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0408B1 - 디스크 드라이브의 트레이 이젝트용 스위치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디스크 드라이브의 트레이 이젝트용 스위치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0408B1
KR101060408B1 KR1020050021986A KR20050021986A KR101060408B1 KR 101060408 B1 KR101060408 B1 KR 101060408B1 KR 1020050021986 A KR1020050021986 A KR 1020050021986A KR 20050021986 A KR20050021986 A KR 20050021986A KR 101060408 B1 KR101060408 B1 KR 1010604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switch
button
disk drive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19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00986A (ko
Inventor
김용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히타치엘지 데이터 스토리지 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히타치엘지 데이터 스토리지 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히타치엘지 데이터 스토리지 코리아
Priority to KR10200500219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0408B1/ko
Publication of KR200601009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09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04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04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9/00Shop, bar, bank or like counters
    • A47F9/02Paying counters
    • A47F9/04Check-out counters, e.g. for self-service stores

Landscapes

  • Feeding And Guiding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크 드라이브의 트레이 이젝트용 스위치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메인베이스(90) 상에 설치되어 디스크가 얹어져 이동되는 트레이(92)를 상기 메인베이스(90)에 선택적으로 체결시키는 체결수단에 전기적신호를 선택적으로 입력하도록 하는 스위치(178)가 설치되고, 스위치(178)를 작동하기 위해 트레이(92)의 전면을 형성하는 프론트베젤(98)을 관통하는 버튼(174)이 구비되며, 스위치(178)가 구비된 연성인쇄회로기판(177)을 보강하는 보강판(180)이 설치되고, 프론트베젤(98)의 이면에 설치되어 보강판(180)의 양측이 안착될 수 있도록 홈부(184)가 형성된 트레이스토퍼(182)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트레이(92)에는, 상기 스위치(178)의 전면과 상기 버튼(174)의 후면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상기 보강판(180)의 후방에서 탄성지지하는 후방스토퍼(186)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디스크 드라이브의 트레이 이젝트용 스위치어셈블리에 의하면, 스위치(178)와 버튼(174)의 돌출부(176) 사이의 간격이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어 스위치어셈블리의 동작신뢰성이 높아지고, 내구성이 좋아지는 이점이 있다.
디스크 드라이브, 트레이, 스위치, 버튼

Description

디스크 드라이브의 트레이 이젝트용 스위치어셈블리{A switch assembly for ejecting tray of disk drive}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디스크 드라이브의 구성을 보인 부분절결평면도.
도 2a 및 도 2b는 종래 기술에 의한 디스크 드라이브의 트레이 이젝트장치의 동작과정을 보인 동작상태도.
도 3은 종래 기술에 의한 디스크 드라이브의 트레이 이젝트용 스위치어셈블리를 보인 평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트레이 이젝트용 스위치어셈블리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채용된 디스크 드라이브의 부분절결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디스크 드라이브의 트레이 이젝트용 스위치어셈블리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디스크 드라이브의 트레이 이젝트용 스위치어셈블리의 구성을 보인 측단면도.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 실시예의 작동에 따른 디스크 드라이브의 트레이 이젝트장치의 동작과정을 보인 동작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90: 메인베이스 92: 트레이
94: 디스크 안착부 96: 커버플레이트
98: 프론트베젤 100: 픽업베이스
102: 턴테이블 104: 픽업유니트
106: 가이드축 110: 슬레드모터
112: 모터기어 114: 아이들기어
116: 피드기어 118: 리드스크류
120: 피드가이드 122: 푸쉬레버
130: 솔레노이드 132: 구동편
140: 플린저암 142: 회동축
144: 탄성부재 146: 제 1구동레그
148: 제 2구동레그 150: 리셋암
152: 중심축 154: 제 1종동레그
156: 돌출부 158: 토션스프링
160: 이젝트암 162: 회전축
164: 제 2종동레그 166: 걸림턱
168: 탄성부재 172: 걸림돌기
174: 버튼 176: 돌출부
178: 스위치 180: 보강판
182, 182': 트레이스토퍼 184, 184': 홈부
186: 후방스토퍼 188: 탄성편
190: 지지턱
본 발명은 디스크 드라이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디스크 드라이브에서 트레이를 이젝트시키기 위한 디스크 드라이브의 트레이 이젝트용 스위치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디스크 드라이브의 구성을 보인 부분절결평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a 및 도 2b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디스크 드라이브의 트레이 이젝트장치의 동작과정을 보인 동작상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디스크 드라이브의 트레이 이젝트용 스위치어셈블리를 보인 평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디스크 드라이브의 하부외관을 구성하는 메인베이스(2)상에는 트레이(4)가 디스크 드라이브의 내외부로 입출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트레이(4)의 일면에는 디스크가 위치되는 디스크안착부(6)가 형성된다.
상기 트레이(4)에는 픽업베이스(8)가 설치된다. 상기 픽업베이스(8)는 상기 트레이(4)의 하면에 구비된다. 상기 픽업베이스(8)에는 스핀들모터(도시되지 않음)가 설치되고, 상기 스핀들모터의 회전축에는 턴테이블(10)이 상기 디스크안착부(6)의 중앙에 노출되게 구비된다.
상기 픽업베이스(8)에는 픽업창(12)을 따라 광을 상기 턴테이블(10)에 안착 된 디스크로 조사할 수 있도록 픽업유니트(14)가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픽업베이스(8)의 일면에 설치된 한쌍의 가이드축(16)을 따라 지지되어 이동된다. 그리고, 도면부호 18은 상기 트레이가 이젝트되도록 하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푸시레버이다.
상기 트레이(4)에 솔레노이드(20)가 설치된다. 상기 솔레노이드(20)는 전기적신호의 인가에 따라 솔레노이드(20)의 마그네트에 자력이 상실되어 내부에 고정된 구동편(22)이 솔레노이드(20) 외부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솔레노이드(20)의 구동편(22)이 이동하는 방향에 플런저암(30)이 소정의 범위만큼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데, 플런저암(30)을 구성하는 몸체(31)가 상기 구동편(22)과 함께 이동하게 된다. 즉, 상기 구동편(22)이 직선운동을 하면, 상기 플런저암(30)은 회동축(32)을 중심으로 회전운동을 한다.
상기 플런저암(30)의 몸체(31)에서 상기 구동편(22)과 결합되는 부분의 반대부분은 상기 트레이(4)에 탄성력을 가지는 탄성부재(34)로 연결된다. 상기 탄성부재(34)는 상기 구동편(22)이 상기 솔레노이드(20)에서 외부로 돌출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한다.
상기 플런저암(30)의 몸체(31)에 평행하게 제 1구동레그(36)가 구비된다. 상기 제 1구동레그(36)는, 아래에서 설명될 리셋암(40)의 제 1종동레그(44)와 맞물리게 되어 리셋암(40)이 중심축(42)을 중심으로 회동하게 한다. 그리고, 상기 플런저암(30)의 몸체와 반대쪽에는 제 2구동레그(38)가 연장되게 형성된다. 상기 제 2구동레그(38)는 아래에서 설명될 이젝트암(50)의 제 2종동레그(54)와 맞물려 이젝트암(50)이 회전축(52)을 중심으로 회동하게 한다.
상기 제 1구동레그(36)와 맞물리는 위치에는 리셋암(40)이 구비된다. 상기 리셋암(40)은 중심축(42)을 중심으로 소정의 범위만큼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제 1구동레그(36)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 1종동레그(44)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리셋암(40)에서 상기 제 1종동레그(44)와 직교되는 위치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걸림돌기(62)와 맞물릴 수 있도록 돌출부(46)가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46)는 트레이(4)가 닫힐 때, 걸림돌기(62)에 걸리게 되어 리셋암(40)이 회동할 수 있는 구동력을 얻게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리셋암(40)의 제 1종동레그(44)가 상기 제 1구동레그(36)를 미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토션스프링(48)이 설치된다.
상기 제 2구동레그(38)와 맞물리는 위치에는 이젝트암(50)이 구비된다. 상기 이젝트암(50)은 회전축(52)을 중심으로 소정의 범위만큼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제 2구동레그(38)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 2종동레그(54)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종동레그(54)와 직교되는 위치에, 아래에서 설명될 걸림돌기(62)와 맞물릴 수 있도록 걸림턱(56)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이젝트암(50)의 제 2종동레그(54)가 상기 제 2구동레그(38)를 미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58)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베이스(2) 상에서 상기 리셋암(40)의 돌출부(46)와 상기 이젝트암(50)의 걸림턱(56)이 이동하는 이동행정구간에 걸림돌기(62)가 형성된다. 상기 걸림돌기(62)는 상기 돌출부(46)와 맞물려져 리셋암(40)이 회동하게 하고, 상기 걸림턱(56)에 걸어져 상기 트레이(4)가 메인베이스(2)에 고정되도록 하는 역할 을 한다.
상기 트레이(4)의 전면을 형성하는 프론트베젤(63)에는, 상기 솔레노이드(20)에 전원이 인가되는 것을 제어하기 위한 버튼(64)이 구비된다. 상기 버튼(64)은 상기 프론트베젤(63)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버튼(64)의 후면에는 돌출부(66)가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66)는 아래에서 설명될 스위치(70)의 전면에 선택적으로 밀착되어 스위치(70)가 온/오프되도록 한다.
상기 버튼(64)의 후방에는 연성인쇄회로기판(68)이 구비된다. 상기 연성인쇄회로기판(68)에는 상기 솔레노이드(20)에 전기적신호가 인가되는 것을 조절할 수 있는 스위치(70)가 실장된다. 상기 연성인쇄회로기판(68)의 후면에는 연성인쇄회로기판(68)을 보호하기 위한 보강판(72)이 구비된다.
상기 연성인쇄회로기판(68)이 설치된 보강판(72)의 양측에는 트레이스토퍼(74)가 구비된다. 상기 트레이스토퍼(74)는 상기 트레이(4)의 일측벽 즉 버튼(64)이 설치된 부분에 형성된 것으로, 트레이(4)의 일측벽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트레이스토퍼(74)에는 양측의 트레이스토퍼(74)가 마주보는 방향으로 홈부(76)가 형성된다. 상기 홈부(76)에는 상기 연성인쇄회로기판(68)이 설치된 보강판(72)이 삽입안착되어, 보강판(72)이 트레이스토퍼(74)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스위치(70)가 설치된 부분의 보강판(72) 후방에는 상기 버튼(64)에 의해 스위치(70)가 눌러질 때 스위치(70)를 비롯한 보강판(72)이 뒤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후방스토퍼(78)가 구비된다. 상기 후방스토퍼(78)는 상기 트레이(4)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디스크 드라이브의 트레이 이젝트용 스위치어셈블리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이 있다.
상기 버튼(64)을 사용자가 누르면 상기 돌출부(66)가 상기 스위치(70)를 눌러준다. 하지만, 상기 스위치(70)가 눌러짐에 의해 상기 연성인쇄회로기판(68)과 보강판(72)은 뒤로 밀려 후방스토퍼(78)에 밀착된다.
이때, 상기 스위치(70)의 위치결정은 상기 보강판(72)의 두께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보강판(72)은 일반적으로 페놀 또는 에폭시수지에 의해 제조되어 두께가 일정치 않아, 스위치(70)가 일정한 위치에 있지 않게 된다.
특히, 종래 기술에서는 상기 보강판(72)의 배면이 상기 후방스토퍼(78)에 지지되면서 상기 스위치(70)의 위치가 결정되므로, 보강판(72)의 두께 정밀도가 스위치(70)의 위치에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스위치(70)와 버튼(64) 사이 간격이 일정치 않아 버튼(64)과 스위치(70)가 항상 접촉된 상태에 있거나, 버튼(64)을 눌러도 스위치(70)에 돌출부(66)가 닿지 않아 작동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돌출부(66)와 스위치(70) 사이의 간격이 상대적으로 가깝게 되면 버튼을 누를 때 스위치(70)에 상대적으로 큰 힘이 작용하면서, 스위치(70)가 파손될 수 있는 문제점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스위치가 항상 일정한 위치에 있도록 된 디스크 드라이 브의 트레이 이젝트용 스위치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버튼에 지나친 힘이 가해지더라도, 스위치가 파손되지 않는 디스크 드라이브의 트레이 이젝트용 스위치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메인베이스 상에 설치되어 디스크가 얹어져 이동되는 트레이를 상기 메인베이스에 선택적으로 체결시키는 체결수단에 전기적신호를 선택적으로 입력하도록 하는 스위치와; 트레이의 전면으로 노출되게 설치되어 사용자의 누름에 의해 상기 스위치에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버튼과; 상기 스위치가 실장된 연성인쇄회로기판을 보강하는 보강판과; 상기 프론트베젤의 이면에 설치되어 상기 보강판의 양측이 안착될 수 있도록 홈부가 형성된 트레이스토퍼; 그리고 상기 스위치의 전면과 상기 버튼의 후면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상기 보강판을 상기 버튼 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후방스토퍼;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후방스토퍼에는 상기 트레이의 일면에 수직으로 탄성편이 형성되고, 상기 탄성편의 선단에 상기 보강판 방향으로 돌출된 지지턱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후방스토퍼에 의해 상기 스위치가 실장된 연성인쇄회로기판이 지지된 보강판의 전면이 상기 홈부의 내측 전면에 밀착되도록 됨이 바람직하다.
홈부의 내측 전면과 상기 후방스토퍼의 지지턱 선단 사이의 수직거리는 상기 보강판의 두께와 같거나 작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디스크 드라이브의 트레이 이젝트 용 스위치어셈블리에 의하면, 스위치와 버튼의 돌출부 사이의 간격이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어 스위치어셈블리의 동작신뢰성이 높아지고, 스위치어셈블리의 내구성이 좋아지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디스크 드라이브의 트레이 이젝트용 스위치어셈블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에는 본 발명에 의한 트레이 이젝트용 스위치어셈블리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채용된 디스크 드라이브의 부분절결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본 발명에 의한 디스크 드라이브의 트레이 이젝트용 스위치어셈블리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6에는 본 발명에 의한 디스크 드라이브의 트레이 이젝트용 스위치어셈블리의 구성을 보인 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디스크 드라이브의 하부외관을 메인베이스(90)가 형성한다. 상기 메인베이스(90)상에는 트레이(92)가 디스크 드라이브의 내외부로 입출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트레이(92)의 일면에는 디스크가 위치되는 디스크안착부(94)가 형성된다. 상기 디스크안착부(94)의 일부를 커버플레이트(96)가 형성한다. 상기 커버플레이트(96)에는 픽업창(97)이 형성된다. 상기 커버플레이트(96)는 일부가 절결되어 표시되고 절결된 부분의 원형은 점선으로 표시된다. 그리고, 상기 트레이(92)의 선단에는 프론트베젤(98)이 구비되고, 프론트베젤(98)에는 관통공(99)이 형성되어 아래에서 설명될 버튼(174)이 관통되어 설치된다.
상기 트레이(92)에는 픽업베이스(100)가 설치된다. 상기 픽업베이스(100)는 상기 트레이(92)의 하면에 구비된다. 상기 픽업베이스(100)에는 스핀들모터(도시되 지 않음)가 설치되고, 상기 스핀들모터의 회전축에는 턴테이블(102)이 상기 디스크안착부(94)의 중앙에 노출되게 구비된다.
상기 픽업베이스(100)에는 상기 픽업창(97)을 따라 광을 상기 턴테이블(102)에 안착된 디스크로 조사할 수 있도록 픽업유니트(104)가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픽업유니트(104)는 디스크의 신호기록면에 광을 조사하여 신호를 기록하거나 기록된 신호를 독취하는 부분으로 픽업베이스(100)의 일면에 설치된 한쌍의 가이드축(106)을 따라 지지되어 이동된다.
한편, 상기 픽업유니트(104)의 이동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구성을 설명한다. 상기 픽업베이스(104)의 일측에는 슬레드모터(110)가 설치된다. 상기 슬레드모터(110)의 출력축에는 모터기어(112)가 설치된다. 상기 모터기어(112)와 맞물리게 아이들기어(114)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아이들기어(114)와 피드기어(116)가 맞물린다. 상기 피드기어(116)는 상기 픽업유니트(104)로 이동력을 전달하는 리드스크류(118)에 설치된다. 상기 리드스크류(118)는 일측 가이드축(106)과 나란히 상기 픽업베이스(104)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피드기어(116)와 일체로 회전함과 동시에 상기 가이드축(106)의 길이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동가능하게 구성된다. 이와 같은 상기 리드스크류(118)에는 상기 픽업유니트(104)의 일측에 구비된 피드가이드(120)가 맞물려 안내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면부호 122은 상기 트레이(92)가 이젝트되도록 하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푸시레버이다.
다음으로, 상기 트레이(92)를 디스크 드라이브의 외부로 취출하기 위한 구성 을 살펴본다. 상기 트레이(92)에 솔레노이드(130)가 설치된다. 상기 솔레노이드(130)는 전기적신호의 인가에 따라 솔레노이드(130)의 마그네트가 자력을 상실하여 내부의 구동편(132)이 솔레노이드(130) 외부로 돌출될 수 있게 구성된다. 상기 솔레노이드(130)의 구동편(132)이 이동하는 방향에 플런저암(140)이 소정의 행정만큼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데, 플런저암(140)을 구성하는 몸체(141)가 상기 구동편(132)과 함께 이동하게 된다. 즉, 상기 구동편(132)이 직선운동을 하면, 상기 플런저암(140)은 회동축(142)을 중심으로 회전운동을 한다.
상기 플런저암(140)의 몸체(141)에서 상기 구동편(132)과 결합되는 부분의 반대부분은 탄성력을 가지는 탄성부재(144)에 의해 상기 트레이(92)에 연결된다. 상기 탄성부재(144)는 상기 구동편(132)이 돌출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한다.
상기 몸체(141)에 평행하게 제 1구동레그(146)가 구비된다. 상기 제 1구동레그(146)는 아래에서 설명될 리셋암(150)의 제 1종동레그(154)와 맞물리게 되어 리셋암(150)이 중심축(152)을 중심으로 회동하게 한다. 그리고, 상기 플런저암(140)의 몸체와 반대쪽에는 제 2구동레그(148)가 연장되게 형성된다. 상기 제 2구동레그(148)는 아래에서 설명될 이젝트암(160)의 제 2종동레그(164)와 맞물려 이젝트암(160)이 회전축(162)을 중심으로 회동하게 한다.
상기 제 1구동레그(146)와 맞물리는 위치에는 리셋암(150)이 구비된다. 상기 리셋암(150)은 중심축(152)을 중심으로 소정의 범위만큼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제 1구동레그(146)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 1종동레그(154)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1종동레그(154)와 직교되는 위치에 아래에서 설명될 걸림돌기 (172)에 걸릴 수 있도록 돌출부(156)가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156)는 트레이(92)가 닫힐 때, 걸림돌기(172)에 걸리게 되어 리셋암(150)이 이동할 수 있는 구동력을 얻게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리셋암(150)의 제 1종동레그(154)가 상기 제 1구동레그(146)를 미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토션스프링(158)이 설치된다.
이젝트암(160)은 상기 트레이(92)의 일측에 구비되는데, 특히 상기 제 2구동레그(148)와 맞물리는 위치에 설치된다. 상기 이젝트암(160)은 회전축(162)을 중심으로 소정의 범위만큼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제 2구동레그(148)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 2종동레그(164)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종동레그(164)와 직교되는 위치에 아래에서 설명될 걸림돌기(172)와 맞물릴 수 있도록 걸림턱(166)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이젝트암(160)의 제 2종동레그(164)가 상기 제 2구동레그(148)를 미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168)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베이스(90) 상에서 상기 리셋암(150)의 돌출부(156)와 상기 이젝트암(160)의 걸림턱(166)이 이동하는 이동행정구간에 걸림돌기(172)가 형성된다. 상기 걸림돌기(172)는, 상기 돌출부(156)에 걸어져 리셋암(150)을 회동하게 하고, 상기 걸림턱(166)에 걸어져 상기 트레이(92)를 메인베이스(90)에 고정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솔레노이드(130)에 전원이 인가되는 것을 제어하기 위한 버튼(174)이 상기 트레이(92)의 선단을 형성하는 프론트베젤(98)에 형성된 관통공(99)을 관통하여 설치된다. 상기 버튼(174)의 후면에는 돌출부(176)가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176)는 사용자가 상기 버튼(174)을 누름에 따라, 아래에서 설명될 스위치(178)의 전면에 선택적으로 밀착되어 스위치(178)가 온/오프되도록 한다.
상기 버튼(174)의 후방에는 연성인쇄회로기판(177)이 구비된다. 상기 연성인쇄회로기판(177)에는 상기 솔레노이드(130)에 전기적신호가 인가되는 것을 조절할 수 있는 스위치(178)가 설치된다. 상기 연성인쇄회로기판(177)의 후면에는 연성인쇄회로기판(177)을 보호하기 위한 보강판(180)이 구비된다. 상기 보강판(180)은 페놀 또는 에폭시수지에 의해 성형될 수 있다.
상기 연성인쇄회로기판(177)이 설치된 보강판(180)의 양측에는 트레이스토퍼(182, 182')가 구비되는데, 도면상 좌측에는 좌측트레이스토퍼(182)가 우측에는 우측트레이스토퍼(182')가 구비된다. 상기 트레이스토퍼(182, 182')는 상기 트레이(92)의 일측벽을 형성하는 프론트베젤(98), 즉 버튼(174)이 설치된 부분에 형성된 것으로, 트레이(92)의 일측벽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트레이스토퍼(182, 182')에는 좌우측 트레이스토퍼(182, 182')가 마주보는 방향으로 홈부(184, 184')가 형성된다. 상기 홈부(184, 184')에는 상기 연성인쇄회로기판(177)이 설치된 보강판(180)이 안착되어 트레이스토퍼(182, 182')에 설치된다. 즉, 상기 홈부(184, 184')의 크기는 상기 연성인쇄회로기판(177)이 설치된 보강판(180)의 두께보다 약간 크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위치(178)가 설치된 부분의 보강판(180) 후방에는 상기 버튼(174)에 의해 스위치(178)가 눌러질 때, 스위치(178)를 비롯한 보강판(180)이 뒤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후방스토퍼(186)가 구비된다. 상기 후방스토퍼(186)는 상기 트레이(92)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방스토퍼(186)는 필요에 따라 다 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방스토퍼(186)는 상기 트레이(92) 일면에 수직으로 형성된 탄성편(188)과, 상기 탄성편(188)의 선단에 상기 보강판(180) 방향으로 돌출된 지지턱(190)으로 구성된다. 상기 탄성편(188)은 상기 보강판(180)을 일측으로 충분히 탄성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탄성편(188)의 선단에는 상기 보강판(180) 방향으로 돌출된 지지턱(190)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턱(190)은 상기 지지편(190)을 후방에서 충분히 밀어주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보강판(180)의 두께가 다르더라도 보강판(180) 양측 전면이 상기 좌우측 트레이스토퍼(182, 182')의 홈부(184, 184') 내측 전면에 완전히 밀착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턱(190)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홈부(184, 184')의 내측 전면을 따라 연장된 가상의 선과 상기 돌출부(176)의 선단을 따라 상기 가상의 선과 평행하게 연장된 가상의 선 사이의 간격, 즉 수직거리는 상기 보강판(180)의 두께보다 상대적으로 좁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는 것은, 상기 보강판(180)이 항상 상기 홈부(184, 184')의 내측 전면에 밀착될 수 있고, 상기 스위치(178)의 전면과 상기 버튼(174)의 돌출부(176) 사이의 간격이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디스크 드라이브의 트레이 이젝트용 스위치어셈블리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7a 및 도 7b에는 본 발명 실시예의 작동에 따른 디스크 드라이브의 트레이 이젝트장치의 동작과정을 보인 동작상태도가 도시되어 있고, 상기 트레이(92)에 스위치(178)가 실장된 연성인쇄회로기판(177)을 설치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면, 스위치(178)가 전면에 실장된 연성인쇄회로기판(177)을 보강판(180)의 전면에 부착한다. 상기 연성인쇄회로기판(177)이 부착된 보강판(180)을, 프론트베젤(98)에 버튼(174)이 설치된 트레이(92)의 좌우측에 구비된 트레이스토퍼(182, 182')의 홈부(184, 184')의 내부에 삽입한다. 이때, 상기 연성인쇄회로기판(177)이 부착된 보강판(180)의 두께가 상기 홈부(184, 184')의 폭보다도 작기 때문에 쉽게 유동될 수 있다.
상기 보강판(180)이 상기 홈부(184, 184')에 삽입될 때, 후방스토퍼(186)의 지지턱(190)이 상기 보강판(180)을 홈부(184, 184')의 내측 전면 방향으로 밀어 상기 연성인쇄회로기판(177)의 전면이 홈부(184, 184')의 내측 전면에 밀착된다. 이는 상기 홈부(184, 184')의 내측 전면을 따라 연장된 가상의 선과 상기 돌출부(176)의 선단을 따라 상기 가상의 선과 평행하게 연장된 가상의 선 사이의 간격, 즉 수직거리가 상기 보강판(180)의 두께보다 상대적으로 좁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버튼(174)의 조작에 따라 트레이(92)가 디스크 드라이브의 내외부로 입출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사용자가 디스크 드라이브의 트레이(92)를 인출할려면, 버튼(174)을 누른다. 상기 버튼(174)이 눌러지면, 버튼(174)의 후방에 형성된 돌출부(176)가 스위치(178)의 전면에 닿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상기 버튼(174)을 눌러 스위치(178)가 후방으로 밀리더라도, 사용자의 힘이 제거되면 상기 스위치(178)의 후방에 구비된 보강판(180)을 후방에서 탄성지지하는 후방스토퍼(186)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원상회복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스위치(178)와 상기 버튼(174)의 돌출부(176) 사이의 간격이 항상 일정하게 된다.
상기 버튼(174)이 스위치(178)에 닿게 되어 스위치(178)가 온(on)된다. 상기 스위치(178)가 온되면 상기 트레이(92)의 솔레노이드(130)에 전기적신호가 인가되면서, 솔레노이드(130)에 고정된 구동편(132)이 해제되고, 솔레노이드(130) 내부에 장착된 구동편(132)이 돌출된다.
상기 구동편(132)이 돌출됨과 함께 상기 플런저암(140)의 몸체가 회동축(142)을 중심으로 시계방향(a)으로 회동한다. 상기 플런저암(140)이 시계방향(a)으로 회동하므로 상기 제 1구동레그(146)와 제 2구동레그(148)도 시계방향(a)으로 회동하게 된다. 상기 제 1구동레그(146)에 맞물려 있는 제 1종동레그(154)에 의해 리셋암(150)은 중심축(152)을 중심으로 시계반대방향(a')으로 회동하고, 상기 제 2구동레그(148)에 맞물려 있는 제 2종동레그(164)에 의해 이젝트암(160)은 회전축(162)을 중심으로 시계반대방향(a'')으로 회동하게 되어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다.
따라서, 상기 걸림턱(166)이 상기 메인베이스(90)의 걸림돌기(172)에서 이탈됨으로써 트레이(92)가 푸쉬레버(122)에 의해 전방으로 돌출되어 오픈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트레이(92)를 닫는 경우는 상술한 바의 역방향으로 동작이 이루어지게 되어,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디스크 드라이브의 트레이 이젝트용 스위치어셈블리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즉 스위치와 버튼의 돌출부 사이의 간격이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어 사용자가 디스크 드라이브의 이젝트버튼 작동시 스위치어셈블리가 항상 일정하게 동작되어 동작신뢰성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스위치가 실장된 인쇄회로기판의 보강판을 후방에서 탄성지지하는 후방스토퍼로 인해, 사용자의 상기 버튼 작동시 버튼에 지나친 힘이 가해지더라도 버튼에 가해진 힘이 완충되어 스위치가 파손되지 않아 제품의 내구성이 좋아지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메인베이스 상에 설치되어 디스크가 얹어져 이동되는 트레이를 상기 메인베이스에 선택적으로 체결시키는 체결수단에 전기적신호를 선택적으로 입력하도록 하는 스위치와;
    트레이의 전면으로 노출되게 설치되어 사용자의 누름에 의해 상기 스위치에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버튼과;
    상기 스위치가 실장된 연성인쇄회로기판을 보강하는 보강판과;
    상기 트레이의 선단에 구비되는 프론트베젤의 이면에 설치되어 상기 보강판의 양측이 안착될 수 있도록 홈부가 형성된 트레이스토퍼; 그리고
    상기 스위치의 전면과 상기 버튼의 후면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상기 보강판을 상기 버튼 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후방스토퍼;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드라이브의 트레이 이젝트용 스위치어셈블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스토퍼에는 상기 트레이의 일면에 수직으로 탄성편이 형성되고, 상기 탄성편의 선단에 상기 보강판 방향으로 돌출된 지지턱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드라이브의 트레이 이젝트용 스위치어셈블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스토퍼에 의해 상기 스위치가 실장된 연성인쇄회로기판이 지지된 보강판의 전면이 상기 홈부의 내측 전면에 밀착되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드라이브의 트레이 이젝트용 스위치어셈블리.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의 내측 전면과 상기 후방스토퍼의 지지턱 선단 사이의 수직거리는 상기 보강판의 두께와 같거나 작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드라이브의 트레이 이젝트용 스위치어셈블리.
KR1020050021986A 2005-03-16 2005-03-16 디스크 드라이브의 트레이 이젝트용 스위치어셈블리 KR1010604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1986A KR101060408B1 (ko) 2005-03-16 2005-03-16 디스크 드라이브의 트레이 이젝트용 스위치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1986A KR101060408B1 (ko) 2005-03-16 2005-03-16 디스크 드라이브의 트레이 이젝트용 스위치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0986A KR20060100986A (ko) 2006-09-22
KR101060408B1 true KR101060408B1 (ko) 2011-08-29

Family

ID=37632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1986A KR101060408B1 (ko) 2005-03-16 2005-03-16 디스크 드라이브의 트레이 이젝트용 스위치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040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15959A (ja) 1999-07-02 2001-01-19 Pfu Ltd 押しボタンスイッチの実装構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15959A (ja) 1999-07-02 2001-01-19 Pfu Ltd 押しボタンスイッチの実装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0986A (ko) 2006-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533681B2 (ja) カートリッジのイジェクト機構
KR100285145B1 (ko) 디스크 카트리지 로딩 장치
KR100245151B1 (ko) 디스크 매거진 착탈장치
US4317145A (en) Cassette tape recorder with an engagement mechanism for locking a movable chassis
US5784350A (en) Disk drive apparatus which eliminates the disk eject button
US20020021648A1 (en) Disk drive apparatus
JP3959356B2 (ja) スロットイン型再生記録装置
KR101060408B1 (ko) 디스크 드라이브의 트레이 이젝트용 스위치어셈블리
US4326225A (en) Automatic reverse cassette tape recorder
US4309727A (en) Automatic reverse tape recorder with means for stopping the automatic reverse operation during recording
US6789260B2 (en) Disk drive apparatus
KR970006182B1 (ko) 차량용 콤팩트디스크 플레이어의 메가진 자동 추출장치
JP3546450B2 (ja) ディスク装置
KR970001667B1 (ko) 트레이 구동장치
US5835304A (en) Magnetic recording/reproducing device having a magnetic head and a lift arm presser assembly wherein a lift arm pressing spring pressers a lift arm downward at a point closer to the magnetic head than to a middle point between the magnetic head and a cent
JP3575422B2 (ja) ディスク装置
KR100288926B1 (ko) 디스크드라이브의디스크이젝트장치
JP2001155401A (ja) ディスク再生装置
KR100616091B1 (ko) 광디스크 플레이어
KR100272372B1 (ko) 디스크 드라이브의 트레이 이젝트장치
US3869724A (en) Magnetic tape head indexing assembly for a cartridge tape player
JPH0621079Y2 (ja) 磁気ディスク装置
EP1562192A2 (en) Disk inserting/ejecting apparatus
JP2833217B2 (ja) カセットローディング機構
JP2000067496A (ja) ディスクプレーヤのディスク切換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