 가스상으로 존재하는 비율이 높아 처리효율이 떨어지기 때문에 바이오 필터에서 pH 영역을 중성으로 조절해 줄 필요성이 있다. Deodorizing microorganisms usually have good activity in the neutral region, and the higher the pH, the higher the rate of ammonia present in the gas phase, and thus the lower the treatment efficienc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djust the pH region to neutral in the biofilter.

기존의 바이오 필터와 같은 종래 탈취 기술에서는 pH를 조정하기위해 pH-측정기를 설치하고 이것과 연동하여 pH 상승시 염산이나 황산 같은 산을 일정량 첨가하여 pH를 조절하여 왔으나 pH 측정 및 산 공급을 위한 기구와 장치가 추가되고 약품을 정기적으로 보충하여야 하므로 약품비가 추가로 소요되며 약품 취급시 여러 가지 위험성이 따른다. In the conventional deodorization technology such as biofilters, a pH-meter was installed to adjust the pH, and in conjunction with this, the pH was adjusted by adding a certain amount of acid such as hydrochloric acid or sulfuric acid when the pH was raised. Because of the additional device and the regular replenishment of the drug, the drug costs additionally and there are various risks in handling the drug.

이에 비해 본 발명에 따른 탈취 시스템(100)의 바이오 필터(70)에서는 락토바실루스속을 이용하여 pH를 유지하는 방법을 채용하고 있다. 락토바실루스속은 유산균으로 잘 알려져 있으며 당류를 에너지원으로 이용하여 발효시킴으로써 다량의 유산을 생성시켜 pH를 낮추며 단백질을 분해하여도 부패 산물을 생성하지 않는 유익한 균으로 잘 알려져 있다. In contrast, the biofilter 70 of the deodorizing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mploys a method of maintaining pH using the genus Lactobacillus. The genus Lactobacillus is well known as a lactic acid bacterium and it is known as a beneficial bacterium that produces a large amount of lactic acid by fermenting sugars as an energy source to lower the pH and does not produce a rot product even when the protein is degraded.

본 발명의 탈취 시스템(100)에서는 락토바실루스속을 이용하기 위해 균주 배양조(20) 내에 소형 반응기(22)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deodorizing system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a small reactor 22 is installed in the strain culture tank 20 in order to use the genus Lactobacillus.

도 8a 및 8b는 각각 소형 반응기(21)의 분해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응기(21)는 상부의 깔때기(21a)와 락토바실루스속을 배양하는 하부의 반응조(21b)로 구성된다. 상부의 깔때기(21a)는 면적이 넓어 수증기가 잘 맺히고 아래쪽으로 갈수록 좁아져 수분을 모아 하부의 반응조(21b)로 공급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하부 반응조(21b)의 구조는 바닥에 유기산이 배출될 수 있도록 일정 크기의 홀(21c)이 형성되어 있고 홀(21c) 위에는 그물망(미도시)을 깔아 유기산만 배출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하부 반응조(21b)의 내부에는 일정 간격으로 타공관(유공관, 21d)을 설치하여 미생물 발효시 임의성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8A and 8B are exploded perspective and sectional views of the small reactor 21, respectively. As shown in FIG. 8, the reactor 21 is comprised by the funnel 21a of the upper part, and the reaction tank 21b of the lower part which cultures the genus Lactobacillus. The upper funnel 21a has a large area so that water vapor is formed well and becomes narrower toward the lower side, so that moisture is collected and supplied to the lower reaction tank 21b. In the structure of the lower reactor 21b, holes 21c having a predetermined size are formed to discharge organic acids at the bottom, and only organic acids are discharged by laying a net (not shown) on the holes 21c. Into the inside of the lower reaction tank (21b) to be installed at other intervals (hole pipe, 21d) to maintain a random state during fermentation of microorganisms.

하부 반응조(21b)에는 사료와 락토바실루스를 투입하여 발효가 이루어지도록 구성하고 상부 깔때기(21a)는 균주 배양조(21) 내의 수증기를 응결시켜 하부 반응조(21b)에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사료로는 농가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단백질, 무기질 등 락토바실루스가 이용하기 쉬운 기질을 함유하여 발효 과정 중 임의성 상태에서 유기산을 생성하게 된다. 상부 깔때기(21a)에서 공급되는 수증기(물)는 발효에 소요되는 수분을 공급하고 유기산을 반응기(21) 바닥의 홀(21c)을 통해 일정 간격으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여기서 배출된 유기산은 미생물 균주 배양조(20)의 pH와 바이오 필터(70) 내의 상승된 pH를 중성영역으로 유지하는 동시에 탈취를 위한 탄소원 공급과 액비 제조 균주의 성장을 위한 탄소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유기산은 일정 범위의 용존산소(DO)에서 악취 중 질소를 탈질소시킨다. 실제 적용시, 예를 들면 유기산은 1일 1-2리터의 양으로 공급되며 용존 산소량은 0.1-0.2 mg/L로 조정된다. The lower reaction tank (21b) is configured to put the feed and lactobacillus fermentation is made and the upper funnel (21a) serves to condense the water vapor in the strain culture tank 21 to supply to the lower reaction tank (21b). The feed may be one that can be easily obtained from a farm, and contains an easy-to-use substrate such as protein, minerals, lactobacillus, etc. to generate organic acids in an arbitrary state during fermentation. Water vapor (water) supplied from the upper funnel 21a serves to supply moisture required for fermentation and discharge organic acids at regular intervals through the holes 21c at the bottom of the reactor 21. The organic acid discharged here serves to maintain the pH of the microbial strain culture tank 20 and the elevated pH in the biofilter 70 as a neutral region, while supplying a carbon source for deodorization and a carbon source for growth of a liquid fertilization strain. Done. In addition, the organic acid denitrogen nitrogen in the odor in a range of dissolved oxygen (DO). In practical applications, for example, organic acids are supplied in amounts of 1-2 liters per day and dissolved oxygen is adjusted to 0.1-0.2 mg / L.

또한 바이오 필터(70) 내에서 섬유소 분해균을 우드칩(73)에 코팅시켜 섬유소를 분해하면서 유기산을 생산하고, 이 유기산은 다시 액비 활성화균의 작용으로 유기산에 의한 산성화와 그로 의한 분해 작용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탈취시 상승하는 pH와 균형을 이루어 pH 7~8을 유지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cellulose-degrading bacteria are coated on the wood chip 73 in the biofilter 70 to decompose cellulose, thereby producing organic acids.The organic acids are inferior in acidification by organic acids and degrading action due to the action of liquid activating bacteria. Prevents and balances the rising pH when deodorizing to maintain pH 7-8.

바이오 필터(70)에 의해 악취가 정화된 기체는 하부에 형성된 배출구(1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며, 탈취탑 하부에 모아진 미생물 균주의 일부는 반송관(20b)을 통해 다시 균주 배양조(20)로 반송되어 순환하게 되고 일부는 균주 공급관(20c)을 통해 후술하는 액비 제조 시스템(200)의 활성화 균주 배양조(240)로 공급된다.The gas whose odor has been purified by the biofilter 7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utlet 11 formed at the bottom, and a part of the microbial strain collected at the bottom of the deodorization tower is again strain culture tank 20 through the return pipe 20b. ) Is returned to the circulation and some are supplied to the activated strain culture tank 240 of the liquid fertilizer production system 200 to be described later through the strain supply pipe (20c).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탈취 시스템(100)은 탈취탑(10)의 하부에서 반송관(20b)과 균주 공급관(20c)을 통해 액비 제조 시스템(200)과 연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형태에 있어서, 탈취 시스템(100)은 액비 제조 시스템(200)과 동시에 수처리 시스템(미도시) 또는 액비 제조 시스템(200) 대신 수처리 시스템과 연계될 수도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deodorization system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communicates with the liquid fertilizer production system 200 through the transfer pipe 20b and the strain supply pipe 20c at the lower portion of the deodorization tower 10.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odorization system 100 may be associated with a water treatment system instead of a water treatment system (not shown) or the liquid fertilization system 200 simultaneously with the liquid fertilization system 200.

바이오 필터(70)에서 탈취를 위해 이용되는 미생물은 액비 제조 시스템(200)의 활성화 균주 배양조(240)에서 선택적으로 활성화시켜 이용된다.The microorganisms used for deodorization in the biofilter 70 are selectively activated in the activated strain culture tank 240 of the liquid fertilizer production system 200.

액비 제조 시스템(200)에서 액비화 촉진을 위해 펌프를 이용하여 액비 제조 시스템(200)의 활성화 균주 배양조(240)로 미생물 배양 균주를 공급하는 경우 공급량이 과도하게 되고 동력이 소모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균주 배양조(20)로부터 액비 제조 시스템(200)의 활성화 균주 배양조(240)로 배양 균주를 공급하고 펌프(미도시)의 가동에 의해 탈취용으로 탈취탑(10) 내에 분사시킬 때 분사된 균주의 탈취탑(10) 내 체류시간과 탈취탑(10) 내 우드칩 등에 흡수되는 양으로 인해 균주 배양조(20)의 수위가 하강하게 된다. 이로 인해 균주 배양조(20) 내에 설치된 수위 조절용 플로트 스위치가 계속 하강하게 되는데, 이러한 균주 배양조(20)의 부족한 수위를 채워주기 위해 상수 공급관(20a)을 통해 상수가 공급된다. 그러나 탈취탑(10)에 균주 공급이 정지하게 되면 (휴지시간 또는 펌프 정지시) 탈취탑(10) 내 균주액이 모두 균주 배양조(20)로 배출되어 넘치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액비 제조 시스템(200)의 활성화 균주 배양조(240)로 균주를 자동 공급하면서 가동 중 상수가 계속 공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T자형 연결관을 이용하여 반송관(20b)에 균주 공급관(20c)을 연결 설치하고 균주 배양조(20) 내에는 반송관(20b)에 연결되는 플로트 스위치(23b)와 상수 공급관(23a)에 연결되는 플로트 스위치(23a)를 설치한다. 균주 공급관(20c)의 높이는 액비 제조 시스템(200)의 활성화 균주 배양조(240)로의 균주 공급량에 따라 설계치가 다를 수 있으나, 실제 현장 적용시에는 펌프 가동에 의해 균주 배양조(20)의 수위 하강시 균주 배양조(20) 내 감소되는 균주량을 고려하여 약 14cm로 하였다. 이러한 균주 공급관(20c)의 설계 높이에 따라 탈취탑(10) 하부의 수위가 결정된다. 또한 상수 공급용 플로트 스위치(23a)의 높이는 반송관(20b)에 연결된 플로트 스위치(23b) 보다 약간 높게 설계한다. 이와 같은 플로트 스위치(23a, 23b)의 높이차에 해당하는 양만큼 용수가 자동 공급된다.When the microbial culture strain is supplied to the activated strain culture tank 240 of the liquid fertilizer production system 200 using a pump to promote the liquid liquefaction in the liquid fertilizer production system 200, the supply amount is excessive and power is consumed. In addition, when the culture strain is supplied from the strain culture tank 20 to the activated strain culture tank 240 of the liquid fertilizer production system 200 and sprayed into the deodorization tower 10 for deodorization by operating a pump (not shown). The water level of the strain culture tank 20 is lowered due to the retention time in the deodorizing tower 10 and the amount absorbed by the wood chips in the deodorizing tower 10. As a result, the float switch for adjusting the water level installed in the strain culture tank 20 continues to descend, and constant water is supplied through the constant supply pipe 20a to fill the insufficient level of the strain culture tank 20. However, when the strain supply to the deodorizing tower 10 is stopped (during the stop time or the pump stop), all the strain solution in the deodorizing tower 10 is discharged to the strain culture tank 20 to overflow.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in the present invention, while automatically supplying the strain to the activated strain culture tank 240 of the liquid fertilizer production system 200 in order to prevent the constant water supply during the operation using a T-shaped connecting pipe The strain supply pipe 20c is connected to and installed in 20b, and the float switch 23b connected to the return pipe 20b and the float switch 23a connected to the constant supply pipe 23a are installed in the strain culture tank 20. do. The height of the strain supply pipe 20c may vary depending on the amount of strain supplied to the activated strain culture tank 240 of the liquid fertilizer production system 200, but when the actual field application, the water level of the strain culture tank 20 is lowered by operating the pump. Considering the amount of strain to be reduced in the strain culture tank 20 was about 14cm. According to the design height of the strain supply pipe 20c, the water level of the deodorization tower 10 is determined. Moreover, the height of the float switch 23a for water supply is designed to be slightly higher than the float switch 23b connected to the conveying pipe 20b. Water is automatically supplied by an amount corresponding to the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float switches 23a and 23b.

펌프를 가동하여 균주 배양조(20)로부터 균주를 탈취탑(10)으로 공급하면 균주 배양조(20)의 수위가 내려가게 되는데, 이후 탈취탑(10)에서 탈취를 마친 균주가 탈취탑(10)의 하부로부터 균주 배양조(20)로 자연유하로 이동하여 균주 배양조(20)의 수위 하강을 막아주게 된다. 또한 플로트 스위치(23a, 23b)에 의해 균주의 반송량이 조절되어 균주 배양조(20)의 수위가 일정하게 유지된다. 따라서 가동 중 모자라는 수위만큼 계속 공급되는 상수가 플로트 스위치(23a, 23b)의 높이차만큼만 보충되어 범람이 방지된다. 공급된 상수는 반송관(20b)에 연결된 균주 공급관(20c)을 통하여 액비 제조 시스템(200)의 활성화 균주 배양조(240)로 공급된다. 따라서 플로트 스위치(23a, 23b)의 높이를 조정하여 액비 제조 균주의 자동 정량 공급이 가능하고, 균주 배양조(20)에 상수의 자동 공급이 가능하며, 펌프 정지시 균주 배양조(20)의 수위가 상승하여 범람하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 균주 배양조(20)의 자동 수위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When the pump is operated and the strain is supplied from the strain culture tank 20 to the deodorization tower 10, the level of the strain culture tank 20 is lowered. After that, the strain that has finished deodorization in the deodorization tower 10 is the deodorization tower 10. It moves to the strain culture tank 20 from the bottom of the natural flow to prevent the falling of the level of the strain culture tank (20). In addition, the conveyance amount of the strain is controlled by the float switch (23a, 23b) to maintain a constant level of the strain culture tank (20). Therefore, the constant that is continuously supplied by the low water level during operation is supplemented only by the height difference of the float switches 23a and 23b to prevent flooding. The constant supplied is supplied to the activated strain culture tank 240 of the liquid fertilizer production system 200 through the strain supply pipe 20c connected to the return pipe 20b. Therefore, by adjusting the height of the float switch (23a, 23b) it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quantitative supply of the liquid fertilizer production strain, automatic supply of constant to the strain culture tank 20, the water level of the strain culture tank 20 at the pump stop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the phenomenon of rising and flooding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adjust the level of the strain culture tank (20).

도 9 내지 11은 탈취 시스템(100)과 연계되어 일체화된 액비 제조 시스템(200)의 구성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9는 액비 제조 시스템(200)의 구성도이고, 도 10은 액비 제조 시스템(200)을 구성하는 반응조들의 블록도이며, 도 11은 도 10의 "A" 부분에서의 유체 흐름도이다. 9 to 11 are configuration diagrams of the liquid fertilizer production system 200 integrated with the deodorization system 100. Specifically, FIG. 9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liquid fertilizer production system 200, FIG. 10 is a block diagram of the reaction tanks constituting the liquid fertilization production system 200, and FIG. 11 is a fluid flow chart in the portion "A" of FIG. .

도 9 내지 1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액비 제조 시스템(200)은 고액 분리기(210), 유량 균등화조(220), 고속 액비화조(230), 활성화 균주 배양조(240), 액비 활성화조(250), 액비 숙성조(260)로 이루어져 있다. 각 반응조의 온도는 발효온도와 블로워(blower)의 공기 압축열로 인해 동절기에는 약 30℃, 하절기에는 40℃ 전후로 유지한다. As shown in Figures 9 to 11, the liquid fertilizer production system 200 is a solid-liquid separator 210, flow rate equalization tank 220, high speed liquefaction tank 230, activated strain culture tank 240, liquid fertilizer activation tank ( 250), the liquid fertilization tank (260). The temperature of each reactor is maintained at about 30 ° C. in winter and 40 ° C. in summer due to fermentation temperature and heat of blower air.

고액 분리기(210)는 분뇨 중 함유되어 있는 거대입자(SS)를 분리하여 여액을 유량 균등화조(220)로 이송한다. 유량 균등화조(220)는 고액 분리된 여액을 저장하며 1차 가폭기(221)를 이용하여 안정화시키고 효소분해하는 것이 주요 기작이다. 고속 액비화조(230)에서는 고속분쇄 탈기장치(270)에 의한 산소 공급에 의해 액비화가 가속화된다. 고속분쇄 탈기장치(270)의 장착 위치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액비화 장치(300)의 탈취 목적상 액비 숙성조(260)에 설치되어 있는 반송펌프(미도시) 배관 내부에 장착하여 액비를 분쇄 탈기한다. 이와 달리, 고속분쇄 탈기장치(270)는 고속 액비화조(230) 내에 장착될 수도 있다. The solid-liquid separator 210 separates the large particles (SS) contained in the manure and transfers the filtrate to the flow equalization tank 220. The flow equalization tank 220 stores the filtrate separated from the solid-liquid, and stabilizes and enzymatically decomposes the liquid using a primary amplifier 221. In the high speed liquefaction tank 230, liquid liquefaction is accelerated by oxygen supply by the high speed grinding degassing apparatus 270. Although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high speed grinding degassing apparatus 270 is not specifically limited, in this embodiment, it mounts in the conveying pump (not shown) piping provided in the liquid fermentation tank 260 for the purpose of deodorization of the liquid liquefaction apparatus 300. The liquid fertilizer is pulverized and deaerated. Alternatively, the high speed grinding degassing apparatus 270 may be mounted in the high speed liquefaction tank 230.

활성화 균주 배양조(240)에서는 탈취탑(10) 하부로부터 균주 공급관(20c)을 통해 공급되는 미생물 균주를 확보하여 유기 화합물을 분해하고 악취를 제거한다. 액비 활성화조(250)에서는 유기 화합물 분해, 악취제거 활성화 뿐 아니라 기능성 액비를 생산한다. 액비 숙성조(260)에서는 생산된 기능성 액비를 저장하고 반송된 미생물 균주를 확보한다. In the activated strain culture tank 240 to secure the microbial strain supplied through the strain supply pipe 20c from the lower deodorization tower 10 to decompose the organic compound and remove the odor. The liquid fertilization tank 250 produces functional liquid fertilizers as well as organic compound decomposition and odor removal activation. The liquid fermentation tank 260 stores the produced functional liquid fertilizer and secures the returned microbial strain.

탈취 시스템(100)에서 악취 제거를 위해 사용된 후 액비 제조 시스템(200)으로 공급되는 액비 제조 균주는 액비화를 촉진시켜 양질의 액비를 생산하게 할 수 있다.The liquid fertilizer production strain which is used for deodorization in the deodorizing system 100 and then supplied to the liquid fertilizer production system 200 may promote liquid fertilization to produce high quality liquid fertilizer.

액비 제조 시스템(200)에서 돈 분뇨와 같은 가축분뇨는 고액 분리 후, 탈수분은 퇴비화시키고 여과된 액체 형태의 분뇨는 유량 균등화조(220)에 유입되어 고속 액비화조(230)에서 가축분뇨 입자를 아주 미세한 마이크로 단위로 분쇄하면서 용존된 악취를 탈기시킨다. 이때 공기 중으로 비산 탈기를 하여 악취 처리효율이 높으며 액비 내의 악취가 없게 된다. 고속 액비화 장치(270)에 의하여 유기 화합물은 미세하게 분쇄되어 미생물과 산소와의 접촉 표면적이 증가하게 됨으로써 미생물과 빠른 속도로 반응한다. 이때 UV를 조사하여 병원성 세균의 생성 및 성장을 억제하여 병원성균을 제거하는 동시에 균체의 광회복현상을 유도하여 아미노산이 함유된 기능성 액비가 만들어진다. 이렇게 제조된 기능성 액비에는 혐오적인 거대입자가 없고, 살포시 악취가 없어 작물 재배시 농가의 선호도를 증대시킨다. 또한 화학약품을 사용하는 대신 순수 친환경 토양미생물을 사용하여 고비용의 미생물 접종비 및 유지비가 필요 없게 되고, 액비 제조 시스템(200) 자체가 일체형 액비 저장 기능이 있기 때문에 별도의 저장조를 준비할 필요가 없다.Livestock manure, such as the manure in the liquid fertilizer manufacturing system 200 after the solid-liquid separation, dehydration is composted and the filtered liquid manure flows into the flow equalization tank 220 to collect livestock manure particles in the high speed liquid liquefaction tank 230 The dissolved malodor is degassed while grinding into very fine micro units. At this time, the odor treatment efficiency is high by scattering and degassing into the air, there is no odor in the liquid rain. The organic compound is finely pulverized by the high speed liquefaction apparatus 270 to increase the contact surface area between the microorganism and the oxygen, thereby rapidly reacting with the microorganism. At this time, by irradiating UV to inhibit the production and growth of pathogenic bacteria to remove the pathogenic bacteria and at the same time induces the light recovery phenomenon of the cells to produce a functional liquid containing amino acids. The functional liquid fertilizer prepared in this way has no abomination of large particles and no odor when spraying, thus increasing the preference of farmers in growing crops. In addition, the use of pure eco-friendly soil microorganisms, instead of using chemicals, does not require expensive microbial inoculation and maintenance costs, and the liquid fertilizer manufacturing system 200 itself has an integrated liquid fertilizer storage function, thus eliminating the need for a separate storage tank.

도 11은 액비 제조 시스템(200)의 실제 운전에 따른 유체 흐름을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유체 흐름에 따른 유량은 다음과 같다. 11 shows fluid flow according to the actual operation of the liquid fertilization system 200. The flow rate according to this fluid flow is as follows.

① 발생유량: 5.5 m3/일 ① Flow rate: 5.5 m 3 / day

고형분 1.3 m3/일 = 퇴비사 Solids 1.3 m 3 / day = compost sand

여액 4.2 m3/일 = 액비화Filtrate 4.2 m 3 / day = liquefaction

② 반송유량:② Return flow rate:

유입 여액의 3~5배, 예를 들면 3배인 경우 12 m3/일 (4. 2m3/일 × 3배)3 to 5 times the influent filtrate, eg 3 times 12 m 3 / day (4.2 m 3 / day × 3 times)

③ 활성화 균주 반송량(현장 여건에 따라 유량 조절이 필요)③ Returning amount of activated strain (need to adjust flow rate according to site conditions)

여액의 1~2배, 예들 들면 1배인 경우 4.2 m3/일1 to 2 times the filtrate, eg 1 times 4.2 m 3 / day

④ 활성화 균주 투입량④ Activation strain input

활성화 균주 반송량과 동일하게 결정한다. It is determined in the same manner as the amount of activated strains returned.

⑤ 액비 이용⑤ Use of liquid

반응조 유효용량: 6,000W × 7,000L × 4,600H × 4ea = 772.8 m3 Reactor Effective Capacity: 6,000W × 7,000L × 4,600H × 4ea = 772.8 m 3

액비체류시간: 772.8 ÷ 4.2 = 184일 Liquid retention time: 772.8 ÷ 4.2 = 184 days

⑥ 반송펌프 3 HpTransfer Pump 3 Hp

유량 15~20 m3/시간Flow rate 15-20 m 3 / hour

펌프가동시간: 1~1.5시간/일(24시간 타이머조절)Pump run time: 1 ~ 1.5 hours / day (24-hour timer adjustment)

도 12는 액비 제조 시스템(200)의 반응조 간 연결 상태도이고, 도 13은 액비 제조 시스템(200)의 액비 숙성조(260)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1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nection state between the reaction tanks of the liquid fertilizer production system 200, and FIG. 13 is a view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the liquid fermentation aging tank 260 of the liquid fertilization production system 200.

액비 제조 시스템(200) 내 유체 흐름은 액비 숙성조(260)의 수위와 반송량에 따라 결정된다. 액비 숙성조(260)는 격벽(263)에 의해 액비 반송조인 제1액비 숙성조(261)와 액비 반출조인 제2액비 숙성조(262)로 구분되어 있다. 예를 들면, 제2액비 숙성조(262)가 저수위인 경우에는 유체는 유량 균등화조(220), 고속 액비화조(230), 액비 활성화조(250), 제1액비 숙성조(261), 제2액비 숙성조(262)를 순차적으로 거쳐 흐르게 된다. 제2액비 숙성조(262)가 만수위인 경우에는 유체는 유량 균등화조(220), 고속 액비화조(230), 액비 활성화조(250)를 순차적으로 거쳐 제1액비 숙성조(261)와 제2액비 숙성조(262)에 동시에 유입된다. 액비를 반송하는 경우에는 제1액비 숙성조(261), 활성화 균주 배양조(240), 고속 액비화조(230), 액비 활성화조(250)를 순차적으로 거쳐 제1액비 숙성조(261)와 제2액비 숙성조(262)에 동시에 유입된다. 액비를 반출하는 경우에는 제1액비 숙성조(261)로부터 소포(거품제거) 노즐을 통해 분사되어 전체 반응조의 거품을 제거한다.The fluid flow in the liquid fertilizer production system 200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level and the conveyed amount of the liquid fermentation tank 260. The liquid fermentation tank 260 is divided by the partition wall 263 into a first liquid fermentation tank 261 that is a liquid fertilization conveying tank and a second liquid fermentation tank 262 that is a liquid fertilization tank. For example, when the second liquid ratio aging tank 262 has a low water level, the fluid has a flow equalization tank 220, a high speed liquid liquefaction tank 230, a liquid ratio activating tank 250, a first liquid ratio aging tank 261, and It flows through the two liquid ratio aging tank 262 sequentially. When the second liquid ratio aging tank 262 is at full water level, the fluid passes through the flow equalization tank 220, the high speed liquid liquefaction tank 230, and the liquid ratio activating tank 250 in sequence, and then the first liquid ratio aging tank 261 and the second liquid ratio aging tank 262. It flows into the liquid fermentation tank 262 at the same time. When the liquid fertilizer is returned, the first liquid fermentation tank 261 and the first liquid fermentation tank 261, the activated strain culture tank 240, the high-speed liquid liquefaction tank 230, the liquid fertilizer activation tank 250 are sequentially It flows into 2 liquid ratio aging tank 262 simultaneously. When carrying out a liquid ratio, it sprays from the 1st liquid ratio aging tank 261 through a defoaming (foam removal) nozzle, and removes the bubble of the whole reaction tank.

제1 및 제2액비 숙성조(261, 262) 사이에 설치된 격벽(263)에 의해 액비 반출시에도 반송과 소포할 수 있는 액비의 확보가 가능하며, 이로 인해 과도한 액비 반출시에도 일정량의 액비가 액비 숙성조 내에 항시 확보되어 있어 수위가 내려가 반송용 펌프가 헛도는 것을 방지하며 반송용 미생물 확보가 용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격벽(263)의 높이가 1.5m인 경우, 평상시(수위가 1.5m 이상인 경우) 제1 및 제2액비 숙성조(261, 262)는 동일한 기능을 갖는다. 액비 반출시 수위가 낮아지면 제2액비 숙성조(262)는 반출용 액비를 확보하고 제1액비 숙성조(261)는 반송용 액비를 확보하는 역할을 한다. 격벽(263)의 높이는 현장 여건에 따라 시공시 조정이 가능하다.The partition wall 263 provid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liquid fermentation aging tanks 261 and 262 ensures liquid fertilization that can be conveyed and packaged even when liquid fertilization is carried out. It is secured in the liquid fermentation tank at all times, so that the water level is lowered to prevent the conveying pump from running and it is configured to easily secure the microorganisms for conveying. When the height of the partition wall 263 is 1.5 m, normally (when the water level is 1.5 m or more), the 1st and 2nd liquid ratio aging tanks 261 and 262 have the same function. When the liquid level is lowered when the liquid fertilizer is carried out, the second liquid fermentation tank 262 secures the liquid solution for carrying out and the first liquid fermentation tank 261 serves to secure the liquid fertilizer for conveyance. The height of the partition 263 can be adjusted at the time of construction depending on the site conditions.

액비 제조 시스템(200)의 반응조 간 유체 흐름은 맨홀을 통해 이루어진다. 유체 이동 경로인 맨홀 높이는 후단으로 갈수록 낮아져 수위가 낮아지도록 구성되는데, 예를 들면 유량 균등화조(220)와 고속 액비화조(230) 간 맨홀 높이는 4미터, 고속 액비화조(230)와 액비 활성화조(250) 간 맨홀 높이는 3.8미터, 액비 활성화조(250)와 액비 숙성조(260) 간 맨홀 높이는 3.6미터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반응조 하부에서 블로워를 이용한 공기 공급 중 액비 숙성조(260)에서 액비 반출시 수위가 급격히 낮아져 공기가 갑자기 쏠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운전이 용이하고 반응조 전체에 공기가 효율적으로 공급되어 액비의 발효를 안정적으로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Fluid flow between the reactors of the liquid fertilization system 200 is through a manhole. The height of the manhole, which is a fluid movement path, is lowered toward the rear end to lower the water level. For example, the manhole height between the flow equalization tank 220 and the high speed liquefaction tank 230 is 4 meters, and the high speed liquefaction tank 230 and the liquid activator tank ( 250) the manhole height is 3.8 meters, the manhole height between the liquid fertilizer activation tank 250 and liquid fermentation tank 260 is 3.6 meters. By such a configuration, the liquid level of the liquid fermentation tank 260 during the air supply using the blower at the lower part of the reactor lowers rapidly when the liquid level is taken out, thereby preventing the air from being suddenly concentrat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make the fermentation of liquid fertilization stable.

한편, 액비 제조 시스템(200)의 상부에는 각 반응조로부터 발생하는 악취를 포집하는 악취 포집 박스(280)가 구비된다. 악취 포집 박스(280)에 포집된 악취는 탈취 시스템(100)의 흡입 팬(40) 흡입력에 의해 포집관(291)을 따라 탈취탑(10)으로 보내진다. 포집관(291)을 따라 악취를 처리하도록 음이온 발생기(290)가 설치된다. 음이온 발생기(290)의 설치 위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포집관(291) 내 충분한 음이온의 체류 시간을 확보하기 위해 액비 제조 시스템(200)에 가까운 부분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액비 제조 시스템(200)으로부터 발생하는 악취는 탈취탑(10) 상단에 설치된 음이온 발생기(50)에 의해 재차 처리된다. 음이온 발생기(290)로부터 발생되는 음이온의 수는 악취 강도에 따라 증감시킬 수 있다. 1 미터의 이격 거리에서 측정된 음이온의 수가 100,000개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음이온은 지속시간이 짧기 때문에 계속해서 음이온을 방출해줘야 하며 거리가 멀수록 영향이 감소된다. 따라서 음이온이 이동하면서 악취가 흡입되는 부분부터 포집관(291)을 따라 탈취탑(10)에 유입될 때까지 악취물질과 지속적으로 반응시켜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odor collection box 280 for collecting the odor generated from each reaction tank is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liquid fertilizer production system 200. The odor collected in the odor collecting box 280 is sent to the deodorizing tower 10 along the collecting pipe 291 by the suction force of the suction fan 40 of the deodorizing system 100. Anion generator 290 is installed along the collecting pipe 291 to treat odors. Although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anion generator 290 is not specifically limited, In order to ensure the residence time of sufficient anion in the collection pipe 291, it is preferable to install in the part near liquid-liquid production system 200. Odor generated from the liquid fertilizer production system 200 is processed again by the negative ion generator 50 installed on the top of the deodorization tower (10). The number of negative ions generated from the negative ion generator 290 can be increased or decreased according to the odor intensity. It is preferable that the number of anions measured at a distance of 1 meter is 100,000 or more. In general, since negative ions have a short duration, they must continue to release negative ions, and the effect is reduced over longer distances. 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continuously react with the malodorous substance from the portion where the malodor is sucked while the anion moves to the deodorization tower 10 along the collecting pipe 291.

한편, 액비 제조 시스템(200)에서 생산되는 액비를 이용하여 작물을 재배할 때 작물의 도복(웃자라거나 웃자라서 넘어지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탈취 시스템(100)의 균주 배양조(20) 내에 맥반석을 첨가하여 규산염 등 각종 미네랄을 용출 공급할 수도 있다. 맥반석이란 미네랄원소 40여종 (게르마늄, 규소(함량65%이상), 셀레늄, 아연, 망간 등)의 집합체이며 1 cm3 당 3~15만 개의 구멍으로 이루어져 있어 흡착성이 강하고, 약 2만 5000종의 무기염류를 함유하고 있다. 중금속과 이온을 교환하는 작용을 하기 때문에 유해금속 제거제로도 사용하며, 이 암석에 열을 가하면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액비 제조 균주와 더불어 각종 미네랄이 액비 제조 시스템(200)으로 공급되어 액비화 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살포시 액비의 효능을 증대시켜 도복방지, 생육개선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규산은 도복 방지 효과, 질소과잉과 인산흡수저해의 제어 효과, 냉해와 병해에 대한 저항성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On the other hand, when cultivating crops using the liquid fertilizer produced in the liquid fertilizer production system 200, ganban rock in the strain culture tank 20 of the deodorization system 100 to prevent the fallover of the crop (smiling or falling fall) It is also possible to elute and supply various minerals, such as silicate, by adding. Elvan is mineral element 40 types and collections of (germanium, silicon (content 65%), selenium, zinc, manganese, etc.) it consists of 3 to 150,000 holes per 1 cm 3 strong adsorption, of about 2 million 5000 jong It contains inorganic salts. It is used as a toxic metal remover because it exchanges heavy metals and ions, and it is known to emit far infrared rays when heat is applied to this rock. Various minerals together with the liquid fertilizer production strain can be supplied to the liquid fertilizer production system 200 to increase the liquid fertilization efficiency and increase the efficacy of the liquid fertilizer at the time of spraying to obtain effects such as anti-cutting and growth improvement. In particular, silicic acid has an effect of preventing anti-coating, controlling the excess of nitrogen and inhibiting phosphate absorption, and increasing resistance to cold and disease.

탈취탑(10)의 내부를 관찰하고 악취물질의 유입 상태를 점검하는 등 탈취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점검창이 탈취탑(10)의 벽에 형성할 수 있다. An inspection window for visually confirming the deodorization state may be formed on the wall of the deodorization tower 10 by observing the inside of the deodorization tower 10 and checking the inflow state of the malodorous substance.

본 발명의 탈취 시스템(100)은 축산폐수, 분뇨처리장, 돈사 등 분뇨를 이용하여 액비를 생산하는 액비 제조 시스템(200) 이외에 악취의 제거가 필요한 다양한 시설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퇴비화시설, 하수처리장, 오수처리장, 폐기물 보관 및 처리시설, 식품공장, 도축장, 사료제조시설 등에 적용될 수 있다.Deodorization system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various facilities that need to remove the odor in addition to the liquid fertilizer production system 200 for producing liquid fertilizer using livestock wastewater, manure treatment plant, pigs and manure. For example, it can be applied to composting facilities, sewage treatment plants, sewage treatment plants, waste storage and treatment facilities, food plants, slaughterhouses, and feed manufacturing facilities.

도 14는 액비화 장치(300)를 이용하여 악취를 제거하고 액비를 생산하기 위한 공정 블록도이다. 14 is a process block diagram for removing odor and producing liquid fertilizer using the liquid liquefaction apparatus 300.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액비화 장치(300)의 운전 및 작용효과를 악취와 액비와 같은 유체 흐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Referring to FIG. 14, the operation and operation effects of the liquefaction apparatus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fluid flow such as odor and liquid ratio.

먼저, 탈취탑(10) 상단에 구비된 포집 박스(30) 내 장착된 흡입 팬(40)을 작동시켜 분뇨 저장조로부터의 악취를 포집 박스(30) 내로 흡입시킨다. 이때 탈취탑(10)으로의 흡입량은 액비 제조 시스템(200)에 공급되는 공기량에 따라 결정된다. 포집 박스(30) 내 흡입 팬(40) 전단에 설치된 음이온 발생기(50)((주)이지테크 제 EGTIA2-2)를 작동시켜 악취 중 양이온으로 대전된 물질을 안정화시킨다. 이렇게 처리된 악취는 악취 포집 박스(30) 바닥을 통해 탈취탑(10) 내부로 낙하한다. 한편, 탈취탑(10) 외부에 설치된 미생물 균주 배양조(20)로부터 미생물 균주액을 노즐(60)을 통해 상기 처리된 악취에 살포시켜 용해시킨다. 이때 살포되는 미생물 균주액의 양은 예를 들면 1개의 노즐(60) 당 약 30-40 L/분의 용량으로 총 8개의 노즐을 통해 투여한다. 용해된 악취물질은 바닥부의 폴링(71)(조일환경 제)과 그 위에 적층된 미생물 펠렛(72)과 우드칩(73)으로 구성된 바이오 필터(70)의 폴링 표면에 부착되고 미생물의 분해 작용에 의해 산화분해됨으로써 무취화된다. 이때 바이오 필터(70)는 예를 들면 표면적 114 m2/m3을 갖는 폴링(71) 2m3, 미생물 펠렛(72) 10kg 및 우드칩(73) 0.8m3을 사용하여 60cm 높이의 폴링층과 10cm 높이의 우드칩층으로 구성한다. 최종적으로 무취화된 가스는 배출구(11)를 통해 대기 중으로 방출된다. 이때 탈취탑(10) 내부로 공기를 지속적으로 주입시켜 충분한 산소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여 미생물을 활성화시키고 악취성분을 중화시켜 악취를 미연에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First, the suction fan 40 mounted in the collection box 30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deodorizing tower 10 operates the suction odor from the manure storage tank into the collection box 30. At this time, the amount of suction to the deodorizing tower 10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air supplied to the liquid ratio production system 200. The negative ion generator 50 (EGTIA Co., Ltd. EGTIA2-2) installed in front of the suction fan 40 in the collection box 30 is operated to stabilize the material charged with the cation in the odor. The malodor thus treated falls into the deodorizing tower 10 through the bottom of the malodor collecting box 30. On the other hand, the microbial strain solution from the microbial strain culture tank 20 installed outside the deodorizing tower 10 is sprayed to the treated malodor through the nozzle 60 to dissolve. At this time, the amount of microbial strain to be sprayed is administered through a total of eight nozzles, for example, at a dose of about 30-40 L / min per one nozzle 60. The dissolved odorous substance adheres to the polling surface of the biofilter 70 composed of the polling 71 (a fastening agent) at the bottom and the microbial pellets 72 and the wood chips 73 stacked thereon, and is effective in decomposing the microorganisms. It is odorless by oxidative decomposition. Wherein the biofilter (70) for polling 71 g surface area having a 114 m 2 / m 3 2m 3 , microorganism pellets 72 polls layer of 60cm in height using a 10kg and wood chips (73) and 0.8m 3 It consists of a 10cm high wood chip layer. Finally, the odorless gas is discharged into the atmosphere through the outlet 11.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o continuously inject air into the deodorizing tower 10 to supply sufficient oxygen to activate microorganisms and neutralize odor components to prevent odors in advance.

탈취탑(10) 하부에 모아진 미생물 균주 중 일부는 반송관(20b)을 통해 균주 배양조(20)로 반송되어 순환하게 되고 일부는 균주 공급관(20c)을 통해 액비 제조 시스템(200)의 활성화 균주 배양조(240)로 공급된다. Some of the microbial strains collected at the bottom of the deodorization tower 10 are circulated by being returned to the strain culture tank 20 through the return pipe 20b, and some are activated strains of the liquid fertilization system 200 through the strain supply pipe 20c. It is supplied to the culture tank 240.

실제 적용시 607톤 규모의 액비 제조 시스템(200)에 8m3의 탈취탑(10)을 사용하였으며, 액비 제조 시스템(200)에서의 폭기량을 12m3/분으로 적용하여 안전율 1.2과 여유 풍량 30%를 더해(12m3/분 × 1.2 + 30%) 흡입량을 18m3/분으로 조정하였다. 이때의 흡입 풍량에 따른 탈취탑(10) 내 체류시간의 설계치는 29초이었다. 탈취탑(10)의 온도는 최적 균주 배양 조건을 위해 동절기에는 25℃ 이상, 하절기에는 반응열을 고려하여 30℃ 이상에서 일정하게 유지하였다. 액비 제조 시스템(200)의 각 반응조의 용량은 유량 균등화조(220) 143.9m3, 고속 액비화조(230) 140.6m3, 활성화 균주 배양조(240) 51.3m3, 액비 활성화조(250) 137.3m3, 액비 숙성조(260) 134.0m3로 총 607m3을 적용하여 운전하였다. 전체 체류시간은 10m3 유입처리 기준으로 60.7일이며 실제 액비의 완전 숙성은 28일 이내에 이루어졌다. In the actual application, the deodorizing tower 10 of 8 m 3 was used for the liquid fermentation system 200 of 607 ton scale, and the aeration rate 12 m 3 / min was applied to the liquid fertilization system 200 to provide a safety factor of 1.2 and an extra air volume of 30. The intake was adjusted to 18 m 3 / min by adding% (12 m 3 / min x 1.2 + 30%). The design value of the residence time in the deodorizing tower 10 according to the suction air volume at this time was 29 seconds. The temperature of the deodorizing tower 10 was kept constant at 30 ℃ or more in consideration of the heat of reaction at 25 ℃ or more in winter, the summer season for optimal strain culture conditions. Capacity of each tank of liquefied fertilizer production system 200 includes a flow equalization tank (220) 143.9m 3, high-speed aekbihwa tank (230) 140.6m 3, active strain culture tank (240) 51.3m 3, manure activation tank (250) 137.3 in m 3, aged manure tank (260) 134.0m 3 was operated by applying a total of 607m 3. Total residence time is 60.7 days to 10m 3 flowing process based on full ripening of the actual manure was done within 28 days.

본 발명의 탈취 시스템(100)에 의한 각종 악취 가스에 대한 제거율을 실제 측정한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평소 점검시 순간 농도 측정은 Gastec(GVS-100, 일본)을 이용 검지관으로 측정하였고 평균 농도는 악취공정시험법을 토대로 Agilent 7890A GC로 측정하였다. Table 2 shows the results of actually measuring the removal rate for various malodorous gases by the deodorization system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stantaneous concentration was measured using a gastec (GVS-100, Japan) detector at the usual check, and the average concentration was measured by Agilent 7890A GC based on the odor process test method.

구분division 항목Item 제거율 (%)Removal rate (%) 악취물질Odor substances NH3 (암모니아)NH 3 (ammonia) 90~9590-95 CH3CHO (아세트알데히드)CH 3 CHO (Acetaldehyde) 90~9590-95 C8H8 (스티렌)C 8 H 8 (styrene) 7272 (CH3)2S2 (이황화메틸)(CH 3 ) 2S 2 (methyl disulfide) 90~9590-95 H2S (황화수소)H 2 S (Hydrogen Sulfide) 95~9895-98 CH3SH (메틸메르캅탄)CH 3 SH (methyl mercaptan) 9797 (CH3)2S (황화메틸)(CH 3 ) 2 S (methyl sulfide) 90~9590-95 (CH3)3N (트리메틸아민)(CH 3 ) 3 N (trimethylamine) 9898 (C2H5)2NH (디에틸아민)(C 2 H 5 ) 2 NH (diethylamine) 9090 C2H7N (디메틸아민)C 2 H 7 N (dimethylamine) 9090

상기 표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탈취 시스템(100)에 의해 대부분의 악취 가스가 거의 제거되었음을 알 수 있다(≥90%). 이러한 높은 악취 제거 효율은 유입구(31)를 통해 유입되는 악취가 음이온 발생기(50)로부터 발생되는 음이온, 탈취탑(10) 내에서 미생물 균주액 살포에 의한 용해, 및 바이오 필터(70)에서 미생물과의 순차적인 반응에 의해 지속적으로 탈취가 이루어졌기 때문이다. From the results in the table, it can be seen that most of the malodorous gas was almost removed by the deodorization system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90%). This high odor removal efficiency is the odor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31 is negative ions generated from the anion generator 50, dissolved by microbial strain solution spraying in the deodorization tower 10, and microorganisms in the bio filter 70 This is because the deodorization was continuously performed by the sequential reaction of.

10: 탈취탑 20: 균주 배양조 30: 포집 박스 40: 흡입 팬
50, 290: 음이온 발생기 60: 노즐 80: 바이오 필터 100: 탈취 시스템
200: 액비 제조 시스템 210: 고액 분리기 220: 유량 균등화조
230: 고속 액비화조 240: 활성화 균주 배양조 250: 액비 활성화조
260: 액비 숙성조 270: 고속분쇄 탈기장치 300: 액비화 장치
DESCRIPTION OF SYMBOLS 10 Deodorization tower 20 Strain culture tank 30 Collection box 40 Suction pan
50, 290: negative ion generator 60: nozzle 80: biofilter 100: deodorization system
200: liquid-liquid production system 210: solid-liquid separator 220: flow rate equalization tank
230: high speed liquefaction tank 240: activated strain culture tank 250: liquid activator
260: liquid fermentation tank 270: high speed grinding degassing apparatus 300: liquid liquefaction apparatus

Claims (9)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하부에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탈취탑, 상기 탈취탑 외부에 연통 설치되어 미생물 균주를 배양하는 미생물 균주 배양조, 상기 탈취탑의 상단에 구비되어 일단에 형성된 유입구를 통해 악취를 포집하는 악취 포집 박스, 상기 악취 포집 박스 내에 장착되어 악취를 흡입하는 흡입 팬, 상기 흡입 팬 전단에 설치되어 음이온을 방출하고 상기 포집된 악취에 충돌시켜 안정화시키는 음이온 발생기, 상기 탈취탑 내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처리된 악취에 상기 미생물 균주액을 살포시켜 용해시키는 노즐, 상기 탈취탑 하부에 설치되어 용해된 악취를 미생물과 접촉시킴으로써 산화분해시켜 무취화시키는 바이오 필터를 포함하는 탈취 시스템 및 상기 탈취 시스템의 하부와 연통되어 일체화된 액비 제조 시스템을 포함하는 액비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액비 제조 시스템은 분뇨에 함유되어 있는 거대입자를 분리하는 고액분리기, 고액 분리된 여액을 저장하고 1차 가폭기를 이용하여 안정화시키며 효소분해가 이루어지는 유량 균등화조, 고속분쇄 탈기장치와 산소 공급을 하여 가속화시키는 고속 액비화조, 상기 탈취 시스템과 연결되어 미생물을 확보하고 공급하는 활성화 균주 배양조, 유기 화합물 분해, 악취제거 활성화 및 기능성 액비를 생산하는 액비 활성화조, 및 생산된 기능성 액비를 저장하고 반송된 미생물 균주를 확보하는 액비 숙성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비화 장치.
A deodorization tower having a discharge port formed at a lower portion thereof, a microbial strain culture tank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of the deodorization tower for culturing microbial strains, and a odor collecting box configured to collect odor through an inlet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deodorization tower; A suction fan mounted in the odor collecting box to suck odors, an anion generator installed at a front end of the suction fan to release anions and collide with the collected odors to stabilize the odors; A deodorizing system comprising a nozzle for spraying and dissolving the microbial strain solution, a biofilter installed under the deodorizing tower and oxidatively decomposing and deodorizing the dissolved malodor by contacting microorganisms, and a liquid solution integrated in communication with a lower portion of the deodorizing system. A liquefaction apparatus comprising a manufacturing system;
The liquid-liquid production system is a solid-liquid separator for separating the large particles contained in the manure, the solid-liquid separated filtrate is stored and stabilized by using a primary amplifier flow rate equalization tank, high-speed grinding degassing device and oxygen supply to the enzymatic decomposition High-speed liquefaction tank to accelerate and accelerate, activating strain culture tank connected to the deodorization system to secure and supply microorganisms, organic compound decomposition, odor removal activation and liquid fertilization tank to produce functional liquid fertilizer, and store and return the produced functional liquid fertilizer A liquefaction apparatus comprising a liquid fertilization tank for securing the microorganism strains.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고속분쇄 탈기장치가 상기 액비 숙성조에 설치되어 있는 반송펌프 배관 내부에 장착되어 액비를 분쇄 탈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비화 장치. 8. The liquid liquefaction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high speed pulverization degassing apparatus is mounted inside a conveying pump pipe installed in the liquid aging tank to pulverize liquid ratio.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탈취탑 하부에서 균주 배양조로 연결되는 반송관을 설치하고 상기 반송관에 T자형 연결관을 이용하여 균주 공급관을 연결 설치하며 상기 균주 배양조 내에는 반송관에 연결되는 플로트 스위치와 이보다 약간 높게 상수 공급관에 연결되는 플로트 스위치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플로트 스위치의 높이 조정에 의해 액비 제조 균주를 상기 액비 제조 시스템의 활성화 균주 배양조로 자동으로 정량 공급하고 플로트 스위치의 높이차에 해당하는 양만큼 균주 배양조에 용수를 자동 공급되도록 하며 펌프 정지시 상기 균주 배양조의 수위가 상승하여 범람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균주 배양조의 수위를 자동으로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비화 장치. According to claim 7, The lower deodorizing tower is installed in the transfer pipe connected to the strain culture tank and connected to the strain supply pipe using a T-shaped connecting pipe to the conveying pipe and float connected to the conveying pipe in the strain culture tank By installing a switch and a float switch connected to a constant supply pipe slightly higher than this, by adjusting the height of the float switch, the fertilizer preparation strain is automatically quantitatively supplied to the activated strain culture tank of the fertilizer production system, which corresponds to the height difference of the float switch. Automatically supplying water to the strain culture tank by the amount and the liquid liquefaction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it automatically adjusts the level of the strain culture tank while preventing the flooding of the level of the strain culture tank rises when the pump is stopped.
KR20110009441A 2011-01-31 2011-01-31 Deodorization system capable of supplying liquid fertilizer production strain and liquid fertilizer production facility comprising the deodorization system KR10106169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009441A KR101061690B1 (en) 2011-01-31 2011-01-31 Deodorization system capable of supplying liquid fertilizer production strain and liquid fertilizer production facility comprising the deodoriz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009441A KR101061690B1 (en) 2011-01-31 2011-01-31 Deodorization system capable of supplying liquid fertilizer production strain and liquid fertilizer production facility comprising the deodorization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61690B1 true KR101061690B1 (en) 2011-09-01

Family

ID=449568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10009441A KR101061690B1 (en) 2011-01-31 2011-01-31 Deodorization system capable of supplying liquid fertilizer production strain and liquid fertilizer production facility comprising the deodorization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1690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1240B1 (en) 2013-02-14 2014-10-16 김용란 Method for Treating livestock excretions Using Soil Microorganism in a Environmental friendly Manner
CN104117284A (en) * 2014-07-21 2014-10-29 隆润新技术发展有限公司 System used for treating odor in environmental protection facilities
KR20170035717A (en) 2015-09-23 2017-03-31 주식회사 근옥 Bad smell reduction apparatus of liquefied fertilizer
KR20220087311A (en) * 2020-12-17 2022-06-24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Tunnel for fermentation of mushroom culture medium with easy ventilatio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5163B1 (en) * 2000-08-16 2003-03-17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ocess and apparatus for the biological deordorization using chaff and rice straw
KR100701480B1 (en) * 2006-12-01 2007-03-29 박병열 Disposal apparatus for food waste
KR100919586B1 (en) * 2009-06-25 2009-10-01 경상북도 농업기술원 Liquid manure tank that prevention of bad smell is possibl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5163B1 (en) * 2000-08-16 2003-03-17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ocess and apparatus for the biological deordorization using chaff and rice straw
KR100701480B1 (en) * 2006-12-01 2007-03-29 박병열 Disposal apparatus for food waste
KR100919586B1 (en) * 2009-06-25 2009-10-01 경상북도 농업기술원 Liquid manure tank that prevention of bad smell is possible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1240B1 (en) 2013-02-14 2014-10-16 김용란 Method for Treating livestock excretions Using Soil Microorganism in a Environmental friendly Manner
CN104117284A (en) * 2014-07-21 2014-10-29 隆润新技术发展有限公司 System used for treating odor in environmental protection facilities
CN104117284B (en) * 2014-07-21 2017-01-18 隆润新技术发展有限公司 System used for treating odor in environmental protection facilities
KR20170035717A (en) 2015-09-23 2017-03-31 주식회사 근옥 Bad smell reduction apparatus of liquefied fertilizer
KR20220087311A (en) * 2020-12-17 2022-06-24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Tunnel for fermentation of mushroom culture medium with easy ventilation
KR102553767B1 (en) * 2020-12-17 2023-07-12 대한민국 Tunnel for fermentation of mushroom culture medium with easy ventil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hen et al. Mitigating odors from agricultural facilities: a review of literature concerning biofilters
CN102921295B (en) Two-chamber biological reaction integrated odor treatment device
KR100951307B1 (en) Deodorizing System for livestock facility
CN101632899B (en) Device and method for deodorization and sterilization of malodorous gas
US20100120128A1 (en) Eco-engineering for systematic carbon mitigation
Liu et al. A review of practices and technologies forodor control in swine production facilities
CN201625503U (en) High-concentration stench biological treatment device
CN103691268A (en) Method and device for treating waste gas generated by printing and dyeing wastewater
CN101745310A (en) Method and device for filtration deodorization by utilizing biological soil
CN10101159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ing malodorous gas by using composite microorganism and nano composite carrier
CN109876621A (en) A kind of end removing means and deodorizing methods for livestock manure fermented foul smell
KR101061690B1 (en) Deodorization system capable of supplying liquid fertilizer production strain and liquid fertilizer production facility comprising the deodorization system
CN103623680A (en) Low temperature organic malodorous gas treating system
EP2767585A1 (en) Microbiological method of H2S removal from biogas
Rahman et al. Typical odor mitigation technologies for swine production facilities: A review
CN202933623U (en) Two-chamber biological reaction integrated odor processing device
TW202116402A (en) Nitrogen recovery method, nitrogen recovery device, and product obtained by same
CN209020187U (en) A kind of biofilter multistage deodorization device
CN201534058U (en) Device utilizing biological soil to filter and deodorize
CN103657397A (en) Biological treatment method and device for waste gas produced by printing and dyeing wastewater
CN205216578U (en) Composite module biofiltration purifier
Promnuan et al. Evaluation of commercial moving bed media and sugarcane bagasse as packing material in biotrickling filter for hydrogen sulfide removal
CN113144850A (en) Efficient oxidation and biological filtration multiplication deodorization system and process thereof
JP6445664B1 (en) Biological deodorization equipment
CN105921005A (en) Efficient biological purifying technology for purifying malodorous waste gas in organic fertilizer producing proces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