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0312B1 - 한약재를 이용한 증체목적용 돼지사료 첨가제 - Google Patents

한약재를 이용한 증체목적용 돼지사료 첨가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0312B1
KR101060312B1 KR1020090053623A KR20090053623A KR101060312B1 KR 101060312 B1 KR101060312 B1 KR 101060312B1 KR 1020090053623 A KR1020090053623 A KR 1020090053623A KR 20090053623 A KR20090053623 A KR 20090053623A KR 101060312 B1 KR101060312 B1 KR 1010603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herbal medicine
pig
feed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36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35139A (ko
Inventor
김상욱
노진구
정지영
박상국
Original Assignee
전라남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라남도 filed Critical 전라남도
Priority to KR10200900536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0312B1/ko
Publication of KR201001351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51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03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031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Zo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hys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 Feed For Specific Anim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약재를 이용한 증체목적용 돼지사료 첨가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혈을 보하는 백출 및 당귀, 성장을 촉진하는 구척, 식욕을 좋게하는 사인 등 경제성과 공급의 용이성을 감안한 한약재를 사료에 첨가하여 돼지에 급여함으로써 돼지의 증체를 도모하면서도 사육비를 절감할 수 있는 한약재를 이용한 증체목적용 돼지사료 첨가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한약재를 이용한 증체목적용 돼지사료 첨가제는, 돼지의 증체를 위하여 사인 10중량%, 신곡 10중량%, 시호 20중량%, 향부자 10중량%, 백출 20중량%, 당귀 10중량%, 속단 10중량%, 구척 10중량%로 이루어진 한약재를 사료에 첨가하여 돼지에 급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돼지, 증체, 사료, 한약, 첨가제

Description

한약재를 이용한 증체목적용 돼지사료 첨가제{PIG FEED ADDITIVE USING KOREAN MEDICAL HERB FOR PROMOTING WEIGHT GAIN}
본 발명은 한약재를 이용한 증체목적용 돼지사료 첨가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혈을 보하는 백출 및 당귀, 성장을 촉진하는 구척, 식욕을 좋게하는 사인 등 경제성과 공급의 용이성을 감안한 한약재를 사료에 첨가하여 돼지에 급여함으로써 돼지의 증체를 도모하면서도 사육비를 절감할 수 있는 한약재를 이용한 증체목적용 돼지사료 첨가제에 관한 것이다.
수입자유화의 물결은 거세지고 세계는 단일시장으로 전환되고 있는 시기에 우리나라 축산업의 당면과제는 축산물의 생산비 절감과 품질 고급화 혹은 기능성 축산물의 생산으로 수입에 대응할 수 있도록 고부가가치 축산물을 생산하여 국제 경쟁력을 높이는데 있다고 할 것이다.
특히 오늘날 국민소득과 문화수준의 향상으로 건강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이 증가되어 육질과 맛이 뛰어난 고품질이면서 위생적인 축산물을 선호할 뿐만 아니라 고혈압과 같은 성인병을 예방하는 등 섭취와 아울러 질병까지도 예방하는 기능성 축산물을 추구하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소비자의 소비욕구에 발맞춰 기능성 축산물 생산에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는데 식이 중의 지방산과 혈중 콜레스테롤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 천연 항산화제에 관한 효과를 규명하기위하여 향신료, 인삼, 생약제 등을 이용한 연구가 있었으며, 사람에게 당뇨병의 예방 및 치료 효과, 돼지의 면역증강 및 성장촉진, 사료효율 향상을 가져오는 CLA (Conjugated linoleic acid)를 급여한 돈육이 출시 되었고, 탄소와 미네랄이 주성분인 활성탄을 급여한 활성탄 돈육이 연구 되었으며 녹차잎과 그 부산물을 사료에 배합하여 사육시킨 돼지를 생산하기도 하였다.
그 뿐만이 아니라 옛날부터 한방약은 민간의약으로 여러 가지 질환의 예방과 치료에 널리 사용되어 왔는데 현대인들은 식생활과 건강에 관심이 많아져 한약재의 이용이 증가하게 되었다.
그래서 한약재를 가축의 사양에 도입시켜 보고자하는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는데 한약재 찌꺼기를 이용한 돈육의 이화학적 연구, 한약재 부산물 투여가 돈육의 기능성에 미치는 영향, 한약재 부산물 첨가 급여가 돈육질에 미치는 영향 등 한약재 첨가급여에 따른 비육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많은 연구가 있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서는 한약재의 부산물은 항상 똑같은 내용물을 포함하고 있지 않으므로 돼지 또는 돈육에 미치지 영향이 내용물에 따라 달라져 그 효과를 예측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고, 같은 처방의 한약재 찌꺼기를 얻는다 하여도 사육규모에 적용할 수 있는 물량을 확보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기혈을 보하는 백출 및 당귀, 성장을 촉진하는 구척, 식욕을 좋게하는 사인 등 경제성과 공급의 용이성을 감안한 한약재를 사료에 첨가하여 돼지에 급여함으로써 비육돈 사양 시 증체율을 증가시키면서도 한약재 중 경제성과 공급의 용이성 등을 감안한 한약재를 선정, 조제하여 급여함으로 인해 사육비 절감 효과를 동시에 얻을 수 있는 한약재를 이용한 증체목적용 돼지사료 첨가제를 제공하는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에 따른 한약재를 이용한 증체목적용 돼지사료 첨가제는, 돼지의 증체를 위하여 사인 10중량%, 신곡 10중량%, 시호 20중량%, 향부자 10중량%, 백출 20중량%, 당귀 10중량%, 속단 10중량%, 구척 10중량%로 이루어진 한약재를 사료에 첨가하여 돼지에 급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한약재를 이용한 증체목적용 돼지사료 첨가제는 비육돈 사양 시 증체율을 증가시키면서도 한약재 중 경제성과 공급의 용이성 등을 감안한 한약재를 선정, 조제하여 급여함으로 인해 사육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한약재를 이용한 증체목적용 돼지사료 첨가제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한약재를 이용한 증체목적용 돼지사료 첨가제의 재료 및 시험방법에 대해 살펴본다.
본원발명의 출원인은 2007년 5월부터 11월까지 6개월간 농협중앙회종돈사업소에서 3원 교잡종 (Landrace×Yorkshire×Duroc)으로 생 후 약 4주된 체중 8.03±0.67 kg의 이유자돈 102두를 공시하여 6개월간 사양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 중 시험돈의 증체 및 사료효율을 통한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 보기위해 생후 4주부터 10주까지 증체목적용 한약재를 투여하여 시험 결과를 확인하였다.
사료는 일반적으로 사육 시 급여되는 축협 사료를 급여하였으며, 사료에 다음과 같이 한약재를 첨가하여 시험군을 구분하였다.
시험군 및 시험두수는 3개군 102두로 하였으며 증체목적 한약재 급여시험은 1군 (T1)은 한약재 0.3%를 첨가, 2군 (T2)은 한약재 0.5% 첨가 급여하였고, 3군 (C1)은 대조군으로 일반사육방법으로 무첨가 급여하였다.
본 시험에 사용한 한약재 첨가물은 한약재 도매시장에서 구입한 한약재를 열풍건조한 후 제분기를 이용하여 분쇄한 분말제를 일반사료에 비율에 맞게 첨가하여 시험에 사용하였다.
증체 목적 시험에 사용된 한약재는 기혈을 보하는 백출 및 당귀, 성장을 촉진하는 구척, 식욕을 좋게하는 사인 등을 조제하여 사용하였으며, 본 발명에 따른 시험에 사용된 한약재의 조성은 아래의 [표 1]과 같다.
[표 1]
General name Scientific name Composition(중량%)
사인(砂仁) Amomi Fructus 10
신곡(神) Massa medicata Fermentata 10
시호(柴胡) Bupleuri Radix 20
향부자(香附子) Cyperi Rhizoma 10
백출(白朮) Atractylodis macrocephalae Rhizoma 20
당귀(當歸) Angelicae gigantis Radix 10
속단(續斷) Dipsaci Radix 10
구척(狗脊) Cibotti Rhizoma 10
즉, 본 발명에 따른 한약재를 이용한 증체목적용 돼지사료 첨가제는 돼지의 증체를 위하여 상기 [표 1]에서와 같이 사인 10중량%, 신곡 10중량%, 시호 20중량%, 향부자 10중량%, 백출 20중량%, 당귀 10중량%, 속단 10중량%, 구척 10중량%로 이루어진 한약재를 사료에 첨가하여 돼지에 급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체중측정은 이유 시(시험 개시 시)와 10주령(종료 시)에 측정하였으며 종료 시 체중에서 개시 시 체중을 뺀 값으로 총 증체량을 구하였고, 종료 시 체중에서 개시 시 체중을 뺀 값을 사양일수로 나누어 일당증체량을 구하였다.
사료섭취량은 시험개시부터 종료 시 (10주령)까지 섭취된 사료 총섭취량을 계산하고, 일당 사료섭취량은 사양기간 중 총사료섭취량을 사양일수로 나누어 구하였다. 사료요구율은 일당 사료섭취량을 일당 증체량으로 나누어서 구하였다.
도체등급 측정을 위해 실험이 종료된 후, 전북소재 도축장에서 도축하여 돼지 도체등급 측정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지육율은 박피 온도체 중 내장, 머리, 족을 제거한 상태를 기준으로 하였으며, 도체중량과 등지방 두께로 1차 등급 후 규격평가 (균형, 비육상태, 지방부착 상태, 마무리) 및 육질평가 (육색, 지방색과 질, 조직감, 지방침착도, 삼겹살 상태 등)를 통해 최종등급으로 판정하였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한약재를 이용한 증체목적용 돼지사료 첨가제의 재료 및 시험방법에 대해 살펴보았고, 이하에서는 상기 시험방법에 대한 결과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아래의 [표 2]는 본 발명에 따른 한약재를 이용한 증체목적용 돼지사료 첨가제가 첨가된 사료를 돼지에 급여하고 일당증체량(ADG)과 일당사료급여량(ADFI)을 측정하여 사료요구율(ADFI/ADG)을 구한 결과이다.
[표 2]
Treatment ADG(g) ADFI(g) ADFI/ADG
T1(0.3중량%) 473.06 704.42 1.49
T2(0.5중량%) 493.06 767.07 1.56
Control group 447.76 714.65 1.60
시험개시 이유자돈 체중은 전체사료에 대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한약재로 이루어진 첨가제를 0.3중량% 첨가한 첨가구(T1), 전체사료에 대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한약재로 이루어진 첨가제를 0.5중량% 첨가한 첨가구(T2), 대조구(Control group)에서 각각 7.89 kg, 8.14 kg, 8.06 kg 이었고, 시험 종료시 체중은 31.07 kg, 32.30 kg, 30.00 kg 이었다.
상기 [표 2]에서 살펴보면 일당증체량(ADG)은 T2(0.5중량% 첨가구)에서 493.06 g으로 T1(0.3중량% 첨가구) 473.06 g, 대조구 447.76 g에 비해 증체효과가 훨씬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당 사료섭취량(ADFI)은 T1(0.3중량% 첨가구)에서 704.42 g 로 가장 낮았으며 대조구 714.65 g, T2(0.5중량% 첨가구) 767.07 g 로 사료섭취량은 T2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사료섭취량을 증체량으로 나눈 사료요구율(ADFI/ADG)을 비교한 결과 T1(0.3중량% 첨가구)은 1.49, T2(0.5중량% 첨가구)는 1.56으로 대조구 1.60에 비하여 훨씬 낮게 나타나 본 발명에 따른 한약재로 이루어진 첨가제를 첨가한 군이 첨가하지 않은 군에 비하여 사료효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래의 [표 3]은 본 발명에 따른 한약재를 이용한 증체목적용 돼지사료 첨가제가 첨가된 사료를 급여한 비육돈의 지육율(Dressing), 등지방 두께(Backfat thickness) 및 규격등급(Standard grade), 육질등급(Quality grade)의 결과이다.
[표 3]
Treatment Backfat
thickness
(㎜)
Standard
grade
Quality grade Dressing(%)
Preliminary grade Final grade
T1(0.3중량%) 14.52±4.24 2.86±1.11 2.67±0.66 2.52±0.75 68.26±7.56
T2(0.5중량%) 14.50±2.92 3.08±1.14 2.96±0.20 2.79±0.41 67.51±4.74
Control group 14.36±3.37 3.00±1.15 2.82±0.50 2.68±0.57 67.39±6.08
상기 [표 3]을 살펴보면 등지방 두께(Backfat thickness)는 시험구(T1, T2)와 대조구(Control)간 유의적인 차이는 없으나 시험구(T1, T2)에서 좀 더 좋은 결과를 보였으며, 지육율(Dressing)에서는 T1(0.3중량% 첨가구)에서 68.26%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T2(0.5중량% 첨가구) 67.51%, 대조구(Control group) 67.39% 순으로 나타나 시험구(T1, T2)가 대조구(Control group)에 비해 지육율이 높은 결과를 보였다.
도체 등급의 결과를 비교하기 위해 규격등급(Standard grade)과 육질등급(Quality grade)을 구분하였으며, 등급의 차이를 정량화 하기위해 수치화하였다. 규격등급(Standard grade)은 A등급은 4점, B등급 3점, C등급 2점, D등급은 1점으 로, 육질등급(Quality grade)은 1, 1+등급은 3점, 2등급은 2점, 3등급은 1점으로 나타내었다. 규격등급과 육질등급 모두에서 T2 (0.5중량% 첨가구)에서 각각 3.08, 2.79로 가장 높은 등급을 받아 한약재급여가 도체 등급 판정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상기와 같은 시험결과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한약재를 이용한 증체목적용 돼지사료 첨가제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첫째, 자돈기의 일당 증체량은 시험군(493.1g)이 대조군(447.8g)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한약재의 첨가수준이 높은 시험군(0.5중량% 첨가군)에서 높은 결과를 보였다. 사료요구율은 시험군(1.49배)이 대조군(1.60배)보다 낮게 나타나 시험군에서 사료효율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도체 특성 중 지육율, 등지방두께가 대조군(67.39%, 14.36mm)에 비해 시험군(68.26%, 14.52mm)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도체 등급에서도 규격등급과 육질등급 모두 첨가수준이 높은 시험군(0.5중량% 첨가군)에서 A등급 출현율이 높게 나타났다.
이상 본 시험에서 얻어진 결과를 종합해 보면 본 발명에 따른 한약재를 이용한 증체목적용 돼지사료 첨가제는 돼지의 증체률 향상, 사료요구율 개선 및 도체 등급 향상에 탁월한 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고, 상기 첨가제를 이루는 한약재는 경제성과 공급의 용이성 등을 감안한 한약재로만 이루어진 것으로 사육비 절감 효과또한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앞에서 설명된 한약재를 이용한 증체목적용 돼지사료 첨가제는 본 발명을 실 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서만 정하여지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개량 및 변경된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

  1. 돼지의 증체를 위하여 사인 10중량%, 신곡 10중량%, 시호 20중량%, 향부자 10중량%, 백출 20중량%, 당귀 10중량%, 속단 10중량%, 구척 10중량%로 이루어진 한약재를 사료에 첨가하여 돼지에 급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약재를 이용한 증체목적용 돼지사료 첨가제.
KR1020090053623A 2009-06-16 2009-06-16 한약재를 이용한 증체목적용 돼지사료 첨가제 KR1010603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3623A KR101060312B1 (ko) 2009-06-16 2009-06-16 한약재를 이용한 증체목적용 돼지사료 첨가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3623A KR101060312B1 (ko) 2009-06-16 2009-06-16 한약재를 이용한 증체목적용 돼지사료 첨가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5139A KR20100135139A (ko) 2010-12-24
KR101060312B1 true KR101060312B1 (ko) 2011-08-30

Family

ID=43509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3623A KR101060312B1 (ko) 2009-06-16 2009-06-16 한약재를 이용한 증체목적용 돼지사료 첨가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031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34740B (zh) * 2012-11-23 2013-12-18 浙江海洋学院 石斑鱼用复合免疫增强剂
CN108850616A (zh) * 2018-08-11 2018-11-23 安徽省强家庄生态农业有限公司 一种抗菌型猪饲料的制备方法
CN112868931A (zh) * 2021-03-09 2021-06-01 新乡市和协动物药业有限公司 一种提高母猪泌乳量和繁殖性能的饲料添加剂及应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5926B1 (ko) 2005-09-15 2007-06-11 충북바이오축산 영농조합법인 마늘을 함유하는 닭 사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5926B1 (ko) 2005-09-15 2007-06-11 충북바이오축산 영농조합법인 마늘을 함유하는 닭 사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5139A (ko) 2010-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839688B (zh) 一种用于优质高效土鸡养殖方法的健体调节剂
CN103416601B (zh) 一种中草药饲料添加剂及含中草药饲料添加剂的饲料
CN106107190A (zh) 一种蛋鸡饲料
CN105918672A (zh) 一种含中药的猪饲料
CN103830623A (zh) 一种促进猪健胃消食的中药组合物
KR101060312B1 (ko) 한약재를 이용한 증체목적용 돼지사료 첨가제
CN106036119A (zh) 一种提升猪肉品质的猪饲料
CN104171369A (zh) 一种添加桑叶粉和桑枝灵芝下脚料粉的畜禽饲料及其用途
CN101642191B (zh) 一种用于畜禽养殖业的天然植物饲料添加剂
CN105595013A (zh) 一种新型大猪专用添加剂
CN104351480A (zh) 一种草药羊饲料及其制备方法
CN105831008B (zh) 一种提高种鳄受精率的饲养方法及种鳄饲料
CN104757332A (zh) 一种生猪养殖方法
CN105795164A (zh) 鱼饲料
CN103750026B (zh) 一种用于三黄鸡的中草药饲料
CN112841438B (zh) 一种低蛋白、可替代抗生素的中药饲料
CN104543434A (zh) 一种肉鸭复合饲料及其制备方法
CN104222519A (zh) 促进畜禽生长及降低肉蛋中胆固醇的饲料添加剂及其应用
CN103960476B (zh) 一种高效肉香型中草药饲料添加剂、制作方法及用法
CN104543382A (zh) 一种猪饲料用复合中草药添加剂及其制备方法
CN103918905B (zh) 一种提高肉鸡屠宰性能的复合饲料
CN104920808A (zh) 一种含有植物源添加剂的生物饲料及制备方法
CN105211532A (zh) 一种畜牧业猪饲料配制技术
CN106819463A (zh) 野山猪用饲料添加剂及其制备方法
CN103798514A (zh) 具有抗氧化功能的饲料添加剂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7

Year of fee payment: 9